KR100697814B1 - 시프트록 유니트 - Google Patents

시프트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814B1
KR100697814B1 KR1020067014145A KR20067014145A KR100697814B1 KR 100697814 B1 KR100697814 B1 KR 100697814B1 KR 1020067014145 A KR1020067014145 A KR 1020067014145A KR 20067014145 A KR20067014145 A KR 20067014145A KR 100697814 B1 KR100697814 B1 KR 10069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shift position
le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134A (ko
Inventor
에이지 야마다
요시노부 요코야마
겐이치 가코
하루유키 기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9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Shift element interlock with detent, recess, notch, or groove

Abstract

본 발명의 시프트록 유니트는 소정 방향 및 소정 방향의 양측방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 방향에 있어서 선회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시프트 위치와 제2시프트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제1시프트 위치에서 소정 방향의 일측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됨과 동시에 제2시프트 위치에서 소정 방향의 타측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에 접속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소정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를 구비한 시프트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시프트록 유니트로서, 상기 시프트 레버를 특정 위치에서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로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을 갖는 시프트록 기구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의 변경 및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특히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유용하고, 소형화를 꾀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시프트록 유니트{Shift lock unit}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링크를 나타내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검지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슬라이더의 콘택트 플레이트가 검출부재의 터미널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검출부재의 터미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NSS, 미터, 「D-4」스위치 및 「2-L」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기구에 있어서 슬라이더 및 마그넷이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토퍼가 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기구에 있어서 슬라이더 및 마그넷이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토퍼가 해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기구에 있어서 마그넷의 경사에 대응하여 요크가 경사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시프트록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l4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키인터로크 기구에 있어서 이그니션 키가 키 회동 조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키인터로크 기구에 있어서 이그니션의 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키인터로크 기구에 있어서 이그니션 키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키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1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따른 팁트로닉형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1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따른 스트레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1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의 NSS, 엔진 제어 장치, 미터, 「D-4」스위치 및 「2-L」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2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록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록 기구를 나타내는 장착사시도이다.
도 24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록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의 시프트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록 기구에 있어서 로크 작용 및 로크 해제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시프트 레버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의 검출부재의 터미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시프트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시프트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특개평 9-28071호 공보에 기재된 시프트록 기구에 있어서는, 동 공보의 도면(특히 도 14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본체부와, 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플런저(가동 철심)과, 시프트 레버와 연동되는 로크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스토퍼 플레이트와 이 플런저의 캠 부재가 각각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과 밸런스를 이루면서 왕복 이동하여 이 로크 플레이트가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키 인터 로크 기구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키의 회동 조작에 대하여 연동 가능한 피(被)로크 부재와, 이 피로크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동작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이 로크 부재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동 철심)를 구동원으로서, 키 회동 조작 위치에서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로의 이그니션 키의 절환을 불가능하게 하는 키 로크 상태와, 키 회동조작 위치에서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로의 이그니션 키의 절환을 가능하게 하는 키 언로크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프트록 기구 및 키 인터 로크 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동 철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플런저(가동 철심)의 가동 범위에 맞추어 기구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플런저(가동 철심)를 가동시킬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예컨대 도 27에 도시한 시프트 레버 장치(60)가 현재 개발되고 있고, 이 시프트 레버 장치(60)는 시프트 레버(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시프트 레버 장치(60)는, 이른바 게이트식으로 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62)는, 차량 전후 방향이나 차량 좌우 방향으로 선회됨으로써 시프트 위치(예컨대,「D」시프트 위치, 「4」시프트 위치, 「3」시프트 위치, 「2」시프트 위치 및「L」시프트 위치 등)가 변경된다.
특히, 시프트 레버(62)를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62)를 차량 우측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62)를 「4」시프트 위치로부터 「3」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62)를 차량 후방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으며, 시프트 레버(62)를 「3」시프트 위치에서 「2」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62)를 차량 좌방에서 차량 후방순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62)를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62)를 차량 좌측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프트 레버(6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는, 「D」시프트 위치 및 「4」시프트 위치와, 「3」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및 「L」시프트 위치에서 다르고, 시프트 레버(6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검출됨으로써,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4」시프트 위치와, 「3」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가 검출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 장치(60)는, 플레이트(64)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64)는, 「2」시프트 위치에 위치할 때의 시프트 레버(62)보다 차량 후방에서 지지 되고, 수평면상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64)의 차량 전방에는 제1아암부(6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1아암부(66)가 시프트 레버(62)에 차량 우측으로 압압됨으로써, 플레이트(64)가 회전된다. 또한, 플레이트(64)의 차량 전방에는 제2아암부(6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6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2아암부(68)가 시프트 레버(62)에 차량 좌측으로 압압됨으로써 플레이트(64)가 회전된다.
플레이트(64)의 차량 후방에는 슬라이더(70)가 지지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 (6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플레이트(64)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70)가 차량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62)가「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플레이트(64)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70)가 차량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70)의 차량 후방 부분에는 박판형 콘택트 플레이트(72)가 4개 설치되어 있고, 4개의 콘택트 플레이트(72)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70)의 차량 후방에는, 판형 검출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재(74)의 슬라이더(70)측 측면에는, 각각 박판형인 「 D」터미널(76A), 「4」터미널(76B), 「D-4」터미널(76C), 「2-L」터미널(76D), 「L」터미널(76E) 및 「2」터미널(76F)이 차량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D」터미널(76A)은 검출부재(74)의 차량 우측 단부에서 차량 좌우 방향 중앙에 걸쳐 설치되고, 「4」터미널(76B)은 「D」터미널(76A)의 차량 좌측에 있어서 검출부재(74)의 차량 좌측 단부에 설치되고, 「D-4」터미널(76C)은 「D」터미널(76A) 및 「4」터미널(76B)의 바로 아래에서 검출부재(74)의 차량 우측단부에서 차량 좌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고, 「2-L」터미널(76D)은 「D-4」터미널(76C)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검출부재(74)의 차량 우측 단부에서 차량 좌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고, 「L」터미널(76E)은 「2-L」터미널(76D)의 바로 아래에서 검출부재(74)의 차량 우측 단부에 설치되고, 「2」터미널(76F)은 「L」터미널(76E)의 차량 좌측에 있어서 검출부재(74)의 차량 좌우 방향 중앙에서 차량 좌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및 「2」시프트 위치에 위치 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72)는 각각 「D」터미널(76A), 「D-4」터미널(76C), 「2-L」터미널(76D), 「2」터미널(76F)에 접촉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는, 슬라이더(70)의 차량 좌측으로의 슬라이드와 일체로 각 콘택트 플레이트(72)가 차량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 「4」터미널(76B), 「D-4」터미널(76C), 「2-L」터미널(76D), 「2」터미널(76F)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또는「2」시프트 위치와, 「4」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시프트 레버(6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는, 슬라이더(70)의 차량 우측으로의 슬라이드와 일체로 각 콘택트 플레이트(72)가 차량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 「D」터미널(76A), 「D-4」터미널(76C), 「2-L」터미널(76D), 「L」터미널(76E)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와, 「L」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이 시프트 레버 장치(60)에서는,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4」시프트 위치와, 「3」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와, 「4」시프트 위치와, 「L」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62)가 「D」시프트 위치, 「4」시프트 위치, 「3」시프트 위치, 「2」시프트 위치 및 「L」시프트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프트 레버 장치(60)에서는, 시프트레버(6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와 시프트 레버(6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플레이트(64)가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더(70)가 상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70)의 콘택트 플레이트(72)가 접촉되는 검출부재(74)의 차량 좌우 방향에서의 배치 사이즈(도 27의 폭X)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검출부재(74)의 배치 스페이스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시프트 레버 장치(60)에서는, 플레이트(64), 슬라이더(70, 콘택트 플레이트(72)를 포함함) 및 검출부재(74)가, 시프트록 기구(미도시) 등과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구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시프트록 유니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는, 소정 방향 및 소정 방향의 양측방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 방향에 있어서 선회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시프트 위치와 제2시프트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제1시프트 위치에서 소정 방향의 일측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됨과 동시에 제2시프트 위치에서 소정 방향의 타측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에 접속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소정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를 구비한 시프트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시프트록 유니트로서, 상기 시프트 레버를 특정 위치에서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로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을 갖는 시프트록 기구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의 변경 및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시프트록 기구가 시프트 레버를 특정 위치에서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로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한, 검지 기구가 시프트 레버의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의 변경 및 시프트 레버의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을 검지한다.
여기서, 이 시프트록 유니트는, 시프트록 기구와 검지 기구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프트록 기구와 검지 기구가 따로 설치된 경우에 비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는, 상기 검지 기구는, 상기 시프트 레버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및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동일한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접속되고, 상기 링크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제1검출부에 의해 시프트 레버의 소정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검출된다. 이에 따라, 예컨데 시프트 레버의 소정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제1시프트 위치와 제3시프트 위치에서 동일하고, 또한, 제2시프트 위치와 제4시프트 위치에서 동일한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 또는 제3시프트 위치와, 제2시프트 위치 또는 제4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또한, 제2검출부에 의해 링크의 회전 위치가 검출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 또는 제2시프트 위치와, 제3시프트 위치 또는 제4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따라서, 제1검출부 및 제2검출부에 의해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 제2시프트 위치, 제3시프트 위치 및 제4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와 시프트 레버가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에 링크가 동일한 특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링크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의 배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제2검출부의 배치 스페이스의 콤팩트화 내지는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는, 상기 링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링크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링크의 특정 방향으로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링크의 회전이, 회전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는, 상기 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링크를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부재와, 탄성을 가지고,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링크가 접촉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링크가 시프트 레버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복귀 부재가 링크에 반특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링크를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초기 회전 위치에 복귀되는 링크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링크가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될 때의 접촉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 및 제6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상기 시프트 레버가 특정 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5항 및 제6항에 기재된 시프트록 유니트에서는, 시프트 레버가 특정의 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부가 시프트록 유니트와 따로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더욱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시프트록 유니트 및 그 시프트록 유니트가 적용되는 시프트 레버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레버 장치(10)를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 장치(10)는, 소위 게이트식을 취하며, 차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 장치(10)는, 시프트 조작부(80)를 구성하는 박스형 커버(14)를 구비하고 있고, 커버(14)는 차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14)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 베이스 플레이트(82)와 판형 커버 부재(84)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82)의 상면에 커버 부재(84)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2) 내의 하부에는, 시프트 조작부(80)를 구성하는 대략 원주상의 회전축(86)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86)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86)에는, 조작 부재로서 시프트 조작부(80)를 구성하는 시프트 레버(12)의 기단이 지지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12)는 회전축(86)에 대하여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시프트 레버(12)는 차량의 전후 방향(소정 방향) 및 차량의 좌우 방향(소정 방향의 양측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12)는 차량의 자동변속기(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도 1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84)에는 안내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공(16)은 소정의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공(16)에는 시프트 레버 (12)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12)가 안내공(16)으로 안내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선회됨으로써, 시프트 위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특정 위치 및 특정 시프트 위치로서의 「P」시프트 위치, 「R」시프트 위치, 「N」시프트 위치, 제1시프트 위치로서의 「D」시프트 위치, 제3시프트 위치로서의 「4」시프트 위치, 「3」시프트 위치, 제2시프트 위치로서의 「2」시프트 위치 및 제4시프트 위치로서의 「L」시프트 위치)가 변경된다.
즉, 시프트 레버(112)를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좌방, 후방 및 우방순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12)를 「R」시프트 위치에서 「N」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후방 및 우방순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12)를 「N」시프트 위치에서 「D」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후방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12)를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 우방(소정 방향의 일측방)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12)를 「4」시프트 위치에서 「3」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후방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레버(12)를 「3」시프트 위치에서 「2」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좌방 및 후방순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고, 시프트 레버(12)를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때는 시프트 레버(12)를 차량의 좌방(소정 방향의 타측방)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는, 「P」시프트 위치와, 「R」시프트 위치와, 「N」시프트 위치와, 「D」시프트 위치 및 「4」시프트 위치와, 「3」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및 「L」시프트 위치에서 다르다.
시프트 레버(12)는, 도 8에 도시한 제1검출부로서의 이른바 NSS(뉴트럴·스타트·스위치, 18)에 접속되어 있고, NSS(18)는 시프트 레버(12)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와, 「R」시프트 위치와, 「N」시프트 위치와, 「D」시프트 위치 또는 「4」시프트 위치와, 「3」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NSS(18)에는, 「P」단자, 「R」단자, 「N」단자, 「D」단자, 「2」단자 및「 L」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P」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시프트 레버(12)가 「R」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R」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며, 시프트 레버(12)가 「N」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N」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4」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D」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며, 시프트 레버(12)가 「3」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2」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면 「L」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된다.
NSS(18)는 미터(20)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미터(20)에는 「P」램프, 「R」램프, 「N」램프, 「D」램프, 「4」램프, 「3」램프, 「2」램프 및 「L」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미터(20)의 「P」램프, 「R」램프, 「N」램프 또는 「3」램프는, 각각 NSS(18)의 「P」단자, 「R」단자, 「N」단자 또는 「2」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P」단자, 「R」단자, 「N」단자 또는 「2」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면, 각각「P」램프, 「R」램프, 「N」램프 또는 「3」램프가 점등된다.
미터(20)의 「D」램프 및 「4」램프와 NSS(18)의 「D」단자는, 「D- 4」스위치(22)가 개재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고, 「D-4」스위치(22)는, 「D」단자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방향을 「D」램프측과 「4」램프측에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터(20)의 「2」램프 및 「L」램프와 NSS(18)의 「L」단자는, 「2- L」스위치(24)가 개재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고, 「2-L」스위치(24)는, 「L」단자로부터 의 신호의 송신 방향을 「2」램프측과 「L」램프측에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12)의 기단측에는, 반원형 절환판(2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절환판(26)은 시프트 레버(12)로부터 차량 우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절환판(26)에는 원주상의 절환봉(2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절환봉(28)은 절환판(26)으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82) 내에는,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우방에서, 시프트록 유니트(88)가 마련되어 있고, 시프트록 유니트(88)는, 박스형 하우징(88A)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88A) 내에는 회로 기판(90)이 고정되어 있고, 회로 기판(90)의 차량 후측 단부에는, 커넥터(9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90)의 차량 전방 부위에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9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위치 검출부(94)는 회로 기판(90)을 통하여 커넥터(92)에 접속되어 있다. 시프트 위치 검출부(94)는 탄성을 갖는 박판형 접촉판(94A)을 한쌍 가지고 있고, 한쌍의 접촉판(94A)은 서로 비접촉되어 있다. 한쌍의 접촉판(94A)은 하우징(88A)의 차량 좌측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위치할 때는 시프트 레버(12)가 일방의 접촉판(94A)을 차량 전방으로 압압하여 한쌍의 접촉판(94A)이 서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시프트 위치 검출부(94)에 의해 검출된다.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88A)의 상면에는, 삼각판상의 돌출부 (96)가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96)의 차량 좌측(시프트 레버(12)측) 측면에는, 대 략 원주상의 지지축(98)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98)의 중심에는, 돌출부(96)를 관통하는 단면 원형 관통공(100)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00)의 경사 상부 및 경사 하부에는 각각 돌출부(96)를 관통하는 단면 사각형 삽입공(100A)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98)에는, 검지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30)가 장착되어 있고, 링크(30)는, 시프트 레버(12)의 절환판(26) 및 절환봉(28)에 대응하여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30)는, 장판(長板)형 링크 본체(30A)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본체(30A) 상부의 지지축(98)측 측벽에는, 결합 오목부 (102)가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결합 오목부(102)의 중앙에는 원주상 관통축 (104)이 돌출되어 있다. 관통축(104)의 선단에는 단면 사각형의 걸어멈춤 돌기 (104A) 한쌍이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걸어멈춤 돌기(104A)를 각 삽입공(100A)에 삽입하여 관통축(104)을 관통공(l00)에 관통 결합시킨 후, 링크 본체(30A)의 하부를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오목부(102)의 내주면에 지지축(98)의 둘레면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 걸어멈춤 돌기(104A)가 관통공(100) 주변의 돌출부(96)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 오목부(102)의 저면이 지지축(98)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링크 본체(30A, 링크(30))가, 지지축(98)에 지지되고, 지지축(98)의 중심선(시프트 레버(12)의 「D」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사이에 배치된 도 5의 일점쇄선)을 회전 중심 축선(P)으로서,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면(시프트 레버(12)의 소 정 방향으로의 선회면)에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2)의 선회에 의해 링크(30)가 회전하는 범위에 있어서는, 각 걸어멈춤 돌기(104A)의 회전 위치가 각 삽입공(100A)에 일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지지축(98)에 의한 링크(30)의 지지가 해제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또한, 돌출부(96), 지지축(98), 관통공(100), 결합 오목부(102), 관통축 (104) 및 걸어멈춤 돌기(104A)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하고, 관통축(104)의 관통공 (100)으로의 결합, 결합 오목부(102) 내주면으로의 지지축(98) 둘레면의 결합, 걸어멈춤 돌기(104A)의 돌출부(96)로의 걸어멈춤 및 결합 오목부(102) 저면의 지지축(98) 측면으로의 접촉에 의하여 링크(30)의 회전이 안내된다.
링크 본체(30A)와 돌출부(96) 사이에는, 복귀 부재로서의 토션 코일 스프링 (106)이 걸쳐져 있고, 이에 따라, 링크 본체(30A,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링크 본체(30A)의 하부에 대응하여 하우징(88A)의 차량 좌측 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제 탄성 부재(10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탄성 부재(108)는 링크 본체(30A)의 하부(차량 후방)을 향해 삼각뿔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108)에는 토션 코일 스프링(106)에 가압된 링크 본체(30A)의 하부가 접촉되어 있고, 이에 따라, 링크 본체(30A, 링크(30))가 대략 세워져 초기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링크 본체(30A)의 하부에 대응하여 하우징(88A)의 차량 좌측 측면에는,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안내벽(110A)과 안내돌기(110B)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벽(110A)이 차량 좌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안내돌기(110B)가 차량 좌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자 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2)의 선회에 의해 링크(30)가 회전하는 범위에 있어서, 링크 본체(30A)의 하부가 안내벽 (110A)과 안내돌기(110B) 사이에 양자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되고, 링크(30)의 회전이 안내벽(110A)과 안내돌기(110B)에 의해 안내된다.
도 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2)의 「4」시프트 위치에 대응하여 링크 본체(30A) 상부에는 제1아암(32)이 대체로 설치되어 있고, 제1아암 (32)은 링크 본체(30A)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아암(32)의 선단에는 판형 수용부(3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32A)의 상면은 차량 좌측을 향하여 차량 하방으로 기울어져져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되어 절환판(26)이 차량 우측으로 이동될 때는, 수용부(32A)의 상면이 절환판(26)에 압압되어 제1아암(32)이 차량 하방(시프트 레버(12)의 기단측)으로 변위되고, 이에 따라,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의 방향(특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시프트 레버(12)의 「L」시프트 위치에 대응하여 링크 본체(30A) 상부에는 제2아암(34)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제2아암(34)은, 링크 본체(30A)로부터 L자상으로 돌출되어 선단측이 차량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아암(34)의 선단은 굴곡되어 굴곡부(34A)가 형성되어 있고, 굴곡부(34A)의 하면은 차량 좌측을 향해 차량 하방으로 기울어져져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되어 절환봉(28)이 차량 좌측으로 이동될 때는, 굴곡부(34A)의 하면이 절환봉(28)에 압압되어 제2아암(34)이 차량 상방(시프트 레버(12)의 선 단측)으로 변위되고, 이에 따라,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링크 본체(30A)의 하부에는 절결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36)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어 하단이 개방되어 있다.
링크(30)의 차량 우측에는, 검지 기구인 제2검출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더(38)가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더(38)는 하우징(88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38)는 직사각형 판상의 슬라이더 본체(40)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 본체(40)의 차량 좌측 측면에는 원주상의 삽입봉(4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삽입봉(42)에 대응하여 하우징(88A)의 차량 좌측 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10B)의 직하방에서 삽입통과공(78)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통과공(78)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봉(42)은, 삽입통과공(78)에 삽입 통과되어 링크 본체(30A)의 절결부(3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38)는, 링크(30)의 회전에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 본체(40)의 차량 우측 측면에는, 박판상의 콘택트 플레이트(44)가 소정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소정수의 콘택트 플레이트(44)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은 후술하는 검출부재(48)의 차량 좌측 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슬라이더 본체(4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안내돌기(4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양 안내돌기(46)는 각각 슬라이더 본체(40)로부터 차량 우측으로 L자상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다.
슬라이더(38)의 차량 우측에는, 검지 기구의 제2검출부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판상의 검출부재(48)가 설치되어 있고, 검출부재(48)는 상기 회로 기판(90)에 고정되어 하우징(88A) 내에 수용되어 있다. 검출부재(48)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안내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고, 각 안내 오목부(50)에 슬라이더(38)의 각 안내돌기(46)가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38)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안내된다.
검출부재(48)의 차량 좌측 측면에는, 각각 박판 모양으로 이루어진 「D」터미널(52A), 「4」터미널(52B),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2」터미널(52E) 및 「L」터미널(52F)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각각 회로 기판(90)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92)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D」터미널(52A)은 검출부재(48)의 차량 전측 단부에서 차량 전후 방향 중앙에 걸쳐 설치되고, 「4」터미널(52B)은 「D」터미널(52A)의 차량 후방에 있어서 검출부재(48)의 차량 후측 단부에 설치되고, 「D-4」터미널(52C)은 「D」터미널 (52A) 및 「4」터미널(52B)의 직하방에 있어서 검출부재(48)의 차량 전측 단부에서 차량 후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며, 「2-L」터미널(52D)은 「D-4」터미널(52C)의 직하방에서 검출부재(48)의 차량 전측 단부에서 차량 후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고, 「2」터미널(52E)은 「2-L」터미널(52D)의 직하방에서 검출부재(48)의 차량 전측 단부에서 차량 전후 방향 중앙에 걸쳐 설치되며, 「L」터미널(52F)은 「2」터미널 (52E)의 차량 후방에서 검출부재(48)의 차량 후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및 「2」시프트 위치에 위치 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은 각각 「D」터미널(52A), 「D-4」터미널 (52C), 「2-L」터미널(52D), 「2」터미널(52E)에 접촉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및 시프트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는, 링크 (30)의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되는 슬라이더(38)의 차량 후방으로의 슬라이드와 일체로 각 콘택트 플레이트(44)가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 「4」터미널(52B),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L」터미널(52F)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와, 「4」시프트 위치 또는「L」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검출부재(48)의 「D」터미널(52A), 「4」터미널(52B) 및 「D-4」터미널(52C)은, 도 8에 도시한 상기 「D- 4」스위치(22)에 해당하는 한편, 검출부재(48)의 「2-L」터미널(52D), 「2」터미널(52E) 및「L」터미널(52F)은, 도 8에 도시한 상기 「2- L」스위치(24)에 해당된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에 위치 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이 각각 검출부재(48)의 「D」터미널 (52A),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2」터미널(52E)에 접촉함으로써, 「D-4」스위치(22)에 있어서 NSS(18)의 「D」단자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방향이 미터(20)의 「D」램프측이 됨과 동시에, 「2-L」스위치(24)에 있어서 NSS(18)의 「L」단자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방향이 미터(20)의 「2」램프측이 된다. 이 때문에, 「D」단자 또는 「L」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각각 「D」램프 또는 「2」 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12)가 「4」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에 위치 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이 각각 검출부재(48)의 「4」터미널 (52B),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L」터미널(52F)에 접촉함으로써, 「D-4」스위치(22)에 있어서 NSS(18)의 「D」단자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방향이 미터(20)의 「4」램프측으로 바뀜과 동시에, 「2-L」스위치(24)에 있어서 NSS(18)의 「L」단자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방향이 미터(20)의 「L」램프측으로 바뀐다. 이 때문에, 「D」단자 또는 「L」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각각 「4」램프 또는 「L」램프가 점등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2)의 기단측에는, 연동 부재 및 피로크부로서의 대략 원주상 레버(11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레버(112)는 시프트 레버(12)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버(112)는 단면이 차량 좌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레버(112)의 하면은 평면상으로 되어 있다. 레버(112)는 시프트 레버(12)의 선회 조작에 연동됨과 동시에, 레버 (112)의 차량 좌하방 부위는, 걸어멈춤면 및 걸어멈춤 해제면을 겸용하는 접촉면 (112A)으로 되어 있다.
시프트록 유니트(88)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레버(112)의 위치에 대응하고, 차량 전측 부위에 있어서, 로크 기구로서의 시프트록 기구(l18, 시프트록 솔레노이드와 같음)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및 도 1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록 기구(118)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형의 케이스(120)를 구비함과 동시에, 케이스(120)의 하면은 판상의 캡(122)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케이스(120) 및 캡(122)은, 상기 하우징(88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120)의 상면에는 해제 링크(124)가 고정되고, 또한, 케이스(120)의 상방에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레버(112)가 배치된다.
케이스(120) 내에는, 로크 부재의 걸어멈춤 부재로서의 스토퍼(1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26)는 판상의 수직벽(128)을 가지고 있고, 수직벽(128)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의 차량 전후 방향 양단부에 경사면(128A)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128)은, 케이스(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레버(112)의 차량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수직벽(128)의 차량 우측 측면은 걸어멈춤면(128B)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126, 수직벽(128))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캡(122)과의 사이에 걸쳐진 압축 코일 스프링(130, 스프링)에 의해 차량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126)는 로크 위치(상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126)는 대략 판상의 수평벽(132)을 가지고 있고, 수평벽(132)은, 수평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수직벽(128)과 일체로 되어 있다. 수평벽(132)의 하면에는 한쌍의 지지편(134)이 마련되어 있고, 한쌍의 지지편(134)은, 각각 차량 하방(후술하는 마그넷(150)측)으로 단면 L자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수평벽(132)의 하면에는 소정수의 걸어멈춤고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각 걸어멈춤고리는 차량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편(134) 사이에는 사각형 판상의 요크(136)가 슬라이딩 삽입되고, 각 지지편(134)이 요크(136)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요크(136)의 하면(흡착면(136A))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토퍼(126)에 요크(136)가 설치되어 있다. 요크(136)의 두께는, 수평벽(132)의 하면과 각 지지편(134)의 선단의 간극보다 작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요크(136)는 스토퍼(126)에 대하여 경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크(136)에는 소정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걸어멈춤구멍(138)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구멍(138)에 상기 걸어멈춤고리가 삽입됨으로써, 요크(136)가 스토퍼(126)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저지된다.
수평벽(132)에는 쿠션(140)이 설치되어 있고, 쿠션(140)은 고무제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고 있다. 쿠션(l4O)에는, 상단 및 하단에 원추상 부위가 설치되어 있고, 양 원추상 부위는 중앙의 원주상 부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쿠션(140) 하단의 원추상 부위는 요크(136)의 중앙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따라, 쿠션(140)은 요크(136)를 차량 하방(후술하는 마그넷(150)측)에 압압되어 있다.
케이스(120) 내에는, 로크 부재의 해제 부재로서의 슬라이더(14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42)는 판상의 슬라이드벽(144)를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벽 (144)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벽(144)은, 스토퍼(126)의 수평벽(132)의 기단에 삽입 통과되고, 스토퍼(126)의 수직벽(128)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벽(144)의 상면은, 걸어멈춤 해제면(144A)이 되어, 차량 우하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슬라이드벽(144)의 상부는, 케이스(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레버(112)의 차량 좌방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벽(144)의 하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 고정부(14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146)는 요크(13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42, 고정부(146))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캡(l22)과의 사이에 걸쳐진 압축 코일 스프링(148,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결합 가능 상태(C)가 되어 있다.
고정부(146) 내에는, 전자석으로서의 마그넷(150)이 고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마그넷(150)은 슬라이더(142)와 항상 일체로 이동됨과 동시에 요크(13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150)은, 상기 회로 기판(90) 및 커넥터(92)를 통하여 브레이크(미도시)에 접속되어 있고, 브레이크는 조작됨으로써 차량을 제동한다. 또한,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은,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면, 자력을 발생하여 요크(136)에 부착(흡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시프트 레버(12)가 차량 좌측으로 선회될 때)에는, 레버(l12)가 슬라이드벽(144)의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벽(l44)을 하방으로 누르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42) 및 마그넷(150)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지 않으면, 도 10에 도시한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하지 않고 요크(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토 퍼(126)가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로크 위치에 배치된다(레버 로크 상태(A)). 이에 따라, 레버(112)의 이동이 스토퍼(126)의 수직벽(128)에 저지되고, 시프트 레버(12)를 충분하게 차량 좌측으로 선회시킬 수 없으므로 시프트 레버(12)를 차량 후방으로 선회 불가능하게 되어 시프트 레버(12)의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저지된다.
한편, 이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하고 이 자력에 의해 요크(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스토퍼(12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제 위치(하방의 위치)에 배치된다(레버 언로크 상태(B)). 이에 따라, 레버(1l2)의 이동이 스토퍼(126)의 수직벽(128)에 저지되지 않고, 시프트 레버(12)를 충분히 차량 좌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되어 시프트 레버(12)를 차량 후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시프트 레버(12)의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허가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12)가 「R」시프트 위치에서 「P」시프트 위치로 변경되는 경우에 시프트 레버(12)가 차량 전방으로 선회될 때는, 레버(l12)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126)의 수직벽(128)의 경사면(128A)이 압압됨으로써, 스토퍼(12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스토퍼(126)와 함께 이동하는 요크(136)가 마그넷(150)을 압압하여 슬라이더(142)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레버(112)의 이동이 스토퍼(126)의 수직벽(128) 및 슬라이더(142)의 슬라이드벽(144)에 저지되지 않아 시프트레버(12)를 충분하게 차량 전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12)를 차량 우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시프트 레 버(12)를 「R」시프트 위치에서 「P」시프트 위치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시프트록 유니트(88)은, 상기 커넥터(92)를 통하여, 로크 기구로서의 키인터로크 기구(200, 도 14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키인터로크 기구(200)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키 조작부(202)에 있어서 몸체 (204)의 외측에는 키 삽입/인출공(20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몸체(204)의 내측에는 연동 부재 및 피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캠(208)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키 삽입/인출공(206)에 이그니션 키(210, 조작 부재)를 삽입하여 회동 조작하면, 상기 로크 캠(208)은 이 이그니션 키(210)에 연동되어 회동 중심선(208A)을 중심으로 일정 회동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 로크 캠(208)의 외주에는 오목부(21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12)에는 걸어멈춤면과 걸어멈춤 해제면을 겸용하는 접촉면(2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04)에는 상기 로크캠(208)에 인접하여 케이스(2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214) 내에는 전자석(216)이 고정되어 있는 외에, 걸어멈춤 부재(218)와 해제 부재(220)를 갖는 로크 부재(222)가 케이스(214) 및 전자석(21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222)의 걸어멈춤 부재(218)에 있어서는, 스토퍼부(224)가 로크 캠(208)에 면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이 스토퍼부(224)에 대하여 전자석(216)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는 요크(226)를 갖는 흡착부 (228)가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222)의 해제 부재(220)에 있어서는,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와 전자석(216) 간에 접촉부(230)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자석(216)과의 사이에서 걸어멈 춤 부재(218)의 흡착부(228)를 사이에 둔 압압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부재(218)와 해제부재(220)는, 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요크(226)의 흡착면 (226A)에 대하여 작용하는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의 흡착력(F, 도 16참조)의 방향(X)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222)는,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 외에, 해제 부재(220)의 압압부(232)와 케이스(214)와의 사이에 연결된 압축 코일 스프링(234, 스프링)과,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와 걸어멈춤 부재(218)의 흡착부(228)와의 사이에 연결된 압축 코일 스프링(236,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는 상기 로크 캠(208)을 향하여 가압됨과 동시에, 이 압축 코일 스프링(236)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 부재(220)는 걸어멈춤 부재(218)에 대하여 상기 로크 캠(208)의 반대측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에는 걸어멈춤면 (224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에는 걸어멈춤 해제면 (230A)이 이 걸어멈춤면(224A)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면(224A) 및 걸어멈춤 해제면(230A)의 이동 방향(전자석(216)의 흡착력(F)의 방향(X))은 로크 캠 (208)의 접촉면(212A)의 회동 궤적의 방향(Y)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시프트 조작부(80)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주차 위치(P))로 조작되고, 도 17에 도시한 이그니션 키(210)가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 ON 위치 및 ST 중 예컨데 ACC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222)의 걸어멈춤 부재(218)와 해제 부재 (220)는 모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캠(208)을 향해 가압되고, 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흡착부(228)가 소자(消磁) 상태의 전자석(216)에 접촉됨과 동시에, 이 해제 부재(220)의 압압부(232)가 이 흡착부(228)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와 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가 서로 접촉되고, 이 스토퍼부(224)의 걸어멈춤면(224A)이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의 회동 궤적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이 접촉부(230)의 걸어멈춤 해제면(230A)도 결합 가능 상태(C)에 있어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의 회동 궤적으로 들어간다.
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한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216)의 소자 상태가 유지되고 그 흡착력(F)이 해제되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의 걸어멈춤 해제면(230A)을 억제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220)가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반발 이동하여 그 걸어멈춤 해제면(230A)이 결합 가능 상태(C)로부터 퇴출됨과 동시에, 걸어멈춤 부재(218)도 압축 코일 스프링(236)을 통하여 해제부재(220)에 의해 밀려 퇴출되고, 키 언로크 상태(A, 언로크 상태)가 된다. 이 키 언로크 상태(A)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걸어멈춤 부재 (218)의 스토퍼부(224)의 걸어멈춤면(224A)에 접촉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하여 인출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시프트 조작부(80)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 이외의 위치(242)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한 이그니션 키 (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자 상태의 전자석(216)이 여자(勵磁)되고 그 흡착력(F)이 생기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캠(208)의 접촉면(2l2A)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의 걸어멈춤 해제면(230A)을 누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 (220)만이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반발 이동하여 그 걸어멈춤 해제면 (230A)이 결합 가능 상태(C)로부터 퇴출되지만, 걸어멈춤 부재(218)는 그 요크 (226)의 흡착면(226A)에서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에 흡착되고, 키 로크 상태(B, 로크 상태)가 된다. 이 키 로크 상태(B)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 (212A)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의 걸어멈춤면(224A)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그니션키(210)를 키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할 수 없어 인출할 수 없다.
도 15에 도시한 키 언로크 상태(A)에서,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부터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216)이 소자 상태가 유지되어 그 흡착력(F)이 해제된 채로,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 온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키 로크 상태(B)에,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여자 상태의 전자석(216)이 소자되어 그 흡착력(F)이 해제되며,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프트 레버 장치(10)에서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지 않으면, 시프트록 기구(118)의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되지 않고, 스토퍼(126)가 로크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12)의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스토퍼(126)에 의해 저지된다.
한편, 시프트 레버가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면,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력에 의해 요크(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됨으로써, 스토퍼 (126)가 해제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의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허가된다.
이 시프트록 기구(118)에 의하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에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의 흡착력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동 철심)를 이용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철심(150A)의 출몰을 없애 기구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철심(150A)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는 레버 로크 상태(A)에서 마그넷(150)을 비통전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126)와 슬라이더(142)에 의해, 레버 로 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126)와 슬라이더(142)를 콤팩트하게 정리하여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를 레버 언로크 상태(B)로부터 레버 로크 상태(A)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l42)를 상기 결합 가능 상태(C)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48)에 의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요크(136)가 스토퍼(126)에 경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20), 캡(122), 스토퍼(126), 요크(136), 슬라이더(142) 또는 마그넷(150) 등에서의 치수의 불균일이나 이들 장착물의 불균일에 의해, 요크(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될 때 요크(136)에 대하여 마그넷(150)이 경사지는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150)의 경사에 대응하여 요크(136)가 경사 이동함으로써 요크(136)와 마그넷(150)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요크(136)와 마그넷(150)과의 밀착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요크(136)와 마그넷(150)과의 부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편(134)이, 각각 마그넷(150) 측으로 단면 L자상으로 돌출되어 요크(136)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요크(136)를 스토퍼(126)에 대하여 경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요크 (136)를 스토퍼(126)에 대하여 경사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에 설치된 쿠션(140)이, 탄성을 가지며 요크(136)를 마그넷(150) 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요크(136)의 덜컥거림을 억제함과 동시에, 요크 (136)가 마그넷(150)에 부착될 때의 양자의 접촉음이 공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프트 레버 장치(10)를 게이트식으로 구성하였지만, 시프트 레버 장치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른바 팁트로닉형 게이트식이나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른바 스트레이트식(팁트로닉형을 포함)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도 20에 도시한 스트레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152)에서는, 시프트 레버를 안내공(154)에 안내시켜 차량 전후 방향으로만 선회시킴으로써 시프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152)에서는, 시프트 레버의 선단에 노브 버튼이 설치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버의 기단 근방에 디텐트 핀이 설치되어 있고, 노브 버튼이 압압됨으로써 디텐트 핀이 시프트 레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 근방에는, 소정의 디텐트 홈이 형성된 디텐트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가 「P」시프트 위치에 위치할 때는, 노브 버튼 을 압압하지 않으면, 디텐트 핀이 디텐트 홈을 타고 넘을 수 없어 시프트 레버의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152)에 시프트록 기구(118)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예컨데 시프트 레버가 「P」시프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디텐트 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시프트록 기구(118)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즉, 시프트 레버가 「P」시프트 위치에서 「R」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지 않으면, 로크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126)의 수직벽(128)이 디텐트 핀의 슬라이드를 저지하고, 이 때문에, 노브 버튼을 압압할 수 없으므로 시프트 레버의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저지되는 한편, 이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면, 스토퍼 (126)의 수직벽(128)이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디텐트 핀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지 않으므로, 노브 버튼을 압압할 수 있어 시프트 레버의 「R」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이 허가되는 위치에 시프트록 솔레노이드(18)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프트 레버가 「P」시프트 위치(소정의 시프트 위치)로부터 「R」시프트 위치(다른 시프트 위치) 측으로 선회될 때 브레이크가 조작되면 마그넷(l50)이 자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다른 소정의 조건에 의해 마그넷이 자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특정 조건(예컨데 시프트 레버가 소정의 시프트 위치에서 다른 시프트 위치측으로 선회될 때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마그넷이 자력을 소자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하지 않을 때는 스토퍼(126)가 로크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마그넷(150)이 자력을 발생하였을 때는 스토퍼(126)가 해제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마그넷이 자력을 발생하지 않을 때는 스토퍼가 해제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마그넷이 자력을 발생한 때는 스토퍼가 로크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126)에 요크(136)를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42)에 마그넷(150)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요크나 마그넷을 다른 부품에 설치한 구성(예컨데 스토퍼에 마그넷을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에 요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를 설치하지 않고 스토퍼(걸어멈춤 부재)만을 설치하며, 또한, 이 스토퍼에 마그넷 및 요크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스에 마그넷 및 요크 중 다른 하나를 고정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마그넷이 자력을 발생하지 않을 때는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가 로크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마그넷이 자력을 발생하였을 때는 스토퍼가 이 자력에 의해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토퍼(126)에 지지고리(134)를 한쌍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스토퍼에 지지고리를 하나 또는 3개 이상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시프트록 기구(118)를 설치하는 방향이나 장소를 바꾸어 배치한 경우, 레버(112)에 해당하는 피로크부에 관해서는, 시프트 레버(12)에 대하여 일체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회전축(86)인 회동 지점을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시프트 레버(12)에 대하여 링크 기구 등을 통하여 연동시켜도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 장치(10)에서는, 시프트 레 버(1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시프트 레버(12)의 「D」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12)는 「D」시프트 위치에서 차량 우측으로 선회됨으로써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되고, 이 때는, 시프트 레버(12)에 의해 시프트록 유니트 (88)의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시프트 레버(12)는 「2」시프트 위치에서 차량 좌측으로 선회됨으로써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되고, 이 때도 시프트 레버(12)에 의해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NSS(18)에 의해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검출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가 「D」시프트 위치와 「4」시프트 위치에서 같고 또한, 「2」시프트 위치와 「L」시프트 위치에서 같은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4」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슬라이더(38) 및 검출부재(48)에 의해 링크(30)의 회전 위치가 검출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와, 「4」시프트 위치 또는「L」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된다.
따라서, NSS(18), 슬라이더(38) 및 검출부재(48)에 의해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4」시프트 위치, 「2」시프트 위치 및 「L」시프트 위치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와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링크(30)가 동일한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링크(3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슬라이더(38)의 슬라이드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져 슬라이드량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검출부재(48)의 배치 사이즈(도 5의 폭(W))를 작게 할 수 있고, 검출부재(48)의 배치 스페이스의 콤팩트화 내지는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링크(30)의 회전 중심축선(P)이 시프트 레버(12)의 「D」시프트 위치와 「2」시프트 위치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링크(30)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면(시프트 레버(12)의 소정 방향으로의 선회면)에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는, 시프트 레버(12)의 절환판(26)이 링크(30)의 제1아암(32)을 차량 하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는, 시프트 레버(12)의 절환봉(28)이 링크(30)의 제2아암(34)을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링크(30)가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링크(30)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에서 「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와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에서 「L」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시프트 레버(12)의 선회량이 다른 구성인 경우에도, 제1아암(32) 선단의 수용부(32A)의 경사 각도나 제2아암(34) 선단의 굴곡부(34A) 하면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링크(30)의 회전량을 항상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NSS(18)가 검출한 시프트 레버(1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에 관한 신호를 검출부재(48)로 송신하고, 검출부재(48)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 방향을 검출한 링크(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절환한다. 이 때문에, NSS(18)가 검출한 시프트 레버(l2)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에 대한 신호와, 검출부재(48)가 검출한 링크(30)의 회전 위치에 대한 신호가 다중 송신되는 경우에 비해, 시프트 레버(12)의 시프트 위치 검출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록 유니트(88)에 의하면, 시프트록 기구(118)와, 검지 기구로서의 링크(30), 슬라이더(38) 및 검출부재(4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시프트록 기구와 검지 기구가 따로 설치된 경우에 비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30)의 관통축(104)의 하우징 (88A)의 관통공(100)으로의 결합, 링크(30)의 결합 오목부(102) 내주면으로의 하우징(88A)의 지지축(98) 둘레면의 결합, 링크(30)의 걸어멈춤 돌기(104A)의 하우징 (88A)의 돌출부(96)로의 걸어멈춤 및 결합 오목부(102) 저면의 지지축(98) 측면으로의 접촉에 의해, 링크(30)의 회전이 안내된다. 또한, 하우징(88A)의 안내벽 (110A)과 안내돌기(110B) 사이에 링크 본체(30A)의 하부가 양자에게 접촉된 상태로 삽입되어 안내벽(110A)과 안내돌기(110B)로 링크(30)의 회전이 안내된다. 이에 따라, 링크(30)의 회전이, 회전 수직 방향(차량 좌우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30)의 각 걸어멈춤 돌기(104A)의 회전 위치가 하우징(88A)의 각 삽입공(l00A)에 일치할 때 까지 링크(30)를 회전시킴으로써, 링크(30)를 하우징 (88A)의 지지축(9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와 달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팁트로닉형 게이트식이나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레이트식(팁트로닉형을 포함)의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 링크(3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링크(30)를 용이하게 시프트록 유니트(88)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시프트록 유니트(88)를 이들 시프트 레버 장치에도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링크(30)가 시프트 레버(12)에 의해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는, 토션 코일 스프링(106)이 링크(30)에 화살표(A)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링크(30)를 초기 회전 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되는 링크(30)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108)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링크(30)가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될 때의 접촉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제1시프트 위치)로부터 「4」시프트 위치(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1아암(32)이 차량 하방(시프트 레버(12)의 기단측)으로 변위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12)가 「2」시프트 위치(제2시프트 위치)로부터 「L」시프트 위치(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2아암(34)이 차량 상방(시프트 레버(12)의 선단측)으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1아암이 시프트 레버의 선단측으로 변위되는 한편, 시프트 레버가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제2아암이 시프트 레버의 기단측으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NSS(18)를 미터(20)에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SS(18, 제1검출부)를 이른바 엔진 제어 장치(54)를 통하여 미터(20)에 간접적으로 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이 구성의 경우, 엔진 제어 장치(54)에는 「P」중간 단자, 「R」중간 단자, 「N」중간 단자, 「D」중간 단자, 「4」중간 단자, 「3」중간 단자, 「2」중간 단자 및 「L」중간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제어 장치(54)의 「P」중간 단자, 「R」중간 단자, 「N」중간 단자, 「D」중간 단자, 「3」중간 단자 또는 「2」중간 단자는, 각각 NSS(18)의 「P」단자, 「R」단자, 「N」단자, 「D」단자, 「2」단자 또는 「L」단자에 배선되어 있다.
엔진 제어 장치(54)의 「D」중간 단자와 NSS(18)의 「D」단자와의 사이의 배선과 엔진 제어 장치(54)의 「4」중간 단자는, 「D-4」스위치(56)가 개재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D-4」스위치(56)는, 「D」단자와 「4」중간 단자와의 접속을 ON·OFF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엔진 제어 장치(54)의 「2」중간 단자와 NSS(18)의 「L」단자 사이의 배선과 엔진 제어 장치(54)의 「L」중간 단자는, 「2-L」스위치(58)가 개재된 상태에서 접 속되어 있다. 「2-L」스위치(58)는, 「L」단자와 「L」중간 단자의 접속을 ON·OFF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NSS(18)의 「P」단자, 「R」단자, 「N」단자 또는 「2」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면, 이 신호를 각각 엔진 제어 장치(54)의 「P」중간 단자, 「R」중간 단자, 「N」중간 단자 또는 「3」중간 단자가 수신하고, 미터(20)의 「P」램프, 「R」램프, 「N」램프 또는 「3」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D-4」스위치(56)는, 검출부재(48)의 「D」터미널(52A), 「4」터미널(52B) 및 「D-4」터미널(52C)에 해당하는 한편, 상기「2-L」스위치(58)는, 검출부재(48)의 「2-L」터미널(52D), 「2」터미널(52E) 및 「L」터미널(52F)에 해당하고 있다.
시프트 레버(12)가 「D」시프트 위치 또는 「2」시프트 위치에 위치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이 각각 검출부재(48)의 「D」터미널(52A),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2」터미널(52E)에 접촉함으로써, 「D-4」스위치(56)에 있어서 NSS(18)의 「D」단자와 엔진 제어 장치(54)의 「4」중간 단자와의 접속이 OFF됨과 동시에, 「2-L」스위치(58)에 있어서 NSS(18)의 「L」단자와 엔진 제어 장치(54)의 「L」중간 단자와의 접속이 OFF된다. 이 때문에, 「D」단자 또는 「L」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이 신호를 각각 「D」중간 단자 또는「2」중간 단자만이 수신하고, 미터(20)의 「D」램프 또는 「2」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12)가 「4」시프트 위치 또는 「L」시프트 위치에 위치할 때는, 각 콘택트 플레이트(44)의 선단이 각각 검출부재(48)의 「4」터미널(52B), 「D-4」터미널(52C), 「2-L」터미널(52D), 「L」터미널(52F)에 접촉함으로써, 「D-4」스위치(56)에 있어서 NSS(18)의 「D」단자와 엔진 제어 장치(54)의 「4」중간 단자와의 접속이 ON됨과 동시에, 「2-L」스위치(58)에 있어서 NSS(18)의 「L」단자와 엔진 제어 장치(54)의 「L」중간 단자와의 접속이 ON된다. 이 때문에, 「D」단자 또는 「L」단자로부터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이 신호를 각각 「D」중간 단자 및 「4」중간 단자 또는 「2」중간 단자 및 「L」중간 단자가 수신하고, 미터(20)의 「4」램프 또는 「L」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키인터로크 기구(200)에서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조작된 것이 시프트록 유니트(88)의 시프트 위치 검출부(94, 도 2 등 참조)에 의해 검출되고, 도 17에 도시한 이그니션 키(210)가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 조작된 상태로부터,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석(216)이 소자 상태가 되어 그 흡착력(F)이 해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의 걸어멈춤 해제면(230A)을 억제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220)가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반발 이동하여 그 걸어멈춤 해제면(230A)이 결합 가능 상태(C)로부터 퇴출됨과 동시에, 걸어멈춤 부재(218)도 압축 코일 스프링(236)을 통하여 해제 부재(220)에 의해 밀려 퇴출되고, 키 언로크 상태(A)가 된다. 이 키 언로크 상태(A)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의 걸어멈춤면(224A)에 접촉되지 않고 통과 가능하므로,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 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하여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 이외의 위치(242)에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자 상태의 전자석(216)이 여자되고 그 흡착력(F)이 생긴다. 그 때문에,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해제 부재(220)의 접촉부(230)의 걸어멈춤 해제면(230A)을 누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220)만이 압축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반발 이동하여 그 걸어멈춤 해제면(230A)이 결합 가능 상태(C)로부터 퇴출되지만, 걸어멈춤 부재(218)는 그 요크(226)의 흡착면(226A)에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에 흡착되고, 키 로크 상태(B)가 된다. 이 키로크 상태(B)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걸어멈춤 부재(218)의 스토퍼부(224)의 걸어멈춤면(224A)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할 수 없어 인출할 수도 없다.
여기서, 이 키인터로크 기구(200)에 의하면, 키 로크 상태(B)와 키 언로크 상태(A) 사이의 절환에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의 흡착력(F)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동 철심)를 이용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철심(216A)의 출몰을 없애 기구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철심(216A)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키(210)를 인출할 수 있는 키 언로크 상태(A)에 전자석(216)을 비통전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222)를 구성하는 걸어멈춤 부재(218)와 해제 부재(220)에 의해,키 로크 상태(B)와 키 언로크 상태(A)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216)의 고정철심 (216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222)를 구성하는 걸어멈춤 부재(218)와 해제 부재(220)를 콤팩트하게 정리하여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 부재(218)를 키 로크 상태(B)로부터 키 언로크 상태(A)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로크 부재(222)의 압축 코일 스프링(236)에 의해, 키 로크 상태(B)와 키 언로크 상태(A)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해제 부재(220)를 상기 결합 가능 상태(C)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로크 부재(222)의 압축 코일 스프링(234)에 의해, 키 로크 상태(B)와 키 언로크 상태(A)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216)의 고정철심(216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록 유니트(88)에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9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부가 시프트록 유니트와 따로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더욱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부(94)가 시프트록 유니트(88)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인터로크 기구(200)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본 실시형태와 달리 키인터로크 기구가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등에서 시프트 위치 검출부 (94)가 불필요한 시프트 레버 장치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94)를 시프트록 유니트(88)로부터 떼어 내어 시프트록 유니트(88)를 이 시프트 레버 장치에도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석(216)이 케이스(214)에 고정됨과 동시에, 로크 부재(222)의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가 함께 케이스(21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대신하여, 로크 부재의 걸어멈춤 부재 및 해제 부재를 함께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점은 같지만, 이 걸어멈춤 부재와 전자석을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에 전자석에 대한 흡착면을 고정한다.
또한, 로크 부재(222)로서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 중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의 어느 하나를 로크 캠(208)의 반대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로크 캠(208)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 중 어느 일방에 전자석(216) 및 흡착면(226A)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스(214)에 전자석(216) 및 흡착면(226A) 중 다른 하나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전자석(216)이 여자될 때, 걸어멈춤 부재(218) 및 해제 부재(220) 중 어느 하나가 로크 캠(208)측으로 이동하고,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에 접촉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키인터로크 기구(20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상기 시프트록 기구(118)를 키인터로크 기구로서 사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로크 캠(208)에 인접하여 시프트록 기구 (118)의 케이스(120)가 몸체(20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록 기구(118)의 슬라이더(142)는, 슬라이드벽(144)의 선단 경사면에 있어서 로크 캠 (208)의 접촉면(212A)의 회동 궤적으로 들어가고 있다. 또한, 시프트록 기구(118)의 스토퍼(126)는 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이 구성에서는,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에 조작된 것이 시프트록 유니트(88)의 시프트 위치 검출부(94)에 의해 검출되고, 도 17에 도시한 이그니션 키(210)가 키 회동 조작 위치(238, 예컨데 ACC 위치)에 조작된 상태로부터,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그넷(150)이 소자 상태가 되고 그 흡착력이 해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슬라이드벽(144)의 선단 경사면을 누르면,슬라이더(142)가 압축 코일 스프링(48)의 탄성력에 반발 이동하여 결합 가능 상태(C)로부터 퇴출되고, 키 언로크 상태(A, 언로크 상태)가 된다. 이 키 언로크 상태(A)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212A)이 슬라이드벽(144)의 선단 경사면에 저해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하여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시프트 레버(12)가 「P」시프트 위치 이외의 위치(242)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그니션 키(210)를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자 상태의 마그넷(150)이 여자되어 그 흡착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스토퍼(126)에 설치된 요크(136)의 흡착면(136A)이 마그넷(150)의 고정철심(150A)에 흡착되어 슬라이더(142)가 이동 불가능하게 되며, 키 로크 상태(B, 로크 상태)가 된다. 이 키 로크 상태(B)에서는, 로크 캠(208)의 접촉면 (212A)이 슬라이드벽(144)의 선단 경사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그니션 키(210)를 키 회동 조작 위치(238, ACC 위치)로부터 키 삽입/인출 가능 위치(240, LOCK 위치)로 조작할 수 없어 인출할 수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프트 레버 장치(10)를 차내의 바닥면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시프트 레버 장치를 차내의 인스투루먼트 패널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어서,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록 기구(300, 로크 기구)를 도 22 내지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프트록 기구(300)는, 케이스 본체 (302A)와 이 케이스 본체(302A)의 상단부에 대하여 저부의 반대측에서 덮혀진 커버(302B)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02)와, 이 케이스(30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걸어멈춤 부재(304)와 해제 부재(306)를 갖는 로크 부재(308)와, 이 걸어멈춤 부재(304) 내에 수용되는 전자석(3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8)의 걸어멈춤 부재(304)는, 상기 전자석(310)이 하방에서 삽입 고정되어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 도 26참조)이 하향으로 개방되는 수용부(312)와, 이 전자석(310)의 수용 상태에서 전자석(310)의 배선(310B)측을 막도록 이 수용부(312)의 일측에 접촉되는 캡(314)과, 이 수용부(312)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부(316)와, 이 수용부(312)의 양측에서 하향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 (3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8)의 해제 부재(306)는, L형상을 이루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 모양의 슬라이더(320)와, 이 슬라이더(32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재치대(3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320)의 상단부에는 접촉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재치대(322)에 요크(326)가 끼워지고, 이 요크(326) 상의 흡착면(326A)이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부재(308)의 걸어멈춤 부재(304)와 해제 부재(306)가 케이스 본체(302A)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에서는, 이 해제부재(306)의 재치대(322)에 걸어멈춤 부재(304)의 수용부(312)가 실려져 이 재치대(322)의 요크(326)의 흡착면(326A)에 상기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됨과 동시에, 이 재치대(322)의 양측에 걸어멈춤 부재 (304)의 양 스프링 지지부(318)가 인접한다. 또한, 이 수용 상태에서는, 해제 부재 (306)의 테두리 모양 슬라이더(320)에 걸어멈춤 부재(304)가 나란히 배치되고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수용부(312)의 일부가 이 테두리 모양 슬라이더(320)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 슬라이더(320)의 접촉부(324)에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가 인접된다. 상기 전자석(310)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304)와 함께 이동하고, 이 걸어멈춤 부재(304) 및 전자석(310)과 상기 해제 부재(306)는 이 해제 부재(306)의 요크(326)의 흡착면(326A)에 대하여 작용하는 전자석(310)의 고정철심 (310A)의 흡착력(F, 도 26 참조)의 방향(Y)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8)는, 걸어멈춤 부재(304) 및 해제 부재(306) 외에, 이 해 제 부재(306)를 압압 접촉시키는 대직경 압축 코일 스프링(328, 스프링)과, 이 걸어멈춤 부재(304)를 압압 접촉시키는 한쌍의 소직경 압축 코일 스프링(330,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대직경 압축 코일 스프링(328)은, 상기 케이스 본체 (302A) 내에서 그 저부상에 재치되고, 해제 부재(306)의 재치대(322)의 하방에 접촉되어 있다. 이 양 소직경 압축 코일 스프링(330)은, 상기 케이스 본체(302A) 내에서 그 저부상에 재치할 수 있고, 걸어멈춤 부재(304)의 양스프링 지지부(318)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 코일 스프링(328, 330)의 탄성력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304) 및 해제 부재(306)는 상방으로 가압되고,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와 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가 케이스(302)의 커버(302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에 있어서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에 면하는 측에는 걸어멈춤면(316A)이 상기 흡착력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에는 이 스토퍼부(316)에 대한 반대측에서 걸어멈춤 해제면(324A)이 형성되고 있다. 이 걸어멈춤 해제면 (324A)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이 스토퍼부(316)의 걸어멈춤면(316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흡착력 방향(Y)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도 25에 도시한 자동차의 게이트식의 시프트 조작부(332)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334, 조작 부재)는, 도 26에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어멈춤 부재(304) 및 해제 부재(306) 부근에서 지지축(334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와 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 부근에 연동 부재 및 피로크부로서의 돌기(336)를 가지고 있다. 이 돌 기(336)의 선단부에는, 걸어멈춤면과 걸어멈춤 해제면을 겸용하는 접촉면(3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의 걸어멈춤면(316A)과 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의 걸어멈춤 해제면(324A)에 있어서 그것들의 이동 방향(상기 전자석(310)의 흡착력(F)의 방향(Y))은, 시프트 레버(334)의 주차 위치(P, 특정 위치)에서 이 돌기(336)의 접촉면(336A)이 상기 지지축(334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궤적의 방향(X)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다.
도 26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시프트 레버(334)가 주차 위치(P)로 조작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8)의 걸어멈춤 부재(304)와 해제 부재(306)는 모두 각 압축 코일 스프링(328, 330, 도 24 참조)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정지되고, 이 걸어멈춤 부재(304) 내에서 소자 상태로 있는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과 이 해제 부재(306)의 요크(326)의 흡착면(326A)이 서로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해제 부재(306)는, 결합 가능 상태(C)에 있고, 이 시프트 레버 (334)의 돌기(336)는 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의 걸어멈춤 해제면(324A)에 면하여 정지하고 있다.
발진시 브레이크(미도시)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한 시프트 레버(334)를 주차 위치(P)로부터 주차 위치(P) 이외의 위치(338)로 조작하고자 한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310)의 소자 상태가 유지되고 그 흡착력(F)이 해제되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프트 레버(334)의 돌기(336)의 접촉면 (336A)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의 걸어멈춤 해제면(324A)을 누르면,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306)만이 압축 코일 스프링(328)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과 요크(326)의 흡착면 (326A)이 서로 이간되는 레버 로크 상태(A, 로크 상태)가 된다. 이 레버 로크 상태(A)에서는, 시프트 레버(334)의 돌기(336)의 접촉면(336A)이 걸어멈춤 부재 (304)의 스토퍼부(316)의 걸어멈춤면(316A)에 접촉되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334)를 주차 위치(P)로부터 주차 위치(P) 이외의 위치(338)로 조작할 수 없다.
발진시 브레이크(미도시)를 밟은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한 시프트 레버 (334)를 주차 위치(P)로부터 주차 위치(P) 이외의 위치(338)로 조작하고자 한 경우, 상기 전자석(310)이 여자되고 그 흡착력(F)이 생기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프트 레버(334)의 돌기(336)의 접촉면(336A)이 해제 부재(306)의 접촉부(324)의 걸어멈춤 해제면(324A)을 억제하면,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과 요크(326)의 흡착면(326A)이 서로 흡착되어 해제 부재(306)와 걸어멈춤 부재(304)가 일체적으로 각 압축 코일 스프링(328, 330)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레버 언로크 상태(B, 언로크 상태)가 된다. 레버 언로크 상태(B)에서는, 시프트 레버(334)의 돌기(336)의 접촉면(336A)이 걸어멈춤 부재(304)의 스토퍼부(316)의 걸어멈춤면(316A)에 접촉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334)를 주차 위치(P)로부터 주차 위치(P) 이외의 위치(338)로 조작할 수 있다.
도 26c에 도시한 레버 언로크 상태(B)에서, 시프트 레버(334)를 주차 위치 (P)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여자 상태의 전자석(310)이 소자되고 그 흡착력(F)이 해제되어, 도 26a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도 26b에 도시한 레버 로크 상 태(A)에서, 시프트 레버(334)를 주차 위치(P)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 (310)의 소자 상태가 유지되고 그 흡착력(F)이 해제된 채로, 도 26a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시프트록 기구(300)에 의하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에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의 흡착력(F)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동 철심)를 이용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철심(310A)의 출몰을 없애 기구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철심(310A)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은 레버 로크 상태(A)에서 전자석(310)을 비통전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308)를 구성하는 걸어멈춤 부재(304)와 해제 부재(306)에 의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308)를 구성하는 걸어멈춤 부재(304)와 해제 부재(306)를 콤팩트하게 정리하여 기구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 부재(304)를 레버 언로크 상태(B)로부터 레버 로크 상태(A)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로크 부재(308)의 압축 코일 스프링(330)에 의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해제 부재(306)를 상기 결합 가능 상태(C)로 되돌리도록 가압하는 로 크 부재(308)의 압축 코일 스프링(328)에 의해, 레버 로크 상태(A)와 레버 언로크 상태(B) 사이의 절환을 전자석(310)의 고정철심(310A)의 흡착력(F)을 이용하여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308)의 걸어멈춤 부재(304) 및 해제 부재(306)가 함께 케이스(302)에 대하여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이 걸어멈춤 부재 (304)와 전자석(310)이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동일하지만, 본 기구를 설치하는 방향이나 장소를 바꾸어 배치한 경우, 상기 돌기(336)에 해당하는 피로크부에 대해서는, 시프트 레버(334)에 대하여 일체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지지축(334A)인 회동 지점을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시프트 레버(334)에 대하여 링크 기구 등을 통하여 연동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프트록 기구(300)를 게이트식의 시프트 조작부 (332)에 적용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시프트록 기구를 팁트로닉형 게이트식이나 스트레이트식(팁트로닉형을 포함) 시프트 조작부에 적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프트록 유니트는, 특히 게이트식 시프트 레버 장치에 유용하고, 소형화를 꾀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6)

  1.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시프트 위치와 제2시프트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제1시프트 위치에서 차량의 우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됨과 동시에 제2시프트 위치에서 차량의 좌방으로 선회됨으로써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에 접속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의 선회 위치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를 구비한 시프트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시프트록 유니트로서,
    상기 시프트 레버를 특정 위치에서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로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을 갖는 시프트록 기구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의 변경 및 상기 시프트 레버의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의 변경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기구는,
    상기 시프트 레버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1시프트 위치에서 제3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및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2시프트 위치에서 제4시프트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동일한 특정 방향 으로 회전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접속되고, 상기 링크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링크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에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링크를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부재와,
    탄성을 가지고, 초기 회전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링크가 접촉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가 특정 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가 특정 시프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록 유니트.
KR1020067014145A 2000-09-19 2001-09-19 시프트록 유니트 KR100697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3606 2000-09-19
JP2000283606 2000-09-19
JP2000296197 2000-09-28
JPJP-P-2000-00296197 2000-09-28
JP2001160452 2001-05-29
JPJP-P-2001-00160452 2001-05-29
JPJP-P-2001-00186788 2001-06-20
JP2001186788 2001-06-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84A Division KR100659788B1 (ko) 2000-09-19 2001-09-19 로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34A KR20060093134A (ko) 2006-08-23
KR100697814B1 true KR100697814B1 (ko) 2007-03-20

Family

ID=274816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84A KR100659788B1 (ko) 2000-09-19 2001-09-19 로크 기구
KR1020067014145A KR100697814B1 (ko) 2000-09-19 2001-09-19 시프트록 유니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84A KR100659788B1 (ko) 2000-09-19 2001-09-19 로크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52065B2 (ko)
EP (2) EP1231094B1 (ko)
JP (1) JP4084186B2 (ko)
KR (2) KR100659788B1 (ko)
CN (1) CN1277704C (ko)
AU (1) AU2001288062A1 (ko)
BR (1) BR0107236A (ko)
CA (1) CA2391901C (ko)
DE (2) DE60135398D1 (ko)
ES (2) ES2312148T3 (ko)
WO (1) WO2002024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695A (ja) * 2001-10-25 2003-05-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DE10247068A1 (de) * 2002-10-09 2004-04-2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Fahrstufen-Eingabeeinheit
DE10255214B4 (de) * 2002-11-27 2006-05-04 Daimlerchrysler Ag Sperreinrichtung für einen Wahlhebel und Verfahren zum Sperren eines Wahlhebels
US20040118236A1 (en) * 2002-12-19 2004-06-24 Mannoh Kogyo Co., Ltd. Gate type shift lever apparatus
DE10307109A1 (de) * 2003-02-19 2004-09-0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Kraftfahrzeuggetriebe mit einer Sperrvorrichtung für den Wählhebel
JP4518869B2 (ja) * 2004-08-23 2010-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ロック装置
US20060060019A1 (en) * 2004-08-23 2006-03-23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and automatic selector thereof
US20080092608A1 (en) * 2006-07-28 2008-04-24 Yong Qiang Wang Electrical park lock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20080022805A1 (en) 2006-07-28 2008-01-31 Brian Douglas Howe Shift lever locking mechanism
US20080178645A1 (en) * 2006-12-28 2008-07-31 Brian Douglas Howe Shift lock mechanism using nickel titanium
KR100925933B1 (ko) * 2008-07-24 2009-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DE102009034695A1 (de) * 2009-07-24 2011-0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Wählhebel für Wechselgetriebe
KR101113570B1 (ko) * 2009-12-01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JP5627983B2 (ja) * 2010-01-21 2014-11-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1225200A (ja) * 2010-03-30 2011-11-10 Fuji Kiko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US8539851B2 (en) * 2010-09-14 2013-09-24 Lawrence Andrew Hoffman Modula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device
CN102001285A (zh) * 2010-11-24 2011-04-06 郑州日产汽车有限公司 防爆车用最高时速转换装置
CN102069711B (zh) * 2010-12-03 2013-08-07 北京路特思达机电设备有限公司 锁档装置
JP5823244B2 (ja) * 2011-10-13 2015-11-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FR2981717B1 (fr) * 2011-10-19 2013-12-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ctionnement du verrouillage et du deverrouillage de la position " parking " d'un levier de selection de vitesses monte sur une grille en escalier
DE102012211309A1 (de) * 2012-06-29 2014-01-02 Zf Friedrichshafen Ag Schalthebel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Fahrzeuggetriebes
KR101462919B1 (ko) * 2013-11-15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용변속레버와 브라켓 체결구조
JP6013387B2 (ja) * 2014-03-14 2016-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操作装置
CN105650265B (zh) * 2014-11-18 2019-05-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汽车变速器
US10267417B2 (en) 2015-08-26 2019-04-23 Ghsp, Inc. Shifter with noiseless BITSI shift lever control
US9970537B2 (en) * 2016-02-01 2018-05-15 Dura Operating, Llc Lock assembly for shifter
CN105805291B (zh) * 2016-04-18 2018-05-1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换挡操纵机构及具有该换挡操纵机构的变速器和车辆
CN105736687B (zh) * 2016-04-18 2018-02-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换挡操纵机构及具有该换挡操纵机构的变速器和车辆
JP6735341B2 (ja) * 2016-04-20 2020-08-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6698043B2 (ja) * 2017-03-14 2020-05-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1976448B1 (ko) * 2018-01-02 2019-05-10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제어 레버 장치
CN110974307B (zh) * 2019-12-26 2023-02-28 飞依诺科技股份有限公司 旋转锁定装置及超声装置
CN114190182B (zh) * 2021-11-18 2023-03-0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高枝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649U (ko) * 1989-12-28 1991-09-10
JPH0462547U (ko) * 1990-10-04 1992-05-28
JPH0647767U (ja) * 1992-12-04 1994-06-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4142U (ja) * 1993-06-21 1995-01-2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ソレノイドアクチュエータ
JPH08253043A (ja) * 1995-03-17 1996-10-01 Kojima Press Co Ltd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8320062A (ja) * 1995-03-17 1996-12-03 Chuo Spring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9156394A (ja) * 1995-12-11 1997-06-17 Kojima Press Co Ltd 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7934Y2 (ko) * 1981-03-10 1989-11-15
DE3138827A1 (de) * 1981-09-30 1983-04-14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Gangwaehler fuer ein getriebe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JPH0462457A (ja) 1990-07-02 1992-02-27 Canon Inc 表面状態検査装置
JPH0462457U (ko) * 1990-09-29 1992-05-28
US5211271A (en) * 1991-01-17 1993-05-1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JPH0538451A (ja) 1991-08-08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組成物
JP2600680Y2 (ja) * 1991-10-29 1999-10-18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ドライブチェンジスイッチ機構
EP0575658B1 (en) * 1992-06-30 1998-10-28 Aisin Aw Co., Ltd. Shift system having a manual speed selecting mechanism for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H0647767A (ja) 1992-07-29 1994-02-22 Tokai Rubber Ind Ltd 樹脂ホースの製造方法
JP2759042B2 (ja) 1993-06-18 1998-05-28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出 窓
US5562568A (en) * 1994-08-18 1996-10-08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Brake-transmission-ignition key interlock system
US5489246A (en) * 1994-08-29 1996-02-06 Pontiac Coil, Inc. Electronic park lock
US5522277A (en) * 1995-06-12 1996-06-04 Carter Automotive Company, Inc. Electrically-operated latch
JPH0928071A (ja) * 1995-07-12 1997-01-28 Tokai Rika Co Ltd 電磁ソレノイド
JP3392312B2 (ja) * 1996-12-25 2003-03-3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EP0978670A3 (en) * 1998-08-03 2002-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e system adapted to prevent erroneous shifting of transmission, and shift lever position detecting device
GB9820243D0 (en) * 1998-09-18 1998-11-11 Kelsey Hayes Co Electrical actuator
JP3688923B2 (ja) * 1999-02-09 2005-08-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649U (ko) * 1989-12-28 1991-09-10
JPH0462547U (ko) * 1990-10-04 1992-05-28
JPH0647767U (ja) * 1992-12-04 1994-06-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4142U (ja) * 1993-06-21 1995-01-2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ソレノイドアクチュエータ
JPH08253043A (ja) * 1995-03-17 1996-10-01 Kojima Press Co Ltd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8320062A (ja) * 1995-03-17 1996-12-03 Chuo Spring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9156394A (ja) * 1995-12-11 1997-06-17 Kojima Press Co Ltd 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88062A1 (en) 2002-04-02
KR20020067521A (ko) 2002-08-22
EP1231094A1 (en) 2002-08-14
CN1277704C (zh) 2006-10-04
ES2333940T3 (es) 2010-03-03
CN1392844A (zh) 2003-01-22
EP1231094A4 (en) 2006-04-26
US20030097897A1 (en) 2003-05-29
ES2312148T3 (es) 2009-02-16
CA2391901A1 (en) 2002-03-28
KR100659788B1 (ko) 2006-12-19
JP4084186B2 (ja) 2008-04-30
EP1795782B1 (en) 2008-08-13
WO2002024479A1 (fr) 2002-03-28
DE60135398D1 (de) 2008-09-25
CA2391901C (en) 2007-03-27
EP1795782A1 (en) 2007-06-13
US6852065B2 (en) 2005-02-08
EP1231094B1 (en) 2009-11-11
JPWO2002024479A1 (ja) 2004-01-29
KR20060093134A (ko) 2006-08-23
BR0107236A (pt) 2002-07-09
DE60140423D1 (de)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814B1 (ko) 시프트록 유니트
US9291259B2 (en) Shift device
CN106067719B (zh) 发电开关
JP5070998B2 (ja) レバースイッチ及び遊技機
KR100762600B1 (ko) 스위치 장치
KR100762599B1 (ko) 스위치 장치
US20030098218A1 (en) Shift lock device
US8613236B2 (en) Shift lever device
US6080942A (en) Switch device
JP476868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及び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KR20060008071A (ko) 스위치 조립체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20100083981A (ko)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JPH0638756Y2 (ja) ウインカー用オートキヤンセル装置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7030634A (ja) シフト操作装置及び移動規制装置
JP4633948B2 (ja) シフト装置
KR101116958B1 (ko)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JP3784893B2 (ja) シフトレバー位置検出機構
JP2605566Y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JP200512595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JP202010033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286658A (ja)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JP2008001262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