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48B1 - 변속 제어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제어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48B1
KR101976448B1 KR1020180000185A KR20180000185A KR101976448B1 KR 101976448 B1 KR101976448 B1 KR 101976448B1 KR 1020180000185 A KR1020180000185 A KR 1020180000185A KR 20180000185 A KR20180000185 A KR 20180000185A KR 101976448 B1 KR101976448 B1 KR 10197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main body
slider
coupled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변속 제어 레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변속 슬라이더; 상기 변속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 일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제2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변속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를 제1 회전축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변속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슬라이더는,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한다.

Description

변속 제어 레버 장치{LEVER DEVICE FOR TRANSMISSION CONTROL}
본 발명은 변속 제어 레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변속 슬라이더를 이용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최근에는 기계식 변속레버 대신 변속기와 변속레버 사이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액츄에이터와 ECU를 통해 전기적 연결구조로 대체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사용이 늘고 있다. 전자식 변속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전자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위치 센서부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레버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우수하며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종류로는 스틱 방식, 다이얼 방식, 버튼 방식 등이 있다. 특히, 스틱 방식은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잡고 조작하는 구조로, 변속 레버와 내부의 많은 부품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구조 설계가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5608호, 공고일자 2015년09월24일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속 바디의 일단에 변속 슬라이더를 결합하고 변속 바디의 양쪽 측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블릿을 결합하여, 변속 슬라이더를 제1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변속단이 선택된 후 블릿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변속 슬라이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변속 제어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변속 슬라이더; 상기 변속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 일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제2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변속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를 회전축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변속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슬라이더는,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변속 바디의 측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결합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블릿;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블릿의 일측이 접촉하는 복수의 걸림홈들을 갖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후 상기 블릿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걸림홈들은 상기 걸림부의 하부면에 역 V자 또는 역 U자 형태로 배치되어, 가장자리에서 중앙에서 갈수록 상기 하부면에서 걸림홈까지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릿은, 상기 복수의 걸림홈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걸림홈에 접촉하여 수용되는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릿은 일측이 상기 걸림부 내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블릿 바디; 및 상기 블릿 바디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바디는 측부에 원통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부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변속 레버의 하부면에 결합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하단부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결합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의 길이는 상기 하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변속 바디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부는 측면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타측부는 측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일측부와 상기 타측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부와 타 측부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형성된 수용홈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2개의 블릿;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 양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블릿 각각의 일측이 접촉하는 복수의 걸림홈들을 갖는 2개의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결합되고, 타측 하부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 배치된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변속 바디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변속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속 바디의 일단에 변속 슬라이더를 결합하고 변속 바디의 양쪽 측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블릿을 결합하여, 변속 슬라이더를 제1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변속단이 선택된 후 블릿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변속 슬라이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슬라이더를 제1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부품들의 수가 적고, 제품의 크기와 중량도 작아져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슬라이더가 전후 이동될 때 변속 슬라이더와 함께 블릿을 걸림부 내 복수의 걸림홈 사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변속 슬라이더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변속 바디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릿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걸림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레버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슬라이더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단의 변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속 바디의 일단에 변속 슬라이더를 결합하고 변속 바디의 양쪽 측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블릿을 결합하여, 변속 슬라이더를 제1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변속단이 선택된 후 블릿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변속 슬라이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새로운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케이스(100),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 변속 버튼(30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변속을 위한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하부 케이스(12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하부 케이스(12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돌기가 개구에 걸림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0)는 제1 하부 케이스(121)와 제2 하부 케이스(122)가 결합될 수 있다.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는 제1축의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1축의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다.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변속단 예컨대, R(Reverse), N(Neutral), D(Drive) 단이 선택될 수 있다.
변속 버튼(3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고 상부 케이스(110)에결합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조작에 따라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Park) 단을 선택하기 위한 1개의 변속 버튼(300)이 구비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변속 버튼(300)로부터 출력된 신호(P)를 제공 받고,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로부터 제공 받은 신호(R, N, D)를 기초로 변속단 정보를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 레버 장치는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200)에 의한 변속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 (200)는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되고, 변속 슬라이더(shift slider)(210), 변속 바디(shift body)(220), 블릿(bullet)(230), 걸림부(240), 가이드 레버(guide lever)(250), 마그넷(magnet)(260), 감지 수단(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 슬라이더(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210)를 전방측으로 밀거나 변속 슬라이더(210)를 후방측으로 당김으로써, 변속 슬라이더(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변속 슬라이더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변속 슬라이더(210)는 그 하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211)와 조작부(211)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된 날개부(212a, 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1)을 밀거나 당기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조작부(21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날개부(212a, 212b)와의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변속 바디(220)는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단이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제2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A)에 결합되고, 타단이 변속 슬라이더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변속 바디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바디(220)는 메인 바디(221), 메인 바디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222), 메인 바디의 하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223), 제2 결합부(223)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메인 바디(221)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의 길이가 하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쪽 측부에 원통 형상의 제1 수용홈(221a), 제2 수용홈(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홈(221a), 제2 수용홈(221b)의 길이는 메인 바디(22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길이일 수 있다. 여기서는 2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c와 같이 메인 바디(221)는 양쪽 측부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고,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바디(221)의 일 측부(221-1)는 메인 바디(221)의 일 측면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메인 바디(221)의 타 측부(221-2)는 메인 바디(221)의 타 측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양 측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 바디(221)의 양쪽 측부를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하는 이유는 변속 바디를 제1축 방향으로만 회전 이동시키더라도 변속 바디의 제2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수용홈(221a), 제2 수용홈(221b)에 삽입 결합되는 블릿이 서로 다른 회전 경로 상에서 접촉하도록 하여 변속 바디가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최대한 제한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 수용홈(221a), 제2 수용홈(221b)은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용홈(221a)은 상기 돌기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선 L1 상에 배치되고, 수용홈(221b)은 상기 돌기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선 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2)는 메인 바디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223)는 메인 바디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2)와 제2 결합부(223)는 제2 결합부(223)가 결합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4)에는 가이드 레버(250)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결합될 수 있다.
블릿(230)은 변속 바디의 양쪽 측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수용홈(221a, 221b)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블릿(230)의 상단부는 수용홈(221a, 221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릿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릿(230)은 원통 형상의 블릿 바디(231)와 탄성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릿 바디(231)는 일측이 탄성부재(232)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걸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2)는 블릿 바디(231)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걸림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40)는 하부 케이스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하부면(241)에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은 역 V자 또는 역 U자 형태로 배치되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은 역 V자 또는 역 U자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의 깊이가 가장 깊고, 다음으로 걸림홈(241b, 241d)의 깊이가 깊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a, 241e)의 깊이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에 블릿이 접촉하는 경우 블릿의 탄성 복원력이 가장 작아져 블릿의 길이가 가장 길고, 블릿이 이동하여 걸림홈(241b, 241d)에 접촉하는 경우 블릿의 탄성 복원력이 커져 블릿의 길이가 짧아지며, 블릿이 이동하여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a, 241e)에 접촉하는 경우 블릿의 탄성 복원력이 가장 커져 블릿의 길이가 가장 짧아질 수 있다.
이때, 블릿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에서 주변의 다른 걸림홈(241a, 241b, 241d, 241e)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으로 복귀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 사이에는 턱(241f)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에는 블릿이 접촉할 수 있다. 블릿은 복수의 걸림홈을 이동할 때마다 복수의 걸림홈 사이에 형성된 턱을 지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홈의 깊이와 턱의 높이만큼 탄성 부재가 수축 및 이완(복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할 때마다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다.
가이드 레버(250)는 일단이 변속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결합되어 변속 바디의 회전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레버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버(250)는 일단부에 개구부(250a)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일측에 마그넷(260)이 배치되며, 타단부의 타측이 회전축(B)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250b)는 일측에 회전축(B)이 결합되고 타측이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 결합되어, 회전축(B)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버(250)의 개구부에는 변속 바디에 형성된 돌기(224)가 삽입될 수 있다. 변속 레버가 중립 상태일 때, 변속 바디에 형성된 돌기는 가이드 레버의 개구부(250a) 중앙에 위치하고, 변속 레버가 회전 이동하면 변속 바디에 형성된 돌기는 가이드 레버의 개구부(250a)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260)은 가이드 레버(250)에 배치되고,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그넷(260)은 가드 레버(250)의 회전 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감지 수단(270)은 마그넷(260)에 대응되도록 하부 케이스의 내부 일면에 고정 배치되어, 마그넷(260)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수단(270)은 예컨대,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260)의 자기장을 근거로 마그넷(260)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알 수 있어 마그넷(26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슬라이더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변속 슬라이더가 중립 상태(N)일 때, 변속 바디(220)가 고정된 상태에서 블릿(230a, 230b)의 상단부가 각 걸림부(240a, 240b)의 복수의 걸림홈들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1, 241c2)에 접속하여 수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속 슬라이더가 중립 상태에서 제1축의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변속 바디(220)가 회전축(A)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릿(230a, 230b)의 상단부가 각 걸림부(240a, 240b)의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1, 241c2)에서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a1, 241a1)으로 이동 접속하여 수용되면 변속단 R이 선택된 후, 블릿(230a, 230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블릿(230a, 230b)이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1, 241c2)으로 복귀함으로써, 변속 슬라이더도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변속 슬라이더가 중앙에 위치하더라도 변속단이 R로 변경된 상태가 된다.
변속 슬라이더의 조작에 따라 블릿의 상단부가 걸림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에서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a)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변속 바디(220)가 회전하면, 변속 바디(220)에 형성된 돌기(224)에 결합된 가이드 레버(250) 역시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바디(220)가 회전축(A)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 레버(250)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 바디에 형성된 돌기(224)는 가이드 레버(250)의 개구부의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속 슬라이더가 중립 상태에서 제1축의 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변속 바디(220)가 회전축(A)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릿(230a, 230b)의 상단부가 각 걸림부(240a, 240b)의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1, 241c2)에서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e1, 241e2)으로 이동 접속하여 수용되면 변속단 D가 선택된 후, 블릿(230a, 230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블릿(230a, 230b)이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1, 241c2)으로 복귀함으로써, 변속 레버도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변속 슬라이더가 중앙에 위치하더라도 변속단이 D로 변경된 상태가 된다.
변속 슬라이더의 조작에 따라 블릿의 상단부가 걸림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걸림홈(241c)에서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걸림홈(241e)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변속 바디(220)가 회전하면, 변속 바디(220)에 형성된 돌기(224)에 결합된 가이드 레버(250) 역시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바디(220)가 회전축(A)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 레버(250)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 바디에 형성된 돌기(224)는 가이드 레버(250)의 개구부의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단의 변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변속단이 P단으로 변속 할 경우, 변속단(R, N, D) 어느 단에서나 변속 슬라이더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변속 버튼을 이용하여 변속단 P를 누르면 변속단은 P로 변경될 수 있다.
변속단이 N인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변속단이 R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에서 손을 떼면 변속 슬라이더는 원래의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변속단이 R인 상태에서, 도 9c와 같이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변속단이 N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에서 손을 떼면 변속 슬라이더는 원래의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변속단이 N인 상태에서, 도 9c와 같이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변속단이 D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변속 슬라이더에서 손을 떼면 변속 슬라이더는 원래의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변속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는데, 변속 슬라이더의 위치하는 항상 기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200: 변속 슬라이더 조립체
210: 변속 슬라이더
220: 변속 바디
230: 블릿
240: 걸림부
250: 가이드 레버
260: 마그넷
270: 감지 수단
300: 변속 버튼

Claims (15)

  1.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변속 슬라이더(210);
    상기 변속 슬라이더(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120);
    일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 하단부에 제2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224)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변속 슬라이더(210)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224)를 제1 회전축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변속 바디(220);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슬라이더(210)는,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변속 바디(220)는,
    측부에 원통 형상의 수용홈(221a, 221b)이 형성된 메인 바디(221);
    상기 메인 바디(221)의 상단부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변속 슬라이더(210)의 하부면에 결합된 제1 결합부(222); 및
    상기 메인 바디(221)의 하단부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224)에 결합된 제2 결합부(223);를 포함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바디(220)의 측부에 형성된 수용홈(221a, 221b)에 삽입 결합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블릿(230);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블릿(230)의 일측이 접촉하는 복수의 걸림홈들(241a, 241b, 241c, 241d, 241e)을 갖는 걸림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 슬라이더(210)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후 상기 블릿(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들은,
    상기 걸림부(240)의 하부면(241)에 역 V자 또는 역 U자 형태로 배치되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면(241)에서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까지의 깊이가 깊어지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릿(230)은,
    상기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걸림홈에 접촉하여 수용되는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갖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릿(230)은,
    일측이 상기 걸림부(240) 내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블릿 바디(231); 및
    상기 블릿 바디(231)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232);를 포함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2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길이는 상기 하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21a,221b)은, 상기 메인 바디(221)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224)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21)의 일측부는 일 측면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221)의 타측부는 타 측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일측부와 상기 타측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21a,221b)은 상기 메인 바디(221)의 일측부와 타측부 각각에 형성된,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21)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형성된 수용홈(221a,221b)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2개의 블릿(230);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부 양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블릿(230) 각각의 일측이 접촉하는 복수의 걸림홈(241a, 241b, 241c, 241d, 241e)들을 갖는 2개의 걸림부(240);를 더 포함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21a,221b)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224)에 결합되고, 타측 하부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버(250);
    상기 가이드 레버(250)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는 마그넷(260); 및
    상기 마그넷(260)의 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마그넷(260)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고정 배치된 감지 수단(270);을 더 포함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버(250)는 상기 변속 바디(220)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변속 버튼(300);을 더 포함하는, 변속 제어 레버 장치.
KR1020180000185A 2018-01-02 2018-01-02 변속 제어 레버 장치 KR10197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85A KR101976448B1 (ko) 2018-01-02 2018-01-02 변속 제어 레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85A KR101976448B1 (ko) 2018-01-02 2018-01-02 변속 제어 레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448B1 true KR101976448B1 (ko) 2019-05-10

Family

ID=6658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85A KR101976448B1 (ko) 2018-01-02 2018-01-02 변속 제어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89A1 (ko) * 2020-12-04 2022-06-09 방재용 차량 기어 노브
KR102520863B1 (ko) * 2023-02-28 2023-04-12 이신영 기어 변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134A (ko) * 2000-09-19 2006-08-23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시프트록 유니트
KR20100032772A (ko) * 2008-09-18 2010-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변속레버 장치
KR101555608B1 (ko) 2015-04-13 2015-09-24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KR20160026063A (ko) * 2014-08-29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레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134A (ko) * 2000-09-19 2006-08-23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시프트록 유니트
KR20100032772A (ko) * 2008-09-18 2010-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변속레버 장치
KR20160026063A (ko) * 2014-08-29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레버
KR101555608B1 (ko) 2015-04-13 2015-09-24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89A1 (ko) * 2020-12-04 2022-06-09 방재용 차량 기어 노브
KR102520863B1 (ko) * 2023-02-28 2023-04-12 이신영 기어 변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48B1 (ko) 변속 제어 레버 장치
US11014450B2 (en) Stalk mounted telescoping rotary shift knob
US20200063857A1 (en) Dial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JP5652846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ギアシフト装置
CN105715780B (zh) 用于车辆的一体式电子换挡杆组件
KR100883945B1 (ko) 회전 조작형 전기 부품
EP3483479A1 (en) Shifter assembly
JP2008153121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KR100331647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슬라이더
EP3106716B1 (en) Manipulation apparatus
CN108506470B (zh) 杆装伸缩式换挡旋钮
JPH07204912A (ja) ハンマードリルの調整機構
CN110043646B (zh) 电子换挡控制装置
CN109469726B (zh) 线控换档移位器装置
CN110608285B (zh) 用于手动变速器的操作换挡装置
CN112524230B (zh) 一种换挡器
CN112594384B (zh) 一种变速器倒挡防误挂机构、变速器及汽车
KR102375139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662548B1 (ko) 2 웨이 전자식 변속레버
CN217279393U (zh) 调节元件
CN217177371U (zh) 变速箱的换挡机构、变速箱及模型车
KR100224357B1 (ko) 변속기의 변속조작구조
CN216818183U (zh) 换挡拨动机构、开关组件及医用动力手柄
JP6231802B2 (ja) 走行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