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933B1 -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33B1
KR100925933B1 KR1020080072180A KR20080072180A KR100925933B1 KR 100925933 B1 KR100925933 B1 KR 100925933B1 KR 1020080072180 A KR1020080072180 A KR 1020080072180A KR 20080072180 A KR20080072180 A KR 20080072180A KR 100925933 B1 KR100925933 B1 KR 10092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key interlock
groove
key
le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33B1/ko
Priority to AU2009202884A priority patent/AU2009202884B2/en
Priority to CA2673090A priority patent/CA2673090C/en
Priority to TW098124631A priority patent/TWI364371B/zh
Priority to US12/507,540 priority patent/US80754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에만 P(파킹) 레인지 홈(2a)에 삽입된 상태의 변속레버(3)를 다른 레인지(R 레인지, N 레인지, D 레인지)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한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과, 변속레버(3)가 P(파킹) 레인지 홈(2a)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만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키홈으로부터 시동키를 탈거할 수 있는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을 기계식 구조로 구성하여 만족시킴에 따라, 전자적 장치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작동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된 것이다.
자동변속기, 키 인터 록, 변속레버, 이그니션 록 스위치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Key interlock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기계식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은 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FMVSS114)의 법규를 만족시켜주는 시스템으로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첫 번째는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에만 P(파킹) 레인지에 삽입된 상태의 변속레버를 다른 레인지(R 레인지, N 레인지, D 레인지)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한 조건이고, 두 번째는 변속레버가 P(파킹) 레인지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만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으로부터 시동키를 탈거할 수 있는 조건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은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은, ECU(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동작 및 키 인터 록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적 장치로 구성된 것을 지금까지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전자적 장치는 원가가 비싸고 작동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며, 아울러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교적 원가가 저렴하고 작동시에는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기계식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은, 변속레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키 인터 록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된 키 인터 록 캠과; 상기 키 인터 록 캠과 결합되는 슬롯 홀 및 변속레버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레버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키 인터 록 케이블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이그니션 록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속으로 돌출되는 록킹 돌기를 구비한 케이블 블록과; 이그니션 록 실린더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록킹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케이블 블록의 직선 이동을 구속하거나 또는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회전을 구속하는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에만 P(파킹) 레인지 홈에 삽입된 상태의 변속레버를 다른 레인지(R 레인지, N 레인지, D 레인지)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한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과, 변속레버가 P(파킹) 레인지 홈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만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으로부터 시동키를 탈거할 수 있는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을 기계식 구조로 구성하여 만족시킴에 따라, 전자적 장치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작동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 하우징(1)의 윗면에는 레인지 홈(2)이 형성되는 바, 상기 레인지 홈(2)은 P(파킹) 레인지 홈(2a), R(후진) 레인지 홈(2b), N(중립) 레인지 홈(2c), D(주행) 레인지 홈(2d) 등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변속레버하우징(1)에는 변속레버몸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변속레버몸체에는 상기 레인지 홈(2)을 관통하여 상기 변속레버하우징(1)의 상측으로 돌출된 변속레버(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변속레버(3)는 상기 변속레버몸체가 회전할 때에 상기 레인지 홈(2)을 따라 시프트(shift)되어 P 레인지 홈(2a), R 레인지 홈(2b), N 레인지 홈(2c), D 레인지 홈(2d)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에는 가이드홈(4)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4)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에 형성된 레인지 홈(2) 중 P 레인지 홈(2a)에서 차체의 전방으로 이격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윗면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윗면으로 개구되며, 또한 일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한쪽 측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반대쪽 측면을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가이드홈(4)에는 록킹 플레이트(10)가 상기 가이드홈(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10)는,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상기 가이드홈(4)으로 삽입되는 플레이트 돌기부(11)와, 상기 플레이트 돌기부(11)로부터 상기 레인지 홈(2)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변속레버(3)가 삽입되는 레버홈(12a)이 상기 레인지 홈(2)의 길이방향 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플레이트 몸체부(12)와, 상기 플레이트 돌기부(11)에서 상기 가이드홈(4)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슬롯 홀(1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1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슬롯 홀(13a)의 양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여진 구조를 갖도록 절개된다.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한쪽 측면에는 키 인터 록 캠(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은 상기 가이드홈(4)이 개구된 쪽인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에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21)과, 키 인터 록 케이블(31)의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돌기(22)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10)의 상기 슬롯 홀(13a)로 삽입되는 캠 돌기(2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의 회전축(21)에는 스프링부재(32)가 상기 회전축(21)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되는데, 일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키 인터 록 캠(23)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부재(32)는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10)가 있는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은 자유로이 유동할 수 없게 되며, 이 결과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의 캠 돌기(23)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10)의 슬롯 홀(13a)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로이 유동할 수 없게 되므로, 소음을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일단이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의 케이블 돌기(22)와 연결된 상기 키 인터 록 케이블(31)의 타단은 이그니션 록 스위치(40)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이그니션 록 스위치(40)는,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 설치되는 이그니션 록 바디(41)와,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그니 션 록 실린더(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에는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1a)이 형성되고, 운전석으로 노출되는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일단의 전면에는 시동키가 삽입되어 꽂혀지는 키홈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돌림에 따라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42)는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동키는 LOCK ↔ ACC ↔ ON ↔ ST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의 가이드홈(41a)에는 케이블 블록(51)이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홈(41a)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 블록(51)에는 상기 키 인터 록 케이블(31)의 타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블록(51)에는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41)속으로 돌출되는 록킹 돌기(5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록킹 돌기(5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케이블 블록(51)의 직선 이동을 구속하거나 또는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회전을 구속하는 실린더 블록(53)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주차 상태일 때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는 LOCK의 위치에 위치하고, 변속레버(3)는 도 1과 같이 P 레인지 홈(2a)에 위치하고 있게 되며, 상기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는 상기 키홈으로부터 원활히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케이블 블록(5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41a)의 한쪽 끝에 위치한 상태가 되고, 블록 돌기(52)의 후방쪽(블록 돌기(52)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는 쪽)으로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상기 공간에는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실린더 블록(53)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블록(51)이 가이드홈(41a)을 따라 차체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때, 블록 돌기(52)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는 뒷면(52a)이 실린더 블록(53)에서 운전석을 향하는 전면(53a)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블록(51)은 가이드홈(41a)을 따라 차체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케이블 블록(51)이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차체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없으면, 키 인터 록 케이블(31)은 도 1의 상태에서 차체의 후방으로 당겨지지 않게 되고, 키 인터 록 캠(20)은 도 1의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구속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키 인터 록 캠(20)이 구속되어 회전하지 못하면, 록킹 플레이트(10)가 가이드홈(4)을 따라 도 1의 상태에서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플레이트(10)의 레버홈(12a)에 삽입된 상태로 P 레인지 홈(2a)에 위치하고 있는 변속레버(3)를 P 레인지 진입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P 레인지 홈(2a)에 위치하고 있는 변속레버(3)를 P 레인지 진입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없으면, 상기 변속레버(3)를 P 레인지 홈(2a)에서 R 레인 지 홈(2b) → N 레인지 홈(2c) → D 레인지 홈(2d)으로 시프트(shift)할 수 없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LOCK의 위치에 있던 시동키를 회전시켜 ON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블록 돌기(52)의 후방쪽 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실린더 블록(53)은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회전에 따라 도 5 및 도 6과 같이 블록 돌기(52)의 후방쪽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시동키를 ON의 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실린더 블록(53)이 블록 돌기(52)의 후방쪽 공간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케이블 블록(51)은 가이드홈(41a)을 따라 차체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아울러 P 레인지 홈(2a)에 위치하고 있는 변속레버(3)를 P 레인지 진입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P 레인지 홈(2a)에 위치하고 있는 변속레버(3)를 도 7과 같이 P 레인지 진입위치(P-1)로 이동시키면, 록킹 플레이트(10)는 변속레버(3)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이드홈(4)을 따라 도 7과 같이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키 인터 록 캠(20)은 록킹 플레이트(10)의 M1의 방향 이동에 의해 캠 돌기(23)가 슬롯 홀(13a)을 따라 하단 끝에서 상단 끝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의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키 인터 록 캠(20)이 회전하면 키 인터 록 케이블(31)이 상기 키 인터 록 캠(20)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케이블 블록(51)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이드홈(41a)을 따라 차체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블록 돌 기(52)의 후방쪽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상기 실린더 블록(53)의 측면(53b)은 상기 블록 돌기(52)의 측면과 일정거리로 떨어져서 중첩을 이룬 상태가 된다.
변속레버(3)가 P 레인지 진입위치(P-1)로 이동하면, 록킹 플레이트(10)의 레버홈(12a)은 R 레인지 홈(2b)과 연결된 상태가 되며, 이때부터 상기 변속레버(3)는 레인지 홈(2)을 따라 R 레인지 홈(2b) → N 레인지 홈(2c) → D 레인지 홈(2d)으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LOCK의 위치에 있던 시동키를 회전시켜 ON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P 레인지 진입위치(P-1), R 레인지 홈(2b), N 레인지 홈(2c), D 레인지 홈(2d)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위치하고 있던 변속레버(3)를 P 레인지 홈(2a)으로 위치시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키홈으로부터 탈거할 수 없게 된다.
즉, 시동키가 ON의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변속레버(3)가 P 레인지 진입위치(P-1), R 레인지 홈(2b), N 레인지 홈(2c), D 레인지 홈(2d)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위치하고 있으면, 실린더 블록(53)은 블록 돌기(52)의 후방쪽 공간으로부터 벗어나서 실린더 블록(53)의 측면(53b)과 블록 돌기(52)의 측면은 서로 마주 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ON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시동키를 ACC의 위치나 또는 LOCK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더라도, 실린더 블록(53)의 측면(53b)이 블록 돌기(52)의 측면과 접촉하여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에, 시동키는 ON의 위치에서 ACC의 위치나 또는 LOCK의 위치로 위치할 수 없게 되고, 이 결과 시동키를 키홈으로부터 탈거할 수 없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계적인 구조를 통해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에만 P(파킹) 레인지 홈(2a)에 삽입된 상태의 변속레버(3)를 다른 레인지(R 레인지, N 레인지, D 레인지)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한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과, 변속레버(3)가 P(파킹) 레인지 홈(2a)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만 이그니션 록 실린더(42)의 키홈으로부터 시동키를 탈거할 수 있는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키 인터 록 시스템은, 지금까지 널리 사용하고 있는 전자적 장치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작동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한편, P 레인지 홈(2a) 이외의 레이지 홈(2b,2c,2d)에 위치하고 있던 변속레버(3)를 도 7과 같이 P 레인지 진입위치(P-1)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P 레인지 홈(2a)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변속레버(3)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록킹 플레이트(10)는 도 7의 상태에서 가이드홈(4)을 따라 도시된 화살표 M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10)가 도 7의 상태에서 도 1의 상태로 이동함에 의해 도 7과 같이 슬롯 홀(13a)의 상단 끝에 위치하고 있던 캠 돌기(23)는 도 1과 같이 상기 슬롯 홀(13a)의 하단 끝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캠 돌기(23)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키 인터록 캠(20)은 도 7의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반 시계방향) 으로 회전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키 인터록 캠(20)이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이드홈(41a)을 따라 한쪽 끝으로 이동하여 차체의 전방쪽에 위치하고 있던 케이블 블록(5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홈(41a)을 따라 반대쪽 끝으로 이동하여 운전석쪽으로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기 케이블 블록(51)이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홈(41a)을 따라 반대쪽 끝으로 이동하여 운전석쪽으로 위치한 상태가 되면, 실린더 블록(53)이 블록 돌기(52)의 후방쪽 공간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ON → ACC → LOCK의 위치로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되며, LOCK의 위치에서 상기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상기 키홈으로부터 원활히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 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키 인터 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록킹 플레이트 및 키 인터 록 캠의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키 인터 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그니션 록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키 인터 록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속레버 하우징 2 - 레인지 홈
3 - 변속레버 10 - 록킹 플레이트
20 - 키 인터 록 캠 31 - 키 인터 록 케이블
40 - 이그니션 록 스위치

Claims (5)

  1. 변속레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키 인터 록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된 키 인터 록 캠과;
    상기 키 인터 록 캠과 결합되는 슬롯 홀 및 변속레버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레버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키 인터 록 케이블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이그니션 록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속으로 돌출되는 록킹 돌기를 구비한 케이블 블록과;
    이그니션 록 실린더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록킹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케이블 블록의 직선 이동을 구속하거나 또는 상기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회전을 구속하는 실린더 블록;
    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인터 록 캠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키 인터 록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돌기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상기 슬롯 홀로 삽입되는 캠 돌기;
    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 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윗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 형성된 레인지 홈 중 P 레인지 홈에서 차체의 전방으로 이격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윗면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며, 타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반대쪽 측면을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플레이트 돌기부와;
    상기 플레이트 돌기부로부터 상기 레인지 홈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변속레버가 삽입되는 레버홈이 상기 레인지 홈의 길이방향 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플레이트 몸체부와;
    상기 플레이트 돌기부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캠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슬롯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
    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 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감겨져서 일단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키 인터 록 캠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키 인터 록 캠의 자유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KR1020080072180A 2008-07-24 2008-07-24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KR10092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80A KR100925933B1 (ko) 2008-07-24 2008-07-24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AU2009202884A AU2009202884B2 (en) 2008-07-24 2009-07-17 Key interlock system of vehicle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CA2673090A CA2673090C (en) 2008-07-24 2009-07-17 Key interlock system of vehicle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TW098124631A TWI364371B (en) 2008-07-24 2009-07-21 Key interlock system of vehicle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US12/507,540 US8075446B2 (en) 2008-07-24 2009-07-22 Key interlock system of vehicle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80A KR100925933B1 (ko) 2008-07-24 2008-07-24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933B1 true KR100925933B1 (ko) 2009-11-09

Family

ID=4156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180A KR100925933B1 (ko) 2008-07-24 2008-07-24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5446B2 (ko)
KR (1) KR100925933B1 (ko)
AU (1) AU2009202884B2 (ko)
CA (1) CA2673090C (ko)
TW (1) TWI36437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70B1 (ko) * 2009-12-01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CN107639642A (zh) * 2017-10-31 2018-01-30 广州市明道灯光科技股份有限公司 握手式逻辑执行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2929B2 (en) 2013-01-23 2015-10-06 Splunk Inc. Real time display of statistics and values for selected regular expressions
CN104896087A (zh) * 2015-06-02 2015-09-09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可实现主副箱互锁保护的车用变速器
FR3080339A1 (fr) * 2018-04-11 2019-10-25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Italy S.R.L. Commutateur d'allumage de vé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allumage muni d'un tel commutateur d'allum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81B1 (ko) * 1987-11-04 1992-07-06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차량용 셀렉터 레버 장치
JP2000038045A (ja) 1998-07-24 2000-02-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0127793A (ja) 1998-10-22 2000-05-0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01841B1 (ko) 2000-12-26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65A (en) * 1896-09-08 Thomas galligan
US4986143A (en) * 1987-12-24 1991-01-22 Spar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with park lock
ES2046642T3 (es) * 1989-12-01 1994-02-01 Audi Ag Dispositivo para el enclavamiento de la palanca de seleccion para un vehiculo automovil con caja de velocidades automatica.
DE4225182A1 (de) * 1992-07-30 1994-02-03 Porsche A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s Zündschlüssels eines Kraftfahrzeuges mit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kgetriebes
ES2120321B1 (es) * 1995-02-23 1999-05-01 Fico Triad Sa Dispositivo de bloqueo de la palanca del cambio de velocidades automatico de vehiculos automoviles.
JP3701739B2 (ja) 1995-11-07 2005-10-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9267717A (ja) 1996-03-29 1997-10-14 Suzuki Motor Corp 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JP3930109B2 (ja) 1997-07-30 2007-06-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JP3840330B2 (ja) * 1998-02-10 2006-11-0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938822B2 (ja) 1999-07-07 2007-06-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697814B1 (ko) * 2000-09-19 2007-03-20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시프트록 유니트
JP4782948B2 (ja) * 2001-06-29 2011-09-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US7393304B2 (en) * 2003-05-15 2008-07-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gear position indicator
US7270623B2 (en) * 2005-03-31 2007-09-18 Dura Glab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assembly with integrated ignition actu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81B1 (ko) * 1987-11-04 1992-07-06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차량용 셀렉터 레버 장치
JP2000038045A (ja) 1998-07-24 2000-02-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0127793A (ja) 1998-10-22 2000-05-0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01841B1 (ko) 2000-12-26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70B1 (ko) * 2009-12-01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US8225632B2 (en) 2009-12-01 2012-07-24 Hyundai Motor Company Key interlock device for vehicle
CN107639642A (zh) * 2017-10-31 2018-01-30 广州市明道灯光科技股份有限公司 握手式逻辑执行机构
CN107639642B (zh) * 2017-10-31 2023-11-17 广州市明道文化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握手式逻辑执行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02884B2 (en) 2011-03-03
AU2009202884A1 (en) 2010-02-11
TWI364371B (en) 2012-05-21
CA2673090A1 (en) 2010-01-24
US20100022349A1 (en) 2010-01-28
US8075446B2 (en) 2011-12-13
TW201006697A (en) 2010-02-16
CA2673090C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1123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US9410614B2 (en) Shift oper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92593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키 인터 록 시스템
JP5142285B2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変速レバーロック装置
US4854193A (en)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EP3199842A1 (en) Lock assembly for shifter
US8789676B2 (en) Emergency release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7591757B2 (en) Shift lever device
AU2005288752B2 (en) Ignition key switch mechanism
JP2009096311A (ja) 車両の盗難防止構造
CN108237911B (zh) 换挡装置
KR20090103660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잠금장치
KR20180070193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시프트락 시스템
KR100401841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KR100591304B1 (ko)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
JP2000097336A (ja) 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506994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US7559874B2 (en) Vehicle shift module
KR101063236B1 (ko) 자동변속 차량의 시동 키 인터록 케이블 작동구조
KR100931131B1 (ko) 게이트형 변속레버의 키 인터록장치
JP2535721Y2 (ja) 自動変速機装着車のキーおよびセレクタレバー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005075313A (ja) 自動車用セレクタレバーロック装置
JP2008001262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00019689U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JPH092091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