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186B1 - 슬러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슬러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186B1
KR100668186B1 KR1020060008192A KR20060008192A KR100668186B1 KR 100668186 B1 KR100668186 B1 KR 100668186B1 KR 1020060008192 A KR1020060008192 A KR 1020060008192A KR 20060008192 A KR20060008192 A KR 20060008192A KR 100668186 B1 KR100668186 B1 KR 10066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nozzle
pipe
abrasiv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073A (ko
Inventor
아키히로 다노우에
요시하루 히다카
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0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2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for feeding of fluid, sprayed, pulverised, or liquefied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P 장치로 공급되는 슬러리의 응집으로 인한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슬러리 공급장치(A)는 밀폐된 슬러리 용기(1, 2)와, 배관 계통(3)과, 습성 질소 생성 장치(4)와, 습성 질소 공급용 배관(5)과, 흡인 노즐(13a, 13c)과, 분출 노즐(13b, 13d)과, 온도 조절기(12)와, 유량 조절 밸브(7a∼7j, 7x)와, 송액 펌프(9a, 9b)와, 각 송액 펌프(9a, 9b)의 운전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10)를 구비하고 있다. CMP 장치에 의한 연마 중에는 송액 펌프(9a, 9b)를 상시 운전시키는 한편, CMP 장치가 대기 상태일 때는 송액 펌프(9a, 9b)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교대 운전/정지를 실행하는 간헐 운전을 행하게 한다. 슬러리 용기(1, 2) 내에는 프로펠러 등의 교반 기구를 배치하지 않고, 분출 노즐(13b, 13d)로부터 슬러리(30)를 분출시켜 슬러리(30)를 교반한다.
CMP장치, 슬러리, 상시운전, 간헐운전

Description

슬러리 공급장치{APPARATUS FOR FEEDING SLUR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 공급장치 및 CMP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각각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 전과 교반 후에 있어서의 연마 입자의 입경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대기 상태에서 펌프를 상시 운전시켰을 경우와 간헐 운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연마 입자의 메디안 경의 변화를 도시한 데이터.
도 4는 종래의 슬러리 용기의 상부와 중간부 및 저부에서 채취한 슬러리의 거대화 입자의 수와 미세 긁힘 수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슬러리 용기와 흡인 노즐 및 분출 노즐과의 형상이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각각 본 실시예의 흡인 노즐과 종래의 흡인 노즐의 선단면 형상의 상이에 따른 흡인 영역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웨이퍼의 연마율의 슬러리 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도시한 특성도.
도 8은 종래의 연마제 공급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자들이 실시한 실험 결과로서, 고형분 농도가 서로 다른 2종 류의 슬러리의 연마율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10은 이제까지 일반적으로 종래의 슬러리 공급장치에 있어서 연마제가 흐르는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슬러리 용기 3 : 배관 계통
3a, 3c : 송출측 분기배관 3b, 3d : 복귀측 분기배관
3e : 송출측 합류배관 3f : 복귀측 합류배관
3g, 3i : 입구측 분기배관 3h, 3j : 출구측 분기배관
3k : 입구측 합류배관 3l : 출구측 합류배관
3x : 슬러리 공급용 배관 3z : 열교환 코일
4 : 습성 질소 생성 장치 5 : 습성 질소 공급용 배관
6 : CMP 장치 7a∼7j, 7x : 유량 조절 밸브
8a∼8f : 샘플링 포트 9a, 9b : 펌프
10 : 제어계 11a∼11d : 높이 조절 기구
12 : 온도 조절기 13a, 13c : 흡인 노즐
13b, 13d : 분출 노즐 15a∼15f : 밸브
본 발명은 기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슬러리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판 상에 트랜지스터 등을 형성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층간 절연막의 평탄화 등의 목적으로, 연마 입자로서의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나 콜로이드 실리카를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성 용액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이용한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를 실시하여 기판 평탄도를 높게 유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일특개평 10-15822호 공보에 개시된 연마제 공급장치(이하 슬러리 공급장치라 함)(F1)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공급장치(F1)는 연마 슬러리인 연마제(109)가 저류되어 있는 탱크(101)와, 탱크(101)로부터 연마장치로 슬러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102)와, 공급로(102)에 개설된 펌프(104)와, 공급로(102)의 펌프(104) 하류 측에 개설된 유량 조정용 밸브(103)와, 공급로(102)의 선단에 설치되어 CMP 장치의 연마 패드에 연마제(109)를 적하하기 위한 공급 노즐(110)과, 연마제(109)를 교반하기 위한 프로펠러를 갖는 교반기(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급로(102)의 밸브(103) 상류 측에서 분기된 순환로(105)가 설치되어 있으며, 순환로(105)로부터 탱크(101)로 연마제(109)를 복귀시켜 연마제가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101) 내의 연마제(109) 온도는 히터(107)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히터(107)의 온도는 히터 온도 제어부(108)에 의하여 제어된다. 연마 시에는 밸브(103)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펌프(104)에 의하여 탱크(101)로부터 빨아 올린 연마제(109) 중 소정량을 공급 노즐(110)로부터 연마 패드로 공급하는 동시에, 나머지 연마제(109)를 순환로(105)를 통해 탱크(101)로 복귀시킨다. 한편 비연마 시에는 밸브(103)를 폐쇄하여 연마제(109)의 전량을 탱크(101)로 복귀시킴으로써 연마제(109)의 순환만을 행하게 한다.
그런데 콜로이드 실리카의 경우 1차 입자는 미세한 입경(20∼30㎚)을 갖는데 각 실리카의 1차 입자가 어느 정도 응집하여 입경 100∼200㎚의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흄드 실리카의 경우는 제조시부터 100∼200㎚의 입경을 갖고 있다. 이 입경 100∼200㎚의 2차 입자가 실제 연마 작용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연마 입자의 응집이 지나치게 과속화되어 500㎚ 정도를 넘도록 연마 입자가 커지면 피연마물에 미세 긁힘(micro scratch)이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 종래의 슬러리 공급장치(F1)에서는 슬러리인 연마제(109)를 상시 순환시키면서 프로펠러에 의하여 교반시킴으로써 연마제의 침강과 응집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10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슬러리 공급장치의 연마제가 흐르는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코너부와 직선부에 각종 형상의 조인트를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배관을 실현하고 슬러리 공급장치 내의 배관 면적 저감과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연마 입자의 응집이 지나치게 과속화되어, 예를 들어 500㎚ 정도를 넘도록 연마 입자의 입경이 커지면 피연마물에 미세 긁힘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연마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도 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자들이 실시한 실험 결과로서, 고형분 농도가 다른 슬러리 1과 슬러리 2의 연마율 차이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1은 슬러리 2보다 고형분 농도가 1% 작을 뿐인데 연마율은 크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형분 농도의 저하는, 연마 입자의 거대화에 따라 탱크 내에 침강되는 것 등으로 인하여 생기며,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억제하는 것은 연마율 적정화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러리 공급장치에서는 연마 입자 응집의 저감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01) 내에서 프로펠러를 갖는 교반기(106)로 교반하고 있지만 그것으로도 슬러리 중 연마 입자의 거대화가 별로 개선되지 않았음이 판명되었다.
둘째로, 슬러리 공급장치(F1)의 배관 계통에 있어서 많은 조인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내에서 2개의 배관이 접속되는 영역(Rg)에 있어서는 배관과 배관 사이의 틈이나 단차가 많이 있어, 이 부분에 슬러리의 정체가 발생함으로써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가속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로는, 탱크(101) 내 액면 위치의 변화에 따라 탱크(101) 내벽에 슬러리의 고형물이 부착되고, 한번 부착된 고형물이 탱크(101) 내로 부수러져 떨어지는 것으로도 거대 입자의 증대를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마 입자의 거대화가 가속됨으로써 피연마물에서 미세 긁힘 발생이나, 연마율의 저하와 불안정화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내에서의 슬러리 교반 방법이나 슬러리의 순환 방법의 개선, 배관 내부의 단차와 틈 저감, 슬러리 고형물의 탱크 내벽으로의 부착 억제 등을 도모함으로써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억제하고, 이로써 피연마물에서의 미세 긁힘의 저감과 연마율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러리 공급장치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에 대하여 연마제인 슬러리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리 공급장치로, 슬러리를 저류하기 위한 밀폐된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슬러리를 흡인하기 위한 제 1 노즐과, 상기 용기로 슬러리를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노즐과, 상기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에 슬러리를 적하하기 위한 제 3 노즐과, 상기 제 1 노즐 및 제 3 노즐에 접속되고, 슬러리를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노즐 및 상기 제 1 배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배관을 흐르는 슬러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3 노즐로부터 우회시켜 상기 제 2 노즐로 되돌리기 위한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을 흐르는 슬러리의 상기 제 3 노즐과 상기 제 2 배관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와,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배관에 개설되고, 슬러리를 강제로 보내기 위한 펌프와, 외부로부터 습성 분위기의 가스를 공급하는 습성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용기 내가 습한 상태로 되므로 용기 내의 액면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내벽에서의 슬러리 고형물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 공급장치(A) 및 CMP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 공급장치(A)는 내부가 밀폐된 2개의 슬러리 용기(1, 2)와, 각 슬러리 용기(1, 2)로부터 CMP 장치(6)까지 뻗는 배관 계통(3)과, 각 슬러리 용기(1, 2)로 공급되는 습기가 포함된 질소(습성 질소)를 생성하기 위한 습성 질소 생성 장치(4)와, 습성 질소 생성 장치(4)로부터의 습성 질소를 각 슬러리 용기(1, 2)로 공급하기 위한 습성 질소 공급용 배관(5)과, 습성 질소 생성 장치(4)로 질소와 탈이온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배관(41, 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슬러리 용기(1, 2) 내에는 슬러리(30)를 슬러리 용기(1, 2)로부터 흡인하여 배관 계통으로 내보내기 위한 흡인 노즐(13a, 13c)과, 슬러리(30)를 슬러리 용기(1, 2)로 분출하면서 복귀하기 위한 분출 노즐(13b, 13d)이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노즐(13a∼13d)로부터 배관 계통(3)의 각 배관(3a∼3d)이 각각 뻗어 있다. 즉, 각 흡인 노즐(13a, 13c)에는 송출측 분기 배관(3a, 3c)이 연결되어 있고 각 분출 노즐(13b, 13d)에는 복귀측 분기 배관(3b, 3d)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송출측 분기 배관(3a, 3c)이 하나로 통합되어 송출측 합류 배관(3e)이 되고, 이 합류 배관(3e)으로부터 CMP 장치(6)까지 뻗는 슬러리 공급용 배관(3x)과, 공급측 합류 배관(3e)으로부터 슬러리 공급용 배관(3x)으로 흐르지 않았던 나머지 슬러리(30)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측 합류 배관(3f)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귀측 분기 배관(3b, 3d)은 복귀측 합류 배관(3f)으로부터 각각 슬러리 용기(1, 2)를 향하여 분기되어 있다.
또한 슬러리 공급장치(A)에는 슬러리(3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히터 및 쿨러를 갖는 온도 조절기(12)와, 온도 조절기(12) 내에 배설된 열교환 코일(3z)을 구비하고 있다. 또 송출측 분기 배관(3a, 3c)에서는 열교환 코일(3z)로 슬러리를 흐르게 하기 위한 입구측 분기 배관(3g, 3i)이 각각 분기되어 있으며, 각 입구측 분기 배관(3g, 3i)이 하나로 통합되어 입구측 합류 배관(3k)이 된 후, 열교환 코일(3z)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열교환 코일(3z)의 출구에서는, 출구측 합류 배관(31)이 뻗어 있으며, 이는 출구측 분기 배관(3h, 3j)으로 분기된 후 복귀측 분기 배관(3b, 3d)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배관에는 각각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7a∼7j, 7x)가 개설(介設)되어 있다.
또한 복귀측 분기 배관(3b, 3d)에는 송액 펌프(9a, 9b)가 개설되어 있고 이 송액 펌프(9a, 9b)에 의하여 슬러리(30)를 각 슬러리 용기(1, 2)의 저면 측으로 분출하고 있다.
또 각 송액 펌프(9a, 9b)의 운전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10)가 설치되어 있으며, CMP 장치에 의한 연마 중에는 슬러리(30)를 상시 순환시키기 위하 여 송액 펌프(9a, 9b)를 상시 운전시키는 한편, CMP 장치가 대기 상태일 때는 송액 펌프(9a, 9b)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운전과 정지를 번갈아 시키는 간헐 운전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일 때는 1시간에 5분간 정도의 비율로 송액 펌프(9a, 9b)를 운전시켜 슬러리(30)를 순환시키고 있다.
또한 각 슬러리 용기(1, 2)에는 슬러리를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 포트(8a∼8c, 8d∼8f)가 부설되어 있고, 각 샘플링 포트(8a∼8c, 8d∼8f)에는 밸브(15a∼15c, 15d∼15f)가 각각 개설되어 있다. 즉 슬러리(30) 중의 연마 입자의 입경 분포 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슬러리 용기(1, 2)의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의 샘플링 포트(8a∼8c, 8d∼8f)로부터 수시로 슬러리(30)를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높이 조정기구(11a∼11d)에 의하여 흡인 노즐(13a, 13c) 및 분출 노즐(13b, 13d)의 높이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CMP 장치(6)는 연마 정반(定盤)(62)과, 연마 정반(6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측 회전축(61)과, 연마 정반(62) 상에 부착된 폴리우레탄제 연마 패드(63)와, 캐리어(65)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상측 회전축(64)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65)에 피연마물인 웨이퍼(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러리 공급용 배관(3x)으로 이어지는 선단 노즐로부터 연마 패드(63)로 슬러리를 적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 공급장치(A)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중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교반 방법-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용기(1, 2) 내에 프로펠러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고 분출 노즐(13b, 13d)에서의 슬러리(30) 분출에 의하여 슬러리(30)를 교반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에 기초한 개량점이다.
도 2의 (a), (b)는 각각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 전과 교반 후의 연마 입자의 입경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 전 연마 입자의 입경은 0.06∼0.3㎛ 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이에 비해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 후 연마 입자의 입경은 0.06∼4㎛ 범위에 분포하고 있어, 500㎚ 이상의 입경을 갖는 연마 입자가 증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마 입자와 프로펠러의 충돌 시 연마 입자의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적 입체 구조가 흐트러지는 등 실리카의 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프로펠러 주변의 국부적 에너지 발생의 영향으로 연마 입자끼리 충돌함으로써 연마 입자가 응집하여 침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같이 펌프(9a, 9b)의 순환 압력에 의하여 슬러리(30)를 분출시켜 슬러리(30)를 교반함으로써 슬러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높이위치 조정기구(11b, 11d)로 분출 노즐(13b, 13d)의 높이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러리 용기(1, 2) 내의 슬러리(30) 교반 작용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분출 노즐(13b, 13d)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슬러리 용기(1, 2) 내에 있어서 1개의 분출 노즐(13b, 13d)만 도시되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교반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반 작용을 한층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출 노즐(13b, 13d)의 높이위치는 슬러리 용기(1, 2) 밑면으로부터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출 노즐(13b, 13d)의 선단 부분을 더 작게 조임으로써 슬러리(30)의 분출 속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교반 작용도 향상된다.
-간헐 운전-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은, 펌프(9a, 9b)의 압력을 이용한 슬러리(30) 분출에 의한 교반 방식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응집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CMP 장치(6)의 웨이퍼 연마 중 또는 비연마시(대기 상태)에 있어서도 펌프(9a, 9b)의 순환 압력의 영향으로 연마 입자끼리 충돌하여, 연마 입자의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적 입체 구조가 흐트러져 입자가 응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교반을 전혀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슬러리 용기(1, 2) 내에서 슬러리의 침강이 발생하므로 고형분 농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고른 연마를 행할 수 없게 된다. 이 현상은 슬러리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48∼72시간정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대기 상태일 때 슬러리의 교반을 전혀 행하지 않으면, 48∼72시간마다 슬러리(30)를 교환할 필요가 생겨 연마 작업의 지장을 초래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계(10)에 의하여 펌프(9a, 9b)를 간헐적으로 운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있다. 즉 CMP 장치(6)에 의한 연마 중에는, 펌프(9a, 9b)를 상시 운전시켜 슬러리(30)의 순환과 분출에 의한 교반을 상시 행하고 있지만 비연마시 즉 대기 상태일 때는, 펌프(9a, 9b)를 간헐적으로 운전시켜 슬러리(30)의 순 환과 교반을 간헐적으로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기 상태에서 1시간에 5분 정도만 펌프(9a, 9b)를 운전시키고 있다.
도 3은 대기 상태에서도 펌프(9a, 9b)를 상시 운전시켰을 경우와, 대기 상태에서 펌프(9a, 9b)를 간헐적으로 운전시켰을 경우의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연마 입자의 메디안 경의 변화를 도시한 데이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 운전의 경우에는 메디안 경이 바로 0.3㎛정도에 달하는 반면, 간헐 운전의 경우 메디안 경은 0.15㎛ 전후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슬러리 순환용 펌프(9a, 9b)를 간헐 운전시킴으로써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연마 입자의 거대화로 인한 슬러리(30)의 수명이, 슬러리의 순환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면 순환을 필요한 시간만큼만 행한다는 방식이기도 한다.
하기의 표 1은 종래의 교반 방법과 본 발명의 교반 방법에 대하여, 슬러리 용기의 상부와 중간부 및 저부에서 채취한 슬러리 30㎕ 중 거대화 입자(입경이 500㎚ 이상) 수와, 각 부분의 슬러리를 이용하여 CMP를 실시했을 때의 피연마물(웨이퍼) 상의 미세 긁힘 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 방법의 경우, 상부에는 거대화된 연마 입자수가 적지만, 중간부 및 저부에는 거대화된 연마 입자수가 매우 많고 불균일한 분포 상태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반 방법에 의하면, 슬러리 용기(1, 2)의 상부와 중간부 및 저부에 있어서 거대화된 연마 입자수가 저감되는 동시에 균일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6006202628-pat00001
-노즐 높이-
도 4는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 침전된 슬러리는 거대화된 연마 입자 수가 특히 많으며, 이를 이용하여 CMP를 실시하였을 때의 미세 긁힘 수도 거의 이에 비례하여 많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 용기(1)와 각 노즐(13a, 13b)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단 도 1에 도시한 다른 쪽의 슬러리 용기(2) 및 각 노즐(13c, 13d)도 도 5에 도시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을 행하지 않으므로 슬러리 용기(1, 2) 저부에 거대화된 연마 입자의 침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응집된 실리카 입자의 혼입이나 슬러리(30)의 침전이 교반 전부터 발생해 있을 가능성은 있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대화된 연마 입자가 침강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슬러리 용기(1, 2) 저부로부터는, 슬러리를 흡인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슬러리 용기(1, 2) 밑면으로부터 3㎝ 이상의 높이위치에는 거대화된 연마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슬러리(30a)가 존재하고, 슬러리 용기(1, 2) 밑면으로부터 3㎝ 미만의 높이위치에는 거대화된 연마 입자를 많이 포함하는 침강된 슬러리(30b)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슬러리 용기(1, 2) 밑면으로부터 5㎝ 미만의 높이위치에서는 슬러리를 흡인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거대화된 연마 입자가 CMP 장치로 보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노즐 높이위치 조정기구(11a, 11b)에 의하여 흡인 노즐(13a, 13c)의 높이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더 한층 현저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노즐의 형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노즐(13a)은 선단이 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절단된 타원형의 단면(端面) 형상을 가지며, 분출 노즐(13b)은 선단이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흡인 노즐(13a)과 종래의 흡인 노즐의 선단면 형상의 차이에 따른 흡인 영역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된 종래의 흡인 노즐에는, 주로 슬러리 용기 저부 부근으로부터 슬러리가 흡인되므로 슬러리 용기 저부에 정체되기 쉬운 거대화된 연마 입자도 흡인되어 CMP 장치로 보내지는 결과, 피연마물의 미세 긁힘의 증대나 연마율의 저하 등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인 노즐(13a)이 비스듬히 절단된 선단면을 갖고 있음으로 슬러리 용기(1) 저부에 정체하기 쉬운 거대화된 연마 입자의 도입을 억제할 수 있어 피연마물(웨이퍼(66))의 미세 긁힘의 발생이나 연마율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단 흡인 노즐(13a, 13c)의 선단을 봉쇄해 놓고 원통면에 복수의 개구를 설치하여, 이 복수의 개구로부터 슬러리(30)를 흡인하도록 해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배관의 접속 구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배관 계통(3)의 배관 접속부에는 조인트를 설치하지 않고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고 있다. 합류 배관과 분기 배관의 접속부와, 용기와 배관의 접속부도 용접에 의하여 접속한다. 뿐만 아니라 배관 코너부의 형상은,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이 5㎝의 곡선 형상으로 하여 슬러리(30)의 고임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슬러리(30)의 유통로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직선부나 곡선부에 사용되고 있던 조인트 내의 단차나 틈을 없애, 슬러리(30)의 정체에 기인하여 거대화된 연마 입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슬러리의 온도 제어-
*도 7은 웨이퍼 연마율의 슬러리 온도 의존성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연마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지만, 슬러리 온도 20∼26℃의 범위에서 연마율이 그다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온도 조절기(12)에 의하여 슬러리(30)의 일부를 순환 경로로부터 분류시켜 온도 조절을 함으로써 연마율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슬러리 용기의 구조-
본 실시예의 슬러리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슬러리 용기(1, 2)가 밀폐되고 동시에 내부가 습성 질소로 가득 차 있으므로, 슬러리 용기(1, 2) 내부에서 슬러리의 고형화가 억제된다. 즉 슬러리 용기(1, 2) 내에서는 증발된 NH4OH나 습성 질소에 의하여 슬러리 용기(1, 2) 내의 습도를 95% 이상으로 높이고 있다. 따라서 슬러리 용기(1, 2) 내의 액면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슬러리 용기(1, 2) 내벽에서 슬러리 고형물질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샘플링 포트의 설치-
또한 슬러리(30) 구조의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슬러리 용기(1, 2)에 각각 샘플링 포트(8a∼8c, 8d∼8f)를 설치해 놓았으므로, 슬러리 수명이 다하는 시점의 정확한 판단이나 이상상태 발생시의 비정상 상태 해소를 위한 조치, 그리고 이상상태로 돌입하기 전 상태의 검지에 따른 이상상태 발생의 저지 등이 가능해져, CMP 작업을 안정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연마 입자로서 실리카가 널리 이용되고 있어,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를 실시예로서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분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연마 재료도 실리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반도체 결정체로부터 반도체 웨이퍼를 제조할 때나 반도체 이외의 웨이퍼 제조 시나, 반도체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 제조공정 중의 CMP 및 CMP 이외의 연마 방식에서 슬러리 상태의 연마재를 사용 시에, 응집으로 인한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리카 이외의 연마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세륨이나 알루미나, 산화 망간 등을 이용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공급장치 또는 슬러리 공급방법에 의하면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로 연마제를 공급할 때, 대기 상태에서의 연마제 순환을 간헐적으로 행하거나 용기 내의 슬러리 교반을 슬러리의 분사만으로 행하는 등, 연마제 중의 연마 입자의 응집을 촉진시키는 원인을 규명하여 그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연마 입자의 거대화를 억제하고, 이로써 피연마물에서의 미세 긁힘 발생을 억제하여 연마율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에 대하여 연마제인 슬러리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리 공급장치로,
    슬러리를 저류하기 위한 밀폐된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슬러리를 흡인하기 위한 제 1 노즐과,
    상기 용기로 슬러리를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노즐과,
    상기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에 슬러리를 적하하기 위한 제 3 노즐과,
    상기 제 1 노즐 및 제 3 노즐에 접속되고, 슬러리를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노즐 및 상기 제 1 배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배관을 흐르는 슬러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3 노즐로부터 우회시켜서 상기 제 2 노즐로 되돌리기 위한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을 흐르는 슬러리의 상기 제 3 노즐과 상기 제 2 배관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와,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배관에 개설되고, 슬러리를 강제로 보내기 위한 펌프와,
    외부로부터 습성 분위기의 가스를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습성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공급장치.
KR1020060008192A 1998-11-24 2006-01-26 슬러리 공급장치 KR100668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63498A JP3538042B2 (ja) 1998-11-24 1998-11-24 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スラリー供給方法
JPJP-P-1998-00332634 1998-11-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20A Division KR100611830B1 (ko) 1998-11-24 1999-11-24 슬러리 공급 장치 및 슬러리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073A KR20060030073A (ko) 2006-04-07
KR100668186B1 true KR100668186B1 (ko) 2007-01-11

Family

ID=182571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20A KR100611830B1 (ko) 1998-11-24 1999-11-24 슬러리 공급 장치 및 슬러리 공급방법
KR1020060008185A KR100603672B1 (ko) 1998-11-24 2006-01-26 슬러리 공급장치
KR1020060008192A KR100668186B1 (ko) 1998-11-24 2006-01-26 슬러리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20A KR100611830B1 (ko) 1998-11-24 1999-11-24 슬러리 공급 장치 및 슬러리 공급방법
KR1020060008185A KR100603672B1 (ko) 1998-11-24 2006-01-26 슬러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7) US6319099B1 (ko)
JP (1) JP3538042B2 (ko)
KR (3) KR100611830B1 (ko)
TW (1) TW4369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042B2 (ja) * 1998-11-24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スラリー供給方法
JP3426149B2 (ja) * 1998-12-25 2003-07-1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製造における研磨廃液再利用方法及び再利用装置
US20030010792A1 (en) 1998-12-30 2003-01-16 Randy Forshey Chemical mix an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100454120B1 (ko) * 2001-11-12 2004-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학적 기계적 연마 장비의 슬러리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428787B1 (ko) * 2001-11-28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러리 저장 유니트 및 사용점에서의 혼합 유니트를 갖는슬러리 공급장치
US6464562B1 (en) * 2001-12-19 2002-10-15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itu monitoring slurry flow rate dur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JP4004795B2 (ja) * 2001-12-28 2007-11-07 松下環境空調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研磨用流体の供給装置
US6884145B2 (en) * 2002-11-22 2005-04-26 Samsung Austin Semiconductor, L.P. High selectivity slurry delivery system
KR100570371B1 (ko) * 2002-12-30 2006-04-11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슬러리 유량 제어 장치 및 방법
EP1627431A1 (de) * 2003-05-27 2006-02-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Bidirektionaler schalter und verwendung des schalters
US20040266192A1 (en) * 2003-06-30 2004-12-30 Lam Research Corporation Application of heated slurry for CMP
CA2455011C (en) 2004-01-09 2011-04-05 Suncor Energy Inc. Bituminous froth inline steam injection processing
SG118271A1 (en) * 2004-06-11 2006-01-27 Jetsis Int Pte Ltd Uninterrupted abrasive fluid supply
US7040970B2 (en) * 2004-07-15 2006-05-09 Lam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polishing fluid
CA2476194C (en) * 2004-07-30 2010-06-22 Suncor Energy Inc. Sizing roller screen ore processing apparatus
US7427227B2 (en) * 2005-08-30 2008-09-23 Den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polishing
DE602005014021D1 (de) * 2005-10-25 2009-05-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erfahren zur ausprüfung einer bei der herstellung einer halbleitervorrichtung verwendeten aufschlämmung
US8393561B2 (en) 2005-11-09 2013-03-12 Suncor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slurry
JPWO2007097046A1 (ja) * 2006-02-24 2009-07-09 株式会社Ihi回転機械 シリコン粒子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268678A (ja) * 2006-03-31 2007-10-18 Elpida Memory Inc 研磨装置及び研磨装置の制御方法
DE102006056623A1 (de) * 2006-11-30 2008-06-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Verfahren und System zum Steuern des chemisch-mechanischen Polierens durch steuerbares Bewegen eines Schleifmittelauslasses
EP2155373A4 (en) * 2007-05-09 2014-10-22 Foresight Proc Llc SYSTEMS AND METHOD FOR THE MIXTURE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KR100893109B1 (ko) * 2007-08-13 2009-04-10 플러스테크주식회사 슬러리 연속 공급장치 및 그 방법
US7828625B2 (en) * 2007-10-30 2010-11-0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supplying polishing liquid
EP2223332A4 (en) * 2007-12-06 2012-07-11 Foresight Proc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OMBINATIONS OF TREATMENT MATERIAL CONTAINING FLUID
CA2640514A1 (en) 2008-09-18 2010-03-18 Kyle Alan Bruggenca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re feed
KR100985861B1 (ko) * 2008-09-24 2010-10-08 씨앤지하이테크 주식회사 반도체용 슬러리 공급장치 및 슬러리 공급방법
US8297830B2 (en) 2009-03-04 2012-10-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lurry system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DE102009047926A1 (de) * 2009-10-01 2011-04-14 Siltronic Ag Verfahren zum Polieren von Halbleiterscheiben
CN102528653B (zh) * 2010-12-30 2014-11-0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固定式颗粒研磨装置及其研磨方法
US20120289134A1 (en) * 2011-05-13 2012-11-15 Li-Chung Liu Cmp slurry mix and delivery system
US8696404B2 (en) * 2011-12-21 2014-04-15 WD Media, LLC Systems for recycling slurry materials during polishing processes
JP2014130673A (ja) * 2012-11-30 2014-07-10 Hoya Corp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EP2968578B1 (en) * 2013-03-12 2019-06-26 Hercules LLC Coprocessed silica coated polymer composition
US9770804B2 (en) 2013-03-18 2017-09-26 Versum Materials Us, Llc Slurry supply and/or chemical blend supply apparatuses, processes, methods of 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WI517935B (zh) * 2013-04-16 2016-01-21 國立台灣科技大學 氣體添加硏磨液的供應系統及其方法
JP6140051B2 (ja) * 2013-10-23 2017-05-3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US20200055160A1 (en) * 2018-08-14 2020-02-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JP6538952B1 (ja) * 2018-12-11 2019-07-03 株式会社西村ケミテック 研磨液供給装置
KR102147798B1 (ko) * 2020-04-13 2020-08-25 (주)이노하이텍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CN114699941A (zh) * 2022-03-14 2022-07-0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液体混合装置、供给系统及供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5600A (en) * 1923-12-24 1929-11-12 Libbey Owens Glass Co Abrasive-feeding system for glass-grinding machines
US3857123A (en) * 1970-10-21 1974-12-31 Monsanto Co Apparatus for waxless polishing of thin wafers
JPS5759052A (en) 1980-09-26 1982-04-09 Toyota Motor Corp Auxiliary intake system of fuel injection engine
US4678119A (en) * 1982-10-12 1987-07-07 Buehler Ltd. Abrasive slurry supply system for use in metallographic sample preparation
JPS6268276A (ja) 1985-09-20 1987-03-28 Hitachi Ltd 研磨剤循環装置
JPS62188672A (ja) 1986-02-14 1987-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研磨液供給装置
JPH01163056A (ja) 1987-12-21 1989-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振動、騒音の低減方法
FI94513C (fi) * 1989-08-08 1995-09-25 Merpro Tortek Ltd Laite irtoainesten hydrauliseksi siirtämiseksi
JPH03208555A (ja) 1990-01-12 1991-09-11 Takatori Haitetsuku:Kk ワイヤソーの砥液循環供給装置
US5184164A (en) * 1990-06-01 1993-02-02 Fuji Photo Film Co., Ltd. Photosensitive material processor
JPH0645300A (ja) 1992-07-21 1994-02-18 Kawasaki Steel Corp 半導体ウェーハの研磨方法および装置
JP3260542B2 (ja) 1994-03-15 2002-02-25 株式会社東芝 研磨装置
JP2738291B2 (ja) * 1994-02-14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機械・化学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JPH07251198A (ja) * 1994-03-14 1995-10-03 Nisshin Steel Co Ltd 汚泥撹拌式給排水方法及び装置
JPH08142981A (ja) * 1994-11-21 1996-06-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ラリー輸送船
JP3311203B2 (ja) * 1995-06-13 2002-08-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製造装置、半導体ウェーハの化学的機械的ポリッシング方法
GB2302596B (en) * 1995-06-22 1999-02-03 Kodak Ltd Method of photographic processing with solution replenishment
US5750440A (en) * 1995-11-20 1998-05-12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mixing slurry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GB9600112D0 (en) * 1996-01-04 1996-03-06 Koda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otographic processsing apparatus
US6059920A (en) * 1996-02-20 2000-05-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polish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polishing liquid supplying apparatus, and polishing liquid supplying method
JPH09285968A (ja) 1996-02-20 1997-11-04 Toshiba Corp 混合液供給装置とそれを有する半導体の研磨装置及び混合液供給方法と半導体の研磨方法
JPH09234669A (ja) 1996-02-29 1997-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研磨スラリーの供給方法
US5885134A (en) * 1996-04-18 1999-03-23 Ebara Corporation Polishing apparatus
JPH101582A (ja) 1996-06-17 1998-01-06 Sekisui Chem Co Ltd 帯電防止高分子物質組成物
JPH1015822A (ja) 1996-07-01 1998-01-20 Canon Inc 研磨剤供給装置における研磨剤循環方法
US5664990A (en) * 1996-07-29 1997-09-09 Integrated Process Equipment Corp. Slurry recycling in CMP apparatus
JPH1052816A (ja) * 1996-08-13 1998-02-24 M Ii M C Kk ワイヤ式切断方法
JP3341601B2 (ja) * 1996-10-18 2002-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研磨剤の回収再利用方法および装置
JPH10235546A (ja) 1996-12-26 1998-09-08 Nippei Toyama Corp ワイヤソー
US5957759A (en) * 1997-04-17 1999-09-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lurry distribution system that continuously circulates slurry through a distribution loop
JPH1110540A (ja) * 1997-06-23 1999-01-19 Speedfam Co Ltd Cmp装置のスラリリサイクル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6024227A (en) * 1997-08-04 2000-02-15 Ahlstrom Machinery Inc. Tramp material removal from pulp feed systems
JP3788550B2 (ja) 1997-10-31 2006-06-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砥液供給装置
EP0913233B1 (en) * 1997-10-31 2005-05-11 Ebara Corporation Polishing solution supply system
JP3085269B2 (ja) 1997-12-04 2000-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研磨剤供給装置及び研磨剤保管容器
KR100567982B1 (ko) * 1997-12-08 2006-04-05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연마액 공급장치
NL1009584C2 (nl) * 1998-07-07 2000-01-10 Skf Eng & Res Centre Bv Actuator voorzien van een centrale steun, alsmede remklauw met een dergelijke actuator.
US6165048A (en) * 1998-11-10 2000-12-26 Vlsi Technology, Inc. Chemical-mechanical-polishing system with continuous filtration
JP3538042B2 (ja) 1998-11-24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スラリー供給方法
US6200202B1 (en) * 1998-11-30 2001-03-13 Se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slurry to a semiconductor processing machine
JP3432161B2 (ja) * 1998-12-24 2003-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研磨液供給装置
KR100304703B1 (ko) * 1999-02-09 2001-09-26 윤종용 필터의 기능을 감지하는 제어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장비
JP3748731B2 (ja) * 1999-03-26 2006-02-2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砥液供給装置
US6557108B1 (en) 1999-05-28 2003-04-29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in a modem for providing a shortened reset pulse upon receipt of an external reset pulse
US6283840B1 (en) * 1999-08-03 2001-09-04 Applied Materials, Inc. Cleaning and slurry distribution system assembly for use i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JP3760064B2 (ja) * 1999-08-09 200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平坦化加工装置
US6203412B1 (en) * 1999-11-19 2001-03-20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Submerge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US6306020B1 (en) * 2000-03-10 2001-10-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Multi-stage slurry system used for grinding and polishing materials
US6387289B1 (en) * 2000-05-04 2002-05-14 Micron Technology, Inc. Planarizing machines and methods for mechanical and/or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microelectronic-device substrate assemblies
US6544109B1 (en) * 2000-08-31 2003-04-08 Micron Technology, Inc. Slurry delivery and planarization systems
US6431950B1 (en) * 2000-10-18 2002-08-13 Micron Technology, Inc. Point-of-use fluid regulating system for use in the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semiconductor waf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672B1 (ko) 2006-07-20
US6319099B1 (en) 2001-11-20
US20020039878A1 (en) 2002-04-04
US20040132386A1 (en) 2004-07-08
US20040242127A1 (en) 2004-12-02
JP2000158339A (ja) 2000-06-13
JP3538042B2 (ja) 2004-06-14
US20010000166A1 (en) 2001-04-05
KR20060030073A (ko) 2006-04-07
KR100611830B1 (ko) 2006-08-11
US6790127B2 (en) 2004-09-14
US7052377B2 (en) 2006-05-30
US6585560B2 (en) 2003-07-01
KR20000035631A (ko) 2000-06-26
US20060199480A1 (en) 2006-09-07
TW436918B (en) 2001-05-28
US20050003745A1 (en) 2005-01-06
US7166018B2 (en) 2007-01-23
US7249995B2 (en) 2007-07-31
KR20060030072A (ko) 2006-04-07
US7331844B2 (en)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186B1 (ko) 슬러리 공급장치
KR100362297B1 (ko) 화학기계폴리셔및폴리싱방법
EP0990486B1 (en) Polishing solution feeder
US6802762B2 (en) Method for supplying slurry to polishing apparatus
TWI808233B (zh) 研磨裝置及研磨方法
TWI810342B (zh) 研磨裝置及研磨方法
KR100302482B1 (ko) 반도체씨엠피공정의슬러리공급시스템
KR20100048830A (ko) Cmp 슬러리의 주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004795B2 (ja) 研磨用流体の供給装置
US6676766B2 (en) Method for cleaning a substrate using a sherbet-like composition
JP2004098286A (ja) スラリー供給装置
JP4276521B2 (ja) 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190674A (ja) 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研磨方法
JP4431858B2 (ja) スラリー供給装置
JP2005313266A (ja) スラリーの供給装置と供給方法
CN218194602U (zh) 可混合多种抛光液且实时调节多种抛光液配比的供液系统
CN113001408B (zh) 磨床用磨削液过滤装置
JP4486870B2 (ja) スラリーの供給装置及びスラリーの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