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798B1 -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798B1
KR102147798B1 KR1020200044674A KR20200044674A KR102147798B1 KR 102147798 B1 KR102147798 B1 KR 102147798B1 KR 1020200044674 A KR1020200044674 A KR 1020200044674A KR 20200044674 A KR20200044674 A KR 20200044674A KR 102147798 B1 KR102147798 B1 KR 10214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magnetic
magnetic powder
powder paste
discharg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성
임용환
Original Assignee
(주)이노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하이텍 filed Critical (주)이노하이텍
Priority to KR10202000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은, 픽업 이송부가 이동되는 검수 컨베이어와, 상기 픽업 이송부에 의해 팔레트에서 픽업된 상기 인덕터의 하우징인 케이스에 코드를 각인하는 마커와 상기 코드를 저장한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코드 처리부 및, 상기 케이스에 각인된 코드를 리딩(reading)하여 에러 여부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 이송부를 매개로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상기 케이스를 지그 상에 안착시키는 검수 어셈블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공급 어셈블리; 상기 검수 컨베이어 및 지그를 공급하는 지그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안착된 지그를 이송시키는 토출 컨베이어와,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상기 공급 어셈블리에서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내에 토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토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에 의하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토출 대상의 자동 검수를 수행하여 제품 제조 공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SYSTEM FOR INSPECTING AND DISPENSING SOFT MAGNETIC POWDER PASTE FOR INDUCTOR}
본 발명은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기자동차의 2차전지 등에 장착되어 배터리 손실을 줄이는 인덕터에 함유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효율적으로 인덕터의 케이스 내로 정량 토출함과 아울러 인덕터의 케이스에 각인된 코드에 대한 자동 검수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속분말을 사용한 분말자성코어는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자기 손실을 가지며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에어 갭이 존재하는바, 이로 인해 누설자속이 거의 없고 높은 DC 전류를 인가해도 쉽게 포화되지 않는 특성을 갖춘다.
이러한 분말자성코어는 펄스 트랜스포머, 노이즈 필터 등의 부품에 사용되고 있고 산화철계 분말 소결자성 체인 페라이트(ferrite) 등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연자성 코어라 할 수 있다.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는 연자성 성질을 가지는 금속 분말에 폴리머 수지 및 MEK(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유기용제를 투입하여 처리된 페이스트로서, 과거의 페라이트 코어 제조에 비해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페이스트 형상의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자성의 균일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특히,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는 전기자동차 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전기자동차 OBC, 하이브리드카의 2차전지, 이 2차 전지 내부의 CMI 인덕터는 물론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등의 자동자 내장부품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중에서 전기자동차용 인덕터는 2차전지에 포함된 부품 중 하나로서, DC/AC 컨버터에서 전류가 튀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배터리 손실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이러한 인덕터는 케이스 내에 권선된 코일과 이 코일에 충진되어 경화된 연자성 코어를 포함한다. 이때, 연자성 코어는 높은 투자율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인덕터에서 자기장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 특허 제 1808176호인 연자성몰딩액을 이용한 코일매립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전기자동차용 인덕터에 대한 제조공정에 대해 게시한 것으로서, 코일의 일부가 자기코어 내부에 매립되는 구조로 되어있는 코일매립형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 유기비히클을 준비하는 단계; (II) 연자성 분말을 상기 유기비히클과 혼련하여 밀도 5.5 내지 6.5g/cc의 연자성몰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코일의 일부를 케이스 내부에 위치 및 고정하는 단계; 및(IV) 상기 연자성몰딩액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주입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자기코어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II)단계에서의 연자성몰딩액은 상기 연자성 분말 94 내지 98wt%와 상기 유기비히클 2 내지 6wt%의 조성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자성 분말은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연자성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자성 분말은 상기 평균입경이 2 내지 5μm인 제1연자성 분말, 상기 평균입경이 10 내지 20μm인 제2연자성 분말 및 상기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μm인 제 3 연자성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져, 연자성 분말과 유기비히클의 최적의 조성비를 제공함으로 우수한 투자율을 자랑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연자성 분말과 유기비히클에 대한 조성비를 특화한 기술로서, 이 기술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연자성 분말은 페이스트 상태에서 코일이 권선 처리된 케이스 내부에 충진된 이후 경화되어 완성이 되는데 다시 말해 코일이 권선 처리된 케이스에 디스펜서와 같은 토출 수단을 통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는 연자성 분말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150 um 수준이나 점도가 50,000 cps에 달하는 고점성 성질은 물론 고비중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통상의 탱크에서 보관 시 물성이 분리되거나 침전이 곧바로 발생하여 배관이 막히고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정확한 설정량을 케이스 내로 토출하지 못할 경우 인덕터의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따른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인덕터의 제조 공정 시 케이스 내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토출시킬 때 정량 토출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케이스의 자동 검수 수행 능력까지 겸비한 신규하고 진보한 토출 및 검수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따르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2차전지를 위한 인덕터용 케이스와 같은 토출 대상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토출하기 이전에 자동 검수를 수행함과 아울러 정량 토출을 담보할 수 있는, 토출 대상의 검수와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침전 및 물성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보관한 탱크에 순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정량 토출을 위해 디스펜서를 2개로 구비하여 각각 자등 토출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디스펜서를 통해 토출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 상태를 분석하여 표면을 평탄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은, 픽업 이송부가 이동되는 검수 컨베이어와, 상기 픽업 이송부에 의해 팔레트에서 픽업된 상기 인덕터의 하우징인 케이스에 코드를 각인하는 마커와 상기 코드를 저장한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코드 처리부 및, 상기 케이스에 각인된 코드를 리딩(reading)하여 에러 여부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 이송부를 매개로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상기 케이스를 지그 상에 안착시키는 검수 어셈블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공급 어셈블리; 상기 검수 컨베이어 및 지그를 공급하는 지그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안착된 지그를 이송시키는 토출 컨베이어와,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상기 공급 어셈블리에서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내에 토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토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탱크와,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탱크에 내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케이스 내에 전체 정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5 중량부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1차 토출하는 제 1 디스펜서와, 상기 제 1 디스펜서에서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것으로, 상기 1차 토출된 상기 케이스 내에 전체 정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2차 토출하는 제 2 디스펜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에 의하면,
1)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토출 대상의 자동 검수를 수행하여 제품 제조 공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2) 디스펜서를 2개로 이격 배치함과 아울러 서로 다른 토출량을 분배 처리하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정량 토출을 담보하며,
3)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보관하는 탱크에서 일정 주기 별로 순환 처리하여 침전이나 물성 분리 현상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4) 총 2차 토출 과정 중 1차 토출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상태에 따라 2차 토출의 정밀성을 보장하면서 표면의 평탄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구성의 개략적인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자동차용 인덕터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케이스와 다수의 케이스가 안착되는 지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검수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마커 및 에러 검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토출 어셈블리의 지그 안착 영역 및 이에 연결된 지그 공급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토출 어셈블리의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공급 어셈블리의 구성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토출 어셈블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구성의 개략적인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덕터의 케이스(10)를 검수한 다음 지그(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10) 내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제 1 구성과,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순환 방식으로 저장하여 공급하는 제 2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제 1 구성은 검수 어셈블리(100)와 토출 어셈블리(300)이고, 제 2 구성은 공급 어셈블리(200) 이다.
특히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제 1,2 구성이 다수의 컨베이어, 즉 검수 컨베이어(100)와 토출 컨베이어(310)를 매개로 연결된 각 구성의 위치를 도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외관 구조는 검수 컨베이어(110)와 토출 컨베이어(310)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가 검수 컨베이어(110)이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가 토출 컨베이어(310)이다.
이하, 도 1,2는 물론 후속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자동차용 인덕터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케이스와 다수의 케이스가 안착되는 지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의 2차 전지에 사용되는 인덕터용 케이스(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측부 및 하부가 막힌 용기와 같은 입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케이스(10) 내부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충진된다. 이때, 케이스(10)는 인덕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코일이 권선 처리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 케이스(10) 내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정량으로 자동 토출 방식에 의해 토출함과 아울러 케이스(10)에 각인된 코드가 에러(오류) 여부를 검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대상이 인덕터의 케이스로 언급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군에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케이스는 도 3(b)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복수의 행렬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케이스(1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20)에 안착된 상태로 후술할 토출 어셈블리(300)를 통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검수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마커 및 에러 검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검수 어셈블리(100)는 검수 컨베이어(100)를 따라 위치한 픽업 이송부(120), 코드 처리부와 에러 검출부(150)를 포함한다.
픽업 이송부(120)는 팔레트(130) 상에 적재된 케이스(10)를 픽업하여 검수 컨베이어(110)를 따라 마커 및 에러 검출부(15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의 로봇 암이나 컨베이어의 연장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픽커(picker)와 같은 기계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팔레트(130)는 팔레트 승강부에 의해 승강이 가능한데, 팔레트 승강부는 복수 개의 팔레트(130)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최상층의 팔레트(130)를 픽업부에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픽업 이송부(120)는 도 2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검수 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팔레트(130)에서 케이스(10)를 픽업하여 픽업된 케이스(10)를 마커(140) 및 에러 검출부(150)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케이스(10)를 토출 어셈블리(300)의 지그(20) 안착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드 처리부는 마커(140)와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마커(140)는 케이스(10)의 일 면에 코드를 레이저로 각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서 코드는 구체적으로 QR코드로 이루어져 각각의 케이스(10)에 대한 시리얼 넘버 정보는 물론 특성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커(14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별도로 구비된 DB 서버로부터 케이스(10)에 각인될 코드를 전송받아 각인을 시키고, 케이스(10)에 코드를 각인시킨 다음 각인된 코드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즉, 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케이스(10)에 마커(140)에 의해 각인되거나 각인된 코드에 대한 집합체로 이해할 수 있다.
코드가 각인된 케이스(10)는 픽업 이송부(120)에 의해 에러 검출부(150)로 이송된다. 에러 검출부(150)는 마커(140)에서 각인된 코드를 리딩(reading)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코드가 제대로 인식(리딩)되지 않거나 DB 서버의 코드 데이터베이스와 마커에 의해 각인된 코드를 비교하여 잘못된 코드가 각인된 것을 에러로 판정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에러로 판정된 케이스(10)는 상술한 픽업 이송부(120) 내지 별도의 픽업부에 의해 픽업되어 검수 컨베이어(110) 외측으로 이송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토출 어셈블리의 지그 안착 영역 및 이에 연결된 지그 공급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토출 어셈블리의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토출 어셈블리(300)는 토출 컨베이어(310)와 디스펜서(320)를 포함한다.
우선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토출 컨베이어(310)는 검수 컨베이어(110)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것으로, 선단 측에는 지그(20)를 공급하는 지그 공급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지그 안착 영역은 검수 컨베이어(110)와 토출 컨베이어(310)가 만나는 지점인데, 이 지그 안착 영역에는 지그 공급부(30)에 의해 이동된 지그(20) 상에 픽업 이송부(120)의 이동 및 안착 기능에 의해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케이스가 안착된다.
지그(20) 안착 영역에서 케이스를 안착한 지그(20)는 토출 컨베이어(310)를 따라 이송되면서 디스펜서(320)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펜서(320)는 토출 컨베이어(310)의 지그 안착 영역에서 이송 방향, 즉 후단 방향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는 공급 어셈블리(200)를 통해 디스펜서(320)로 공급되는데, 이 공급 어셈블리는 후술한다.
이 디스펜서(320)는 케이스(10)를 안착시킨 지그(20) 상에서 지그(20) 상에 안착된 다수의 케이스(10)가 위치한 각 영역 범위로 이동하면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정량 토출한다. 이때, 디스펜서(320)는 1축 편심 펌프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설정 중량만큼 정확한 연자성 분말 페이스의 양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펜서(320)는 1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정확한 양, 즉 정량 토출을 담보하면서 정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토출 컨베이어(310)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디스펜서(320), 즉 제 1,2 디스펜서(321,322)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디스펜서(321)는 케이스에 토출될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정량을 100 중량부라 할 때 85 내지 95 중량부에 해당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케이스 내로 1차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디스펜서(322)는 제 1 디스펜서(321)에서 토출 컨베이어(3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1차 토출된 잔량, 즉 상기 예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1차 토출된 케이스(10) 내에 2차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 1,2 디스펜서(321,322)에 의하면, 하나의 디스펜서(320)로 토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과량 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토출 어셈블리(300)는 센서부(330)와 토출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330)는 제 1,2 디스펜서(321,322) 사이인 상기 토출 컨베이어(310) 일 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1차 토출된 케이스(10)가 안착된 지그(2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331)를 포함한다.
이 중량 센서(331)는 제 1 디스펜서(321)는 물론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 영역인 토출 컨베이어(310)의 일 측에 장착된 로드 셀일 수 있는데, 이 로드 셀은 디스펜서(320)의 1축 편심 펌프의 서보 모터와 동기화되어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 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설정 중량에 이를 경우 자동으로 서보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켜 토출을 중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서보 모터 중단 이후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일부가 토출되는 딜레이 타임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라미터 세팅 보정 기능, 즉 서보 모터 중단 이후 추가 토출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중량을 미리 산출하여 서보 모터의 중단 시점을 앞당기는 보정을 추가하여 디스펜서(320), 즉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량이 상승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토출 제어부(340)는 특히 제 1 디스펜서(321) 측 중량 센서(331)에서 측정한 지그(20)의 중량의 고저에 따라 제 2 디스펜서(322)에서 토출될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제 2 디스펜서(322)의 1축 편심 펌프를 구동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토출 제어부(340)는 제 1 디스펜서(321)에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에 대한 설정 토출 중량인 85 중량부를 넘어 87 중량부가 토출되었을 때 제 2 디스펜서(322)의 설정 중량이었던 15 중량부가 아닌 13 중량부로 재설정하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케이스 내로 2차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제 2 디스펜서(322)에서 토출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량을 실시간으로 제설정하여 보다 디테일하게 정량 토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공급 어셈블리(200)의 구성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디스펜서(320)에서 토출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는 높은 중량 및 점성으로 인해 20분 내로 침전이 100 % 이루어지는 성질을 가지는데, 특히 금속 소재의 비중이 높아 토출 부피의 미소한 편차로도 정량 토출 허용 범위를 벗어날 수 있는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 어셈블리(200)는 임펠러(211)를 구비한 탱크(210)와 순환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공급 어셈블리(200)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탱크(210)를 구비하는데, 이 탱크(210)에 내통되도록 연결된 순환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210)는 임펠러(211)와 이 임펠러(211)를 일정 주기 별로 구동시키는 임펠러 제어부를 포함한다.
임펠러(211)는 탱크(2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탱크(210) 내에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 기능을 수행한다.
이 임펠러(211)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분산 플로우(Flow) 형상을 래디컬 타입(Radial type), 즉 원형 형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와 같이 분산 형상이 원형 형상을 발생하도록 여러 포인트를 기준으로 수직축에서 기준으로 좌우 대칭 회전을 이루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임펠러(211)의 설계는 고점도 물성의 분산 및 교반에 특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점도 및 접착성에 따라 탱크(210) 내부 표면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증착될 우려가 있어, 탱크(210) 내에는 표면 증착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 윙(Tension wing)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탱크(210)의 하단에는 로드 셀이 장착되어 이를 통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설정 중량 중에서 하한 중량을 감지한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별도의 서플라이 수단을 통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추가로 공급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순환부(220)는 순환관(221)과 펌프(222) 및 공급 수단(223)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순환관(221)은 탱크(210)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으로 연장되어 탱크(210)에서 배출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다시 탱크(210)로 유입시키는 경로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순환관(221)의 일 측에는 펌프(222)가 장착되어 있는바, 이 펌프(222)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탱크(210)를 중심으로 순환관(221)을 따라 순환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 주기에 따라 순환관(221) 내에 압력을 제공하여 순환력을 발생시킨다.
공급 수단(223)은 이러한 순환관(221)의 일 측에서 분기되어 상술한 디스펜서(320)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밸브의 개폐 제어에 따라 디스펜서(320)에 공급될 연자성 분말 페이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탱크(210) 내에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하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임펠러(211)에 의한 교반 및 순환부(220)에 의한 순환 기능으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침전 방지 및 믹싱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토출 어셈블리(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토출 어셈블리(300)의 센서부(330)는 제 1 디스펜서(321)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 1 디스펜서(321)에서 1차 토출된 케이스 내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대한 외관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332)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토출 제어부(340)는 포토 센서(332)에서 감시한 케이스 내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대한 외관의 픽셀 분포를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도포 균일도를 파악하는 도포 상태 파악 파트(341)와, 이 도포 균일도에 따라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파트(34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케이스(10) 내로 토출되면 토출면, 즉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이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 상태, 즉 평탄 상태를 이루는 것이 정상인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자체의 고점성 고중량 특성에 의하여 버블이 발생하거나 표면이 수평하지 않고 경사지게 기운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디스펜서(322)에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잔량을 토출하였을 때 버블 체적이 커지거나 최종적인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이 수평 상태를 가지지 않을 개연성이 존재하고 이 경우 인덕터의 품질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포 상태 파악 파트(341)에서 표면에 버블이 발생하거나 특히 케이스(10)의 내측 면에서 수평하지 않은 상태와 같이 도포 균일도가 낮다고 파악한 경우에는 위치 조절 파트(342)가 이 버블을 분쇄하거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을 최대한 평탄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토출 어셈블리(300)는 초음파 출력부(3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음파 출력부(350)는 제 1,2 디스펜서(321,322) 사이인 상기 토출 컨베이어(31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제 1 디스펜서(321)에서 1차 토출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절 파트(342)에 의해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의 평탄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초음파 출력부(350)의 초음파 출력으로 이러한 평탄 처리 기능을 보강 처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초음파는 미세 진동에 의한 공동 현상에 의하여 분산 및 분쇄력을 발휘할 수 있는바, 이러한 초음파를 통해 상술한 미세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케이스(10) 내측 면 주변 등에 응집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분산 처리하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을 최대한 평탄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응하여 토출 제어부(340)는 도포 균일도에 따라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초음파 출력기의 초음파 출력을 차등 제어하는 초음파 출력 파트(343)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초음파 출력 파트(343)는 도포 균일도의 고저에 따라 초음파 출력부(350)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차등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때 초음파의 주파수는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말 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초음파 출력 파트(343)는 이러한 설정값을 룩업 테이블로 보유하고 있다가 도포 균일도의 고저에 따라 이 설정값에 대해 허용된 상한 및 하한 범위 이내에서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초음파 출력부(350)의 초음파 출력 후 포토 센서(332)를 통해 도포 상태 파악 파트(341)에서 도포 균일도를 다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때 재파악된 도포 균일도에 따라 초음파 출력 파트(343)에서 초음파를 재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초음파 출력부(350)는 제 2 디스펜서(322)의 후방 측에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출력부(350)는 설치 위치를 달리 하여 2개 즉, 제 1,2 초음파 출력부(351,352)로 구비될 수 있는바, 토출 컨베이어(310)에서 제 1 초음파 출력부(351)는 상술한 제 1,2 디스펜서(321,322) 사이에 설치되고 제 2 초음파 출력부(352)는 토출 컨베이어(3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제 2 디스펜서(322)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즉, 제 2 초음파 출력부(352)는 제 2 디스펜서(322)를 통해 토출된 잔량을 모두 수용한 케이스에서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을 최종적으로 평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량이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량보다 적을 뿐 아니라 우선 1차적으로 제 1 초음파 출력부(351)를 통해 초음파를 출력하였기 때문에, 초음파 출력 파트(343)는 제 2 초음파 출력부(352)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제 1 초음파 출력부(351)의 초음파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330)는 제 1,2 디스펜서(321,322)에 대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33)와 제 1,2 디스펜서(321,322)에 대한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중량을 측정하는 서브중량센서(33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중량은 상술한 중량센서(331)에서 지그(20) 자체의 중량을 제외한 값을 통해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초음파 출력 파트(343)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제 2 초음파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2
은 제 1 초음파의 주파수,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3
는 제 2 초음파의 주파수,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4
은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압력,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5
은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압력,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6
는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중량,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7
는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중량이다.
수학식 1은 제 2 초음파의 주파수가 제 1 초음파의 주파수보다 작지만 제 1 초음파의 주파수에 비례하도록 설정하되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중량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설정될 경우 정확하게 제 2 초음파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없는바,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중량은 물론 토출압력과 연동하여 1보다 작은 하이퍼탄젠트(tanh) 처리로 제 2 초음파의 주파수가 제 1 초음파의 주파수에 근접하게 수렴될 수 있도록 보완 및 조절 처리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제 1 초음파의 주파수가 500kHz이고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압력이 2(기준 토출압력의 상대 수치),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압력이 1,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중량이 90중량부,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중량이 10중량부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수학식 1에 따라 제 2 초음파의 주파수는,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8
kHz이다.
한편, 제 1 초음파 주파수가 500kHz이고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압력이 2,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압력이 1,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중량이 85중량부,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중량이 15중량부라고 가정할 때 수학식 1에 따라 제 2 초음파의 주파수는,
Figure 112020038143128-pat00009
kHz이다.
다시 말해 위 2개의 계산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초음파 주파수 및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 1,2 디스펜서(321,322)의 토출중량만 달라질 때 이 토출중량의 증감에 제 2 초음파의 주파수가 선형 비례 관계를 갖지 않고 특정 수치에 수렴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 2 초음파의 주파수의 정격 출력량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로써, 제 2 디스펜서(322)의 토출중량이 제 1 디스펜서(321)의 토출중량보다 많이 작더라도 이에 선형 비례하여 제 2 초음파의 주파수가 제 1 초음파의 주파수보다 작아짐으로 제 2 초음파의 주파수의 정격량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O: 케이스 20: 지그
30: 지그 공급부 100: 검수 어셈블리
110: 검수 컨베이어 120: 픽업 이송부
130: 팔레트 140: 마커
150: 에러 검출부 200: 공급 어셈블리
210: 탱크 211: 임펠러
220: 순환부 221: 순환관
222: 펌프 223: 공급 수단
300: 토출 어셈블리 310: 토출 컨베이어
320: 디스펜서 321: 제 1 디스펜서
322: 제 2 디스펜서 330: 센서부
331: 중량 센서 332: 포토 센서
333: 압력센서 334: 서브중량센서
340: 토출 제어부 341: 도포 상태 파악 파트
342: 위치 조절 파트 343: 초음파 출력 파트
350: 초음파 출력부 351: 제 1 초음파 출력부
352: 제 2 초음파 출력부

Claims (10)

  1.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으로서,
    픽업 이송부가 이동되는 검수 컨베이어와, 상기 픽업 이송부에 의해 팔레트에서 픽업된 상기 인덕터의 하우징인 케이스에 코드를 각인하는 마커와 상기 코드를 저장한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코드 처리부 및, 상기 케이스에 각인된 코드를 리딩(reading)하여 에러 여부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 이송부를 매개로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상기 케이스를 지그 상에 안착시키는 검수 어셈블리;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공급 어셈블리;
    상기 검수 컨베이어 및 지그를 공급하는 지그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안착된 지그를 이송시키는 토출 컨베이어와,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상기 공급 어셈블리에서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내에 토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토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케이스 내에 전체 정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5 중량부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1차 토출하는 제 1 디스펜서와,
    상기 제 1 디스펜서에서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것으로, 상기 1차 토출된 상기 케이스 내에 전체 정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의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2차 토출하는 제 2 디스펜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저장한 탱크와,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탱크에 내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임펠러 및,
    일정 주기 별로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임펠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탱크에 연결된 순환관과,
    일정 주기에 따라 상기 순환관 내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및,
    상기 순환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 1,2 디스펜서 사이인 상기 토출 컨베이어 일 측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가 1차 토출된 상기 케이스가 안착된 지그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중량 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지그의 중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펜서에서 토출될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1차 토출된 상기 케이스 내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대한 외관을 센싱하는 포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제어부는,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의 외관에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픽셀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도포 균일도를 파악하는 도포 상태 파악 파트와,
    상기 도포 균일도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토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 1,2 디스펜서 사이인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일 측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제어부는,
    상기 도포 균일도에 따라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상기 초음파 출력부의 초음파를 차등 출력 제어하는 초음파 출력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출력부는,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제 1 초음파를 출력하는 제 1 초음파 출력부와,
    상기 토출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제 2 디스펜서의 후방 측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제 1 초음파보다 주파수가 작은 제 2 초음파를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표면에 출력하는 제 2 초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2 디스펜서에 대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제 1,2 디스펜서에 대한 상기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의 토출중량을 측정하는 서브중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출력 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 2 초음파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하는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0

    (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1
    은 제 1 초음파의 주파수,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2
    는 제 2 초음파의 주파수,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3
    은 제 1 디스펜서의 토출압력,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4
    은 제 2 디스펜서의 토출압력,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5
    는 제 1 디스펜서의 토출중량,
    Figure 112020084430229-pat00016
    는 제 2 디스펜서의 토출중량)
KR1020200044674A 2020-04-13 2020-04-13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KR10214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74A KR102147798B1 (ko) 2020-04-13 2020-04-13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74A KR102147798B1 (ko) 2020-04-13 2020-04-13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798B1 true KR102147798B1 (ko) 2020-08-25

Family

ID=7229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74A KR102147798B1 (ko) 2020-04-13 2020-04-13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672B1 (ko) * 1998-11-24 2006-07-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러리 공급장치
KR101388233B1 (ko) * 2013-02-06 2014-04-24 한국영상기술(주) 정밀 부품용 접착제 도포 장치
KR101667686B1 (ko) * 2016-06-29 2016-10-20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마킹 및 맵 형성 장치
US20190244753A1 (en) * 2013-03-14 2019-08-08 Sumid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with c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672B1 (ko) * 1998-11-24 2006-07-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러리 공급장치
KR101388233B1 (ko) * 2013-02-06 2014-04-24 한국영상기술(주) 정밀 부품용 접착제 도포 장치
US20190244753A1 (en) * 2013-03-14 2019-08-08 Sumid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with coil
KR101667686B1 (ko) * 2016-06-29 2016-10-20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마킹 및 맵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49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tering proppant
KR102147798B1 (ko) 인덕터용 연자성 분말 페이스트 토출 및 검수 시스템
CN109250530A (zh) 一种基于多下料口的散装物资装车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09250532A (zh) 一种基于单下料口的散装物资装车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20100135824A (ko) 충전량 칭량장치
CN109451206A (zh) 一种双摄像头自动aa组装设备及其组装方法
CN114873310B (zh) 一种装车楼自动装车方法及装车楼
CN113602840A (zh) 一种智能装车系统及其控制方法
EP4121725A1 (de) Versenkbares autarkes füllstandmesssystem
CN210260442U (zh) 高度调节系统
CN114044381B (zh) 一种自动控制定量装车卸料过程溜槽位置的方法
CN109866674A (zh) 卸料称重运输车及卸料运输方法
CN115205458A (zh) 一种基于激光雷达扫描建模测量的智能装车系统
CN115399583A (zh) 运输机器人的智能储物柜自动更换系统及方法
CN109292680A (zh) 一种可自动平衡货物重量的物流叉车
CN113635809B (zh)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电池更换设备与方法
CN215974038U (zh) 一种智能装车系统
CN209684661U (zh) 一种货物转运系统
CN112794113A (zh) 一种摆渡式装车系统及摆渡式装车方法
CN218579063U (zh) 一种自动装车计量系统
CN202631074U (zh) 一种球团矿装车计量设备
CN105890735A (zh) 一种实验室标准条件下自动衡器物料循环校验系统
KR101965316B1 (ko) 전기이중층 캐패시터 제조를 위한 전공정장비
CN219885665U (zh) 电解液加注装置
CN205853178U (zh) 以机器人为主体的自动化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