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288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288B1
KR100490288B1 KR10-2003-0043400A KR20030043400A KR100490288B1 KR 100490288 B1 KR100490288 B1 KR 100490288B1 KR 20030043400 A KR20030043400 A KR 20030043400A KR 100490288 B1 KR100490288 B1 KR 10049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region
low voltage
device isolation
cel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089A (ko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4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288B1/ko
Priority to US10/734,533 priority patent/US6884682B2/en
Priority to DE10358769A priority patent/DE10358769B4/de
Priority to JP2003416901A priority patent/JP2005026658A/ja
Priority to TW092137295A priority patent/TWI240999B/zh
Priority to CNB2004100054116A priority patent/CN1285117C/zh
Publication of KR2005000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2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insulating layers, e.g. different gate insulating layer thicknesses, particular gate insulator materials or particular gate insulator im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81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solation region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e.g. to avoid interaction of isolation region with adjacen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3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 H10B41/47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with a floating-gate layer also being used as part of the peripheral transistor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셀프 얼라인 쉘로우 트렌치 아이소레이션 스킴(SA-STI scheme)을 적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소자 격리용 트렌치에 산화물을 매립한 후 연마 공정 및 질화막 제거 공정까지 진행하고,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산화막을 형성하고,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일정 두께 1차 식각하고,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산화막을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이 노출될 때까지 2차 식각하므로, 1차 및 2차 식각 공정 동안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소자 격리막의 돌출부가 일정 두께 식각되어 이들 영역간에 유발되는 EFH 차이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프 얼라인 쉘로우 트렌치 아이소레이션(Self Align Shallow Trench Isolation; 이하 SA-STI라 칭함) 스킴(scheme)을 적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소자 격리막의 돌출부에 의해 이들 영역간에 유발되는 EFH(Effective Field Oxide Height) 차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쉬 메모리는 소자의 특성상 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와 저전압 트랜지스터가 구비된다.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은 두께가 두껍고,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은 두께가 얇으며, 셀의 게이트 산화막은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와 같거나 유사하다.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게이트 산화막 두께 차이에서 기인되는 단차는 후속 공정인 소자 격리용 산화막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 진행 후 남겨지는 질화막의 두께를 각 영역에서 다르게 하고, 이로 인하여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과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EFH 차이를 유발시킨다. 여기서, EFH는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과 플로팅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과의 계면을 기준으로 소자 격리막의 단차를 일컫는다.
도 1은 셀프 얼라인 쉘로우 트렌치 아이소레이션 스킴을 적용하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셀 영역, 저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상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가 유사한 셀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반도체 기판(11) 상에는 두께가 두꺼운 고전압용 게이트 산화막(12A)을 형성하고,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반도체 기판(11) 상에는 두께가 얇은 저전압/셀용 게이트 산화막(12B)을 형성한다. 게이트 산화막들(12A 및 12B) 상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13)을 형성한다. SA-STI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1)에 다수의 소자 격리용 트렌치(15)를 형성하고, 트렌치들(15) 내에 소자 격리용 산화물을 채워 소자 격리막(160)을 형성한다. 소자 격리막(160)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19)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후 플로팅 게이트용 마스크를 사용한 식각 공정, 유전체막 형성 공정, 컨트롤 게이트용 도전층 형성 공정 및 컨트롤 게이트용 마스크를 사용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각 영역에 게이트들을 형성한다.
상기한 종래 방법으로 플래쉬 메모리 소자를 제조할 경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 각각의 소자 격리막(160)의 돌출부에 의해 이들 영역간에 EFH 차이가 발생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에서 제 1 폴리실리콘층(13)에 대한 소자 격리막(160)의 단차(EFH1)는 (-)50 ~ 100 Å의 값을 갖는 반면,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에서 제 1 폴리실리콘층(13)에 대한 소자 격리막(160)의 단차(EFH2)는 300 ~ 800 Å의 값을 갖는다.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단차(EFH2)는 높고 값의 범위가 넓으며, 그 값이 매번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의 진행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간의 EFH 값의 차이와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높은 EFH 값은 각 영역의 게이트 식각 타겟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양호한 게이트 패턴 형상(pattern profile)을 얻을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폴리실리콘 잔류물로 인한 소자의 결함(fail)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소자가 고집적화 되어 감에 따라 중요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소자 격리막의 돌출부에 의해 이들 영역간에 유발되는 EFH 차이를 개선시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소자 격리막들 사이에 제 1 게이트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이 형성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2 소자 격리막들 사이에 제 2 게이트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이 형성된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소자 격리막들을 포함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 상에 평탄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소자 격리막들의 상단부를 제 1 식각 공정으로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소자 격리막의 상단부를 제 2 식각 공정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자 격리막들을 포함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 상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식각 공정은 HF가 첨가된 산화물 식각 용액을 사용한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한다.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소자 격리막들의 EFH 값은 제 1 및 제 2 식각 공정에 의해 (-)100 ~ 50 Å 사이가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셀프 얼라인 쉘로우 트렌치 아이소레이션 스킴을 적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셀 영역, 저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상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가 유사한 셀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반도체 기판(21) 상에는 두께가 두꺼운 고전압용 게이트 산화막(22A)을 형성하고,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반도체 기판(21) 상에는 두께가 얇은 저전압/셀용 게이트 산화막(22B)을 형성한다. 게이트 산화막들(22A 및 22B) 상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23)을 형성한다. 제 1 폴리실리콘층(23) 상에 질화막(24)을 형성하고, SA-STI 공정으로 질화막(24), 제 1 폴리실리콘층(23), 게이트 산화막(22A 및 22B) 및 반도체 기판(21)을 식각하여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반도체 기판(21)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반도체 기판(21)에 다수의 소자 격리용 트렌치(25)를 형성한다. 소자 격리용 트렌치(25)를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소자 격리용 산화막(26)을 형성하여 트렌치들(25)을 충분히 채운다. 소자 격리용 산화막(26)은 갭 필링(gap filing) 능력이 우수하면서 절연특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어 HDP 산화물을 주로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을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제 1 폴리실리콘층(23)의 표면이 노출되기 직전까지 실시하여 트렌치들(25) 내에 소자 격리막들(260)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폴리실리콘층(23)의 표면을 기준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에 남겨진 질화막(24) 및 소자 격리막들(260)의 돌출부는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에 남겨진 질화막(24) 및 소자 격리막들(260)의 돌출부와 높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종래 방법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소자 격리막들(260)의 EFH 값은 낮고,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EFH 값은 높아 이들 영역간에 EFH 차이가 나게되고, 이는 종래 방법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잔류된 질화막(24)을 제거(strip)하고, 서로 다른 높이 차를 갖는 소자 격리막들(260)을 포함한 제 1 폴리실리콘층(23)의 표면을 따라 버퍼 산화막(27)을 형성하고, 버퍼 산화막(27) 상에 평탄화막(28)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버퍼 산화막(27)은 평탄화막(28)이 직접 제 1 폴리실리콘층(23)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100 Å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100 Å의 두께로 형성한다. 한편, 버퍼 산화막(27)은 오염 방지를 위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평탄화막(28)은 유동성이 우수하고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어, SOG(Spin On Glass)나 BPSG(Boron Phosphorous Silicate Glass) 등을 이용하여 300 ~ 800 Å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은 덮이고(close),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은 개방된(open)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평탄화막(28) 상에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평탄화막(28) 및 소자 격리막들(260)을 일정 두께 제거한다.
상기에서, 식각 공정은 HF가 첨가된 산화물 식각 용액을 사용한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하며, 동일한 식각 조건에서 SOG나 BPSG로 형성되는 평탄화막(28)이 HDP로 형성되는 소자 격리막(260)보다 식각 속도가 빠르다. 이 식각 공정 동안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소자 격리막들(260)의 상단부가 일부 제거되어 EFH 값이 낮아지게 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제거(strip)한다. 이후, 전면 식각(blanket etch) 공정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평탄화막(28), 버퍼 산화막(27) 및 소자 격리막(260)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은 건식 또는 습식 방식으로 제거한다. 전면 식각 공정을 제 1 폴리실리콘층(23)이 노출될 때까지 HF가 첨가된 산화물 식각 용액을 사용한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하며, 동일한 식각 조건에서 SOG나 BPSG로 형성되는 평탄화막(28)이 HDP로 형성되는 소자 격리막(260)보다 식각 속도가 빠르다. 이 식각 공정 동안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의 소자 격리막들(260)의 상단부는 물론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의 소자 격리막들(260)의 상단부도 일부 제거되고, 이로 인하여 각 영역(HV 및 LV/CELL)의 소자 격리막들(260) EFH 값이 낮아지게 되어,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HV)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LV/CELL) 각각의 소자 격리막들(260)의 EFH 값이 (-)100 ~ 50 Å 사이가 되며, 이들 영역(HV 및 LV/CELL) 간의 EFH 값 차이도 거의 없어진다. 한편,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습식 방식으로 제거할 경우,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도 2d), 포토레지스트 패턴 제거 공정(도 2e) 및 전면 식각 공정(도 2e)을 한 장비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전체 영역(HV 및 LV/CELL)에서 소자 격리막들(260) 및 제 1 폴리실리콘층(23)의 표면이 단차 없이 거의 평탄화를 이루며, 평탄화된 표면 상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29)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후 플로팅 게이트용 마스크를 사용한 식각 공정, 유전체막 형성 공정, 컨트롤 게이트용 도전층 형성 공정 및 컨트롤 게이트용 마스크를 사용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각 영역에 게이트들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소자 격리막의 돌출부에 의해 이들 영역간에 유발되는 EFH 차이를 개선시키므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반도체 기판 12A, 22A: 고전압용 게이트 산화막
12B, 22B: 저전압/셀용 게이트 산화막 13, 23: 제 1 폴리실리콘층
24: 질화막 15, 25: 트렌치
26: 소자 격리용 산화막 160, 260: 소자 격리막
27: 버퍼 산화막 28: 평탄화막
29: 제 2 폴리실리콘층 30: 포토레지스트 패턴

Claims (8)

  1. 제 1 소자 격리막들 사이에 제 1 게이트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이 형성된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2 소자 격리막들 사이에 제 2 게이트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이 형성된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소자 격리막들을 포함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 상에 평탄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소자 격리막들의 상단부를 제 1 식각 공정으로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의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소자 격리막의 상단부를 제 2 식각 공정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자 격리막들을 포함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 상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SOG나 BPSG를 이용하여 300 ~ 800 Å의 두께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과 상기 평탄화막 사이에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산화막은 20 ~ 100 Å의 두께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식각 공정은 HF가 첨가된 산화물 식각 용액을 사용한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각 공정은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은 덮이고,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은 개방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실시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제 1 식각 공정을 완료한 후 건식 또는 습식 방식으로 제거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트랜지스터 영역 및 상기 저전압 트랜지스터/셀 영역 각각의 상기 소자 격리막들의 EFH 값은 상기 제 1 및 제 2 식각 공정에 의해 (-)100 ~ 50 Å 사이가 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3-0043400A 2003-06-30 2003-06-30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049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00A KR100490288B1 (ko) 2003-06-30 2003-06-30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US10/734,533 US6884682B2 (en) 2003-06-30 2003-12-12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DE10358769A DE10358769B4 (de) 2003-06-30 2003-12-12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ashspeicherbauelements
JP2003416901A JP2005026658A (ja) 2003-06-30 2003-12-15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TW092137295A TWI240999B (en) 2003-06-30 2003-12-29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CNB2004100054116A CN1285117C (zh) 2003-06-30 2004-02-18 制造快闪存储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00A KR100490288B1 (ko) 2003-06-30 2003-06-30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089A KR20050002089A (ko) 2005-01-07
KR100490288B1 true KR100490288B1 (ko) 2005-05-18

Family

ID=335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400A KR100490288B1 (ko) 2003-06-30 2003-06-30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4682B2 (ko)
JP (1) JP2005026658A (ko)
KR (1) KR100490288B1 (ko)
CN (1) CN1285117C (ko)
DE (1) DE10358769B4 (ko)
TW (1) TWI240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684B1 (ko) * 2003-11-19 2005-10-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13278B1 (ko) * 2003-12-27 2006-08-1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02085B1 (ko) * 2003-12-31 2006-07-1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80117B1 (ko) * 2004-09-03 2006-05-12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KR100676599B1 (ko) * 2005-02-28 2007-0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47001B1 (ko) * 2005-03-09 2006-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US7253114B2 (en) * 2005-03-16 2007-08-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Self-aligned method for defining a semiconductor gate oxide in high voltage device area
CN100446220C (zh) * 2005-08-16 2008-12-24 力晶半导体股份有限公司 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KR100690924B1 (ko) * 2005-12-21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0650857B1 (ko) * 2005-12-23 2006-1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71805B1 (ko) * 2005-12-28 2007-10-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7180482A (ja) * 2005-12-28 2007-07-12 Hynix Semiconductor Inc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KR100741272B1 (ko) * 2005-12-28 2007-07-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998809B2 (en) * 2006-05-15 2011-08-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a floating gate using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US7355239B1 (en) * 2006-08-31 2008-04-08 Promos Technologies Pte. Ltd.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exhibiting reduced dielectric loss in isolation trenches
KR100870321B1 (ko) * 2006-09-29 2008-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80338B1 (ko) 2006-12-04 2009-0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5446068B2 (ja) * 2007-03-30 2014-03-1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551886B2 (en) * 2007-12-28 2013-10-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MP process for processing STI on two distinct silicon planes
JP2010021493A (ja) * 2008-07-14 2010-01-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00946A (ja) * 2009-11-09 2011-05-1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CN102184869B (zh) * 2011-04-28 2015-07-0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Mos晶体管隔离区制造方法及mos晶体管
US8847319B2 (en) 2012-03-09 2014-09-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ummy structure for multiple gate dielectric interface and methods
CN102881629A (zh) * 2012-10-25 2013-01-16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提高浅槽隔离台柱高度的浮栅制备方法
US9362272B2 (en) * 2012-11-01 2016-06-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ateral MOSFET
CN106206446B (zh) * 2015-05-05 2019-03-2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嵌入逻辑电路的快闪存储器的制作方法
US9754788B2 (en) * 2015-07-13 2017-09-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tructure including planarizing a polysilicon layer over an array area and a periphery area
US10224407B2 (en) 2017-02-28 2019-03-05 Sandisk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laterally extended gate dielectric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9755247B (zh) * 2017-11-03 2021-02-2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CN109950246A (zh) * 2017-12-21 2019-06-2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KR20220064560A (ko) 2020-11-1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CN113380692B (zh) * 2021-08-12 2021-11-05 晶芯成(北京)科技有限公司 沟槽隔离结构及其制备方法
CN114783953B (zh) * 2022-06-21 2022-09-16 合肥晶合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9250D1 (de) * 1997-12-31 2009-03-26 St Microelectronics Srl Hochspannungsfeldeffekttransis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IT1302589B1 (it) * 1998-10-02 2000-09-29 St Microelectronics Srl Metodo per realizzare transistori hv ad alta tensione con estensionedi drain in un processo cmos di tipo dual gate con siliciuro
US6576517B1 (en) * 1998-12-31 2003-06-10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obtaining a multi-level ROM in an EEPROM process flow
JP3381147B2 (ja) * 1999-04-16 2003-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9813B1 (ko) * 2000-01-03 2002-01-09 윤종용 유비엠 언더컷을 개선한 솔더 범프의 형성 방법
US6559055B2 (en) * 2000-08-15 2003-05-06 Mosel Vitelic, Inc. Dummy structures that protect circuit elements during polishing
KR100375220B1 (ko) * 2000-10-12 200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 형성방법
JP3921363B2 (ja) * 2001-08-20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466194B1 (ko) * 2002-07-18 2005-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4682B2 (en) 2005-04-26
US20040266111A1 (en) 2004-12-30
DE10358769B4 (de) 2010-02-25
CN1577803A (zh) 2005-02-09
KR20050002089A (ko) 2005-01-07
JP2005026658A (ja) 2005-01-27
DE10358769A1 (de) 2005-02-10
TW200501337A (en) 2005-01-01
CN1285117C (zh) 2006-11-15
TWI240999B (en) 200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28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1166268B1 (ko) Dual-STI(Shallow TrenchIsolation)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2068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8578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86183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190059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영역 형성 방법
KR100289663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KR10067315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408863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 방법
KR20060008594A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5863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02411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5992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08198B1 (ko) 에스오아이 반도체 소자 분리 방법
KR0183887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영역 형성 방법
KR100524916B1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KR100565749B1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영역 및 그 제조방법
KR10036176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53828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 격리막 형성 방법
KR20050002418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1279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10110007A (ko) 반도체소자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KR20070113860A (ko) 플래시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3265A (ko) 리세스게이트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20050069585A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