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487B1 - 경화판별장치 - Google Patents

경화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487B1
KR100338487B1 KR1020000021985A KR20000021985A KR100338487B1 KR 100338487 B1 KR100338487 B1 KR 100338487B1 KR 1020000021985 A KR1020000021985 A KR 1020000021985A KR 20000021985 A KR20000021985 A KR 20000021985A KR 100338487 B1 KR100338487 B1 KR 10033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in
discriminating
cur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808A (ko
Inventor
히바리에이코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2000007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05Testing the surface pattern, e.g. relief

Abstract

유럽경화와 같이, 한쪽의 면의 패턴은 공통하고 있으나, 다른편의 면의 패턴이 다른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그 권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고,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한다.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1광원(7)과,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2광원(21)과, 제 1광원(7)에서 발하여져서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8)과,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메모리(50)와, 제 2광원에서 발하여져서 경화의 다른편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22)과,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패턴데이터 메모리(60)와,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데이터 메모리(42)와, 제 1패턴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시에, 제 2패턴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46)을 갖춘 경화판별장치.

Description

경화판별장치{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경화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경화의 표면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 및 경화의 권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즉 경화의 진위 및 유통경화인지 아닌지 및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기 위해, 종래는 경화의 지름, 재질, 두께 등을 검출하고 있었으나, 근래 판별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경화의 표면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경화를 판별하는 경화판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8-36661호 공보는, 경화통로에 설치되어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센서와, 경화통로에 설치된 투명통로부 위를 반송되는 경화에, 하편에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 등의 발광소자와, 발광수단에서 발해지고 경화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는 CCD를 갖추고, CCD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 디지털화 된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의 권종의 판별을 행하는 경화판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유럽의 통화통합에 의해 탄생한 유럽경화는, 권종마다 한쪽의 면에는 통일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편의 면에는 발행국에 의해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방은행 등에서 발행국마다의 경화로 분류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이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경화의 한쪽의 표면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고 경화의 판별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발행국마다 경화를 분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 이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경화의 한쪽의 표면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고 경화의 판별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패턴을 검출하지 않는 측의 경화표면이소정레벨을 넘어서 오손하고 있어도, 오손경화로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럽경화와 같이, 한쪽의 면의 패턴은 공통하고 있으나, 다른편의 면의 패턴이 다른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그 권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또한 경화가 소정레벨을 넘어서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되는 목적은,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1광원과,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2광원과, 상기 제 1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상기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2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갖춘 경화판별수단을 갖춘 경화판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별수단에 의해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시에,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으므로, 유럽경화와 같이 한쪽의 면의 패턴은 공통하고 있으나, 다른편의 면의 패턴이 다른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그 권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고, 발행국마다의 경화의 분류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발행국마다 경화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각각 컬러화상데이터를 생성가능한 컬러센서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판별수단이 또한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판별수단이 또한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또한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송하거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또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백색광을 발하는 제 1백색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백색광을 발하는 제 2백색광원과, 상기 제 1백색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컬러 센서수단과, 상기 제 1컬러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2백색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컬러 센서수단과, 상기 제 2컬러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제 1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제 2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또한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R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R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G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G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B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B성분광원과, 상기 제 1R성분광원, 제 1G성분광원 및 제 1B성분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포토 센서수단과, 상기 제 1포토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R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R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G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G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B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B성분광원과, 상기 제 2R성분광원, 상기 제 2G성분광원 및 상기 제 2B성분광원에서 발하여져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포토 센서수단과 제 2포토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상기 제 1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제 1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제 2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또한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또한 상기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광원의 상류측에 상기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센서와,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준자기 데이터메모리와, 상기 기준자기 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된 각 권종마다의 자기데이터와, 상기 자기센서가 검출한 상기 경화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각 권종마다의 경화면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1판별수단과,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1판별수단이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과,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1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2권종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2판별수단이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3권종 판별수단과, 상기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3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3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4권종 판별수단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제 1판별수단의 제 2권종 판별수단이 경화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한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제 2판별수단의 제 4권종 판별수단이 경화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한 제 1차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3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와의 비교 및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와의 비교를 신속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경화의 자기적 성질, 경화의 지름, 경화의 양면의 패턴에 의거하여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으므로, 판별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판별수단이 또한 상기 제 1판별수단의 제 2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와, 상기 제 2판별수단의 제 4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가 일치하였을 때에 상기 경화의 권종을 각각 판별한 권종과 판별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상기 경화를 수입불능으로 판별하는 권종판별수단을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권종판별수단에 의해 제 1판별수단의 판별결과와 제 2판별수단의 판별결과의 쌍방에 의거해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으므로, 판별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제 1판별수단이 경화의 한쪽의 면의 패턴데이터가 있는 권종의 표면의 패턴과 일치하였다고 판별하고, 제 2판별수단이 경화의 다른편의 면의 패턴데이터가 그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패턴과 일치하였다고 판별한 경우, 유럽경화의 경우에는,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의 한쪽이, 통일한 패턴이 경화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의 다른편이, 발행국의 하나의 패턴이 경화의 다른편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 경우에 한해서, 경화가 수입가능하며 그 권종의 경화로 판별하고 있으므로, 판별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대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의 대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투명통로부 근방의 상세를 나타내는 대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제 2판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제 3판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제 2판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제 3판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중심좌표 결정부에 의해 실행되는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의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컬러센서에 의해 생성되고,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에 의해, 도 11에 나타낸 패턴데이터가 rθ좌표계에 좌표변환되어서, 생성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rθ좌표계에, 전개된 경화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 r0의 도 12에 나타낸 변환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한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 r0의 도 13에 나타낸 기준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한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고쳐 전개된 변환패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대략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9는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경화판별장치의 대략 정면도이다.
도 21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에 있어서의 제 1LED광원, 제 2LED광원, 제 3LED광원 및 포토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대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1LED광원, 제 2LED광원 및 제 3LED광원의 발광타이밍을 나타내는차트이다.
도 23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4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화 2. 경화통로
3. 제 1투명통로부 3a. 반송벨트
4. 제 2투명통로부 4a. 반송벨트
4b. 백업롤러 4c. 백업롤러
5. 가이드레일 6. 자기센서
7. 제 1발광수단 8.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
9. 발광소자 10.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
12. 렌즈계 13. 컬러센서
15. 발광소자 16. 수광소자
17. 타이밍센서 18. A/D컨버터
20.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 21. 제 2발광수단
22.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 23. 발광소자
24. 렌즈계 25. 컬러센서
26. 발광소자 27. 수광소자
28. 타이밍센서 29. A/D컨버터
30. 발광제어수단 31. 화상독해 제어수단
40.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 41.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
42.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 43. 제 1판별수단
44. 제 2판별수단 45. 제 3판별수단
46. 권종결정수단 50.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
51. 제 1권종 판별부 52. 경화오손도 판별부
53. 제 2권종 판별부 54. 중심좌표 결정부
55. 2치화데이터 생성부 56. 권종결정부
60.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 61. 제 1권종 판별부
62. 경화오손도 판별부 63. 제 2권종 판별부
64. 중심좌표 결정부 65. 2치화데이터 생성부
66. 권종결정부 70.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
71. 패턴데이터 변환수단 72. 패턴데이터 비교수단
76. 패턴데이터 변환수단 77. 패턴데이터 비교수단
80. CCD 81. CCD
90.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 91. 제 3투명 통로부
92. 백색광원 93. 컬러센서
94. 타이밍센서 95. 발광제어수단
96. 화상독해 제어수단 100.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
101. 제 4투명 통로부 102. 백색광원
103. 컬러센서 104. 타이밍센서
105. 발광제어수단 106. 화상독해 제어수단
110. A/D컨버터 111. 컬러데이터 메모리
112. 기준데이터 메모리 116. 경화오손도 판별부
120. A/D컨버터 121. 컬러데이터 메모리
126. 경화오손도 판별부 130. 제 1LED광원
131. 제 2LED광원 132. 제 3LED광원
134. 포토센서 135. R데이터 메모리
136. G데이터 메모리 137. B데이터 메모리
139. 경화오손도 판별부 140. 제 1LED광원
141. 제 2LED광원 142. 제 3LED광원
144. 포토센서 145. R데이터 메모리
146. G데이터 메모리 147. B데이터 메모리
149. 경화오손도 판별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대략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1)가 반송되는 경화통로(2)에는, 빛이 투과 가능한 유리, 아크릴수지 등으로 되는 투명재료에 의해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3)와 제 2투명통로부(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3)의 대략 평면도이고, 도 3은 제 1투명통로부(3) 근방의 상세를 나타내는 대략 측면도이
도 2 및 도 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경화(1)는 반송벨트(3a)에 의해, 한쌍의 가이드레일(5, 5)에 따라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경화통로(2) 내를 제 1투명통로부(3)에 보내진다. 경화(1)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제 1투명통로부(3)의 상류측에는,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한쌍의 자기센서(6, 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투명통로부(3)의 부분에서는, 경화(1)는 반송벨트(3a)에 의해 제 1투명통로부(3)의 상면을 억누르면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투명통로부(3)의 하편에는, 제 1투명통로부(3)를 통과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하는 제 1발광수단(7)이 설치되고, 또한 그 하편에는 제 1발광수단(7)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이 설치되어 있다. 제 1발광수단(7)과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에 의해,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발광수단(7)은 도 2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투명통로부(3)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위에 배치된 다수의 LED 등의 발광소자(9)를 갖추고 있고, 각 발광소자(9)는 광축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이루고, 제 1투명통로부(3)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상의 소정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1투명통로부(3) 위를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은, 광축이 제 1투명통로부(3)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렌즈계(12)와, 렌즈계(12)의 하편에 설치되고, 그 초점이 제 1투명통로부(3)의 상표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광소자(9)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는 컬러센서(13)와,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서 얻어진 경화(1)의 하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경화(1)의 하면의 디지털화 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컨버터(도시생략)를 갖추고 있다. 컬러센서(13)로서는, 2차원 CCD타입의 컬러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의 바로 하류측에는, 발광소자(15)와 수광소자(16)로 이루는 2조의 타이밍센서(17, 17)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소자(15)에서 발하여진 빛이 제 1투명통로부(3)를 거쳐서, 수광소자(16)에 의해 수광 가능하고, 또한 수광소자(16)가 발광소자(15)에서 발하여진 빛을 수광하지 않을 때에, 타이미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센서(17)는, 발광소자(15)에서 발하여진 빛이 제 1투명통로부(3)의 표면상을 반송되는 경화(1)에 의해 차단되고, 수광소자(16)에 수광되지 않고, 타이미신호가 출력될 때에 경화(1)의 중심이 제 1투명통로부(6)의 중심과 합치하는 위치에 있는 것같이, 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제 1투명통로부(3)의 하류측에는 제 2투명통로부(4)가 설치되어 있고, 제 2투명통로부(4)의 상편에는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경화(1)는 반송벨트(4a)에 의해 제 2투명통로부(4)의 하면을 억누르면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벨트(4a)가 경화(1)의 자중에 의해 하편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백업롤러(4b, 4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은, 제 2투명통로부(4)의 상편에 설치되고, 제 2투명통로부(4)를 통과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하는 제 2발광수단(21)과 제 2투명통로부(4)의 상편에 설치되고, 제 2발광수단(21)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을 갖추고 있다. 제 2발광수단(21)은 제 2투명통로부(4)의 상편에 설치되고, 하편으로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발광수단(7)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 2투명통로부(4)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위에 배치된 다수의 LED 등의 발광소자(23)를 갖추고 있고, 각 발광소자(23)는 광축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이루고, 제 2투명통로부(4)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상의 소정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2투명통로부(4) 위를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은, 광축이 제 2투명통로부(4)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렌즈계(24)와 렌즈계(24)의 상편에 설치되고, 그 초점이 제 2투명통로부(4) 위를 통과하는 경화(1)의 상표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광소자(23)에서 발하여서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는 컬러센서(25)와,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서 얻어진 경화(1)의 상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경화(1)의 상면의 디지털화 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컨버터(도시생략)를 갖추고 있다. 컬러센서(25)로서는 2차원 CCD타입의 컬러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의 바로 하류측에는, 발광소자(26)와 수광소자(27)로 이루는 2조의 타이밍센서(28, 28)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소자(26)에서 발하여진 빛이 제 2투명통로부(4)를 거쳐서, 수광소자(27)에 의해 수광 가능하고, 또한 수광소자(27)가 발광소자(26)에서 발하여진 빛을 수광하지 않을 때에,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센서(28)는, 발광소자(26)에서 발하여진 빛이 제 2투명통로부(4)의 표면상을 반송되는 경화(1)에 의해 차단되고, 수광소자(27)에 수광되지 않고, 타이밍신호가 출력될 때에 경화(1)의 중심이 제 1투명통로부(6)의 중심과 합치하는 위치에 있는 것같이, 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판별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경화(1)가 제 1투명통로부(3)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2조의 타이밍센서(17, 17) 및 경화(1)가 제 2투명통로부(4)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2조의 타이밍센서(28, 28)를 갖추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17, 17)에서 타이밍신호를 받았을 때에, 발광수단(7)에 발광신호를 출력하여 빛을 발하게 하고, 제 1투명통로부(3)의 상표면에 위치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시키고, 타이밍센서(28, 28)에서 타이밍신호를 받았을 때에, 발광수단(21)에 발광신호를 출력하여 빛을 발하게 하고, 제 2투명통로부(3)의 상표면에 위치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시키는 발광제어수단(30)과, 타이밍센서(17, 17)에서 타이밍신호를 받았을 때에,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8)의 컬러센서(13)에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키고, 타이밍센서(28, 28)에서 타이밍신호를 받았을 때에,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의 컬러센서(25)에,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키는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을 갖추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와,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와, 각 권종의 경화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 “0”의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와, 자기센서(6, 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액세스하고,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와 자기센서(6, 6)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43)과, 제 1판별수단(44)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비율데이터 및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과 하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44)과, 제 1판별수단(43)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비율데이터 및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과 상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45)과,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경화(1)가 수입 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을 갖추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부호(48)는, 경화(1)가 수입 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뜻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판별수단(43)으로부터의 권종판별신호는 발광제어수단(30)에 출력되고, 발광제어수단(30)은 제 1판별수단(43)으로부터의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제 1판별수단(43)이 판별한 경화(1)의 권종에 의거하여, 발광소자(9) 및 발광소자(23)의 발광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는, 처리되어야 할 모든 권종의 표면 및 이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도 5는, 제 2판별수단(44)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제 2판별수단(44)은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고,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서 독출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1권종판별부(51)와,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제 1권종판별부(5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권종판별부(53)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R, G, B)에 대응하는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오손도를 판별하고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오손판별신호를 출력과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부(54)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2치화하여,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중심좌표 결정부(54)에서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의거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의 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에 따른 수의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수를 구하고, 다시 전 데이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구하고, 경화(1)의 하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와, 각 권종의 경화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대응하는 권종의 경화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에서 입력된 경화(1)의 하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가 수입 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권종결정신호를 출력하는 권종결정부(56)를 가지고 있다.
도 6은, 제 3판별수단(43)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제 3판별수단(45)은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고,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서 독출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 및 제 1권종판별부(6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권종판별부(63)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제 2권종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오손도를 판별하고,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오손판별신호를 출력과는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부(64)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2치화하여,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중심좌표 결정부(64)에서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의거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의 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에 따른 수의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수를 구하고, 다시 전 데이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구하고, 경화(1)의 상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데이터 생성부(65)와, 각 권종의 경화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대응하는 권종의 경화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데이터 생성부(65)에서 입력된 경화(1)의 상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가 수입 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결정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출력하는 권종결정부(66)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는, 이하와 같이하여, 경화(1)가 수입 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경화(1)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 5)에 따라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경화통로(2) 내에 보내지고, 한쌍의 자기센서(6, 6)에 의해 그 자기적 성질이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가 제 1판별수단(43)에 출력된다.
제 1판별수단(43)은, 자기센서(6, 6)에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액세스하고,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독출하고, 자기센서(6, 6)에서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제 2판별수단(44), 제 3판별수단(45) 및 발광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또한, 경화(1)가 경화통로(2) 내를 제 1투명통로부(3)에 보내지고, 타이밍센서(17)의 발광소자(15)에서 발하여진 빛을 차단하고, 수광소자(16)가 발광소자(15)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발광제어수단(30)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출력된다.
발광제어수단(30),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발광수단(7)에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발광소자(9)에서 제 1투명통로부(3)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화(1)의 하측표면으로 향해서,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에 따른 광량의 빛을 발광시킨다. 여기에 제 1판별수단(43)에 의한 경화(1)의 권종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발광소자(9)의 발광량을 제어하고 있는 것은, 경화(1)의 재질에 의해 반사량이 다르고, 상시 동일 광량의 빛을 경화(1)에 조사할 때는, 정밀도 좋고 경화(1)의 화상패턴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백통(白銅)이나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조사하는 빛의 광량이 높으면 컬러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전체로서 많아져서 포화하고,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빛을 검출함으로써, 경화(1)의 표면의 패턴에 따른 2치화데이터를 정밀도 좋게 생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다른편 동이나 황동 등 빛의 반사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조사하는 빛의 광량이 낮을 때는 반사광의 광량이 지나치게 작아서, 경화(1)의 화상패턴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없으므로,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1)가 백통(白銅)이나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발광제어수단(30)은 발광소자(9)가 강도가 작은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수단(7)에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다른편,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1)가 동이나 황동 등의 빛의 반사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는 경우에는, 발광제어수단(30)은 발광소자(9)가 강도가 큰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제어수단(30)이 구성되어 있다.
또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1화상데이터 생성수단(9)의 컬러센서(13)에 발광소자(10)에서 발해지고, 경화(1)의 하측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킨다.
발광수단(7)은, 제 1투명통로부(3) 상을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화(1)의 하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빛은 반사된다.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빛은, 렌즈계(12)에 의해 컬러센서(13)에 유도되어서,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컬러센서(13)에 의해 생성된다. 컬러센서(13)에 의해 생성된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화 되고, 디지털화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2판별수단(44)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내에 직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다.
제 2판별수단(44)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기억되면,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경화(1)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53)에 출력한다. 여기에 권종이 달라도 지름이 약간밖에 틀리지 않는 경화가 있고, 약간 지름이 큰 경화가 마모한 경우 등에는, 지름이 거의 일치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지름을 검출함으로써 정확히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경화(1)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53)에 출력하는 동시에,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에 의해,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53)에 출력하고, 이들의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1판별수단(43) 및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수입불능의 경화라고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가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하나로 결정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제 2권종 판별부(53)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경화(1)가 수입가능한 경화인데도 불구하고, 제 2권종 판별부(53)에 있어서 경화(1)가 수입불능으로 판별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는, 검출된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가장 지름이 가까운 권종 및 2번째로 지름이 가까운 권종을 선택하여, 제 2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5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 판별부(53)는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제 1판별수단(43)과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는, 권종판별신호를 경화오손도 판별부(52), 2치화데이터 생성부(55) 및 권종결정부(56)에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1)는 위조화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이라고 판별하고 표시수단에 수입불능신호를 출력한다.
또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되어 있는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고,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는 동시에,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 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 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고, 산출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화(1)의 표면의 색이 변화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의 차가 소정레벨을 초과하게 되고, 또 경화(1)의 표면이 검게되어 경화(1)의 명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가 소정레벨을 초과하게 되므로,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오손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판별수단(46)에 출력한다. 동시에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표시수단에 오손판별신호를 출력하고, 그 뜻을 표시시킨다.
다른편, 중심좌표 결정부(54)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내에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여,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에 출력한다. 2치화데이터 생성부(55)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2치화하고,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중심좌표 결정부(54)에서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의거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의 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에 따른 수의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수를 구하고, 전 데이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구하고, 경화(1)의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고, 권종결정부(56)에 출력한다.
권종결정부(56)는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권종판별신호를 받으면,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액세스하여,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기억된 기준비율데이터 중에서,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신호에 따라서, 먼저 대응하는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에서 입력된 비율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경화(1)의 권종의 판별에 있어서, 권종결정부(56)는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에서 입력된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i=1∼n, n은 경화(1)의 환상영역의 수이며, 권종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다)를 구하고,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미리 정해진 소정치(D0)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경화(1)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미만일 때에는, 권종결정부(56)는 다시 기준비율데이터와 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를 경화(1)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모든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에 걸쳐서 적분하고, 얻어진 적분치(I)가 미리 정해진 소정치(I0)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적분치(I)가 소정치(I0) 미만일 때는, 권종결정부(56)는, 경화(1)는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또한, 경화(1)의 권종이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고 있으면, 이론상은 절대치(Di) 및 적분치(I)는 제로로 될 것이나, 경화(1)의 표면이 마모하거나 혹은 검출오차 등에 의해, 권종이 일치하고 있어도 제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Di가 DO미만이고, 또한 I가 IO미만일 때는, 경화(1)가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경화라고 판별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경화(1)의 적어도 하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이상일 때, 혹은 경화(1)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미만이긴 하나, 적분치(I)가 소정치(I0) 이상일 때는, 경화(1)의 권종이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경화(1)를 상시 그 표면이 위를 향하도록 반송할 수는 없고, 경화(1)의 표면이 하향으로 되어서 경화통로(2) 내에 보내지고, 경화(1)의 표면측의 표면패턴이 컬러센서(13)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경화(1)의 검출비율데이터가,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와 일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여, 바로 그 경화(1)가 위조화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이라고 판정하는 것은 판별정밀도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된다.
그래서, 권종결정부(56)는 다시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미리 정한 소정치(D0)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경화(1)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미만일 때에는, 권종결정부(56)는 다시 기준데이터와 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를 경화(1)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모든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에 걸쳐서 적분하고, 얻어진 적분치(I)가 미리 정한 소정치(I0)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적분치(I)가 소정치(I0) 미만일 때는, 권종결정부(56)는, 경화(1)는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이에 대하여, 경화(1)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이상일 때, 혹은 경화(1)의 표면의 모든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와의 차의 절대치(Di)가 소정치(D0) 미만이나, 적분치(I)가 소정치(I0) 이상일 때는, 유통경화 중에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 및 지름이 가장 근사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비율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경화(1)의 표면 및 이면의 표면패턴이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패턴과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경화(1)는 위조화이거나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권종결정부(56)는 표시수단(48)에 수입불능 경화신홀를 출력하고, 경화(1)가 수입불능인 뜻을 표시시킨다.
다른편, 경화(1)가 수입불능으로 판별하였을 때는, 권종결정부(56)는 권종결정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한다.
또한, 경화(1)가 경화통로(2) 내를 제 2투명통로부(4)에 보내지고, 타이밍센서(28)의 발광소자(26)에서 발하여진 빛을 차단하고, 수광소자(27)가 발광소자(26)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발광제어수단(30)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출력된다.
발광제어수단(30)은,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발광수단(21)에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발광소자(23)에서 제 2투명통로부(4)에 위치하고 있는 경화(1)의 상측표면으로 향해서,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에 따른 광량의 빛을 조사시킨다.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의 컬러센서(25)에 발광소자(23)에서 발해져서, 경화(1)의 상측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킨다.
여기서 발광소자(23)의 발광량은, 제 1발광수단(7)의 발광소자(8)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발광제어수단(3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발광수단(21)은, 제 2투명통로부(4) 상을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화(1)의 상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빛은 반사된다.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빛은, 렌즈계(24)에 의해 컬러센서(25)에 인도되어서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컬러센서(25)에 의해 생성된다. 컬러센서(25)에 의해 생성된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 되고, 디지털화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3판별수단(45)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 내에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다.
제 3판별수단(45)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기억되면, 제 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판별부(61)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경화(1)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판별부(63)에 출력한다. 여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판별부(61)는, 검출된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가장 지름이 가까운 권종 및 2번째로 지름이 가까운 권종의 2개의 권종을 선택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판별부(6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제 1권종판별부(6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판별부(63)는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제 1판별수단(43) 및 제 1권종판별부(61)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는, 권종판별신호를 경화오손도 판별부(62), 2치화데이터 생성부(65) 및 권종결정부(66)에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1)는 위조화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이라고 판별하여 표시수단(48)에 수입불능신호를 출력한다.
또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기억되어 있는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고,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상출하는 동시에,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고, 경화오손도 판별부(5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고, 산출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오손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한다. 동시에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오손판별신호를 표시수단에 출력하고, 그 뜻을 표시시킨다.
다른편, 중심좌표 결정부(64)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 내에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여, 2치화데이터 생성부(65)에 출력한다. 2치화데이터 생성부(65)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2치화하고,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중심좌표 결정부(64)에서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의거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의 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에 따른 수의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수를 구하고, 전 데이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구하고, 경화(1)의 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 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고, 권종결정부(66)에 출력한다.
권종결정부(66)는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권종판별신호를 받으면,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액세스하여, 제 3기준데이터 메모리(42)에 기억된 기준비율데이터 중에서,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신호에 따라서, 먼저 대응하는 권종의 경화의 표리 양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데이터 생성부(55)에서 입력된 비율데이터와 비교하여, 제 2판별수단(44)의 권종결정부(56)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가 위조화이거나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으로 판정하였을 때는, 권종결정부(66)는 표시수단(48)에 수입불능 경화신호를 출력하여, 경화(1)가 수입불능이라는 뜻을 표시시키고, 다른편 경화(1)가 수입가능이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권종결정부(66)는 권종결정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한다.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자기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 제 2판별수단(44)의 권종결정부(56)에서 입력된 경화의 지름데이터 및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한 권종결정신호, 경화오손도 판별부(52)에서 입력되는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에 의거한 오손판별신호의 유무, 제 3판별수단(45)의 권종결정부(66)에서 입력된 경화의 지름데이터 및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한 권종결정신호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에서 입력되는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에 의거한 오손판별신호의 유무에 의거하여,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이 판별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경화(1)는 그 권종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화(1)는, 위조화이거나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으로 판정하고 표시수단(48)에 수입불능 경화신호를 출력하여, 경화(1)가 수입불능이라는 뜻을 표시시킨다. 즉,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예를 들면 제 2판별수단(44)이 경화(1)의 하면의 패턴데이터가 있는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패턴과 일치한다고 판별하고, 제 3판별수단(45)이 경화(1)의 상면의 패턴데이터가 그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패턴과 일치하다고 판별한 경우, 혹은 유럽경화일 때에는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한쪽이, 통일한 패턴이 경화(1)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고,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타편이 발행국의 하나의 패턴이 경화(1)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 경우이며, 이렇게 하여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과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그 경화(1)가 수입가능이며, 그 경화(1)의 권종은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이 판별한 권종이라고 판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경화(1)는 수입불능한 경화라고 판별한다.
이렇게 하여, 수입불능이라고 판별된 경화는 선별되고, 수입가능이라고 판별된 경화와는 별개로 회수되고, 또 수입가능한 경화라도 적어도 한쪽의 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화도,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와는 별개로 회수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1)의 양면의 패턴을 검출하고,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기 때문에, 권종마다 한쪽의 면에는 통일한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면에는 발행국에 의해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경화를 필요에 따라서, 발행국마다의 경화로 분류할 수 있다. 또 경화(1)의 양면의 패턴을 검출하고,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경화표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경우에, 확실히 오손경화라고 판별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자기센서(6, 6)가 검출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하여,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판별부(51)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양자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추정하고, 권종결정부(56)에 의해 경화(1)의 패턴을 제 1권종판별부(51)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기준데이터와만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다시 제 3판별수단(45)에 의해 제 2판별수단(44)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권종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할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판별시간을 단축하여 정밀도좋게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반사율이 낮을 때에는, 발광소자(9, 23)에서 경화(1)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커지도록, 다른쪽의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반사율이 높을 때에는, 발광소자(9, 23)에서 경화(1)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1)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되는지 혹은 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되는지에 불구하고, 상시 경화(1)의 표면패턴에 따른 2치화데이터를 생성하여 정밀도 좋게,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패턴데이터군 내의 테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산출하여 얻어진 비율데이터를, 미리 구한 기준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경화가 기준위치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도, 얻어진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 영역데이터를 회전시켜서,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할 필요가 없고, 보다 단시간으로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상기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타이밍센서(17, 28) 및 화상데이터 생성수단(8, 22)을 갖추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상기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발광제어수단(30)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을 갖추고 있다. 상기 실시양태와는 달라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판별수단(43)으로부터의 권종판별신호는 발광제어수단(30)에는 입력되지 않고,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입력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각 권종의 경화의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와,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와, 경화(1)의 권종별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과, 자기센서(6, 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액세스하고,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와 자기센서(6, 6)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43)과, 제 1판별수단(43)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패턴데이터 및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과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44)과, 제 1판별수단(43)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패턴데이터 및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과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45)과,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을 갖추고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은 권종마다의 경화(1)의 양면의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고 있다.
도 8은, 제 2판별수단(44)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제 2판별수단(44)은 컬러센서(1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고,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1)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서 독출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1권종판별부(51)와,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제 1권종판별부(5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권종판별부(53)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부(54)와, 중심좌표 결정부(54)에 의해 산출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의거하여, 패턴데이터를 극좌표계, 즉 rθ좌표계에 좌표변환하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에 의해 rθ좌표계에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70)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와를 비교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는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을 갖추고 있다.
도 9는, 제 3판별수단(45)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제 3판별수단(45)은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고,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서 독출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1권종판별부(61)와,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제 1권종판별부(6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권종판별부(63)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제 2권종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제 2권종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부(64)와, 중심좌표 결정부(64)에 의해 산출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의거하여, 패턴데이터를 극좌표계, 즉 rθ좌표계에 좌표변환하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6)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6)에 의해 rθ좌표계에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70)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는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을 갖추고 있다.
도 10은, 중심좌표 결정부(54)에 의해 실행되는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의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는 컬러센서(13)에 의해 생성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가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되어 있고, 중심좌표 결정부(54)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패턴데이터의 y좌표가 yO인 경계데이터(a1, a2)의 x좌표(x1, x2)를 구하여서, 경계데이터(a1, a2)의 중앙의 데이터(a0)의 x좌표(xc=x1 + x2)/2를 구한다. 이어서, 중심좌표 결정부(54)는 가상적으로 데이터(a0)에서, 경계데이터(a1, a2)를 잇는 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을 긋고, 이 직선과 패턴데이터가 교차하는 경계데이터(b1, b2)의 y좌표(y!, y2)를 구하여서, 경계데이터(b1, b2)의 중앙의 데이터(0)의 y좌표(yc=y1 + y2)/2를 구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데이터(0)의 좌표(xc, yc)는, xy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가 되고, 데이터(0)은 xy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이 된다.
중심좌표 결정부(64)에 의해 실행되는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의 산출방법도 전적으로 동일하다.
도 11은, 컬러센서(13)에 의해 생성되고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2는 중심좌표 결정부(54)에 의해 산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의거하여,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에 의해 도 11에 나타낸 패턴데이터가,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되어서 생성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종축은 xy좌표계에 있어서의 데이터중심(0)로부터의 거리(r)이며, 횡축은 데이터중심(0) 주위의 각도(θ)이다. 컬러센서(25)에 의해 생성되고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도 예를 동일하며,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6)에 의해 패턴데이터가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되어서 생성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도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에 의해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는,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입력된다. 다른편, 제 2권종판별부(53)가 생성한 권종판별신호는,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에 입력되고,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은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기억하고 있는 rθ좌표계에 전개된 경화의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패턴데이터를선택하여,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출력한다.
제 3판별수단(45)에 있어서의 패턴데이터의 처리도, 제 2판별수단(44)에 있어서의 패턴데이터의 처리도 동일하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rθ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2에 나타낸 패턴데이터와 대응하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패턴데이터는, 중심좌표 결정부(54)에 의해 산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의거하여,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에 의해 xy좌표계의 패턴데이터가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되어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종좌표축 즉, r좌표축의 제로점은, 도 13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제로점과 일치하고 있으나, 판별하여야 할 경화(1)의 위치는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였을 때의 경화(1)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오프셋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므로, θ값이 동일하여도 도 12의 변환패턴데이터와, 도 13의 기준패턴데이터와는 경화(1)의 다른 부분의 데이터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 12의 변환패턴데이터와 도 13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그 대로 비교하여도,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것은 할 수 없고, θ축방향의 변환패턴데이터의 제로점이 θ축방향의 변환패턴데이터의 횡축의 제로점과 일치하도록 변환패턴데이터를 보정한 위에서, 양자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도 12에 표시된 변환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r0)의 패턴데이터값, 즉 종좌표값이 소장의 값(r0)과 같은 패턴데이터값을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하는 동시에, 도 12에 표시된 기준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r0)의 패턴데이터값, 즉 종좌표값이 소장의 값(r0)과 같은 패턴데이터값을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경화(1)의 둘레방향의 오프셋에 기인한 변환패턴데이터의 엇갈림을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r0)의 도 12에 표시된 변환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한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5는 데이터중심에서 소정의 거리(r0)의 도 13에 표시된 기준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한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종축은 데이터값이고, 횡축은 각도(θ)이다.
여기서, 경화(1)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5, 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경화통로(3) 내에 보내지므로, 경화(1)의 중심은 제 1투명 통로부(3) 상의 일정한 위치를 통과한다. 그렇지만 경화(1)의 위치는,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였을 때의 경화(1)의 위치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오프셋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며, 따라서 θ값이 동일하여도, 도 12의 패턴데이터의 값과 도 13의 기준패턴데이터의 값과는, 경화(1)의 다른 부분의 데이터이므로, 비교를 행하기 전에 θ축방향의 변환패턴데이터의 제로점이 θ축방향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제로점과 일치하도록, 변환패턴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도 14의 변환패턴데이터의 값 및 기준패턴데이터의 값이 최대가 되는 θ값(θ1 및 θ2)을 각각 구하고, θ1이 θ2와 같아지도록 도 11에 표시된 변환패턴데이터를 전개하여 고친다. 도 16은. 이렇게하여 전개가 고쳐진 변환패턴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이상과 같이하여 전개가 고쳐지고, 도 13에 표시된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따라서, 경화(1)가 제 2권종 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인지, 혹은 수입불능한 경화인지를 판정한다.
제 3판별수단(45)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에 의한 변환패턴데이터의 재전개 처리도, 제 2판별수단(44)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있어서의 처리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는, 이하와 같이하여 경화의 판별을 행한다.
경화(1)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5, 5)에 따라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경화통로(2) 내에 보내고, 한 쌍의 자기센서(6, 6)에 의해 그 자기적 성질이 검출되고, 검출신호가 제 1판별수단(43)에 출력된다.
제 1판별수단(43)은 자기센서(6, 6)에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독출하고, 자기센서(6, 6)에서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권종판별신호를 제 2판별수단(44), 제 3판별수단(45)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출력한다.
또한, 경화(1)가 경화통로(3) 내를 제 1투명 통로부(3)에 보내져서, 타이밍센서(17)의 발광소자(15)에서 발하여진 빛을 차단하고, 수광소자(16)가발광소자(15)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발광제어수단(30)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출력된다.
발광제어수단(30)은,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수단(7)에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발광소자(9)에서 제 1투명 통로부(3)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화(1)의 하측 표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광시킨다.
또,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경화(1)가 백통이나 알루미늄 등의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는 권종의 경화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소정시간 경과 후에 컬러센서(13)에 독해개시신호를 출력하여 경화(1)의 반사광의 독해를 개시시키고, 다른편 경화(1)가 동이나 황동 등 빛의 반사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바로 컬러센서(13)에 독해개시신호를 출력하여 경화(1)의 반사광의 독해를 개시시킨다. 여기에, 제 1판별수단(43)에 의한 경화(1)의 권종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컬러센서(13)의 독해개시시기를 제어하고 있는 것은, 경화(1)의 재질에 의해 반사량이 다르고, 상시 동일한 광량의 빛을 경화(1)에 조사할 때는, 정말도 좋게 경화(1)의 화상패턴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백통이나 알루미늄 등의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빛의 수관시간이 길면, 컬러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전체로서 많아져서 포화하고,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빛을 검출함으로써,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을 정말도 좋게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다른편 동이나 황동 등 빛의 반사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빛을 수광하는 시간이 짧을 때는 수광되는반사광의 광량이 지나치게 작아서,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을 정말도 좋게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1)가 백통이나 알루미늄 등의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는 경우에는,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컬러센서(13)가 경화(1)의 반사빛을 검출하는 시간을 짧게 하고, 다른편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1)가 동이나 황동 등 빛의 반사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는 경화의 경우에는,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컬러센서(13)가 경화(1)의 반사빛을 검출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양의 반사빛을 컬러센서(13)에 수광시키도록, 화상독해 제어수단(26)이 구성되어 있다.
컬러센서(13)에 의해 생성되고, A/D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내에,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다. 도 11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기억되면,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판별부(51)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경화(1)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판별부(53)에 출력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판별부(51)는 검출된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가장 지름이 가까운 권종 및 2번째로 지름이 가까운 권종의 2개의 권종을 선택하여, 제 2판별신호를 제 2권종판별부(53)에 출력하도록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판별부(5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판별부(53)는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43)과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판별부(51)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는, 권종판별신호를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52)에 출력한다.
또,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상기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하여,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에 기억되어 있는 경화(1)의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는 동시에,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고,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고, 산출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오손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한다. 동시에 경화오손도 판별부(52)는, 오손판별신호를 표시수단에 출력하고, 그 뜻을 표시시킨다.
다른편, 중심좌표 결정부(54)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내에,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를 산출하고,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에 출력한다.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1)은, 중심좌표 결정부(54)에서 입력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의거하여,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내에,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에,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편,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제 2판별수단(44)의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신호에 의거하여,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이 기억하고 있는 rθ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선택하여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출력시킨다. 도 13은,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에서,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출력된 기준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화(1)를 회전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켜서 컬러센서(13)에 의해 패턴데이터를 생성할 수는 없고, 경화(1)는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였을 때의 경화(1)의 위치에 대하여, 통상 회전방향으로 오프셋하고 있으므로, 도 12 및 도 1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변환패턴데이터는 기준패턴데이터에 대하여, 통상 횡축, 즉 θ축방향으로 오프셋하고 있다. 따라서, 변환패턴데이터를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판별을 하기 위해서는, 경화(1)의 회전방향의 오프셋에 기인하는 변환패턴데이터의 θ축방향의 엇갈림을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도 12에 표시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종좌표값이, 소정값(r0)과 같은 패턴데이터값을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하는 동시에, 도 13에 표시된 기준패턴데이터의 종좌표값이, 소정값(r0)과 같은 패턴데이터값을 360도의 범위에 걸쳐서 독해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이렇게 하여 독해된 종좌표값이, r0의 변환패턴데이터 및 기준패턴데이터의 데이터값을 플롯하여 얻은 그래프이다.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다시 변환패턴데이터값 및 기준패턴데이터값이 최대값으로 되는 θ의 값을 각각 구한다. 이렇게 하여 구해진 θ의 값은, 도 14에 있어서는 θ1이며, 도 15에 있어서는 θ2이다.
이렇게 하여, θ1 및 θ2가 구해지면,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θ1이 θ2와 같아지도록, 변환패턴데이터를 전개를 다시 한다. 도 16은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 의해 전개가 다시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개가 다시된 변환패턴데이터는, 경화(1)의 회전방향의 오프셋에 기인하는 엇갈림이 보정되어 있으므로, 기준패턴데이터와 패턴매칭함으로써, 경화(1)가 제 2판별수간(44)의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같은 판별의 경화인지, 위도화, 외국경화 등의 수입불능 경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경화(1)를 상시 한쪽의 면이 위를 향하도록 반송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화(1)가 그 이면이 위를 향하도록 반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개가 다시된 변환패턴데이터는, 제 2판별수단(44)의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개가 다시된 변환패턴데이터가 제 2판별수단(44)의 제 2권종판별부(5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따라서, 선택한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여, 위조화 혹은 외국경화로 판별할 때는, 경화의 판별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먼저 변환패턴데이터를 제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변환패턴데이터를 그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1)가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임시로 결정된 권종과 같은 권종의 경화인지, 위조화 등의 수입불능 경화인지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경화(1)가 수입불능 경화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표시수단(48)에 그 뜻을 표시시키고, 경화(1)가 제 2판별수단(44)의 제 2권종판별부(5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같은 권종의 경화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경화(1)가 경화통로(2) 내를 제 2투명 통로부(4)에 보내져서, 타이밍센서(17)의 발광소자(26)에서 발하여진 빛을 차단하고, 수광소자(27)가 발광소자(26)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발광제어수단(30)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31)에 출력된다.
발광제어수단(30)은, 타이밍센서(17)에서 타이밍신호를 받으면, 발광소자(23)에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발광소자(23)에서 제 2투명 통로부(4)에 위치하고 있는 경화(1)의 상측 표면으로 향해서 빛을 조사시킨다.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2화상데이터 생성수단(22)의 컬러센서(25)에, 발광소자(23)에서 발해해서 경화(1)의 상측 표면에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킨다.
또, 화상독해 제어수단(31)은, 타이밍센서(28)에서 타이밍신호가 입력되면,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경화(1)의 재질에 따라서컬러센서(13)의 독해 개시시기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컬러센서(25)의 독해 개시시기를 제어한다.
발광수단(21)은 제 2투명 통로부(4) 상을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화(1)의 하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빛은 반사된다.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빛은, 렌즈계(24)에 의해 컬러센서(25)에 유도되어서, 컬러센서(25)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사되고,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컬러센서(25)에 의해 생성된다. 컬러센서(25)에 의해 생성된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컨버터(29)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디지털화 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3판별수단(45)의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 내에,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다.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기억되면, 제 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 판별부(61)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경화(1)의 지름에 관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63)에 출력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 판별부(61)는, 검출된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가장 지름이 가까운 권종 및 2번째로 지름이 가까운 권종의 2개의 권종을 선택하여, 제 2판별신호를 제 2권종 판별부(6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3판별수단(45)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 및 제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 판별부(61)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권종 판별부(63)는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여, 제 1판별수단(43)과 제 3판별수단(45)의 제 1권종 판별부(61)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는, 권종판별신호를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에 출력한다.
또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상기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하여,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에 기억되어 있는 경화(1)의 상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여,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R, G,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는 동시에, 제 2권종 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41)에 액세스하여 제 2권종 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고, 산출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오손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한다. 동시에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오손판별신호를 표시수단(48)에 출력하고 그 뜻을 표시시킨다.
다른편, 중심좌표결정부(64)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 내에,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를 산출하여,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6)에 출력한다.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6)은, 중심좌표결정부(64)에서 입력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의거하여,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0) 내에, xy좌표계에 전개되어서 기억된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한다.
다른편,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은, 제 3판별수단(45)의 제 2권종 판별부(63)에서 입력된 권종신호에 의거하여, 기준패턴데이터 기억수단(70)이 기억하고 있는 rθ좌표계로 전개된 경화(1)의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선택하여,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에 출력시킨다.
제 3판별수단(45)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은, 제 2판별수단(44)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과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변환패턴데이터의 θ축방향의 엇갈림을 보정한 위에서, 변환패턴데이터를 전개를 다시하여 기준패턴데이터와 패턴매칭함으로써, 경화(1)가 제 3판별수단(45)의 제 2권종 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같은 권종의 경화인지, 위조화, 외국경화 등의 수입불능경화인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가 수입불능경화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은 표시수단(48)에 그 뜻을 표시시키고, 경화(1)가 제 3판별수단(45)의 제 2권종 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같은 권종의 경화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한다.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제 1판별수단(43)에서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 제 2판별수단(44)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2)에서 입력된 경화(1)의 지름데이터 및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 경화오손도 판별부(52)에서 입력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에 의거한 오손판별신호, 제 3판별수단(45)의 패턴데이터 비교수단(77)에서 입력된 경화(1)의 지름데이터 및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에서 입력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에 의거한 오손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이 판별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경화(1)는 그 권종이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화(1)는 위조화이거나 혹은 외국경화이며, 수입불능으로 판정하고, 표시수단에 수입불능 경화신호를 출력하고, 경화(1)가 수입불능이라는 뜻을 표시시킨다. 즉,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은 예를 들면, 제 2판별수단(44)이 경화(1)의 하면의 패턴데이터가 있는 권종의 경화 표면의 패턴데이터와 일치하였다고 판별하고, 제 3판별수단(45)이 경화(1)의 상면의 패턴데이터가 그 권종의 경화 이면의 패턴데이터와 일치하였다고 판별한 경우, 혹은 유럽경화일 때에는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한쪽이 통일한 패턴이 경화(1)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고,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타편이, 발행국의 하나의 패턴이 경화(1)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 경우이며, 이렇게 하여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권종과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그 경화(1)가 수입가능하며, 그 경화(1)의 권종은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이 판별한 권종이라고 판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경화(1)는 수입불능한 경화라고 판별한다.
이렇게 하여, 수입불능이라고 판별된 경화는 선별되고, 수입가능으로 판별된경화와는 별개로 회수되고, 또 수입가능한 경화라도 적어도 한쪽의 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화도,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와는 별개로 회수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1)의 양면의 패턴을 검출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인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기 때문에, 권종마다 한쪽의 면에는 통일한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면에는 발행국에 의해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경화를, 필요에 따라서 발행국마다의 경화로 분류할 수 있다. 또, 경화(1)의 양면의 패턴을 검출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경화표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경우에, 확실히 오손경화라고 판별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자기센서(6, 6)가 검출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하여, 제 1판별수단(43)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경화(1)의 지름에 의거하여 제 2판별수단(44)의 제 1권종 판별부(51)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양자의 판별결과에 의거 제 2권종 판별부(53)에 의해 경화(1)의 권종을 추정하고, 권종결정부(56)에 의해 경화(1)의 패턴데이터를 제 1권종 판별부(51)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기준데이터만 비교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또한 제 3판별수단(45)에 의해 제 2판별수단(44)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권종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할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판별시간을 단축하여, 정밀도 좋게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만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기 때문에, 본래는 위조화 혹은 외국경화이고, 수입불능한 경화임에도 불구하고, 가끔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패턴데이터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인 비율데이터가, 제 2권종 판별부(53, 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비율데이터와 일치할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경화(1)의 전면의 패턴을 검출하여 패턴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권종 판별부(53, 63)에 의해 판별된 권종의 기준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판별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1)의 판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종좌표치가 rO의 변환패턴데이터 및 기준패턴데이터의 데이터값이 최대로 될 때의 θ의 값(θ1 및 θ2)을 구하고, θ1이 θ2와 같아지도록 변환패턴데이터를 전개를 다시 하는 것만으로, 경화(1)의 회전방향의 오프셋에 기인하는 변환패턴데이터의 엇갈림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산시간을 단축하여 고속으로 경화(1)의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반사율이 낮을 때에는, 컬러센서(13, 25)의 경화(1)로부터의 반사광의 수광시간이 길게 되도록 하고, 다른편,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반사율이 높을 때에는, 컬러센서(13, 25)의 경화(1)로부터의 반사광의 수광시간이 짧게 되도록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1)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지, 혹은 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지에 불구하고, 상시 경화(1)의 표면패턴에 따른 변환패턴데이터를 생성하여, 정밀도 좋게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의 대략 정면도이다.
도 17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의 컬러센서(13)에 대신하여, 모노크로타입의 CCD(80)가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컬러센서(25)에 대신하여, 모노크로타입의 CCD(81)가 각각 사용되는 동시에,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하류측의 경화통로(2) 내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에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 경화오손도 판별부(62)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은, 오로지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이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1에 표시되는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에 있어서는, 제 1투명 통로부(3)의 상편에 경화(1)를 반송하는 반송벨트가 배치되고,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있어서는, 제 2투명통로부(4)의 하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에 있어서는, 제 3투명 통로부(91)의 상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고,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있어서는, 제 4투명 통로부(101)의 하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은 경화통로(2)에 형성된 제 3투명 통로부(91)의 하편에 백색광원(92)이 갖춰져 있고, 백색광원(92)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의 하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위치에, 단일 검출소자타입의 컬러센서(93)가 설치되어 있다.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은, 경화통로(2)에 형성된 제 4투명 통로부(101)의 상편에 백색광원(102)이 갖춰져 있고, 백색광원(102)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의 상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위치에, 단일 검출소자타입의 컬러센서(10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과 동일하게, 타이밍센서(94, 94) 및 타이밍센서(104, 1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검출계는, 타이밍센서(94, 94)를 갖추고 있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백색광원(92)을 제어하는 발광제어수단(95)과,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컬러센서(93)를 제어하는 화상독해 제어수단(96)을 갖추고 있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판별계는, 컬러센서(9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10)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경화(1)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를 기억하는 컬러데이터 메모리(111)와, 권종별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와, 컬러데이터 메모리(111)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하면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오손판별 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그 뜻을 표시시키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16)를 갖추고 있다.
도 19는,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검출계는, 타이밍센서(104, 104)를 갖추고 있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104, 10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백색광원(102)을 제어하는 발광제어수단(105)과, 타이밍센서(104, 10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컬러센서(103)를 제어하는 화상독해 제어수단(106)을 갖추고 있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판별계는, 컬러센서(10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20)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상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하면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오손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그 뜻을 표시시키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26)를 갖추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의해 아래와 같이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타이밍센서(94, 94)가 경화(1)를 검출하면, 검출신호가 발광제어수단(95)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96)에 출력된다.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으면, 발광제어수단(95)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백색광원(92)을 온하고, 화상독해 제어수단(96)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어수단(80)의 수빛을 개시시킨다.
백색광원(92)으로부터 발하여져서, 경화(1)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103)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컬러데이터가 생성된다. 컬러센서(80)가 생성한 컬러데이터는, A/D컨버터(110)에 의해, 디지털화 되고, 컬러데이터 메모리(111)에, 경화(1)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로서 기억된다.
경화오손도 판별부(116)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서 독출하는 동시에, 컬러데이터 메모리(111)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하면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색도데이터와 비교하고,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고, 다시 컬러데이터 메모리(111)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오손도 판별부(52),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하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의 하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16)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 및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도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 표시시킨다.
경화(1)가 다시 경화통로(2)내를 하류측으로 보내고, 타이밍센선(104, 104)가 경화(1)를 검출하면, 검출신호가 발광제어수단(105) 및 화상독해 제어수단(106)에 출력된다.
타이밍센서(104, 104)에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제어수단(105)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백색광원(102)을 온하고, 화상독해 제어수단(106)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컬러센서(81)의 수빛을 개시시킨다.
백색광원(102)에서 발하여져서, 경화(1)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81)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컬러데이터가 생성된다. 컬러센서(81)가 생성한 컬러데이터는, A/D컨버터(20)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121)에 경화(1)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로서 기억된다.
경화오손도 판별부(126)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서 독출하는 동시에, 컬러데이터 메모리(121)에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색도데이터와 비교하고, 색도데이터에 의거하여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고, 다시 컬러데이터 메모리(121)에 기억된 경화(1)의 상면의 컬러데이터 중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상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의 상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26)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 및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도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 표시시킨다.
권종이 다른 경화라도, 조성, 재질이 일치하고 따라서 색도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였을 때, 어느 권종에도 해당하는 것이 있을 수 있으나, 그 경우에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16)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126)는, 2 이상의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있어서는, 자기센서(6, 6)에 의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한 판별결과,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의한 경화(1)의 지름, 경화(1)의 표리면의 패턴에 의거한 판별결과에 더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116)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126)에서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기초해서,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이 최종적으로 판별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은,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의해 경화(1)의 양면의 패턴이 검출되고,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의해, 경화(1)의 표리면의 색도데이터가 검출되어서 판별되어 있기 때문에, 권종마다 한쪽 면에는 통일한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쪽 면에는 발행국에 의해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경화를 필요에 따라서, 발행국마다의 경화로 분류할 수 있다.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의해, 경화(1)의 양면에 대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경화표면이 소절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경우에, 확실히 오손경화로 판별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을 나타내는 경화판별장치의 약정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경화판별장치와 동일하게,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의 컬러센서(13)에 대신하여, 모노크로타입의 CCD(80)가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컬러센서(25)에 대신하여, 모노크로타입의 CCD(81)가 각각 사용되는 동시에,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하류측의 경화통로(2)내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에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 경화오손 도판별부(62)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은, 오로지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이 판별하는 것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에 있어서는, 제 1투명통로부(3)의 상편에 경화(1)를 반송하는 반송벨트가 배치되고,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있어서는, 제 2투명통로부(4)의 하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에 있어서는, 제 3투명통로부(91)의 상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고,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있어서는, 제 4투명통로부(101)의 하편에 반송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은,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과는 다르고, 백색광원(92)에 대신하여, R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1LED광원(130), G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2LED광원(131) 및 B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3LED광원(132)을 갖추고, 컬러센서(93)에 대신하여 포토센서(134)를 갖추고 있다. 또,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은,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과는 다르게 백색광원(102)에 대신하여, R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1LED광원(140), G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2LED광원(141) 및 B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3LED광원(142)을 갖추고, 컬러센서(103)에 대신하여 포토센서(144)를 갖추고 있다.
도 21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에 있어서 제 1LED광원(130), 제 2LED광원(131), 제 3LED광원(132) 및 포토센서(134)의 배치를 나타내는 약평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LED광원(130), 제 2LED광원(131) 및 제 3LED광원(132)은, 포토센서(134)의 주변에 120도의 각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동일 조건으로 경화(1)로부터의 반사광이 포토센서(134)에 입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제 1LED광원(130), 제 2LED광원(131) 및 제 3LED광원의 발광타이밍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LED광원(130)이 시간(T1 내지 T2)동안 온되어서, R성분의 빛에 의해 경화(1)의 하면이 조사되고, 반사광이 포토센서(134)에 의해 검출되고, 제 2LED광원(131)이 시간(T2 내지 T3)동안 온되어서, G성분의 빛에 의해 경화(1)의 하면이 조사되고, 반사광이 포토센서(134)에 의해 검출되고, 제 3LED광원(132)이 시간(T3 내지 T4)동안 온되어서, B성분의 빛에 의해 경화(1)의 하면이 조사되고, 반사광이 포토센서(134)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있어서의 제 1LED광원(140), 제 2LED광원(141), 제 3LED광원(142) 및 포토센서(144)의 배치도,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에 있어서와 동일하며,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있어서의 제 1LED광원(140), 제 2LED광원(141) 및 제 3LED광원(142)의 발광타이밍도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호오손도 판별유닛(100)에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과 동일하게, 타이밍센서(94, 94) 및 타이밍센서(104, 1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3은,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검출계는, 타이밍센서(94, 94)를 갖추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LED광원(130), 제 2LED광원(131) 및 제 3LED광원(132)을 제어하는 동시에,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토센서(134)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수단(98)을 갖추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판별계는, 포토센서(134)에 의해 경화(1)의 하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컨버터(110)에 의해 디지털화 되어서 생성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데이터의 R데이터를 기억하는 R데이터 메모리(135)와, G데이터를 기억하는 G데이터 메모리(136)와, B데이터를 기억하는 B데이터 메모리(137)와, 권종별 경화의 긴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와 R데이터 메모리(135)에 기억된 R데이터, G데이터 메모리(136)에 기억된 G데이터 및 B데이터 메모리(137)에 기억된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색도데이터와 비교하여,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는 동시에, R데이터 메모리(135)에 기억된 R데이터, G데이터 메모리(136)에 기억된 G데이터 및 B데이터 메모리(137)에 기억된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경화오손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 표시시키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39)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타이밍제어수단(98)에 의해, 제 1LED광원(130), 제 2LED광원(131), 제3LED광원(131) 및 포토센서(134)가 제어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일 타이밍제어수단(95)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R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1LED광원(130)으로부터 발하여지고,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포터센서(134)가 검출하여, A/D컨버터(110)에서 디지털화된 R데이터를 데이터메모리(135)에, G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2LED광원(131)에서 발해지고,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포토센서(134)가 검출하여, A/D컨버터(110)에서 디지털화된 G데이터를 G데이터 메모리(136)에, B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3LED광원(132)으로부터 발해지고, 경화(1)에 의해 반산된 빛을 포터센서(134)가 검출하여, A/D컨버터(110)에서 디지털화된 B데이터를 B데이터 메모리(137)에 각각 확실히 기억시키기 때문이다.
도 24는,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검출계는, 타이밍센서(104, 104)를 갖추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104, 10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LED광원(140), 제 2LED(141) 및 제 2LED광원(142)을 제어하는 동시에, 타이밍센서(104, 10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토센서(144)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수단(105)을 갖추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판별계는, 포토센서(144)에 의해, 경화(1)의 상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 A/D컨버터(120)에 의해 디지털화되어서 생성된 경화(1)의 상면의 화상데이터의 R데이터를 기억하는 R데이터 메모리(145)와, G데이터를 기억하는 G데이터 메모리(146)와, B데이터를 기억하는 B데이터 메모리(147)와, R데이터 메모리(145)에 기억된 R데이터, G데이터(146)에 기억된 G데이터 및 B데이터 메모리(147)에 기억된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색도데이터와 비교하여,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는 동시에, R데이터 메모리(145)에 기억된 R데이터, G데이터 메모리(146)에 기억된 G데이터 및 B데이터 메모리(147)에 기억된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고,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을 때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경화오손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표시시키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49)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타이밍 제어수단(105)에 의해, 제 1LED광원(140), 제 2LED광원(141), 제 3LED광원(142) 및 포토센서(144)가 제어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일타이밍 제어수단(105)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R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1LED광원(140)으로부터 발해지고,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포토센서(144)가 검출하여, A/D컨버터(120)에서 디지털화된 R데이터를 R데이터 메모리(145)에, G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2LED광원(141)에서 발하여서,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포토센서(144)가 검출하여, A/D컨버터(120)에서 디지털화된 G데이터를 G데이터 메모리(146)에, B성분에 대응하는 빛을 발하는 제 3LED광원(142)으로부터 발하여서,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포터센서(144)가 검출하고, A/D컨버터(120)에서 디지털화된 B데이터를 B데이터 메모리(147)에, 각각 확실히 기억시키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양태에 관계되는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의해, 이하와 같이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타이밍센서(94, 94)가 경화(1)를 검출하면, 검출신호가 타이밍 제어수단(95)에 출력된다.
타이밍센서(94, 94)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으면, 타이밍 제어수단(95)은 시간(T1에서 T2)까지의 사이, 제 1LED광원(130)을 온하고, 같은 타이밍으로 포토센서(134)의 수빛을 개시시킨다.
제 1LED광원(130)으로부터 발해져서, 경화(1)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포토센서(13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R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R데이터는 R데이터 메모리(135)에 기억된다.
시간(T2)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수단(95)은 제 1LED광원(130)을 오프하고, 시간(T2에서 T3까지)동안, 제 2LED의 광원(131)을 온한다.
제 2LED광원(131)으로부터 발해져서, 경화(1)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포토센서(13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G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G데이터는 G데이터 메모리(136)에 기억된다.
시간(T3)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수단(95)은, 제 2LED광원(131)을 오프하고, 시간(T3에서 T4까지)동안, 제 3LED광원(132)을 온한다.
제 3LED광원(132)에서 발해져서, 경화(1)의 하면에 의해 반사되 빛은 포토센서(13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B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B데이터는 B데이터 메모리(137)에 기억된다.
이렇게 하여, 경화(1)의 화상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가 각각 R데이터 메모리(135), G데이터 메모리(136) 및 B데이터 메모리(137)에 기억되면, 경화오손도 판별부(139)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로부터 독출하는 동시에, R데이터 메모리(135), G데이터 메모리(136) 및 B데이터 메모리(137)에서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를 독출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색도데이터와 비교하여,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고, 다시 R데이터 메모리(135), G데이터 메모리(136) 및 B데이터 메모리(137)로부터 독출한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화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경화(1)의 하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52), 경화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하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의 하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39)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 및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 표시시킨다.
경화(1)가 다시 경화통로(2)내를 하류측으로 보내져서, 타이밍센서(104, 104)가 경화(1)를 검출하면, 검출신호가 타이밍 제어수단(105)에 출력된다.
타이밍센서(104, 104)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수단(105)은, 시간(T1에서 T2까지)동안, 제 1LED광원(140)을 온하고, 같은 타이밍으로 포토센서(144)의 수광을 개시시킨다.
제 1LED광원(140)으로부터 발해져서, 경화(1)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포토센서(14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R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R데이터는 R데이터 메모리(145)에 기억된다.
시간(T2)에 있어서, 타이밍제어수단(105)는 제 1LED광원(140)을 오프하고,시간(T2에서 T3까지)동안, 제 2LED광원(141)을 온한다.
제 2LED광원(141)에서 발해져서, 경화(1)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포토센서(14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G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G데이터는 G데이터 메모리(146)에 기억된다.
시간(T3)에 있어서, 타이밍제어수단(105)은 제 2LED광원(141)을 오프하고, 시간(T3에서 T4까지)동안, 제 3LED광원(142)을 온한다.
제 3LED광원(142)에서 발해져서, 경화(1)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포토센서(14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B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B데이터는 B데이터 메모리(147)에 기억된다.
이렇게 하여,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가 각각 B데이터 메모리(145), G데이터 메모리(146) 및 B데이터 메모리(147)에 기억되면, 경화오손도 판별부(149)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로부터 독출하는 동시에, R데이터 메모리(145), G데이터 메모리(146) 및 B데이터 메모리(147)에서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를 독출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를 산출하여 기준색도데이터와 비교하고,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고, 다시 R데이터 메모리(145), G데이터 메모리(146) 및 B데이터 메모리(147)로부터 독출한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명도데이터를산출하고, 경화(1)의 상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고, 경도오손도 판별부(52), 경도오손도 판별부(62)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경화(1)의 상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경화(1)의 상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49)는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 및 표시수단(도시생략)에, 경화오손도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표시수단에 그 뜻을 표시시킨다.
권종이 다른 경화라도, 조성 재질이 일치하고 따라서 색도데이터에 의거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였을 때, 어느 권종에도 해당하는 것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도, 그 경우에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39)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149)는, 2이상의 권종판별신호를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에 있어서는, 자기센서(6, 6)에 의한 경화(1)의 전기적 성질에 의거한 판별결과,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의한 경화(1)의 지름, 경화(1)의 표리면의 패턴에 의거한 판별결과에 더하여, 경화오손도 판별부(139) 및 경화오손도 판별부(149)로부터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에 의거해서,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이 최종적으로 판별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은,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에 의해,경화(1)의 양면이 패턴이 검출되어서 판별되고 있기 때문에, 권종마다 한쪽의 면에는 통일한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면에는 발행국에 의해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경화를 필요에 따라서 발행국마다의 경화로 분류할 수 있다.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에 의해, 경화(1)의 양면에 대하여 경화(1)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경화표면이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 경우에, 확실히 오손경화로 판별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그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판별수단(43), 제 2판별수단(44) 및 제 3판별수단(45)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이,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1)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 3판별수단(45)의 권종결정부(66)에 제 2판별수단(44)의 판별결과를 입력시켜서, 제 3판별수단(45)의 권종결정부(66)의 판별결과와 제 2판별수단(44)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에만, 경화(1)가 수입가능하다고 판별한 권종의 경화(1)라면, 권종결정부(66)에 판별시키도록 구성되면 권종·수입가능 결정수단(46)를 설치하는 것은 반드시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의 하류측에,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설치되고,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하류측에,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이 설치되어 있으나,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과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을 경화통로(2)의 같은 위치에, 경화통로(2)를 끼우고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도, 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과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을 경화통로(2)의 같은 위치에, 경화통로(2)를 끼우고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도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타이밍센서(17, 28)의 한쪽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타이밍센서(94, 104)의 한쪽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양태 및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의 하류측에,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을 설치하고,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하류측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을 배치하고,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하류측에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을 설치하고 있으나,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의 하류측에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을 설치하고,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의 하류측에 제 2패턴데이터검출유닛(20)을 배치하고,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의 하류측에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경화통로(2)의 상편의 반송벨트(3a)에 의해, 경화(1)를 반송하면서 경화(1)의 하면의 패턴 및 색도 및 명도의 검출을 행하고,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의 오손도의 판별을 하고, 경화통로(2)의 상편의 반송벨트(4a)에 의해 경화(1)를 반송하면서, 경화(1)의 상면이 패턴 및 색도 및 명도의 검출을 행하고, 경화(1)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경화(1)의 권종 및 경화(1)의 오손도의 판별을 할 수 있고, 반송벨트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양태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컬러센서(93, 103), 포토센서(134, 144)로서 단일 검출소자타입의 것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백색광원(92, 102)을 상시 발광시켜서, 제 1LED광원(130, 140), 제 2LED광원(131, 141) 및 제 3LED광원(132, 142)를 시분할 발광시켜, 시간(T4) 이후도, 이들을 같은 타이밍으로 시분할 발광시키도록 하여, 경화(1)가 경화통로(3)의 소정위치로 반송되면, 경화(1)로부터의 반사광이 컬러센서(93, 103), 포토센서(134, 144)로 수광되도록 구성하고, 컬러센서(93, 103), 포토센서(134, 144)가 이 반사광을 상시 모니터함으로써, 타이밍센서(94, 94, 104, 104)를 생략 할 수도 있다.
또, 도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양태 및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경화오손도 판별부(116, 126, 139, 149)는 컬러센서(93, 103), 포토센서(134, 144)로부터 얻어진 경화(1)의 표리면의 컬러데이터에 의거해서,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유닛(10)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유닛(20)이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서 독출하여, 산출한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색도데이터에 의거한 권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표리면의 오손도를 판별하고 있으나, 제 1경화오손도 판별유닛(90) 및 제 2경화오손도 판별유닛(100)의 상류측의 경화통로(3)에 각각 자기센서를 설치하고, 자기센서에 의해 경화(1)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해서,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경화오손도 판별부(116, 126, 139, 149)가 자기센서로부터 검출신호에 따라서, 자기센서가 검출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 메모리(112)로부터 독출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도록 하여도 좋고, 더욱이는 컬러센서(93, 103), 포토센서(134, 144)로부터 얻어진 경화(1)의 표리면의 컬러데이터에만 의거해서, 경화오손도 판별부(116, 126, 139, 149)가 기준데이터 메모리(112)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타이밍센서(17, 17, 28, 28, 94, 94, 104, 104)가 경화(1)를 검출하였을 때에, 발광수단(7, 21), 백색광원(92, 102), 제 1LED광원(130, 140), 제 2LED광원(131, 141), 제 3LED광원(132, 142)에 발광신호를 출력하여 경화(1)에 빛을 조사하고,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컬러센서(13, 25, 93, 103), 포토센서(134, 144)가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발광수단(7, 21) 및 백색광원(92, 102)을 상시 발광시키고, 제 1LED광원(130, 140), 제 2LED광원(131, 141) 및 제 3LED광원(132, 142)를 시분할 발광시켜, 시간(T4) 이후도 이들을 같은 타이밍으로 시분할 발광시키도록 하여, 타이밍센서(17, 17, 28, 94, 94, 104, 104)가 경화(1)를 검출하였을 때에,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컬러센서(13, 25, 93, 103), 포토센서(134, 144))가 검출하고, 화상패턴데이터를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50, 60)에 기억시키고, 컬러데이터를 컬러데이터 메모리(111, 121)에 기억시키고, R데이터를 R데이터 메모리(135, 145)에, G데이터를 G데이터 메모리(136, 146)에, B데이터를 B데이터 메모리(137, 147)에 각각 기억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경화오손도 판별부(52, 62, 116, 126, 139, 149)는, 컬러센서(13, 25, 93, 103), 포토센서(134, 144)가 검출한 경화(1)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해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화(1)의 색도데이터는, 빛의 3원색(R, G, B)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 중, 2색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할 수 있고, 또 경화(1)의 명도데이터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 중 1색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도 경화(1)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를 모두 기억할 필요는 없고, 또 반드시도 경화(1)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를 모두 독출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단이란 반드시도 물리적수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수단의 기능이 2이상의 물리적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2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하나의 물리적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럽경화와 같이 한쪽의 면의 패턴은 공통하고 있으나, 다른쪽의 면의 패턴이 다른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그 권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여 오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1광원과, 반송되고 있는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을 발하는 제 2광원과, 상기 제 1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상기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2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권종마다의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각각 컬러화상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컬러센서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판별수단이 또한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다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백색광을 발하는 제 1백색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으로 향해서 백색광을 발하는 제 2백색광원과, 상기 제 1백색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컬러센서 수단과, 상기 제 1컬러센서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2백색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컬러센서 수단과, 상기 제 2컬러센서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컬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컬러화상데이터 중의 빛의 3원색에 대응하는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R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R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G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G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B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1B성분광원과, 상기 제 1R성분광원, 상기 제 1G성분광원, 제 1B성분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포토 센서수단과, 상기 제 1포토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R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R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G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G성분광원과,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으로 향해서 빛의 B성분의 빛을 발하는 제 2B성분광원과, 제 2R성분광원, 상기 제 2G성분광원 및 상기 제 2B성분광원에서 발하여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포토 센서수단과, 상기 제 2포토 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오손도 판별수단이 상기 제 1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1오손도 판별수단과, 상기 제 2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R화상데이터, G화상데이터 및 B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상기 기준색도데이터와 상기 기준명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오손도를 판별하는 제 2오손도 판별수단과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광원의 상류측에 상기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센서와, 각 권종마다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각 권종마다의 자기데이터와, 상기 자기센서가 검출한 상기 경화의 자기적 성질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차 권종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이, 각 권종마다의 경화의 면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과,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1판별수단이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한쪽의 면의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1권종 판별수단과, 상기 제 1차 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1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차 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1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한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2권종 판별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2판별수단이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의 지름에 따라서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3권종 판별수단과, 상기 제 1차 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3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차 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 및 상기 제 3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화상 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쪽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제 4권종 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이, 다시 제 1판별수단의 제 2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와, 상기 제 2판별수단의 제 4권종 판별수단의 판별결과가 일치하였을 때에, 상기 경화의권종을 각각 판별한 권종으로 판별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상기 경화를 수입불능으로 판별하는 권종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KR1020000021985A 1999-04-26 2000-04-25 경화판별장치 KR10033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827799A JP3652545B2 (ja) 1999-04-26 1999-04-26 硬貨判別装置
JP99-118277 199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808A KR20000071808A (ko) 2000-11-25
KR100338487B1 true KR100338487B1 (ko) 2002-05-30

Family

ID=1473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85A KR100338487B1 (ko) 1999-04-26 2000-04-25 경화판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8150B1 (ko)
EP (1) EP1049054B1 (ko)
JP (1) JP3652545B2 (ko)
KR (1) KR100338487B1 (ko)
CN (1) CN1123848C (ko)
DE (1) DE60042628D1 (ko)
HK (1) HK1032466A1 (ko)
TW (1) TW486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2547B2 (ja) * 1999-05-24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3652558B2 (ja) * 1999-08-17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3704551B2 (ja) * 1999-12-10 2005-10-12 日本ユニカ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種類識別装置
JP2001175912A (ja) * 1999-12-21 2001-06-29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判別装置
JP2001222732A (ja) * 2000-02-07 2001-08-17 Yunirekku:Kk 識別対象偏向装置
US6640956B1 (en) * 2000-09-05 2003-11-04 De La Rue Cash Systems, Inc. Method of coin detection and bag stopping for a coin sorter
TW544559B (en) * 2000-09-19 2003-08-01 Mitsubishi Motors Corp Failure diagnosis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of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system
FR2817376B1 (fr) * 2000-11-29 2003-01-10 Philippe Remoissene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qualite numismatique de pieces de monnaie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7044285B2 (en) * 2001-10-02 2006-05-16 Hidetoshi Takebayashi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coin discriminating method
JP4113393B2 (ja) * 2002-08-09 2008-07-0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4176611B2 (ja) * 2003-10-20 2008-11-0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DE102005028669A1 (de) * 2005-06-16 2006-12-28 Walter Hanke Mechanische Werkstätt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in einen Münzprüfer eingegebenen Münze unter Verwendung ihres Prägebildes
JP4709633B2 (ja) * 2005-11-07 2011-06-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取引装置及び取引方法
JP4884910B2 (ja) * 2006-10-06 2012-02-2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4757764B2 (ja) * 2006-10-06 2011-08-24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4884911B2 (ja) * 2006-10-06 2012-02-2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US20090255776A1 (en) * 2008-04-11 2009-10-15 Nihon Unica Corporation Coin authenticity judging method and device
EP2283471B1 (de) * 2008-04-17 2015-05-2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Selbstbedienungssystem zur einzahlung und auszahlung von münzen
US20090296365A1 (en) * 2008-04-18 2009-12-03 Coinsecure, Inc. Calibrated and color-controlled multi-source lighting system for specimen illumination
CA2757181C (en) * 2008-04-18 2017-10-24 Coinsecure, Inc. Apparatus for producing optical signatures from coinage
US8023121B2 (en) * 2008-04-18 2011-09-20 Coinsecure, Inc. Method for optically collecting numismatic data and associated algorithms for unique identification of coins
US20090295912A1 (en) * 2008-05-12 2009-12-03 Coinsecure, Inc. Coin edge imaging device
JP5460299B2 (ja) 2009-12-22 2014-04-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CN102110330B (zh) * 2009-12-25 2012-08-29 李万得 游戏机的代币辨识装置及代币
JP5558150B2 (ja) * 2010-03-18 2014-07-23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処理機用の硬貨判別装置
CN101958018B (zh) * 2010-09-06 2012-10-03 苏州日宝科技有限责任公司 硬币检伪清分机
KR101259069B1 (ko) * 2011-02-28 2013-04-29 (주)허밍플러스 동전 출납장치
JP2012212222A (ja) 2011-03-30 2012-11-01 Fujifilm Corp 被写体識別装置、及び硬貨識別装置
JP5564463B2 (ja) * 2011-04-15 2014-07-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識別装置及び媒体識別方法
CN103530931B (zh) * 2012-07-05 2016-01-20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一种反射式光学检测装置
CN102809566B (zh) * 2012-08-29 2014-12-31 上海造币有限公司 彩色金银币章表面质量自动检测系统
CN105225331A (zh) * 2015-10-28 2016-01-06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硬币检测设备和硬币检测方法
CN106887074A (zh) * 2015-12-14 2017-06-23 恒杨有限公司 伪币的辨识方法及其装置
EP3279875B1 (de) * 2016-08-02 2023-10-04 NGZ Geldzählmaschinengesellschaft mbH & Co. KG Verschmutzungsdetektor, münzsortiermaschine und verfahren zur verschmutzungserkennung von münzen
CN108122325B (zh) * 2016-11-29 2021-07-30 富士电机株式会社 硬币检验装置
CN109308760B (zh) * 2018-08-20 2021-06-29 深圳蓝贝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器识别的ai云系统
JP7224846B2 (ja) * 2018-10-18 2023-02-2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光学硬貨識別装置、硬貨処理機及び硬貨識別方法
SG10201901728UA (en) * 2019-02-27 2020-09-29 Singapore Prec Industrie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sing a coin
JP7293081B2 (ja) * 2019-07-25 2023-06-19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コイン識別ユニット
CN211237010U (zh) * 2019-07-25 2020-08-11 日本金钱机械株式会社 硬币识别单元
CN111932764B (zh) * 2020-06-10 2022-09-13 灵芒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游戏代币验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495A (en) * 1987-12-03 1992-09-01 Compugrade, Inc Systems for illuminating and evaluating surfaces
US5220614A (en) * 1991-02-22 1993-06-15 Professional Coin Grading Service, Inc. Automated coin grading system
JP2742360B2 (ja) 1992-11-13 1998-04-2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パターン検出装置
JP3525360B2 (ja) 1994-05-19 2004-05-1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H0997363A (ja) 1995-10-02 1997-04-08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撮像装置
WO1997035286A1 (de) * 1996-03-19 1997-09-25 Electrowatt Technology Innovation Ag Anordnung zum prüfen von münzen
JP3516825B2 (ja) * 1996-03-29 2004-04-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H10222716A (ja) 1997-02-04 1998-08-21 Sankyo Seiki Mfg Co Ltd コイン認識装置
SE520847C2 (sv) 1999-02-10 2003-09-02 Scan Coin Ind Ab Myntsärskiljande anordning, mynthanteringsapparat inbegripande en sådan anordning samt en metod för särskiljning av mynt
US6230870B1 (en) * 2000-02-10 2001-05-15 Coin Acceptors, Inc. Coin de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1914A (zh) 2000-11-01
TW486677B (en) 2002-05-11
EP1049054B1 (en) 2009-07-29
JP2000306135A (ja) 2000-11-02
DE60042628D1 (de) 2009-09-10
CN1123848C (zh) 2003-10-08
KR20000071808A (ko) 2000-11-25
JP3652545B2 (ja) 2005-05-25
US6328150B1 (en) 2001-12-11
EP1049054A2 (en) 2000-11-02
HK1032466A1 (en) 2001-07-20
EP1049054A3 (en)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487B1 (ko) 경화판별장치
JP3652558B2 (ja) 硬貨判別装置
KR100502858B1 (ko) 경화판별장치
US6766045B2 (en) Currency verification
JP3525360B2 (ja) 硬貨判別装置
CN102422328B (zh) 用于钞票检测器装置的方法和钞票检测器装置
KR100509441B1 (ko) 경화 판별 방법 및 장치
US6685000B2 (en) Coin discrimination method and device
FR2600191A1 (fr) Discriminateur de papier-monnaie
US7321678B2 (en) Banknote identifying machine and banknote identifying method
WO2011036748A1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KR19980014331A (ko)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JPH10312480A (ja) 紙幣鑑別装置
CN104008597A (zh) 一种有价证券的真伪检验方法及相关装置
JP2005031901A (ja) 硬貨識別装置および方法
JP4479118B2 (ja) 媒体判別装置
JP4176611B2 (ja)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2002183791A (ja) 硬貨の識別方法及び装置
JP4231445B2 (ja) 硬貨識別装置
JPH09282516A (ja) 印刷パターンの真偽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