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612B1 -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612B1
KR100317612B1 KR1019950005102A KR19950005102A KR100317612B1 KR 100317612 B1 KR100317612 B1 KR 100317612B1 KR 1019950005102 A KR1019950005102 A KR 1019950005102A KR 19950005102 A KR19950005102 A KR 19950005102A KR 100317612 B1 KR100317612 B1 KR 10031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ross
cross member
auxiliary fram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764A (ko
Inventor
고수개마사미
다께모또사또시
스즈기마사미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3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종래의 발명을 사이드 프레임의 폭이 차체폭에 의하여 결정도므로 이에 취부되는 서스펜션의 취부위치도 고정적이고 취부위치 설정의 자유도가 없었으나, 본 발명은 차체 양측의 앞뒤방향에 단면으로 보아 대략 장방형의 사이드 멤버(13, 13)를 연재하고, 이 사이드 멤버에 좌우방향에 연재하는 크로스 멤버(21)를 접합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13, 13)와 상기 크로스 멤버(21)의 접합위치에 브라켓트(31)를 가로지르고, 이 브라켓트를 양 사이드 멤버 및 크로스 멤버에 접합하고, 이 브라켓트에 서스펜션 등을 취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38)을 취부하도록 한 자동차용 차체 보조프레임 취부구조로 구성하여, 브라켓트를 가로지른 범위안에서 보조프레임의 취부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 폭방향의 취부위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차체 양측의 전후방향에 연재한 사이드 멤버 사이에 보조프레임을 가로지르고, 이 보조프레임에 서스펜션(Suspensio) 등을 취부하는 것으로 하여,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평 5-62383호 공보(서스펜션 멤버의 취부구조)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이의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성은 차량 양측의 전후방향에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드 멤버에 상당함)를 연재하고, 이들의 아랫면에 상하 2단의 상자모양으로 되는 브라켓트(1, 1)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이 브라켓트(1)에 원통상 너트부재(3)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이 원통상 너트부재(3)에 서스펜션 멤버(5; 서브프레임에 상당함)를 볼트로써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의 폭이 차체폭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에 취부되는 서스펜션 멤버(5)의 취부위치도 고정적인 것이고, 취부위치 설정의 자유도(自由度)가 없다.
또한, 보조프레임의 취부구조로서는 다음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제 10도는 종래의 차체 하부구조체의 요부 사시도이고, 사이드 멤버(101, 101) 사이(본 도에는 한쪽 사이드 멤버를 생략하고 있음)에 크로스 멤버(102)를 가로지르고, 이 크로스 멤버(102)에 보조프레임(도시 생략)을 취부한다. 이 사이트 멤버(101, 101) 및 크로스 멤버(102)는 이의 위쪽에 플로어 판넬(103)이 접합됨에 의해 장방향 단면으로 되어 있다.
보조프레임에는 서스펜션을 개재한 차륜에서의 대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101, 101)와 크로스 멤버(102)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폭에 제약을 받지 않고 보조프레임의 취부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인 보조프레임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양측의 앞뒤방향으로 단면으로 보아 대략 장방형의 사이드 멤버를 연재하고, 이 사이드 멤버에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크로스 멤버를 접합하고,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위치에 브라켓트를 가로지르고, 이 브라켓트를 양 사이드 멤버 및 크로스 멤버에 접합하고, 이 브라켓트에 서스펜션 등을 취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을 취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플로어 판넬의 아래쪽이고 차체 양측의 앞뒤방향으로 사이드 멤버를 연재하고, 이 사이드 멤버에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크로스 멤버를 접합하고,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위치에 이들 양 멤버에 접합되는 브라켓트를 설치하고, 이 브라켓트에 너트부재의 하부를 접합하고, 이 너트부재의 상부를 사이드 멤버 · 크로스 멤버 · 플로어 판넬의 적어도 하나에 접합하고, 너트부재에 보조프레임을 취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을 브라켓트로 보강한다. 그래서, 브라켓트로 보강된 부분에 보조프레임을 취부한다. 브라켓트를 가로지른 범위내에서 보조프레임의 취부위치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 · 크로스 멤버 · 플로어 판넬 및 브라켓트로 상자형의 구조체를 구성하고, 이 상하간에 너트부재를 접합하고, 이 너트부재에 보조프레임을 취부한다.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또한, 「전」 「후」 「좌」 「우」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에 따른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구조의 제 1실시예를 제 1도∼제 5도에 기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구조를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체의 사시도이고, 이 차체 하부구조체(1)는 앞쪽에 부설(깔아서 설치함)된 프론트 플로어 판넬(2)과 뒤쪽에 또 프론트 플로어 판넬(2) 보다 높은 곳에부설된 리어 플로어 판넬(6)과 양 플로어 판넬 아래쪽의 프레임 조립체(10)로 된다.
프론트 플로어 판넬(2)은 플로어부(3)와 좌우방향 중앙의 터널부(4)로 된다. 리어 플로어 판넬(6)은 플로어부(7)와 이 앞연부를 내려뜨려 형성된 전벽부(8)로 되고, 이 전벽부(8)는 프론트 플로어 판넬(2)의 후단과 접합되는 하단플렌지(8a)와 터널부(4)를 접합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8b)로 된다.
제 2도는 제 1도의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프레임 조립체(10)는 양쪽의 앞 뒤방향으로 연재된 사이드 씰(11, 11)과 이 사이드 씰(11, 11)의 후단부에 준비된 사이드 씰 익스텐션(12, 12)과 이 사이드 씰 익스텐션(12, 12)에 접합된 리어 프레임(13, 13; 사이드 멤버)과 사이드 씰 익스텐션(12, 12) 사이에 가로질려져서 접합된 미들 플로어 크로스 멤버(14)와 리어 프레임(13, 13)에 차체 좌우방향으로 연재되어 접합된 리어 크로스 멤버(21)와 이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접합부분에 설치된 보조프레임 취부부(30, 30)로 된다.
미들 플로어 크로스 멤버(14)는 프론트 플로어 판넬(2)의 터널부(4) (제 1도 참조)를 우회하여 윗쪽으로 만곡한 형상이고, 게다가 아랫면에는 프론트 플로어 판넬(2)의 아래쪽에 고착된 프론트 플로어 판넬(도시하지 않음)을 접합하기 위한 단수부재(15, 16)를 구비하고 있다.
제 3도는 제 2도의 3-3선 확대단면도이고, 보조프레임 취부부(30)의 상세를 도시한다.
상기 보조프레임 취부부(30, 30)는 리어 프레임(13)과 크로스 일대(21)와,리어 프레임(13) 및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각 윗면에 부설되어 접합된 리어 플로어 판넬(6)(2점쇄선으로 도시)과, 브라켓트(31)와 너트부재(33)로 된다.
리어 프레임(13)은 대략 'ㄷ'자상 단면을 나타내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바깥으로 향하고, 이 개구단에 아우터 사이드 판넬(18)이 접합되어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1)는 리어 프레임(13)의 윗쪽에 접합된 상측수평부(22)와 이보다 안쪽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뻗어진 경사부(23)와 또 이보다도 안쪽에서 연장되는 하측수평부(24)로 된다.
브라켓트(31)는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접합위치에 가로질러지고, 또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21)에 각각 스포트용접(점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측수평부(22)의 아래쪽에 리어 프레임(13)과 상측수평부(22)와 경사부(23)를 연결하고 있다.
더구나, 상측수평부(22)의 저판(22a)과 브라켓트(31)의 저판(31a)은 수평배치되고, 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너트부재(33)는 상측수평부(22)와 브라켓트(31)의 사이에 차체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고, 상부를 상측수평부(22)의 저판(22a)에 용접등으로 접합되는 원주상의 기체(34)와, 이 기체(34)의 아래쪽에 또한 구비된 브라켓트(31)의 저판(31a)에 용접등으로 접합되는 플렌지부(35){기체(34)의 하부}와, 기체(34)의 아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리어 크로스 멤버(21)에 연하여 아래쪽에 배치된 보조프레임(38)(2점쇄선으로 도시)을 볼트(39)로 나착시키는 암나사부(36)로 된다.
보조프레임(38)에는 서스펜션등(도시하지 않음)이 취부된다.
제 4도는 제 3도의 4-4선 단면도이고, 리어 크로스 멤버(21)에 브라켓트(31)가 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리어 크로스 멤버(21)는 대략 'ㄷ'자상 단면을 나타내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윗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의 양측에 플랜지부(21a, 21a)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21a, 21a)가 리어 플로어 판넬(6) (제 3도 참조)의 아래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브라켓트(31)는 대략 'ㄷ'자상 단면을 나타내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윗쪽으로 향하고, 이 개구단이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양측벽면에 꽂아 넣어 접합시킴으로서 대략 장방향 단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보조프레임 취부부(30)의 취부순서중 1예를 제 5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작용설명도이다.
먼저, 리어 크로스 멤버(21) · 브라켓트(31) 및 너트부재(33)를 별도로 제작한다. 이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상측수평부(22)는 경사부(23)보다도 폭방향으로 넓게 열린 형상으로 하고, 브라켓트(31)도 이와 같은 방식의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측수평부(22)의 저판(22a) 및 브라켓트(31)의 저판(31a)에 너트부재(33)의 기체(34)를 관통하는 구멍(22b, 31b)을 설치한다.
다음에, 리어 프레임(13, 13) (제 5도에서는 우측만 도시)에 리어 크로스 멤버(21)를 가로지르고, 리어 프레임(13)의 배면에 상측수평부(22)를 접합한다.
그 후, 상측수평부(22)의 아래쪽에서 이의 측벽에 브라켓트(31)를 꽂아 놓고리어 프레임(13) 및 상측수평부(22)에 접합한다.
그리고, 상측수평부(22)의 저판(22a) 및 브라켓트(31)의 저판(31a)의 구멍(22b, 31b)에 너트부재(33)의 기체(34)를 관통하고, 또한, 기체(34)의 상부를 저판(22a)에 접합하고, 플렌지부{35; 기체(34)의 하부}를 저판(31a)에 접합한다.
최후로, 리어 프레임(13) 및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각 상면에 리어 플로어 판넬(6) (2점쇄선으로 도시)을 부설하여 접합하고, 보조프레임 취부부(30)의 취부를 완료한다.
그 후, 너트부재(33)의 암나사부(36)에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등이 취부되어진 보조프레임(38)를 볼트(39)의 나사로 삽입에 의해 취부한다.
더욱이, 너트부재(33)의 취부위치는 차체 폭방향(제 3도에서 좌우방향)에 브라켓트(31)를 걸친 범위내에서 구멍(22b, 31b)위치를 바꿈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보조프레임 취부부(30)의 취부순서는 제 1실시예에 관한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한 1예에 지나지 않으며, 임의의 순서로도 할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 취부부(30)는 차량의 우측만을 설명했지만, 좌측도 동일구성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접합위치는 브라켓트(31)로 보강되고, 또 리어 프레임(13) · 리어 크로스 멤버(21) 및 브라켓트(31)로 상자형 구조체로 되고, 이 구조체의 상하사이에 너트부재(33)를 접합함에 의해 너트부재(33)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강성의 상자형 구조체로 지지함으로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21)의 접합부분의 강성은 높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구조의 제 2실시예를 제 6도 및 제 7도에 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단면도이고, 이 실시예의 보조프레임 취부부(40)는 리어 프레임(41; 사이드 멤버)과 리어 크로스 멤버(42; 크로스 멤버)와, 리어 프레임(41) 및 리어 크로스 멤버(42)의 각 상면에 부설되어 접합된 리어 플로어 패널(6) (2점쇄선으로 도시)과, 브라켓트(45)와 상기 너트부재(33)로 된다.
리어 프레임(41)은 대략 'ㄷ'자상 단면을 나타내고, 또 이 개구축을 차체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에 아웃터 사이드 판넬(47)이 접합된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42)는 리어 프레임(41)의 배면에 접합되고, 또 안쪽 비스듬히 아래방향으로 늘어진 경사부(43)를 가진다.
이 크로스 멤버(42)는 대략 'ㄷ'자상 단면을 가지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의 양측에 플렌지부(42a)가 설치되고, 이 플렌지부(42a)가 리어 플로어 패널(6)의 아래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브라켓트(45)는 리어 프레임(41)과 리어 크로스 멤버(42)의 접합위치에 가로질러지고, 또 양 멤버(41, 42)에 스포트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리어 프레임(41)의아래쪽에서 이 리어 프레임(41)과 경사부(43)를 묶어 브라켓트(45)가 접합되어 있다.
리어 프레임(41)과 브라켓트(45)의 사이에는 너트부재(33)가 차체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이 너트부재(33)는 상부를 리어 프레임(41)의 저판(41a)에 용접등으로 접합되고, 하부(플랜지부, 35)를 브라켓트(45)의 저판(45a)에 용접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평면도이고, 리어 프레임(41)이 리어 크로스 멤버(42)와 접합하는 위치에서 너트부재(33)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리어 프레임(41)은 본 도에서의 아래방향이 앞쪽이다.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프레임(41)과 리어 크로스 멤버(42)의 접합부분은 브라켓트(45)로 보강되고, 또 리어 프레임(41) · 리어 크로스 멤버(43) 및 브라켓트(45)로 상자형 구조체를 구성하고, 이 구조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리어 프레임(41)에 직접 너트부재(33)를 접합함에 의해, 상기 제 1실시예에 비하여 너트부재(33)에서 리어 프레임(41)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하중균형(Balance)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제 3실시예를 제 8도 일 제 9도에 기하여 설명한다. 게다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단면도이고, 이실시예의 보조프레임 취부부(50)는 리어 프레임(사이드 멤버, 13)과 리어 크로스 멤버(크로스 멤버, 52)와, 리어 프레임(13) 및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각 윗면에 부설되어 접합되는 리어 플로어 판넬(6) (2점쇄선으로 도시)과, 브라켓트(55)와 상기 너트부재(33)로 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52)은 리어 프레임(13)의 배면에 접합되고, 또 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늘어진 경사부(53)를 가진다.
이 리어 크로스 멤버(52)는 대략 'ㄷ'자상 단면을 가지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윗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의 양측에 플렌지부(52a)가 설치되고, 이 플렌지부(52a)가 리어 플로어 판넬(6)의 아랫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브라켓트(55)는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접합위치에 가로질러 지고, 또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52) 각각에 스포트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리어 프레임(13)의 아래쪽에 이 리어 프레임(13)과 경사부(53)를 묶는 브라켓트(35)가 용접되어 있다.
리어 프레임(13)과 브라켓트(55)의 사이에는 너트부재(33)가 차체의 수직하방으로 관통하고, 이 너트부재(33)의 상부는 리어 플로어 판넬(6)에 용접등으로 접합되고, 하부{플렌지부(35)}는 브라켓트(55)의 저판(55a)에 용접등으로 접합시키고 있다.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대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리어 프레임(13)에 리어 크로스 멤버(52)와 접합하는 위치에서 너트부재(33)가접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리어 크로스 멤버(52)는 대략 'ㄷ'자상 단면을 가지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의 양측에 플렌지부(52a)가 설치되고, 이 플렌지부(52a)를 리어 플로어 판넬(6)의 아래면에 접합하는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트(55)는 대략 'ㄴ'자상 단면으로 되고, 리어 프레임(13)의 배면 및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측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대략 'ㄷ'자상 단면을 나타내고, 또, 이 개구측을 차체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이 개구단을 리어 플로어 판넬(6)의 아래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대략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리어 플로어 판넬(6) 및 브라켓트(55)의 저판(55a)에는 너트부재(33)의 기체(34)를 관통하는 구멍(6a, 55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접합부분은 브라켓트(55)로 보강되고, 또 리어 프레임(13)의 배면 · 리어 플로어 판넬(6) ·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측면 및 브라켓트(55)들에 의해 상자형 구조체로 되고, 이 구조체를 리어 크로스 멤버(52)에 횡으로 배치한 것에 의해 상기 제 1실시예나 제 2실시예에 비하여 너트부재(33)의 취부위치를 더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트(55)가 리어 크로스 멤버(52)에 횡으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리어 프레임(13)과 리어 크로스 멤버(52)의 접합부분의 차체 앞뒤방향에 대하여도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제 1∼3실시예에서의 니트부재(33)는 서스펜션 등을 취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38)을 브라켓트(31, 45, 55)에 취부하는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재(33)는 제 1∼3실시예의 원추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원추형상이나 블럭상이라도 좋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21, 42, 52)는 차체 좌우방향으로 연재하여 리어 프레임(13, 41)에 접합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터널부 등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효과를 가진다.
제 l청구항의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에 있어서는, 단면으로 보아 대략 장방형의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위치에 브라켓트를 가로질러 양 멤버에 접합하고, 이 브라켓트에 서스펜션 등을 취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을 취부하도록 한 것에 의해, 브라켓트를 가로지른 범위내에서 보조프레임의 취부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 폭방향의 취부위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을 브라켓트로 보강하고, 또 이 보강된 부분에 보조프레임을 취부함으로,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청구항의 자동차용 차제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에 있어서는,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위치에 브라켓트를 가로질러 양 멤버에 접합하고, 이 브라켓트에 너트부재의 하부를 접합하고, 이 너트부재의 상부를 사이드 멤버 · 크로스 멤버 · 플로어 판넬의 적어도 한 개에 접합하고, 너트부재에 보조프레임을 취부하도록 한 것에 의해, 브라켓트를 가로지른 범위내에서 보조프레임을 취부하는 너트부재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 폭방향의 취부위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을 브라켓트로 보강하고, 또 사이드 멤버 · 크로스 멤버 · 플로어 판넬 및 브라켓트로 상자형의 구조체를 구성하고, 이의 상하간에 너트부재를 접합하고, 이 너트부재에 보조프레임을 취부함으로, 보조프레임 취부부분, 각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접합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구조를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체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3-3선 확대 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4-4선 확대 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작용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평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단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보조프레임 취부부의 분해사시도,
제 10도는 종래 차체 하부구조체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하부구조체 6 ---- 플로어 판넬(Rear floor Pannel)
10 ---- 프레임 조립체
13, 41 ---- 사이드 멤버(Side Merber; Rear Frame)
18, 47 ---- 아웃터 사이드 판넬(Outter Side Pannel)
21, 42, 52 ---- 크로스 멤버(Rear Cross Member)
30, 40, 50 ---- 보조프레임 취부부 31 ---- 브라켓트(Bracket)
33 ---- 너트부재 34 ---- 기체(基體)
35 ---- 플렌지부 36 ---- 암나사부
38 ---- 보조프레임 39 ---- 볼트

Claims (22)

  1. 세로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좌 · 우 사이드 멤버와 이 사이드 멤버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옆으로 신장하는 크로스 멤버를 갖는 자동차 프레임에 있어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하나의 접합부에 장착된 브라켓트;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중 하나에 단단히 고착되고 이 브라켓트에 보조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 및 상기 브라켓트는 폐쇄 상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 상자형 구조는 수직방향으로 관찰될 때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로 단면을 갖는데, 상기 단면의 상부, 좌측 및 우측면을 나타내는 단면을 갖고, 상기 브라켓트는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신장하는 저판을 가지고, 상기 단면의 하부면을 나타내고,
    상기 보조프레임을 그 아래로 고착하고 지지하여, 그 바닥에 스크류 훌을 갖는 싱글 너트 멤버;
    이 싱글 너트 멤버는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과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 및 상기 크로스 멤버의 하나의 저판사이에서 신장하고 양자에 연결되고,
    상기 싱글 너트 부재는 상기 브라켓트에 연하여 선택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멤버는 바깥면을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멤버는 상부면을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크로스멤버 아래로부터 상기 크로스멤버에 장착된 채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3. 차체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좌우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폭방향인 사이드 멤버사이에 걸쳐진 크로스 멤버를 갖는 자동차 프레임에 있어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하나의 접합부에 장착된 브라켓트;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중 하나에 단단히 고착되고,
    상기 브라켓트는 여기에 부착되어 서스펜션이 고착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여기서, 플로어 판넬이 상기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 및 상기 브라켓트상에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너트 멤버는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저판과 브라켓트의 저판간에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너트 멤버는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저판과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저판과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에 연결된 상기 너트 멤버의 팬(pa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멤버가 폭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저판과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이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에 인접하여 보다 넓게 되도록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폐쇄단면을 갖는 상자형 구조가 상기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 및 상기 브라켓트상에 상기 플로어 판넬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저부에 부착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간의 상기 조인트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너트부재는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과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저판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저부에 상기 크로스 멤버의 전방 및 후방벽을 똑바로 세우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플로어 판넬이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하나의 사이트 멤버 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3. 제 3항에 있어서,
    너트 멤버는 상기 브라켓트의 저판과 상기 브라켓트와 상기 크로스 멤버상에 배치된 상기 플로어 판넬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멤버가 크로스 멤버 또는 사이드 멤버를 관통함이 없이 단지 플로어 판넬과 브라켓트만을 통해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는 상기 단면의 완전한 좌측면을 실질적으로 나타내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휘어져 상기 단면의 완전한 상부 및 우측면을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기 단면의 완전한 우측면을 실질적으로 나타내고,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는 상기 단면의 완전한 상부 및 좌측면을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7. 제 l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폐쇄 상자형 구조의 전방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상향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8. 제 l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바깥면으로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부면을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크로스 멤버 아래로부터 상기 크로스 멤버에 장착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는 바깥면으로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부면을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바깥면으로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부면을 향해 개도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크로스 멤버 아래로부터 상기 크로스 멤버에 장착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의 상기 저판은 일반적으로 평편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상기 저판을 하방으료 휘어져서 상기 단면의 상부 및 좌측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2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와 브라켓트중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나의 사이드 멤버에 인접하여 보다 넓게 되도록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KR1019950005102A 1994-03-18 1995-03-13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KR100317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48676A JPH07257425A (ja) 1994-03-18 1994-03-18 自動車用車体のサブフレーム取付け構造
JP94-48676 1994-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64A KR950031764A (ko) 1995-12-20
KR100317612B1 true KR100317612B1 (ko) 2002-04-24

Family

ID=1280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102A KR100317612B1 (ko) 1994-03-18 1995-03-13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67005A (ko)
JP (1) JPH07257425A (ko)
KR (1) KR100317612B1 (ko)
DE (1) DE19507767C2 (ko)
GB (1) GB2287679B (ko)
MY (1) MY114263A (ko)
PH (1) PH31494A (ko)
TW (1) TW3175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23B1 (ko) 2006-11-2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터 크로스 멤버 보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1971A1 (de) * 1994-11-25 1996-05-30 Vaw Ver Aluminium Werke Ag Kraftfahrzeug-Hinterachs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434069B2 (ja) * 1995-02-17 2003-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3796777B2 (ja) * 1995-09-18 2006-07-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DE19618258A1 (de) * 1996-05-07 1997-11-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ahmen
DE19645962A1 (de) * 1996-11-07 1998-05-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ohlprofil
DE19708214C2 (de) * 1997-02-28 1998-08-13 Audi Ag Trag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mit Hohlprofilträgern
DE19858977C1 (de) * 1998-12-19 2000-03-30 Daimler Chrysler Ag Zusammengesetztes Bauteil, insbesondere Hohlprofilträger
DE10018407B4 (de) * 2000-04-13 2007-12-06 Adam Opel Ag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Sitzmodul
DE10022916B4 (de) * 2000-05-11 2004-12-09 Daimlerchrysler Ag Querträger als Teil einer Kraftfahrzeug-Bodengruppe
JP4734797B2 (ja) * 2001-08-08 2011-07-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4010817B2 (ja) * 2002-01-30 2007-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KR100448791B1 (ko) * 2002-02-22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JP2004155219A (ja) * 2002-11-01 2004-06-03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4377581B2 (ja) * 2002-12-26 2009-12-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20040100027A (ko) * 2003-05-21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플로어부의 구조
JP4352769B2 (ja) * 2003-06-11 2009-10-2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644487B1 (ko) * 2003-08-26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부의 구조
DE102004005571B4 (de) * 2004-02-05 2008-07-10 Daimler Ag Verbindungsbereich zur Anbindung eines Anbauteils an eine Fahrzeugkarosserie
KR100573321B1 (ko) * 2004-06-09 2006-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부 구조
DE602006000068T2 (de) * 2005-04-15 2007-12-13 Honda Motor Co., Ltd. Bodenstruktur einer Fahrzeugkarosserie
JP4283780B2 (ja) * 2005-04-15 2009-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構造
JP4404036B2 (ja) * 2005-09-21 2010-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4400548B2 (ja) * 2005-11-02 2010-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US7416242B2 (en) * 2006-03-29 2008-08-26 Chrysler Llc Reinforcement plate
DE102007018167A1 (de) 2007-04-18 2008-10-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eckseitige Fahrzeugkarosseriestruktur
DE102007046127A1 (de) * 2007-09-27 2009-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itzbefestig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KR100867848B1 (ko) * 2007-11-09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 프레임을 이용한 저 지상고 확립 차량
US7469957B1 (en) 2007-12-07 2008-12-30 Honda Motor Co., Ltd. Front floor frame
FR2928127B1 (fr) * 2008-02-28 2011-04-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nforcement de liaison entre la partie arriere du berceau moteur et le soubassement d'un vehicule, tel qu'un vehicule automobile
JP5207130B2 (ja) * 2008-09-24 2013-06-12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09032603A1 (de) * 2009-07-10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arosserieteil für ein Kraftfahrzeug
JP5605025B2 (ja) * 2010-07-01 2014-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支持装置
CN101879862A (zh) * 2010-07-30 2010-11-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安装支架
US20120153674A1 (en) * 2010-12-16 201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ar motor vehicle floor module
DE102010054685A1 (de) * 2010-12-16 201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ckseitiges Kraftfahrzeug-Bodenmodul
DE102010054693A1 (de) * 2010-12-16 201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ckseitiges Kraftfahrzeug-Bodenmodul
JP5273237B2 (ja) * 2011-12-15 2013-08-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US9290209B2 (en) * 2012-03-29 2016-03-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FR3016328B1 (fr) 2014-01-14 2017-08-25 Renault Sas Tunnel multi-pieces pour partie centrale de soubass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artie centrale de soubassement
EP2902303B1 (de) * 2014-02-03 2016-11-16 Autotech Engineering Deutschland GmbH Hilfsrahmen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Vorderachs-Hilfsrahmen, und Karosserie mit einem solchen Hilfsrahmen
JP6161038B2 (ja) * 2014-02-25 2017-07-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9586631B2 (en) * 2014-06-30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st load structure for vehicle body to frame mount
JP6337342B2 (ja) * 2015-02-04 2018-06-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取付け構造
US9701342B2 (en) 2015-03-31 2017-07-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suspension moun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a subframe to a frame
KR102451126B1 (ko) * 2015-12-18 2022-10-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볼트
DE102016107155A1 (de) * 2016-04-18 2017-10-1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chskomponente für eine Kraftfahrzeugachse
US9783232B1 (en) * 2016-07-28 2017-10-10 John Auston Vehicle suspension extension system
DE102016115717A1 (de) 2016-08-24 2018-03-01 Linde + Wiemann Gmbh Kg Verbindungselement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Hohlprofil und einem weiteren Bauteil
BR112019019574A2 (pt) * 2017-04-10 2020-04-14 Nippon Steel Corp membro estrutural para automóveis
JP7015621B2 (ja) * 2017-11-20 2022-02-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617764B2 (ja) * 2017-12-04 2019-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ボデーマウントブラケット
FR3082496B1 (fr) * 2018-06-19 2020-08-21 Psa Automobiles Sa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pourvu d'une piece prenant des appuis antagonistes contre une traverse et un longeron en cas de choc lateral.
JP7052627B2 (ja) * 2018-08-07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締結構造
JP7239375B2 (ja) * 2019-03-29 2023-03-14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車両用サブフレーム
KR20220072175A (ko) * 2020-11-25 2022-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시트 장착부 보강 차체구조
CN114715291A (zh) * 2022-03-23 2022-07-08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副车架安装结构及电动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780A (en) * 1931-03-02 1935-11-19 Midland Steel Prod Co Load bearing bracket and method of securing same
FR1361372A (fr) * 1963-03-22 1964-05-22 Renault Pièces de forme avec nervures embouties à points de jonction renforcés
FR1502647A (ko) * 1965-12-17 1968-02-07
JPS6364883A (ja) * 1986-09-04 1988-03-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レ−ム構造
DE3637920A1 (de) * 1986-11-06 1988-05-19 Porsche Ag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fuehrungslenkers fuer eine radaufhaengung eines kraftfahrzeugs
DE3718841A1 (de) * 1987-06-05 1988-12-22 Audi Ag Rahmenanordnung fuer kraftfahrzeuge
IT1211896B (it) * 1987-11-04 1989-11-08 Romanazzi Spa Elemento di connessione tra cassone e telaio di un veicolo
DE4030740C2 (de) * 1989-09-30 1995-04-13 Mazda Motor Heckteil einer Autokarosserie
JPH0492770A (ja) * 1990-08-09 1992-03-25 Toyota Motor Corp 車体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JP2712815B2 (ja) * 1990-11-01 1998-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JP2871219B2 (ja) * 1991-09-18 1999-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H0577763A (ja) * 1991-09-20 1993-03-30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563079Y2 (ja) * 1992-01-31 1998-02-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
DE4212180C2 (de) * 1992-03-26 1998-05-07 Audi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Fahrwerkteils
JPH061268A (ja) * 1992-06-18 1994-01-11 Toyota Motor Corp リヤアンダボデー構造
JP2826605B2 (ja) * 1992-07-31 1998-1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ツクの車台フレーム
JPH0699845A (ja) * 1992-09-22 1994-04-12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取付部構造
JP3120598B2 (ja) * 1992-10-20 2000-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ヤアンダボデー構造
JP3136808B2 (ja) * 1992-12-04 2001-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ロア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23B1 (ko) 2006-11-2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터 크로스 멤버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64A (ko) 1995-12-20
GB2287679A (en) 1995-09-27
PH31494A (en) 1998-11-03
US5567005A (en) 1996-10-22
GB2287679B (en) 1997-11-12
GB9505597D0 (en) 1995-05-03
TW317547B (ko) 1997-10-11
DE19507767A1 (de) 1995-09-21
MY114263A (en) 2002-09-30
JPH07257425A (ja) 1995-10-09
DE19507767C2 (de)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612B1 (ko) 자동차용 차체의 보조프레임 취부구조
JP3423066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2816484B2 (ja) 車両のフロア部構造
JP3925117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0211555A (ja) 車両用シャシフレ―ム構造
JP253064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415491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H0811746A (ja) ピラー結合部構造
WO1997010138A1 (en) Vehicle cab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ab by welding
JP2539600Y2 (ja) フューエルタンクの取付構造
JP2993417B2 (ja) ピラー上部の結合構造
JP3932077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車体構造
JPH0333553B2 (ko)
JPH08142911A (ja) 低床バスのフレーム構造
JP7218690B2 (ja) 車両の床下構造
JPH061512Y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S621019Y2 (ko)
JPH061511Y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111593Y2 (ko)
JP4497649B2 (ja) 自動車のタイダウンフック
JPH059990Y2 (ko)
KR930007220B1 (ko)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KR200152929Y1 (ko)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JPS642865Y2 (ko)
JP2963580B2 (ja) ワンボックス車におけるフロントボディ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