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929Y1 -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929Y1
KR200152929Y1 KR2019960039947U KR19960039947U KR200152929Y1 KR 200152929 Y1 KR200152929 Y1 KR 200152929Y1 KR 2019960039947 U KR2019960039947 U KR 2019960039947U KR 19960039947 U KR19960039947 U KR 19960039947U KR 200152929 Y1 KR200152929 Y1 KR 200152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
welded
tunnel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028U (ko
Inventor
우재준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39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9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불캐빈을 갖는 화물자동차의 프레임과 캐빈 중간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캐빈 중간부의 결합강성 및 구조강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캐빈의 저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가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소정 폭의 터널을 형성하며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플로어의 저면에 용접 결합되는 프레임이 상기 터널부에서 상부로 만곡되게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프 레임의 저면에 용착되며, 상기 터널의 후부 하단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40)의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만곡부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단부 저면에 보조프레임(50)의 상단면이 수평하게 폐단면을 형성하며 용착되고,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단부가 상기 만곡되는 프레임의 중간부 내부에 용착되도록 구성하여, 보조프레임(50)에 의해 프레임(10) 중간부의 종방향 및 횡방향 강성이 증대되도록 하고, 이러한 구조가 캐빈의 중간부에 폐단면을 형성하며 결합되어 캐빈 중간부의 구조강성이 증가하도록 하며, 프레임(10)의 만곡부가 보조 프레임(10)에 의해 캐빈쪽과 결합되므로 캐빈 저면부와 프레임(10)의 용접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이다.

Description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일반적으로 더블캐빈(double cabin) 화물자동차는 캐빈이 일반화물차에 비해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운전석 후부에 승차공간이 형성되며, 캐빈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플로어가 프론트플로어와 리어플로어로 형성되어 중간 연결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터널이 형성되는 캐빈 중간부의 종래 구조는 제1도과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빈의 중간 저면부인 프론트플로어(front floor)(20)의 후단부가 상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연장된 프론트플로어(20)의 상단부가 리어크로스멤버(rear crossmember(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리어크로스멤버(30)의 중간부가 후부로 소정폭 절곡 연장된 후 다시 하향으로 절곡되어 후단부가 백플레이트(back plate)(40)의 상단에 결합되며, 하향으로 연장된 백플레이트(40)의 하단 부가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리어플로어(rear floor)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캐빈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 및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는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0)의 상단부와 용접에 의해 결한되는데,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 사이에 횡방향으로 터널(tunnel)이 형성되고 리어플로어가 프론트플로어(2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프레임(10)의 중간부도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 리어플로어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만곡부에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더블캐빈을 갖는 화물자동차는 캐빈의 구조상 프레임(10)의 중간부가 상부로 만곡되게 연장된 후 후부로 다시 연장되도록 되는데, 상기 만곡부는 강도를 유지해야 하고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곡율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이로인해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와 프레임(10)의 만곡부 상면 사이에 소정폭의 용접 불가능 틈새가 생겼다.
이러한 증래 화물자동차는 캐빈과 프레임 사이에 용접 불가능부위가 발생되는데, 상기 용접 불가능부위는 더블캐빈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연결되는 부위로서 강도가 매우 필요한 반면에 용접이 불가능해 강성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더블캐빈의 중간부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용접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므로 캐빈 중간부의 구조강성과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캐빈 중간부와 프레임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캐빈 중간부와 프레임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3도는 종래 캐빈 중간부와 프레임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 캐빈 중간부와 프레임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보조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프론트프레임
40 : 백플레이트 50 : 보조프레임
먼저, 본 고안의 캐빈도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빈의 중간 저면부인 프론트플로어(front floor)(20)의 후단부가 상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연장된 프론트플로어(20)의 상단부가 리어크로스멤버(rear crossmember(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리어크로스멤버(30)의 중간부가 후부로 소정폭 절곡 연장된 후 다시 하향으로 절곡되어 후단부가 백플레이트(back plate)(40)의 상단에 결합되며, 하향으로 연장된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리어플로어(rear floor)의 선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 및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는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0)의 상단부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 사이에 횡방향으로 터널(tunnel)이 형성되고 리어플로어가 프론트플로어(20) 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구조로 되어, 프레임(10)의 중간부도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 리어플로어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만곡부에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단,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 저면에 수평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50)의 상단면이 폐단면을 형성하며 용착되고,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프레임(50)의 하단부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프레임(10)의 중간부 내부에 용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보조프레임(50)은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프레임(10)의 내측 폭과 같은 폭으로 저면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부로 절곡 연장된 후 양측면의 상단부가 각기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flange)가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프레임(50)은 저면이 수평한 상면에 비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후부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중간 만곡부에 보조프레임(50)의 하단부를 삽입시켜 보조프레임(50)의 양측면부를 프레임(10)에 용접하고, 캐빈과 프레임(10)의 결합시 백플레이트(40)의 하단부와 보조프레임(50)의 상단 플랜지를 용접하여 프레임(10)과 캐빈의 결합면적이 확대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내부에 보조프레임(50)이 입체적으로 결합되어 프레임(10) 중간부의 종방향 및 횡방향 강성이 증대되록 하고, 이러한 구조가 캐빈의 중간부에 폐단면을 형성하며 결합되어 캐빈 중간부의 구조강성이 증가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10)의 만곡부가 보조프레임(10)에 의해 캐빈쪽과 결합되므로 캐빈 저면부와 프레임(10)의 용접면적이 확대되어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더블캐빈의 중간부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만곡부에 보조프레임이 부가 결합되어 용접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므로, 캐빈 중간부의 구조강성과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더블캐빈(double cabin)을 갖는 화물자동차의 프레임과 캐빈 중간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구조를 개선하여 결합강성 및 결합부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2)

  1. 캐빈의 저면을 헝성하는 프론트플로어(20)와 리어플로어가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소정 폭의 터널을 형성하며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플로어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이 상기 터널부에서 상부로 만곡되게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프레임의 저면에 용착되며, 상기 터널의 후부 하단을 형성하는 백플래이트(40)의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만곡부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단부 지면에 수평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50)의 상단면이 용착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단부가 당기 프레임의 만곡부에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2. 청구항1에 있어서, 보조프레임(50)은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저면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부로 절곡 연장된 후 양측면의 상단부가 각기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되며, 저면이 수평한 상면에 비해 고정각도 경사지게 후부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19960039947U 1996-11-14 1996-11-14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KR200152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47U KR200152929Y1 (ko) 1996-11-14 1996-11-14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47U KR200152929Y1 (ko) 1996-11-14 1996-11-14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28U KR19980027028U (ko) 1998-08-05
KR200152929Y1 true KR200152929Y1 (ko) 1999-08-02

Family

ID=1947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947U KR200152929Y1 (ko) 1996-11-14 1996-11-14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9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810B1 (ko) * 2015-07-08 2016-04-29 주식회사 투데이모터스 화물 차량용 차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28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8812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の結合構造
JP4654917B2 (ja) 車体後部構造
US7500714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US8979173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for automobile
EP2740651B1 (en)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JPH0345903Y2 (ko)
JPH11314576A (ja) 乗用自動車のための客室
CN107128372A (zh) 汽车车身结构
JP2009018725A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3951742B2 (ja) 車体構造
JP6432577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3791049B2 (ja) 自動車のピラーとサイドシルとの接続部構造
KR200152929Y1 (ko) 화물차 캐빈의 프레임 접합구조
JP4081635B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H0122784Y2 (ko)
JP4442987B2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3321065B2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補強構造
JPH0352614Y2 (ko)
JP5002550B2 (ja) 車体前部構造
JP4778153B2 (ja) 車両のリヤフレーム構造
JP2005212503A (ja) 車体下部構造
JP2997740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3554204B2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2993417B2 (ja) ピラー上部の結合構造
JP4258457B2 (ja) 車両のアンダボデ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