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220B1 -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220B1
KR930007220B1 KR1019870002076A KR870002076A KR930007220B1 KR 930007220 B1 KR930007220 B1 KR 930007220B1 KR 1019870002076 A KR1019870002076 A KR 1019870002076A KR 870002076 A KR870002076 A KR 870002076A KR 930007220 B1 KR930007220 B1 KR 93000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panel
tire
vehicle body
tir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49A (ko
Inventor
사다오 오제기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차체 후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종래의 구조예를 표시하는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로어패널 11 : 선반부
12 :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 14 : 종벽부
20 :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 21 : 주면부
22 : 측면부 22a : 측면연장부
25 : 수평부 30 : 뒤끝패널
40 : 뒤끝외측패널 60 : 사이드프레임
A, B : 타이어 하우스쪽 및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쪽
X, Y : 폐단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특히 플로어패널의 후방측 단부와 뒷 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 인터패널의 접합부 주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실개소 60-92676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자동차의 차체 후부에는 플로어패널의 측단부에 연장 접속시켜서 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가 설치되는 동시에 양쪽의 타이어 하우스 사이에는 플로어패널을 한단계 낮게 함으로서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가 설치되는 것이 통레이다.
또한, 상기한 공보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플로어패널의 하면 양측부에는 단면이 "
Figure kpo00001
"모양의 사이드 프레임이 부착 설치되므로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는 폐단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드프레임은 차체 후부에 있어서는 플로어패널의 하면 양측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하우스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의 사이에 설치되게 되지만, 그 설치 구조로서는 종래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즉, 제4도에 표시하는 구조는 중앙부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1a)가 형성되도록 한단계 낮춰진 플로어패널(1)의 측단부에 플랜지(1b)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1b)와 뒷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2a)를 형성하는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의 측면 하단부(2b)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술한 플로어패널(1)의 상대적으로 높아져 있는 선단부(1c)의 하면의 대략 중양에 단면이 "
Figure kpo00002
"모양의 사이드프레임(3)을 그 양측면(3a), (3b)의 윗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3c), (3d)에 의하여 접합한 구조이다.
또한, 제5도에 표시하는 구조는 제4도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플로어패널(1')의 양단부에 설치된 플랜지(1b')와 타이아 하우스 인너패널(2')의 측면 하단부(2b')를 접합하고, 또한 플로어패널(1')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하면에 사이드프레임(3')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 사이드프레임(3')의 차체 바깥쪽의 측면(3a')을 상방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3b')를 상기한 플로어패널(1')의 플랜지(1b')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의 측면 하단부(2b')의 사이에 끼워 접합하고, 또한 차체 안쪽의 측면(3b')는 그 상부끝부에 설치한 플랜지(3a')에 의하여 플로어패널(1')의 선단부(1c')의 하면에 접합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각각 하기와 같은 결점이 있다.
우선, 제4도에 표시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사이드프레임(3)이 그 양쪽의 플랜지(3c), (3d)에 의하여 플로어패널(1) 선단부(1c)의 하면에 접합되기 때문에, 이 선단부(1c)하면의 사이드프레임(3)의 양쪽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선단부(1c)의 폭(
Figure kpo00003
)이 비교적 커지고, 이에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1a)의 폭방향 치수가 제약되게 된다.
또한, 제5도에 표시하는 구조는 사이드프레임(3')이 차체의 바깥쪽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플로어패널(1') 선단부의 폭(
Figure kpo00004
)을 비교적 좁게 할 수가 있고,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1a')의 폭방향 치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지만, 이 구조에 있어서는 플로어패널(1')의 플랜지(1b')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의 하단부(2b') 및 사이드프레임(3')의 측면(3a')의 연장부(3c')가 일체로 합쳐져 접합되기 때문에 이 접합부가 3매 겹치기로 되어, 스포드 용접의 작업성이 악화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어느 구조에 있어서도 플로어패널(1), (1')의 플랜지(1b), (1b')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 (2')의 측면 하단부(2b), (2b')의 접합부가 차체의 내부와 외부를 직접 구획하는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이 접합부의 밀봉성이 문제가 되고, 이 접합부를 스포트 용접으로 접합했을 경우에 용접하지 않은 부분으로 화살표 X, X'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차내부로 물이 칩입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를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플로어패널의 후방측 단부에 뒷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 인터패널이 연장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플로어패널의 측단부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하단부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폐단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폐단면의 앞끝을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앞측부 근방에서 플로어패널의 하면에 형성된 사이드프레임과 연속되는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한 폐단면은 예컨데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측면을 플로어패널의 선단부 측단 끝부와의 접합위치에 의하여 하방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그 연장부의 하단에 차체 안쪽으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를 연장 설치하고, 이 수평부의 끝부를 상기한 플로어패널에 있어서의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의 저부 혹은 이 삽입부의 선단부 사이의 종벽면에 접합함으로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패널 측단부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하단부가 접합되는 부분에 이들 패널 자체에 의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는 폐단면이 형성되어서 소요되는 강도와 강성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서 이 부분에 종래와 같은 사이드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플로어패널의 측단부에 설치되는 선단부의 폭방향 치수를 선단부의 하면에 사이드프레임을 설치한 종래의 구조보다 더 좁게 할 수가 있어서, 양쪽의 선반부의 사이에 넓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플로어패널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은 예로서 플로어패널의 선반부 측단 끝부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측면이 접합되는 한편 이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의 차체 안쪽으로 뻗는 수평부의 단면과 플로어패널의 종벽면 혹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의 저부도 접합되게 되어서 양 패널 사이의 2개소의 접합부에서 차체의 내부와 외부가 구획되게 된다.
따라서, 한쪽의 접합부를 통과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더라도 이 물은 상기한 폐단면 내에 흘려들어갈 뿐이고, 다른쪽의 접합부를 통과하여 차내까지 침수하는 일이 없다.
또한, 플로어패널의 하면에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은 플로어패널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 접합부의 양쪽 위치까지의 길이로 충분하게 되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치수가 단축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자동차의 차체 후부는 기본적으로 차실 저면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10)과 이 플로어패널(10)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되어 뒷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를 형성하는 타이어 하우스 인터패널(20)과 차실 후면을 형성하는 뒤끝패널(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플로어패널(10)의 후부에는 양측부에 한단계 높게된 선반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후부 중앙을 낮게 구성되어 있는 부분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1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선반부(11)의 앞쪽으로 앞부분을 향하여 앞부분이 뒤보다 처진 경사부(1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선반부(11)의 차체내부의 끝부분의 가장자리와 상기한 삽입부(12)의 옆가장자리의 사이에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종벽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반부(11)의 외측부는 대략 장방형 모양으로 절결되고, 이 절결부분으로 부터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은 타이어 하우스의 상부 외주를 형성하는 원호 모양의 주변부(21)와 이 주면부(21)의 차체 안쪽의 끝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플로어패널(10)에 있어서의 선단부(11)의 절결부분을 따라서설치된 플랜지(15)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에 있어서의 주면부(21)의 앞쪽부와 측면부(22)에 걸쳐서 접합되고, 또한 이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 주면부(21)의 차체끝부를 따라서 형성된 플랜지(23)와, 플로어패널(10)의 차체 끝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16)가 차실내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서 플로어패널(10)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상기한 선단부(11)로부터 종벽부(14) 및 삽입부(12)에 걸쳐서 플랜지(17)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17)가 상기한 뒤끝패널(30)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후부가 뒤끝 패널(30)의 뒷쪽으로 돌출되고, 그 후단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24)가 뒤끝패널(30)의 후방에 설치된 뒤끝 외부채널(40)에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제3도 참조), 뒤끝채널(30)에 있어서의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를 넘어서는 부분에는 플랜지(31), (32)가 설치되고 이 인너패널(20)의 후부에 있어서의 주면부(21) 내지 측면부(22)와 후술하는 수평부(25)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뒤끝패널(30)와 뒤끝 외부패널(40)의 사이에는 보강부재(50)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측면부(22)는 플로어패널(10)에 있어서의 선단부(11)의 플랜지(15)와의 접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그 연장부(22a)의 하단 가장자리로 부터 차체 안쪽으로 수평부(25)가 이어져 설치되고, 또한 이 수평부(25)의 끝가장자리에 플랜지(26)가 형성되어 플로어패널(10)의 종벽부(14) 외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플로어패널(10)의 선반부(11) 및 종벽부(14)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측면부(22) (연장부 22a) 및 수평부(25)로 타이어 하우스쪽(A)과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쪽(B)와의 사이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는 폐단면(X)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패널(10)의 앞부분 하면에 있어서의 측방으로 지우친 위치에는 저면(61)과 양측면(62), (63)으로 단면이 "
Figure kpo00005
"모양으로 된 사이드프레임(60)이 차체 저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사이드프레임(60)은 상기한 양측면(62), (63)의 윗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된 플랜지(64), (65)에 의하여 플로어패널(10)의 하면에 접합되어서 플로어패널(10)과의 사이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는 폐단면(Y)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이 프레임(60)의 후부는 플로어패널(10)에 있어서의 경사부(13)가 뒷쪽이 올라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 사이드프레임(60)의 후단부(60a)는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측면부(22)의 연장부(22a) 내지 수평부(25)의 앞쪽에 접합되고, 또한 이 프레임(60)의 차체 안쪽의 측면(63)의 후부(63a)가 플로어패널(10)의 종벽부(14)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사이드프레임(60)과 플로어패널(10)로 형성되는 폐단면(Y)가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측면 연장부(22a) 및 수평부(25), 플로어패널(10)의 선반부(11) 및 종벽부(14)로 형성되는 폐단면(X)와 연속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차체의 측부에 플로어패널(10)과 사이드프레임(60)으로 구성되는 폐단면(Y)와 플로어패널(10)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로서 구성되는 폐단면(X)가 연속되어 형성됨으로서 자체의 측부 하방에 소요되는 강도와 강성이 확보되게 된다.
그리고, 특히 상기한 폐단면(X)가 플로어패널(10)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에 의하여 사이드프레임(60)을 후방까지 연장함이 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체 후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하우스쪽(A)와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쪽(B)의 사이에 종래와 같이 사이드프레임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플로어패널(10)에 있어서의 선반부(11)의 폭 L를 현저하게 좁게 할 수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쪽(B)의 폭방향의 치수를 크게하여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공간으로서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플로어패널(10)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과의 접합부에 있어서는 폐단면(X)의 윗쪽에서 플로어패널(10)에 있어서의 선반부(11)의 플랜지(15)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의 측면부(22)가 접합되는 한편 폐단면(X)의 아래쪽에서 플로어패널(10)의 종벽부(14)와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에 있어서의 수평부(25)의 플랜지(26)가 접합되고 양 패널(10), (20)가 폐단면(X)을 사이에 끼고 상하 2개소의 접합부(a), (b)로 접합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들 접합부(a), (b)가 스포트 용접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아래쪽의 접합부(b)를 통과하여 차외로부터 물이 침입하더라도 이 물은 폐단면(X)안으로 침입할뿐이고, 윗쪽의 접합부(a)를 통과하여 차체내에 침입하는 일이 없고, 플로어패널(10)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과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밀봉성이 현저히 향상되게 된다.
또한, 폐단면(X)은 사이드프레임(60)을 뒷쪽으로 연장함이 없이 되기 때문에 그 몫만큼 사이드프레임(60)의 치수가 짧아지고, 이에 의하여 차체중량이 경감되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플로어패널 후단까지 도달하는 긴 사이드프레임을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체 조립시에 있어서의 사이드프레임의 접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차체 후부에 있어서의 플로어패널(10)과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와의 접합부에 양패널(10), (20)에 의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신하는 폐단면(X)을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차체 후부에 있어서의 소요의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면서 스페어 타이어 삽입부(12)의 공간을 넓게 하고, 또한 상기한 접합부에 있어서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체중량이 경감되고, 나아가서 차체 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게 되고, 이와같이 하여 이 종류의 차체구조로서 여러가지의 점에서 개선된 구조가 실현되게 된다.

Claims (1)

  1. 플로어패널(10)의 후방측 단부와 뒷타이어용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이 연장 설치된 자동차의 후부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타이어 하우스 인너패널(20) 하부에 차체 안쪽으로 수평으로 뻗는 수평부(25)를 일체로 구비한 측면 연장부(22a)와, 상기한 플로패널(10)의 종벽부(14) 및 선반부(11)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측단부가 서로 대응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는 폐단면(X)가 형성되고, 이 폐단면(X)의 앞쪽이 플로어패널(10)의 하부면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어 설치된 사이드프레임(60)과 접속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 차체 구조.
KR1019870002076A 1986-03-18 1987-03-09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KR930007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715 1986-03-18
JP61-61715 1986-03-18
JP61061715A JPS62216870A (ja) 1986-03-18 1986-03-18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49A KR870008749A (ko) 1987-10-20
KR930007220B1 true KR930007220B1 (ko) 1993-08-04

Family

ID=1317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076A KR930007220B1 (ko) 1986-03-18 1987-03-09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16870A (ko)
KR (1) KR930007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545B2 (ja) * 2009-08-26 2013-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79B2 (ko) * 1973-01-16 1981-02-02
JPS5225328A (en) * 1975-08-20 1977-02-25 Nissan Motor Co Ltd Body construction of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49A (ko) 1987-10-20
JPS62216870A (ja) 198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7414Y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デツキ部の結合構造
KR960003520Y1 (ko) 차량의 하부 차체구조
JPH0345903Y2 (ko)
US4552400A (en) Two-door type automobile body structure
KR880000174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KR930007220B1 (ko)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JPS6031973Y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402441B1 (ko) 차체 구조
JP4731717B2 (ja) 自動車ドアの窓枠構造
US6042177A (en) Roof structure for vehicle
JPS6036482Y2 (ja) 自動車のル−フ構造
JP2005161889A (ja) 車体後部の結合構造
JP2000318644A (ja) 車体構造
JPH0238865Y2 (ko)
JPS612498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S61215178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971266A (ja) 自動車の後部車体補強構造
JPH0159138B2 (ko)
JP3066939B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4495830B2 (ja) リヤクォータピラーの補剛構造
JPH049274Y2 (ko)
JP4236741B2 (ja) 自動車のリヤピラー構造
JPH0650291Y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930002557Y1 (ko) 승용차의 대쉬패널(dash panel)과 센터플로어(center floor) 접합구조
JPS6154369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