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27B1 -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 Google Patents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27B1
KR970007627B1 KR1019920023952A KR920023952A KR970007627B1 KR 970007627 B1 KR970007627 B1 KR 970007627B1 KR 1019920023952 A KR1019920023952 A KR 1019920023952A KR 920023952 A KR920023952 A KR 920023952A KR 970007627 B1 KR970007627 B1 KR 97000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tank
recording head
tank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05A (ko
Inventor
요시오 우치카타
요시후미 핫토리
요지 아라
마사시 키타니
에쯔로 스즈끼
토시히데 와다
히로미쯔 히라바야시
히데오 사이카와
마사미 코지마
타다시 하나부사
켄지 가와노
코이찌 탄노
테쯔요 오하시
토시히코 벳끼
켄지 아오노
마사하루 이카도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51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55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5080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7715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1821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2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7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23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36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9673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05A/ko
Priority to KR970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668B1/ko
Publication of KR97000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잉크제트 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부분확대단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제1형태의 교환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제2형태의 교환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힘이 가해진 쪽을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기록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교환잉크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사용한 정보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사용한 정보처리장치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제12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기록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14도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2번째 방법을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15도 (a), 제15도 (b) 및 제15도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16도는 제15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17도 (a) 및 제17도 (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18도 (a) 및 제18도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전기회로도.
제20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1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2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환기록헤드 및 교환잉크탱크를 캐리지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4도는 장착순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5도는 교환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환기록헤드 및 교환잉크탱크를 캐리지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7도는 기록헤드 및 교환잉크탱크의 장착순서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8도는 기록헤드와 교환잉크탱크의 결합예를 도시한 도면.
제29도는 제2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한 기록헤드를 잉크방출 방향에서 본 도면, 제3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환기록헤드 및 교환잉크탱크를 캐리지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31도는 제30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잉크방출 방향에서 본 도면.
제32도는 교환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종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환기록헤드 및 교환잉크탱크를 캐리지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34도는 기록헤드와 교환잉크탱크의 잉크방출 방향에서 본 도면.
제35도는 제33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잉크방출 방향에서 본 도면.
제3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37도는 제36도에 도시한 헤드카트리지를 캐리어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38도는 제36도에 도시한 잉크통로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39도 (a) 및 제39도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4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 및 잉크제트카트리지를 도시한 전개도.
제43도는 잉크제트카트리지 장착·유지용 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제4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지와 잉크제트카트리지를 도시한 전개도.
제4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지와 잉크제트카트리지를 도시한 전개도.
제46도는 제45도에 도시한 잉크제트카트리지를 도시한 전개도.
제4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와 잉크제트카트리지를 도시한 전개도.
제48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49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0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1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2도는 기록헤드와, 잉크탱크홈과 캐리지레버의 보스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제53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4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제55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6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7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8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59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0도 (a) 및 제60도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6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6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63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4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는 동안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5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6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7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8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는 동안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9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0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1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제72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3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4도는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5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6도는 잉크탱크를 장착한 후의 캐리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제트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8도는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잉크탱크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79도는 상기 잉크제트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80도는 헤드카트리지를 캐리지상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81도는 헤드카트리지를 캐리지상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82도는 헤드카트리지를 캐리지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8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84도는 상기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8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86도는 기록헤드, 잉크탱크 및 캐리어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8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 및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8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 및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8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90도는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9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9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9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탱크검출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9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탱크검출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헤드 2 : 잉크탱크
10 : 잉크공급유입구 11 : 잉크공급유출구
12 : 결합클릭 13 : 결합클릭가이드
14 : 잉크탱크유지홈 15 : 콘택트부
101 : 헤드카트리지 102 : 캐리어
106 : 헤드레버 107 : 잉크탱크레버
108 : 헤드고정스프링 109 : 위치결정핀
110 : 스톱퍼 111 : 패드
201 : 반송롤러 202 : 핀치롤러
205 : 반송롤러기어 207 : 플래턴
본 발명은 잉크를 방출해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방식을 이용한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터, 팩시밀리, 워드프로세서 및 기타 정보기록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고, 이들 장치로서, 잉크제트기록방식은 고해상도, 고속기록, 소형화, 저가화등이 가능하므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많은 기타 장점중에서, 장치의 소형화 및 러닝(running)비용의 저감화는 특히 중요하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기록헤드(1801a)와 잉크를 채운 잉크탱크(1801b)를 일체로 구성한 헤드카트리지(1801)를 기록장치의 탑재부(1802)에 교환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기록헤드가 소모품이기 때문에 그의 러닝비용이 높다고 하는 결정이 있었다. 또, 잉크를 완전히 소모한 시점에서 기록헤드(1801a)는 아직 수명에 달하지 않아, 기록가능한 기록헤드(1801a)를 버리기 때문에 낭비였다.
또, 예를들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1901)와 잉크탱크(1902)를 별개로 구성하고 기록장치의 탑재부(1903)에 개별적으로 교환가능하게 접속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잉크탱크의 잉크를 기록헤드에 공급하기 위하여 기록장치상에 잉크공급선(1904)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필연적으로 증가되고 또 장치의 소형화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색이 다른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탱크를 이용할 경우, 기록헤드(1901) 및 잉크탱크(1902)를 교환해도 기록장치의 잉크통로에서 잉크가 혼합되어 버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헤드(1901), 잉크탱크(1902) 및 잉크공급로(1904)를 각 색별로 따로 탑재부(1903)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1701)를 기록장치의 탑재부(1702)에 접속, 고정하고, 상기 기록헤드(1701)에 잉크탱크(1703)를 교환가능하게 접속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기록헤드의 손상시 쉽게 기록헤드를 교환하기가 어려웠다. 또, 색이 다른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탱크를 이용한 경우, 상기 기록헤드내에 잉크가 혼색될 수 있으므로, 잉크색마다 기록헤드(1701)를 별개로 탑재부(1702)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러닝비용의 저감, 잉크탱크 및 기록헤드의 간단한 교환, 기록헤드 교환시의 잉크의 비산방지 및 혼색없이 간편한 잉크색의 교한이 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탱크 및 기록헤드를 간단하게 교환하는 동시에, 기록헤드를 캐리지상에 장착할때 기록헤드와 캐리지를 확실하게 결합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탱크 및 기록헤드를 간단하게 교환하는 동시에,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캐리지에 장착·고정할때 잉크탱크와 기록헤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서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잉크통로수단과, 기록헤드와 기록장치를 서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러닝비용이 저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일체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즉 다른 잉크색을 지닌 잉크탱크 및 기록헤드의 보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보존된 이들 기록헤드 및 잉크탱크의 교환에 의해 잉크색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 및 잉크탱크를 캐리지상에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비산이 방지되는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직접 손으로 기록헤드를 스칠 기회가 적으므로, 먼지입자 및 공기가 잉크에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기록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제트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서로 접속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잉크통로결합부와, 기록헤드의 장착부를 서로 접속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잉크통로결합부는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적어도 2방향이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헤드를 잉크탱크의 장착방향과 무관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잉크방출방향의 선택이 가능하며, 그 결과 장치의 설치방향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적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잉크탱크를 캐리어상에 장착하므로, 어떠한 잉크공급관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잉크를 완전히 소비한 경우, 헤드가 일체로 설치된 카트리지가 아니라 잉크탱크만을 교환해도 충분하므로, 러닝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중 어느 한 쪽을 교환해야 할 경우, 교환을 요하는 것만을 교환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기록헤드를 교환할 경우, 캐리어와 헤드를 분리하기가 쉬워,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각종 방식이 헤드카트리지에 대해 한가지 유형의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많은 다른 유형의 기록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융통성이 향상되어 소망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제트기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를 방출해서 기록을 수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는, 기록헤드 및 잉크탱크를 분리가능하고 교환가능하며, 또 상기 기록헤드를 압압하므로써, 상기 기록헤드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헤드를 잉크탱크에 결합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부재의 중재없이도 직접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압압되어, 기록헤드와 캐리지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와 동시에, 기록장치로부터 기록헤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결합의 접속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신뢰성이 현저하고 기록품질이 극도로 높은 잉크탱크/헤드교환형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하면, 잉크를 방출해서 기록을 수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별개로 구성하여, 상기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각각 별도의 수단에 의해 캐리지상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헤드와 교환가능한 잉크탱크가 서로 별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록헤드를 캐리지에 장착하는 정밀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최적으로 잉크탱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신뢰성이 현저한 외에 소망의 기록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러닝비용의 저감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잉크제트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1] 잉크제트카트리지를 캐리어에 착탈하고, 또 캐리어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가 상기 잉크제트카트리지에 배치되어 있다.
[2]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잉크제트카트리지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에 구분되어 있고, 기록헤드를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또 캐리어상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가 상기 기록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3] 상기 [2]에서 기술한 잉크제트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탱크를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또 캐리어상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가 해당 잉크탱크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제트카트리지를 캐리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또 캐리어상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잉크제트카트리지상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캐리어에 상기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조작성의 향상 및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헤드에 의해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를 장착하고 상기 기록매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기록헤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잉크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탱크가 상기 기록헤드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향을 규제하는 수단을 상기 캐리지 혹은 잉크탱크 또는 캐리지 및 잉크탱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잉크탱크가 기록헤드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향을 규제하는 수단을 상기 캐리지 및/또는 잉크탱크에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의 장착시에 조작자에 의해 여분의 힘이 가해진 경우 또는 잉크탱크를 잘못해서 누른 경우에도 그러한 힘이 기록헤드에 가해지기 전에 잉크탱크가 제어되기 때문에 잉크탱크가 기록 헤드를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유입구와, 헤드와 잉크카트리지와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부재를 헤드에 설치하고, 상기 잉크공급유입구는 소망의 밀봉성을 지닌 원통형으로 하는 동시에 잉크카트리지와 헤드와의 위치결정에는 별도의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잉크방울을 방출하는 기록헤드에 의해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를 장착하고 상기 기록매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기록헤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잉크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탱크의 상기 캐리지에 대한 장착방향을 1방향만으로 한정하는 수단을 상기 캐리지 또는 잉크탱크 또는 캐리지 및 잉크탱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탱크의 캐리지에 대한 장착방향을 1방향만으로 한정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캐리지에 대한 잉크탱크의 장착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실수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탱크의 착오장착에 의한 기록헤드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장치에 기록헤드를 장착할 때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결합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가 정확하게 결합된 것을 표시하는 지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탱크가 기록헤드에 설치된 위치맞춤지표 또는 위치결정결합부가 일치하거나 작동할 때까지, 결합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지닌다. 즉,
[1] 상기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가 결합하는 영역근방에 흡수체를 설치하고 있다.
[2] 상기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가 결합하는 영역근방에 홈을 형성하고 있다.
[3] 상기 잉크제트카트리지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가 결합하는 영역근방에 친수 또는 발수(潑水)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흡수체 및 홈을 설치하고 또 친수 및/또는 발수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잉크누출 및 잉크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잉크를 방출해서 기록을 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는,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헤드와, 상기 기록헤드에 공급할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잉크제트기록장치에 대해서 상기 기록헤드와 일체로 착탈가능한 동시에 상기 기록헤드와 상호 착탈가능한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가 상기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잉크제트기록장치의 기록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잉크탱크내의 잉크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탱크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의 어떠한 기록동작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록도중에서의 잉크의 소모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어있는 잉크탱크가 기록시 잘못해서 장착된 경우에도, 그러한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록헤드로부터의 잉크누출 또는 기록헤드안으로의 공기의 혼입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록장치의 기록헤드부 및 캐리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은 전기신호에 의해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헤드, (2)는 잉크를 수납해 놓고 기록헤드(1)에 공급하는 잉크탱크, (102)는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를 유지하는 기록장치본체에 설치된 캐리어, (106)은 기록헤드(1)를 유지·해제하는 헤드레버, (107)은 잉크탱크(2)의 착탈을 행하는 잉크탱크레버, (108)은 캐리어(102)에 기록헤드(1)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고정 스프링이다.
이들 구성부에 대해 기록헤드부 및 캐리어부가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0)은 잉크탱크(2)로부터 기록헤드(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통로로서 작용하는 잉크공급유입구, (11)은 잉크탱크(2)로부터 기록헤드(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유출구, (12)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일체로 결합한 경우에 양자를 가이드해서 유지하는 결합클릭, (13)은 상기 결합클릭과 끼워 맞춤되는 결합클릭가이드홈, (14)는 잉크탱크(2)와 기록헤드(1)를 착탈할 경우에, 잉크탱크(2)를 유지하는 잉크탱크유지홈이다. 이들 각 소자에 의해, 헤드카트리지(101)가 구성된다.
기록헤드(1)는, 잉크방출에 이용되는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전기열변환소자 및 그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이 기판상에 상기 복수의 전기열변환소자의 각각에 대응한 방출구 및 액로(액체통로), 또 각 액로에 도전적으로 접속된 공통액실을 구성하기 위하여 그 위에 적층된 천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헤드는, 그의 방출구를 지닌 방출구면이 기록매체에 대향하도록 장치에 탑재되어 있다.
잉크탱크(2)는 잉크를 유지하면서 기록에 의해 소비된 잉크를 보충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기록헤드(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탱크이며, 2개의 단체가 잉크탱크를 구성할 때는 잉크공급유출구(11)로부터 잉크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상기 잉크공급유출구를 밀봉해 놓고, 이 밀봉수단은 잉크탱크가 기록헤드(1)와 결합된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되어 잉크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 잉크소비에 의해 감소하는 잉크체적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대기를 도입하도록 한 기구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기록헤드에 공급할 잉크의 압력을 약간 마이너스로 유지하여, 인쇄품위를 향상기키는 동시에 잉크누출을 방지하는 기구를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는 일체로 형성된 카트리지(101)의 상태로 기록동작중인 기록장치에서 사용되나, 이하, 이들을 일체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는 잉크공급유입구(10)와 잉크공급유출구(11)를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되므로, 이 부분은, 잉크의 누출 혹은 잉크통로로의 기체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주의깊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3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부재의 탄성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잉크공급유입구멍(10a) 및 잉크공급유출구멍(11a)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잉크공급유입구멍(10a)의 외경보다 잉크공급유출구멍(11a)의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잉크공급유입구멍(10a)을 잉크공급유출구멍(11a)에 압입하면, 이들 양구멍은 반경방향으로 약간 변형되면서 밀착해서 일체화된다. 또, 결합부는 몰드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밀봉기능을 지니는 재료이면 충분하므로, 기타의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일체화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공급유입구(10)와 잉크공급유출구(11)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나, 헤드카트리지(101)의 취급시 예상되지 않는 힘이 가해질 경우에 간단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일체화시 용이하게 일체화시키도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클릭(12)과 결합클릭가이드홈(13)을 설치해서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하고 있다. 즉, 잉크공급유입구(10)와 일체로 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결합클릭(12)은 선단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부만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클릭가이드홈(13)에 끼위 맞춤되어, 상기 결합클릭가이드홈(13)의 뒤쪽에 설치된 가장 깊은 부분에 상기 결합클릭(12)의 돌기부가 도달한 시점에서 결합이 완료된다.
또, 결합클릭(12)은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결합시에 잉크공급유입구(10)와 잉크공급유출구(11)가 용이하게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안내부로서의 역할도 지니고 있다. 즉, 결합클릭(12)은 잉크공급유입구(10)가 잉크공급유출구(11)에 도달하기 전에 결합클릭(12)이 잉크탱크(2)와 접촉하도록 잉크공급유입구(10)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결합클릭(12)의 선단부는 사선으로 절삭되어 있다.
이 사선으로 절삭된 부분이 결합클릭가이드홈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안내부로서 가능하다. 또한 결합클릭(12)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부도 사선으로 절삭되어 제2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안내부로서 가능하다.
이 점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클릭을 기록헤드쪽에 설치하였으나, 그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잉크탱크(2)쪽, 또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양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기록헤드(1)를 캐리어(102)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는 캐리어(102)가 기록헤드(1)에 결합된 부분을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09)는 캐리어(102)에 고정된 기록헤드(1)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춤되어 제3도의 상하방향 및 그 평면과 수직인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핀, (110)은 캐리어(102)에 고정되어 제3도의 a방향으로 압압된 기록헤드(1)를 수용하는 스톱퍼, (401)은 기록장치본체와 기록헤드(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셔블케이블, (111)은 플렉셔블케이블(401)과 캐리어(102)사이에 위치되어 플렉셔블케이블(40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패드, (15)은 기록헤드(1)에 설치되어 기록헤드(1)내의 히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콘택트부이다.
기록헤드(1)는 헤드고정스프링(108)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레버를 통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압압되어 있고, 그 위치는 기록헤드(1)에 형성된 구멍, 위치결정핀(109) 및 스토퍼(110)의 간섭에 의해 일치해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해서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는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 기록헤드(1)에 설치된 콘텍부(15)와 플렉셔블케이블(401)의 말단면에는 서로 반대위치로 복수개의 전기적인 접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기록장치본체와 기록헤드(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복수개의 전기적 접점을 압접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 접점을 균일하게 압접시키기 위해서 단성재료로 이루어진 패드(111)를 압압부에 삽입한다. 패드(111)의 재질은 예를들면 실리콘고무를 이용하고, 압압된 때에 발생하는 반작용력을 기록헤드(1)를 압압하고 있는 헤드고정스프링(108)에 의해 발생한 힘보다 훨씬 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플렉셔블케이블(401)에 설치된 전기적 접점은, 압압된 때의 응력을 집중시켜서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위하여 돌출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헤드쪽에 기계적 또는 전기적 접속부(결합부)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구속되지 않고, 잉크탱크(2)쪽 또는 기록헤드(1)쪽과 잉크탱크(2)쪽의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 어느쪽에나 전기적 결합부와 기계적 결합부를 분리해서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하,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의 취급방법 즉 잉크를 다 써버린 잉크탱크(2)를 새로운 잉크탱크(2)로 교환하는 경우나, 소정원인에 의해 사용불가능하게 된 기록헤드(1)를 교환하는 경우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형태로서,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간의 고정을 해제하고, 캐리어(102)로부터,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한 상태로 한 채 그들을 빼낸다. 그 후, 캐리어(102)로부터 빼낸상태(이하 "오프캐리어상태"라고 칭함)에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제4도는 캐리어(102)로부터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상태로 한 채로 빼내는 경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이 경우, 헤드레버(106)를 제1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4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아당김으로써, 헤드고정스프링(108)에 의한 기록헤드(1)에의 압압력을 해제하고 있다. 이 때에, 캐리어(102)내의 레버(도시생략)에 의해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한 상태로 한 채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위치결정핀(109)과 기록헤드(1)의 구멍과의 걸어맞춤도 해제되므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는 결합상태 그대로 제4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 오프캐리어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오프캐리어 상태에 있어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한 때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이들을 분리하고, 교환을 요하는 것을 교환한다. 그 후, 이미 설명한 결합방법에 의해 이들 양자를 일체화하고, 역순으로 캐리어(102)에 장착함으로서 교환작업을 종료한다.
이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레버(106)를 이용해서 기록헤드(1)의 압압력을 해제하였으나,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록헤드(1)를 압압하는 레버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기록헤드의 고정시 헤드고정스프링(108)을 이용해서 압압하였으나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성능을 지닌 래치훅등을 이용해서 헤드고정을 수행해도 된다.
또한, 기록헤드(1)를 직접 유지해서, 이러한 압압수단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대항하여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상태에서 착탈해도 된다.
상기 제1형태를 채용한 경우,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기록헤드나 잉크탱크중 어느 한쪽을 교환해야만 할 경우, 교환이 필요한 쪽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상테에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색이 다른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오프케리어상태에서 보존할 수 있어, 색교환이 간편하다.
제2형태로서,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를 고정한 상태(이하"온캐리어상태"라고 칭함)그대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분리를 캐리어(102)상에서 행하는 방법이 있다.
제5도는 캐리어(102)상에 기록헤드(1)로부터 잉크탱크(2)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이 경우, 탱크레버(107)를 제1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제5도의 위치까지 잡아당김으로써, 캐리어(102)내에 배치된 레버(도시생략)가 잉크탱크(2)의 측면에 형성된 잉크탱크가이드홈(14)에 걸어맞춤되어 제5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기록헤드(1)의 고정은 제1도의 상태와 마찬가지이며, 잉크탱크(2)와 함게 이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결합은 해제되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잉크탱크(2)를 제5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어(102)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록헤드(1)를 헤드고정스프링(10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압압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리시의 힘이 가해진 방식에 의해서 헤드공정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는 이러한 힘이 가해진 방식을 도시함 개략평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기록헤드(1)는 헤드고정스프링(108)에 의해서 힘(f1)으로 캐리어(102)에 압압되고 있다. 또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분리하기 위하여 결합클릭(12)과 잉크공급유입구(10)를 해제하는 데 힘(f2)이 필요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힘의 크기를 f1>f2로 해놓음으로써, 분리작업중에 기록헤드(1)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탱크레버(107)를 이용해서 힘(f2)에 상당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를 행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직접 잉크탱크(2)를 유지해서 제5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빼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분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2형태를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1형태에서 얻을 수 있는 것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탱크레버(107)의 캠형상을 설정함으로써 분리할 때 잉크탱크를 잡아빼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잉크공급유입구(10)와 잉크공급유출구(11)로부터의 잉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록헤드(1)를 직접 손으로 쥘 필요가 없으므로, 기록헤드(1)의 잉크방출노즐 근방을 손으로 접촉한 가능성이 없고, 인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쓸데없는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다.
또한, 잉크탱크(2)에 의해 힘이 가해진 부분이 특정될 수 있으므로, 그 부분만 보강하면 충분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박형으로 할 수 있어 잉크탱크의 경량화, 잉크수용용량의 증대화등의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언급한 기록헤드(1), 잉크탱크(2) 및 캐리어(102)를 탑재한 기록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기록장치 개략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헤드카트리지(101)를 탑재하는 캐리어(102)는, 캐리어모터(402a)의 정역회전에 연동해서 전동기구를 통해서 회전하는 리드스크루(103)의 나선형 홈(105)에 대해서 걸어맞춤되는 핀(도시생략)을 지니고, 상기 리드스크루(103)의 회전에 따라서 화살표 a, b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104)는 캐리어의 회전을 규제하는 미끄럼축이다. 또한 캐리어센서(510)에 의해서, 캐리어(102)는 화살표 a, b방향에 있어서의 위치(홈포지션)를 확정한다. (301)은 회복유닛이며, 헤드카트리지(101)의 기록영역밖의 소정위치(예를들면 홈포지션)에 있어서 헤드카트리지(101)의 방출구면에 대향하는 캡(302)과, 이 캡을 방출구면에 접촉시켜서 비기록시등에 있어서 그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캡진퇴구동부(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또, 캡의 방출구면에 접촉된 경우 방출구로부터 잉크를 흡인해서 과도하게 점도가 높은 잉크, 분진 및 기포를 방출해서 잉크방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펌프 및 이와 같이 흡인된 바람직하지 않은 잉크를 수용하는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헤드카트리지(101)의 방출구근방의 청소를 행하기 위한 와이퍼(도시생략)를 지니고 있다.
(201)은 기록매체(6)를 제7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롤러, (202)는 기록매체(6)를 반송롤러(201)에 대해서 압압하는 핀치롤러이며, 이들 1쌍의 롤러사이에 끼어서 기록시에는 기록매체(6)가 제7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반송롤러(201)는 반송롤러기어(205) 및 반송롤러 아이들러기어(206)에 의해 형성된 전동기구를 통해서 반송모터(402b)에 결합되어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다. 또, 핀치롤러(202)는 해제레버(210)의 조작에 의해서 반송롤러(201)에 대해서 접촉하거나 이간될 수 있다.
(207)은 기록매체(6)의 기록면을 평평하게 규제하기 위한 플래턴이다. 또, 이 플래턴(207)에 대해서 기록매체(6)를 밀착시켜 기록매채(6)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213)은 기록후의 기록매(6)를 제7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반송롤러(201)에 동기해서 회전하는 배출롤러이며, 기록매체(6)를 개재해서 이 배출롤러(213)에 대항하는 위치에는 박차롤러(2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에 의해, 기록종료후에 기록매체(6)가 프린터밖으로 배출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복유닛은, 기록헤드(4002a)의 방출구면(4002c)을 캐핑하는 캡(4201)과, 그 캡내부를 마이너스압력으로 해서 방출구면(4002c)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배출된 페잉크롤 캡(4021)으로부터 흡인하여 페잉크관(4031d)으로 송출하는 펌프유닛(4023)과, 상기 캡(4021)을 방출구면(4002c)에 대해서 앞뒤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펌프유닛(4023)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공지에 캠 및 기어기구로 이루어진 전동기구부(타이밍기어)(4024)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타이밍기어(4024)에는, 캐리어모터의 회전구동력이 캐리어모터피니언(4020)을 개재해서 전달된다.
또, 펌프유닛(4023)은, 제9도에 도시한 플런저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동도에 있어서, (4031)은 원통형상부(4031a)와, 후술하는 플런저(4022)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지닌 실린더이다. 또, 그의 축방향으로 일부를 절단해서 잉크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4031b)는 후술하는 레버시일(seal)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캡레버이다. 또, (4031c)는 잉크흡입구로서, 소정의 위치에 개방되어 있고, (4031d)는 페잉크관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를 페잉크흡수체(4028)에 삽입하고 있다. 또, (4031e)는 캡개폐용 돌기부로서, 타이밍기어(4024)의 캡개폐용캡(4024a)에 의해서 압압되어, 실린더(4031)가 회전해서 캡(4021)을 개폐하고 있다.
(4022)는 동작축(4022a), 피스톤스톱퍼(4022b), 피스톤받침부재(4022c) 및 펌프시일스톱퍼(4022d)로 구성된 플런저이다. 또, 잉크통로로서 작용하는 홈(4022e)이 상기 동작축(4022a)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을 상기 실린더(4031)의 안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있고 플런저(4022)의 회전을 막고 있다. 동작축(4022a)에는, 플런저(4022)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리드홈(4022f)이 형성되어 있고, 스트로크기어(4005)의 돌기부(도시생략)가 이 리드홈(4022f)에 삽입되어 있으며, 스트로크기어(4005)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플런저(4022)에 소망의 스트로크량을 부여해서, 마이너스압력을 발생시킨다.
(4032)는 NBR등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피스톤이면, 그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4031)의 내경보다 소정량 크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4031)에 삽입된 때는 적절하게 압축된다. (4033)은 실리콘고무나 NBR등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펌프시일이며, 상기 실린더(4031)에 삽입되며, 플런저(4022)에 대해서 소정의 압력을 얻을 수 있도록 약간 내경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 또, 실린더(403)만을, 플런저(4022)의 펄프시일스톱퍼(4022d) 및 피스톤받침부재(4022c)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왕복주행 가능하다. 또한, 펌프시일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여 실린더(4031)와 플런저(4022)간의 미끄럼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해도 된다.
(4034)는 캡레버로서, 잉크안내부(도시생략)가 후술하는 캡레버시일을 부세하고, 다른쪽의 회전축(4034a)이 실린더(4031)의 구멍(4031f)에 스냅피팅(snapfitting)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4035)는 캡레버시일로서 상기 캡레버(4034)의 잉크가이드부가 압입되고, 또, 실린더(4031)의 캡레버받침부재(4031b)에 압입된다.
(4021)은 캡으로서, 단면이 삼각형을 지닌 환형상의 염화부틸고무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캡레버(4034)의 캡부착부(4034b)에 부착되어 있다.
또 (4042)는 예비방출패드이며, 블레이드클리너(4039)와 마찬가지로 고분자흡수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캡레버(4034)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예비방출패드는 통상의 인자작업중의 잉크방출을 제외한 예비로 방출된 잉크를 흡수하는 흡수체이다. 이러한 예비잉크방출은 인자작업시 방출구면(4002c)상의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기록장치를 내장한 정보처리장치에 관해서, 그 구성 및 전기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제10도(a)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를 내장한 정보처리장치(604)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제10도(a)에 있어서, (601)은 상기 프린터부, (602)는 문자, 숫자 및 기타 캐릭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 뿐만 아니라 각종 지령은 부여하기 위한 키를 갖춘 키보드, (603)은 디스플레이를 지닌 표시부이다. 제10도(b)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를 내장한 정보퍼리장치(604)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제10도(b)에 있어서, (605)는 상기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교환하기 위해 설치된 윈도, (606)은 교환동작수행시를 제외하고는 상기 윈도를 덮기위한 윈도(606)용의 커버이다. 상기 윈도(605)는 기록헤드(1)나 잉크탱크(2) 교환시 헤드레버(601)와 탱크레버(605)를 조작할 수 있도록 충히 크게 되어 있다. (607)은 기록헤드(1)나 잉크탱크(2)를 교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이다. 절환스위치(607)는 기록헤드(1)나 잉크탱크(2)를 교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이다. 절환스위치(607)를 온상태로 절환하면, 캐리어모터(402a)가 구동되어 캐리어(102)를 상기 홈위치나 기록영역으로부터 윈도위치(605)로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기록헤드(1)나 잉크탱크(2)의 교환이 완료되면, 캐리어(102)는 해제스위치(608)가 온상태일때 그의 홈위치로 이동된 후, 회복유닛(301)이 작동하여 잉크흡인 및 방출 또는 와이핑 및 기타회복동작을 수행한다. 그래서, 절환스위치(607)가 온상태로 되기전의 동작으로 현행상태를 회복시킨다. 제1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처리장치의 전기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501)은 주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 (502)는 소정순서를 실행하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터형태의 CPU, (503)은 텍스트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전개하거나 작업영역을 설치한 RAM, (504)는 상기 순서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505)는 CPU(502)의 실행사이클을 작성하고 또 프린터부(601)에 의한 기록동작실행시 필요한 타이밍을 작성하는 타이머, (506)은 CPU(502)로부터의 신호를 주변장치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또, (507)은 프린터부(601)의 콘트롤러, (508)은 헤드카트리지(101)에 기록신호 및 전력을 송출하는 헤드드라이버, (509a) 및 (509b)는 각각 캐리어모터(402a) 및 반송모터(402b)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신호 및 전력을 송출하는 모터드라이버, (510)은 캐리어(102)의 현위치를 검출하고 예를들면 홈퍼지션에 캐리어(102)가 현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캐리어센서, (511)은, 기록매체(6)가 아직 삽입되지 않았거나 페이지종단부(엔드)까지 기록이 종료해 버린 때에 기록매체(6)이외의 위치에 기록을 행하지 않도록 기록매체(6)의 존재를 검출하는 페이퍼센서이다.
또한, (605)는 예를 들면 FDD, HDD, RAM 카드등의 외부기억장치, (512)는 예를 들면 다른 정보처리장치의 통신을 행하거나 내부버스에 직접 접속해서 주변장치를 제어하거나 하기 위한 외부인터페이스이다.
이 점에 있어서, 제11도의 블록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전기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있으며, 이 전원부에는 예를 들면 충전식의 배터리, 사용후 버리는 건전지 또는 정보처리장치본체를 고정해서 사용하는 AC전원용 변환기등이 있다.
상기 전기회로의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부에 의해 기록매체(6)에 기록을 행하나, 이하 기록동작제어순서를 제12도의 플로차트를 이용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프린터본체의 표시조작부에 의한 기록지령키의 사용에 의한 기록개시지시나, 혹은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기록개시지시에 의해 이하의 일련의 순서가 개시된다.
최초로, 스텝S1에서 표시조작부가 온라인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주로 통신등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기록동작개시지시가 전송되어온 때에, 프린터측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채 기록동작을 개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치이며, 여기에서, 표시조작부가 온라인상태라고 판단되면 다음에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기록매체(6)가 프린터부에 세트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페이퍼센서(511)등의 신호에 의해 판단한다. 이것은, 특히 잉크제트프린터 등의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매체없이 인자를 개시한 경우에 프린터부내에 잉크가 비산해서 기록장치자체를 더럽히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있는 잉크를 헛되이 소모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스텝 S2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존재여부의 검출외에 핀치롤러(202)와 반송롤러(201)의 해제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이것은 기록매체가 세트되어 있더라도 핀치롤러(202)가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기록매체의 반송을 행할 수 없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핀치롤러(202)의 해제여부의 판단에는 예를 들면 해제레버에 기계적인 스위치를 설치하는 등에 의한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기록매체가 정상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음에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조작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기록매체를 세트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발생한다. 메시지의 발생방법은 예를 들면 표시조작부에 라이트를 달아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버저를 올리도록 하는 방법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 스텝 S3에서 기록매체(6)가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에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기록동작을 개시한다. CPU(502)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헤드드라이버(508)가 헤드카트리지(101)를 구동하고, 또 이것에 동기해서 모터드라이버(509a), (509b)가 각각 캐리어모터(402a) 및 반송모터(402b)를 구동하여, 캐리어(102)의 주주사방향이동, 기록매체의 부주사방향이동 및 기록헤드(1)의 클리닝등을 행하면서 기록을 행한다.
최후로, 스텝 S5에서는 예를 들면 CPU(502)로부터의 대응신호에 의해 기록동작종료가 지시되거나, 혹은 1페이지 내의 소정의 부주사방향의 기록라인수에 도달한 때 더이상 기록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페이퍼센서(511)에 의해서 기록매체(6)의 기록영역의 종단부가 검지된 경우에, 기록동작종료라고 판정하고 기록동작순서의 종료라고 판정한다.
그 후, 스텝 S6에서, 기록동작순서의 종료로서 캐리어(102)를 그외 홈퍼지션에 복귀시킨다. 이것은 기록동작 종료후에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 대비해서, 기록헤드(1)의 잉크방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캐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 후, 예를 들면, 반송모터(402b)를 소정량 구동하거나, 혹은 페이퍼센서(501)에 의해 기록매체(6)가 배출된 것이 검출확인될 때까지 반송모터(402b)를 구동함으로써, 기록매체를 배출한다. 그래서, 기록종료를 CPU(502)가 표시조작부에 표시하거나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주변장치에 통지하거나 해서 기록동작을 완전히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이 기록헤드와 잉크탱크가 분리가능하고, 그 분리 혹은 일체화 작업을 온캐리어상태 혹은 오프캐리어상태에서 행하도록 잉크제트기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캐리어상에 잉크탱크를 탑재하므로, 잉크공급관등이 불필요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잉크가 완전히 소모된 경우에는, 헤드와 일체로된 카트리지가 아니라 잉크탱크만을 교환하면 충분하므로, 러닝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 혹은 잉크탱크중 어느 하나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교환이 필요한 것만 교환하면 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캐리어상에서 레버등에 의해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할 때에는, 분리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잉크 공급 유입구(10) 및 잉크공급유출구(11)로부터의 잉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상에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할 때에는, 기록헤드를 직접 손으로 쥘 필요가 없으므로, 기록헤드(1)의, 잉크방출 노즐근방을 손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없어, 인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캐리어상에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할 때에는, 잉크탱크(2)의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특정되기 때문에 그부분만 힘에 견디는 구조로 하면 되므로, 기타의 부분은 박형으로 되어 경량화, 잉크수용용적의 증대화등이 가능하다. 또 잉크색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결합상태로 한 채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잉크색이 혼색될 가능성이 없고 또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를 위쪽에서 본 도면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12)는 기록헤드(1)를 캐리어(102)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클램프레버, (113)은 헤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택트부, (114)는 잉크탱크레버(107)에 연동해서 잉크탱크(2)의 일체화 및 분리를 행하는 잉크탱크압압레버이며, 이들 각 부에 의해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헤드부 및 캐리어부가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의 기계적 접속방법으로서 기록헤드(1)를 제6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스톱퍼(110)까지 압아해서, 헤드고정스프링(108)을 이용해서 압력을 가했으나, 기록헤드의 고정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방법으로 해도 된다.
즉, 헤드클램프레버(112)는 탄성재료로 목표물을 압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과 병진운동이 가능한 강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있다. 여기에서 기록헤드를 캐리어(102)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헤드클램프레버(112)는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대피되어 있다. 다음에, 기록헤드(1)자체 또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가 일체로 된 상태에서 제13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되고, 기록헤드(1)의 선단면이 헤드콘택트부(113)에 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헤드클램프레버(112)가 회전하면서 제13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되어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이르러, 그 상태에서 고정된다.
헤드콘택트부(113)에는 이미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패드(111)가 끼여있으므로, 기록헤드(1)는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되밀리나, 헤드클램프레버(112)의 존재에 의해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 되밀리는 힘에 의해서, 헤드콘택트부(113)의 콘택트압력이 확보된다. 또,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의 분리는 상기와 역동작을 행함으로써,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들을 이동시켜 빼낼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잉크탱크(2)의 분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잉크탱크레버(107)(도시생략)를 조작해서 잉크탱크 압압레버(114)를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온캐리어상태에서 잉크탱크(2)의 분리작업을 행할 경우, 기록헤드(1)에 가해진 힘이 헤드클램프레버(112)에 의해서 수용되므로, 기록헤드(1)가 이동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온캐리어상태에서 잉크탱크(2)만을 분리할 경우 또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를 결합한 상태에서 캐리어(102)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도, 이동방향이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115)는 헤드콘택트부(113)를 지지해서 회전 혹은 병진운동 가능한 헤드압압레버, (116)은 캐리어안쪽에 고정된 헤드스톱퍼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어(102)와 기록헤드(1)를 고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한다. 캐리어(102)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헤드고정레버(115)를 제14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그 후, 기록헤드(1) 자체 또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를 결합한 것을 제14도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하여, 기록헤드(1)의 돌기부가 헤드스톱퍼(116)와 헤드압압레버(115)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헤드고정레버(115)를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회전시켜, 제14도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헤드고정레버(115)를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제13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헤드콘택트부(113)에는 탄성패드(111)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탄성부재의 압축반발력에 의해 콘택트압력이 확보된다.
또, 기록헤드(1)와 캐리어(102)의 분리는, 상기와 역동작을 행함으로써, 제14도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그들을 이동시켜 빼낼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잉크탱크(2)의 분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잉크탱크레버(107)(도시생략)를 조작해서 잉크탱크압압레버(114)를 제14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온캐리어상태에서 잉크탱크(2)의 분리작업을 행할 경우, 기록헤드(1)에 이동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15도(b), 제15도(c)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의 잉크통로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5도(b)는 잉크공급유출구(11b)를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구성한 경우로서, 잉크공급유입구(10b)의 경보다도 잉크공급유출구멍(11b)의 내경을 보다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결합시의 잉크공급유입구(10b)와 잉크공급유출규(11b)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잉크통로의 밀봉성능은 향상된다. 또, 잉크공급유출구(11b)의 변형에 필요한 힘은 적게할 수 있으므로,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탈착에 필요한 힘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15도(c)는 잉크공급유입구(10c)를 뾰족한 첨에단부를 지닌 환형상으로 하고, 잉크공급유출구(11c)를 구멍없는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구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록헤드(1)로부터 분리한 때, 잉크탱크(1)의 잉크공급유출구(11c)는 폐쇄상태이므로 잉크공급유출(11c)로부터의 잉크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잉크탱크(2)자체는 양호한 상태에서 취급할 수 있다. 또, 잉크탱크(2)와 기록헤드(1)를 결합할때에는, 잉크공급유입구(10c)의 뾰족한 첨에단부가 잉크공급유출구(11c)에 구멍에 만들어 잉크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안정한 잉크통로의 결합이 가능하고, 동시에 잉크탱크(2)의 분리, 결합시에 필요한 힘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6도는 잉크통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가이드부(10e), (11e)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헤드(1)에 대해서 잉크탱크(2)를 제16도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결합분리를 수행한다. 또, 결합부에는,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시일부재(10f)가 설치되어 있다.
기록헤드(1)의 착탈방향을 잉크탱크(2)의 착탈방향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나, 그러한 방향을 제16도의 화살표 a, b방향으로 취한 경우에는,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의 착탈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힘의 관계가 없어져, 필요한 최소의 힘으로 잉크탱크(2) 및 기록헤드91)의 착탈이 가능하다.
제17도(a) 및 제17도(b)는 잉크탱크(2)의 착탈을 규제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7도(a)는 기록헤드(1)나 잉크탱크(2)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151)은 기록헤드(1)의 착탈에 따라서 회동하는 헤드검출레버, (151a)는 헤드검출레버(151)의 회동을 스톱퍼(152)의 랙부(152a)에 전달하는 피니언부, (153)은 잉크탱크(2)의 정착을 규제하기 위한 탱크규제 레버이다.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가 없는 상태에 있어서, 헤드검출레버(151) 및 탱크규제레버(153)는 스프링등(도시생략)의 부세력에 의해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의 장착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톱퍼(152)는 헤드검출레버(151)에 의해서 탱크규제레버(153)의 잉크탱크(2) 장착방향으로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즉, 기록헤드(1)가 아직 장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탱크규제레버(153)에 의해서 잉크탱크(2)의 장착을 차단한다. 제17도(b)는 기록헤드(1)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헤드검출레버(151)는, 기록헤드(1)의 장착에 의해서 회동해서 제17도(b)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헤드검출레버(151)의 회동은 피니언부(151a)를 개재해서 스톱퍼(152)에 전달되어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규제레버(153)의 회동규제를 해제한다. 즉, 기록헤드(1)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잉크탱크(2)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잉크탱크(2)는 기록헤드(1)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되고, 기록헤드(1)만을 캐리어(102)에 착탈하는 간단한 구성에 있어서, 기록헤드(1)가 아직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잉크탱크(2)의 장착을 금지함으로써 착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8도(a) 및 제18도(b)는 기록헤드(1)의 착탈을 규제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8도(a)는 기록헤드(1) 및 잉크탱크(2)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4도와 마찬가지이나, 캐리어(102)의 잉크탱크장착부의 하부에 탱크검출레버(160)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검출레버(160)의 당접부(160a)는 잉크탱크(2)에 의해서 위치규제 되어있고, 탱크검출레버(160)의 훅부(160b)는 헤드레버(106)의 절결부(106a)로부터 해방되어 있어, 헤드레버(106)는 회전된다. 헤드레버(106)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되면, 기록헤드(1)와 잉크탱크(2)는, 제4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합한 상태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그들을 빼낼수 있게 된다. 제18도(b)는 기록헤드(1)는 장착상태이고 잉크탱크(2)는 아직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탱크검출레버(160)는 스프링등이 부세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화살표 d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잉크탱크(2)가 없는 경우에는, 제18도(b)에 도시한 상태로 상기 레버가 회동되어, 훅부(106b)가 절결부(106a)와 결합되어 기록헤드(1)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잉크탱크(2)가 없는 상태에서 기록헤드(1)를 빼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록헤드(1)자체를 취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기록헤드(1)의 잉크방출노즐부근 또는 잉크공급유입구(10)부근을 손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없어, 기록에 악영향을 미치는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록헤드(1)를 단체로 취급해서, 잉크방출노즐 및 잉크공급유입구(10)로부터 잉크통로내로 공기가 혼입되어 기록에 악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헤드(1)가 캐리어(102)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기록헤드(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었으나, 잉크탱크(2)내의 잉크잔량이 검출이나 잉크탱크(2)가 캐리어(102)상에 존재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는 수단을 지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검출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보처리장치의 전기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9도에 있어서, (513)은 잉크탱크(2)가 캐리어(102)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잉크탱크센서, (514)는 잉크탱크(2)내에 인자가능한 잉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잉크잔량 센서이며, 제11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지닌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탱크센서(513)는 캐리어(102)상에 기계적인 접점을 설치해도 되며, 광학적인 센서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잉크잔량 센서(514)는 잉크탱크(2)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광학적으로 잔량을 검지하도록 구성해도 되며, 혹은 잉크탱크(2)속에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그러한 센서에 접속되는 잉크의 표면에 접점에 배치하여 캐리어(102)상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센서를 지님으로써, 잉크탱크(2) 또는 기록헤드(1)가 없어 기록동작을 개시하려고 한 경우, 또는 기록동작중에 잉크의 잔량이 부족하여 인자불능상태로 된 경우, 인터페이스부(506)를 개재해서 CPU(502)에 정보를 전달하며, 경고를 발행하거나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록헤드(1)에 잉크탱크(2)를 접속한 직후는 기록헤드(1)내에 기포가 혼입되므로 기록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록헤드(1)가 캐리어(102)상에 존재하는 동안 잉크탱크(2)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잉크탱크(2)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되면, 이것을, 캐리어 온 상태에서 잉크탱크(2)가 기록헤드에 새롭게 접속된 경우라고 판단하여, 캐리어(102)를 그의 홈포지션으로 귀환해서 회복유닛(301)에 의해 잉크의 흡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인자도중에 잉크가 완전히 소요된 경우, 동작을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경고하므로, 기록매체를 허비하는 일이 없다.
또, 잉크탱크를 교환한 후에, 수동으로 회복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의 각 실시예는 상기 잉크제트기록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실시예로서,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분리, 교환가능하고, 기록헤드를 가압에 의해 캐리지상에 결합해서 기록헤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3도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기록헤드, 잉크탱크 및 캐리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헤드(1010a)는 전기신호에 따라 막비등을 잉크에 대해서 생기게 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전기열 변환체를 이용하는 잉크제트방식에 사용되는 유형이다.
제23도에 있어서, 기록헤드(1010a)의 주된 구성은, 전체의 소자를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돌기부(1011a-1), (1011a-2)를 위치결정기준으로 해서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상에 접착 또는 압착해서 적층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3도의 내면상의 상하방향은 앞판(1011a)의 기준면(1104a-1)과 돌기부(1011a-1)에 의해서 위치결정되며, 제23도의 내면상의 좌우방향은 헤드위치결정부(1104a)와 돌기부(1011a-2)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또, 제23도의 횡단면도의 수직방향은, 돌기부(1011a-2)의 일부가 헤드위치결정부(1104a)를 덮도록 돌출하고, 해당 돌기부(1011a-2)의 돌출부(도시생략)와 헤드위치결정부(1104a)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히터보드(1013a-2)는 Si기판상에 복수의 열형상으로 배치된 전기열변환체(방출히터)와 이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알루미늄등의 전기배선이 막증착기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장치본체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패드(1013a-1)를 그의 선단부에 배치한 배선을 지닌 헤드플렉서블 기판(이하"헤드 PCB"라 칭함)(1013a)에 대해서, 각각의 배선을 마주 대응시켜 와이어본딩에 의해 히터보드가 접속되어 있다.
방출히터에 대응해서 복수개의 잉크통로를 각각 구분하기 위한 칸막이벽 및 잉크통로를 개재해서 교환가능한 잉크탱크(이하"교환잉크탱크"라 칭함)(1001a)로부터 잉크를 도입해서 잉크통로로 공급하는 공통액실과 복수의 방출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를 폴리술폰등으로 일체로 형성한 홈이 형성된 천정판(1012a)을 히터보드(1013a-2)에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압압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압착고정 및 밀봉해서 잉크방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이 형성된 천정판(1012a)에 결합밀봉된 유로(1015a)는, 교환가능한 잉크탱크(이하"교환잉크탱크"라 칭함)(1001a)와 결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 헤드 PCB(1013a) 및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서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의 반대쪽에 관통시킴과 동시에,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에 접착고정되어 있다.
또, 유로(1015a)와 잉크탱크(1001a)간의 결합축의 단부에는, 방출구에의 먼지입자 및 원하지 않는 기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헤드(1010a)의 방출구 및 전기접속용의 패드(1013a-1)를 보호하는 동시에 기록헤드(1010a)의 취급면으로부터 쥐기 쉽도록 커버(1018a)를 설치해도 된다.
교환잉크탱크(1001a)는 내면에 리브(1001a-2)를 지니는 탱크케이스(1001a-1)내에 잉크를 함침시킨 잉크흡수체(1002a)를 거의 간극없이 채워넣음과 동시에 필터(1008a)를 설치한 유로(1015a)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잉크결합을 행하기 위한 잉크공급 유출구(구멍)(1004a)와, 교환 잉크탱크(1001a)로부터의 잉크의 유출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대기를 교환 잉크탱크(1001a)내로 도입해서 과도한 마이너스의 압력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기 연통부(1003a)(구멍)를 지닌다. 잉크공급유출구(1004a)에의 탱크케이스(1001a-1)내벽을 통한 직접의 대기연통을 방지하고, 잉크흡수체(1002a)의 전체영역내의 잉크를 모세관현상에 의한 힘을 이용해서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탱크케이스(1001a-1)의 내벽에 리브(1001a-2)를 설치함과 동시에 대기연통부(1003a)를 가능한한 잉크공급유출구(1004a)로부터 떨어지게 배치하고 있다. 리브(1001a-2)는 동시에 탱크케이스(1001a-2)의 보강부로서도 기능하여, 탱크교환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잉크흡수체(1002a) 내의 초기의 함침잉크량은, 기록헤드(1010a)와의 결합시에 방출구의 메니스커스에 음의 수두압을 부여해서 안정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능상의 목적과, 잉크탱크교환시에 다소의 충격이 가해져도 잉크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작성상의 목적을 위해서, 잉크흡수체(1002a)의 흡수가능량보다도 적은 잉크를 충전하고 있다. 대기연통부(1003a)의 잉크흡수체(1002a)를 발액처리하거나 별도의 발액성의 흡수체를 이용해서 구성하여 대기연통부(1003a)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을 규제해도 된다. 교환 잉크탱크(1001a)에의 잉크 공급한계는, 잉크흡수체(1002a)의 함침 잉크량이 극히 적게되어, 잉크 방출을 수반하는 노즐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한 기록헤드(1010a)에의 잉크공급능력보다도 잉크흡수체(1002a)의 잉크흡인력이 강하게 되거나 또는 필터(1008a)의 주위에 대기연통부(1003a)로부터 도입된 대기가 많아져 필터(1008a)를 개재해서 흡수체(1002a)내의 대기가 다량으로 공급되도록 된 경우이다.
캐리지(HC)에의 기록헤드(1010a) 및 교환잉크탱크(1001a)의 기계적, 전기적 접속은 이하와 같이 수행된다.
캐리지(HC)에는, 플래턴축(헤드의 앞면측)에 위치하는 앞판(1101a)과, 기록헤드(1010a)의 헤드 PCB상의 패드(1013a-1)에 대응하는 헤드구동 전극(1102a)을 구비한 가요성시트(1102a-1)와, 이 가요성시트를 그의 뒤면쪽으로부터 탄성부재(고무패드)(1102a-2)에 의해 압압하는 전기접속용 지지판(1100a)과, 기록헤드(1010a)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헤드위치결정부(1104a)와, 기록헤드(1010a)를 한방향으로 부세지지하는 가압훅(1103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판(1101a)은 위치결정용 기준면(1104a-1)을 기록헤드(1010a)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에 설치한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부(1011a-1), (1011a-2)에 각각 대응해서 2개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HC)의 가압훅(1103a)은 제23도의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즉 캐리지(HC)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약 10°경사진 방향으로 부세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부세력에 의해서, 기록헤드(1010a)는 앞판(1101a)방향과 전기접속용 지지판(1100a)방향으로 압압된다. 동시에, 전기접속용지지판(1100a)을 지점으로 해서 헤드위치결정부(1104a)에서는 캐리지(HC)의 이동방향으로 부세된다. 이러한 가압훅(1103a)의 가압결합동작은 어떻게 해서든 수행될 수 있으나, 캐리지(HC)의 상부면측으로부터 레버 등에 의해 수행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어쨌튼 이 가압훅(1103a)의 결합시에 기록헤드(1010a)와 교환잉크탱크(1001a)는 캐리지(HC) 상에서 약간 회전하면서 위치결정용 돌기부(1011a-1), (1011a-2)가 앞판(1101a)의 위치결정용 기준면(1104a)에 접촉한 후 전기적 접속이 수행되므로, 헤드 PCB(1013a)상의 패드(1013a-1)와 헤드구동전극(1102)과의 위치결정도 확실하게 수행된다.
기록헤드(1010a)와 교환잉크탱크(1001a)를 결합하기 전에, 캐리지(HC)와 기록헤드(1010a) 및 기록헤드(1010a)와 교환잉크탱크(1001a)를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한다. 이때, 각 결합부만이 접촉한다. 기록헤드(1010a)와 교환잉크탱크(1001a)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상에 설치된 결합훅(1017a)과 교환잉크탱크(1001a)상에 설치된 결합가이드부(1005a)사이의 걸어맞춤에 의해 결합되기 시작한다. 잉크공급유출구(1004a)와 헤드위치결정부(1104a)사이에 이러한 결합부를 배치함으로써, 교환잉크탱크와 기록헤드(101a)와의 결합시에 잉크공급로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즉, 제24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1010a)와 교환잉크탱크(1001a)의 결합에 관하여 생각하면, 제2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교환잉크탱크(1001a)를 회전시킬 때에 결합훅(1017a)과 결합가이드(1005a)와의 결합부를 지점으로 하여 잉크공급부(1004a)가 작용점으로 되므로, 잉크흡수체(1002a)와 필터(1008a)를 결합면으로 하는 유체통로 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와 교환잉크탱크의 외벽면 사이에 끼워진 탄성체의 링시일(1009a)이 가압변형하여 밀착함으로써 잉크공급부(1004a)에 있어서 교환잉크탱크(1001a)내부와 대기와의 연통을 완전하게 밀봉한다. 이 밀봉이 불충분하면, 기록헤드(1010a)로의 잉크공급에 수반하는 교환잉크탱크(1001a)내부로의 대기의 도입이 잉크흡수체(1002 a)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행해지므로, 잉크흡수체(1002a)에 함침된 잉크의 유효이용이 곤란하게 된다. 가압후크(103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1010a)를 캐리지 HC에 대하여 제24도의 평면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해, 그 가압방향이 10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록헤드(1010a)와의 결합을 고려한 경우에도 결합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제, 가압방향의 힘을 F로 하고, 기록헤드(1010a)의 헤드 PCB(1013a)상의 패드(1013a-1)과, 전기접속용 지지판(1100a)상의 고무패드(1102a-2)를 개재한 플렉서블시이트(1102a-1)상의 구동전극(1102a)과의 압접력을 F1이라 하면,
F1=Fcos10°
으로된다. 한편, 기록헤드(1010a)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의 위치결정용돌기(1011a-1)와 캐리지의 전판(1101a)의 위치결정용기준면(1104a-1)과의 압접력을 F2로 하면,
F2=Fsin10°
로된다. 이 전기적접속부에 작용하는 힘 F1은, 기록헤드(1010a)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의 일부인 가압가이드(1011a-3)에 가압후크(1103a)가 헤드구동전극면으로의 수직면에 대해 10° 경사져 있을때의 헤드구동전극면 방향으로의 분력이나, 교환잉크탱크(1001a)등의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기록헤드(1010a)에 작용하기 때문에, 최적의 작용력 F1이 확실하게 얻어져, 내환경, 내분포성에 있어서 전기적 접속부로서 매우 신회성이 높은 기록장치가 얻어진다.
한편, 캐리지 HC의 지면에 대향하는 위치는 압접력 F2에 의해 실현된다.
캐리지 HC와 기록헤드(1010a)와의 위치관계는 기록품위를 크게 좌우하여, 적절한 위치가 나오지 않으면 기록이 경사지거나 괘선이 톱날형상으로 된다거나 최악의 경우, 전기적접속부의 위치가 엇갈려서 접촉불량에 의해 도트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치결정압접력 F2는 기록헤드(1010a)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의 일부인 가압가이드(1011a-3)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가 개재하지 않으므로, 작용력의 감쇠도 없고, 최적인 압접력 F2가 얻어진다. 따라서, 잉크제트기록장치에서 기록품질을 좌우하는 요인의 하나인 기록매체와 기록헤드와의 거리의 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더욱이, 전기적접속부를 지점으로서 가압가이드부에 F1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기록헤드(1010a)에는 전기적 접속부를 지점으로한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기록헤드(1010a)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a)의 일부인 위치결정용돌기(1011a-2)와 캐리지 HC의 전판(1101a)의 헤드위치 결정부(1104a)가 상기 모멘트에 의해 압접력이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기록헤드(1010a)의인쇄방향의 위치정밀도가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현저하게 향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1010a)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기록헤드(1010a)로 기록장치에서 확실하게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캐리지 HC와 기록헤드(1010a)의 위치결정 정밀도도 현저하게 향상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기록품위가 매우 높은 잉크제트기록장치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26∼2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록헤드(1010b) 및 교환잉크탱크(1001b)의 기본 구성은 제23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는 캐리지 HC에 기록헤드(1010b)를 결합시킬 때에 가압력의 방향 및 교환잉크탱크(1001b)의 설치방향이 다르다.
즉,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턴측(헤드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전판은 없고 대신, 플래턴에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 HC의 측판(1900)이 있다. 이 위에, 제23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기록헤드(1010b)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1011b)의 약 중앙의 양단면에 가압가이드(1901)가 2군데 설치되어, 가압가이드(1901)에 제29도에 도시한 가압후크(1908)에 의해 캐리지 HC의 측판(1900)에 가압되어, 여기에서 기록헤드(1010b)로 기록장치에서 전력이 공급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가압력은 직접 기록헤드(1010b)에 수직으로 작용하고,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인 가압력이 확실하게 얻어져 내환경, 내분포성면에 있어서 전기적접속력으로서 매우 신뢰성이 높은 기록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기록헤드(1010b)의 베이스플레이트(1011b)의 일부인 돌기(1902)와 캐리지위치결정부(1903)가 당접하여, 기록헤드(1010b)에서 캐리지 HC로 가압력이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기록헤드(1010b)의 기록방향의 위치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환잉크탱크(1001b)는 기록헤드(1010b)를 캐리지 HC에 결합시킨 후 기록헤드(1010b)에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 기록헤드(1010b)를 캐리지 HC에 결합시키기전에 기록헤드(1010b)와 교환잉크탱크(1001b)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27도는 기록헤드(10101b)와 교환잉크탱크(1001b)가 분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28도는 기록헤드(1010b)와 교환잉크탱크(1001b)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9도는 제26도에 나타낸 공백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일부단면도이고, 여기서, (1906)은 기록헤드(1010b)와 교환잉크탱크(1001b)와의 결합부이다. 캐리지의 측판(1900)에는 다우일(1907)이 설 치되어, 이 다우일(1907)을 지점으로 가압후크(1908)는 회동한다. 가압후크(1908)의 선단(1908a)에는 기록헤드(1904)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로된 가압가이드(1901)를 유지하는 네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우일(1907)과 가압 후크다우일(1909)은 인장코일 스프링(1911)으로 긴장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기록헤드(1010b)는 확실하게 캐리 HC의 측판(1900)에서 전기적접속이 행해진다. 이들 기록헤드부착용의 가압후크(1908)는 기록헤드(1010b)의 하방에도 설치되어, 기록헤드(1010b)는 상하로 캐리지의 측판(1900)에 안정적으로 가압된다.
또, (1901)은 잉크를 방출하는 노즐이며, (1908b)는 기록헤드(1010b)를 캐리지 HC로부터 떼어낼 때 사용되는 레버이며, 이 2개소를 핀칭하여, 가압후크(1908)의 선단(1908b)은 기록헤드(1010b)의 가압가이드(1901)에서 해제되고, 기록헤드(1010b)를 캐리지에서 떼어 내기 가능하게 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잉크탱크와 기록헤드가 착설되어 있고,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각각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잉크탱크(2001a)는 제30도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 HC내에 기록헤드(2010a)와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며, 이 접합부에서, 교환잉크탱크(2001a)는 캐리지 HC위의 교환잉크탱크 전방가이드(2907a)와 교환잉크탱크 후방가이드(2908a)에 의해 가이드되는 캐리지 HC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다음, 교환잉크탱크(2901a)는 한쌍의 탱크가압전방네일(2909a), (2911a)과, 탱크가압후방네일(2910a), (2910a)의 스냅기능에 의해 조절된다. 제31도는 잉크배출면측에서 본 일부단면도로, 기록헤드(2010a)로부터 뻗어나온 유체통로(2913a)는 교환잉크탱크(2001a)에 있어 잉크흡착제(2002a)까지 교환잉크탱크(2001a)의 바닥을 꿰뚫는다.
여기서, 기록헤드(2010a)에서의 먼지입자와 기타 불순물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2914a)를 설치하며, 또한, 기록헤드(2010a)와 교환잉크탱크(2001a)의 결합부에서의 잉크누출을 막기위해 유체통로(2913a) 둘레에 링시일(2915a)을 설치한다.
잉크탱크와 기록헤드를 연결하는 부재, 즉, 유체통로(2913)와 가압접촉하는 잉크흡착체(2002a)는 스폰지형태이며, 링시일(2915a)은 저경도의 탄성체 물질로 만들어지므로, 기록헤드(2010a)에 대해 잉크탱크(2001a)에 의한 부세력은 발위되지 않는다. 또한 (2916a)는 노즐이다. 제32도는 교환잉크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제30도의 A-A선에 따라 단면도로서, 기록헤드(2010a)상에 설치될 경우, 공급부시일(2004a-1)과 도관부시일(2003a-1)은 화살표방향으로 제거된다.
이하, 제33∼35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헤드(2010b)와 교환잉크탱크(2001b)의 기본구조는 제30도에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캐리지 HC에 기록헤드(2010b)를 결합시킬때의 가압력의 방향 및 교환잉크탱크(2001b)의 설치방향은 다르다.
즉,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턴측(헤드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전판은 없고, 대신, 플래턴에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 HC의 측판(290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에, 제30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접속부가 배치해 있고, 기록헤드(2010b)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2011b)의 약 중앙의 양단면에 가압가이드(2901b)가 2군데 설치되어 가압가이드(2901b)에 제35도에 도시한 가압후크(2908b)에 의해 캐리지 HC의 측판(2900b)에 가압되어, 즉 기록헤드(2010b)로 기록장치에서 전력이 공급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압력은 직접 기록헤드(2010b)에 수직으로 작용하고, 다른 부재를 개재 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인 가압력이 확실하게 얻어져 내환경, 내물류적인 면에 있어서 전기적 접속력으로서 매우 신뢰성이 높은 기록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기록헤드(2010b)의 베이스플레이트(2011b)의 일부인 돌기(2902b)와 캐리지 위치결정부(2903b)가 당접하여, 기록헤드(2010b)에서 캐리지 HC로 가압력이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기록헤드(2010b)의 기록방향의 위치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환잉크탱크(2001b)는 기록헤드(2010b)를 캐리지 HC에 결합시킨 후 기록헤드(2010b)에 결합시킨다.
제34도는 기록헤드와 교환잉크탱크가 분리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5도는 제33도에 나타낸 공백 화살표 B방향에서 본 기록헤드 및 탱크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로서, 아우얼(2907b)은 캐리지 HC의 측판(2900b)에 배치되며, 가압후크(2908b)는 지점으로서 다우얼(2907b)에 의해 회전한다.
가압후크(2908b)의 선단(2908b-1)에는, 기록헤드(2010b)의 헤드베이스플레이트(2011b)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가이드(2901b)를 유지하는 네일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측판(2900b)위에 배치된 다우얼(2907b)과 가압후크다우얼(2909b)은 인장 스프링코일(2911b)으로 긴장되어 있으므로, 기록헤드(2010b)는 확실하게 측판(2900b)위의 캐리지 HC에 전기접속된다. 이들 기록헤드부착용의 가압후크(2908b)는 기록헤드(2010b)의 하방에도 설치되어, 기록헤드(2010b)는 상하고 캐리지의 측판(2900b)에 안정적으로 가압된다.
또, (2910b)는 잉크를 방출하는 방출포트(때때로 노즐이라고도 한다)이며, (2908b-2)는 기록헤드(2010b)를 캐리지로부터 떼어낼 때 사용되는 노치이며 이 2개소를 핀칭하여, 가압후크(2908b)의 선단(2908b-1)은 기록헤드(2010b)의 가압가이드(2901b)에서 해제되고, 기록헤드(2010b)는 캐리지 HC에서 떼어낸다.
제33∼35도는 교환잉크탱크(2001b)가 제34도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모든 상태가 상기와 같은 경우를 설명하는 그림으로, 교환잉크탱크(2001b)는 한쌍의 탱크축단네일(2912b), (2913b)에 의해 나타난 압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캐리지스톱퍼(2914b), (2915b)에 대해 접합할 경우, 탱크측단네일(2912b), (2913b)은 복원되어 교환잉크탱크(2001b)의 설치를 완성시킴으로써 그곳에 맞춰지며, 또한, 캐리지전방네일(2916b) 및 캐리지후방네일(2917b)은 교환잉크탱크(2001b)가 분리되지 않도록 위로 향한다.
여기서, 동시에, 교환잉크탱크(2001b)는 캐리지 위에 설치되며, 기록헤드(2010b)와 교환잉크탱크(2001b)의 결합부(2906b)에 설치된 탄성체 링시일(2009b)은 접촉변형되므로, 잉크누출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결합부는 탄성체물질을 사용하여 구성된 가요성이므로, 캐리지위에 교환잉크탱크(2001b)가 설치될 경우에도 기록헤드(2010b)상에 부세력이 발생하지 않고, 캐리지에 대한 기록헤드(2010b)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되지 않을 가능성이 없다.
제3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기록장치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제36도에서, (3001)은 전기신호에 따라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헤드이고, (3002)는 기록헤드(3001)에 공급되는 잉크를 함유한 잉크탱크(잉크카트리지)이고, (3010)은 잉크탱크(3002)에서 기록헤드(3001)로 잉크를 공급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잉크공급유입구(유체통로 연결부)이고; (3011)은 잉크탱크(3002)에서 기록헤드(3001)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유출구(유체통로 연결부)이고, (3012)는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를 일체화할때 양자를 가이드하여 유지하기 위한 결합네일, (3013a), (3013b)는 결합네일(3012)과 결합하는 결합네일 가이드홈, (3016)은 잉크탱크(3002)의 내부를 작은챔버로 나누는 복수의 탱크내벽, (3017)은 탱크내벽(3016)에 개구된 연통구멍이며, 이들 각부에 의해 헤드카트리지(3101)가 구성되어 있다.
제37도는 제36도에 나타낸 헤드카트리지(3101)를 캐리어부에 탑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7도에 있어서, (3102)는 기록헤드(3001) 및 잉크탱크(3002)를 유지하는 기록장치본체에 설치된 캐리어(탑재부), (3016)은 기록헤드(3001)의 유지·해제를 행하는 헤드레버, (3107)은 잉크탱크(3002)의 착탈을 행하는 잉크탱크레버, (3108)은 캐리어(3102)에 기록헤드(3001)를 고정하여 두기 위한 헤드고정 스프링이며, 이들 각부에 의해, 기록장치의 헤드부 및 캐리어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기록헤드(3001)는, 잉크방출에 이용되는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전기열변환소자 및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이 기판상에 상기 복수의 전기열변환소자의 각각에 대응한 방출구 및 유체통로, 각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공통유체실을 구성하는 적층천장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기록헤드(3001)는 방출구를 배열한 방출면이 기록매체에 대향하도록 장치에 탑재된다. 제36도에 도시한 헤드카트리지(3101)에 있어서는, 잉크는 화살표 a방향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탱크(3002)는 잉크를 유지하면서 기록에 의해 소비된 잉크를 보충하도록 되어 있고, 기록헤드(3001)에 잉크를 공급한다. 잉크탱크(3002)가 단체로 존재할 경우에는 , 잉크공급구(3011)로부터 잉크가 누출되지 않도록 시일수단(도시안함)으로 시일한다. 이 시일수단은 기록헤드(3001)와 일체화된 시점에서 자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개방되어,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잉크의 소비에 의해 감소하는 잉크용적에 따라 외부에서 대기를 도입하도록 한 기구를 설치하여도 되며, 더욱이, 기록헤드(3001)에 공급하는 잉크의 압력을 약간 부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고, 잉크누출을 방지하는 기구를 내부에 지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는 일체화한 헤드카트리지(3101)의 상태로 기록동작중의 장치상에서 사용되나, 다음에 이들 양자를 일체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2)는 잉크공급유입구(3010)와 잉크공급유출구(3011)를 결합함으로써 일체화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잉크의 누출, 혹은 잉크 통로로의 기체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배치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울드 부재의 탄성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잉크공급유입구멍(3010a) 및 잉크공급유출구멍(3011a)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잉크공급유입구멍(3010a)의 외경보다도 잉크공급유출구멍(3011a)의 내경이 약간 작게 만들어져 있어, 즉, 잉크공급유입구멍(3010a)을 잉크공급유출구멍(3011a)에 압입하면, 양자는 반경방향으로 약간 변형하면서 밀착하여 일체화된다. 또, 결합부는 모울드 부재로는 한정되지 않고, 시일기능을 지는 것이면 되므로, 다른 종류의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일체화에 있어서는, 상술의 잉크공급유입구(3010)와 잉크공급유출구(3011)의 결합만으로도 충분하나, 헤드카트리지(3101)의 취급시에 있어서 예기되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간단하게 떼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혹은 일체화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가이드로 되도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네일(3012)과 결합네일 가이드홈(3013a)에 의해 결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서 하고 있다.
즉, 잉크공급유입구(3010)과 일체로 모울드성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결합네일(3012)은 선단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의 높이만큼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결합네일가이드홈(3013a)에 결합하고 있고, 결합네일가이드홈(3013a)의 후측에 배치된 가장 깊은 부분에 결합네일(3012)의 돌기가 도달하여, 이 시점에서 결합이 완결된다.
또한, 결합네일(3012)은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결합시에 잉크공급유입구(3010)와 잉크공급유출구(3011)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로서의 역활을 지니고 있다. 즉, 결합네일(3012)은 잉크공급유입구(3010)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잉크공급유입구(3010)가 잉크공급유출구(3011)에 접하기 전에 결합네일(3012)이 잉크탱크(3002)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네일(3012)의 선단은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있고, 이 대각선의 부분이 결합네일가이드홈(1013d)에 결합할 때, 제36도의 화살표 b방향의 가이드로 되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쪽의 결합네일(3012)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도 사선으로 절단되어 있어 제36도의 화살표 C의 방향의 가이드로 되어 용이한 결합을 조장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네일(3012)을 기록헤드(3001)측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구속되지 않고 잉크탱크(3002)측, 혹은 기록헤드(3001)과 잉크탱크(3002)의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탱크(3002)의 내부는 탱크내벽(3016)에 의해 몇개의 작은 챔버로 분리되어 있고, 잉크탱크(3002)의 내벽(3015)의 저면근방에 설치된 연통구멍(3017)을 통해 작은 챔버끼리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연통구멍(3017)중 몇개는 잉크로 채워져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잉크탱크(3002)는 중력에 대해 연통구멍(3017)이 있는 쪽의 면이 하측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제36도에서 위치한 방향).
그러므로, 잉크의 방출방향 a를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방향에서, 제36도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기록매체(도시안함)의 진행방향이 수평이어서는 안되고 수직인 기록장치에 사용할 경우라던가, 기록장치자체를 수직으로 놓게한다거나 혹은 수평으로 놓게하여 사용하는 경우, 잉크카트리지(3101)와 함게 회전하는 잉크탱크(3002)가 전술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게되어 잉크의공급이 가능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네일(3012)과 결합네일가이드홈(3013a)에 의한 제1의 결합방향이외에, 약 90도 회전한 제2결합방향을 지니고 있다. 이 제2결합방향의 경우는, 결합네일(3012)은 마찬가지로 사용되나, 결합네일가이드홈(3013)은 다른 한쪽의 결합네일가이드홈(3013b)에 결합되며, 이 경우, 결합방식은 제1결합방향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결합네일(3012)과 결합네일가이드홈(3013)의 위치관계는 잉크공급유입구(3010)에 대해 회전대칭으로 있으므로, 상기 제2결합방향에서 더욱 90도씩, 합계 4방향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제39도는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잉크유출통로결합부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39도의 (a)는 잉크공급유출구(3011b)를 고무등에 의한 탄성적재료로 구성한 경우로, 잉크공급유입구(3010b)의 외경보다도 잉크공급유출구(3011b)의 내경을 작게 만들 수 있어,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결합시의 잉크공급유입구(3010b)와 잉크공급유출구(3011b)의 밀착성은 향상하고, 그 결과, 잉크통로의 시일성능이 향상한다. 또, 잉크공급유출구(3011b)를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작아도 되기 때문에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착탈시의 작동력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39도의 (b)는, 잉크공급유입구(3010e)를 첨예단을 지니는 관상구조로하고, 잉크공급유출구(3011C)를 구멍이 없는 고무등의 탄성적재료로 구성한 경우로, 기록헤드(3001)와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잉크탱크(3002)의 잉크공급부(3011C)는 개폐상태로 잉크공급부(3011C)에서의 잉크의누출은 없고, 잉크탱크(3002)단체로의 취급이 우수하다. 또, 잉크탱크(3002)를 기록헤드(3001)에 결합하는 경우, 잉크공급유입구(3010C)의 첨예단이 잉크공급유출구(3011C)에 구멍을 만들어 잉크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안정한 유체통로의 결합이 가능하고, 또, 잉크탱크(3002)의 분리결합시의 작동력을 작게할 수 있다.
제3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잉크탱크(3002)의 설치방향은 축방향의 각도차만 다른 방식이었으나, 이것에 구애되지 않고, 다른 위치로 잉크통로를 지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제40도는 이와 같이 구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결합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40도에 있어서, (3018)은 기록헤드(3001)에 설치된 제1잉크공급유입구, (3019)는 제1잉크공급유입구(3018)과는 다른 방향에 설치된 제2잉크공급유입구이며, 이들 각부에 의해 헤드카트리지(3101)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록헤드(3001)의 잉크방출방향은 제40도의 화살표 BK 방향이며, 기록헤드(300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유입구로서, 제1잉크공급유입구(3018)와 제2잉크공급유입구(3019)가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지녀서 개방되어 있다. 이들은 잉크탱크(3002)의 잉크공급유출구(301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일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잉크공급유출구(3011)가 설치된 경우에만 개방되어 잉크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들중 어느 한쪽에 잉크탱크(3002)가 부착한 경우에는, 다른쪽은 폐쇄되어 있고, 잉크통로에 공기가 혼입하는 것 없이, 잉크탱크가 양쪽에 부착된 경우에는, 원활하게 잉크가 흐를 수 있다.
이점에서, 이 경우의 잉크탱크(3002)는, 제36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달리,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잉크탱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살표 a방향에서 제2잉크공급유입구(3019)를 향하여 잉크탱크(3002)를 부착시킬 수 있고, 제40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제1잉크유입구(3018)를 향하여 잉크탱크(3002)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헤드카트리지(3101)를 캐리어(3102)위에 설치한 경우의 캐리어(3012)의 주사방향을 제40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하면, 제2잉크공급유입구(3018)에 잉크탱크(3002)를 부착한 경우에는 기록장치에서 잉크탱크(3002)가 비어져나오지 않고, 전체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제1잉크유입구(3018)에 잉크탱크(3002)를 부착한 경우에는 캐리어(3102)의 폭을 좁게할 수 있어, 기록장치의 전체폭을 좁게할 수 있다.
더욱이, 제40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다른 잉크공급유입구를 설치하여 잉크탱크(3002)를 부착시킬 경우에도, 기록장치의 전체폭을 좁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결합방향을 2개이상 지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록헤드(3001)가 1종류인채, 헤드카트리지(3101)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어, 따라서 다종류의 기록장치에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이 증가하고 효율이 좋다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구체적으로는 제40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 기록헤드(3001)를 이용하여 칼라기록헤드를 구성한 것이다.
제41도에 있어서, 기록헤드(3001) 및 잉크탱크(3002)는, 각각, 블랙(BK), 엘로(Y), 마젠타(M), 시아노겐(C)색의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헤드 1BK, 1Y, 1M, 1C 및 잉크탱크 2BK, 2Y, 2M, 2C로 이루어져 있고 제41도의 화살표방향은 각각의 잉크가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기록헤드(3001)의 형상은 제40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잉크탱크(3002)와의 유체통로구성에 대해서도 제1잉크공급유입구(3018)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칼라기록헤드의 경우는, 기록헤드끼리의 위치결정정밀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록헤드(3001)의 제2잉크공급유입구의 반대측에 위치결정돌기(3020)를 설치하고, 이것을 인접하는 기록헤드의 제2잉크공급유입구와 결합시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41도의 화살표 C방향에 잉크공급유입구를 설치하여, 이 방향으로 잉크탱크(3002)를 접속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3001)와 잉크탱크(3002)의 설치방향을 2개이상 지니고, 이들의 기록헤드(3001) 및 잉크탱크(3002)를 복수개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통상 단색으로 사용하고 있던 헤드카트리지(3101)에 복수색의 헤드카트리지를 부가함으로써 간단하게 칼라기록카트리지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색용의 잉크탱크(3002)의 크기와 다색기록할 때에 부가하는 기록헤드(3001)의 크기를 대강 동일하게 하여두면, 캐리어를 공통으로 하여 단색기록과 다색기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소형이고 저렴한 칼라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공급유입구를 위치결정에 이용함으로써, 헤드간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고품위 칼라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42도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록헤드(4002a)에는, 잉크카트리지(4002)의 착탈·유지용 레버(400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4002f)는, 설치축(4002g)중심에 하방으로 유지되어 있다. 잉크제트카트리지(4002)를 캐리어에 장착할 경우는, 제42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잉크방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레버를 일으켜서 상기 설치축(4002g)이 캐리어의 가이드홈(4001C)에 연하도록, 화살표 A방향으로 장착한다. 그후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축(4002g)이 가이드 홈(4001C)의 저부까지 도달하고, 이것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었던 때에 레버(4002f)를 B방향으로 90°회전시켜 캐리어(4001)에 유지한다. 실제로는,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릭등의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버(4002f)에 설치된 긴원통부(4002h)가, 위치결정홈(4001d)의 벽(4001e)에 의해 규제되어, 제43도의 좌측으로 ε만큼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기록헤드(4002a)와 캐리어(4001)의 접접이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취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42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헤드(4002a)에 설치되어 있던 잉크제트카트리지의 착탈·유지용레버(4002f)를, 잉크탱크(4002C)에 설치한 것이며, 기타구성은 제42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5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는, 기록헤드(4002a)와 잉크탱크(4002b)가 분리가능한 구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 잉크탱크용의 레버(4002j)의 긴원통부(4002k)가 크게 되어 있고, 이동량ε도 그만큼 크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4002a)의 연결봉(4002d)을 잉크탱크(4002b)의 연결구멍(4002e)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4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응용형이며, 잉크탱크(4002b)의 유지를 기록헤드(4002a)로 행하는 구성이다. 잉크탱크(4002b)용의 가이드홈은 기록헤드(4002a)에 설치되어 있고(4021), 기록헤드(4002a)용의 가이드홈은 캐리어위에 설치되어 있다(4001f).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탱크(4002b)는 잉크탱크용레버(4002j)에 의해, 단독으로 교환될 수 있으나 기록헤드(4002a)는 단독으로는 교환될 수 없고, 반드시 잉크탱크(4002b)를 유지하면서 잉크제트카트리지의 형태대로 교환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 기록헤드(4002a)교환시에는 먼저 잉크탱크(4002b)를 제거하고, 다시 기록헤드(4002)를 제거한다고 하는 2회의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1회작업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제48도 및 제49도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제48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부착하기 이전의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9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부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8도 및 제49도에 있어서, (5006)은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5004)의 노즐(5005)에서 잉크탱크(5006)의 구멍(5007)을 개재하여 기록헤드(5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5004)는 캐리지(5001)의 구멍(5003)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지(5001)의 주사방향은 제48도의 화살표 S방향이며, 기록헤드(5004)에서 기록매체에 대한 잉크의 방출방향은 제48도의 화살표 T방향이다.
기록장치의 조작자는, 잉크탱크(5006)에 잉크가 비게되는 것을 알면, 빈 잉크탱크(6)를 떼어내고, 잉크가 넣어져 있는 잉크탱크(5006)를 기록헤드(5004)에 설치한다. 이 경우, 제48도에 있어서, 잉크탱크(5006)의 위치에서 제48도의 화살표 P방향으로 잉크탱크(5006)를 이동시켜 기록헤드(5004)의 노즐(5005)과 잉크탱크(5006)의 구멍(5007)을 결합시킨다. 이 결합으로 잉크탱크(5006)는 기록헤드(5004)에 맞부딪히기 이전에 캐리지(5001)의 스톱퍼(5002)에 결합한다(제49도).
이와 같이, 캐리지(5001)위에 스톱퍼(5002)를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5006)의 장착시에 잉크탱크(5006)에 과도한 힘을 가한 경우에도, 잉크탱크(5006)가 기록헤드(5004)에 맞부딪히기 이전에 캐리지(5001)의 스톱퍼(5002)에 결합하기 때문에 기록헤드(5004)를 손상할 가능성이 없다.
제50도 및 51도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50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51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50도 및 51도에 있어서, (5026)은 내부에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에서 잉크탱크(5026)의 구멍(502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5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5004)는 캐리지(5020)의 구멍(5021)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지(5020)의 주사방향은 화살표 S방향이며, 기록헤드(5004)에서 기록매체에 대한 잉크방출방향은 화살표 T방향이다. (5027)은 잉크탱크(5026)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홈이며, 캐리지(502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5022)의 상부구멍(23)에 설치된 캐리지레버(5024)에 배치된 보스(5025)과 결합한다.
조작자는 잉크탱크(5026)를 기록헤드(5004)에 장착할 때, 캐리지레버(5024)를 일으킨 상태로 잉크탱크(5026)의 홈(5027)이 보스(5025)에 결합하도록 장착한다(제50도). 이어서, 캐리지레버(502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탱크(5026)는 기록헤드(5004)에 근접하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과 잉크탱크(5026)의 구멍(5028)이 결합한다(제51도).
이때, 조작자가 캐리지레버(5024)에 과도한 힘을 가한다하여도, 캐리지레버(5024)에 설치된 스톱퍼(5029)가 캐리지(5020)에 맞부딪치므로 이것이상 잉크탱크(5026)가 기록헤드(5004)에 접근할 수는 없다. 여기서, 제52도는 제50도에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헤드(5004)와 잉크탱크(5026)의 홈(5027)의 캐리지레버(5024)의 보스(5025)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작자가 착오를 일으켜, 제5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5004)와 잉크탱크(5026)의 스페이스 y가 보스(5025)와 홈(5027)의 스페이스 x보다도 크면(y>x), 잉크탱크(5026)가 기록헤드(5004)를 누르게 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잉크탱크(5026)에 과도한 힘이 가해졌다하여도 기록해드(5004)에 손상을 줄 가능성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레버(5024)에 보스(5025)를 설치하였으나, 보스(5024)는 돌기형상으로 되어있으면 반드시 보스형상의 아니어도 된다.
제53도∼제56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53도는 잉크탱크자체의 개략도, 제54도는 제53도에 있어서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잉크탱크의 측면도이다. 제55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사시도이고, 제56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53도, 제54도 및 제55도에 있어서, (5046)은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에서 잉크탱크(5046)의 구멍(504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5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5004)는 캐리지(5040)의 구멍(5041)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5042)는 캐리지(5040)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가이드이다. 또, (5047)은 잉크탱크(5046)에 설치된 스톱퍼용리브이다.
조작자는 잉크탱크(5046)를 기록헤드(5004)에 장착할 때, 잉크탱크(5046)의 리브(5047)가 없는 방향(E)과 캐리지(5040)의 F부가 일치하도록하여 구멍(5048)쪽에서 제55도의 화살표 D방향으로 잉크탱크(5046)를 캐리지(5040)의 가이드(5042)에 삽입하고, 잉크탱크(5046)의 리브(5047)가 캐리지(5040)가이드(5042)의 모서리(5043)에 맞대어질때까지 삽입한다. 즉,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과 잉크탱크(5046)의 구멍(504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5046)의 장착이 완료한다(제56도).
이와 같이, 잉크탱크(5046)에 스톱퍼용리브(5047)를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5046)에 과도한 힘을 가한 경우에도, 기록헤드(5004)를 눌러서 기록헤드(5004)에 손상을 주는 것은 없게 된다.
제57도∼제59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57도는 잉크탱크자체의 사시도, 제58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9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57도 및 제58도에 있어서, (5056)은 내부에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에, 잉크탱크(5056)의 구멍(505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5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5004)는 캐리지(5050)의 구멍(5051)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5052)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가이드이다. 또, (5057)은 잉크탱크(5056)에 설치된 스톱퍼이며, 가이드(5052)의 홈(5053)과 결합한다.
조작자는, 잉크탱크(5056)를 기록헤드(5004)에 장착할때, 잉크탱크(5056)의 돌기(5057)와 캐리지(5050)의 홈(5053)이 일치하도록 하여, 구멍(5058)쪽에서 제58도의 화살표 D방향으로 잉크탱크(5056)를 캐리지(5050)의 가이드(5052)에 삽입하고, 돌기(5057)가 홈(5053)의 가장 깊은 부분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즉, 기록헤드(5004)의 잉크공급노즐(5005)과 잉크탱크(5056)의 구멍(505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5056)의 장착은 완료한다(제59도).
이와 같은, 잉크탱크(5056)에 스톱퍼용의 돌기(5057)를 설치하고, 캐리지(5050)위의 가이드(5052)에 홈(5053)을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5056)에 과도한 힘이 가해졌다해도 기록헤드(5004)를 눌러서 기록헤드(5004)에 손상을 줄 가능성은 없다.
제60도의 a, b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잉크제트헤드(6101)에 있어서, 잉크공급배럴(6104)이 잉크공급수단으로 가능하고, 이것이 원통의 외관형상을 나타내고 있어 잉크탱크(6102)의 凹부인 잉크공급유출구(6103)와 밀폐성 좋게 결합된다. 그러나, 잉크제트헤드(6101)와 잉크탱크(6102)의 결합의 상대적 위치관계는 잉크공급수단(6104)과 잉크공급유출구(6103)만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더욱이 잉크제트헤드(6101)에 설치된 위치결정핀(6105), (6106)과 잉크탱크(6102)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구멍(6107), (6108)의 결합에 의해, 및 잉크제트헤드(6101)에 설치된 탈락방지부재(6109), (6110)와 잉크탱크(6102)에 설치되어 있는 凹부(6111), (6112)와의 결합에 의해 3차원적으로 완전하게 위치결정된다. 제60도 a, b에 도시한 바와같이 명확하게, 잉크제트헤드와 잉크탱크의 결합을 위한 위치결정수단은 잉크공급수단에 의하지 않는다.
잉크제트헤드(6101)에 있어서 위치결정핀(6105), (6106)을 설치한 위치는 특히 조건이 있을 이유는 없으나, 잉크공급수단에서 떨어져 있는 편이 그 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높게 하므로 바람직하고, 잉크제트헤드(6101)와 잉크탱크(6102)의 결합에 있어서 대향하는 면위의 상태가 좋은 위치를 선택하면 된다. 탈락방지부재를 설치하는 위치를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 관점에서 결합의 해제의 용이성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제60도 a, b에 있어서 위치결정핀이나 탈락방지부재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것에 한정할 의도는 없다.
잉크공급수단을 수성하는 잉크공급배럴(6104) 및 잉크공급유출구(6103)의 형상은 각별하게 본 발명의 요건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선택해도 되나, 잉크의 누출을 방지할 관점에서는 원통형의 凸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凹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0b도는 잉크카트리지(6101)와 잉크탱크(6102)를 결합한 후 X-X선(잉크탱크(6102)로 도시)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며, 양자의 부재에 각각 설치된 위치 결정수단(6106)과 (6108)의 결합상황 및 탈락방지부재(6109)와 (6111)의 결합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또, (6115)는 잉크챔버이다.
제61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적절한 잉크공급통로가 캐리지(6301)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면, 제60도 a, b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은 잉크제트헤드 및 잉크탱크결합형의 헤드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잉크제트헤드(6302) 및 캐리지(6301)결합과, 잉크탱크(6303) 및 캐리지(6301)결합으로서, 캐리지(6301)를 잉크제트헤드(6302)와 잉크탱크(6303)의 위치결정에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서로 연통하는 잉크공급배럴(6308), (6309)은 위치결정에는 사용하지 않고, 캐리지(6301)에 위치결정전용의 부재(6304), (6305), (6306), (6307)을 설치하고, 다른쪽 잉크제트헤드(6302)와 잉크탱크(6303)에는 대응하는 凹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잉크공급배럴은 밀폐성이 좋은 원통형으로 하여도, 잉크제트헤드 및 잉크탱크의 위치는 정확하게 결정된다.
잉크제트헤드(6302)와 잉크탱크(6303)는 각각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탈락방지부재(6310), (6311), (6312), (6013)가 캐리지(6301)의 凹부(6314), (6315), (6416), (6317)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제62도∼제65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62도는 잉크탱크자체의 개략사시도, 제63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4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와 캐리지의 사시도, 제65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62도 및 제63도에 있어서, (7026)은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에서 잉크탱크(7026)의 구멍(702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7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7004)는 캐리지(7020)의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캐리지(7020)의 주사방향은 제62도의 화살표 S방향이며, 기록헤드(7004)에서 기록매체에 대한 잉크방출방향은 제62도의 화살표 T방향이다. (7027)은, 잉크탱크(7026)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를 착오로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며, 캐리지(702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7022)의 상부구멍(70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 레버(7024)에 설치된 보스(7025)와 결합한다.
조작자는 잉크탱크(7026)를 기록헤드(7004)에 장착할 때, 캐리지레버(7024)를 일으킨 상태로 잉크탱크(7026)의 홈(7027)이 보스(7025)에 결합하도록 장착한다(제64도).
이 경우, 잉크탱크(7026)를 상하역방향, 좌우역방향등의 정규의 방향이외의 상태로 캐리지(7020)에 장착하도록 하며, 보스(7025)와 홈(7027)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캐리지(7020)에 장착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캐리지레버(702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아래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탱크(7026)는 기록헤드(7004)에 근접하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과 잉크탱크(7026)의 구멍(702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7026)의 장착은 완료한다. 이때, 캐리지레버(7024)에 설치된 스톱퍼(7029)가 캐리지(7024)에 맞대어진다(제65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탱크(7026)의 중심에서 떨어진 위치에 제6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홈(7027)을 설치하며, 캐리지(7020)위에 홈(7027)과 결합하는 보스(7025)를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7026)의 캐리지(7020)에 대한 착오에 의한 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레버(7024)에 보스(7025)를 설치하였으나, 보스(7025)는,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반드시 보스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제66도∼제69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66도는 잉크탱크자체의 사시도, 제67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8도는 잉크탱크를 기록헤드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와 캐리지의 사시도, 제69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66도 및 67도에 있어서, (7036)은 잉크가 들어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에서 잉크탱크(7036)의 구멍(703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7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7004)는 캐리지(7020)의 구멍(7021)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7037)은 잉크탱크(7036)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홈이며, 캐리지(702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7022)의 상부구멍(70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캐리지 레버(7024)에 설치된 보스(7025)와 결합한다.
조작자는 잉크탱크(7036)를 기록헤드(7004)에 장착할때, 캐리지레버(7024)를 일으킨 상태로 잉크탱크(7036)의 벽(7039)이 기록헤드(7004)에 놓이도록, 또 홈(7037)이 보스(7025)에 결합하도록 장착한다(제68도). 이 경우, 잉크탱크(7036)를 상하역방향, 좌우역방향등의 정규의 방향이외의 상태로 캐리지(7020)에 장착하도록 하면, 벽(7039)이 기록헤드(7004)에 의해 차단된다거나, 또, 보스(7025)와 홈(7037)의 위치가 맞지 않는 등, 캐리지(7020)에 장착하는 것까지도 불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캐리지레버(702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탱크(7036)는 기록헤드(7004)에 근접하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과 잉크탱크(7036)의 구멍(703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7036)의 장착이 완료한다(제69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탱크(7036)의 단부에 벽(7039)을 설치하고, 더욱이, 잉크탱크(7036)의 중심에서 떨어진 위치에 홈(7037)을 설치하고, 캐리지(7020)에 홈(7037)과 결합하는 보스(7025)를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7036)의 캐리지(7020)에 대한 착오에 의한 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레버(7024)에 보스(7025)를 설치하였으나, 보스(7025)는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반드시 보스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제70도∼제72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70도는 잉크탱크자체의 사시도, 제71도는 제70도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잉크탱크의 측면도이다. 제72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3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70도, 제71도 및 제72도에 있어서 (7046)은 내부에 잉크가 들어가 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에서 잉크탱크(7046)의 구멍(704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7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7004)는 캐리지(7040)의 구멍(7041)에 도시하지 않는 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7042)는 캐리지(7040)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가이드이다. 또, (7047)은 잉크탱크의 착오로 인한 장착방지용 리브이다.
조작자는 잉크탱크(7046)를 기록헤드(7004)에 장착할 때, 잉크탱크(7046)의 리브(7047)가 없는 방향(E)과 캐리지(7040)의 F부가 일치하도록 구멍(7048)쪽에서 제72도에 화살표 D방향으로 잉크탱크(7046)를 캐리지(7040)의 가이드(7042)에 삽입하고, 잉크탱크(7046)의 리브(7047)가 캐리지(7040)의 가이드(7042)의 모서리(7043)에 맞대어질때까지 삽입한다. 즉,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과 잉크탱크(7046)의 구멍(704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7046)의 장착이 완료한다(제73도).
이때, 잉크탱크(7046)를 상하역방향, 좌우역방향등 정규의 방향이외의 상태로 캐리지(7040)에 장착하도록 하면, 리브(7047)가 장애로 되어 캐리지(7040)의 가이드(7042)에 삽입되지 않게 하므로, 장착불능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탱크(7046)의 단부에 리브(7047)를 설치하고, 캐리지(7040)위에 가이드(7042)를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7046)의 캐리지(7040)에 대한 착오로 인한 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제74도∼제76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74도는 잉크탱크자체의 개략사시도, 제75도는 잉크탱크를 캐리지에 장착하기전의 기록헤드가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6도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헤드에 잉크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74도 및 제75도에 있어서, (7056)는 내부에 잉크가 들어가 있는 잉크탱크이며, 기록헤드(7004)의 잉크탱크 공급노즐(7005)에서, 잉크탱크(7056)의 구멍(7058)을 개재하여 기록헤드(7004)로 잉크가 공급된다. 또, 기록헤드(7004)는 캐리지(7050)의 구멍(7051)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찰탁자재로 결합하고 있다. (7052)는 캐리지(7050)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탱크장착용의 가이드이다. 또, (7057)은 잉크탱크의 착오에 의한 장착방지용의 돌기이며, (7053)은 캐리지에 설치된 잉크탱크의 착오에 의한 장착방지용의 홈이다.
조작자는 잉크탱크(7056)를 기록헤드(7004)에 장착할 때, 잉크탱크(7056)의 돌기(7057)와 캐리지(7050)가 일치하도록 하여, 구멍(7058)쪽에서 제75도의 화살표 D방향으로 잉크탱크(7056)를 캐리지의 가이드(7052)에 삽입하고, 돌기(7057)가 홈(7053)의 끝에 맞닿을때까지 삽입한다. 즉, 기록헤드(7004)의 잉크공급노즐(7005)과 잉크탱크(705b)의 구멍(7058)이 결합하여, 잉크탱크(705b)의 장착은 완료한다(제76도).
이때, 잉크탱크(705b)를 상하역방향, 좌우역방향등 정규의 방향이외의 상태로 캐리지(7050)에 장착하도록 하면, 돌기(7057)가 방해로 되어, 캐리지(7050)의 가이드(7052)에 삽입할 수 없게 되어 장착불능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탱크(7056)에 돌기를 설치하고, 캐리지(7050)위의 가이드(7052)에 홈(7053)을 설치함으로써 잉크탱크(7056)의 캐리지(7050)에 대한 착오로 인한 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제77도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헤드카트리지(8002)가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의 결합은, 기록헤드(8002a)에 형성되어 잉크탱크(8002b)에 기록헤드(8002a)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관(8002a 4)과, 잉크탱크(8002b)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공급관(8002a 4)에 끼워맞춰져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링(8002b 4)의 결합 및, 잉크탱크(8002b)에 형성된 록네일(8002a 3)과 기록헤드(8002a)에 설치된 상기 록네일(8002b 3)의 수용부(8002a 3)의 결합에 의해 행해진다. (8002a 1), (8002b 1)은 각각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에 설치된 결합시에 삽입량의 올바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매칭마크이다. (8002a 2), (8002b 2)는 각각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에 설치된 결합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이며, 기록헤드(8002a) 및 잉크탱크(8002b)와 다른 색의 스트립, 혹은 각인된 선등이며, 분리된 상태의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의 결합방향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8002a 5)는 헤드카트리지(8002)를 캐리어(8001)에 설치할때에 캐리어(8001)와 기록헤드(8002a)와의 전기적 접합을 행하는 콘텍트이다. (8002b 5)는 헤드카트리지(8002)를 캐리어(8001)에 설치할때에 헤드카트리지(8002)를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록레버(후술) 수용부이다.
제78도는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의 결합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잉크탱크(8002b)를 기록헤드(8002a)에 대해 삽입하여 가면, 록네일(8002b 3)이 록네일수용부(8002a 3)에 맞닿게 되는 곳에서 더욱 더 밀어넣기 위해 부하가 증가하나, 이 상태에서는 매칭마크(8002a 1)과 (8002b 1)에 어긋나 있기 때문에 결합이 아직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조작자에 대해 나타낸다.
잉크탱크(8002b)를 더욱 밀어넣으면, 록네일(8002b 3)의 아암이 구부러져서 수용부(8002a 3)를 타고 넘어 올바르게 결합하여, 매칭마크(8002a 1)과 (8002b 1)이 일치한다. 이 상태를 제79도에 나타내었다.
제80도는 헤드카트리지(8002)를 캐리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서, 특히,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가 확힐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고 제8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이 있는 상태의 헤드카트리지(8002)의 장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상태에서도 올바르게 장착할 수 있다.
제80도에 있어서, 캐리어(8001)에는, 기록헤드(8002a)와 전기적인 결합을 행하는 전기접점(8001a), 전기접점에 필요한 압압력을 부여하는 고무등으로 만든 탄성부재(8001b), 헤드카트리지의 착탈을 행하기 위한 조작레버(8001c), 헤드카트리지(8002)를 캐리어(8001)에 고정하는 카트리지록레버(8001d), 조작레버(8001c)를 부세하는 레버스프링(8001e), 헤드카트리지(8002)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푸쉬레버(8001f), 상기 푸쉬레버(8001f)를 이동시키는 운동레버(8001g)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8001c), 카트리지록레버(8001d), 푸쉬레버(8001f), 운동레버(8001g)의 4부품은 동일점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조작레버(8001c), 카트리지록레버(8001d), 연동레버(8001g)의 3부품은 상호 고정되어 동기하여 움직이나, 푸쉬레버(8001f)는 운동레버(8001g)에 의해 조작레버(8001c)의 운동이 전해진다.
캐리어(8001)위에 헤드카트리지(8002)가 없는 상태에서는 레버스프링(8001e)에 상술의 레버류는 제80도의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상태하에 헤드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제80도에 도시하였다. 이상태에서 조작레버(8001c)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면 푸쉬레버(8001f)의 선단이 내려가므로 헤드카트리지(8002)는 내려간다. 더욱 조작레버(8001c)를 회전시켜가면 운동레버(8001g)가 푸쉬레버(8001f)와 떨어져 푸쉬레버(8001f)는 이것이 상회전하지 않게되어, 제81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더욱 조작레버(8001c)를 회전시켜가면 카트리지록레버(8001d)가 잉크탱크(8002b)를 누르도록 된다. 여기에서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의 결합이 완전하지 않고 간격이 생겼다고 하여도 카트리지록레버(8001d)가 장착방향으로 눌러지게되어 최종적으로 헤드카트리지(8002)가 캐리어(80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록헤드(8002a)와 잉크탱크(8002b)의 겹합은 완전한 것으로 된다.
제81도는 헤드카트리지(8002)가 캐리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8001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트리지록레버(8001d)의 선단이 레버회전중심보다 하측으로 되므로(제82도), 탄성부재(8001b)의 힘에 의해 카트리지록레버(8001d)는 더욱 더 레버스프링(8001e)의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눌러지게 되므로 카트리지록레버(8001d)는 록되게 된다.
이하, 또다른 실시예로서, 기록헤드하우징내에 잉크탱크를 수납한 타입의 경우에 결합 표시마크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83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84도는 평면도이다.
제83도에 있어서, (8200)은 기록헤드, (8220)은 잉크탱크를 표시한다. 상기 기록헤드(8200)에는 잉크방울을 방출하는 노즐부분(8201), 잉크탱크(8220)에서 잉크의 공급을 받는 공급관(8202), 매칭마크를 시헙하기 위한 창(8203), 매칭마크(8204), 잉크탱크(8220)를 제거할 때의 손가락 머무름대(8205), 잉크탱크(8220)를 고정하는 록네일(82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잉크탱크(8220)에는 매칭라인(8221), 착탈시의 손가락머무름대(8222), 상기 기록헤드(8200)로 잉크를 공급하는 공급유출구(8223), 상기 록네일(8206)을 수용하는 수용부(8224)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탱크(8220)의 결합은 화살표 방향으로 잉크탱크를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제84도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올바른 위치까지 잉크탱크(8220)를 삽입하면 기록헤드(8200)의 매칭마크(8204)와 잉크탱크(8220)의 매칭라인(8221)이 일치하여 올바르게 장착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제83도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칭마크(8204)와 매칭라인(8221)이 어긋나며, 시험창(8203)은 장착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착방향의 약간의 어긋남에도 매칭마크의 어긋남으로서는 크게 나올 수 있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85도는 기록헤드하우징내에 잉크탱크를 수납한 타입의 경우에, 헤드카트리지와 캐리어의 결합에 클릭을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8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헤드와 잉크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지니는 각부에는 대응개소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85도에 있어서, 잉크탱크(8002b)는 기록헤드(8002a)에 대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장착하고, 기록헤드측의 2개소에 배치해 있는 네일(8002a 6)가 탱크측의 수용부(8002b 6)의 클릭에 의해 결합된다. 기록 헤드(8002a)는 캐리어(8001)에 대하여 화살표 A와 동방향의 화살표 B방향으로 장착하고, 스프링(8001h)과 수용부(8002a 7)의 클릭에 의해 결합한다. 기록헤드(8002a)가 캐리어(800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잉크탱크(8002b)만을 교환할 수 있으나, 잉크탱크(8002b)와 기록헤드(8002a)가 동일방향으로 착탈되므로, 잉크탱크(8002a)를 결합하는 클릭을 기록헤드(8002a)를 결합하는 클릭보다 약하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잉크탱크(8002b)만을 교환하도록 하는 경우에 실수로 기록헤드(8002a)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8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8002a) 착탈방향과, 잉크탱크(8002b)의 착탈방향을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잉크탱크 착탈과 기록헤드의 착탈을 나누어 행할 수 있다.
제86도에 있어서, 잉크탱크(8002b)와 기록헤드(8002a)의 결합방법은 제85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나, 기록헤드(8002a)를 캐리어(8001)에 결합하는 방향이 다르다. 기록헤드(8002a)를 캐리어(8001)에 결합하는 데에는, 먼저 기록헤드(8002a)를 약간 비켜놓고 캐리어(8001)에 설치한다. 이 경우 변위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핀(8002a 9)이 캐리어에 설치된 슬로프(8001m)에 맞닿게 한다거나, 기록헤드(8002a)를 수평방향으로 옮겨놓는 동시에 이것에 네일(8001m)과 수용부(8002a 8)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캐리어위에 설치하였다면 화살표 D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8002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어측의 네일(8001m)과 기록헤드측의 수용부(8002a 8)의 클릭에 의해 행해진다.
제8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9002a)와 잉크탱크(9002b)는 연결봉(9002d)을 연결구멍(9002e)에 삽입시킴으로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 및 분리조작은 캐리어에 설치된 레버등으로 캐리어(9001a)상에 행해지나, 여기에서는, 이것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이 기록헤드(9002a)와 잉크탱크(9002b)가 연결한 잉크제트카트리지(9002)가, 통상, 캐리어상에 장착되어 인쇄작업이 행해진다. (904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이며, 고분자폴리등으로 만들어지고, 연결봉(9002d)과 연결구멍(9002e)의 연결부의 하부에 오게 하도록, 캐리어위에 양면테이프등으로, 부착시며, 즉,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의 결합부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헤드(9002b)와 잉크탱크(9002b)를 분리할때에 연결봉(9002d)의 외주나 연결구멍(9002e)의 단부에 부착한 잉크가, 낙하하는것을 방지하고, 흡수체(9043)로 유지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결합부근방이라는 것은 결합부를 포함하는 그 주변이며 기록헤드와 잉크탱크의 분리시에 잉크누출이나 잉크비산이 생기는 영역을 말한다.
이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8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9001)의 연결봉(9002d)과 연결구멍(9002e)의 연결부아래에 홈(9001b)을 설치하며, 본 실시예는, 제87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흡수체(9043)를 소망의 위치에 놓을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흡수체(9043)를 임의의 위치에 첩부시킬 수 있다. 먼저, 연결부에서 낙하한 잉크는, 이홈(9001b)에 들어가고, 모세관현상으로 홈(9001b)을 따라 흘러, 최종적으로는 그 선단에 첨부되어 있는 흡수체(9043)에 도달하여, 여기에서 유지된다.
다음,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87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흡수체(9043)를 기록헤드(9002a)에 첨부한 것이다. 제90도와 같이, 흡수체(9043)를 연결봉(9002d)의 외주에 끼워맞추고, 압축스프링(9044)으로 잉크탱크(9002c)측에 압압하여, 분리시에는 연결봉(9002d)의 외주의 잉크를 흡수하면서 연결봉(9002d)을 빼내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기록헤드(9002a) 또는 잉크탱크(9002c)의 적어도 한쪽에 홈을 설치하여 제88도에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9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87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흡수체를 잉크탱크측에 응용한 경우이다.
다음,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90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연결봉(9002d)을 발수처리, 연결구멍(9002e)을 친수처리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잉크는 발수처리를 행하고 있는 연결봉(9002d)에 부착하는 것은 아니고, 항상, 친수처리를 행하고 있는 잉크구멍(9002e)의 쪽에 부착하기 때문에, 잉크탱크(9002c)내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하는 것이 없게 된다.
제93도는 다른 실시예로서, 검출단자(9360) 및 검출핀(9380)을 사용한 잉크탱크 및 잉크량검출을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이 회로는 기록장치본체내에 설치된다.
제93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단자(9360)와 검출핀(9380)사이의 접합/비접합 및 잉크량에 따른 전류검출회로(9200)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판정회로(9300)에서 잉크탱크 및 충분한 양의 잉크가 있는가 없는가의 판정이 행해진다. 판정결과의 신호는 제어회로(9400)로 전송된다. 제어회로(9400)는 잉크탱크(9900)에 장착되어 잉크가 있다고 판정될 때에는, 캐리지구동(이 때문에 구동회로는 도시하지 않음) 및 기록헤드구동회로(9500)을 개재하여 기록헤드의 구동등을 행한 통상의 기록동작을 행한다. 한편, 판정회로(9300)에 의해 잉크가 없다고 판정되었을때는, 제어회로(9400)는 기록동작을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한다.
또한, 제어회로(9400)는 판정회로(9300)로 판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그 표시를 표시장치(9600)로 행한다.
이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검출핀(9380)에 의해 잉크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나, 이 2개의 검출된 (9380)에 의해 잉크의 물성치를 검출하여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검출회로(9200), 판정회로(9300)를 기록장치 본설치하였으나, 이들을 헤드카트리지측에 설치하여도 된다.
제94도에 상세하게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서는 잉크탱크 및 잉크의 유무를 하기 위한 검출단자(360)를 캐리지 HC측에 설치하여, 잉크탱크 및 잉크의 유헤드카트리지의 캐리지 HC상으로의 장착에 따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신뢰성을 지니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 자체가 유효하나, 이들 복수의 실시예를 조합시킬 수도 있다.
이점에서, 본 발명은, 특히 잉크제트기록방식중에서도, 잉크방출을 행이용되는 에너지로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수단(예를 들면, 전기열변환 비임등)을 구비하여, 상태변화를 일으키는 방식의 기록헤드 및 기록장치 우수한 효과를 생성한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구성 및 원리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4,723,129호 및 4,740,796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은 소위 온-디멘드(On-demand)형, 콘티뉴스(continuons)형의 기록계에서도 적용가능하나, 특히, 온-디멘드형의 경우는 유체(잉크)가 유지되어 있는 시이트 또는 유체통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기열변환체에, 기록정보에 대응하고 있어 핵비등을 넘는 급속한 온도상승을 줄 수 있는 적어도 1개의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열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막비등을 생기게 하여, 결과적으로 이 구동신호에 일대일로 대응한 유체(잉크)내의 기포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이 기포의 성장, 수측에 의한 방출용 개구를 개재하여 유체(잉크)를 방출시키고, 적어도 1개의 방울을 형성한다. 이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 하면, 즉시 적절하게 기포의 성장수축이 진행되므로, 특히 응답성에 우수한 유체(잉크)의 방출을 달성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펄스형상의 구동신호로서는, 미국특허 제4,463,359호 및 제4,345,26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작용면의 온도상승율에 관한 발명의 미국특허 제4,313,12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채용하면, 더욱 우수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기록헤드의 구성으로서는, 상술한 각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출구, 유체통로, 전기열변환체의 조합구성(직선상 유체통로 또는 직각 유체통로)외에 열작용부가 굽어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는 미국특허 제4,558,333 및 4,459,600호 명세서를 사용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열변환체에 대해서, 공통하는 슬릿을 전기열변환체의 방출부로 하는 구성을 개시한 일본국 특개소 59-123670호 공보, 및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공을 방출부에 대응시킨 구성을 개시한 일본국 특개소 59-138461호 공보에 의거한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헤드의 형태등에 상관없이 확실하게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기록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의 최대폭에 대응한 길이를 지니는 풀라인타입의 기록헤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헤드로서는 복수기록헤드의 조합에 의해 그 길이를 만족시키는 구성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1개의 기록헤드로서의 구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시리얼타입의 것에서도, 장치본체에 고정된 기록헤드, 혹은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장치본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장치본체에서의 잉크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교환자재의 칩타입의 기록헤드, 혹은 기록헤드자체로 일체적으로 잉크탱크가 설치된 카트리지 타입의 기록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구성으로서 기록헤드의 방출회복수단, 예비적인 보조수단등을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일층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기록헤드에 대해서의 캡핑수단, 클리닝수단, 가압 혹은 흡인수단. 전기열변환체 혹은 이들과는 다른 가열소자 혹은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가열을 행하는 예비가열수단, 기록과는 다른 방출을 행하는 예비방출수단을 열거할 수 있다
또, 탑재되는 기록헤드의 종류 내지 개수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단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1개만 설치된 것, 기타, 기록색이나 농도를 다르게한 복수의 잉크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기록장치의 기록모오드로서는 흑색등의 주류색만의 기록모오드만은 아니고, 기록헤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조합에 의하거나, 어느 것이어도 되나, 다른색의 복색칼라, 또는 혼색에 의한 풀칼라의 각 기록모오드의 적어도 1개를 구비한 장치에도 매우 유효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실시에에 있어서는, 잉크를 유체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온이나, 이것 이하에서 고화하는 잉크로, 실온에서 연화 혹은 액화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되고, 또는 잉크제트방식에서는 잉크자체를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내에서 온도조정을 행하여 잉크의 점성을 안정방출범위에 있도록 온도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기록신호 부여시에 잉크가 액상을 이루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열에너지에 의한 승온을, 잉크의 고형상태에서 액체상태로의 상태변화의 에너지로서 사용시키는 것으로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또는, 잉크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방치상태에서 고화하여 가열에 의해 액화하는 잉크를 사용하여도 된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열에너지의 기록신호에 응한 부여에 의해 잉크가 액화하고, 액상잉크가 방출되는 것 또는 기록매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고화하기 시작한 것등과 같은, 열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처음부터 액화하는 성질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의 잉크는 일본국 특개소 54-56847호 공보 혹은 60-7126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공질시이트 凹부 또는 관통구멍에 액상 또는 고형물로서 유지된 상태로, 전기열변환체에 대해서 대향하도록 한 것과 같은 형태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잉크에 대하여 가장 유효한 것은 상술한 막비등 방식을 실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형태로서는, 컴퓨터등의 정보처리기구의 화상출력단말로서 사용되는 이외에, 리이더등과 조합된 복사장치, 송수신기능을 지닌 팩시밀리장치의 형태를 채용한 것등이어도 된다.

Claims (11)

  1. 기록영역에 위치한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탱크를 장착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는 기록매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가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캐리지 위해 설치된 레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상기 장착면위에 장착된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잉크탱크를 이동시키고 상기 잉크탱크로부터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분리시키는 잉크제트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는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배출포오트와 절연변환소자로 이루어지고 잉크는 상기 전열변환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잉크배출포오트로부터 배출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는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중의 하나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돌출물을 가지는 조인트포올과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포올의 상기 돌출물을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조인트포올을 안내하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조인트기구를 포함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4. 기록영역에 위치한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공급되도록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탱크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가 유지되는 유지면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유지부재상에 설치된 레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유지부재의 상기 유지면상에 유지된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잉크탱크를 이동시키고 상기 잉크탱크로부터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분리시키는 잉크제트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는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배출포오트와 전열변환소자로 이루어지고 잉크는 상기 전열변환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잉크배출포오트로부터 배출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는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중의 하나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점짐적으로 확대되는 돌출물을 가지는 조인트포올과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포올의 상기 돌출물을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조인트포올을 안내하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조인트기구를 포함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7. 기록영역에 위치한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함유하는 제1잉크탱크와, 그리고 상기 제1잉크탱크에 공급될 잉크를 함유하는 제2잉크탱크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뷰재는 상기 잉크제트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잉크탱크가 유지되는 유지면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유지부재상에 설치된 레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유지부재의 상기 유지면상에 유지된 상기 제1잉크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잉크탱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제2잉크탱크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잉크탱크로부터 상기 제1잉크탱크를 분리시키는 잉크제트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는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배출포오트와 전열변환소자로 이루어지고 잉크는 상기 전열변환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잉크배출포오트로부터 배출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는, 상기 제1잉크탱크 그리고 상기 제2잉크탱크는 상기 잉크제트헤드, 상기 제1잉크탱크, 그리고 상기 제2잉크탱크중의 하나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돌출물을 가지는 조인트포올과 상기 잉크제트헤드, 상기 제1잉크탱크 그리고 상기 제2잉크탱크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포올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조인트포올을 안내하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조인트기구를 포함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10. 잉크제트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탱크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와 상기 잉크탱크는 캐리지상에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잉크탱크는 상기 캐리지상에 장착될 때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고 레버부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상에 장착된 상기 잉크제트헤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잉크탱크는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함유부와; 상기 잉크탱크의 외부와 상기 잉크함유부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는 상기 잉크제트헤드에 상기 잉크함유부속의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로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잉크탱크의 외부면에 설치된 맞물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잉크제트헤드로부터 상기 잉크탱크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와 맞물리는 잉크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는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배출포오트와 전열변환소자로 이루어지고 잉크는 상기 전열변환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잉크배출포오트로부터 배출되는 잉크탱크.
KR1019920023952A 1991-12-11 1992-12-11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KR97000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003311A KR0127668B1 (en) 1991-12-11 1997-01-30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ink-jet recording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7717A JPH05162330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27719A JPH05162331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1-327710 1991-12-11
JP3327714A JPH05162328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50807A JPH05162300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タンク・ヘッド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27710A JPH05162322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1-327711 1991-12-11
JP91-327714 1991-12-11
JP91-327717 1991-12-11
JP91-327709 1991-12-11
JP91-350807 1991-12-11
JP3327558A JPH05162297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2771591A JP3182187B2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1-351047 1991-12-11
JP3351047A JPH05162302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タンク・ヘッド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1-327719 1991-12-11
JP91-327558 1991-12-11
JP3327709A JP2795568B2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27711A JPH05162323A (ja) 1991-12-11 1991-12-1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1-327715 1991-12-11
JP91-336790 1991-12-19
JP3336790A JPH05169673A (ja) 1991-12-19 1991-12-19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ヘッド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05A KR930012305A (ko) 1993-07-20
KR970007627B1 true KR970007627B1 (ko) 1997-05-13

Family

ID=2758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52A KR970007627B1 (ko) 1991-12-11 1992-12-11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512926A (ko)
EP (3) EP0715959B1 (ko)
KR (1) KR970007627B1 (ko)
DE (2) DE69229509T2 (ko)
HK (1) HK1011659A1 (ko)
SG (2) SG80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5568C (en) 1991-12-19 2000-10-17 Kenjiro Watanabe Ink jet recording head, ink jet recording head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same
CA2085550C (en) * 1991-12-19 1999-07-06 Kentaro Yano Method of controlling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recording head informa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JP3227189B2 (ja) 1991-12-25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を備えた装置及び該装置を具備す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70939B1 (en) 1992-07-31 2001-01-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ing container for recording apparatus
CA2272155C (en) * 1992-07-31 2004-05-2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ing container for recording apparatus
US5648807A (en) * 1992-09-10 1997-07-1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ntismear sheet deformation discharge system
DE4345334C2 (de) * 1992-09-10 1998-07-02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drucker
GB2279066B (en) * 1992-09-10 1997-03-26 Seiko Epson Corp Printer
TW297332U (en) * 1993-01-19 1997-02-01 Canon Kk Ink jet cartridge, ink jet apparatus and ink container
US6729711B1 (en) 1993-05-26 2004-05-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S2145074T3 (es) * 1993-05-26 2000-07-01 Canon Kk Aparato para impresion por chorros de tinta.
TW346879U (en) 1993-07-20 1998-12-01 Canon Kk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recording unit with ink cartridge having ink inducing element
AU699742B2 (en) * 1993-07-20 1998-12-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recording unit with ink cartridge having ink inducing element
JP3267449B2 (ja) * 1994-05-31 2002-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EP1645420B1 (en) 1994-08-24 2008-10-29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EP0710568B1 (en) * 1994-11-02 2000-01-19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type recording unit, and printer with it
US6203147B1 (en) 1994-12-22 2001-03-20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ical and fluidic interface for an ink supply
US6142617A (en) * 1995-04-27 2000-11-07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compact supply station
US5956057A (en) * 1996-08-30 1999-09-21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features enabling plug compatibility between multiple supply sizes
US5825388A (en) * 1994-12-27 1998-10-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ting apparatus
US5742310A (en) * 1995-02-28 1998-04-2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and an ink storing member mounted on the printer
US6260950B1 (en) 1995-04-21 2001-07-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ing system using printers with interchangeable printing units
US5686947A (en) * 1995-05-03 1997-11-11 Encad, Inc. Ink jet printer incorporating high volume ink reservoirs
JPH0924624A (ja) * 1995-07-12 1997-01-28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247784B1 (en) * 1995-09-08 2001-06-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cartridge replacement control
DE69627594T2 (de) * 1995-09-14 2004-01-08 Canon K.K. Leseeinheit und Aufzeichnungsgerät auf das eine solche Leseeinheit gesetzt werden kann
US6132036A (en) * 1995-09-14 2000-10-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production process of ink tank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US20020057317A1 (en) * 1995-12-04 2002-05-16 Bruce Cowger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printer
US5880764A (en) * 1995-12-04 1999-03-09 Hewlett-Packard Company Adaptive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5764260A (en) * 1996-03-14 1998-06-09 Jetfill, Inc. Reusable inkjet cartridge adaptor
IT1293404B1 (it) * 1996-07-05 1999-03-01 Seiko Epson Corp Cartuccia di inchiostro e meccanismo di caricamento per tale cartuccia di inchiostro.
JPH10119314A (ja) 1996-08-30 1998-05-12 Canon Inc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の結合方法、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
ATE257088T1 (de) * 1997-04-02 2004-01-15 Seiko Epson Corp Ladevorrichtung für eine tintenkassette in einem drucker und drucker mit einer solchen ladevorrichtung
US6089686A (en) * 1997-05-28 2000-07-18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supplying ink to an ink jet printer
US6206506B1 (en) 1997-11-17 2001-03-2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having an ink cleaning mechanism
US6128098A (en) * 1997-11-17 2000-10-03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over print head driving parameters
US6089772A (en) * 1997-11-17 2000-07-18 Canon Business Machines Ejection tray for a printer
US6134020A (en) * 1997-11-17 2000-10-17 Canon Kabushiki Kaisha Serial printer with addressable print buffer
US6219153B1 (en) 1997-11-17 2001-04-1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having a memory for storing a printer profile parameter
US6388758B2 (en) 1997-11-17 2002-05-14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scheduling an event in a device based on elapsed time or device event
US6178009B1 (en) 1997-11-17 2001-01-2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with multiple different black inks
US6359701B1 (en) 1997-11-17 2002-03-19 Canon Kabushiki Kaisha Multi-head printing with differing resolutions
US6293662B1 (en) 1998-01-19 2001-09-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coupling metho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US6040670A (en) * 1998-02-05 2000-03-21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ler for printer carriage motor
US6250735B1 (en) 1998-02-05 2001-06-26 Canon Kabushiki Kaisha Cover for print head alignment sensor
US6325560B1 (en) 1998-02-05 2001-12-04 Canon Business Machines, Inc. Wide format printer with detachable and replaceable paper feed unit components
DE19811652C1 (de) * 1998-03-18 1999-04-22 Tally Gmbh Tintendrucker mit zumindest einem Wechseltank für die in einen oder mehrere Vorratstanks zuzuführende Tinte
SG95595A1 (en) * 1998-05-13 2003-04-23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US6158850A (en) * 1998-06-19 2000-12-12 Lexmark International, Inc. On carrier secondary ink tank with memory and flow control means
DE19839225A1 (de) 1998-08-28 2000-03-02 Siemens Nixdorf Inf Syst Tintenstrahldrucker und Wechselbehälter für Drucktinte
US6454400B1 (en) 1998-09-01 2002-09-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cartridge including liquid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ing cartridge and liquid discharge printing apparatus
DE19842445C2 (de) * 1998-09-16 2003-12-11 Wincor Nixdorf Int Gmbh Tintenstrahldrucker mit Halterung für einen Drucktintenbehälter
US6224192B1 (en) * 1998-10-06 2001-05-01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ing systems using a modular print cartridge assembly
US6065826A (en) * 1998-10-06 2000-05-23 Hewlett-Packard Company Modular print cartridge receptacle for use in inkjet printing systems
JP3595743B2 (ja) * 1998-10-27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及び、そのインクタンクを含む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記録装置
JP4314702B2 (ja) * 1998-11-26 2009-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書込方法およびプリンタ
JP2000211150A (ja) * 1999-01-20 2000-08-02 Nec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
JP2001010078A (ja) 1999-04-27 2001-01-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が取り付けられるホルダー、該ホルダー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タンクのホルダーへの装着方法
US7038797B1 (en) * 1999-05-25 2006-05-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mail
CA2310181C (en) * 1999-05-31 2004-06-22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ink-jet cartridge, ink-supplying apparatus,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ink
US6536868B1 (en) 1999-08-24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on type print head, pri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ejection type print head
US6155678A (en) * 1999-10-06 2000-1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ink jet pen
US6196665B1 (en) * 1999-12-03 2001-03-06 Transact Technologies, Inc. Latch for an ink cartridge
WO2001053104A1 (fr) * 2000-01-21 2001-07-2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ouche d'encre pou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a jet d'encre
EP1916114A1 (en) 2000-01-21 2008-04-3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095308B2 (ja) * 2001-02-09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キャ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
AUPR399601A0 (en) 2001-03-27 2001-04-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 apparatus and method(ART108)
US7380925B2 (en) * 2002-03-28 2008-06-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CA2379725C (en) * 2001-04-03 2007-06-1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US6969148B2 (en) 2001-07-31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voting on-axis ink reservoir for inkjet printer
US6481829B1 (en) 2001-09-18 2002-11-19 Lexmark International, Inc. Manually actuated carrier latch mechanism
WO2003028836A1 (fr) * 2001-09-28 2003-04-10 Konami Corporation Ensemble jeu de tir et jouet mobile correspondant utilisant une force exterieure comme source d'energie
DE10204229B4 (de) * 2002-01-31 2006-11-09 J. S. Staedtler Gmbh & Co. Kg Drucker oder sonstiges automatisches Drucksystem mit zusätzlichem Steuergerät und Steuergerät hierfür
US6655793B2 (en) * 2002-03-26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supporting apparatus
JP4047216B2 (ja) * 2003-04-25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484664B2 (ja) * 2003-11-27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US7360879B2 (en) * 2004-07-29 2008-04-22 Castle Steven T Inkjet pen adapter
EP1652679A3 (en) * 2004-09-30 2006-11-2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printer
JP4735344B2 (ja) * 2005-03-28 2011-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MY146496A (en) 2005-03-28 2012-08-15 Seiko Epson Corp Liquid cartridge, loading/unloading device of liquid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TWI294359B (en) * 2005-08-22 2008-03-11 Benq Corp Printer cartridge carrier and fastening mechanism thereof
JP4277850B2 (ja) * 2005-11-30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JP4839931B2 (ja) * 2006-03-31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JP4631781B2 (ja) * 2006-03-31 2011-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JP4595870B2 (ja) * 2006-03-31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DE102006036716B3 (de) * 2006-06-02 2007-09-27 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rüstung eines Druckers
JP4862683B2 (ja) * 2007-02-19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513823B2 (ja) * 2007-03-30 2010-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収容装置
US8439488B2 (en) * 2007-11-28 2013-05-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supply device
US8011771B2 (en) 2008-02-11 2011-09-06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Remanufactured inkjet printer cartridge, system and process
JP5188269B2 (ja) 2008-05-30 2013-04-24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用ガラス素材、光学素子ブランク、光学素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8403383B2 (en) * 2008-10-10 2013-03-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unit latch
JP5483909B2 (ja) * 2009-03-10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313180B2 (en) 2010-03-31 2012-11-20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ink tank
US8317300B2 (en) 2010-03-31 2012-11-27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printer
CN201721131U (zh) * 2010-06-04 2011-01-26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上的墨盒
US8651643B2 (en) 2010-10-22 2014-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MX2013003254A (es) * 2010-10-22 2013-10-2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artucho de fluido.
GB2485593B (en) * 2010-11-19 2017-09-20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kjet printers
JP5772430B2 (ja) * 2011-09-15 2015-09-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19576B2 (ja) * 2011-12-13 2016-11-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9481180B2 (en) 2013-03-01 2016-11-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unit, liquid ejecting system,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327882B2 (ja) 2014-02-25 2018-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494668B2 (ja) * 2015-01-26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8472646B (zh) * 2015-09-09 2020-08-04 生命技术公司 接纳可拆卸容器的流体接口
TW201718277A (zh) * 2015-11-27 2017-06-01 Seiko Epson Corp 液體供給單元及液體噴射裝置
CN108472963A (zh) * 2015-12-28 2018-08-3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供给单元
JP6950228B2 (ja) 2017-03-27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US10493765B2 (en) 2017-03-27 2019-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of liquid from liquid storage chamber
CN107840175B (zh) * 2017-10-19 2019-07-19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进出口嘴自动位移调节机构
US11904321B2 (en) 2019-05-30 2024-02-20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 interface to receive removable container
JP2023020119A (ja) 2021-07-30 2023-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ハンドヘルド型の記録装置
JP2023020124A (ja) 2021-07-30 2023-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ハンドヘルド型の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GB2087800B (en) * 1980-11-20 1985-01-09 Epson Corp Printing device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EP0139508B1 (en) * 1983-10-13 1991-07-24 Seiko Epson Corporation Wire dot matrix printer head
DE3446998A1 (de) * 1983-12-26 1985-07-04 Canon K.K., Tokio/Tokyo Tintenstrahl-aufzeichnungsgeraet
JPS60192643A (ja) * 1984-03-14 1985-10-01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4698650A (en) * 1984-03-28 1987-10-0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cassette for recording medium
US4635080A (en) * 1984-03-30 1987-01-0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injection recording apparatus
JPS60204331A (ja) * 1984-03-30 1985-10-15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H0764057B2 (ja) * 1984-04-17 1995-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510083B2 (ja) * 1984-07-09 1996-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4551734A (en) * 1984-12-06 1985-11-05 Tektronix, Inc. Ink cartridge with ink level sensor
JPH0534935Y2 (ko) * 1984-12-28 1993-09-03
JPS62158050A (ja) * 1986-01-07 1987-07-14 Canon Inc 液体噴射記録ヘツド
JPH0825279B2 (ja) * 1986-06-25 1996-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
US4709247A (en) * 1986-12-22 1987-11-24 Eastman Kodak Company High resolution, print/cartridge ink, jet printer
JP2983990B2 (ja) * 1988-07-29 1999-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92048A (ja) * 1988-09-28 1990-03-30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フック検出方法
JP3066867B2 (ja) * 1988-10-31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記録ヘッド、インクカ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販売セット
EP0602020B1 (en) * 1988-12-29 1998-06-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575205B2 (ja) * 1989-01-13 1997-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EP0672528B1 (en) * 1989-01-28 2000-04-2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ink tank and ink jet apparatus
JPH02292048A (ja) * 1989-05-02 1990-12-0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9034019T2 (de) * 1989-08-05 2003-10-09 Canon Kk Tintenkassette
ES2123614T3 (es) * 1989-09-18 1999-01-16 Canon Kk Cartucho para chorros de tinta para un conjunto de cabezal de chorros de tinta y dicho conjunto.
AU626457B2 (en) * 1989-09-18 1992-07-3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same
DE69018003T2 (de) * 1989-10-20 1995-08-24 Canon Kk Kassette mit Tintenvorratsbehälter auf einem Farbstrahlgerät aufstellbar.
US4990938A (en) * 1989-12-04 1991-02-05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nest for positioning ink jet print/cartridge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CA2084708C (en) * 1991-12-11 1997-11-25 Hiromitsu Hirabayashi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carriage mechanis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4886T2 (de) 1998-08-20
EP0860285A3 (en) 1998-11-04
US5512926A (en) 1996-04-30
EP0860285B1 (en) 2002-03-06
EP0860285A2 (en) 1998-08-26
SG80622A1 (en) 2001-05-22
EP0715959A3 (en) 1996-10-30
DE69229509D1 (de) 1999-08-05
DE69224886D1 (de) 1998-04-30
DE69229509T2 (de) 1999-11-25
EP0715959B1 (en) 1999-06-30
SG59965A1 (en) 1999-02-22
HK1011659A1 (en) 1999-07-16
EP0546832B1 (en) 1998-03-25
US5534899A (en) 1996-07-09
EP0546832A2 (en) 1993-06-16
KR930012305A (ko) 1993-07-20
EP0715959A2 (en) 1996-06-12
EP0546832A3 (ko) 199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627B1 (ko)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잉크탱크
US6070975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ink jet recording head
US6554411B1 (en) Liquid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to which the liquid container is mounted
CA2809231C (en) Cartridge
EP2292431B1 (en) Liquid container, methods of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iquid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97548B2 (en) Tank holder, liquid tank and tank attaching and detaching method
US8167415B2 (en) Liquid container
US20170085031A1 (en) Terminal connection assembly and cartridge
JPH04211964A (ja) 吸引回復装置および該装置を具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16967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手段
KR100510310B1 (ko) 인쇄 헤드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프린터
JPH073260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281527B1 (en) Liquid ejection recording apparatus
JPH05162301A (ja) インクタンク・ヘッド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0138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回復方法
JPH05162302A (ja) インクタンク・ヘッド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96287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0622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JP2002254675A (ja) インクタンク
JP2806638B2 (ja) 吸引回復装置、該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電子タイプライタ
JP325376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11787B2 (ja) 印刷ヘッ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H0516229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00695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
JPH07170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