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388B1 - 자수기 - Google Patents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388B1
KR940010388B1 KR1019880009136A KR880009136A KR940010388B1 KR 940010388 B1 KR940010388 B1 KR 940010388B1 KR 1019880009136 A KR1019880009136 A KR 1019880009136A KR 880009136 A KR880009136 A KR 880009136A KR 940010388 B1 KR940010388 B1 KR 94001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wing
embroidery
stitch
st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471A (ko
Inventor
이꾸오 다지마
히데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이꾸오 다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749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103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2181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3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41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95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31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41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481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1894A/ja
Application filed by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이꾸오 다지마 filed Critical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D05C5/06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with means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geometry
    • G05B19/40936Defining geometry with a high level langua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241End, stop code of progr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395Load local computer program from host, data transfer ram to rom, BT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96Textile, embroidery, stitch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ome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수기
제 1a 도~제1e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수기의 1실시예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자수기의 1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하드 구성 블럭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데이타 RAM의 메모리 맵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메인 루틴을 표시한 플로우차트.
제 6a 도, 제 6b 도는 제 5 도의 메인루틴내의 미싱주축 정지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7 도는 제 6b 도에 있어서의 팩설정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8 도는 제 6a 도에 있어서의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9 도는 제 5 도의 메인루틴내의 미싱주축 운전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0 도는 제 9 도의 루틴과 함께 실행되는 엔코더 클럭 인터럽트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의 변경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2a 도, 제 12b 도는 제 11 도의 처리실행중에 있어서의 표시기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13a 도~제 13c 도는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하여 하나의 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데이타 RAM(14)에 기억할때의 메모리 맵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 14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미싱 주축 정지루틴의 변경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5 도는 제 14 도에 있어서의 데이타 변경처리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6 도는 제 14 도에 있어서의 데이타 삭제처리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7 도는 제 14 도에 있어서의 데이타 삽입처리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8 도는 제 5 도의 메인루틴내의 미싱주축 운전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19 도는 제 18 도의 미싱주축 운전루틴내에서 실행되는 엔코더 클럭 인터럽트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0a 도, 제 20b 도는 제 14 도의 처리실행중에 있어서 표시기의 표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 21a 도~제 21c 도는 데이타 편집시에 있어서 데이타 RAM(14)의 메모리 맵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 22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미싱주축 정지루틴의 변경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3 도는 제 22 도에 있어서의 리모트 모드 서브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4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하드 구성 블록도.
제 25a 도, 제 25b 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미싱주축 정지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6a 도, 제 6b 도의 변경예에 해당하는 플로우차트.
제 25c 도, 제 25b 도의 변경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6 도는 제 25a 도에 있어서의 무늬 표시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7 도는 제 25c 도에 있어서의 서어치 등록루틴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 28 도는 자수무늬모양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각 자수무늬마다 기억함과 동시에, 해당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하는, 또는 해당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각 자수무늬마다 기억하고,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리드하여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의 실행 및 제어를 행하도록한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바느질 데이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이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바라는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해서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하도록 한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등의 외부 기록장치에 분할 기록되어 있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연속하는 1개의 무늬 바느질 데이타로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하여 리드하도록 한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메모리에 기억한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에 대해서 임의의 스티치로 변경, 삭제, 삽입등의 데이타 편집을 행할 수 있는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수 바느질 작업도중에 자수무늬의 임의의 스티치로 미싱주축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정지한 스티치에 관련되는 바라는 스티치에 관해서 데이타 편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데이타 편집을 행할 수 있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자수무늬에 있어서, 임의의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에 대해서 변경, 수정등의 데이타 편집을 행할 수 있는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바라는 자수무늬를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상에서 상기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해당 바느질 데이타의 임의의 스티치에 대해서 데이타의 변경,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통신기능을 갖는 컴퓨터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와 그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의 양쪽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의 종이 테이프등의 외부기억 장치에 여러가지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해 놓고,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한 종이 테이프등의 외부 기억장치를 세트하여 이 바느질 데이타를 내부의 기억장치에 전송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자수무늬에 관련된 데이타로써 종이 테이프등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데이타는 종래부터 상기 자수 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이 바느질 데이타는 각 스티치마다 자수틀의 이동량을 지시하는 X,Y데이타 및 필요한 스티치에 있어서의 색변환, 미싱주축정치, 점프등의 자수미싱의 각 동작을 지시하는 기능 데이타등, 1스티치마다 자수 바느질 동작에 관한 데이타이다)뿐이며, 이것이 그대로 내부 기억장치로 전송기억된다. 자동 자수기에서는 내부 기억장치로 전송 기억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해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한다.
또, 이와 같은 바느질 데이타를 여러개의 자수무늬에 관해서 내부 기억장치에 각각 기억하고, 그중에서 바라는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선택해서 리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는, 자수무늬의 변경 또는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기능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와 같은 변경, 제어기능으로써는 예를들면, ① 실의 색변환 순서를 지시하는 것, ② 자수무늬의 축소 또는 확대, 회전등의 변경을 행하기 위하여 바느질 데이타중의 자수틀의 X,Y이동량을 지시하는 X,Y데이타를 축소 또는 확대, 회전등의 파라미터에 따라서 변환하는 것, ③ 멀티헤드식 자수기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마다 운전/정지를 선택하는 것, ④ 여러개의 자수무늬를 조합해서 연속적으로 바느질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수무늬의 바느질 순서를 지시하는 것, ⑤ 같은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는 것, ⑥ 보오링메스가 부착된 바늘 위치가 선택되었을때, 자수틀을 오프셋하는 오프셋량을 보오링메스의 부착위치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데이타의 설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자수기에 마련된 설정수단을 사용하여 행하여져 왔을 뿐이며, 이 설정수단에 의한 설정내용에 따라 자수기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도록 하고 있었다. 즉,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데이타는 자수기에 전속하는 데이타로써 설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 기억장치에 기억된 각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자수무늬에 관련시켜 이들의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데이타의 설정을 행하고자하는 경우, 각 자수무늬의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기전에 그때마다 설정수단으로 바라는 변경, 저어기능에 관한 데이타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자수 바느질하고자 하는 무늬를 바꿀때마다 바라는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데이타를 다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매우 번거로우며, 또한 작업자에게도 부담이 되고 있었다.
근래,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 자수 바느질하는 무늬의 사이즈의 확대와 다색화가 진행되어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량도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이 바느질 데이타를 외부기억장치로써의 종이 테이프에 기억하는 경우, 통상의 종이 테이프는 1개당 최대 70만개 바늘 정도의 기록용량이기 때문에, 이 기록용량 이상의 바느질 데이타가 있는 경우는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에 분할해서 기록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자수기에서는 일련의 바느질 데이타를 분할 기록한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를 각각 1조인 바느질 데이타로써 종이 테이프 입력장치에서 리드해서 자수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이 각각의 1조의 바느질 데이타마다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고 있었다. 또, 여러 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데이타 메모리를 구비하고, 그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한 여러 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적절하게 편집할 수 있는 메모리 편집 기능을 갖는 자동 자수기도 존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는 데이타 메모리에 등록한 여러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메모리 편집기능에 의해 연결시키는 것 등으로 해서 일련의 무늬의 바느질 데이타에 편집하고,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수기에 있어서는 일련의 바느질 데이타를 분할 기록한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를 각각 1조인 바느질 데이타로써 종이 테이프 입력장치에서 리드해서 자수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이 각각의 1조의 바느질 데이타마다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련의 무늬를 바느질 하기 위하여 종이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의 수만큼 자수무늬의 전환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 무늬의 전환 작업은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고자 하는 바느질 데이타마다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등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서 효율적인 자수 바느질 작업의 장해가 되고 있었다. 한편, 메모리 편집 기능을 갖는 자동 자수기에서는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한 여러개의 바느질 데이타를 편집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 메모리 편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 장치가 많이 필요하므로 코스트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자동 자수기에서는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실제의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운전 작업 모드와는 전혀 다른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수정하기 위한 전용의 편집 작업 모드로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한 후에 데이타 편집을 행하고자 하면, 자수기를 일단 운전 작업 모드로 작동해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자수무늬의 개시위치에서 실행하고, 그후 자수기의 동작 모드롤 전용의 편집 작업 모드로 전환해서 바라는 데이타 편집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수기에 있어서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편집 작업모드로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자수 바느질 작업 도중에서 그 운전 작업 모드를 계속하면서 행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해당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순서의 일예를 나타내면, 먼저 해당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실제의 자수 바느질 동작을 무늬 전체에 걸쳐서 실행하고, 완성된 자수무늬를 확인해서 필요한 변경, 수정할 곳을 확정하고, 다음에 자수기의 동작 모드를 데이타 변경을 위한 특별한 편집 작업 모드로 변경해서 바라는 곳의 바느질 데이타를 각각 변경, 수정하는 편집처리를 행하고, 또 편집된 바느질 데이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운전 작업 모드로 변경해서 자수무늬의 개시위치에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개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편집 작업과 자수 바느질 동작 및 무늬확인 작업이 분리되어 전체로 봐서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노력과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되고 있었다.
또,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제어에 관한 조작에 있어서, 종래에는 자수기에 마련된 설정수단을 사용해서 행하여지고 있을 뿐이며, 이 설정수단에 의한 설정내용에 따라 자수기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도록 하고 있었다. 즉, 변경 제어 기능에 관한 데이타는 자수기에 전속하는 데이타로써 설정 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자수무늬의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기전에 그때마다 설정수단으로 바라는 변경, 제어 기능에 관한 데이타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한편, 통신라인을 거쳐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자동 자수기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 송수신 데이타는 바느질 데이타에만 한정되는 것이며, 제어 데이타에 관해서는 바느질 데이타 변경마다 설정수단으로 바라는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데이타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자수 바느질을 하고자 하는 경우마다 바라는 변경, 제어기능에 관한 제어 데이타의 수동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매우 번거로우며 작업자에게도 부담이 되고 있었다.
또,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 일단 설정한 제어 데이타를 외부기기에서 보존하거나 편집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함과 동시에, 바느질 데이타 변경용 또는 자수 바느질 동작 제어용의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각 자수무늬마다 기억하고,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리드하여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의 실행 및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 테이프등의 외부기억장치에 기록된 여러개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일련의 바느질 데이타로써 메모리에 입력하고, 이 메모리에 입력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수 바느질 작업 도중에 자수무늬의 임의의 스티치로 바느질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정지한 스티치에 관련된 바라는 스티치에 관해서 데이타 편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자수 바느질 동작의 과정에서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등의 편집처리를 행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기로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보고 바라는 스티치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스티치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처리를 행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라인을 거쳐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 뿐만 아니라 바느질 데이타 변경용 또는 자수 바느질 동작 제어용의 각종 제어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어 데이타의 처리에 관해서 외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그 처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자수기는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이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자수무늬마다 상기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으로 설정한 상기 제어 데이타를 각각 기억하는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상기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른 자수 바느질 동작을 상기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에 의해 실행시킴과 동시에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상기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임의로 설정한다. 설정한 이들 1조의 제어 데이타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있어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한 자수무늬중,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해서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기억된다. 이렇게해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있어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한 각 자수무늬마다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에 의해 1조의 제어 데이타를 각각 임의로 설정하고, 설정한 제어 데이타를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에서 각각 기억한다.
자수 바느질을 행하는 경우는 제어 수단에 의해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른 자수 바느질동작을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에 의해 실행시킴과 동시에,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상기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을 달성하는 자수기는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외부 기록장치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는 제어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 수단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통상은 외부 기억장치에서 리드한 하나의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 그 자체가 하나의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로써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그러나, 제어 수단의 작용에 의해 외부기록장치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된다.
여러 자수무늬의 조합으로 되는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이 선택되면, 실행수단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상기 조합으로 되는 일련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외부기억장치에 기억하고 있는 여러 자수무늬와는 각각 서로 다른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 본래는 1개의 자수무늬지만, 기록장치의 기록용량등의 관계에서 여러무늬로 분할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는 자수기는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이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1스티치마다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을 이동해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수단, 자수무늬 도중의 스티치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의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를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정지수단, 바느질 동작의 정지시에 상기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한 스티치를 기준으로 하여 바라는 스티치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을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대해서 행하는 데이타 편집수단, 일시정지하고 있던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 및 바느질 동작을 재개시키는 기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1스티치마다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을 이동하여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한다. 이 바느질 동작 실행중에 자수 바느질을 행하였던 스티치에 대응하는 무늬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정지수단에 의해서 자수무늬의 도중의 스티치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의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를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 바느질 동작 정지시에 데이타 편집수단에서는 상기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한 스티치를 기준으로 해서 바라는 스티치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을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대해서 행한다. 다음에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 종료후, 기동수단에 의해서 일시정지하고 있던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와 바느질 동작을 재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수 바느질 작업도중에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등의 편집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수기는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이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으르 실행하는 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한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된 자수무늬 모양에 있어서의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수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설정하기 위한 데이타 편집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표시수단은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한다. 이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된 자수무늬 모양에 있어서의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한다. 이 지정수단은 예를들면 커서등이다. 지정수단에 의해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고, 이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있어서의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적당한 데이타 편집처리를 데이타 편집수단에 의해 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수기는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형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데이타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수단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와, 상기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수단을 거쳐서 외부기기에서 수신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디억수단에 라이트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거쳐서 외부기기에 송신해야할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와 상술한 제어 데이타 양쪽을 통신 인터페이스수단을 거쳐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a 도의 실시예에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은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며,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2)에서는 이 기억수단(1)에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3)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해당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임의로 설정한다. 이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3)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데이타 종류로써는 예를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변경, 제어기능에 대응해서 ① 실의 색변환 순서를 지시하는 데이타(이것을 프로그램 콘트롤 설정 데이타("프로콘 설정 데이타"라고 약칭한다)이다), ② 자수무늬의 축소, 확대, 회전등의 변경을 행하기 위하여 바느질 데이타중의 자수틀의 X,Y이동량을 지시하는 X,Y데이타를 축소, 확대, 회전등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데이타(이것을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라 한다), ③ 멀티헤드식 자수기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 마다 운전/정지를 선택하는 데이타(이것을 "헤드 선택 데이타"라 한다), ④ 여러 자수무늬를 조합해서 연속적으로 바느질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수무늬의 바느질 순서를 지시하는 데이타(이것을 무늬 프로그램 콘트롤 설정 데이타("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라고 약칭한다)이다), ⑤ 같은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의 반복 횟수를 설정하는 데이타(이것을 "반복 설정 데이타"라 한다), ⑥ 보오링 메스가 부착된 바늘 위치가 선택되었을때 자수틀을 오프셋하는 오프셋량을 설정하는 데이타(이것을 "오프셋 설정 데이타"라 한다)등이 있다.
설정한 이들 1조의 제어 데이타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자수무늬중,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해서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4)에서 기억된다. 이렇게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있어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각 자수무늬마다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3)에 의해 1조의 제어 데이타를 각각 임의로 설정하고, 설정한 제어 데이타를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4)에서 각각 기억한다.
자수 바느질을 행하는 경우는 제어수단(5)에 의해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4)에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른 자수 바느질 동작을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2)에 의해 실행시킴과 동시에,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해당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해당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자수 바느질을 하고자 하는 무늬를 바꿀때마다 제어 데이타를 다시 설정할 필요는 없고, 단순히 바라는 자수무늬의 선택을 행하는 것 만으로 사전에 설정한 제어 데이타를 재현할 수 있어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제 1b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수단(170)은 외부 기록장치(171)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는 제어를 행한다. 여러 자수무늬의 조합으로 되는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이 선택되면, 실행수단(2)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서 여러 자수무늬의 조합으로 되는 일련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한다.
제 1c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수단(173)은 자수 바느질 운전중에 자수무늬의 도중의 스티치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서의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를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바느질 동작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데이타 편집수단(172)는 바느질 동작의 정지시에 있어서 해당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한 스티치를 기준으로 해서 바라는 스티치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을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대해서 행하는 것이다.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 종료후, 기동수단(174)의 조작에 의해서 일시정지하고 있던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 및 바느질 동작을 재개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자수 바느질 작업도중에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등의 편집처리를 행할수 있다.
제 1d 도의 실시예는 표시기로 바라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고, 이 자수무늬 표시를 확인하면서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표시수단(175)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기억된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한다. 이 표시수단(175)의 화면상에, 표시된 자수무늬 모양에 있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수단(176)에 의해 지정한다. 이 지정수단(176)는 예를 들면 커서등이다. 지정수단(176)에 의해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고, 이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있어서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적당한 데이타 편집처리를 데이타 편집수단(177)에 의해 행한다.
예를들면, 표시수단(175)에 의해서 표시된 자수무늬의 일예로써, 제 28 도와 같다고하면, 상기 자수무늬의 a점과 b점의 스티치에 대응해서 실의 색변환을 행하기 위한 "정지 코드"가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이 자수무늬는 2가지 색으로 자수 바느질이 실행된다. 즉 개시점에서 a점까지는 제 1 의 실의 색, a점에서 b점까지는 제 2 의 실의 색, b점에서 종료점까지는 제 3 의 실의 색에 의해서 각각 자수 바느질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수단(175)의 화면을 보고 자수무늬의 예를들면 c,d,e점에서 각각 재차 실의 색변환을 행하고자 하였다고 가정한다. 그 경우, 지정수단(176)(예를들면, 커서)에 의해 표시수단(175)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자수무늬의 바라는 위치(여기에서는 c,d,e점)를 각각 지정하고, 데이타 편집수단(177)에 의해 지정한 각 점의 스티치에 대응해서 기능 데이타로써 "정지코드"를 각각 설정한다. 그렇게하면, 실의 색변환이 5회 행하여지게 되어 자수무늬는 6가지 색으로 바느질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자수무늬를 표시수단(175)에 표시해서 화면상으로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고, 이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수정등의 데이타 편집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바라는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수정등의 데이타 편집처리를 신속하고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e 도의 실시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히고, 통신기능을 갖는 컴퓨터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와 이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 양쪽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178)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기억한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하기 위한, 또는 그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기억한다.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2)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와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178)에서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한다. 외부기기(179)와의 사이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80)이 마련된다. 이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외부기기(179)에서 수신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178)에 라이트하고,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80)을 거쳐서 외부기기(179)에 송신해야할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178)에서 리드하기 위하여 제어수단(181)이 마련된다. 외부기기(179)에서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기기(179)에서 바느질 데이타와 제어 데이타를 송출하고, 자동 자수기에서는 이 양쪽 데이타를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데이타 및 바느질 데이타는 제어수단(181)에 의해 제어 데이타 기어수단(178)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 각각 라이트되어 기억된다.
한편,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 사전에 임의로 설정된 제어 데이타 및 바느질 데이타를 동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외부기기(179)에 송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어수단(181)에 의해서 제어 데이타가 기억수단(178)에서 외부기기(179)에 송신하고자하는 바라는 제어 데이타를 리드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송신한다. 또 외부기기(179)에 송신하고자하는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1)에서 리드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외부기기(179)에 송신한다. 제어 데이타의 종류로써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의 색변환 순서를 지시하는 "프로콘 설정 데이타"등, 그 이외의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이와같이, 통신기능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와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한 제어 데이타를 통신 인터페이스수단(180)을 거쳐서 외부기기(179)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어 데이타의 처리에 관해서 외부기기를 사용할 수도록하는 것에 의해서 그 처리 기능을 확장할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자수기의 제어 시스템의 1실시예를 도시한 하드 구성도이다. CPU(11), 프로그램 ROM(12), 워킹 RAM(13)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서 이 자동 자수기 전체의 동작이 제어된다. 데이타 RAM(14)는 바라는 자수무늬모양을 실현하는 바느질 데이타 및 각 자수무늬마다 상술한 각종 제어 데이타 및 그 이외의 자수 바느질에 관련된 각종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조작 패널(15)는 각종 설정 스위치나 표시기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종이 테이프 리이더(16)은 종이 테이프에 기록된 바느질 데이타(1스티치마다 자수틀의 위치를 지시하는 X,Y 데이타와, 색변환, 미싱주축정지, 점프등의 자수 미싱의 각 동작을 지시하는 기능 데이타등, 자수 바느질 동작에 직접 관련된 데이타)의 리드를 행하는 것이며, 임의의 자수무늬를 실현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기록한 종이테이프(17)이 세트된다. 이 종이 테이프 리이더(16)을 거쳐서 종이 테이프(17)에서 리드된 바느질 데이타가 데이타 RAM(14)에 전송기억된다.
X축 펄스 모터(18)은 자수틀(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Y축 펄스 모터(19)는 자수틀(2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펄스 모터(18),(19)에는 펄스모터 드라이버(21)을 거쳐서 구동신호가 주어진다.
주축 모터(22)는 이 자동 자수기의 미싱주축(23)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이며, 공지와 같이 이 미싱주축(23)의 회전에 따라서 바늘대나 이동틀(가마솥)이 구동된다. 로터리 엔코더(24)는 주축(23)(또는 모터(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하나의 바느질 헤드 HD가 다침본봉 헤드라고 하면, 이 헤드 HD는 여러개의 바늘대(각 바늘대에는 다른 색의 실이 각각 꿰어져 있다)를 구비하고 있다. 색변환 모터(25)는 그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헤드 HD의 여러개의 바늘대중, 하나를 선택해서 그 헤드 HD내의 바늘대 구동기구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바늘대 구동기구는 미싱주축(23)의 회전에 따라서 바늘대를 상하운동시키는 것으로써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는다. 바느질 헤드 HD는 1개로 한정하지 않고, 여러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기동/정지 스위치(26)은 바 스위치로 되며, 바를 예를 들면 오른쪽 방향으로 조작하면 기동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왼쪽방향으로 조작하면 정지 스위치가 ON으로 된다. 기동 스위치가 ON일때에는 미싱주축(23)의 회전기 개시되고, 정지스위치가 ON일때에는 미싱주축(23)의 회전이 정지된다.
통신 인터페이스(27)은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바늘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외부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며, 예를들면 전기 규격이 RS-232C 직렬 인터페이스이등이다.
외부기기(28)은 예를들면,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적당한 지능형 단말장치등으로 되는 것이며,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설정, 편집, 기억등을 적당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자수기와의 사이에서 통신라인을 거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한다.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는 또 그 이외의 장치, 기기가 마련되지만, 그것에 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자동 자수기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는 인터페이스I/F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조작 패널(15)에 마련된 스위치와 표시기의 일예를 나타내면 제 3 도와 같다.
표시기 DPY는 여러 가지 데이타의 설정시에 설정중의 데이타를 표시하거나 또는 설정이 끝난 각종 데이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문자 표시와 필요에 따라서 도형표시도 가능한 것이다. 표시기 DPY는 모든 표시모드로 사용할 수가 있고, 그 표시모드의 하나로써 여러가지 데이타의 설정 또는 그 설정내용의 확인표시를 위한 표시모드가 있다. 그 경우,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기 DPY는 그 상단에서 비교적 큰 에리어를 점유하는 설정내용 표시부 DPY1과 그 하단의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나누어져 작용한다. 예를들면, 이 표시기 DPY로써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기 DPY의 하측에 6개의 기능 스위치 F1~F6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의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는 이들의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설명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대한 기능 할당 상태에 있어서는 좌측의 5개의 기능 스위치 F1~F5가 실질적인 각종 데이타 설정기능등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 F6이 다음 후보NEXT)선택 키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는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대응하는 6개의 표시틀로 되고, F1~F6에 대응하는 각 표시틀에는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설명하는 표시(예를들면, 이 표시는 "데이타 입력" 또는 "프로콘" 등의 문자로 된다)가 나타난다. 그 경우, 기능 스위치 F6이 다음 후보 선택키로써 작용하고 있으면, F6에 대응하는 표시틀에는 그 다음 후보 선택키 기능을 설명하는 표시 "NEXT"가 나타난다.
표시기 DPY의 오른쪽에 인접해서 배치된 기능 메뉴부 MENU는 기능 스위치 F1~F6에 할당 가능한 모든 데이타 설정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를 가시적이며, 또한 고정적으로 표시한 일람표이다. 이 기능 메뉴부 MENU는 프로그램 모드 메뉴 PRO.MENU와 운전 모드 메뉴 RUN.MENU로 된다. 프로그램 모드 메뉴 PRO.MENU는 프로그램 모드시에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할당 가능한 모든 기능을 표시하는 것이다. 운전 모드 메뉴 RUN.MENU는 운전 모드시에 각 기능 스위치 F1~F6에 할당 가능한 모든 기능을 표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모드라함은 바라는 자수무늬를 실현하기 위한 자수 바느질 프로그램에 관련된 각종의 데이타 설정(예를들면,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입력, 즉 "데이타 입력"이나 실의 색변환 순서의 설정, 즉 "프로콘 설정"등)을 행하는 모드이다. 운전 모드라함은 자수기의 운전 개시에 앞서서 각종의 운전 조건(예를들면, 미싱주축 회전수등)의 설정을 행하는 모드이다.
표시 전환 스위치 SW1은 표시기 DPY의 표시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내용 표시부 DPY1과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나누어서 표시기를 사용하는 표시모드에서 다른 표시모드로 전환할때에 이 표시전환 스위치 SW1을 조작한다.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는 이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프로그램 모드로 설정할때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운전 모드 스위치 SW3은 이 자수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운전모드로 설정할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틀 이동키 스위치 FKY는 자수틀(20)을 수동조작으로 이동시킬때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텐 키 스위치 TKY는 각종의 수치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설정 확인 스위치 SW4는 각종의 데이타 설정조작에 있어서 설정내용을 확인할때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세트 스위치 SW5는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입력한 수치 데이타를 등록할 때, 또는 기능설정 완료시에 조작되는 것이며, 리턴키로써 작용한다.
제 4 도는 데이타 RAM(14)의 메모리 맵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 RAM(14)는 크게 구별해서 무늬 데이타 디렉트리(14A)와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로 된다.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는 여러종류의 바느질 무늬에 대응하는 무늬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이며, 등록이 끝난 무늬 데이타에 대응해서 각각의 무늬 데이타를 기억한 무늬 데이타 에리어 P1,P2,P3(예를들면 등록이 끝난 무늬 데이타가 3종류인 것으로 한다)이 마련된다.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에 있어서 아직 무늬 데이타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에리어는 블랭크로 되어 있다. 무늬 데이타 디렉트리(14A)는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에 등록이 끝난 각 무늬 데이타의 기억 에리어(즉, 각 무늬 데이타 에리어 P1,P2,P3....)를 지시하는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무늬 데이타 디렉트리(14A)는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에 등록이 끝난 각 무늬 데이타 에리어 P1,P2,P3...마다 그 무늬 번호와 개시 어드레스(각 에리어 P1,P2,P3...의 선두의 어드레스)와 엔드 어드레스(각 에리어 P1,P2,P3의 최후의 어드레스)를 각각 기억하는 것이다. 무늬 번호는 각 에리어 P1,P2,P3...마다, "1","2","3"...과 같이 임의로 설정되는 번호이며, 등록이 끝난 무늬 데이타를 식별하는 것이다. 등록시에 있어서 임의의 무늬 번호가 데이타 입력에 의해 설정되었을 때, 그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디렉트리를 무늬 데이타 디렉트리(14A)에 개설한다. 또, 리드시에 있어서 임의의 무늬 번호가 데이타 입력에 의해 지정되었을 때, 무늬 데이타 디렉트리(14A)에서 그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개시 어드레스를 리드하고, 이것에 의해 그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어느것인가 하나의 무늬 데이타 에리어 P1,P2,P3...을 특정하고, 그곳에 액세스한다.
각 무늬 데이타 에리어 P1,P2,P3...는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GME와 그것에 계속해서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로 된다.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CME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데이타를 해당 무늬번호에 대응해서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는 바라는 자수 바느질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DME는 해당 무늬번호에 대응해서 설정된 각종의 데이타, 이 예에서는 앞서 나온 "프로콘 설정 데이타",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헤드 선택 데이타", "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 "반복 설정 데이타", "오프셋 설정 데이타"등을 기억한다.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는 종래부터 공지인 바느질 데이타(자수틀의 이동량을 지시하는 X,Y 데이타 및 소요 스티치에 있어서의 색변환, 미싱주축정지, 점프등의 자수미싱의 각 동작을 지시하는 기능 데이타등, 1스티치마다 자수 바느질 동작에 관한 데이타이다)를 1스티치마다 기억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하에서 제 2 도의 자동 자수기에 의해서 실행되는 동작중,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의 동작에 대해 제 5 도 이하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자동 자수기의 전원이 들어가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소정의 초기와 루틴을 거쳐서 미싱주축 정지루틴으로 진행한다. 각종의 데이타 설정처리 동작은 이 미싱주축 정지루틴에 있어서 실행된다. 비운전시는 이 미싱주축 정지루틴을 항상 실행하고 있으며, 기동/정지 스위치(26)에 의해 기동 스위치 ON으로 되면, 운전 루틴으로 이행한다. 운전 루틴에서는 미싱주축(23)을 구동하여 그 주축의 1회전에 동기해서 1스티치마다 바느질 데이타를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한다.
미싱주축 정지루틴의 일예에 대해 제 6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정지 초기화 루틴에 있어서는 미싱 정지시에 있어서 소정의 초기와 처리를 행한다. 다음의 스텝(30)에서는 동작모드 플래그의 내용에 따라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인가 프로그램 모드인가를 조사한다. 동작모드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프로그램모드 스위치 SW2를 ON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 모드로 되고, 운전모드 스위치 SW3을 ON하는 것에 의해 운전모드로 된다.
프로그램 모드이면, 스텝(31) 이후의 루틴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처리를 행한다. 프로그램모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모드의 선택은 다음과 같이 기능 스위치 F1~F6의 조작에 의해서 행한다.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 표시기 DPY의 화면은 먼저 초기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에서는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A~E의 모드의 설명을 표시한다. 기능 스위치 F6을 눌러서 다음 후보를 선택하면,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는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F~J의 모드의 설명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한다. 또 기능 스위치 F6을 눌러서 다음 후보를 선택하면,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는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K~M의 모드의 설명을 표시하는 회면으로 전환된다. 이와같이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의 화면을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바라는 데이타 설정모드(예를들면 항목 A~M)의 설명을 표시하는 상태로 하고, 거기에서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라는 데이타 설정모드(예를들면, 항목 A~M)의 설명표시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능 스위치 F1~F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라는 데이타 설정모드(예를들면, 항목 A~M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제 6 도의 플로우차트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기DPY의 화면에 바라는 표시를 행하거나, 기능 스위치 F6의 조작을 검출해서 그 표시를 전환하는 처리 스텝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텝(31)에서는 "데이타 입력 설정 스위치가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A의 모드, 즉 "데이타 입력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A~E의 설명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A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1이 ON 되었는가를 조사했다. YES이면 스텝(32)의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의 일예는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스텝(31)이 NO이면 스텝(33)으로 진행하여 다른 데이타 설정모드에 대해서 조사한다. 또한, "데이타 입력 설정모드"라 함은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종이 테이프(17)에서 입력하고 있는가, 또는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는가 중 어느쪽으로 하는가의 설정을 행하는 모드이며,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에서는 그를 위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33)~(38)에서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또는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데이타(앞서나온 "프로콘 설정 데이타","데이타 변환 파라미터","헤드 선택 데이타","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반복 설정 데이타","오프셋 설정 데이타"등)를 설정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졌는가를 조사한다.
서브루틴(33)에서는 "프로콘 설정 스위치가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B의 모드, 즉 "프로콘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A~E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B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2가 ON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서브루틴(39)의 "프로콘 설정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프로콘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프로콘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프로콘 설정모드"라 함은 실의 색변환 순서를 지시하는 데이타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즉, 이 "프로콘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실의 색변환의 각 순서에 있어서 선택해야 할 바늘대 번호를 표시하는 데이타를 각각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실의 색변환의 각 순서에 대응해서 설정된 피선택 바늘대 번호 데이타를 프로콘 설정 데이타라 한다. 바라는 바늘대 번호 데이타는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입력한다. 설정 입력된 프로콘 설정 데이타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스텝(34)에서는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 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C의 모드, 즉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A~E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C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3이 ON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0)의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설정모드"라 함은 바느질 데이타중의 자수틀의 X,Y이동량을 지시하는 X,Y 데이타를 축소, 확대, 회전등을 시키기 위한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로써는 자수무늬를 축소 또는 확대하기 위한 배율 데이타 A, 자수무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각 데이타 θ, 자수무늬를 미러 반전하는가 아닌가를 설정하는 미러 반전데이타 M등이 있다. 미러 반전 데이타 M은 미러 반전을 해야할때 "1", 하지 않을 때 "0"이다. 각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의 바라는 값은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입력한다. 설정 입력된 각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A,θ,M은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스텝(35)에서는 "오프셋 설정 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D의 모드, 즉 "오프셋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A~E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D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4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1)의 "오프셋 설정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오프셋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오프셋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오프셋 설정모드"라 함은 상술의 자수틀의 오프셋양을 설정하는 오프셋 설정 데이타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바라는 오프셋양은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설정입력한다. 설정입력된 오프셋 설정 데이타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에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스텝(36)에서는 "헤드 선택 설정 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E의 모드, 즉 "헤드 선택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A~E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E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5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2)의 "헤드 선택 설정 서브루틴"를 실행한다. 이 "헤드 선택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헤드 선택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 처리를 행한다. "헤드 선택 설정모드"라 함은 멀티헤드식 자수기에 있어서 실의 색변환을 행하는 스탭마다 각 미싱헤드마다 운전/정지의 조합을 설정하는 헤드 선택 설정 데이타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각 실의 색변환 순서에 대응하는 각 미싱헤드마다 운전/정지의 바라는 조합은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설정 입력한다. 설정 입력된 헤드 선택 설정 데이타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스텝(37)에서는 "무늬 프로콘 설정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H의 모드, 즉 "무늬 프로콘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표시부 DPY2로 항목 F~J의 설명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H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3이 ON 되었는가로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3)의 "무늬 프로콘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무늬 프로콘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무늬 프로콘 설정모드"라 함은 상술의 무늬 프로그램 콘트롤 설정 데이타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즉, 이 "무늬 프로콘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여러 자수무늬를 조합해서 연속적으로 바늘질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자수무늬의 각 바느질 순서에 대응해서 바라는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설정입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설정 입력된 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스텝(38)에서는 "반복 설정 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I의 모드, 즉 "반복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F~J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I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4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4)의 "반복 설정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반복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반복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이 "반복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같은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의 반복 횟수를 설정하는 데이타를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서 설정 입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설정 입력된 반복 설정 데이타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다.
다음의 스텝(45)에서는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 그 이외의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다음의 스텝(46)에서는 "팩 설정 스위치 ON"인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는 항목 F의 모드, 즉 "팩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항목 F~J의 설명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항목 F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 F1이 ON 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YES이면, 스텝(47)의 "팩 설정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이 "팩 설정 서브루틴"의 일예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팩 설정 서브루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입력되어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 일시 기억된 1조의 각종 제어 데이타(이것을 제어 데이타 팩이라 한다)를 데이타 RAM(14)내의 바라는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CME에 일괄해서 등록(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 7 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48)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입력한 제어 데이타 팩을 등록하고자 하는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 지정 입력한다. 다음의 스텝(49)에서는 워킹 RAM(13)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에서 제어 데이타 팩을 리드하고, 이것을 앞서의 스텝에서 지정 입력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RAM(14)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CME에 라이트 한다. 그후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제 6b 도로 되돌아가서 스텝(50)에서는 운전모드 스텝 SW3이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NO이면, 스텝(31)로 되돌아가서 프로그램 모드의 처리를 반복한다.
운전모드 스위치 SW3이 ON되면, 동작모드는 프로그램 모드에서 운전모드로 전환된다. 운전모드로 전환된 직후는 자수 바느질 동작개시를 위한 각종 데이타의 초기와 처리를 행한다(스텝(51)).
스텝(52)에서는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 처리를 행한다. 운전모드에 있어서 표시기 DPY의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에서는 먼저,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A~E의 모드의 설명을 표시한다.(제 3 도의 운전모드 메뉴 RUN.MENU 참조). 기능 스위치 F6을 눌러서 다음의 후보를 선택하면,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에서는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F,G의 모드의 설명을 표시한다.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로 바라는 모드를 표시하는 상태로 하여 기능 스위치 F1~F5의 조작에 의해서 바라는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텐 키 스위치 TKY등의 조작에 의해서 바라는 데이타를 설정한다. 예를들면 미싱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경우는 B의 "회전수 모드"를 선택하여 텐 키 스위치 TKY에 의해 바라는 회전수를 설정 입력한다. 이렇게 해서 스텝(52)에서는 필요한 미싱 운전 조건을 설정한다.
스텝(53)에서는 기동/정지 스위치(26)에 의해 기동 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기동 스위치가 ON이면, 메인루틴으로 리턴해서 운전루틴(제 5 도)으로 진입한다. 기동 스위치가 ON이 아니면, 스텝(54)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NO이면, 스텝(52)로 되돌아가서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처리를 위한 루틴을 반복한다.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가 ON 되면, 동작 모드는 운전모드에서 프로그램 모드로 전환되어 스텝(31)로 진행하여 상술한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처리를 위한 루틴을 반복한다.
다음에 제 8 도를 참조해서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에서는 먼저,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의 표시내용을 "데이타 입력 설정모드"에 있어서의 하위 표시로 전환하여 기능 스위치 F1에 대응해서 "메모리 리드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를 행하고, 기능 스위치 F2에 대응해서 "메모리 라이트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를 행한다. "메모리 리드 모드"라 함은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는 것을 지시하는 모드, "메모리 라이트 모드"라 함은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종이 테이프(17)에서 입력하여 데이타 RAM(14)에 라이트하는 것을 지시하는 모드이다.
스텝(55)에서는 기능 스위치 F1이 ON 되었는가, 즉 상기 "메모리 리드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조사한다. NO이면, 스텝(56)으로 진행하여 기능 스위치 F2가 ON되었는가, 즉 상기 "메모리 라이트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조사한다. NO이면 스텝(55)로 되돌아가지만, YES이면 스텝(7)로 진행하여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종이 테이프(17)에서 입력하여 데이타 RAM(14)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바라는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서 지정하고, 이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해서 데이타 RAM(14)내의 무늬 데이타 메모리부(14B)에 있어서 무늬 데이타 에리어를 마련하고, 이 지정된 무늬 번호에 대응하는 무늬 데이타 에리어내의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에 종이 테이프(17)에서 입력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한다.
한편, "메모리 리드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스텝(58)로 진행하여 리드하고자 하는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서 지정한다.
다음의 스텝(59)에서는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RAM(14)내의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CME에 제어 데이타 팩이 등록되어 있는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60)으로 진행하여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CME에서 제어 데이타 팩을 리드해서 워킹 RAM(13)내의 소정의 기억장치에 기억한다. 또한, 운전시에 있어서는 이 워킹 RAM(13)내의 소정의 기억위치에 기억된 제어 데이타 팩(프로콘 설정 데이타,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 헤드 선택 데이타, 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 반복 설정 데이타, 오프셋 설정 데이타등의 1조)이 리드되어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이나 바느질 동작의 제어에 사용된다.
다음의 스텝(61)에서는 데이타 RAM(14)의 리드 어드레스를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의 선두 어드레스(즉, 제1스티치의 어드레스)에 설정하고, 그 바느질 데이타 메모리 에리어 SME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할 준비를 한다. 그후 메인루틴(제 5 도)로 리턴한다.
다음에 제 5 도의 메인루틴에 있어서 미싱주축 운전루틴의 일예에 대해 제 9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운전루틴에서는 먼저, 소정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 후에 주축모터(22)를 기동시킨다.
다음의 스텝(62)에서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위한 각종의 운전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의 스텝(63)에서는 현재의 처리중의 스티치에 관한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색변환 코드인가를 조사한다. 또, 스텝(64)에서는 현재 처리중의 스티치에 관한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자수무늬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코드인가를 조사한다. 스텝(65)에서는 미싱주축의 정지가 완료하였는가를 확인한다. 미싱주축이 정지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62)로 되돌아서 운전루틴 처리를 반복한다.
이 운전루틴의 처리중에 미싱주축(23)의 로터리 엔코더(24)에서 주축회전각에 따른 클럭 신호가 주어지면, 그때마다 처리를 중단하고 제 10 도와 같은 엔코더 클럭 인터럽트 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엔코더 클럭 인터럽트 서브루틴에서는 엔코터 카운터를 한 개 카운트업한 후(스텝(301)), 그 계수값이 어떤 처리 타이밍에 대응하는 것이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스텝(302),(303)), 각 타이밍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자수를 이동 타이밍에 있어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출력에 따라서 현재의 자수 바느질 스티치에 대응하는 X,Y 데이타 및 기능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한다(스텝(304)).
다음의 스텝(305)에서는 데이타 변환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이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 데이타 팩중,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를 리드하고, 이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에 따라서 X,Y 데이타를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데이타 변환 파라미터로써의 상술의 배율 데이타 A, 회전각 데이타θ, 미러반전 데이타 M(이것은 상술한 것과 같이 "1" 또는 "0"이다)에 따라서 본래의 X,Y데이타를 다음식에 따라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타 Xa,Ya를 구한다.
Xa=A(M.Xcosθ-Ysinθ)
Ya=A(Ycosθ+M.Xsinθ)
이렇게 해서 변환된 자수를 X,Y 데이타 Xa,Ya에 따라서 자수틀(20)을 X-Y 이동하고(스텝(306)), 그 후 스티치 카운터를 다음의 바느질 스티치로 진행한다(스텝(307)). 그리고, 운전루틴으로 리턴한다.
또한, 스텝(308)에서는 정지 타이밍에 있어서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309)에서는 점프 제어등 그 이외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 9 도의 운전루틴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스텝(63)에서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색변환 코드인 것이 확인되면, 스텝(66),(67),(68),(69),(70)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66)에서는 미싱주축(23)을 정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67)에서는 색변환 카운터에 계수값을 진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68)은 "프로콘 설정 처리루틴"이며, 여기에서는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 데이타 팩중, 프로콘 설정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 프로콘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실의 색변환 처리를 행한다. 더 상세하게는 색변환 카운터의 계수값에 의해서 표시된 색변환 순서에 대응해서 설정된 바늘위치를 지시하는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 바늘 위치를 선택하도록 색변환 모터(25)를 제어한다.
스텝(69)는 "헤드 선택 처리루틴"이며, 여기에서는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 데이타 팩중, 헤드 선택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 헤드 선택 데이타에 따라서 각 미싱 헤드마다 운전/정지를 제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70)은 "오프셋 설정 처리루틴"이며, 여기에서는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 데이타 팩중, 오프셋 설정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 오프셋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을 오프셋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64)에서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종료코드인 것이 확인되면, 스텝(71),(72),(73)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71)에서는 미싱주축(23)을 정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72)는 "무늬 프로콘 설정 처리루틴"이며, 여기에서는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 데이타 팩중, 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를 리드하여 이 무늬 프로콘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지금 바느질을 끝낸 자수무늬의 다음에 조합하여야 할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73)는 "반복 설정 처리루틴"이며 여기에서는 워킹 RAM(13)에 기억한 제어데이타 팩중, 반복 설정 데이타를 리드하여 이 반복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지금 바느질을 끝낸 자수무늬의 다음에, 같은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을 반복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어 데이타를 설정하는 경우는, 정지루틴(제 6 도~제 8 도)의 처리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를 등록한 각 자수무늬마다(각 무늬번호마다) 바라는 내용의 제어 데이타의 1조를 설정하여 등록한다. 또, 운전시는 운전개시에 앞서서 제 8 도의 스텝(58)~(61)의 처리에 의해 자수 바느질을 하고자 하는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1조의 제어 데이타 팩을 리드하고, 운전루틴(제 9 도, 제 10 도)의 처리에 의해 그 제어 데이타 팩의 각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 및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설정 및 그 이외의 처리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실행하고 있지만, 전용의 하드웨어회로에 의해서 실행하여도 좋다.
또, 각 자수무늬 대응해서 데이타 RAM(14)에 설정등록한 제어 데이타 팩을 그것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와 함께 종이 테이프 및 그 이외의 외부 메모리에 보존기록하여도 좋다.
다음에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는 여러개 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연속하는 1개의 새로운 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로써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에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과한 자수기의 하드 구성도는 제 2 도와 마찬가지로써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지루틴에 있어서의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을 제 11 도와 같이 구성하면 좋다.
데이타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제 11 도의 스텝(80)의 처리에 의해 표시기 DPY의 표시를 제 12a와 같은 "데이타 입력" 모드 표시상태로 전환하여 다음의 스텝(81)로 진행한다.
스텝(81)에서는 기능 스위치 F1 또는 F2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이 표시상태에 있어서는 기능 스위치 F1에 대응하는 기능은 "메모리 리드"모드 설정이고, 자수기의 데이타 RAM(14)내에 등록되어 있는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F1을 ON하여 "메모리 리드"모드를 선택한다. 또 기능 스위치 F2에 대응하는 기능은 "메모리 라이트"모드설정이고,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외부 기록장치에서 데이타 RAM(14)에 라이트해서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F2를 ON으로 해서 "메모리 라이트"모드를 선택한다. 기능 스위치 F1이 ON된 경우는 스텝(82)로 진행하고, F2가 ON된 경우는 스텝(83)으로 진행하다.
스텝(83)에서는 데이타 RAM(14)에 등록하고자 하는 자수무늬의 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설정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 입력한 무늬번호가 데이타 RAM(14)에 등록되어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무늬번호를 설정 입력하는 것에 의해 지정한다.
다음의 스텝(84)에서는 표시기 DPY의 표시를 제 12b 도와 같은 "데이타 입력 선택 메모리 라이트"모드 표시상태로 전환환여 다음 스텝(85)로 진행한다.
스텝(85)에서는 데이타 RAM(14)에 설정 입력된 자수무늬 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상기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개시 어드레스에 세트한다.
다음의 스텝(86)에서는 메모리 등록하고저 하는 자수무늬에 대응한 바느질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종이 테이프를 종이 테이프 리이더(16)에 세트하여 다음의 스텝(87)로 진행한다.
스텝(87)에서는기능 스위치 F1또는 F2가 ON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 표시상태에 있어서 기능 스위치 F1에 대응하는기능은 종이 테이프에서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통상의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 스위치이고, 1개의 종이 테이프에서 1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는 경우 또는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1개의 자수무늬의 데이타로써 등록하기 위해 이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중 최후의 종이 테이프를 리드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F1을 ON으로 해서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을 선택한다. 또, 기능 스위치 F2에 대응하는 기능은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리드하기 위한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 스위치이고,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1개의 자수무늬 데이타로써 등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후의 종이 테이프 이외의 다른 종이 테이프의 데이타 리드 개시시에 상기 스위치 F2를 ON으로 하여,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을 선택한다. 기능 스위치 F1 또는 F2가 ON된 경우는 스텝(87)로 진행하고, 어느것의 스위치도 ON 되지 않은 경우는 어느것인가의 스위치가 ON 되기까지 스텝(87)에 대기한다.
스텝(88)에서는 종이 테이프 리이더(16)에 의해 종이 테이프(17)에 기록되어 있는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X,Y 데이타 기능 데이타)를 리드한다.
다음의 스텝(89)에서는 스텝(88)에서 리드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 지시된 데이타 RAM(14)내의 어드레스에 라이트하고, 그후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만 진행한다.
다음의 스티치(90)에서는 스텝(88)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포함되는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종료코드 인가를 조사한다. 이 종료코드는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의 종료를 표시하는 것이고, 또 1개의 종이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의 리드 동작 완료를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종료코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88)로 되돌아가서 테이프 입력에 의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의 리드와 메모리 등록 및 1스티치분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 진행을 반복한다. 이 기능코드의 내용이 종료코드인 경우 스텝(91)로 진행한다.
스텝(91)에서는 스텝(40)에서 설정된 테이프 입력 모드가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인 경우는 스텝(2)로 진행하고,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인 경우는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스텝(92)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만 앞으로 되돌려서 그 어드레스에 라이트되어 있는 "종료코드"를 "정지코드"에 리라이트한다. "정지코드"는 미싱 회전을 일시 정지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고 무늬의 종료는 지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종이 테이프가 종료하여도 무늬는 종료하지 않게 되어 다시 바느질 데이타를 계속하게 된다. 또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만 진행하여 스텝(86)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지금 막 리드시킨 종이 테이프의 데이타 다음에 조합되어야 할 다른 종이 테이프에 관해서, 상술한 스텝(86)~(92)의 처리를 반복한다. 계속해서 조합하여야 할 테이프가 아직 있는 경우는 재차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로 하고, 스텝(91)의 YES에서 스텝(92)로 진행하여 스텝(8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조합의 최후 종이 테이프의 데이타 리드를 행할때에는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로 하고, 스텝(91)의 NO에서 리턴으로 진행하여 데이타의 리드를 종료한다.
한편, 메모리 리드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스텝(81)에서 (82)로 진행한다. 스텝(82)에서는 데이타 RAM(14)에 등록되어 있는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하여 바라는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설정 입력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93)에서는 데이타 RAM(14)를 리드 모드로써 그 리드 어드레스 DMA를 이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선두 어드레스에 설정하고, 리드 준비상태로써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종이 테이프 데이타 입력시의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와 "멀티 테이프 개시" 모드의 기능을 제 13 도의 메모리 맵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3개의 종이 테이프 A1~A3의 데이타를 조합해서 1개의 무늬 A의 메모리 데이타로써 메모리에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소정의 설정처리를 실행하고나서(스텝(80)~(85)), 최초의 종이 테이프 A1을 종이 테이프 리이더(16)에 세트한다(스텝86)). 다음에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에 기능 설정되어 있는 기능 스위치 F2를 ON으로 하고(스텝(87)), 종이 테이프 A1에 기록되어 있는 무늬 데이타를 리드하여 데이타 RAM(14)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라이트한다(스텝(88)~(90)). 리드시킨 바느질 데이타에 포함되는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종료코드로 되기까지 상술한 리드동작을 반복해서 이 종료코드를 검출한 경우는 제 13a 도와 같이 종료코드를 라이트해서 리드동작을 종료한다(스텝(90)). 이때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에 기능 설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 되돌려서 제 13a 도와 같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프 A1의 무늬의 "종료코드"를 제 13a 도와 같이 "정지코드"로 리라이트하여 다음의 종이 테이프 A2의 데이타를 리드해서 메모리에 라이트 하기 위해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진행한다(스텝(92)).
다음에 스텝(86)으로 되돌아가서 종이 테이프 A2를 테이프 리이더(16)에 세트한다. 그리고 기능 스위치 F2를 재차 ON으로 해서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에 기능 설정하여(스텝(87)),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리드동작을 반복한다. 종이 테이프 A2의 데이타 리드동작은 제 13b 도와 같이 종료코드를 이 데이타의 최종 어드레스에 대응해서 라이트해서 종료한다. 그후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 되돌려서 이 "종료코드"를 제 13c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코드"에 리라이트하여 다음의 종이 테이프 A3의 데이타 리드와 메모리 라이트를 행하기 위해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종이 테이프 데이타를 리드할때에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에 기능 설정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에 라이트한 이 데이타의 최후 어드레스에 기억된 종료코드를 정지코드에 리라이트하고, 계속해서 다음의 종이 테이프 리드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테이프 데이타군을 연속한 바느질 데이타로써 메모리에 등록한다.
다음에 스텝(86)에 되돌아가서 최후의 종이 테이프 A3을 테이프 리이더(16)에 세트한다. 이번에는 최후의 종이 테이프이므로 스텝(87)에서는 기능 스위치 F1을 ON으로해서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에 기능 설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리드동작을 반복한다. 리드시킨 테이프 데이타에 포함되는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종료코드로 되었으면, 제 13c 도와 같이 데이타의 최하위에 종료코드를 라이트해서, 종이 테이프 A3의 데이타 리드 동작을 종료한다. 이 종료코드는 그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즉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에서는 스텝(91)이 NO로 되어 스텝(92)로 진행하지 않고 리턴하므로, 종료코드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테이프 A1 및 A2의 종료코드를 정지코드로 변경하여 최후의 테이프 A3의 종료코드를 그대로 해두는 것에 의해 여러개의 테이프 A1~A3의 바느질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조합해서 1개의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로써 데이타 RAM(14)에 기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타 RAM(14)에 기억된 여러개의 무늬 조합으로 되는 바느질 데이타는 미싱 운전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리드해서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이 행해진다. 먼저, 상술한 정지루틴에 있어서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프로그램 모드에 설정하여 자수하고자 하는 바라는 무늬번호를 조작패널(15)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지정하고, 이 지정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 에리어의 선두 어드레스를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세트하여 이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는 준비를 한(스텝(82)(90)). 다음에 운전모드로 전환해서 기동/정지 스위치(26)을 기동 스위치 ON 상태로 하여 운전루틴으로 이동한다. 운전루틴에서는 미싱주축모터(22)를 운전 구동하여 바느질 동작의 1스티치마다 데이타 RAM(14)에서 각 스티치마다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이것에 따라 자수 바느질 동작을 위한 각종 운전처리를 실행한다. 예를들면, 제 13c 도와 같이 데이타 A1~A3의 데이타를 조합해서 되는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는 경우 최초에 테이프 A1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곧이어 리드한 데이타 내용이 정지코드로 되면 미싱주축모터(22)의 회전은 일단 정지한다. 그때 색변환등의 미싱정지시의 처리를 행한 후에 다음의 테이프 A2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리드로 이행한다. 이 데이타의 리드가 종료하면 정지코드에 의해 상술과 마찬가지로 처리되어 다음에 테이프 A3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리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최후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곧이어 종료코드로 되면 자수기는 일련의 바느질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여러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연속한 바느질 데이타로써 데이타 RAM(14)에 기억하고, 이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여 자수 바느질하는 경우, 1개의 무늬 번호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이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자수무늬를 구성하는 여러 무늬 데이타가 순차적으로 리드된다.
또, 조작패널(15)에 있어서의 표시기 DPY의 표시수단으로써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CRT 디스플레이나 LED 디스플레이등의 전기, 전자장치외에 인자 프린트등의 하드카피장치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3 도와 같이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1개의 무늬에 대응하는 데이타로 하는 경우, 데이타 RAM(14)의 연속한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리 뱅크 전환방식과 같이 불연속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이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바느질 데이타의 외부 기록장치로써는 종이 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 테이프, 자기 드스크, 광디스크, 자기 카드, IC카드등 다른 어떠한 기록매체라도 좋다. 그 경우 기록매체가 큰 용량이면 1개의 기록메체에 다수의 무늬 데이타를 기억해 두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다수의 무늬중 하나 또는 여러 무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하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멀티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 스위치와 "통상 테이프 개시"모드 설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하나 또는 임의의 여러개의 종이 테이프, 즉 무늬 데이타의 조합을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하나 또는 임의의 여러무늬 데이타의 조합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들면, 무늬 데이타를 리드시키기에 앞서 조합해야 할 무늬의 수를 미리 설정 입력하고, 이렇게 해서 설정 입력된 수만의 무늬 데이타를 조합하는 처리를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자수 바느질 작업도중에서 미싱의 운전을 일시정지시켜 자수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등의 바느질 데이타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에 대해서 제 1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4 도는 미싱주축 정지루틴에 있어서의 운전모드의 루틴을 도시하고 있고, 제 6b 도에 있어서의 스텝(50),(51)(52)의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즉 스텝(50)은 제 6b 도의 동일부호의 스텝(50)에 대응하고 있으며, 스텝(51a)~(51c)는 제 6b 도의 스텝(51)에 대응하고 있고, 스텝(520)~(530)은 제 6b 도의 스텝(52)에 대응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4 도의 스텝(530)의 다음에 제 6b 도의 스텝(53)이 온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운전모드 스위치 SW3이 ON 되면, 동작모드는 프로그램 모드에서 운전모드로 전환된다. 운전모드로 전환된 직후는 데이타 RAM(14)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이 무늬의 최초의 스티치에 대응하는 선두 어드레스에 세트하는 등 자수 바느질 동작개시를 위한 각종 데이타의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스텝(51a)). 또 제 8 도의 스텝(61), 제 11 도의 스텝(90)에서 동일한 처리를 행한 경우는 이 스텝(51a)는 생략하여도 좋다.
다음의 스텝(51b)에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계수값을 "0"으로 리세트한다. 스티치 카운터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하기 위한 각 스티치의 순번을 지시하는 것이다.
다음의 스티치(51c)에서는 자수 바느질 동작새시를 위한 그외의 데이타의 초기화 준비처리를 행한다.
다음의 스텝(520)에서는 스티치 백 스위치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스티치 백 스위치 ON은 기동/정지 스위치(26)을 정지 스위치 ON 상태로 계속하는 것에 의해서 ON으로 된다. YES인 경우는 스텝(521)로 진행하여 스티치 백 처리를 행한다. 한편, NO이면 스텝(525)로 진행하여 데이타 편집 모드에 있어서의 바라는 데이타 설정 처리를 위한 루틴을 행한다.
스텝(521)에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계수값이 "0"인가를 조사한다. 즉 자수틀(20)이 이 자수무늬의 개시위치에 있는가를 조사한다. 이 계수값이 "0"인 경우는 이 스텝(521)은 YES로 되어 스텝(525)로 점프하여 스티치 백 동작은 행하지 않는다. 한편, 이 계수값이 "0"이 아닌 경우는 이 스텝(521)은 NO로 되어 스텝(522)로 진행한다. 스텝(522)에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현재 계수값에서 1스티치분을 감산한다.
다음의 스텝(523)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 되돌려서 이 어드레스에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한다.
다음의 스텝(524)에서는 스텝(523)에서 리드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X,Y)에 따라서 자수틀(20)을 되돌리도록 역방향으로(-X,-Y만)구동하여 1스티치분의 스티치 백 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520)으로 되돌아서 스티치 백 스위치가 ON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여 ON되어 있으면, 상술한 스텝(521)~스텝(524)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 14 도에 있어서 스텝(525)에서는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표시기 DPY의 표시를 제 20a 도와 같은 상태로 하여 "데이타 편집 모드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3이 ON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데이타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를 편집하는 경우에 이 스위치 F3을 ON으로 한다. 그러면 표시기 DPY의 표시는 제 20b 도와 같이 전환되어 임의의 기능 스위치 F1~F3을 ON하는 것에 의해 바라는 데이타 편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스위치 F1은 작업중의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하는 "데이타 변경"모드설정을 위해서 조작하는 스위치로써 작용한다. 기능 스위치 F2는 작업중의 바느질 데이타 삭제 모드 설정을 위해서 조작하는 스위치로써 작용한다. 기능 스위치 F3은 작업중의 바느질 데이타에 새로이 다른 바느질 데이타를 삽입하는 "데이타 삽입"모드 설정을 위해서 조작하는 스위치로써 작용한다. 또 기능 스위치 F6은 "편집 모드"를 인출하기 위한 종료 스위치로써 작용한다. 스텝(525)에서 "편집 모드"설정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3이 ON된 경우는 스텝(526)으로 진행하고, ON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530)으로 진행한다.
스텝(526)에서는 제 20b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 변경 모드"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1이 ON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 기능 스위치 F1이 ON된 경우는 다음에 기술하는 데이타 변경 처리 스텝(400)을 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제 15 도)으로 진행한다. 이 스위치가 ON 되지 않는 경우 이 스텝(526)은 NO로 되어 스텝(527)로 진행한다.
스텝(527)에서는 "데이타 삭제 모드"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2가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이 스위치 F2가 ON 된 경우는 다음에 기술하는 데이타 삭제 처리(스텝500))를 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제 16 도)으로 진행한다. 이 스위치가 ON 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528)로 진행한다.
스텝(528)에서는 "데이타 삽입 모드"설정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3이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이 스위치 F3이 ON된 경우는 다음에 기술하는 데이타 삽입처리(스텝(600))를 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제 17 도)으로 진행한다. 이 스위치 F3이 ON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529)로 진행한다.
스텝(529)에서는 데이타 편집의 종료를 선언하는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6이 ON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이 스위치 F6이 ON 된 경우는 이 스텝(529)는 YES로 되어 표시기 DPY의 화면을 운전모드에 있어서 최초의 표시상태로 전환해서 스텝(530)으로 진행한다. 이 스위치 F6이 ON 되지 않는 경우는 이 스텝(529)는 NO로 되어 스텝(526)으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스텝(526)~(529)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530)에서는 운전모드에 있어서의 그외의 각종 데이타 설정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53)(제 6b 도)로 진행하여 기동/정지 스위치(26)에 의해 기동 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가를 조사한다. 기동 스위치가 ON이면 메인루틴으로 리턴해서 운전루틴(제 18 도)으로 진입한다.
다음에 제 14 도에 도시한 정지루틴의 "데이타 편집 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변경 서브루틴에 대하여 제 15 도의 플루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401)에서는 작업중의 자수무늬(즉 제 8 도의 스텝(58) 또는 제 11 도의 스텝(82)에서 설정된 무늬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중 현재의 스티치에 관한 X축 구동 데이타의 바라는 변경값을 텐키 스위치 TKY의조작에 의해 입력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402)에서는 스텝(401)고 마찬가지로 해서 현재의 스티치에 관한 Y축 구동 데이타의 바라는 변경값을 입력 설정하여 다음의 스텝(403)으로 진행한다.
스텝(403)에서는 스텝(401) 및 (402)와 마찬가지로 해서 현재의 스티치에 관한 기능 데이타(F 데이타라고 한다)의 바라는 변경 코드를 입력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404)에서는 기능 스위치 설명 표시부 DPY2에 있어서 변경 "종료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6이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현재의 스티치에 관한 바라는 X,Y,F 데이타의 변경값 또는 변경코드의 입력 설정이 종료한 경우는 변경 "종료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6을 ON으로 한다. 이 스위치가 ON인 경우는 스텝(405)로 진행하고, 이 스위치가 ON이 아닌 경우는 "데이타 편집 모드"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스텝(405)에서는 현재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고 있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즉 현재의 스타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입력 설정한 변경 데이타를 라이트한다.
또, 여기에서 "현재 스위치"라 함은 데이타 RAN(14)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에 DMA 에 의해서 현재 지시되고 있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스티치이며, 이 정지루틴에 진입하게 직전에 자수 바느질 동작을 행한 스티치의 다음의 스티치(즉 지금부터 바느질을 행하고자 흐는 스티치)또는 스텝(47),(80)~(83)의 스티치 백 처리에 의해서 몇 스티치인가 되돌려진 스티치이다.
다음에 "데이타 편집모드"에 있어서의 삭제 서브루틴에 대하여 제 16 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501)에서는 스치티 카운터의 계수값이 "0"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즉 현재의 자수틀(20)이 바느질 동작개시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 계수값이 "0"인 경우 이 스텝(501)은 YES로 되어 "데이타 편집모드"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왜냐하면, 데이타 삭제는 "현재의 스티치"의 1스티치전의 스티치에 대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0스티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데이타 삭제를 행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0"이 아닌 경우, 이 스텝(501)은 NO로 되어 스텝(502)로 진행한다.
스텝(502)에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계수값을 1감산한다.
다음의 스텝(503)에서는 데이타 메모리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 앞으로 되돌린다.
다음의 스텝(504)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는 어드레스 RAM(14)의 어드레스에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한다.
다음의 스텝(505)에서는 스텝(504)에서 데이타 RAM(14)에서 리드시킨 바느질 데이타중, X 및 Y축 구동 데이타에 따라 자수틀(20)을 -X 및 -Y만 역방향으로 구동출력해서 자수틀(20)을 1스티치분 되돌린다.
다음의 스텝(506)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에 1스티치분의 삭제 데이타 (X=FFH,Y=FFH,F=FFH, 단 FFH는 2자리수 16진수의 최대값)를 라이트한다. 즉 삭제하고저 하는 바라는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X,Y,F)를 FFH로 리라이트하고, 이 스티치에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지 않도록 공백의 데이타로써 "데이타 편집모드"의 루틴으로 리턴하는 것이다.
다음에 "데이타 편집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타 삽입 서브 루틴에 대하여 제 17 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601)에서는 삽입하고자 하는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의 스티치수 N을 텐 키 스위치 TKY로 입력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602)에서는 현재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에서 바느질 데이타의 엔드 어드레스까지의 데이타를 스텝(601)에서 입력 설정한 삽입 스티치수 N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분만큼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삽입 스티치수 N분의 빈곳을 만든다.
다음의 스텝(603)에서는 현재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를 삽입하고저 하는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WAD로써 세트한다.
다음의 스텝(604)에서는 스텝(601)에서 입력 설정한 스티치수 N이 "0"인가를 판정한다. 즉, 삽입해야 할 바느질 데이타의 유무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N〈1의 조건이 성립되므로 이 스텝(604)는 YES로 되어 "데이타 편집모드"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또 삽입해야할 바느질 데이타를 모두 데이타 RAM(14)에 라이트 종료해서 N20으로 된 경우 이 스텝(604)는 NO로 되어 스텝(605)로 진행한다.
스텝(605)에서는 삽입하고저 하는 바라는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X,Y,F)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입력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606)에서는 라이트 어드레스 WAD에 의해서 지시되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에 스텝(605)에서 입력 설정한 바느질 데이타를 라이트한다.
다음의 스텝(607)에서는 라이트 어드레스 WAD를 1스티치분만 진행시킨다.
다음의 스텝(608)에서는 스텝(601)에서 입력 설정한 스티치수 N에서 1감산해서 스텝(604)로 되돌아가서 삽입해야 할 바느질 데이타의 입력 설정이 종료하기까지 스텝(604)~(608)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서 채용한 운전루틴의 일예에 대하여 제 18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소정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 후에 스텝(160)으로 진행한다.
다음의 스텝(160)에서는 주축모터(22)를 가동시킨다.
다음의 스텝(161)에서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위한 각종 운전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의 스텝(162)에서는 미싱주축 정지완료를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조사한다. 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이 스텝(162)는 YES로 되어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이 스텝(162)는 NO로 되어 스텝(163)으로 진행한다.
스텝(163)에서 미싱주축 정지조건이 성립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기동/정지 스위치(26)이 정지 스위치 ON상태인 경우나 실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 미싱주축을 정지시켜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 기능 데이타의 내용이 색변환 코드인 경우나 자수무늬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코드등인 경우에도 미싱주축을 정지시켜야한다고 판단한다. 스텝(163)이 YES일 때 스텝(168)로 진행하고, NO일때는 스텝(161)로 되돌아간다.
스텝(168)에서는 미싱주축 정지요구 플래그를 세트함과 동시에 정지 카운터에 수치 "2"를 세트하여 다음의 스텝(169)로 진행한다.
스텝(196)에서는 미싱주축모터(22)를 감속하여 스텝(161)로되돌아가서 각종 운전처리를 실행하는 루틴을 반복한다.
이 미싱주축 운전루틴의 처리중에 로터리 엔코더(24)에서 클럭 신호가 주어지면, 제 19 도와 같은 엔코더 클럭 입터럽트 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엔코더 클럭 인터럽트 서브루틴에서는 엔코더 카운터를 1카운트 업한후(스텝(301)), 그 계수값이 어느것의 처리 타이밍에 대응하는 것인가를 차례로 판단하여(스텝(302),(303)), 각 타이밍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자수틀 이동타이밍에 있어서는 스위치 카운터의 출력에 따라서 현재의 자수 바느질 스위치에 대응하는 X,Y 데이타 및 기능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 리드한다(스텝(304)). 이 리드한 데이타 내용이 데이타 삭제 처리를 핸한 데이타(X=FFH,Y=FFH,F=FFH)인가를 조사하여(스텝(351)), YES인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 진행해서(스텝(352)), 스텝(304)를 되돌아가서 데이타 RAM(14)에서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는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해서 삭제 데이타의 데이타가 리드되기까지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진행시킨다.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이 데이타 삭제 처리를 실행한 것이 아닌 경우, 이 X,Y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20)을 X-Y 구동하고(스텝(353)), 그후 스티치 카운터를 다음의 바느질 스티치로 진행해서(스텝(354)),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만 진행하여(스텝(355)), 메인 운전루틴으로 리턴한다.
미싱주축 정지 타이밍이면 미싱주축 정지요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여(스텝(310)), YES이면 정지카운터를 1카운트 다운해서 그 계수값이 0으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스텝(311),(312)), 계수값이 0으로 되면 미싱주축모터(22)를 정지함과 동시에 미싱주축 정지완료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313)).
또, 점프 제어등 그외의 처리는 그외의 자수 타이밍 처리(스텝(314))에서 실행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작업중의 자수무늬모양(즉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삭제 또는 새로운 데이타의 삽입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타 편집모드"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떤 자수무늬의 바느질 동작 실행중에 상기 무늬의 모양을 변경하는 경우, 기동/정지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정지 스위치 ON으로 해서 미싱주축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메인루틴의 정지루틴으로 진행하여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운전모드로 판정한다(제 6a 도의 스텝(30)). 이 운전모드에서 최초의 표시기 DPY의 표시상태는 제 20a 도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 "데이타 편집모드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3을 ON으로 해서(스텝(525)), 데이타 편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하여 표시기 DPY의 표시상태를 제 20b 도와 같이 전환한다. 그리고, 바라는 기능 스위치를 ON하는 것에 의해 데이타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중의 바느질 데이타에 대해서 바라는 편집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데이타 변경처리의 동작에 대해서 제 21a 도의 메모리 맵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어드레스 영역 P는 이미 자수 바느질을 실행 완료한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 영역이다. 이 어드레스 영역 P의 최후 어드레스 E에는 데이타 변경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미싱주축을 정지한 시점에 있어서의 스티치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이 최후의 스티치(즉 어드레스E)의 자수틀 구동데이타 출력완료후,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는 다음의 어드레스로 진행되므로(스텝(355)), 현재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는 어드레스 Q는 어드레스 E의 다음 어드레스이고, 이 어드레스 Q에는 다음의 스티치로 바느질 동작을 행해야할 바느질 데이타가 가억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 Q에 기억되어 있는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다.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바느질 데이타(X,Y,F)를 입력 설정한다(스텝(401)~(403)). 그후 데이타 입력 "종료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기능 스위치 F6을 ON하는 것에 의해서(스텝(404)), 입력한 데이타가 어드레스 Q에 라이트된다. 즉 다음의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Q의 데이타 내용을 리라이트해서 이 어드레스 Q에서 재차 계속해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21b 도의 메모리 맵을 참조해서 데이타 삭제 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드레스 Q는 현재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는 어드레스이고, 데이타 삭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미싱주축을 정지한 시점에 있어서의 자수틀 구동 데이타 출력 완료시의 최종 어드레스 E의 다음 어드레스이다. 어드레스 E에는 정지시에 바느질 동작을 행한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고, 이 데이타가 삭제의 대상으로 된다. 스티치 카운터의 계수값을 "1"감산해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1스티치분만큼 되돌려서 이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한다(스텝(501)~(503)). 이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20)을 -X,-Y축 방향으로 구동하여(스텝(505)), 자수틀(20)을 1스티치분 되돌린다. 그리고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시하는 어드레스 E에 있어서의 1스티치분의 바느질 데이타를 삭제 데이타 (X=FFH, Y=FFH, F=FFH)로 리라이트한다. 삭제 데이타를 라이트하는 것에 의해서 이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는 모두 무효 데이타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21c 도의 메모리 맵을 참조하면서 데이타 삽입 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드레스 Q는 현재의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는 어드레스이고, 데이타 삽입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미싱주축을 정지한 시점에 있어서의 자수틀 구동 데이타 출력 완료의 최종 어드레스 E의 다음의 어드레스이다. 어드레스 Q와 자수무늬의 최종 어드레스 H 사이의 어드레스 영역 I에는 아직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나머지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영역 P와 어드레스 영역 I 사이의 어드레스 영역에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를 새로 삽입하는 것이다. 먼저 삽입해야 할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의 스티치수 N을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입력 설정하여 이 스티치수 N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분만큼 어드레스 영역 I를 뒤쪽으로 되돌린다(스텝(602)).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삽입 데이타 라이트 어드레스에 세트한다(스텝(604)). 그리고 삽입해야 할 바라는 바느질 데이타(X,Y,F)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입력 설정하여 데이타 RAM(14)에 라이트한다(스텝(604)~(606)). 1스티치분만큼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진행해서(스텝(607)), 다음의 삽입 데이타의 라이트에 대비하여 설정한 스티치수 N분의 데이타가 라이트 종료시까지 1스티치분만다 바느질 데이타의 입력설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삽입 데이타의 입력 설정과 라이트가 종료하면,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어드레스 Q에 세트해서 삽입한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에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계속해서 재개한다.
또, 스티치백 동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자수 바느질 데이타 편집 작업도 가능하다. 자수 바느질 작업 도중에서 바느질 작업을 일시 정지하여 그때까지 자수 바느질한 실제의 자수 무늬를 확인한 다음에 바라는 자수 바느질이 끝난 무늬의 부분을 변경, 삭제 또는 삽입하는 경우 스티치백 스위치를 ON으로 해서 바라는 스티치까지 자수틀(20)을 되돌리도록 역방향(-X,-Y만)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변경, 삭제 또는 삽입하고자 하는 스티치에 관련된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을 상술한 데이타 변경, 삭제, 삽입의 각 서브루틴(제 15 도~제 17 도)에 따라서 행한다.
또, 데이타 변경, 삭제, 삽입등의 편집처리 순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변경"은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는 현재의 스티치(즉, 다음에 바느질 동작을 행해야할 스티치)에 대해서 실시되지만, 이것은 그 1스티치전의 스티치에 대하여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데이타 변경, 삭제, 삽입들의 편집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타 편집수단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용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싱의 기동, 정지 및 스티치백을 공통의 바스위치 조작에 의해 제어하고 있지만, 이것은 각각의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통신기능을 사용해서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제 22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싱주축 정지루틴에 있어서의 동작모드로써 상술한 프로그램 모드 및 운전모드에 부가해서 "리모트 모드"가 있다. 리모트 모드라함은 이 자수기와 통신기능을 갖는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이다.
조작 패널(15)에 있어서 리모트 모드 스위치 SW6이 마련되어 있다(제 3 도). 이 리모트 모드 스위치 SW6은 이 자수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리모트 모드에 설정할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제 22 도는 미싱주축 정지루틴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 6a,b 도의 변경예이다. 먼저 제 6a 도의 스템(30)이 제 22 도에서는 스텝(30a)와 (30b)로 변경되어 있다. 계속되는 제 6a 도의 스텝(31)에선 제 6b 도의 스텝(46),,(47)까지의 처리는 이것을 그대로 제 22 도에서도 사용해도 좋으므로 제 22 도에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6b 도의 스텝(50)~(54)의 부분은 제 22 도에서는 스텝(50),(54),(101),(102),(103),(106),(30a),(30b),(51),(52),(53),(104),(105)와 같이 변경되어 있다.
제 22 도에 있어서, 스텝(30a)에서는 동작모드 플래그의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 모드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프로그램 모드이면 스텝(31) 이후의 처리로 진행하여 제 6a,b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프로그램 모드시의 처리를 행한다. 프로그램 모드가 아니면 스텝(30b)로 진행하여 동작모드 플래그의 내용에 따라 운전모드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운전모드이면 제 6b 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스텝(51),(52),(53)의 처리를 행한다. 운전모드에 있어서 기동 스위치가 ON이면, 메인루틴으로 리턴해서 운전루틴으로 진입한다. 기동 스위치가 ON이 아니면, 스텝(53)에서 스텝(50)으로 진행하여 운전모드 스위치 SW3이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한편, 운전 모드가 아니면 스텝(306)은 NO로 되어 스텝(104)로 진행하고, 동작 모드 플래그에 따라 리모트 모드인가 조사한다. 리모트 모드이면 스텝(105)로 진행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리모트 모드 서브루틴(제 23 도)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후 스텝(50)으로 진행한다.
스텝(50)에서는 운전모드 스위치 SW3이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운전모드 플래그를 ON으로 세트하여 (스텝(101)), 스텝(30a)로 되돌아간다. NO이면 스텝(54)로 진행한다.
스텝(54)에서는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가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가 ON되면, 프로그램 모드 플래그를 ON으로 세트하여(스텝(102)), 스텝(30a)로 되돌아간다.
한편, 프로그램 모드 스위치 SW2가 ON되지 않는 경우, 스텝(54)도 NO로 되어 스텝(106)으로 진행한다.
스텝(106)에서는 리모트 모드 스위치 SW6이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는 리모트 모드 스위치 SW6을 ON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SW6이 ON된 경우는 리모트 모드 플래그를 ON으로 세트해서 (스텝(103)), 스텝(30a)로 되돌아 간다. NO이면 스텝(103)을 넘어서 스텝(30a)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제 23 도를 참조하면서 "리모트 모드 서브루틴"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201)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7)의 상태 레지스터를 조사해서 외부기기(28)에서 통신 명령이 송신되어 왔는가를 판단한다. YES이면 스탭(202)로 진행하고, NO이면 제 22 도의 정지루틴으로 리턴한다.
스텝(202)에서는 바라는 무늬번호를 텐 키 스위치 TKY의 조작에 의해 지정한다. 여기에서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는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고자 하는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한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지정하고, 또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경우는 데이타 RAM(14)에 바느질 데이타를 라이트해야 할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지정한다.
다음의 스텝(203)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7)의 상태 레지스터를 조사하여 통신 명령이 데이타의 송신인가 수신인가를 판단한다. 이 통신 명령에 데이타 송신인 경우는 이 스텝(203)은 YES로 되어 스텝(204)로 진행하며, 데이타 송신을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한다. 이 통신 명령이 데이타 수신인 경우 이 스텝(203)은 NO로 되어 스텝(210)으로 진행하며, 데이타 수신을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204)에서는 각종 제어 데이타를 워킹 RAM(13)에서 리드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통신 라인으로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205)에서는 스텝(202)에서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 리드해서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통신라인으로 출력하여 제 22 도의 정지루틴으로 리턴한다.
한편, 스텝(21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통신 라인에서 수신한 각종 제어 데이타를 워킹 RAM(13)에 라이트한다.
다음의 스텝(211)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통신 라인에서 수신한 바느질 데이타를 스텝(202)에서 지정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RAM(14)의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에 라이트하고, 제 22 도의 정지루틴으로 리턴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하는 경우는 정지루틴(제 22 도, 제 23 도)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 모드 서브루틴으로 진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7)의 상태 레지스터를 조사해서 외부기기(28)에서 통신 명령이 송신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201)). 통신 명령이면 외부기기(28)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한 무늬번호 또는 외부기기(28)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한 메모리 등록의 무늬번호를 지정한다(스텝(202)). 재차 통신 인터페이스(27)의 상태 레지스터를 조사해서 외부기기(28)에서의 통신 명령이 데이타의 송신인가 수신인가를 판단한다(스텝(203)). 통신 명령이 송신인 경우는 워킹 RAM(13)에서 제어 데이타를 리드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서 외부기기(28)로 전송한다(스텝(204)). 또 지정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여 통신 이터페이스(27)을 거쳐서 외부기기(28)로 전송한다(스텝(205)). 이때 외부기기(28)에 있어서는 이들 수신한 데이타를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기억장치에 기억보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명령이 수신인 경우는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서 외부기기(28)에서 제어 데이타를 수신하여 워킹 RAM(13)에 라이트한다(스텝(210)). 다음에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서 외부기기(28)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수신하여 지정한 무늬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가 지정하는 데이타 RAM(14)의 어드레스 영역에 라이트한다(스텝(211)).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통신 기능의 설정 및 그외의 처리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실행하고 있지만, 전용의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서 실행하여도 좋다.
또, 각 자수무늬에 대응해서 개별로 제어 데이타를 설정하여 이것을 데이타 RAM(14)에 각각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데이타 RAM(14)내의 제어 데이타 팩을 그것에 대응한 바느질 데이타와 함께 통신 인터페이스(27)을 거쳐 외부기기(28)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종이 테이프 및 그외의 외부 메모리에 보존 기록하여도 좋다.
또, 자동 자수기의 제어 시스템을 범용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컴퓨터 시스템등에서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나 제어 데이타 정보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바라는 자수무늬를 표시기의 화면상에서 표시시켜 기능 데이타를 포함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설정등을 행하고자 하는 바라는 스티치를 화면상에서 커서등에 의해 지정하고, 이렇게 하여 바느질 데이타 편집을 행하도록 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하드 구성도를 도시하면, 제 24 도와 같은 것으로써 제 2 도와 동일한 구성에 부가해서 버스(29)를 거쳐 CPU(11)(제 2 도)에 접속된 영상 메모리 GPM을 갖고 있다.
영상 메모리 GPM은 조작패널(15)의 표시기 DPY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며, 예를들면 RAM으로 된다. 예를들면,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타나 그외의 여러가지 영상 데이타가 이 영상 메모리 GPM에 기억된다. 이 경우 표시기 DPY는 예를들면 CRT 칼라 디스플레이로 되는 것으로 하고, 영상 메모리 GPM에 리드한 영상 데이타에 따라 자수무늬 모양등의 영상을 칼라로 표시하거나 그와 필요한 문자, 도형등을 표시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패널(15)에 스위치 SW10,SW11,SW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정지 코드 등록 스위치 SW10은 바라는 바느질 동작스텝 대응해서 기능 데이타로써 "정지코드"를 등록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포워드 스위치 SW11은 표시기 DPY에 있어서의 커서 표시를 스티치 단위로 전진 이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백 스위치 SW12는 표시기 DPY에 있어서의 커서 표시를 스티치 단위로 후퇴 이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이들 스위치 SW10~SW12의 기능을 기능 스위치 F1~F6에 할당해도 좋다.
바느질 데이타의 편집을 행하기 위해 표시기 DPY에 있어서 이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는 경우, 자수무늬 모양과 함께 커서가 표시되어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수정을 행해야 할 바라는 스티치를 이 커서에 의해 지시한다. 포워드 스위치 SW11 또는 백 스위치 SW12의 조작에 의해 이 커서의 위치를 스티치 단위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바느질 데이타(X,Y 데이타 및 기능 데이타)의 변경, 수정을 행하고저 하는 바라는 스티치를 지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바느질 데이타 편집처리"는 미싱주축 정지루틴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모드시에 실행된다. 또 다음의 부분에서는 "바느질 데이타 편집처리"로써 실의 색변환 등을 지시하는 "정지코드"를 설정등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5a,b 도는 이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정지루틴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고, 제 6a,b 도의 변경예에 해당한다. 스텝(31)은 제 6a 도의 동일부호의 스텝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스텝(31)이 YES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제 25a 도에서는 스텝(110)~(116)의 처리가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에 해당한다.
제 25a 도에 있어서, 스텝(110)에서는 제 8 도의 스텝(55)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리드 모드"인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111)로 진행하여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하고자 하는 바라는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지정하는 입력을 행한다. "메모리 라이트 모드"이면 스텝(112)로 진행하여 바라는 무늬번호를 설정 입력한다. 다음의 스텝(113)에서는 제 8 도의 스텝(57)과 마찬가지로 종이 테이프(17)등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를 데이타 RAM(14)에 라이트하여 기억한다.
스텝(114)에서는 스텝(111)또는 (112)에서 지정 또는 설정한 무늬번호의 바느질 데이타(X,Y 데이타 및 기능 데이타 F)를 데이타 RAM(14)에서 1스티치마다 순차적으로 리드한다. 다음의 스텝(115)에서는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기 DPY로 표시한다.
이 스텝(115)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한 예를 도시하면 제 26 도와 같다. 제 26 도에 있어서 스텝(117)에서는 데이타 RAM(14)에서 1스티치마다 리드된 바느질 데이타중 X,Y 데이타에 따라 표시기 DPY의 화면상에서의 각 땀마다의 좌표위치(Xa,Ya)를 각각 구하는 연산을 행하고, 이 각 땀마다 좌표위치(Xa,Ya)에 따라 일련의 자수무늬 모양의 영상 데이타를 작성하여 이것을 영상 메모리 GPM에 기억한다. 다음의 스텝(118)에서는 이 영상 메모리 GPM에 기억한 영상 데이타에 따라 선택된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기 DPY로 표시한다. 다음의 스텝(119)에서는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커서를 자수무늬 개시점에 표시하여 리턴한다.
제 25a 도로 되돌아가서 스텝(116)에서는 데이타 RAM(14)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선택된 자수무늬의 바느질 데이타의 선두 어드레스에 세트하고, 운전개시시의 리드에 대비함과 동시에 스티치 카운터의 값을 초기화한다(즉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개시점=스티치 1에 설정한다). 이렇게해서 "데이타 입력 서브루틴"을 끝내고 스텝(12)으로 진행한다.
다음의 스텝(120)에서는 정지코드 등록 스위치 SW10이 ON되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라는 스티치에 대응한 기능 데이타로써 실의 색 변환등을 지시하기 위한 "정지코드"를 설정등록하는 경우 이 정지코드 등록 스위치 SW10을 ON으로 해서 "정지코드 등록모드"를 선택하여 스텝(122)(제 25b 도)로 진행한다. NO이면 스텝(121)로 진행한다.
스텝(121)에서는 프로그램 모드에 있어서의 그 외의 각종 데이타의 설정처리를 행한다. 이 스텝(121)은 제 6a,b 도의 스텝(33)~(47)의 처리에 대응한다. 스텝(121)의 다음에 제 6b 도의 스텝(50)에 대응하는 처리로 이행하지만 도시하지 않는다.
다음에 정지루틴에 있어서 표시기 DPY로 표시되어 자수무늬 모양을 보면서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등 편집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다음에 설명하는 예는 바라는 스티치에게 기능 데이타로써 실의 색 변환을 위한 "정지코드"를 설정 등록한다는 편집작업을 행하는 예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리드 모드 또는 라이트 모드에 있어서 바라는 자수무늬의 무늬번호를 지정 또는 설정하여 그 무늬모양을 표시기 DPY로 표시시킨다(제 25a 도의 스텝(110)~(116)). 이 상태에서, 예를들면 제 2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늬모양이 표시되어 a,b점에서 실의 색이 변해 있다고 한다. 바라는 스위치, 예를들면 c점에서 다시 실의 색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앞서 기술한 정지코드 등록스위치 SW10을 ON한다. 이렇게 하면, 제 25a 도의 스텝(120)이 YES로 되어 제 25b 도 또는 제 25c 도의 스텝(122)로 진행한다. 또 제 25c 도는 제 25b 도의 변경예로써 먼저 제 25b 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텝(122)에서는 기능 스위치 F1~F6중 완료 스위치로써 작용하는 소정의 기능 스위치가 ON되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완료 스위치는 이 정지 코드 등록처리를 완료할때 조작하는 것이며, 처음에 상기 완료 스위치는 ON되어 있지 않고 스텝(123)으로 진행한다. 상기 완료 스위치는 ON된 경우는 스텝(121)(제 25a 도)로 되돌아가서 프로그램 모드 이외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123)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데이타 RAM(14)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중, 기능 데이타 F가 무늬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코드"인가 조사한다. 처음에는 아직 "종료코드"가 아니기 때문에 이 스텝(123)은 NO이면 스텝(125)로 진행한다.
스텝(124)에서는 세트 스위치 SW5가 ON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세트 스위치 SW5는 "정지코드"를 등록할 때 ON한다.
최초의 표시기 DPY에 있어서의 커서 표시는 자수무늬 모양에서의 개시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커서 표시를 포워드 위치 SW11과백 스위치 SW12의 조작에 의해서 바라는 스티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예를들면 제 28c 도 점이 바라는 위치이면 c점까지)움직여서 이 상태에서 세트 스위치 SW5를 ON하는 것에 의해 이 스위치에 대응하여 "정지코드"가 등록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서 표시가 바라는 위치에 오지 않으면 세트스위치 SW5는 ON하지 않아 스텝(124)는 NO이며, 스텝(124)로 진행한다.
스텝(125)에서는 포워드 스위치 SW11이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상기 스위치 SW11이 ON된 경우, 이 스텝(125)는 YES로 되어 스텝(126)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위치 SW11이 ON되지 않는 경우, 스텝(127)로 진행한다.
스텝(126)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의 값을 +1진행하고, 이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바느질 데이타(X,Y)에 따라 1스티치분만큼 다음의 스티치의 위치로 커서위치를 이동한다. 다음에 스티치 카운터의 값을 +1 진행하여 스텝(122)로 되돌아간다. 또, 이 스티치 카운터의 값을 수치표시하고, 현재 및 스티치째인가를 표시한다.
스텝(127)에서는 스티치 카운터의 값이 초기값=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스티치 카운터의 값이 초기값=1인 경우, 이 스텝(127)은 YES로 되어 스텝(122)로 되돌아가지만, 초기값=1이 아니면, 스텝(128)로 진행한다. 그 이유는 개시점에서 백 스위치 SW12를 무효로 하기 위한 것이다.
스텝(128)에서는 백 스위치 SW12가 ON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스위치 SW12가 ON된 경우, 이 스텝(128)은 YES로 되어 스텝(129)로 진행한다. 스위치 SW12가 ON되지 않은 경우, 스텝(122)로 되돌아간다.
스텝(129)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의 값을 -1 후퇴시키고, 이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바느질 데이타(X,Y)에 따라 1스티치분 만큼 앞의 스티치의 위치로 커서 위치를 되돌린다. 다음에 스티치 카운터의 값 -1후퇴시키고 스텝(122)로 되돌아간다. 또 이 스티치 카운터의 값을 수치표시하고, 현재 및 스티치째인가를 표시한다.
이렇게 해서 포워드 스위치 SW11, 또는 백 스위치 SW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커서 위치를 자수무늬 모양 표시에 있어서 바라는 스위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커서가 바라는 스티치 위치로 왔을 때, 세트 스위치 SW5를 ON으로 하고 스텝(130)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때,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는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스티치에 관한 데이타 RAM(14)에서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있다. 스텝(130)에서는 데이타 RAM(14)에 있어서 그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X,Y,F)중, 기능 데이타 F로써 "정지코드"를 등록한다.
그리고, 바라는 모든 스위치에 관해서 "정지코드"의 등록을 완료하면, 완료 스위치를 ON으로하고, 제 25b 도에 도시된 정지코드 등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표시기 DPY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수무늬 모양이 화면내로 들어가도록 적당히 축소표시, 또는 화면의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 25c 도는 제 25b 도의 변경예이며, 1스티치마다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포워드 스위치 SW11과 백 스위치 SW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커서 위치를 화면상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4개의 커서 키 스위치를 사용한다. 이 4개의 커서 키 스위치로써 틀 이동 키 스위치 FKY(제 2 도)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4개의 틀 이동키 스위치 FKY를 상 커서 키(상 FKY), 하 커서 키(하 FKY), 우 커서 키(우 FKY), 좌 커서 키(좌 FKY)로써 설명한다.
먼저, 최초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122)가 실행된다. 다음에 스텝(124)에서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세트 스위치 SW5가 ON되었는가를 조사한다. 상기 세트 스위치 SW5가 ON된 경우, 즉 "정지코드"로 등록하는 경우 스텝(131)로 진행하여 제 27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서어치, 등록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아직, "정지코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스텝(132)로 진행한다.
스텝(132)에서는 우 커서 키(우 FKY)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그 우 커서 키가 ON된 경우, 스텝(133)으로 진행하여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X축 커서축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경우 커서표시를 세트로 연장한 X 커서축과 그것에 직교하는 가로로 연장한 Y 커서축으로 되며, 양커서축의 교점이 커서위치이다.
스텝(134)에서는 좌 커서 키(좌 FKY)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그 좌 커서 키가 ON된 경우 스텝(135)로 진행하여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X 커서축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텝(136)에서는 하 커서 키(하 FKY)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하 커서 키가 ON된 경우 스텝(137)로 진행하여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Y 커서축을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텝(138)에서는 상 커서 키(상 FKY)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 커서 키가 ON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 커서 키가 ON된 경우, 스텝(139)로 진행하여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Y 커서축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해서, 커서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기 DPY의 화면상의 커서 위치를 자수무늬 모양 표시에 있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커서가 바라는 스티치 위치로 왔을 때, 세트 스위치 SW5를 ON하고 스텝(131)로 진행한다. 이 예의 경우, 커서 위치가 어떤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아직 판단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제 27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스텝(131)의 처리에 의해 커서 위치가 어떤 스티치위치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서어치하는 것이다.
제 27 도의 서어치, 등록루틴에 있어서 스텝(140)에서는 X 커서축과 Y 커서축의 교점의 좌표(Xc,Yc)를 커서 위치의 좌표로써 구한다.
스텝(141)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선두 어드레스에 세트한다. 그리고, 표시중의 자수무늬의 개시좌표(Xs,Ys)에 대응하는 화면상의 절대좌표를 스티치 좌표(Xh,Yh)로써 등록하고, 스티치 계수값을 "1"에 초기화한다.
다음의 스텝(142)에서는 스티치 좌표(Xh,Yh)와 커서 위치 좌표(Xc,Yc)가 소정의 오차 범위내에서 일치하고 있는가를 조사한다. 그 스티치 좌표와 그 커서 위치 좌표가 소정의 오차범위내에서 일치하고 있는 경우, 이 스텝(142)는 YES로 되어 스텝(143)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티치 좌표와 상기 커서 위치 좌표가 소정의 오차 범위내에서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144)로 진행된다.
스텝(144)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DMA의 값을 진행하여 그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중의 X,Y 데이타에 따라 스티치 좌표(Xh,Yh)의 값을 갱신한다. 즉 앞의 스티치까지의 스티치 좌표(Xh,Yh)에 다음의 1스티치분의 X,Y 데이타(이것도 화면상의 좌표값으로 환산한 값인 것으로 한다)를 각각 가산 또는 감산하여 다음의 스티치의 화면상의 절대좌표를 구한다. 또 스티치 카운터의 내용을 +1 한다. 또 이 스티치 카운터의 값을 수치 표시하고, 현재 몇 스티치째인가를 표시한다.
스텝(145)에서는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의 기능 데이타가 "종료코드"인가를 판단한다. 그 기능 데이타가 종료코드인 경우, 이 스텝은 YES로 되어 제 25c 도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그 기능 데이타가 종료코드가 아닌 경우, 이 스텝은 NO로 되어 스텝(142)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스텝(145)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해서 스티치 좌표(Xh,Yh)를 1스티치씩 이동해가서 이윽고 그 스티치 좌표와 상기 커서 위치 좌표가 소정의 오차 범위내의서 일치하면, 스텝(142)가 YES로 되어 스텝(143)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그때의 스티치 좌표(Xh,Yh)에 커서 위치가 완전하게 일치하도록 커서 표시를 이동한다. 또한, 이때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는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스티치에 관한 데이타 RAM(14)에서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있다.
스텝(146)에서는 확인 스위치 SW4가 ON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커서 표시가 바라는 스티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위치 SW4를 ON하고 스텝(147)로 진행한다. 스텝(147)에서는 데이타 RAM(14)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메모리 어드레스 DMA에 의해서 지시되는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X,Y,F)중 기능 데이타 F로써 "정지코드"를 등록한다. 그후, 제 25c 도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확인 스위치 SW4가 ON이 아닌 경우는 스텝(148)로 진행하여 취소 스위치가 ON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최소 스위치의 기능은 기능 스위치 F1~F6중, 소정의 것에 할당된다.
상기 취소 스위치가 ON인 경우, 이 스텝(148)은 YES로 되어 제 25c 도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상기 취소 스위치가 ON인 경우, 이 스텝(148)은 NO로 되어 스텝(146)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라는 스티치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타로써, "정지코드"를 등록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정지코드"를 상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편집 가능한 기능 데이타로써는 "정지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점프코드"등 그 밖의 기능 데이타이어도 좋다. 또, X,Y 데이타를 변경, 수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의 자수무늬에 대응해서 1조의 제어 데이타를 각각 기억하고,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자수 바느질을 행하는 경우는 상기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1조의 제어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자수 바느질을 하고자 하는 무늬를 바꿀때마다 제어 데이타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전혀 없이 단지, 바라는 자수무늬의 선택을 행하는 것만으로 자수무늬에 대응해서 사전에 설정한 1조의 제어 데이타를 재현할 수가 있어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수 바느질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록 장치에 리드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연속한 바느질 데이타로써 메모리에 등록하고, 운전시에는 이 조합으로 되는 하나의 무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바느질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종이 테이프에 기록한 개별의 바느질 데이타마다 자수무늬의 선택 및 운전조건등의 설정작업을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제거되어 자수작업의 능률향상과 정확한 자수 바느질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자수무늬의 편집기능 실현을 위한 복잡한 장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동시에, 데이타 편집을 위한 번거로운 조작에서도 작업자가 해방된다는 여러가지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바라는 자수무늬에 대응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른 자수 바느질 작업 실행중에 바느질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바라는 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타의 내용을 적절하게 편집한 후, 자수 바느질 동작을 계속해서 재차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수 바느질 동작의 과정에서 실제의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등의 편집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수 바느질 데이타 편집작업의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수무늬를 표시수단에 표시하여 화면상으로 자수무늬를 확인하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고, 그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수정등의 데이타 편집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바라는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수정등의 데이타 편집처리를 신속하고 극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각 자수무늬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와 바느질 데이타 변경용 또는 자수 바느질 동작 제어용의 각종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자수 바느질을 행하는 경우는 그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컴퓨터등의 외부기기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리드하고, 이것에 의해 그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할 수가 있으므로, 자수 바느질을 하고자하는 무늬를 바꿀때마다 제어 데이타를 다시 설정할 필요는 전혀 없고, 단지 바라는 자수무늬의 선택을 행하는 것만으로 그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와 함께 제어 데이타로 컴퓨터등의 외부장치에서 공급할 수 있어 제어 데이타의 설정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수 바느질 작업의 효율을 높일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자수기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외부기기에 전송해서 자수기에서 용이하지 않은 복잡한 편집등 여러가지의 처리를 외부기기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과 이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을 구비한 자동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자수무늬마다 상기 제어 데이타 설정수단에서 설정한 상기 제어 데이타를 각각 기억하는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 바라는 자수무늬에 관한 상기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제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른 자수 바느질 동작을 상기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에 의해 실행시킴과 동시에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및 상기 자수 바느질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자수기.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의 제어 데이타는 실의 색변환의 순서를 지시하는 데이타와 상기 바느질 데이타중의 자수틀의 X,Y이동량을 지시하는 데이타를 변환하는 파라미터 데이타등을 포함하는 것인 자수기.
  3.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외부 기록장치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는 제어수단, 상기 바느질 기억수단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수기.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록장치는 1개의 기록 메체에 따라 1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여러개의 기록 메체에서 여러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이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는 것인 자수기.
  5.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종이 테이프인 자수기.
  6.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록 장치는 1개의 기록매체에 대해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상기 기록매체에서 여러개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리드하고, 이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는 것인 자수기.
  7.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록장치에 있어서의 1조의 바느질 데이타에서는 최후의 데이타로써 종료코드를 각각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 기록장치에서 순차적으로 리드한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함과 동시에, 조합되어야 할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중 최후의 조인 바느질 데이타를 제외한 나머지의 각조의 바느질 데이타의 상기 종료코드를 미싱 일시정지를 지시하는 정지코드로 변환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고, 최후의 조인 바느질 데이타의 상기 종료코드는 그대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의 최후에만 종료코드가 오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여러조의 바느질 데이타를 조합해서 하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바느질 데이타로 하는 것인 자수기.
  8.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바느질 데이타를 1스티치마다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틀을 이동해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수단, 자수무늬의 도중의 스티치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의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를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정지수단, 바느질 동작의 정지시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한 스티치를 기준으로 해서 바라는 스티치에 관한 바느질 데이타의 변경, 삭제, 삽입을 상기 바느질 기억수단에 대해서 행하는 데이타 편집수단, 일시 정지하고 있던 상기 바느질 데이타의 순차적 리드 및 바느질 동작을 재개시키는 기동수단을 구비한 자수기.
  9.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편집수단은 바느질 동작을 일시 정지한 스티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의 바느질 데이타를 1스티치씩 역방향으로 리드해서 이 리드 출력에 따라 자수틀을 1스티치씩 바라는 스티치까지 되돌리는 스티치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자수기.
  10.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관련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한 바느질 데이타와 상기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한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 실행수단,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거쳐서 외부기기에서 수신한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 라이트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거쳐서 외부기기로 송신해야 할 바느질 데이타 및 제어 데이타를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 및 제어 데이타 기억수단에서 리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자수기.
  11.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바느질 데이타를 기억하는 바느질 데이타가 기억수단과 이 바느질 데이타에 따라서 자수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한 바느질 데이타에 대응하는 자수무늬 모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된 자수무늬 모양에 있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수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를 변경 또는 설정하기 위한 데이타 편집수단을 구비한 자수기.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으로 커서를 표시하고, 이 커서의 위치를 자수무늬 모양의 표시에 있어서 바라는 스티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라는 스티치 위치의 지정을 행하는 것인 자수기.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편집수단은 상기 지정된 스티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느질 데이타에 포함되는 기능 데이타로써 소정의 제어 기능을 지시하는 코드를 설정하는 것인 자수기.
KR1019880009136A 1987-07-22 1988-07-21 자수기 KR940010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81196 1987-07-22
JP62181196A JPH0693943B2 (ja) 1987-07-22 1987-07-22 自動刺繍機
JP62-204184 1987-08-19
JP62204184A JPS6449597A (en) 1987-08-19 1987-08-19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JP62231177A JP2544154B2 (ja) 1987-09-17 1987-09-17 自動刺繍機
JP62-231177 1987-09-17
JP62248121A JPH0191894A (ja) 1987-10-02 1987-10-02 自動刺繍機
JP62-248121 1987-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71A KR890002471A (ko) 1989-04-10
KR940010388B1 true KR940010388B1 (ko) 1994-10-22

Family

ID=2747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136A KR940010388B1 (ko) 1987-07-22 1988-07-21 자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001996A (ko)
KR (1) KR940010388B1 (ko)
DE (2) DE3844932C2 (ko)
FR (1) FR2618459B1 (ko)
GB (3) GB2208325B (ko)
IT (1) IT123148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051B1 (ko) * 2006-03-23 2009-06-0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KR101317291B1 (ko) * 2010-12-03 2013-10-14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자수기 및 그의 디자인 편집 방법
KR101423190B1 (ko) * 2010-12-15 2014-07-29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재봉기, 그의 재봉 패턴 생성기 및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278B2 (ja) * 1989-08-17 1998-07-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H03150603A (ja) * 1989-11-08 1991-06-27 Fanuc Ltd Nc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H03275097A (ja) * 1990-03-23 1991-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2681313B2 (ja) * 1991-01-23 1997-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3061148B2 (ja) * 1991-05-09 2000-07-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転送可能な自動縫製システム
JPH06254270A (ja) * 1993-03-01 1994-09-13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並びに刺繍ミシンに用いられる記憶媒体
JP3109413B2 (ja) * 1995-07-31 2000-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機械制御装置
JP4073057B2 (ja) * 1997-09-03 2008-04-0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2ウェイ機能を備えた刺繍データ作成装置
KR100339699B1 (ko) * 2000-02-18 2002-06-05 박인철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US6196146B1 (en) * 2000-03-23 2001-03-06 Pulse Microsystems Ltd. Web based embroidery system and method
JP4826692B2 (ja) * 2001-08-13 2011-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プログラム作成装置
KR100419891B1 (ko) * 2001-11-27 2004-02-26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전자식 지그재그 재봉기에서 사용자패턴 등록 방법 및 그장치
US7308333B2 (en) * 2002-01-31 2007-12-11 Melco Industries, Inc. Computerized stitching including embroidering
US6823807B2 (en) 2002-01-31 2004-11-30 Melco Industries, Inc. Computerized stitching including embroidering
DE10238708A1 (de) * 2002-08-23 2004-03-04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US6932389B2 (en) * 2003-12-31 2005-08-23 Perfection Corporation Connector with fluid line installation indicator
JP4818784B2 (ja) * 2006-04-14 2011-11-16 Juki株式会社 縫製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縫製データ作成装置
JP2008229197A (ja) * 2007-03-23 2008-10-02 Brother Ind Ltd 刺繍データ処理装置、刺繍ミシン、刺繍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刺繍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AU2009205456B2 (en) * 2008-01-14 2014-07-17 Cimpress Schweiz Gmbh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mbroidery thread color management
KR101257750B1 (ko) * 2011-04-21 2013-04-24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자수기 및 그 교정 방법
JP6815887B2 (ja) * 2017-02-15 2021-01-20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9457A (en) * 1971-07-07 1975-07-02 Wildt Mellor Bromley Ltd Pattern preparation and control of knitting machines
US3872808A (en) * 1973-07-05 1975-03-25 Singer Co Sewing machine stitch pattern selection from data stored in a multiple pattern static memory
CH620721A5 (ko) * 1976-02-06 1980-12-15 Sharp Kk
JPS5351045A (en) * 1976-10-20 1978-05-10 Sharp Kk Electronic sewing machine
JPS6057358B2 (ja) * 1980-01-31 1985-1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DE3102445C2 (de) * 1980-02-13 1987-05-27 Aisin Seiki K.K., Kariya, Aichi Steuersystem für mehrere Sticknähmaschinen
US4388884A (en) * 1980-03-05 1983-06-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itch pattern sewing machine
CH652770A5 (de) * 1980-10-03 1985-11-29 Semcos Ag St Gall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informationstraegers zum steuern einer stickmaschine.
US4329933A (en) * 1981-06-22 1982-05-18 The Singer Company Universal expansion module
US4453477A (en) * 1981-12-04 1984-06-12 Gerber Scientific, Inc. Thread consuming machine with thread coloring device and related process
DE3235121C2 (de) * 1982-09-22 1984-07-05 Dorina Nähmaschinen GmbH, 7500 Karlsruhe Nähmaschine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richtung
JPS60119981A (ja) * 1983-12-01 1985-06-27 株式会社中日本システム 刺繍ミシン
JPS60182998A (ja) * 1984-02-29 1985-09-18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S6137285A (ja) * 1984-07-31 1986-02-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入力装置
US4821662A (en) * 1985-04-19 1989-04-18 Wilcom Proprietary Limited Method of embroidery and stitch processor therefor
JPS6279091A (ja) * 1985-09-30 1987-04-11 ジューキ株式会社 刺繍機
JPS6282994A (ja) * 1985-10-04 1987-04-16 ジューキ株式会社 刺繍機の制御装置
US4742786A (en) * 1985-11-20 1988-05-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system for sewing machine
JPS63113672A (ja) * 1986-10-31 1988-05-18 Janome Sewing Mach Co Ltd 編集機能を有するデ−タ入力装置
JP2583760B2 (ja) * 1987-01-09 1997-02-1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刺しゆう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刺しゆうデ−タ
JPH0693945B2 (ja) * 1988-09-22 1994-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ためのデータ作成装置
TW199191B (ko) * 1989-01-24 1993-02-01 Mitsubishi Electric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051B1 (ko) * 2006-03-23 2009-06-0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KR101317291B1 (ko) * 2010-12-03 2013-10-14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자수기 및 그의 디자인 편집 방법
KR101423190B1 (ko) * 2010-12-15 2014-07-29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재봉기, 그의 재봉 패턴 생성기 및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8325B (en) 1992-02-12
IT1231484B (it) 1991-12-07
GB2212951B (en) 1992-02-19
GB9114486D0 (en) 1991-08-21
GB8817286D0 (en) 1988-08-24
GB2208325A (en) 1989-03-22
DE3844932C2 (de) 2002-10-10
GB2245721A (en) 1992-01-08
US5065682A (en) 1991-11-19
US5052315A (en) 1991-10-01
KR890002471A (ko) 1989-04-10
DE3824754A1 (de) 1989-02-02
GB2212951A (en) 1989-08-02
FR2618459A1 (fr) 1989-01-27
GB2245721B (en) 1992-04-01
US5001996A (en) 1991-03-26
IT8821429A0 (it) 1988-07-20
GB8903986D0 (en) 1989-04-05
FR2618459B1 (fr) 199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388B1 (ko) 자수기
US5904109A (en) Color switch sett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multi-needle embroidery machine and sewing system employing the apparatus
KR940010385B1 (ko) 자수기
JPH10140460A (ja) 刺繍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刺繍ミシン
JPS60119981A (ja) 刺繍ミシン
JP2696341B2 (ja) 自動刺繍機における刺繍柄模様表示装置
JPH10113483A (ja) 刺繍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刺繍データ編集装置
JP2544154B2 (ja) 自動刺繍機
JP2597506B2 (ja) 自動刺繍機
JPH10108987A (ja) 縫製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縫製データ編集装置
US5153840A (en) Device for creating reverse stitching data for a sewing machine
JPH0412999B2 (ko)
JPH0679635B2 (ja) 自動刺繍機におけるデ−タ設定装置
JPH07185158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H06264355A (ja) 柄データの色指定変更装置
JP3904245B2 (ja) 模様の拡大縮小機能を備えたミシン
JP2002058888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システム
JP2587801Y2 (ja) ボーリング付自動刺繍機
JP3843618B2 (ja) 刺繍模様表示装置
JPH01266252A (ja) 編機のための配色データに基づく制御装置
JP3181450B2 (ja) ミシン装置
JPH0693943B2 (ja) 自動刺繍機
JPH0191894A (ja) 自動刺繍機
JP2001120867A (ja) ミシンの縫い範囲確認装置
JPH08276084A (ja) 組み合わせ模様データ生成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007

Effective date: 20011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007

Effective date: 2001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