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051B1 -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 Google Patents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051B1
KR100901051B1 KR1020070027876A KR20070027876A KR100901051B1 KR 100901051 B1 KR100901051 B1 KR 100901051B1 KR 1020070027876 A KR1020070027876 A KR 1020070027876A KR 20070027876 A KR20070027876 A KR 20070027876A KR 100901051 B1 KR100901051 B1 KR 10090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ode
state
stitch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842A (ko
Inventor
쥰 가마노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6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abnormal conditions occur, e.g. thread br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은 봉제 동작 중에 절환 조작 기구(55)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절환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정지 제어 기구(11)에 의해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또한,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를 상태 기억 기구(36)에 저장한다. 동작 제어 기구(11)는 이 상태 기억 기구(36)에 저장한 일시 정지의 상태로부터,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시킨다.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절환 조작 기구, 정지 제어 기구, 상태 기억 기구, 이송대

Description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BUTTONHOLE SEW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본체의 우측면도.
도2는 이송대의 평면도.
도3은 조작 패널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block diagram].
도5는 가공천에 형성하는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봉제 데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flow chart].
도8은 수동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9는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재봉틀 본체
4 : 베드부
5 : 다리 기둥부
6 : 아암부
7 : 재봉틀 테이블
12 : 바늘
13 : 바늘대
14 : 주축
15 : 수동 풀리
16 : 회전 기구
17 : 루퍼 받침대
20 : 이송대
24 : 해머
60 : 봉제 기구
W : 가공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7159호 공보
본 발명은 봉제 데이터[data]를 기초로 하는 동작 지령에 따라서 가공천에 대한 일련의 버튼홀 스티치를 실행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공천에 직선 구멍(단추 구멍)이나 아일릿 등의 버튼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버튼 구멍의 주위에 버튼홀 스티치 솔기를 봉제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서는 1땀(예를 들어, 내 측 땀과 외측 땀의 2회의 바늘 빠짐)마다의 이송대의 X방향 및 Y방향의 이동량이나, 바늘대 및 루퍼[looper] 받침대의 회전량 등을 지시하는 봉제 데이터를 설정하고, 그 봉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봉제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송대 상의 가공천에 대해 해머[hammer]와 하부 메스[mes]의 협동에 의한 아일릿의 형성, 아일릿의 우측 직선 부분의 새들 스티치, 아일릿 부분의 새들 스티치, 아일릿의 좌측 직선 부분의 새들 스티치, 단부의 마감 스티치, 상부 실 및 하부 실의 절단 등의 일련의 봉제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7159호 공보에 개시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이 있다. 이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서는 상기한 버튼홀 스티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 모드[mode] 외에, 작업자가 풀리[pulley]를 조작하여 주축을 회전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1땀씩 봉제 동작을 행하는 수동 모드나, 바늘대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이송대 등을 동작시키는 테스트[test] 모드가 있다. 상기 수동 모드의 실행에 의해 작업자는 봉제 동작을 1땀씩 확인할 수 있고, 봉제 바늘과 루퍼의 만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실행에 의해 천 압박, 바늘, 해머 등의 상호 간섭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서는 일련의 봉제 동작의 도중에 작업자가 동작 모드의 절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동 모드와 테스트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를 절환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자동 모드로부터 수동 모드 혹은 테스트 모드로 절환하거나, 수동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 절환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봉제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것에 있어서, 봉제 동작의 도중에도 동작 모드의 절환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은 봉제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동작 지령에 따라서 가공천에 대한 일련의 버튼홀 스티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모드와, 그 밖의 동작 모드의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봉제 동작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기 위한 절환 조작 기구와, 봉제 동작 중에 상기 절환 조작 기구에 의한 모드 절환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하는 정지 제어 기구와, 이 정지 제어 기구에 의해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를 저장하는 상태 기억 기구와, 이 상태 기억 기구에 저장한 일시 정지의 상태로부터,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하는 동작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 동작 중에 작업자가 절환 조작 기구에 의해 동작 모드의 절환의 지시를 행하면, 정지 제어 기구는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봉제 동작이 일시 정지한다. 상태 기억 기구는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를 저장한다. 동작 제어 기구는 그 일시 정지의 상태로부터,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해서 행한다.
정지 제어 기구의 일시 정지의 제어에 의해 봉제 동작이 중단된 위치가 명확해진다. 그 중단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를 상태 기억 기구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동작 제어 기구에 의해 그 일시 정지 위치부터의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봉제 동작의 도중에 있어서의 자동 모드로부터 그 밖의 모드로의 절환, 또한 그 밖의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의 절환도 가능해지고, 그 절환 시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그 밖의 동작 모드에는 수동 조작 기구를 수동에 의해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봉제 동작을 행하는 수동 모드와, 바늘대의 상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모의적인 천 이송 동작을 행하는 테스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모드로부터 수동 모드 혹은 테스트 모드로 절환하거나, 수동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 절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태 기억 기구를 상부 실의 처리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작동기[actuator]의 일시 정지 시점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도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동작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상부 실의 처리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작동기로서는 자동 실 조절 장치의 구동원이 되는 솔레노이드[electric solenoid]나, 상부 실 잡기 장치의 구동원이 되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등이 제어 대상이 된다.
테스트 모드에 의한 봉제 동작의 실행 중에 상부 실의 처리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작동기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는, 실제로 상부 실(및 하부 실)을 이용한 봉제를 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 작동기가 쓸데없이 동작하지 않고 종료된다.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상태 기억 기구에 작동기의 동작 지령 중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로부터 다른 동작 모드(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절환하였을 때에 상기 작동기를 상태 기억 기구가 저장하고 있는 동작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작동기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어도 그 후, 다른 동작 모드(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절환하였을 때에 본래의 작동기의 동작 상태로 복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천(W)에 대해 아일릿(1)을 형성하는 동시에,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를 형성하는 전자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의 전방을 화살표 F로 나타내고 있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의 본체(3)의 외관(우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의 본체(3)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형을 이루는 베드[bed]부(4), 이 베드부(4)의 후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리 기둥부(5), 이 다리 기둥부(5)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arm]부(6)를 갖고 있다. 이 재봉틀 본체(3)를 재봉틀 테이블[table](7) 상에 설치하고 있다.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재봉틀 테이블(7)에 도4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 기구의 구동원이 되는 재봉틀 모터[motor](8), 후술하는 조작 패널(9), 페달식 기동ㆍ정지 스위치[switch](스타트 스위치)(10) 등을 설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재봉틀 테이블(7)에 각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장치(11)를 설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재봉틀 테이블(7)에 재봉틀 실의 실패를 장착하는 실 공급부를 설치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부(6)의 선단부에, 하단부에 바늘(12)을 갖는 바늘대(13)를 설치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지만, 바늘대(13)를 바늘대 안내 부재에 의해 지지하고, 아암부(6)에 대해 상하 이동 및 좌우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다리 기둥부(5) 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14)을 설치한다. 이 주축(14)은 상기 재봉틀 모터(8)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다리 기둥부(5)의 우측면부에 상기 주축(14)을 수동으로 회전하기 위한 수동 조작 기구인 수동 풀리(15)를 설치한다.
상기 바늘대(13)는 도시하지 않은 캠[cam] 기구로 이루어지는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를 거쳐서 상기 주축(14)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하 구동한다. 바늘대(13)는 주지의 바늘대 요동 기구에 의해 소정의 바늘 진폭으로 좌우로 요동한다. 바늘대(13)의 바늘 진폭은 도시하지 않은 조정 기구에 의해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바늘대(13)는 상기 베드부(4) 내에 설치한 회전 기구(16)에 의해 후술하는 루퍼 받침대(17)와 일체적으로 수직축 주위로 회전한다.
상기 아암부(6)의 상면부에 상부 실의 장력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실 조절 장치(18)를 설치한다. 이 실 조절 장치(18)는 작동기로서의 실 조절용 솔레노이드(19)(도4에만 도시)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바늘(12)에 상기 실 공급부로부터의 상부 실을, 실 조절 장치(18)를 거쳐서 공급한다.
상기 베드부(4)의 상면부에, 도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천(W)을 보유 지지하는 이송대(20)를 설치한다. 이 이송대(20)는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박형의 직사각형 상자형을 이룬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부(4)에 상기 바늘대(13)에 대향하여 루퍼 받침대(17)를 설치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루퍼 받침대(17)에 상기 바늘(12)과 협동하여 가공천(W)에 버튼홀 스티치 솔기를 형성하기 위한, 2개의 루퍼를 가진 2중 고리의 루퍼 기구를 조립한다. 루퍼 기구에 하부 실을 공급한다. 이 루퍼 기구(2개의 루퍼)는 상기 주축(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늘대(13)의 상하 이동과 동기하여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루퍼 받침대(17)(루퍼 기구)는 회전 기구(16)에 의해 상기 바늘대(13)와 동기하여 수직축 주위로 회전한다. 일려진 바와 같이, 이 회전 기구(16)는 베드부(4) 내에 설치한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로 이루어지는 θ방향 구동 모터(21)나, θ방향 구동 모터(21)의 구동력을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로 전달하는 기어 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루퍼 받침대(17)의 상단부에 구멍(22a)을 갖는 바늘판(22)을 설치한다.
상기 루퍼 받침대(17)의 후방측의 상기 베드부(4)에 하부 메스(23)를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하부 메스(2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아일릿(1)에 대응한 날부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6)의 하부[다리 기둥부(5)]측에 이 하부 메스(23)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촉 및 분리하는 펀칭용 해머(24)를 설치한다. 이 해머(24)는 해머용 에어 실린더(25)(도4에 만 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된다. 해머(24)와 하부 메스(23)에 의해 가공천(W)에 아일릿(1)을 형성한다. 이들에 의해, 가공천(W)에 버튼 구멍을 형성하는 메스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 메스(23)는 아일릿(1)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를 준비하여, 원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20)의 상면부의 상기 하부 메스(23)에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20a)를 마련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지만, 이 이송대(20)에 개구부(20a)의 좌우 양측 부위에 있어서, 가공천(W)을 상부로부터 압박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천 압박부(26)(외형만을 가상선으로 나타냄)를 설치한다. 이 천 압박부(26)는 이송대(20)의 이면측에 설치한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도4에만 도시)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상기 베드부(4) 내에 이 이송대(20)를 전후 방향(Y방향) 및 좌우 방향(X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하기 위한 주지의 XY 이동 기구를 설치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지만, 이 XY 이동 기구는 이송대(20)를 X방향(좌우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X방향 구동 모터(28)(도4에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XY 이동 기구는 이송대(20)를 Y방향(전후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Y방향 구동 모터(29)(도4에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13), 바늘대 상하 이동 기구, 바늘대 요동 기구, 루퍼 기구, 회전 기구(16), 이송대(20), XY 이동 기구 등으로 봉제 기구(60)를 구성하고 있다. 봉제 기구(60)는 가공천(W)에 대해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대(20)의 개구부(20a)가 하부 메스(23) 의 바로 위에 오는 위치가 이송대(20)의 원점 위치이다. 가공천(W)에 대한 아일릿(1)의 형성 작업이나, 가공천(W)의 교환 작업을 이송대(20)의 원점 위치에서 행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기 베드부(4) 내에 봉제 동작 후의 상부 실을 절단하는 상부 실 절단 기구 및 하부 실을 절단하는 하부 실 절단 기구를 설치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실 절단 기구는 상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0)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하부 실 절단 기구는 하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1)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아암부(6)의 하부에 바늘(12)로부터의 상부 실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실 잡기 장치를 설치한다. 이 상부 실 잡기 장치는 작동기인 상부 실 잡기용 에어 실린더(32)(도4에만 도시)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의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의 전기적 구성을, 상기 제어 장치(11)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11)는 CPU(33), ROM(34), RAM(35), 불휘발성 메모리[memory](36), 입력 인터페이스[interface](37), 출력 인터페이스(38)를 버스[bus](39)에 의해 서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ROM(34)에는 봉제 제어 프로그램[program] 등을 저장(기억)하고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36)에는 후술하는 봉제 데이터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의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37)에 상기 기동ㆍ정지 스위치(10), 천 압박부(26)의 온[on]ㆍ오프[off]를 지시하기 위한 천 압박 스위치(40)를 접속한다. 또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37)에 바늘대(13)의 상승 위치를 검출하는 바늘 상부 센서[sensor](41), 바늘대(13)의 하강 위치를 검출하는 바늘 하부 센서(42), 주축(14)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타이밍[timing] 신호 발생기(43), 상기 조작 패널(9)을 접속한다. 각 스위치(10, 40), 각 센서(41, 42) 및 타이밍 신호 발생기(43), 조작 패널(9)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제어 장치(11)에 입력된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38)에 구동 회로(44 내지 53)를 접속한다. 제어 장치(11)는 이들 구동 회로(44 내지 53)를 거쳐서 상기 재봉틀 모터(8), 실 조절용 솔레노이드(19), θ방향 구동 모터(21), 해머용 에어 실린더(25),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 X방향 구동 모터(28), Y방향 구동 모터(29), 상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0), 하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1), 상부 실 잡기용 에어 실린더(32)를 각각 구동 제어한다.
가공천(W)에 형성하는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에 대해 도5를 참조하여 서술한다. 아일릿(1)은 직선부(1a)와 그 도면에서 상단부에 연속하는 아일릿부(1b)로 이루어진다.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는, 도5에 화살표 A, B,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부(1a)의 우측, 아일릿부(1b)의 주위, 직선부(1a)의 좌측의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폭(L)은 바늘대(13)의 바늘 진폭에 대응한다. 아일릿부(1b)의 도면에서 상반부의 반원형 부분에 대해서는 솔기를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도5에서는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봉제 개시 부분에 경사 마감 스 티치를 부가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가공천(W)에 대한 아일릿(1)의 형성을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성 전에 행하는 선메스 방식과,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성 후에 행하는 후메스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직선부(1a)의 우측에 대한 봉제 동작은 바늘(12)이 가공천(W)에 대해 도5에서 N1, N2, N3, N4 ‥의 순으로 떨어진다. 상기 주축(14)의 1회전에 의해 바늘대(13)는 2회 상하 이동하고, N1(내측 땀), N2(외측 땀)의 2군데에 바늘이 빠진다. 내측 땀 및 외측 땀의 2회의 바늘이 빠지는 것을 1땀으로 센다. 다음의 바늘 빠짐점(N3)에 바늘이 빠질 때까지의 바늘대(13)의 상승 시에 가공천(W)[이송대(20)]을 솔기 피치(P)만큼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아일릿부(1b)의 주위에 대해서는 1땀마다 가공천(W)[이송대(20)]을 X방향 및 Y방향의 양쪽으로 이동한다. 아일릿부(1b)의 도면에서 상반부의 반원형 부분에 대해서는,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는 1땀마다 일정 각도(180도를 그 부분의 땀수로 나눈 각도)씩 상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전체 180도)한다. 직선부(1a)의 좌측에 대한 봉제 동작은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를 180도 회전(반전)한 상태에서 행한다. 내측 땀, 외측 땀의 좌우 관계가 우측과는 반대가 된다. 이송대(20)의 이동 및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의 회전의 타이밍을 상기 타이밍 신호 발생기(4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얻는다.
상기 조작 패널(9)에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작업자[user]가 선메스 방식인지 후메스 방식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다. 조작 패널(9)에는 형성하는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상[아일릿(1)의 형상], 폭 치수, 솔기 피치[pitch](바늘 수), 마감 스티치의 유무나 그 종류 등의 각종 설정 입력을 행하기 위한 키[key]를 구비한다. 또한, 일시 정지 스위치, 리셋[reset]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조작 패널(9)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설정부(54)(도3 참조)를 설치한다.
상기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한 상기 조작 패널(9)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고,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1)는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봉제 데이터에 따라서 각 모터(8, 21, 28, 29)나, 솔레노이드(19)나 에어 실린더(25, 27, 30, 31, 32) 등의 각 작동기를 구동 제어하고, 가공천(W)에 대한 일련의 버튼홀 스티치를 실행한다.
상기 봉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땀마다의, 이송대(20)의 X방향 이동량(x1, x2 ‥), Y방향 이동량(y1, y2 ‥),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의 회전 각도(θ1, θ2‥) 및 각 작동기의 동작 상태(온, 오프)를 지시한 단위 데이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1개의 단위 데이터(1땀)가 1지령 단위가 된다. 도6의 바늘 수는 몇 번째의 1땀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1)은 1번째의 1땀을 나타내고, (2)는 2번째의 1땀을 나타내고, (n)은 n번째의 1땀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은 3개의 동작 모드에서의 동작의 실행이 가능하다.
(1) 상기한 바와 같은 가공천(W)에 대한 일련의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모드.
(2) 작업자가 수동 풀리(15)를 회전 조작하여 주축(14)을 회전시키는 것을 기초로 하여 1땀씩 봉제 동작을 행하는 수동 모드.
(3) 바늘대(13)의 상하 이동을 정지하여 작업자에 의한 기동ㆍ정지 스위치(10)의 온 조작 시간에 따라서 이송대(20) 등을 동작시키는 테스트 모드.
상기 수동 모드의 실행에 의해 작업자는 봉제 동작을 1땀씩 확인할 수 있고, 봉제 바늘(12)과 루퍼의 만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실행에 의해 천 압박부(26), 바늘(12), 해머(24) 등의 상호의 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동작 모드의 선택은 작업자가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를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54)는 하단부에 모드 선택 키(55)를 갖는 동시에, 그 상부에 각 동작 모드에 따른 표시부를 상하 4단에 갖고 있다. 각 표시부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자동 모드, 테스트 모드, 수동 모드, 프로그램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좌측부에는 각각 표시 램프[lamp](56 내지 59)를 구비한다. 선택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따른 어느 하나의 표시 램프(56 내지 59)가 점등한다. 상기 모드 선택 키(55)를 압박 조작할 때마다 선택하는 동작 모드[표시 램프(56 내지 59)의 점등]가 하나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모드라 함은, 복수의 버튼홀 스티치의 봉제 동작을 설정한 순서로 반복하여 행하기 위한 모드이고, 본 발명의 요지와는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작용 설명(흐름도 설명)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임의의 동작 모드로 봉제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동작 모드로 절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동작 모드의 절환은 작업자가 조작 패널(9)의 일시 정지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한 후에 모드 선택 키(55)에 의해 다른 동작 모드로의 절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 패널(9)의 일시 정지 스위치 및 모드 선택 키(55)가 동작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기 위한 절환 조작 기구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어 장치(11)는 봉제 동작 중에 상기한 동작 모드 절환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시킨다. 환언하면, 실행 중인 1땀분의 동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이와 함께(동시에),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내는 땀수)를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는 일시 정지 시점에 있어서의 각 작동기[솔레노이드(19)나 에어 실린더(25, 27, 30, 31, 32)]의 동작 상태도 저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36)에 기억(저장)한 일시 정지의 상태로부터,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1)가 정지 제어 기구 및 동작 제어 기구로서 기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36)가 상태 기억 기구로서 기능한다.
상기 테스트 모드로 관해서는 실제로 상부 실(및 하부 실)을 이용한 봉제를 행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상부 실의 처리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작동기, 즉 실 조절용 솔레노이드(19) 및 상부 실 잡기용 에어 실린더(32)를 봉제 데이터에 의한 동작 지령에 관계없이 그 동작을 금지(오프)한다. 테스트 모드 로부터 다른 동작 모드로 절환하였을 때에 제어 장치(11)는 실 조절용 솔레노이드(19) 및 상부 실 잡기용 에어 실린더(32)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하고 있는 동작 상태로 복귀시킨다. 제어 장치(11)가 금지 기구 및 복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조작 패널(9)을 조작하여 선메스 방식인지 후메스 방식인지의 선택, 형성해야 할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상 등의 설정,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행한다. 이것과 함께, 가공천(W)을, 원점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이송대(20) 상에 두고, 천 압박 스위치(40)를 온으로 조작한다. 그 결과, 천 압박부(26)가 하강하고, 가공천(W)의 보유 지지가 완료된다.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조작하면 선택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이 개시된다.
도7, 도8 및 도9의 흐름도는 각각 자동 모드, 수동 모드,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제어 장치(11)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후메스 방식을 채용한 경우를 예로 한다. 이하, 이들 흐름도에 따라서,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모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 스위치(40)를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tep] S1). 천 압박 스위치(40)의 조작이 있으면(단계 S1에서 온),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26)를 하강시키고, 가공천(W)을 보유 지지시킨다(단계 S2). 이때, 작업자가 가공천(W)의 두는 위치를 틀린 경우에는, 다시 천 압박 스위치(40) 를 조작하면(단계 S3에서 온),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부(26)를 상승시키고(단계 S4), 이 다음 단계 S1로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공천(W)의 보유 지지의 작업을 다시 할 수 있다.
가공천(W)의 보유 지지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조작하면(단계 S5에서 온),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단계 S6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6에서는 1땀째(1번째의 1땀분)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X방향 구동 모터(28) 및 Y방향 구동 모터(29)]를 구동하여, 이송대(20)[가공천(W)]를 1땀째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S7에서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기동하여 주축(14)을 회전시키고, 바늘대(12) 및 루퍼를 구동하여 봉제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S8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땀수(몇 번째의 1땀인지)를 카운트[count]하는 카운터[counter](i)에 2를 세트[set]한다. 이하, i땀째는 i번째의 1땀을 나타낸다.
이 봉제 동작 중에 제어 장치(11)는 항상 일시 정지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한다(단계 S9). 일시 정지 스위치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S9에서 오프), 단계 S10에서 바늘 상부 센서(4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제어 장치(11)는 주축(14)이 1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11)는 주축(14)이 1회전하였다고(1땀분의 봉제 동작이 종료됨)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10에서 예), 단계 S11에서 i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이동시킨다. 이것과 함께, 제어 장치(11)는 회전 기구[θ방향 구동 모터(21)], 또한 각 작동기를 구동한다.
단계 S12에서는, 제어 장치(11)는 i땀째가 최종 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종 땀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12에서 아니오), 단계 S13에서 제어 장치(11)는 카운터(i)를 1만큼 증가[increment]시키고, 단계 S9에서 처리를 복귀시켜 봉제 동작을 계속시킨다. 봉제 동작이 최종 땀까지 진행되어 가공천(W)에 대한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성이 완료되면(단계 S12에서 예), 단계 S14에서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정지시킨다.
단계 S15에서 제어 장치(11)는 상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0)를 구동하여 상부 실 절단 동작을 행한다. 단계 S16에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이송대(20)의 원점 이동 시에 제어 장치(11)는 θ방향 구동 모터(21)를 구동하여 회전 기구(16)에 의해 바늘대(13) 및 루퍼 받침대(17)를 180도의 위치로부터 0도의 위치로 복귀 동작(반전)시킨다. 다음의 단계 S17에서 제어 장치(11)는 메스 기구[해머용 에어 실린더(25)]를 구동하여 가공천(W)에 대해 아일릿(1)을 형성시킨다. 단계 S18에서는, 제어 장치(11)는 하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1)를 구동하여 하부 실 절단 동작을 행한다. 단계 S19에서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부(26)를 상승시키고, 단계 S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상기한 봉제 동작 중에 일시 정지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9에서 온), 단계 S20에서 제어 장치(11)는 주축(14)이 1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축(14)이 1회전하였다고(1땀분의 봉제 동작이 종료됨) 제어 장치(11)가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0에서 예), i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 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1땀분 이동시킨다(단계 S21). 그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현재의 땀수) 및 전술한 각 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기억)하고(단계 S22), 재봉틀 모터(8)를 정지시킨다(단계 S23). 그로 인해, 봉제 동작 도중에 일시 정지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해도 그 1땀분의 봉제 동작을 계속하고, 그 후에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재봉틀 모터(8)의 정지 후에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린 후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24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5에서는, 제어 장치(11)는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6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의 조작에 의해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7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의 조작에 의해 수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단계 S24에서 온), 단계 S28에서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단계 S29에서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키고, 단계 S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한 경우(단계 S25에서 온), 단계 S30에서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다시 기동시키고, 단계 S9로 처리를 진행시 켜 봉제 동작을 계속시킨다.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26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후술하는 테스트 모드의 처리(도9)의 단계 S78로 진행시킨다. 수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27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8의 수동 모드의 처리의 단계 S67로 진행시킨다. 단계 S3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8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수동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수동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11)는, 우선 단계 S41 내지 S44에서 상기 도7의 단계 S1 내지 S4와 동일한 천 압박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45에서는, 제어 장치(11)는 기동ㆍ정지 스위치(10)의 조작 상태를 감시한다.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45에서 온), 단계 S46에서 1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X방향 구동 모터(28) 및 Y방향 구동 모터(29)]를 구동하고, 이송대(20)[가공천(W)]를 1땀째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수동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기동시키지 않고, 다음의 단계 S47에서 카운터(i)에 2를 세트한다.
작업자가 수동 풀리(15)를 조작하여 주축(14)을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바늘대(13) 및 루퍼가 구동된다. 단계 S48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일시 정지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한다. 일시 정지 스위치의 조작이 없는 경우(단계 S48에서 오프), 바늘 상부 센서(4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제어 장치(11)는 주축(14)이 1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9). 주축(14)이 1회전한 경우(단계 S49에서 예), 단계 S50에서 i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1땀분만큼 이동시킨다. 이것과 함께, 제어 장치(11)는 회전 기구[θ방향 구동 모터(21)], 또한 각 작동기를 구동한다.
다음의 단계 S51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최종 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종 땀이 아닌 경우(단계 S51에서 아니오), 단계 S52에서 제어 장치(11)는 카운터(i)를 1만큼 증가시키고, 처리를 단계 S48로 복귀시켜 수동에 의한 봉제 동작을 계속시킨다. 봉제 동작이 최종 땀까지 진행되어 가공천(W)에 대한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솔기(2)의 형성이 완료되면(단계 S51에서 예), 다음의 단계 S53에서 제어 장치(11)는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53에서 온), 도7의 단계 S15 내지 S19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1)는 상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0)를 구동하여 상부 실 절단 동작을 행한다(단계 S54).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55). 제어 장치(11)는 해머용 에어 실린더(25)를 구동하여 메스 기구에 의해 가공천(W)에 대해 아일릿(1)을 형성한다(단계 S56).
제어 장치(11)는 하부 실 절단용 에어 실린더(31)를 구동하여 하부 실 절단 동작을 행한다(단계 S57).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26)를 상승시키고(단계 S58), 처리를 단계 S41로 복귀시킨다.
상기한 수동 모드에 의한 봉제 동작 중에 작업자가 일시 정지 스위치를 온으 로 조작하면(단계 S48에서 온), 단계 S59에서 제어 장치(11)는 주축(14)이 1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축(14)이 1회전한(1땀분의 봉제 동작이 종료됨) 경우(단계 S59에서 예), i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1땀분 이동시킨다(단계 S60). 그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 및 각 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한다(단계 S61).
이 후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린 후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62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가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3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의 조작에 의해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4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의 조작에 의해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한 경우(단계 S62에서 온), 제어 장치(11)는 단계 S65에서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를 상승시킨다. 단계 S66에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키고, 처리를 단계 S41로 복귀시킨다.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63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후술하는 테스트 모드의 처리(도9)의 단계 S78로 진행시킨다.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64에서 예), 제 어 장치(11)는 도7의 자동 모드의 처리의 단계 S31로 진행시킨다. 또한, 단계 S67의 처리를 포함시켜 동작 모드를 절환하였을 때의 제어 장치(11)의 처리에 대해서는 정리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도9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테스트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테스트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11)는 단계 S71 내지 S74에서 상기 도7의 단계 S1 내지 S4와 동일한 천 압박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5에서는 기동ㆍ정지 스위치(10)의 조작 상태를 감시한다.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75에서 온), 단계 S76에서 1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X방향 구동 모터(28) 및 Y방향 구동 모터(29)]를 구동하고, 이송대(20)[가공천(W)]를 1땀째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테스트 모드에서도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기동시키지 않는다. 제어 장치(11)는 다음의 단계 S77에서 카운터(i)에 2를 세트한다.
단계 S78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일시 정지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한다. 일시 정지 스위치의 조작이 없는 경우(단계 S78에서 오프), 제어 장치(11)는 기동ㆍ정지 스위치(10)가 온으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9).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한 경우(단계 S79에서 예), 단계 S80에서 제어 장치(11)는 i땀째의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따라서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1땀분만큼 이동시킨다.
이 테스트 모드에서는 재봉틀 모터(8)를 구동시키지 않으므로, 바늘대(13) 및 루퍼가 구동하는 일은 없다.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작동기의 동작이 존재 해도 각 작동기가 구동하는 일은 없다. 단, 단계 S81에서 제어 장치(11)는 봉제 데이터 중에 있어서의 각 작동기의 온ㆍ오프 상태를 불휘발성 메모리(36)에 기억(저장)한다(동작은 수반하지 않음). 다음의 단계 S82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최종 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종 땀이 아닌 경우(단계 S82에서 아니오), 단계 S83에서 제어 장치(11)는 카운터(i)를 1만큼 증가시키고, 처리를 단계 S78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이 테스트 모드에서는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계속해서 온으로 조작하면,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연속해서 이송대(2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봉제 동작[이송대(20)의 이동]이 최종 땀까지 진행되면(단계 S82에서 예), 다음의 단계 S84에서 제어 장치(11)는 기동ㆍ정지 스위치(10)가 온으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84에서 아니오), 단계 S85에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S86에서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26)를 상승시키고, 처리를 단계 S71로 복귀시킨다.
상기한 테스트 모드에 의한 봉제 동작 중에 작업자가 일시 정지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면(단계 S78에서 온), 단계 S87에서 제어 장치(11)는 그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 및 각 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불휘발성 메모리(36)에 기억(저장)한다. 이 후에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린 후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8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가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89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 패널(9)의 동작 모드 설정부(54)의 조작에 의해 수동 모드로의 절환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0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해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자가 리셋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한 경우(단계 S88에서 온), 단계 S91에서 제어 장치(11)는 천 압박용 에어 실린더(27)를 구동하여 천 압박부를 상승시킨다. 단계 S92에서 제어 장치(11)는 XY 이동 기구를 구동하여 이송대(20)를 원점 위치로 이동시키고, 처리를 단계 S71로 복귀시킨다. 작업자에 의한 수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89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수동 모드의 처리(도8)의 단계 S6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작업자에 의한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90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7의 자동 모드의 처리의 단계 S31로 진행시킨다.
상기한 각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 중에 동작 모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대해 서술한다. 우선, 도7에 도시하는 자동 모드의 실행 중에 수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27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8에 도시하는 수동 모드의 단계 S67로 진행시킨다. 이 단계 S67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되어 있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 및 동작 상태(각 작동기의 온ㆍ오프 상태 등)를 재현하고, 그 후, 처리를 단계 S48로 진행시킨다.
따라서, 자동 모드에 있어서 봉제 동작을 (i-1)땀째까지 실행한 일시 정지 상태에서 수동 모드로의 절환이 있었던 경우, 작업자가 수동 풀리를 회전함으로써(단계 S49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i땀째로부터의 봉제 동작을 계속시킨다.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봉제 동작의 일시 정지 시점에서는 (i-1)땀째의 동작이 완료되어 있다. 제어 장치(11)는 각 작동기(솔레노이드나 실린더)의 동작 상태(온, 오프 상태)에 대해서도 재현하므로, 봉제 위치의 어긋남이 없고, 봉제 동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자동 모드의 실행 중에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26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9에 도시하는 테스트 모드의 단계 S78로 진행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기동ㆍ정지 스위치(10)를 온으로 조작함으로써(단계 S79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i땀째로부터의 이송대(20)의 동작을 계속시킨다(단계 S80). 이 경우, 제어 장치(11)는 봉제 데이터(동작 지령)에 작동기의 동작이 존재해도 각 작동기를 구동하지 않는다.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봉제 데이터 중에 있어서의 각 작동기의 온ㆍ오프 상태를 기억(저장)시킨다(단계 S81).
도8에 도시하는 수동 모드의 실행 중에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64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7에 도시하는 자동 모드의 단계 S31로 진행시킨다. 이 단계 S31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기억(저장)되어 있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 및 동작 상태(각 작동기의 온ㆍ오프 상태 등)를 재현하고, 그 후, 처리를 단계 S24로 진행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자동 모드에 의한 봉제 동작을 실행(재개)하고 싶은 경우에는 기동ㆍ정지 스위 치(10)를 온으로 조작한다(단계 S25에서 온). 단계 S30에서, 제어 장치(11)는 재봉틀 모터(8)를 기동하여 봉제 기구(60)에 의한 i땀째로부터의 봉제 동작을 자동으로 재개시킨다.
수동 모드에 있어서의 봉제 동작의 일시 정지 시점에서는 (i-1)땀째의 동작을 완료하고 있고, 제어 장치(11)는 각 작동기(솔레노이드나 에어 실린더)의 동작 상태(온, 오프 상태)에 대해서도 재현한다. 따라서, 봉제 위치의 어긋남이 없어, 봉제 동작을 정확하게 재개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하는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자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90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7에 도시하는 자동 모드의 단계 S31로 진행시킨다. 이 경우에는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i-1)땀째의 실제의 봉제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다[이송대(20)만이 이동함]. 자동 모드로 절환하였을 때에, 제어 장치(11)는 불휘발성 메모리(36)에 저장되어 있던 각 작동기(솔레노이드나 에어 실린더)의 동작 상태(온, 오프 상태) 등을 재현시킨다. 봉제 위치의 어긋남이 없어, 도중으로부터(i땀째로부터)의 봉제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8에 도시하는 수동 모드의 실행 중에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63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9에 도시하는 테스트 모드의 단계 S78로 진행시킨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1)는 i땀째로부터의 테스트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실행시킨다. 도9에 도시하는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수동 모드로의 절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89에서 예), 제어 장치(11)는 처리를 도8에 도시하는 수동 모드의 단계 S67로 진행시킨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i땀째로부터의 수동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 모드, 수동 모드, 테스트 모드의 3개의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동작 중에 동작 모드의 절환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1땀분(1지령 단위)의 동작을 행한 후에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이것과 함께,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 특히 작동기의 온ㆍ오프 상태인 동작 상태를 기억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절환한 다른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 위치부터 정확하게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에는 불가능했던 봉제 동작의 도중에 있어서의 자동 모드로부터 수동 모드나 테스트 모드로의 절환, 또는 수동 모드 혹은 테스트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의 절환도 가능해진다. 봉제 동작의 도중에도 동작 모드의 절환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동작 모드를 절환하였을 때의 봉제 위치의 위치 어긋남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의적인 천 이송 동작만을 행하여 각 작동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도 봉제 데이터 중의 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기억(저장)해 둔다. 테스트 모드로부터 다른 동작 모드로의 절환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봉제 데이터 중에 각 작동기의 온, 오프의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였지만, 온 혹은 오프로 절환하는 위치만을 도시하는 트리 거[trigger] 데이터를 봉제 데이터 중에 포함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 트리거 데이터의 유무가 아닌, 각 작동기의 동작 상태(온ㆍ오프 상태)를, 예를 들어 플래그[flag] 데이터로서 기억(저장)해 둘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축(14)의 1회전에 의해 바늘대(13)가 2회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를 1땀으로 세고, 그 1땀분을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하였다. 바늘대(13)의 1회의 상하 이동을 1땀이라고 세는(1지령 단위로 함) 것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수동, 테스트의 3개의 동작 모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였지만, 그 중, 2개의 동작 모드만을 실행 가능하게 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와는 다른 별도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이송대를 동작하지 않고 바늘대의 요동 및 회전만을 행하는 모드 등)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작동기로서 실 조절용 솔레노이드로 구성하였지만, 스텝핑 모터, 에어 실린더로 구성해도 좋다.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의 기계적인 구성으로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송대를 이용하지 않고, 가공천을 이송하여 톱니 등에 의해 전후 방향(X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바늘 모습에 의해 대응하는 것이라도 좋다. 바늘대의 요동을 다른 독립된 구동원(모터)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밖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아일릿 버튼홀 스티치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단추 구멍 버튼홀 스티치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봉제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동작의 도중에도 동작 모드의 절환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봉제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동작 지령에 따라서, 가공천(W)에 대한 일련의 버튼홀 스티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모드와, 그 밖의 동작 모드의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봉제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3)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기 위한 절환 조작 기구(55)와,
    봉제 동작 중에 상기 절환 조작 기구(55)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절환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봉제 데이터의 1지령 단위로 봉제 동작을 일시 정지하는 정지 제어 기구와,
    이 정지 제어 기구에 의해 일시 정지한 시점에서의 봉제 동작의 진행 상태를 저장하는 상태 기억 기구(36)와,
    이 상태 기억 기구(36)에 저장한 일시 정지의 상태로부터, 절환한 동작 모드에서의 봉제 동작을 계속하는 동작 제어 기구와,
    상부 실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실 조절 장치와,
    상기 실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작동기(19)를 구비하고,
    상기 그 밖의 동작 모드에는 수동 조작 기구(15)를 수동에 의해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봉제 동작을 행하는 수동 모드와, 바늘대(13)의 상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모의적인 천 이송 동작을 행하는 테스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기억 기구(36)는 상기 작동기(19)의 일시 정지 시점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작동기(19)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상태 기억 기구(36)는 상기 작동기(19)의 상기 동작 지령 중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로부터 다른 동작 모드로 절환하였을 때에 상기 작동기(19)를 상기 상태 기억 기구(36)가 저장하고 있는 동작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KR1020070027876A 2006-03-23 2007-03-22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KR100901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0757 2006-03-23
JP2006080757A JP4770537B2 (ja) 2006-03-23 2006-03-23 穴かがり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842A KR20070096842A (ko) 2007-10-02
KR100901051B1 true KR100901051B1 (ko) 2009-06-04

Family

ID=3862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876A KR100901051B1 (ko) 2006-03-23 2007-03-22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70537B2 (ko)
KR (1) KR100901051B1 (ko)
CN (1) CN101041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6972A (ko) * 2011-10-05 2013-04-15 주식회사 썬스타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KR20130036969A (ko) * 2011-10-05 2013-04-15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CN103653547A (zh) * 2013-12-19 2014-03-26 吴江市菀坪宝得利缝制设备机械厂 一种补鞋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388B1 (ko) * 1987-07-22 1994-10-22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자수기
JP2000317159A (ja) * 1999-05-06 2000-11-21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
KR20010049305A (ko) * 1999-04-30 2001-06-15 시미즈 유 단추 구멍 재봉 미싱
JP2001334084A (ja) 2000-05-29 2001-12-04 Juki Corp ミシン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511B2 (ja) * 1981-09-01 1985-0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テスト装置
JP2583784B2 (ja) * 1988-03-04 1997-02-1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自動刺しゅうミシンの手動送り制御方法
JPH0417895A (ja) * 1990-05-10 1992-01-22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制御装置
JPH09299635A (ja) * 1996-05-10 1997-11-25 Juki Corp サイクルミシン
DE19916660C1 (de) * 1999-04-14 2000-06-21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CN100587148C (zh) * 1999-12-06 2010-02-03 兄弟工业株式会社 锁眼机及形成锁眼针迹的方法
JP4304599B2 (ja) * 2004-01-19 2009-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及び穴かがり縫目縫製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388B1 (ko) * 1987-07-22 1994-10-22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자수기
KR20010049305A (ko) * 1999-04-30 2001-06-15 시미즈 유 단추 구멍 재봉 미싱
JP2000317159A (ja) * 1999-05-06 2000-11-21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334084A (ja) 2000-05-29 2001-12-04 Juki Corp ミシン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842A (ko) 2007-10-02
JP4770537B2 (ja) 2011-09-14
CN101041924A (zh) 2007-09-26
JP2007252598A (ja) 2007-10-04
CN101041924B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2709Y2 (ko)
KR101147075B1 (ko) 자수 무늬의 보수 방법
KR100901051B1 (ko) 버튼홀 스티치 재봉틀
CN101041923B (zh) 锁眼缝纫机
KR100402537B1 (ko) 단추구멍 재봉기
JPH09135978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KR101125905B1 (ko) 보턴다는 재봉틀의 제어장치 및 보턴다는 재봉틀에 의한보턴 봉제 방법
JP2007244463A (ja) ミシンの布保持枠移送装置
JP2008220920A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14068899A (ja) ミシン
CN1611652B (zh) 自动缝制缝纫机
JP2001212386A (ja) 針揺動機能を有するミシン
JP2008086427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2012165849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JP2012176182A (ja) ミシン
JP2017064205A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H11333169A (ja) ミシンの布切りメス制御装置
JP2010179014A (ja) ミシン及び糸張力設定プログラム
JP3292439B2 (ja) ミシン
JP4070665B2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13208403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H11276752A (ja) ミシン
JP2013252159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6116201A (ja) ミシン
JP2001149676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