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972A -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972A
KR20130036972A KR1020110101250A KR20110101250A KR20130036972A KR 20130036972 A KR20130036972 A KR 20130036972A KR 1020110101250 A KR1020110101250 A KR 1020110101250A KR 20110101250 A KR20110101250 A KR 20110101250A KR 20130036972 A KR20130036972 A KR 2013003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ode
sewing machine
failur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11010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972A/ko
Priority to TW101136450A priority patent/TW201315855A/zh
Priority to PCT/KR2012/008073 priority patent/WO2013051880A2/en
Publication of KR2013003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 적용되는 재봉 공정에서 재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와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는 봉제 공정의 시작 여부를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페달과, 봉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는 조작 패널과,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재봉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와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재봉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어 블록에 전송되는 모드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SEWING MACHINE CAPABALE OF MODE CONVERSION AND SEW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수행되는 재봉 공정 중 발생한 재봉 불량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기는 피륙, 가죽, 지류 등의 원단을 봉합하는 기계 장치로서, 봉제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생산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을 요구함에 따라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다양한 재봉 기능들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재봉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재봉기에 입력하였던 땀수,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장력 등의 봉제 파라미터를 봉제 데이터의 형태로 재봉기에 자동 입력되는 자동 설정 재봉기가 제안되었고, 이러한 자동 설정 재봉기는 재봉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 설정되는 재봉기의 일례로서, 공개특허 제10-2009-0103816호에는 봉제 데이터에 따라 재봉 공정을 행하는 '재봉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 개시된 재봉기에 의하면, 봉제 데이터를 기초하여 재봉기의 각종 모터와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재봉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였다. 즉, 종래의 자동 설정 재봉기에서는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재봉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재봉 공정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후속 재봉 공정이 바로 시작되어 해당 재봉 공정의 불량을 보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도 1에 도시된 봉제 공정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봉제 공정은, 봉제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땀수(Nn)만큼 직선박음질을 동일한 원단(1)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다른 원단(1)으로 교체하여 반복 수행하는 재봉 공정(S; S1, S2)이다. 도 1의 직선박음질 공정에서 설정된 일정 땀수(Nn)만큼 박음질이 수행되더라도, 원단(1)을 이동시키는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 원단(1)의 소재 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해 봉제선이 원하는 최종 위치(P0를 재봉 공정(S)의 시작점으로 하여 P1을 재봉 공정(S)의 종료점으로 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재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더라도 종래의 재봉기는 상기 일정 땀수(Nn)만큼 박음질이 완료되면 해당 재봉 공정(S1)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하고, 후속 재봉 공정(S2)에 대한 땀수(Nn)를 봉제 파라미터로 재설정하고 박음질 땀수를 다시 카운트하여 후속 재봉 공정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재봉기는 제1 재봉 공정(S1)이 원하지 않는 위치(P1')에서 종료되어 재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후속하는 재봉 공정(S2)의 땀수(Nn)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재봉기는 재봉 공정(S)을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봉 불량에 대하여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여 생산되는 봉제 제품의 품질과 재봉 공정의 생산성이 모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103816호, 2009.10.01.
본 발명은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 설정되는 재봉기가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재봉 불량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재봉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봉제 파라미터를 자동 설정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봉 공정 중 일 공정에서 재봉 불량이 발생하면, 후속 재봉 공정으로 진행하기 전에 재봉기 모드를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여 발생된 재봉 불량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재봉 불량의 보정이 완료되면 재봉기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후속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는 재봉 공정의 시작을 제어하는 페달과, 봉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는 조작 패널과,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재봉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재봉기가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와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 중 하나에서 구동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상기 제어 블록에 전송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제 파라미터는 땀수 및 땀폭,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장력, 주축 속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는 주축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땀수를 세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는 수동 모드에서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땀수를 보정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보정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은 봉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를 상기 재봉기로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에서 페달 조작을 통해 재봉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재봉 불량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자동 모드에서 재봉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재봉기를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의 보정이 완료되면 상기 재봉기를 자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를 수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봉제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설정되는 땀수만큼 박음질된 봉제선의 실제 길이가 봉제선의 목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 재봉 불량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는 봉제선이 상기 목표 길이에 도달하도록 추가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 재봉 공정에서 상기 재봉기의 주축 회전수에 기초하여 땀수를 카운트한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재봉 공정이 완료되면 사절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에 의하면,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 설정되는 재봉 공정 과정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 원단의 소재 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재봉 불량이 발생하면 봉제 파라미터의 자동 설정 적용이 차단되고 재봉 불량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재봉 불량을 보정할 수 있는 수동 모드에서는 보정 작업에 사용된 땀수에 관한 보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표시하여 보정 작업을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고 수동 모드에서의 작업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봉제 제품의 불량 발생률과 재봉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재봉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봉제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여 소비자의 제품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재봉 공정에서 발생되는 재봉 불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로서 직선박음질을 수행하는 본봉 재봉기(Lock Stitch Sewing Machine)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봉 재봉기(Chain Stitch Sewing Machine)나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 등의 다양한 재봉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10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봉제 파라미터(X)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2)를 입력받으며, 재봉 공정(S)을 시작하기 전에 봉제 파라미터(X)에 의해 재봉기가 재봉 준비 상태로 자동 설정되는 재봉기이다. 여기서, '봉제 파라미터(X)에 의해 재봉기가 설정된다'라는 것은 봉제 파라미터(X)에 설정된 땀수, 땀폭,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 장력, 주축 속도 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가 재봉기에 입력되어 재봉 공정(S)을 입력된 파라미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도록 재봉기(1000)를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봉기(1000)는 재봉 공정(S)의 시작 여부를 제어하는 페달(190)과,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는 조작 패널(200)과, 봉제 파라미터(X)를 재봉기(1000)의 설정에 적용하여 재봉기(1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300)과, 재봉기(1000)가 봉제 파라미터(X)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와 봉제 파라미터(X)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제어 블록(300)에 인가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400)를 포함한다.
재봉기(1000)가 자동 모드인 상태에서 구동하는 경우, 선행 재봉 공정(S1)이 종료되면 후속하는 재봉 공정(S2)에 사용될 봉제 파라미터(X)에 의해 재봉기(1000)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선행 재봉 공정(S1)에 대하여 설정된 땀수(Nn)만큼 재봉기(1000)가 봉제선을 형성하면, 후속 재봉 공정(S2)에 대한 땀수(Nn)가 자동적으로 재봉기(1000)에 설정되고 후속 재봉 공정(S2)이 시작되면 재봉기가 박음질하는 땀수가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된다. 반면, 재봉기(1000)가 수동 모드인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봉제 파라미터(X)가 자동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예컨대, 선행 재봉 공정(S)에 대해 설정된 땀수(Nn)만큼 재봉기(1000)가 박음질을 수행한 경우에도, 후속 재봉 공정(S2)에 대해 설정된 땀수(Nn)로 재봉기(1000)가 자동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봉제 파라미터(X)도 재봉기(1000)에 설정되지 않고 재봉 불량을 보정하기 위한 박음질을 하더라도 후속 재봉 공정(S2)에 대해 설정된 땀수(Nn)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재봉기(1000)는 재봉기 본체(100)와, 재봉기 본체(100)의 일측에 직접 혹은 벨트 등을 통해 간접 연결되는 메인 모터(160)와, 메인 모터(160)를 구동시키는 작업자 명령을 입력받는 페달(1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재봉기 본체(100)가 안착되는 작업대(170)의 전면 일측에는 온, 오프 방식의 전원 스위치(160)가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160)의 일측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작업대(170)의 하부 공간에는 제어 블록(300)이 설치되고, 작업대(170)의 상부면이나 재봉기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조작 패널(200)이 설치될 수 있다.
재봉기 본체(100) 내에는 회전가능한 주축(110)이 설치되고, 주축(110)의 일단에는 바늘대(13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늘대(130)의 하방으로 재봉 바늘(140)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바늘대(130)의 후방에는 높이 조절 및 압력 조절이 가능한 노루발(150)이 설치되고, 재봉 공정시에 원단을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봉기 본체(100)에는 땀폭을 조절하는 땀폭 스텝 모터와, 노루발(150)의 압력과 높이를 조절하는 노루발 압력 스텝 모터, 노루발 높이 스텝 모터가 장착되고, 박음질에 소모되는 실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실장력 측정장치, 실장력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하는 실장력 유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주축(110)과 메인 모터(160)의 연결 부위에는 주축(110)의 회전수를 셀 수 있는 카운터(5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봉기(1000)의 구성을 통해, 전원 스위치(160)를 온 시킨 상태에서 페달(19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메인 모터(160)가 구동되면 주축(110)이 회전되면서 바늘대(120) 및 재봉 바늘(140)를 상하 운동시켜 원단에 박음질을 수행할 수 있다.
원단의 종류, 박음질의 패턴 등에 따라 입력된 각종 봉제 파라미터(X)에 기초하여 재봉기(1000)는 재봉 공정(S)이 시작되기 전에 자동 설정되는데, 예컨대 재봉기(1000)에 구비된 각종 스텝 모터가 봉제 파라미터(X)에 따라 미세 조절되어 재봉기(1000)가 재봉 공정(S)을 최적의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봉제 파라미터(X)는 봉제 데이터(2)의 형태로 재봉 공정 전체를 총괄하는 본부(Headquarter) 등의 서버(10)로부터 다양한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200)은 본부의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봉제 데이터(2)를 입력받으며, 재봉 공정(S) 과정에서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본부의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부(210)와, 재봉기(1000)의 구동 상태 및 입력된 봉제 데이터(2)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조작 패널(200)은 표시부(220)에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봉제 파라미터(X)를 변경시킬 수 있는 버튼 조작부(2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에는 PC, PDA 등의 장치나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는 포트(미도시)가 구비되어 PC, PDA, USB 등의 장치를 통해서도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조작 패널(200)에 입력되는 봉제 데이터(2)에는 하나의 재봉 공정을 구성하는 땀수(Nn)를 포함하며, 땀폭,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 장력, 주축 속도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로 입력된 봉제 데이터(2)는 송수신부(210)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 수단에 일시 저장된 후 제어 블록(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블록(300)은 전송된 봉제 데이터(2)에 따라 재봉기(1000)의 설정 및 구동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제어부(310)와, 재봉기 설정 및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재봉기(1000)의 각종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와, 전원 스위치(18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메인 제어부(310), 모터 드라이버 등으로 분배하는 전원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는 메인 모터(160)를 구동 제어하는 메인 모터 드라이버(320)와, 땀폭 스텝 모터(161), 노루발 높이 스텝 모터(162), 노루발 압력 스텝 모터(163) 등 각종 스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텝 모터 드라이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모터 드라이버(330)에는 재봉 공정(S)의 완료시에 실을 자동으로 사절시킬 수 있도록 사절 스텝 모터(164)도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에 연결되는 메인 모터(160) 및 각종 스텝 모터(161 내지 164)의 구동 상태는 메인 제어부(310)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고, 조작 패널(200)의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각종 구동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에는 재봉 공정(S)을 시작(재봉 공정(S)이 잠시 중지된 후 다시 시작하는 경우도 포함)을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페달(190)과, 박음질에 사용되는 실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장력 유지기(165)와, 재봉기(1000)를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모드 전환 스위치(400)가 연결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310)에는 주축(110)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땀수를 셀 수 있는 카운터(500)가 연결되고, 재봉 불량을 보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박음질에 사용되는 땀수에 관한 정보를 카운터(500)로부터 받아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처리부(510)를 포함한다.
재봉 공정(S)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 원단의 소재 특성 차이 등으로 인해 재봉 불량이 발생되면, 모드 전환 스위치(4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재봉기(1000)가 수동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00)를 작업자가 누르면, 모드 전환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 블록(300)의 메인 제어부(310)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부(310)에서는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에 구동 정지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재봉기(1000)가 수동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전환되면 재봉 불량이 발생된 재봉 공정(S1)에 대한 봉제 파라미터(X)로 재봉기(1000)의 설정을 유지함으로써 재봉 불량이 발생된 재봉 공정(S1)에서 사용된 동일한 봉제 파라미터(X)로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봉기(1000)가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봉제 파라미터(X)를 변경하여 재봉 불량을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수동 모드에서 재봉 불량의 보정 작업이 완료되면 실의 사절 작업이 실행될 수 있고, 모드 전환 스위치(4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재봉기(1000)를 수동 모드의 상태에서 자동 모드의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 방법(이하,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되는 내용에서 앞서 재봉기에 관해 설명하면서 언급된 내용과 동일한 경우에는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은, 봉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를 재봉기로 입력받는 단계(S110)와, 재봉 공정의 시작 여부를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페달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S120)와, 상기 봉제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자동 모드에서 재봉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재봉 공정에 재봉 불량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0)와,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모드에서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설정된 땀수만큼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땀수만큼 재봉 공정을 수행한 후 자동 사절 작업을 수해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재봉 불량이 확인되면 재봉기를 수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210)와, 페달을 통해 사용자의 재봉기 구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240)와, 재봉 불량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50)와, 재봉 불량의 보정 작업이 완료되면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재봉기를 자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270)를 포함한다.
봉제 파라미터가 자동 설정되는 재봉기를 이용하여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숙련도나 원단의 소재 특성 차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재봉 불량은 봉제선의 길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재봉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야 하는 봉제선의 길이가 봉제선의 목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재봉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어 재봉기를 수동 모드로 전환시킨 후에는 재봉 불량을 보정하기 위해 봉제 파라미터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20)와, 변경된 봉제 파라미터에 따라 재봉기를 설정하는 단계(S23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작업은 재봉 불량이 발생된 재봉 공정과 동일한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하에서 이루어지지만,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땀폭,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 장력, 주축 속도 등을 다르게 하여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S250)에서, 재봉기 주축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보정 작업에 사용된 땀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땀수에 관한 보정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재봉 불량의 보정 작업시 박음질에 사용된 땀수를 확인하여 후속 재봉 공정에 반영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재봉 불량의 보정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재봉 작업의 종료를 위해 사절 작업이 실행되고(S260), 후속 재봉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재봉기를 수동 모드에서 자동 모드로 전환시킨다(S27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을 통해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나 원단의 소재 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해 재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봉제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적용하는 것을 중지하고 입력된 봉제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봉 공정의 불량률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봉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재봉기 본체 160: 메인 모터
190: 페달 200: 조작 패널
300: 제어 블록 310: 메인 제어부
320: 메인 모터 드라이버 330: 스텝 모터 드라이버
340: 전원부 400: 모드 전환 스위치
500: 카운터 1000: 재봉기

Claims (9)

  1. 재봉 공정의 시작 여부를 지지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페달과;
    봉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는 조작 패널과;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따라 재봉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와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재봉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어 블록에 전송되는 모드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
    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파라미터는 땀수 및 땀폭, 노루발 압력, 노루발 높이, 실장력, 주축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는 주축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땀수를 측정하는 카운터가 장착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는 수동 모드에서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땀수를 보정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보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보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5. 재봉 공정의 시작 여부를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페달을 통해 입력받는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 방법으로서,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봉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재봉기를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이 적용되는 자동 모드에서 구동하여 재봉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재봉 불량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모드에서 상기 재봉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재봉기를 상기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 적용이 차단되는 수동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봉 불량의 보정이 완료되면 상기 재봉기를 상기 자동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를 수동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봉제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 불량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봉제 파라미터에 설정되는 땀수에 따라 박음질되는 봉제선의 길이가 봉제선의 목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 재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봉제선의 목표 길이에 도달하도록 추가 재봉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 재봉 공정에서 상기 재봉기의 주축 회전수에 기초하여 측정된 땀수에 관한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 불량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가 재봉 공정이 완료되면 사절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 방법.
KR1020110101250A 2011-10-05 2011-10-05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KR20130036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50A KR20130036972A (ko) 2011-10-05 2011-10-05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TW101136450A TW201315855A (zh) 2011-10-05 2012-10-03 可模式轉換的縫紉機及利用該縫紉機的縫紉方法
PCT/KR2012/008073 WO2013051880A2 (en) 2011-10-05 2012-10-05 Sewing machine capabale of mode conversion and sew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50A KR20130036972A (ko) 2011-10-05 2011-10-05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72A true KR20130036972A (ko) 2013-04-15

Family

ID=4804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50A KR20130036972A (ko) 2011-10-05 2011-10-05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30036972A (ko)
TW (1) TW201315855A (ko)
WO (1) WO2013051880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424A (en) * 1978-02-13 1979-07-10 Dan River Incorporated Stitch counter for a sewing machine
SE420328B (sv) * 1980-03-19 1981-09-28 Husqvarna Ab Somnadsguide for monstersymaskin
KR940005364B1 (ko) * 1992-02-11 1994-06-17 이덕문 자체 고장진단 표시제어 기능이 제공된 재봉기용 자동사절 모-터와 콘트롤 시스템
JP2003210876A (ja) * 2002-01-25 2003-07-29 Juki Corp ミシン
GB2376956B (en) * 2002-06-12 2003-05-14 Philip Shad Sewing machine having a wireless switch and independant controller
JP4770537B2 (ja) * 2006-03-23 2011-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5855A (zh) 2013-04-16
WO2013051880A2 (en) 2013-04-11
WO2013051880A3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79998A (ja) ミシン
US7949421B2 (en) Multi-needle type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ing a computer control program for the multi-needle type embroidery sewing machine
US6352043B1 (en) Sewing machines having multiple-individually controllable needle bars
JP4744072B2 (ja) ミシン
JP4526956B2 (ja) ミシン
TWI534319B (zh) Automatic sewing machine
KR20130036969A (ko)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KR20130036972A (ko) 모드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JP2010124865A (ja) ミシンの縫い速度データ作成方法
WO2017056676A1 (ja)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US11625867B2 (en) Sewing apparatus
CN101538778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CN108796850B (zh) 缝纫机
JP2020162659A (ja) ミシン
CN109518354B (zh) 用于对经编机进行准备的方法和经编机
CN103628259B (zh) 缝纫机
JP4288749B2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22150422A (ja) 縫製エラー管理装置、縫製エラー管理システム及び縫製エラー管理プログラム
JP3614994B2 (ja) オーバロックミシン
JP2018051153A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N111926475A (zh) 双针缝纫机
JP6318525B2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CN104846560A (zh) 缝纫机
KR20140049213A (ko) 자수기 실장력 조절 장치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자수기
JP2010081985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