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699B1 -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699B1
KR100339699B1 KR1020000007897A KR20000007897A KR100339699B1 KR 100339699 B1 KR100339699 B1 KR 100339699B1 KR 1020000007897 A KR1020000007897 A KR 1020000007897A KR 20000007897 A KR20000007897 A KR 20000007897A KR 100339699 B1 KR100339699 B1 KR 10033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embroidery
information
current
current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784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박인철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00000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699B1/ko
Priority to TW090103334A priority patent/TW509736B/zh
Priority to US09/788,233 priority patent/US6370443B2/en
Priority to CNB011042044A priority patent/CN1330816C/zh
Priority to JP2001042506A priority patent/JP2001246187A/ja
Publication of KR2001008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 작업도중에 처리해야할 다른 일이 발생할 경우 현 작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일을 행하고, 다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한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수기에 있어서, 각종 기능 선택키를 갖는 기능설정수단에 현 작업정보 저장을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 및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정보를 호출하는 작업 호출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키 입력에 따른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대한 현 작업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작업의 존재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결과에 따라 해당 작업의 진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EMBROIDERY MACHINE THAT HAS A WORKING SAVE FUNCTION AND EMBROIDERY CONTROL METHOD OF IT}
본 발명은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작업하고 있는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업용 자수기란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재봉기의 바늘대가 상하운동을 하는 동안, 원단을 고정한 수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를 놓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재봉기가 톱니 모양의 이송대를 이용해 원단을 이송시키며 재봉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자수기는 원단을 고정한 프레임이 X, Y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재봉을 하기 때문에 프레임 이동의 정확성과 정속성이 자수의 품질에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자수기의 바늘대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AC서보 모터나 속도제어를 할 수 있는 유도 모터가 사용되고, 수틀을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위치 결정력이 좋고 제어가 용이한 스텝핑 모터가 사용된다.
자수기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보통 12개 내지 24개의 재봉기가 한 개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수 디자인에 따라 여러 색의 실로 재봉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각 재봉기마다 6개 내지 12개의 바늘대가 있고, 각 바늘대마다 다른 색의 실이 장착된다.
근래에 사용자들은 자수 디자인의 편리한 입력, 복사, 저장 및 간단한 편집 등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자수 디자인에 따른 실 색상의 자동 변경기능 및 재봉이 끝난 후, 자동으로 실을 끊어주는 사절기능, 실이 끊어졌을 때 기계를 정지시키고 알람표시를 해주는 기능, 정전등으로 자수기가 멈추었을 때 이어서 계속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정전복구 기능 등이 구비된 자동화된 자수기를 선호하고 있다.
이처럼 자수기를 생산, 판매하는 업체들은 자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한 노력 이외에도 다기능 자수기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산업용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자수기에 채용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선택키가 구비된 기능 설정부(10)와, 자수기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여 자수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바늘대 및 수틀을 구동하는 메카니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는 자수진행을 위한 각종 설정 데이터(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 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등)가 저장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40) 및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부(50)를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가질 수 있으며, 도 1은 외장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통상적인 자수기의 자수동작을 도 2의 흐름도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기능 설정부(10)를 통해 상기 자수 다자인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중 원하는 자수 디자인을 선택하고, 자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설정 데이터(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로, 자수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을 들 수 있음)를 설정하면(S1), 제어부(20)는 상기 기능 설정부(10)로부터 자수 시작을 위한 시작키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2). 체크결과 시작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상기 메카니즘부(30)를 상기 단계(S1)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구동시킨다(S3).
그리고 제어부(20)는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부(5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수 디자인에 대한 자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S4), 읽어 들인 자수 데이터가 종료코드인가를 판단하여(S5) 종료코드이면 상기 메카니즘부(30)의 구동을 정지시켜 바늘대 및 수틀 구동을 정지시키는 주축정지루틴을 행한 후(S6), 종료한다.
만일, 상기 단계(S5)에서 읽어들인 자수코드가 종료코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정지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한다(S7). 정지키의 입력여부 체크결과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수를 진행하며(S8), 정지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카니즘부(30)의 구동을 정지시켜 바늘대 및 수틀 구동을 정지시키는 주축정지루틴을 행한 후(S9), 기능 설정부(10)에서 시작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10).
상기 단계(S10)의 판단결과 시작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S3)로 진행하여 자수를 진행하게 되며, 시작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능 설정부(10)로부터 작업 종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여(S11), 작업 종료키 입력시에는 종료하고, 작업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10)로 진행하여 시작키의 입력여부를 반복적으로 체크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자수 디자인 저장부(50)에서 불려들여 자수 작업을 진행하다가, 갑자기 급한 작업을 해야할 경우가 발생될 경우, 그때까지 작업하고 있던 작업을 종료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또는 작업취소를 하여야만 하였다.
만일,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경우 남아 있던 작업이 30000침이라면850rpm 속도로 작업을 하여도 35분을 기다려야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진행 중 기계수리를 위한 A/S요원이 방문하였을 경우에도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수 작업도중에 처리해야할 다른 일이 발생할 경우 현 작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일을 행하고, 다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한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자수기의 자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능 설정부 120 : 현 작업정보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메카니즘부
150 : 설정 데이터 저장부 160 : 자수 다자인 저장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는, 다수의 기능 선택키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기능설정수단과, 각종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에 저장된 자수 디자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수 디자인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수 디자인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자수를 진행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수단에는 현 작업정보 저장을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 및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정보를 호출하는 작업 호출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키 입력에 따른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대한 현 작업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작업의 존재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결과에 따라 해당 작업의 진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은, 다수의 기능 선택키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기능설정수단과, 각종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에 저장된 자수 디자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수 디자인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수 디자인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자수를 진행하도록 된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수단으로부터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을 호출하기 위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여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키 입력에 대응되어 저장된 작업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체크결과 저장된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작업에 대한 정보를 로드 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현 작업정보 저장을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 및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정보를 호출하는 작업 호출키 및 기타 각종 기능 선택키를 갖는 기능 설정부(110)와, 상기 기능 설정부(110)에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키 입력에 따른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와,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의 현 작업정보의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기능 설정부(110)에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작업의 존재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결과에 따라 해당 메카니즘부(140)를 구동하여 해당 자수의 진행을 제어하며, 상기 기능 설정부(110)의 각종 기능 선택키 입력에 따라 자수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는 전원 오프 시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플래쉬 메모리나 밧데리가 내장된 램(NMRAM)을 사용할 수 있고, 램에 밧데리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현 작업에 대한 정보로는 현 작업 디자인의 이름, 디자인의 메모리 위치, 수틀의 위치 데이터, 현 작업 침수, 현재의 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 정보(예 : 자수 속도, 바늘대 정보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카니즘부(140)의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자수진행을 위한 각종 설정 데이터(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 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등)가 저장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150) 및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부(160)를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가질 수 있으며, 도 3은 외장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4의 흐름도와 함께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설정부(110)의 작업 호출키를 통해 이전에 작업했던 디자인을 호출하면(S111), 제어부(130)는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를 체크하여해당 디자인에 대한 저장된 작업의 존재여부를 체크한다(S112). 물론, 상기 단계(S111)에서는 기능 설정부(110)를 통해 자수 진행을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12)의 체크결과 저장된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저장된 작업을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기회를 제공하며(S113), 사용자가 저장된 작업을 진행하길 원하면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정보를 로드하여 저장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수틀을 이송시킨 후(S114,S115), 시작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한다(S116).
사용자로부터 시작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S114)에서 로드 된 작업정보에 맞게 메카니즘부(140)를 구동시키고, 자수 데이터를 읽어들여 읽어들인 자수 데이터가 종료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117-S119).
한편, 상기 단계(S112)에서 저장된 작업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S113)에서 사용자가 저장된 작업을 진행하길 원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116)와 마찬가지로 시작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하며, 시작키의 입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때는 상기 단계(S111)에서 설정한 데이터에 따라 메카니즘부(140)를 구동시키고, 자수 데이터를 읽어들여 읽어들인 자수 데이터가 종료 코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종료 코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메카니즘부(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바늘대 및 수틀 구동을 정지시키는 주축정지루틴을 행한 후(S120), 종료한다.
상기 단계(S119)의 판단결과 종료코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상기 기능 설정부(110)로부터 정지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한다(S121). 정지키의 입력여부 체크결과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수를 진행하며(S122), 정지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카니즘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바늘대 및 수틀 구동을 정지시키는 주축정지루틴을 행한 후(S123), 기능 설정부(110)에서 시작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124).
상기 단계(S124)의 판단결과 시작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S117)로 진행하여 자수를 진행하게 되며, 시작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능 설정부(110)로부터 작업 종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여(S125), 작업 종료키 입력시에는 종료하고, 작업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현 작업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한다(S126).
상기 기능 설정부(110)로부터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현 작업 디자인의 이름, 디자인의 메모리 위치, 수틀의 위치 데이터, 현 작업 침수, 현재의 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 정보 등의 현 작업정보를 저장하고(S127) 종료하며, 현 작업정보 저장키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124)로 진행하여 시작키의 입력여부를 반복적으로 체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이 끊어졌을 경우나 정지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등과 같이 자수작업 진행 도중 때때로 정지할 경우에, 기능 설정부(110)에 있는 현 작업 저장을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를 이용하여 현 작업정보의 저장을 선택하면 현재의 자수 데이터의 이름, 메모리 저장 위치, 수틀 위치, 현 작업의 침수, 메카니즘 구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 등의 현 작업정보를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한 후, 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급하게 행하여야 할 다른 작업을 진행한 후에, 다시 상기 기능 설정부(110)의 작업 호출키를 이용하여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내용을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저장된 작업에 대한 진행여부를 물어 사용자가 저장된 작업을 원할 경우,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작업 위치로 수틀을 이동하고 작업을 대기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전에 작업하였던 작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 작업의 진행 중에 긴급한 작업이 발생할 경우 급한 작업을 먼저 진행한 후, 다시 이전에 진행하던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작업 순서(Order)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긴급한 작업을 먼저 할 수 있게 되므로 현 작업을 급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수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자수 관리자의 작업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다수의 기능 선택키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기능설정수단과, 각종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에 저장된 자수 디자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수 디자인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수 디자인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자수를 진행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수단에는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 및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정보를 호출하는 작업 호출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키 입력에 따른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대한 현 작업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작업의 존재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결과에 따라 해당 작업의 진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현 작업에 대한 정보는,
    현 작업 디자인의 이름, 디자인의 메모리 위치, 수틀의 위치 데이터, 현 작업 침수, 현재의 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작업정보 저장수단은,
    전원 오프 시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4. 다수의 기능 선택키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기능설정수단과, 각종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에 저장된 자수 디자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수 디자인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수 디자인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자수를 진행하도록 된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수단으로부터 이전에 작업했던 작업을 호출하기 위한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여 작업 호출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키 입력에 대응되어 저장된 작업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체크결과 저장된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작업에 대한 정보를 로드 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체크결과 저장된 작업이 존재할 경우,사용자에게 저장된 작업의 진행여부를 선택할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수단으로부터 현재의 작업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현 작업정보 저장키의 입력여부를 체크하여 현 작업정보 저장키가 입력되면 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작업에 대한 정보는,
    현 작업 디자인의 이름, 디자인의 메모리 위치, 수틀의 위치 데이터, 현 작업 침수, 현재의 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자수제어방법.
KR1020000007897A 2000-02-18 2000-02-18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KR10033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97A KR100339699B1 (ko) 2000-02-18 2000-02-18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TW090103334A TW509736B (en) 2000-02-18 2001-02-15 Embroidery machine with operation data sto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09/788,233 US6370443B2 (en) 2000-02-18 2001-02-16 Embroidery machine with operation-data sto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B011042044A CN1330816C (zh) 2000-02-18 2001-02-19 具有操作数据存储功能的绣花机及其控制方法
JP2001042506A JP2001246187A (ja) 2000-02-18 2001-02-19 作業情報格納機能を有する刺繍機及びその刺繍縫い動作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97A KR100339699B1 (ko) 2000-02-18 2000-02-18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84A KR20010081784A (ko) 2001-08-29
KR100339699B1 true KR100339699B1 (ko) 2002-06-05

Family

ID=1964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897A KR100339699B1 (ko) 2000-02-18 2000-02-18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0443B2 (ko)
JP (1) JP2001246187A (ko)
KR (1) KR100339699B1 (ko)
CN (1) CN1330816C (ko)
TW (1) TW5097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02B1 (ko) * 2001-08-13 2009-01-15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프로그램 작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78B1 (ko) * 2003-04-21 2005-12-16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 또는 재봉기의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20882B2 (ja) * 2003-10-31 2009-02-04 Juki株式会社 自動縫製ミシン
CN106801300A (zh) * 2016-12-12 2017-06-06 罗莱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绣花机线色出针顺序的自动控制系统和方法
JP6815887B2 (ja) * 2017-02-15 2021-01-20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11118757B (zh) * 2018-10-31 2021-11-09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配合自动调节的控制方法
CN111118758B (zh) * 2018-10-31 2021-08-27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配合自动调节机构及缝纫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71A (ko) * 1987-07-22 1989-04-10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자수기
JPH0647180A (ja) * 1992-07-29 1994-02-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次刺繍データを特定するデータの事前入力が可能な刺繍機
KR970070278A (ko) * 1996-04-18 1997-11-07 한스 뤼벡/디이트말 벡커 사절(絲切)장치를 가진 재봉틀 또는 자수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278B2 (ja) * 1989-08-17 1998-07-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US5359949A (en) 1992-05-18 1994-11-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system having function to store operation-state data upon detection of abnormality
JPH0759975A (ja) * 1993-08-25 1995-03-07 Juki Corp サイクルミシンの制御装置
JPH11267386A (ja) 1998-03-24 1999-10-05 Brother Ind Ltd 多頭式刺繍装置
JP2000176186A (ja) * 1998-12-17 2000-06-27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01009181A (ja) * 1999-06-30 2001-01-16 Brother Ind Ltd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の模様選択装置及び模様選択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71A (ko) * 1987-07-22 1989-04-10 도까이고교미싱 가부시기가이샤 자수기
JPH0647180A (ja) * 1992-07-29 1994-02-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次刺繍データを特定するデータの事前入力が可能な刺繍機
KR970070278A (ko) * 1996-04-18 1997-11-07 한스 뤼벡/디이트말 벡커 사절(絲切)장치를 가진 재봉틀 또는 자수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02B1 (ko) * 2001-08-13 2009-01-15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프로그램 작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0443B2 (en) 2002-04-09
JP2001246187A (ja) 2001-09-11
TW509736B (en) 2002-11-11
KR20010081784A (ko) 2001-08-29
CN1330816C (zh) 2007-08-08
CN1309206A (zh) 2001-08-22
US20010016785A1 (en) 200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2908A (ja) 複数の工作機械を制御するcnc装置
US20060200268A1 (en)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and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100339699B1 (ko)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JP2743622B2 (ja) 数値制御装置
KR100393419B1 (ko)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JP2623563B2 (ja) 縫製工場における作業指示装置
JP3549755B2 (ja) 位置決め方法および位置決め装置
JP3873773B2 (ja) 数値制御装置及び数値制御方法
JP3626262B2 (ja) 刺繍機用制御装置
JPH0647180A (ja) 次刺繍データを特定するデータの事前入力が可能な刺繍機
JP2004033538A (ja) ミシン制御装置、ミシン制御方法およびミシン制御プログラム
WO2023203724A1 (ja) 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H09222911A (ja) Nc工作機械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3216629B2 (ja) 数値制御装置
JP2861490B2 (ja) ミシン
KR20110107080A (ko) 자수기의 디자인 제어장치
JP2984453B2 (ja) 模様縫いにおける自動ブロック縫いミシン
JPH0615072A (ja) 多針ミシン
JPH06101157A (ja) 多頭形刺繍ミシン
JPH05200180A (ja) 模様縫いにおける自動糸切りミシン
JPH02259152A (ja) 自動刺繍ミシンの制御装置
JP2005095696A (ja) コンピュータミシン
KR20010094175A (ko) 자수기의 서비스 지원요청 시스템 및 방법
JPH05200177A (ja) 模様縫いにおける自動糸切りミシン
JPH09132857A (ja) 自動刺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