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419B1 -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19B1
KR100393419B1 KR10-2001-0007556A KR20010007556A KR100393419B1 KR 100393419 B1 KR100393419 B1 KR 100393419B1 KR 20010007556 A KR20010007556 A KR 20010007556A KR 100393419 B1 KR100393419 B1 KR 10039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hread break
embroidery
thread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669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419B1/ko
Priority to US09/788,138 priority patent/US6422163B2/en
Priority to CNB011039965A priority patent/CN1164819C/zh
Priority to JP2001042510A priority patent/JP2001252487A/ja
Publication of KR2001008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05C13/06Apparatus for filling or threading shutt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4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tension or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2Adjusting or registering devices for the base fabric, e.g. for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 진행중에 실 끊김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실을 끼우기에 편리하도록 한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자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을 구동하는 수틀 구동수단과, 자수실의 끊어짐을 감지하는 실 끊김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수단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자수 디자인을 호출하여 해당 자수를 진행하는 중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에서 실 끊김을 감지하면 자수진행을 정지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 이송 방법{EMBROIDERY MACHINE THAT HAS A FUNCTION OF TRANSFER THE FRAME, IN CASE OF THE EMBROIDERY THREAD CUTTED}
본 발명은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수 진행중에 실 끊김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실을 끼우기에 편리하도록 한 실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업용 자수기란 재봉기의 바늘대가 상하운동을 하는 동안, 원단을 고정한 수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자수 동작을 실행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상기 공업용 자수기는 원단을 고정한 자수틀이 X과 Y축의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자수 동작이 실행되므로 프레임 이동의 정확성과 정속성이 자수의 품질에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자수기의 바늘대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AC서보 모터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유도 모터가 사용되고, 수틀을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위치 결정력이 좋고 제어가 용이한 스텝핑 모터가 사용된다.
자수기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보통 12개 내지 24개의 재봉기가 한 개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수 디자인에 따라 여러 색의 실로 자수 동작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각 재봉기마다 6개 내지 12개의 바늘대가 있고, 각 바늘대마다 다른 색의 실이 장착된다.
근래에 사용자들은 자수 디자인의 편리한 입력, 복사, 저장 및 간단한 편집 등을 할 수 있는 자수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자수 디자인에 따른 실 색상의 자동 변경 기능 및 재봉이 끝난 후, 자동으로 실을 끊어주는 사절기능, 실이 끊어졌을 때 자수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실이 끊어진 것을 알리는 알람기능, 정전등으로 자수기의 구동이 멈추었을 때 이어서 계속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정전복구 기능 등이 구비된 자동화된 자수기가 선호되고 있다.
이와같은 다기능 자수기를 선호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수기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업체들은 산업용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자수기에 채용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설택키가 구비된 기능 설정부(10)와, 후술될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을 구동하는 수틀 구동부(20)와, 실 끊김을 감지하는 실 끊김 감지부(30)와, 자수기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여 자수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며, 상기 실 끊김 감지부(30)에서 실 끊김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틀 구동부(20)를 제어하여 수틀 구동을 정지시키고 기타 각종 메카니즘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자수진행을 위한 각종 설정 데이터(메카니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 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등)가 저장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50) 및 자수 디자인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부(60)를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갖게 되며, 도 1은 외장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설정부(10)의 기능 설정키를 이용하여 자수 디자인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중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이에 따라 수틀 구동부(20)를 제어하여 자수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에서 실이 끊어지면 실 끊김 감지부(3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실 끊김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며, 제어부(40)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나 해당 헤드의 램프의 깜박임 또는 자수기에 부저가 구성되어 있을 경우 부저 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실 끊김을 알리고, 수틀 구동부(20)를 제어하여 수틀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이 끊어짐을 인식하여 실이 끊어진 바늘대를 찾아 실을 끼우고 다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자수기의 길이가 750mm 이상 되게 되면 자수틀이 앞으로 나와 있을 때에 바늘대와의 거리가 멀어져 키가 작은 작업자는 발뒤꿈치를 들어 실을 끼워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자수기 밑에 발판을 놓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을 행하여 왔으나, 자수기 길이가 1000mm이상이 되면 경우에는 보통 키의 남자들조차도 실 끼우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수 진행 중 실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실 끼우기가 편리하도록 한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수 진행중 실이 끊어졌을 경우 윗실 절사인지 밑실 절사인지를 구분하여 윗실 절사일 경우에는 수틀이 이송되도록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및 수틀의 이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수 진행 중 실이 끊어졌을 경우 수틀 이송량을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및 수틀의 이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수 진행중 자수 실이 끊어진 경우 사용자가 수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한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및 수틀의 이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의 일 실시 예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블록 구성도.도 5a 및 도 5b는 도4의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기능 설정부 120,220 : 수틀 구동부
130,230 : 실 끊김 감지부 140 : 수틀 이송량 저장부
150,250 : 제어부 240 : 수틀 이송 한계 감지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수틀 구동수단과, 자수실의 끊어짐을 감지하는 실 끊김 감지수단과,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수틀 구동수단과, 자수실의 끊어짐을 감지하는 실 끊김 감지수단과,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에 의해 실 끊김이 감지될 때, 사용자가 수틀 이송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틀 이송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설정수단과, 상기 기능설정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수틀 이송 요청신호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틀 이송량 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및 자수틀의 이송방법의 일 실시 예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설정키를 갖는 기능 설정부(110)와, 후술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수틀을 구동하는 수틀 구동부(120)와, 바늘대에 설치되어 자수 동작 실행중 실이 끊어진 것을 감지하는 실 끊김 감지부(130)와,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자수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수틀 이송량 저장부(140)와, 상기 실 끊김 감지부(130)에서 실 끊김을 감지하면 상기 수틀 이송량 저장부(140)의 수틀 이송량 데이터를 읽어와 해당 값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종래의 자수기와 마찬가지로 자수진행을 위한 각종 설정 데이터(메카니즘부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 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등)가 저장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160) 및 자수 디자인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저장부(170)를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가질 수 있으며, 도 2는 종래의 도 1과 같은 외장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틀 이송량 저장부(1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비 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등으로서, 데이터를 쓸 수 있으며, 쓰여진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매체이면 모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설정부(110)를 통해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자수 디자인 중 원하는 자수 디자인을 선택하고, 자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설정 데이터(메카니즘부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로, 자수 속도, 바늘대 선택정보 등을 들 수 있음)를 설정하면(S111), 제어부(150)는 상기 기능 설정부(110)로부터 자수 시작을 위한 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112). 체크결과 시작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단계(S111)에서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수틀 구동부(120) 및 기타 도시하지 않은 메카니즘을 구동시킨다(S113).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자수 디자인 저장부(17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수 디자인에 대한 자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S114), 읽어 들인 자수 데이터가 종료코드인가를 판단하여(S115) 종료코드이면 상기 수틀 구동부(120) 및 도시하지 않은 바늘대 구동부 등의 메카니즘 구동을 정지시켜는 주축정지루틴을 행한 후, 종료한다(S116).
만일, 상기 단계(S115)에서 읽어들인 자수데이터가 종료코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실 끊김 감지부(130)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여(S117), 실 끊김 감지신호가 없으면 실이 끊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자수를계속 진행하며(S118),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있으면 즉, 실이 끊어 졌으면 상기와 같은 주축정지루틴을 행한다(S119).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실 끊김 감지신호로부터 끊어진 실이 밑실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판단결과 밑실일 경우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나 램프 등의 점등으로 끊어진 실이 밑실이라는 것을 표시하고(S121), 상기 판단 결과 윗실일 경우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나 램프 등의 점멸로 끝어진 실이 윗실이라는 것을 표시한다(S122).단, 여기서 밑실이 끊어졌다는 것은, 밑실이 끊어진 경우와, 밑실이 다 사용되었다는 경우 모두 포함한다.
그후, 수틀 이송량 저장부(140)로부터 실이 끊어진 지점에 대응되는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S123), 수틀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해당 이송량 데이터의 수틀 이송량만큼 수틀을 후방으로 이송시킨다(S124).
이때, 사용자는 바늘에 실을 끼우고, 기능 설정부(110)의 시작키를 조작하여기능 설정부(110)에 시작신호가 입력되면(S125) 제어부(150)는 상기 이송량 데이터의 자수틀 이송량만큼 수틀이 원래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수틀 구동부(120)를 제어한 후(S126), 상기 단계(S113)로 진행하여 자수동작이 계속 실행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자수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 실이 끊긴 경우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자수틀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및 자수틀의 이송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은, 자수 동작을실행하고 있는 도중 자수실이 끊어졌을 경우 수틀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틀 이송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틀 이송량 설정키와, 수틀을 사용자가 설정한 이송량만큼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틀 이송키와, 수틀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틀 복귀키를 더 구비하고 있는 기능 설정부(210), 자수 디자인 저장부(220), 실 끊김 감지부(230), 수틀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킬 경우 수틀이 한계 지점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하는 수틀이송 한계 감지부(240), 제어부(250), 설정 데이터 저장부(260) 및 수틀 구동부(270)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상으로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실 끈김 감지부(230)에는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램프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램프는 상기 실 끊김 감지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실 끊김 감지신호에 응하여 상기 실이 끊어졌음을 상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준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램프에 의해 실 끊김이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능 설정부(210)의 수틀 이송량 설정키 및 수틀 이송키를 이용하여 수틀 이송량을 입력하고, 수틀 이송 요청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틀 이송량 및 수틀 이송 요청신호에 응하여 상기 수틀이 이송량만큼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270)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한 다른 실시 예의 기본적인 자수제어동작은 첨부 도면 도 5a에도시하고 있는 S210∼S215 과정과 같이 도 2의 실시 예와 동일하며, 상기 실 끊김 감지부(230)로부터 실이 끊겼다는 것이 감지됨에 따라 제어부(250)가 수틀 구동부(220)를 비롯한 기타 메카니즘의 구동을 정지시킬 경우(S216)(S217), 사용자는 기능 설정부(210)의 수틀 이송량 설정을 위한 수틀 이송량 설정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수틀 이송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상기 기능 설정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수틀 이송량을 설정데이터 저장부(260)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자수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 자수실이 끊어진 경우 기능설정부(210)는 수틀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틀 이송 설정키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송 설정키가 선택되어 기능설정부(210)로부터 수틀 이송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틀 이송량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수틀 구동부(220)를 제어한다(S219)(S220).
이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통하여 수틀을 후방으로 이송시킬 경우 수틀 이송 한계 감지부(240)를 이용하여 수틀 이송의 한계까지만 수틀이 이송되도록 한다(S222)(S223).
상기 수틀 이송 한계 감지부(240)는 리미트 스위치로서, 도면으로는 미도시된 자수의 테이블의 상하, 좌우 양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틀이 한계 지점에 도달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25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250)가 수틀 구동 중지신호를 수틀 구동부(22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수틀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실을 끼우고 나서상기 실시 예와 같이 시작키를 입력하여 수틀을 원래의 위치로 이송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기능 설정부(210)에 수틀 복귀키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가 복귀키를 선택하게 되면, 기능 설정부(210)는 수틀 복귀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하고, 제어부(250)는 설정데이터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를 읽어 수틀 이송량 데이터의 수틀 이송량만큼 수틀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수틀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수틀을 실이 끊어지기 직전의 위치인 원래의 위치로 이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S224)(S225).
한편, 상기 S219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틀 이송량 및 수틀 이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하여(S221),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자수를 진행시키고(S218), 시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S219 과정을 재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었거나 전원 이상으로 전원이 꺼지는 경우를 대비해 수틀의 이송량이나, 수틀의 원래의 위치를 저장하여 전원이 켜졌을 때 자동으로 수틀이 원래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수동 조작을 통해 수틀을 원래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여도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수 진행중 실 끊어짐이 발생할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실을 끼울 수 있으며, 키가 작은 사용자도 쉽게 실을 끼울 수 있게 된다.

Claims (28)

  1. 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틀 구동수단;
    자수실의 끊어짐을 감지하여 실 끊어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실 끊김 감지수단;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틀 이송량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수틀 이송량 저장수단에 저장된 수틀 이송량 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윗실 끊김인지를 체크하여 윗실 끊김인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윗실 끊김인지를 체크하여 윗실 끊김인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 이송량 저장수단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비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 이송량 저장수단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비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8. 제어신호에 따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틀 구동수단;
    자수실의 끊어짐을 감지하여 실 끊김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실 끊김 감지수단;
    상기 실 끊김 감지 수단으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수틀 이송량을 설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해 수틀 이송 요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요청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요청 신호 생성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틀 이송 요청신호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틀 이송량 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틀이 이송 한계 지점에 도달한 경우 수틀 이송 중지 신호를 출력하는 수틀 이송 한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틀 이송량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 이송량 데이터 저장수단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비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틀이 이송한계지점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틀 이송 한계 감지수단으로부터 수틀 이송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수틀이 정지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 끊김 감지수단으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윗실 끊김인지를 체크하여 윗실 끊김인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 생성수단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원래의 위치로 수틀을 복귀시키기 위해 수틀 복귀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수틀 복귀 요청 신호에 응하여 후방으로 이송된 수틀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틀 복귀 요청 신호에 응하여 후방으로 이송된 수틀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 기능을 갖는 자수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a)사용자가 자수기의 기능 설정부를 통해 자수 디자인을 선택하고, 자수 동작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설정한 후, 자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면,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수동작이 실행되도록 수틀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b)상기 수틀 구동부가 구동되면, 실 끊김 감지부로부터 실 끊김이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실 끊김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틀 구동부가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의 수틀 이송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자수가 진행되면 상기 수틀 이송량의 테이터가 수틀 이송량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실 끊김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 끊김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수틀의 이송량만큼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 끊김 감지부로부터 실 끊김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윗실 끊김인지를 판단하여 윗실 끊김인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실 끊김 감지부로부터 실 끊김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윗실 끊김인지를 판단하여 윗실 끊김인 경우 수틀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가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비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a)사용자가 자수기의 기능 설정 수단을 통해 자수 디자인을 선택하고, 자수 동작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설정한 후, 자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면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수 동작이 실행되도록 수틀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b)상기 수틀 구동부를 구동되면, 실 끊김 감지부로부터 실 끊김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사용자가 수틀 이송량을 설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수틀 이송 요청 신호에 응하여 상기 수틀이 상기 수틀 이송량만큼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이 이송 한계지점에 도달한 경우, 수틀 이송 중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를 설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수틀 이송량의 데이터가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비휘발성 램(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복귀 신호에 응하여 상기 후방에 이송된 수틀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수틀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끊김 발생시 자수기의 수틀 이송 방법.
KR10-2001-0007556A 2000-02-18 2001-02-15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KR10039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556A KR100393419B1 (ko) 2000-02-18 2001-02-15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US09/788,138 US6422163B2 (en) 2000-02-18 2001-02-16 Embroidery machin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 embroidery frame backward in case of thread breakage
CNB011039965A CN1164819C (zh) 2000-02-18 2001-02-16 用于在断线时使绣花框逆向移动的绣花机及方法
JP2001042510A JP2001252487A (ja) 2000-02-18 2001-02-19 糸切れ発生時の刺繍枠移送機能を有する刺繍機及び刺繍枠移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98 2000-02-18
KR20000007898 2000-02-18
KR10-2001-0007556A KR100393419B1 (ko) 2000-02-18 2001-02-15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69A KR20010082669A (ko) 2001-08-30
KR100393419B1 true KR100393419B1 (ko) 2003-08-02

Family

ID=2663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556A KR100393419B1 (ko) 2000-02-18 2001-02-15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22163B2 (ko)
JP (1) JP2001252487A (ko)
KR (1) KR100393419B1 (ko)
CN (1) CN116481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63B1 (ko) * 2001-06-04 2008-08-01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재봉틀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54B1 (ko) * 2002-10-10 2005-03-17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단사 감시장치 및 방법
JP2010136870A (ja) * 2008-12-11 2010-06-24 Brother Ind Ltd 刺繍枠移送装置
CN110468528B (zh) * 2019-09-23 2021-03-30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旋梭更换方法、控制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197123B (zh) * 2021-12-30 2022-09-30 诸暨远景机电有限公司 链式刺绣机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2111A1 (en) * 1988-08-22 1990-03-08 The Liposome Company, Inc. Platinum complexes of single isomer neoalkyl acids
JPH06101157A (ja) * 1992-09-18 1994-04-12 Brother Ind Ltd 多頭形刺繍ミシン
JPH06101156A (ja) * 1992-09-18 1994-04-12 Brother Ind Ltd 多頭形刺繍ミシン
KR0149028B1 (ko) * 1990-08-04 1998-10-15 틸만스;크라인 실절단의 발생시 재봉틀의 구동정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278B2 (ja) * 1989-08-17 1998-07-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US5359949A (en) 1992-05-18 1994-11-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system having function to store operation-state data upon detection of abnormality
JPH11267386A (ja) 1998-03-24 1999-10-05 Brother Ind Ltd 多頭式刺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2111A1 (en) * 1988-08-22 1990-03-08 The Liposome Company, Inc. Platinum complexes of single isomer neoalkyl acids
KR0149028B1 (ko) * 1990-08-04 1998-10-15 틸만스;크라인 실절단의 발생시 재봉틀의 구동정지장치
JPH06101157A (ja) * 1992-09-18 1994-04-12 Brother Ind Ltd 多頭形刺繍ミシン
JPH06101156A (ja) * 1992-09-18 1994-04-12 Brother Ind Ltd 多頭形刺繍ミ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63B1 (ko) * 2001-06-04 2008-08-01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재봉틀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69A (ko) 2001-08-30
CN1164819C (zh) 2004-09-01
US6422163B2 (en) 2002-07-23
JP2001252487A (ja) 2001-09-18
US20010023656A1 (en) 2001-09-27
CN1309205A (zh)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037A (en) Multi-head embroidery machine with thread cutting function
KR100393419B1 (ko) 실 끊김 발생시 수틀 이송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수틀이송 방법
JP2006239231A (ja) ミシン制御装置及び多針ミシン
US6996451B1 (en) Control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S6013714B2 (ja) ミシン
US5947043A (en) Sewing machine having multiple needles
JP2006304962A (ja) ミシン
JP2006187417A (ja) ミシン
CN101153433B (zh) 缝纫机及其控制装置
KR100339699B1 (ko) 작업저장 기능을 갖는 자수기 및 이의 자수제어방법
US5784989A (en) Sewing machine having thread cutting mechanism
US20030005870A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with lower thread winding device
US643914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0644956B2 (ja) コンピュータ刺しゅう機の初期製御方法
CN1316091C (zh) 缝纫机及其控制方法
CN101798728A (zh) 缝纫机和线张力设定方法
JP3092684B2 (ja) ミシンの布端制御装置
JPH0610957Y2 (ja) ミシン
JP3543374B2 (ja) 刺繍ミシン
JP2005198814A (ja) ミシン
JPH05269282A (ja) ミシンの布端位置制御装置
JPH05337276A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2002346258A (ja) 刺繍縫いミシンの模様編集装置及び刺繍縫いミシン
JP2628918B2 (ja) ミシンのステツチ縫いコントロール装置
JPH08294588A (ja) ミシンの縫い機構を利用する刺繍縫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