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349A - 청소기 충전대 - Google Patents

청소기 충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349A
KR20210040349A KR1020210044175A KR20210044175A KR20210040349A KR 20210040349 A KR20210040349 A KR 20210040349A KR 1020210044175 A KR1020210044175 A KR 1020210044175A KR 20210044175 A KR20210044175 A KR 20210044175A KR 20210040349 A KR20210040349 A KR 2021004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harging
battery
du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363B1 (ko
Inventor
김남희
남보현
황정배
김진주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8082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4034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 충전대는,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를 지지하고, 상기 청소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는 먼지 수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 충전대 {Charging device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 충전대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청소기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식 배터리는 수시로 충전되어야만 청소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는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시에 청소기를 거치할 수 있는 충전대를 필요로 한다.
선행문헌인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03956호에는 진공 청소기 충전대에 대한 내용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진공 청소기 충전대는 진공 청소기를 충전하는 동시에 거치하도록, 진공 청소기의 헤드를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 및 진공 청소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핀이 구비된 지지대를 포함한다.
한편, 선행문헌의 진공 청소기 충전대는 청소기 본체의 충전은 가능하나 배터리의 별도로 충전할 수 없다. 따라서, 청소 중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청소기 본체를 다시 충전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소기가 지지된 상태에서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를 수집할 수 있는 청소기 충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소기의 충전과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 충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청소기 및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를 컴팩트하게 거치할 수 있는 청소기 충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청소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청소기 충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는,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를 지지하고, 상기 청소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충전 단자가 구비되는 제1면과,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는 먼지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은 상기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이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이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태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에는 연장관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은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충전 단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먼지통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충전 단자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대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먼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를 가지는 제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충전대는, 상기 먼지통의 먼지를 상기 먼지 수집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전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에 놓이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충전 단자 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바닥면 까지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충전대는, 상기 청소기에서 분리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는, 배터리와, 원통형상의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를 지지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상기 배터리와 접촉하는 충전 단자; 상기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는 먼지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면과 나란하며,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과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태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대는, 상기 청소기에서 분리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대에 청소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청소기의 먼지통이 충전대의 먼지 수집부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먼지통을 직접 비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본체에 구비된 제1충전단자 및 제2본체에 구비된 제2충전단자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충전과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중 청소기가 방전되더라도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 충전대는 제2본체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청소기는 제2본체의 상측에서 배터리를 커버하도록 거치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및 청소기가 상하로 거치됨에 따라, 청소기 충전대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 충전대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 충전대가 스탠드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2본체의 상측에 청소기가 거치되며 청소기의 하방에 배터리가 수용됨으로써 청소기 충전대의 무게 중심이 배터리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므로, 청소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청소기 충전대에 청소기가 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청소기가 청소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b)는 록킹부가 청소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청소기 충전대에서 보조 배터리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ㄷ다.
도 8은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제2본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제1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5 배터리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제2본체의 배터리 수용공간에 보조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충전대에서 노즐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충전대가 지지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는 청소기가 거치된 충전대가 벽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1본체가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에 청소기가 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정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측면도이고, 도 4은 도 1의 청소기 충전대의 배면도이고, 도 5는 청소기 충전대에 청소기가 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10)는 청소기(30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대(100)는 상기 청소기(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3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300)는 흡입모터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310),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320), 연장관(330) 및 흡입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3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노즐(340) 및 상기 연장관(330)을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310)로 유입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310)에는 상기 흡입노즐(3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3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대(100)는 제1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는 제1충전단자(1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충전단자(113)는 상기 청소기(300)의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청소기(3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대(100)는 상기 제1본체(110)와 연결되며, 보조 배터리(302)가 수용되는 제2본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130)는 상기 제1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와 상기 제2본체(13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는 상기 청소기(3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충전하기 위한 제2충전단자(131)(도 1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충전단자(113)에 의한 상기 청소기(300)의 충전과, 상기 제2충전단자(131)에 의한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300)의 충전과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어느 하나의 충전이 이루어진 후에 나머지 하나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300)의 충전과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이 교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충전단자(113)에 의한 상기 청소기(300)의 배터리가 완충된 후 상기 제2충전단자(131)에 의한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충전단자(131)에 의한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1충전단자(113)에 의한 상기 청소기(300)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에는 여분의 노즐(303, 30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303, 304)은 청소기 등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교체 가능한 흡입노즐을 용도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흡입노즐은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나, 이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303, 304)을 상기 제1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분실 위험이 감소하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여분의 노즐(303, 304)을 "액세서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제2본체(1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6)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본체(130)에 선택적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제2본체(130)가 아니라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청소기 본체(3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310)에는 상기 고정부재(116)가 삽입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충전대(100)에는 상기 고정부재(116)의 인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2본체(130)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6)와 상기 청소기 본체(3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의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청소기 가이드(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는 바닥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310)는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를 따라 후방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제1충전단자(113)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를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3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를 "청소기 지지부(137)"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의 상방에 상기 청소기(300)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는 상기 제2본체(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특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의 후단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310)는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를 따라 상기 제1충전단자(113) 측으로 가이드된 후 상기 고정부재(116)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충전대(100)는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록킹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제1본체(1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청소기(300)와 결합하여 상기 청소기(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과 결합하여 상기 청소기(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의 내주면은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록킹부(120)를 전후방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마찰력이 제공되는 미끄럼 방지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2)는 상기 록킹부(120)의 외주면에 돌출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300) 충전대(10)는 상기 충전대(10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20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210) 및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충전대(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베이스(210)와 결합하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10)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부는 상기 충전대(10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부는 상기 충전대(100)의 무게 중심(G)의 연직 하방에서 상기 충전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충전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114)은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본체(110)에는 상기 전선(114)이 연결되는 연결단자(1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114)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단자(117)를 통해 상기 제1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117)에는 상기 제1충전단자(113)와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114)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제1충전단자(113) 및 상기 제2충전단자(131)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117)는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117)는 상기 제1충전단자(113)와 상기 제2충전단자(1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단자(117)는 상기 제1충전단자(113)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연결단자(117)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114)의 타단부에는 전원 플러그(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 등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선(114)은 상기 지지대(22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114)은 상기 지지대(2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21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의 배면에는 상기 전선(114)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114)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210)의 측면부 또는 저면부를 통해 다시 상기 베이스(2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에는 상기 전선(114)을 감기 위한 코드릴(cord reel)(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릴은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전선(114)의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청소기(300)의 흡입노즐(340)이 거치되는 경사면(213) 및 상기 청소기(300)의 흡입노즐(3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5)는 상기 경사면(213)의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5)는 상기 흡입노즐(34)이 상기 베이스(2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1본체(110)에는 먼지 수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수집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에 구비된 먼지통(31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315)에 집진된 먼지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의 흡입모터에 발생하는 흡입력 또는 상기 먼지 수집부에 구비된 별도의 장치에서 발생한 흡입력 의해 상기 먼지 수집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수집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315)에 집진된 먼지를 직접 비우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는 벽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본체(110)가 외력에 의해 벽면에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는 상기 충전대(100)를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5a, 115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대(100)는 상기 지지대(2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도 20 참조). 상기 고정부(115a, 115b)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5a, 115b)에 벽면에 설치된 못 등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110)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충전대(10)는 이격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190)는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90)는 벽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110)와 상기 벽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190)는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이격부재(190)가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 밀착되도록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 충전대(10)가 벽면에 연결되는 경우나 바닥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이격부재(190)가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 밀착되도록 접어서 보관하고, 상기 청소기 충전대(10)가 상기 스탠드(2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부재(190)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격부재(190)는 플레이트(191)와 상기 플레이트(191)가 제1본체(110)의 배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하는 힌지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19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대(10)에 상기 청소기(300)가 결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충전대에 청소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청소기가 청소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 6의 (b)는 록킹부가 청소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310)는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310)는 상기 제1충전단자(11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제1본체(110)에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a)는 후방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제1본체(110)에는 상기 록킹부(12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록킹부(120)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되도록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에는 가압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3)는 상기 록킹부(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3)는 상기 청소기 본체(310)가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이 상기 가압부(123)를 가압하면, 상기 록킹부(120)가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120)가 작동하면, 상기 록킹부(120)는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2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록킹부(120)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을 상기 제1본체(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청소기 충전대에서 보조 배터리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본체(130)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공간(130a)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터리 가이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프레임(30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2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3021)은 전후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사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3021)의 저면에는 돌출부(30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22)에는 후술할 제2충전단자(131)가 관통하는 단자홀(30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구비된다. 상기 단자홀(3023) 내에는 상기 제2충전단자(131)와 접촉하는 배터리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홀(3023)은 상기 돌출부(3022)의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하방으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상기 단자홀(3023)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는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상기 단자홀(3023)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3022)의 하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3022)는 상기 프레임(3021) 저면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는 다수의 결합부(3024, 30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부(3024, 3026)는 상기 프레임(30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3024)와, 상기 프레임(302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30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024)와 상기 제2결합부(3026)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결합부(3024)와 상기 제2결합부(3026)는 각각 상기 프레임(3021)의 전후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측에서 바라보면 상기 제1결합부(3024)와 상기 제2결합부(3026)는 각각 상기 프레임(3021)의 좁은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024)는 상기 프레임(3021)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024)는 상기 프레임(3021)의 상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3024)는 상기 프레임(3021)의 외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프레임(3021)과 상기 제1결합부(302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 의해서 상기 제1결합부(3024)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302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024)는 제1후크(30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3025)는 상기 제1결합부(3024)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에는 상기 제1결합부(3024)의 제1후크(3025)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3024)의 제1후크(3025)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에 삽입된다.
상기 제2결합부(3026)는 상기 프레임(30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후크(30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3026)는 상기 프레임(302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3026)가 상기 프레임(30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2결합부(3026)로 제공한다.
상기 제2결합부(3026)는 일 예로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320) 내부의 배터리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3024)가 구비되는 면을 제1면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2결합부(3026)가 구비되는 면을 제2면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302)에서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교차되는 면을 제3 및 제4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3면은 상기 제4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면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3 및 제4면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21)의 상면부에는 단턱부(30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028)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 내부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구비된 상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은 도 7의 제2본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2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제1본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15 배터리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은 상기 제2본체(13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공간(130a)은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의 폭이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본체(130)의 측면부는 상기 제2본체의(130)의 전면부 및 후면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본체(1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충전시키기 위한 제2충전단자(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제1충전단자(113)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제2본체(130)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302)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에는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구비되는 함몰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33)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돌출부(30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133)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바닥면(130b)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33)는 상기 제2본체(130)의 바닥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함몰부(133)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13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상방으로 돌출된 길이는 함몰부(133)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충전단자(131)의 상단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바닥면(130b)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함몰부(133)에 수용되므로, 상기 제2충전단자(131)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302)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홈부(132, 134,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홈부(132, 134, 112)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측면부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홈부(132, 134, 112)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홈부(132)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홈부(134) 및 제3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홈부(132)는 상기 제2본체(130) 전면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부(132)는 상기 제1결합부(3024)의 저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U자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홈부(134)는 상기 제2본체(130)의 후면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부(134)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홈부(134)는 상기 제1홈부(13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홈부(1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부(134)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홈부(112)는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본체(110)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홈부(112)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홈부(112)는 상기 제2홈부(13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부(134)는 상기 제3홈부(112)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홈부(11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홈부(134)와 하나의 홈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홈부(132)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1결합부(3024)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홈부(134)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2결합부(3026)가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홈부(132)는 상기 제1결합부(3024)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홈부(134)는 상기 제2결합부(3026)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후크(3025)가 수용되는 보조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홈(132a)은 상기 제1홈부(13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홈(132a)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홈(132a)의 상단은 상기 제1홈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청소기(300)에 구비된 배터리 하우징(320)에 삽입되는 경우와 달리,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부(3024)와 상기 제2결합부(3026)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손쉽게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5)는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35)는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엘이디(LED)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135)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잔량을 3단계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135)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잔량을 상중하로 나누고 각 단계에 따라 다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5)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충전 중에는 점멸됨으로써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136)는 상기 청소기 가이드(137)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본체(130)로 인입되는 보조 배터리(302)의 단자의 위치가 상기 제2충전단자(131)의 위치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인출 또는 인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인출입되는 입구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138)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138)의 상단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302)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입구부(138)의 내주면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구부(138)의 내주면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의 내주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138)와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의 경계에는 안착부(138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단턱부(3028)는 상기 안착부(138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직접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상기 배터리 가이드(136)보다 폭이 넓은 입구부(138)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30)에는 배수홀(1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39)은 상기 제2본체(130)의 저면에 형성되며 외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39)은 상기 제2본체(130) 내부로 유입되는 물 등의 액체가 상기 제2본체(130) 내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139)가 물 등의 액체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39)은 상기 함몰부(13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충전단자(13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충전단자(131) 주변부에 고인 물 등의 액체가 곧바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139)은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제2본체의 배터리 수용공간에 보조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1결합부(3024)는 상기 제1홈부(132)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홈부(132)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1결합부(3024)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2결합부(3026)는 상기 제2홈부(134)의 바닥면(134a)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제2홈부(134)의 바닥면(134a)과 상기 제3홈부(112)의 바닥면(112a)이 서로 연결되어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302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홈부(112)의 바닥면(112a)에도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2결합부(3026)는 상기 제2홈부(134)의 바닥면(134a)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2결합부(3026)의 측면부는 상기 제3홈부(112)의 측면부(112b)와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결합부(3026)와 상기 제3홈부(112)의 측면부(112b)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제2결합부(3026)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손쉽게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면, 상기 제2충전단자(131)는 상기 단자홀(3023)을 관통한다. 상기 돌출부(3022) 내측에는 상기 단자홀(3023)을 관통한 제2충전단자(131)와 접촉하는 배터리 단자(302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302)는 상기 제2충전단자(131)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02)의 제1결합부(3024)와 제2결합부(3026)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조 배터리(302)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130a)에 손쉽게 인출입할 수 있다.
도 18은 충전대에서 노즐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본체(110)에는 상기 여분의 노즐(303, 304)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부(118a, 118b)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8a, 118b)는 상기 제1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노즐(303, 304)을 상기 연결부(118a, 118b)에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분의 노즐(303, 304)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충전대가 지지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는 청소기가 거치된 충전대가 벽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대(100)에는 상기 지지대(220)가 결합되는 결합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19)는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결합부(11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본체(110)와 상기 지지대(2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115a, 115b)를 이용하여 상기 제1본체(110)를 벽면(2)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1은 제1본체가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은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본체(110)의 배면(111)은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청소기(300)는 상기 제1본체(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거치되고,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청소기(300)의 측방에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청소기(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본체(110)는 사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충전대에 청소기가 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청소기 충전대는 앞선 실시 예의 청소기 충전대와 비교하여 배터리 수용공간의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청소기 충전대는 제2본체(130)에 배터리(302)가 수용되며, 수용된 상태에서 충전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의 청소기 충전대의 경우 앞선 실시 예와 달리 배터리 수용공간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앞선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본체(130)의 상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의 경우, 청소기 충전대에 청소기(300)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 수용된 배터리(30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청소기(300)에 의해 커버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서 상기 배터리(302)가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300)가 상기 청소기 충전대에 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300)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게 된다.
100: 충전대 110: 제1본체
120: 록킹부 200: 스탠드
210: 베이스 220: 지지대
300: 청소기

Claims (17)

  1.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를 지지하고, 상기 청소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충전 단자가 구비되는 제1면과,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는 먼지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은 상기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청소기 충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이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청소기 충전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이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청소기 충전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태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는 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에는 연장관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은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청소기 충전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충전 단자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충전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먼지통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충전대.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충전 단자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청소기 충전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먼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를 가지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를 바라보는 청소기 충전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는, 상기 먼지통의 먼지를 상기 먼지 수집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전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에 놓이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충전 단자 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바닥면 까지의 거리 보다 짧은 청소기 충전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는, 상기 청소기에서 분리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14. 배터리와, 원통형상의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를 지지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상기 배터리와 접촉하는 충전 단자;
    상기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먼지통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는 먼지 수집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면과 나란하며,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면과 수직한 청소기 충전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태의 먼지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는 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는, 상기 청소기에서 분리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보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충전대.
KR1020210044175A 2016-05-09 2021-04-05 청소기 충전대 KR102405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62 2016-05-09
KR1020160056462 2016-05-09
KR1020160108639A KR10262640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충전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39A Division KR10262640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충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349A true KR20210040349A (ko) 2021-04-13
KR102405363B1 KR102405363B1 (ko) 2022-06-07

Family

ID=6080828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42A KR102603584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거치대
KR1020160108640A KR102626404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의 충전대 및 청소기의 거치대
KR1020160108641A KR10260358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의 충전대
KR1020160108639A KR10262640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충전대
KR1020160171723A KR101968588B1 (ko) 2016-05-09 2016-12-15 청소기 거치대
KR1020160177828A KR101832328B1 (ko) 2016-05-09 2016-12-23 청소기의 충전기구
KR1020210044175A KR102405363B1 (ko) 2016-05-09 2021-04-05 청소기 충전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42A KR102603584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거치대
KR1020160108640A KR102626404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의 충전대 및 청소기의 거치대
KR1020160108641A KR10260358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의 충전대
KR1020160108639A KR102626405B1 (ko) 2016-05-09 2016-08-25 청소기 충전대
KR1020160171723A KR101968588B1 (ko) 2016-05-09 2016-12-15 청소기 거치대
KR1020160177828A KR101832328B1 (ko) 2016-05-09 2016-12-23 청소기의 충전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660493B2 (ko)
EP (8) EP4111926A1 (ko)
JP (5) JP6864010B2 (ko)
KR (7) KR102603584B1 (ko)
CN (9) CN112932327B (ko)
AU (12) AU2017262301B2 (ko)
DE (3) DE112017002372B4 (ko)
TW (3) TWI732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52B1 (ko) * 2014-02-2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17196024A2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27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5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KR102603584B1 (ko)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5999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0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US10342404B2 (en) * 2016-05-09 2019-07-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CN109953693A (zh) * 2017-12-23 2019-07-02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手持电动工具与附件架的组合及附件架
GB2569821B (en) * 2017-12-30 2020-04-29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CN107997677B (zh) * 2018-01-17 2020-02-11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的收纳装置
JP6941784B2 (ja) * 2018-03-30 2021-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959177B2 (ja) * 2018-04-20 2021-11-0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掃除機収納台
KR102485723B1 (ko) * 2018-05-29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PL3838096T3 (pl) * 2018-06-22 2022-03-28 Bissell Inc. Urządzenie do czyszczenia powierzchni
CN108736548A (zh) * 2018-07-02 2018-11-02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架及吸尘系统
CN108695944A (zh) * 2018-07-02 2018-10-23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设备及吸尘系统
CN108599337A (zh) * 2018-07-02 2018-09-28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机构及吸尘器充电设备
CN108695947A (zh) * 2018-07-02 2018-10-23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设备及吸尘系统
CN108599338B (zh) * 2018-07-02 2024-02-27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架及吸尘系统
CN108670122B (zh) * 2018-07-02 2024-05-03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装置及吸尘器充电设备
CN108695945A (zh) * 2018-07-02 2018-10-23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吸尘器充电设备及吸尘系统
KR102164719B1 (ko) * 2018-07-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WO2020027452A1 (ko)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USD912346S1 (en) * 2018-08-2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cleaner
KR102061513B1 (ko) * 2018-08-30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557817B1 (ko) * 2018-09-04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US20210345849A1 (en) * 2018-10-30 2021-11-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harging bas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system
WO2020107245A1 (zh) * 2018-11-28 2020-06-04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手提吸尘器与充电端子座的组合体
WO2020107244A1 (zh) * 2018-11-28 2020-06-04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充电端子位置可调的吸尘器充电端子座
CN109512334B (zh) * 2018-11-28 2021-04-20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手提吸尘器与充电端子座的组合体
CN109512335B (zh) * 2018-11-28 2021-04-20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充电端子位置可调的吸尘器充电端子座
GB2580309B (en) * 2018-12-24 2021-03-17 Dyson Technology Ltd Storage dock for a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KR20200119063A (ko) * 2019-04-09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충전기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청소기 패키지
DE102019002827A1 (de) * 2019-04-18 2020-10-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Basisstation
EP3725206B1 (de) 2019-04-18 2023-06-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inigungssystems, basisstation und filtereinrichtung
CN113659657B (zh) * 2019-04-24 2023-08-0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充电座及吸尘器充电系统
CN111904322B (zh) * 2019-05-07 2021-11-05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积灰底座和具有其的清洁设备总成
CN110025257A (zh) * 2019-05-24 2019-07-19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吸尘器收纳架以及吸尘器组件
KR20210015602A (ko) * 2019-07-31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DE102019121524A1 (de) * 2019-08-09 2021-02-11 Miele & Cie. Kg Wandhalterung für Staubsauger, Staubsauger und Bodenpflegesystem
US11583156B2 (en) 2019-08-14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36107B1 (ko) * 2019-10-22 2021-04-05 프린텍 주식회사 배터리 격리 구조를 갖는 핸드 블렌더
KR20210073120A (ko)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WO2021143864A1 (zh) * 2020-01-16 2021-07-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收纳站和吸尘装置组件
KR20210093006A (ko) * 2020-01-17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장치
KR102488282B1 (ko) * 2020-03-03 2023-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WO2021177699A1 (ko) 2020-03-03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CN111329388B (zh) * 2020-04-14 2021-07-23 无锡清易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挂架以及吸尘器附件
KR102566393B1 (ko) * 2020-07-03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N111920347B (zh) * 2020-08-12 2021-08-20 义乌市巨界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式自动清洁机
CN114246506B (zh) * 2020-09-24 2022-12-0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充电装置及清洁装置
KR20220046312A (ko) * 2020-10-07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102392550B1 (ko) 2020-10-29 2022-04-28 오장근 흡입력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스틱형 무선진공청소기
EP4255270A1 (en) * 2020-12-07 2023-10-11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stand
USD992226S1 (en) * 2020-12-11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CN113287968B (zh) * 2021-06-11 2022-09-09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CN113576320A (zh) * 2021-08-10 2021-11-02 苏州日新电器科技有限公司 吸尘器充电底座及吸尘器组件
KR102376262B1 (ko)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JP2023067214A (ja) * 2021-10-29 2023-05-1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充電台
KR20230089620A (ko) 2021-12-13 2023-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2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6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7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9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1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8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KR20230089403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89400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ES2945508B2 (es) * 2021-12-31 2023-12-18 Cecotec Res And Development S L Compactador de residuos de estacion de mantenimiento de aspiradoras
CN114795026A (zh) * 2022-03-25 2022-07-29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充电基站、直立臂及清洁系统
WO2024006871A1 (en) * 2022-06-30 2024-01-04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and charging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161A (ja) * 1991-09-26 1993-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160023134A (ko) *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60025245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314A (en) 1908-04-20 1912-10-15 John F Mahlstedt Printing-machine.
JPS4965558U (ko) * 1972-09-16 1974-06-07
JPS4965558A (ko) 1972-10-23 1974-06-25
JPS6017373Y2 (ja) * 1975-06-28 1985-05-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輛用ドア開閉装置
JPS608295B2 (ja) 1975-07-04 1985-03-01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バルブステムとバルブガイドの組合わせ方法
JPS5315768A (en) 1976-07-28 1978-02-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rodu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JPS53157568U (ko) * 1977-05-16 1978-12-11
US4157500A (en) 1977-10-31 1979-06-05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et de Techniques pour l'Aeronautique & l'Automatique Multiperiodical phasemeter
JPS55174850U (ko) * 1979-05-31 1980-12-15
JPS6346059Y2 (ko) * 1980-12-26 1988-11-30
JPS57112755A (en) 1980-12-29 1982-07-13 Dainippon Printing Co Ltd Masking film for plate making
JPH0696352B2 (ja) 1985-01-17 1994-11-30 凸版印刷株式会社 静電印刷用版材
JPH0140400Y2 (ko) * 1985-04-01 1989-12-04
JPS62290428A (ja) * 1986-06-09 1987-12-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0784659B2 (ja) 1986-12-05 1995-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H01209929A (ja) * 1988-02-17 1989-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掃除機の充電装置
JPH03272720A (ja) 1990-03-23 1991-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3015517B2 (ja) * 1991-07-19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燃焼装置
JP3262432B2 (ja) * 1993-11-30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用置台
JP3015517U (ja) * 1995-03-06 1995-09-05 株式会社田窪工業所 家具の転倒防止装置
JPH0936565A (ja) * 1995-07-19 1997-02-07 Ricoh Co Ltd 電子電気機器
US5926909A (en) * 1996-08-28 1999-07-27 Mcgee; Daniel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and charging system
KR19980018401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냉장고 전도방지장치
JPH11205427A (ja) * 1998-01-13 1999-07-30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ドレス電話機の充電器
JP2000040534A (ja) 1998-07-22 2000-02-08 Smk Corp 充電装置
JP2000048863A (ja) * 1998-07-30 2000-02-18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ー充電装置
JP2001149289A (ja) * 1999-09-13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掃除機
JP2001095168A (ja) * 1999-09-27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ならびに電気掃除機
JP3186033B2 (ja) * 1999-10-27 2001-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KR200194997Y1 (ko) 2000-03-16 2000-09-01 주식회사우림전자 밧데리 충전겸용 청소기용 직류전원장치
JP2001321310A (ja) 2000-05-16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3861564B2 (ja) * 2000-05-17 2006-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2001353112A (ja) * 2000-06-15 2001-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212052A (ja) 2000-12-27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246448Y1 (ko) * 2001-06-20 2001-10-17 김석철 세탁물 걸이장치
KR20030041568A (ko) 2001-11-20 2003-05-27 황복희 스팀 청소기용 세척대
JP2003324503A (ja) * 2002-04-26 2003-11-14 Sony Corp 充電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架台装置
DE10231388A1 (de) * 2002-07-08 2004-02-05 Alfred Kärcher Gmbh & Co. Kg Bodenbearbeitungssystem
JP3749204B2 (ja) 2002-07-16 2006-02-22 林純薬工業株式会社 クロムエッチング液からのセリウムの回収方法
JP2004121469A (ja) 2002-10-01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掃除機
KR100506314B1 (ko) * 2003-01-0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JP4091855B2 (ja) 2003-02-10 2008-05-28 嵯峨電機工業株式会社 携帯照明灯及びその充電に使用される充電器
JP4205466B2 (ja) 2003-03-20 2009-01-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576812B2 (ja) 2003-08-27 2010-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用ホルダ、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14320B1 (ko) * 2003-12-26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회전받침 구조
KR100575668B1 (ko) * 2003-12-30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충전장치
CN2798172Y (zh) * 2005-01-04 2006-07-19 张原荣 无线鼠标充电座
KR100560332B1 (ko) * 2005-06-01 2006-03-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집진통 고정/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사이클론집진장치
KR100715774B1 (ko) * 2005-07-22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충전대와 청소 시스템
CN1951310A (zh) * 2005-10-17 2007-04-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自动吸尘器用充电装置
KR100648961B1 (ko) 2005-10-28 2006-11-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657736B1 (ko) * 2005-11-24 2006-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로봇청소기에 대한 충전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2007190289A (ja) * 2006-01-20 2007-08-02 Twinbird Corp 電気掃除機
GB2474176A (en) 2006-07-18 2011-04-06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handle and suction pipe relatively angled
GB2441962B (en) * 2006-09-20 2011-03-02 Dyson Technology Ltd A support device
US9888817B2 (en)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1357051A (zh) * 2007-08-02 2009-02-04 三星光州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的吸入口组件
KR101330734B1 (ko) * 2007-08-24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DE102008011723B4 (de) * 2008-02-28 2015-08-2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aubsauger, insbesondere Haushalts-Staubsauger,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aubsaugers
CN201337394Y (zh) 2008-12-25 2009-11-04 李文钦 一种吸尘与空气清净复合构造
JP2011142733A (ja) * 2010-01-06 2011-07-21 Sony Corp 充電装置
GB2478599B (en) *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DE102010038095B4 (de) * 2010-10-11 2022-07-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ntleerungsstation für einen akkumulatorbetriebenen Elektrostaubsauger
KR101192540B1 (ko) 2010-12-20 2012-10-17 (주)마미로봇 무선 청소기용 다기능 충전기
KR101256636B1 (ko) 2011-03-11 2013-04-19 (주)월드생활가전 진공 청소기
KR20120103956A (ko) * 2011-03-11 2012-09-20 (주)월드생활가전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
JP5983062B2 (ja) 2012-06-08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充電器、及び、充電用端子の配置構造
CN103479296A (zh) * 2012-06-12 2014-01-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杀菌底座的真空吸尘器
CN202840553U (zh) * 2012-07-19 2013-03-27 烟台炅旼电器有限公司 无线扫地机/手用吸尘器用多功能充电座
DE102012108652A1 (de) * 2012-09-14 2014-03-2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JP2014124443A (ja) * 2012-12-27 2014-07-07 Iris Ohyama Inc 電気掃除機
JP5710676B2 (ja) * 2013-04-02 2015-04-3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024124A (ja) * 2013-06-20 2015-02-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012946A (ja) * 2013-07-04 2015-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15001670A1 (ja) * 2013-07-05 2015-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CN104414586B (zh) * 2013-09-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
CA2833555C (en) * 2013-11-18 2020-03-10 Canplas Industries Ltd. Handheld vacuum cleaner and dock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central vacuum system
JP6297833B2 (ja) 2013-12-24 2018-03-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6151193B2 (ja) * 2014-01-20 2017-06-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119915B2 (ja) * 2014-02-27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237376B2 (ja) * 2014-03-24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システム
KR101615430B1 (ko) * 2014-05-09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2016021999A (ja) * 2014-07-16 2016-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04192519U (zh) 2014-09-11 2015-03-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便携式吸尘器的充电底座
KR101637684B1 (ko) 2014-09-26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DE102014119191A1 (de)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WO2016114038A1 (ja) 2015-01-14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機システム
CN105395132A (zh) * 2015-12-16 2016-03-16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带有支架的手持式吸尘器
CN205162974U (zh) * 2015-12-16 2016-04-20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一种手持式吸尘器的支架及一种手持式吸尘器
CN205162975U (zh) 2015-12-16 2016-04-20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的支架及手持式吸尘器
CN205162976U (zh) * 2015-12-16 2016-04-20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带有支架的手持式吸尘器
WO2017195999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5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KR102603584B1 (ko) *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27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0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24A2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US10342404B2 (en) 2016-05-09 2019-07-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1583156B2 (en) * 2019-08-14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161A (ja) * 1991-09-26 1993-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160023134A (ko) *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60025245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6235A4 (en) 2020-01-22
JP7377238B2 (ja) 2023-11-09
EP3756521B1 (en) 2023-01-11
JP6715953B2 (ja) 2020-07-01
KR20170126377A (ko) 2017-11-17
AU2017262301B2 (en) 2020-03-19
AU2017262302B2 (en) 2020-02-27
CN209391859U (zh) 2019-09-17
EP3456235B1 (en) 2022-09-21
CN112932327B (zh) 2023-06-20
KR20170126379A (ko) 2017-11-17
US20220183524A1 (en) 2022-06-16
KR20170126387A (ko) 2017-11-17
EP3756521A1 (en) 2020-12-30
EP3456233A1 (en) 2019-03-20
AU2017264270A1 (en) 2018-11-22
KR102603585B1 (ko) 2023-11-20
TW201739407A (zh) 2017-11-16
TWI732857B (zh) 2021-07-11
TW201739404A (zh) 2017-11-16
JP2021176501A (ja) 2021-11-11
AU2017264271B2 (en) 2020-05-21
AU2017264270B2 (en) 2019-09-26
EP3753462B1 (en) 2022-12-21
EP4176785A1 (en) 2023-05-10
DE212017000131U1 (de) 2018-12-12
CN109068921A (zh) 2018-12-21
EP3456233B1 (en) 2022-08-31
US10660493B2 (en) 2020-05-26
AU2017264266B2 (en) 2019-09-26
AU2017264266A1 (en) 2018-11-22
KR20170126378A (ko) 2017-11-17
DE212017000132U1 (de) 2018-12-17
US20190274506A1 (en) 2019-09-12
CN109068920B (zh) 2022-01-14
EP3456235A1 (en) 2019-03-20
JP2019514596A (ja) 2019-06-06
EP3888515B1 (en) 2023-07-19
JP6934984B2 (ja) 2021-09-15
TW201739405A (zh) 2017-11-16
EP3456233A4 (en) 2020-01-22
JP7080825B2 (ja) 2022-06-06
JP6864010B2 (ja) 2021-04-21
AU2017262323A1 (en) 2018-12-20
AU2019100057A4 (en) 2019-02-21
AU2017262302A1 (en) 2018-11-22
AU2020201739B2 (en) 2021-03-04
DE112017002372B4 (de) 2024-01-25
AU2017262301A1 (en) 2018-11-22
AU2017264271A1 (en) 2018-12-20
JP2020151508A (ja) 2020-09-24
AU2019100056B4 (en) 2019-08-01
CN207444901U (zh) 2018-06-05
CN209884042U (zh) 2020-01-03
KR102626405B1 (ko) 2024-01-18
AU2020201739A1 (en) 2020-03-26
AU2019100056A4 (en) 2019-02-21
KR20170126385A (ko) 2017-11-17
AU2019100057B4 (en) 2019-09-26
AU2021202241A1 (en) 2021-05-13
EP3456236A4 (en) 2020-01-22
KR101832328B1 (ko) 2018-02-26
JP2019514605A (ja) 2019-06-06
EP3456236A1 (en) 2019-03-20
CN207444894U (zh) 2018-06-05
TWI725175B (zh) 2021-04-21
KR102603584B1 (ko) 2023-11-20
CN207444895U (zh) 2018-06-05
EP3456236B1 (en) 2022-08-31
EP3888515A1 (en) 2021-10-06
AU2020203898B2 (en) 2022-01-20
JP2019514595A (ja) 2019-06-06
CN112932327A (zh) 2021-06-11
CN112826365B (zh) 2023-03-21
KR102405363B1 (ko) 2022-06-07
AU2021202241B2 (en) 2022-09-01
EP4111926A1 (en) 2023-01-04
KR20170126380A (ko) 2017-11-17
CN109068920A (zh) 2018-12-21
AU2020203898A1 (en) 2020-07-02
US20180125314A1 (en) 2018-05-10
KR102626404B1 (ko) 2024-01-18
DE112017002372T5 (de) 2019-02-21
US11399676B2 (en) 2022-08-02
US20240057834A1 (en) 2024-02-22
CN109068921B (zh) 2021-03-05
EP3753462A1 (en) 2020-12-23
KR101968588B1 (ko) 2019-04-15
AU2022279412A1 (en) 2023-01-19
CN112826365A (zh) 2021-05-25
TWI743109B (zh)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363B1 (ko) 청소기 충전대
US11839348B2 (en) Cleaner holder
US11363928B2 (en) Cleaner holder
KR102297745B1 (ko)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