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817B1 -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817B1
KR102557817B1 KR1020180105457A KR20180105457A KR102557817B1 KR 102557817 B1 KR102557817 B1 KR 102557817B1 KR 1020180105457 A KR1020180105457 A KR 1020180105457A KR 20180105457 A KR20180105457 A KR 20180105457A KR 102557817 B1 KR102557817 B1 KR 10255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leaner
charging
battery
wireless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318A (ko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8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충전 거치대에 대한 것으로,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각각 대응하는 각 충전 단자가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전력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대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WIRELESS CLEANER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충전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청소기의 거치대는 사용이 종료된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무선 청소기의 특성상,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에 상기 구동으로 인해 소모된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겸용의 거치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대는 상용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대에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충전 단자가, 상기 거치대의 충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단자와 상기 충전 단자는 회로의 형성을 위해 각각 복수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 단자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여 상기 충전 단자 역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배터리 단자에 대응하는 각 충전 단자가 모두 접속되어야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겸용 거치대(이하 충전 거치대라고 칭하기로 한다)의 경우,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등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청소기가 올바른 위치에 거치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지지부에 의해 무선 청소기가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와 충전 거치대의 충전 단자가 각각 접속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외관상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무선 청소기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임을 사용자가 알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무선 청소기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작 사용자가 무선 청소기를 사용하려 할 때에,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전력 부족으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충전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에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거치대 및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거치대 및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는, 상기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각각 대응하는 각 충전 단자가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전력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대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주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상기 거치된 무선 청소기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자력부의 자력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에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충전 거치대와 밀착되는 상기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먼지통과 밀착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 중 상기 자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밀착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가 각각 모두 접속되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회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회로의 형성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서로 다른 알람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충전 거치대에 주변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수신된 알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알림 정보를 그래픽 정보, 오디오 신호,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감지부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된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활성화된 감지부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중 서로 접속된 단자가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상기 충전 거치대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람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버저(buzzer),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버저 또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를 통해 출력되는 광신호로 상기 서로 다른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오디오 신호가 1회 출력되는 제1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일정한 크기 또는 크기 변화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가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를 감지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거치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가,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고,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경우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제어부가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제어부가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다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가,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충전부(110), 감지부(120), 출력부(130) 그리고 메모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거치대(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충전 거치대(1)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충전 거치대(1)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충전부(110)는 복수의 충전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용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와, 무선 청소기에 형성된 복수의 배터리 단자가 각각 접속되면 충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무선 청소기에 내장된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는,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들이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들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들이 형성된 무선 청소기 외관의 일 부분, 즉 밑면과 밀착되고,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회로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로 공급하는 회로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충전 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배터리 단자들이,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에 각각 접속되면, 상기 상용 전원의 전력이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가, 현재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가 올바른 위치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지 않게 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대응하는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충전 회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 충전 회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전력이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20)는 복수의 충전 단자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지지면 상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어, 무선 청소기가 정위치에 거치되면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들이 각 충전 단자들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무선 청소기의 밑면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접촉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지부(120)가 지지면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감지부(120)는 홀(hall) 효과를 이용하여 자력을 검출하는 홀(hall)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청소기는,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될 때에, 상기 충전 거치대(1)에 밀착되는 외관의 일 부분 중 적어도 일 지점에 일정 수준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력부, 즉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센서는 충전 거치대(1)에서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에 상기 무선 청소기와 밀착되는 부분들 중, 상기 자력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상기 홀 센서로부터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에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의 밑면이 상기 충전 거치대(1)에 밀착되는 경우라면, 상기 먼지통 밑면의 일 부분에 상기 자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의 밑면이 밀착되는 충전 거치대의 일 지점에 상기 홀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 센서는 자력부와 접촉되지 않아도 상기 자력부의 자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자력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 지점에 대응하는 충전 거치대(1)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감지부(120)가 충전 거치대(1) 내부에 삽입되는 홀 센서의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감지부(120)는, 거치된 무선 청소기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충전 거치대(1)의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거치대(1)의 경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었을 때 거치된 무선 청소기가 외력에 의해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거치된 무선 청소기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무선 청소기가 정위치에 거치되면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들이 각 충전 단자들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청소기의 양 측면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지부(120)가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의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또는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감지부(120)는 복수의 충전 단자 모두가 대응하는 배터리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충전 회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모두가 각각 대응하는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어,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지 않게 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일부가 대응하는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지 않음으로써 충전회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복수의 충전 단자 일부가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130)는 알람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저(buzzer), 또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3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 신호로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통신부(150)는 충전 거치대(1)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150)는 Wi-Fi 또는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모듈 등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상기 알람 정보를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로부터 알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주변 기기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충전 거치대(1) 주변에 상기 충전 거치대(1)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알람 정보를 감지된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주변 기기는 그래픽 정보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으로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충전 거치대(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충전부(110)의 충전 단자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가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에 접속되는 경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120)를 통해 상기 무선 청소기의 충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 결과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30)를 제어하거나, 또는 충전 거치대(1)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알람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경우, 출력부(130)에서 알람을 출력하거나 또는 주변 기기를 통해 알람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반대로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된 경우, 상기 알람 또는 상기 알람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된 경우에 출력되는 경우의 알람 또는 알람 정보와,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경우의 알람 또는 알람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제어부(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140)는 상기 충전 거치대(1)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알람 또는 알람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센서들로 감지부(120)가 형성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 충전 단자(110)들이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단자(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무선 청소기(2)의 밑면에는 배터리 단자(210)들이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 경우,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 각각과 충전 거치대(1)의 충전 단자(110)들 각각이 접속될 수 있다. 그러면 충전 거치대(1)의 충전부(110)와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사이에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충전 회로를 통해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배터리 단자(210)들 중 어느 하나가 충전 단자(110)와 접속되면,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제1 알람이 출력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알람은 오디오 신호가 1회만 출력되는 알람일 수 있다. 반면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지 않게 거치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제2 알람이 출력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알람은 일정한 크기 또는 일정한 변화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가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알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알람은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알람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인지하고, 무선 청소기(2)를 충전 거치대(1)로부터 탈거하면 상기 제2 알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충전부(110)의 충전 단자들 중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에 접속된 단자가 하나도 없는 경우에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로부터 탈거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다시 거치되는 경우, 상기 과정들을 다시 수행하여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에 따라 제1 알람 또는 제2 알람을 출력할 수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올바르게 거치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거치된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를 교정하는 경우 상기 제2 알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상기 교정에 따라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 각각과 충전 거치대(1)의 충전 단자(110)들 각각이 접속되고, 상기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와 충전부(110) 사이에 충전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알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올바르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 2의 경우는 감지부(120)가 모든 충전 단자(110)와 모든 배터리 단자(21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실제 충전이 이루어지는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알람을 출력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이러한 경우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감지부(120)가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예를 제1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하고, 홀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예를 제2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20)가 충전 거치대(1)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예를 제3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정면도(좌측 도면) 및 측면도(우측 도면)이다.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는 지지면(300) 상의 일 지점에 마이크로 스위치가 감지부(120)로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면(300)은, 배터리 단자(210)들이 형성된 무선 청소기(2)의 밑면과 밀착되며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1)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0)는 무선 청소기가 정위치에 거치되면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들이 각 충전 단자들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무선 청소기의 밑면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접촉 및 압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지지면(300)에 형성된 충전 단자(110)들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300)에 마이크로 스위치(120)가 형성된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 중 적어도 하나와 충전 거치대(1)의 충전 단자(110)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접속되는 경우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감지부, 즉 마이크로 스위치(120)에 무선 청소기(2)의 밑면이 접촉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0)에 압력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감지부(120)는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무선 청소기(2)와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을 때에, 상기 비활성화된 마이크로 스위치(120)가 활성화되어 무선 청소기(2)의 밑면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활성화된 감지부, 즉 활성화된 마이크로 스위치(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제1 알람 또는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정면도(좌측 도면) 및 측면도(우측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는 복수의 충전 단자(1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력을 검출하는 홀(hall)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홀 센서(120)는 감지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 센서(120)는 충전 거치대(1)에서 상기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될 때에 상기 무선 청소기(2)와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청소기(2)가, 상기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될 때에, 상기 무선 청소기(2)의 먼지통(410) 밑면이 충전 거치대(1)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홀 센서(120)는 상기 무선 청소기(2)의 먼지통(410) 밑면이 밀착되는 충전 거치대(1)의 일 부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 센서(120)는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자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120)는, 도 4의 (a) 우측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충전 거치대(1)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홀 센서(120)가 감지부(1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청소기(2)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력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는 이처럼 자력부를 포함하는 무선 청소기(2)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좌측 도면), 및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 결합된 예를 도시한 결합도(우측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의 (b)에 도시된 배면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자력부(400)는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될 때 충전 거치대(1)와 밀착되는 먼지통(410)의 밑면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센서(120)는 무선 청소기(2)에서 상기 자력부(40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 센서(120)는 상기 먼지통(410)의 밑면이 밀착되는 충전 거치대(1)의 지지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먼지통(410)의 밑면이 밀착되는 충전 거치대(1)의 지지면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홀 센서(12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결합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될 때, 상기 먼지통(410)의 밑면에 형성된 자력부(400)로부터 자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 중 충전 거치대(1)의 충전 단자(110)와 접속된 단자가 하나라도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감지부(120), 즉 홀 센서(120)를 통해 상기 자력부(400)의 자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120)를 통해 자력이 검출되면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홀 센서(120)를 통해 자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즉,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감지부(120)는 비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홀 센서(120)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자력을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비활성 상태에 있는 홀 센서(120)를 활성화하여, 무선 청소기(2)에 구비된 자력부(400)의 자력을 검출하도록 상기 홀 센서(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 및 거치된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가 판단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정면도(좌측 도면) 및 측면도(우측 도면)이다.
도 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는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었을 때 무선 청소기(2)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도 5의 (a)에서 도시된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밀착되는 지지면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가이드부(500)는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무선 청소기(2)를, 무선 청소기(2)의 측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로부터 탈거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20)는, 도 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0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가이드부(50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는 경우 접촉에 의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는 경우에,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이 각 충전 단자(110)들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청소기(2)의 양 측면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5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가이드부(500)에 형성된 감지부(120)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제1 알람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5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 즉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활성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가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먼저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활성화된 감지부(120)로부터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지부(120)가 비활성화되어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충전 거치대(1)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충전 거치대(1)에서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제어부(100)가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충전부(110)의 충전 단자(11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에 접속된 단자가 있는 경우, 현재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0 단계에서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2). 상기 S602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20)의 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충전부(110)의 충전 단자(110)들이 배치되는 충전 거치대(1)의 지지면 상에, 상기 충전 단자(110)들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될 때에 상기 지지면 상에 밀착되는 무선 청소기(2)의 밑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S602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서, 상기 무선 청소기(2)와의 접촉 및 상기 무선 청소기(2)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감지 결과, 무선 청소기(2)와의 접촉 및 상기 무선 청소기(2)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무선 청소기(2)와의 접촉 및 상기 무선 청소기(2)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청소기(2)는 거치 시에, 상기 충전 거치대(1)와 밀착되는 일 부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자력부의 자력을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S602 단계는 상기 홀 센서에서,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센서에서,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홀 센서로부터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20)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센서는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무선 청소기(2)를 측면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무선 청소기(2)와 밀착되는 충전 거치대(1)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5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될 때에 상기 가이드부(5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무선 청소기(2)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S602 단계는 상기 접촉 센서에서, 상기 무선 청소기(2)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센서에서 상기 무선 청소기(2)의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가이드부(500)에 형성된 접촉 센서로부터 무선 청소기(2)와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2 단계의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현재의 동작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602 단계의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상태임을 알리는 알람(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S604).
한편 상기 S606 단계는 기 설정된 주변 기기 또는 충전 거치대(1)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에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알람 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는 그래픽 정보나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으로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6 단계에서 제2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06).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충전부(110)의 충전 단자(110)들 중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에 접속된 단자가 없는 경우, 현재 충전 거치대(1)로부터 무선 청소기(2)가 탈거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606 단계의 판단 결과 충전 거치대(1)로부터 무선 청소기(2)가 탈거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알람(제2 알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S608). 그리고 다시 S600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S6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S602 단계에서 S608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알람(제2 알람)을 인지하고 충전 거치대(1)로부터 무선 청소기(2)를 탈거하여 다시 거치하는 경우, 상기 도 6의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알람이 출력되는 상기 S604 단계는,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출력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알람이 출력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를 교정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는 경우라면, 제2 알람의 출력이 종료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S600 단계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부(120)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602 단계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부(120)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120)는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기 전까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600 단계에서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감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활성화된 감지부(120)는 상기 S602 단계에서 무선 청소기(2)의 밀착 또는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602 단계의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된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120)를 다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120)의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오작동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감지부(120)가 실제 무선 청소기(2)에 충전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7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의 제어부(100)가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다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0). 여기서 제어부(100)는 충전 단자(110) 중 어느 하나라도 배터리 단자(210)와 접속된 단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충전 거치대(1)에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700 단계에서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 청소기(2)에 충전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이 있는지, 즉,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와 충전부(110) 사이에 충전 회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충전 단자(110)와 각각의 배터리 단자(210)가 올바르게 접속되어야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S702 단계의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2)에 충전이 시작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도 7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정위치에 올바르게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702 단계의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2)에 충전이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된 상태임을 알리는 알람(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S704). 여기서 상기 S704 단계는 상기 제2 알람에 대응하는 알람 정보를 충전 거치대(1)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 또는 기 설정된 주변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706). 그리고 상기 S706 단계의 판단 결과 충전 거치대(1)로부터 무선 청소기(2)가 탈거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알람(제2 알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S708). 그리고 다시 S600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S7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S702 단계에서 S708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알람이 출력되는 상기 S704 단계는, 무선 청소기(2)의 충전 시작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출력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알람이 출력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무선 청소기(2)의 거치 상태를 교정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2)에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라면, 제2 알람의 출력이 종료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1)에서, 무선 청소기(2)가 거치된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8의 (a)는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제2 알람)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밀착되지 않는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 무선 청소기(2)의 배터리 단자(210)들 중 적어도 하나와 충전 거치대(1)의 충전 단자(110)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감지부(120)를 통해 상기 무선 청소기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상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20)가 홀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홀 센서(120)는 무선 청소기(2)의 먼지통(410) 밑면에 형성된 자력부(400)의 자력을 검출하여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어 자력부(400)와 홀 센서(12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경우, 홀 센서(120)는 상기 자력부(400)의 자력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6의 S602 단계에서 무선 청소기(2)가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도 6의 S604 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즉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람을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충전 거치대(1)에 잘못 거치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충전 거치대(1)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알람 정보를 수신한 주변기기들(900, 950)은 도 8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2)가 잘못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알림 정보는, 그래픽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900)의 디스플레이부(90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950)의 디스플레이부(95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마이크로 스위치와 홀 센서를 각각 하나씩 포함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얼마든지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복수의 홀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부(500)에 구비되는 접촉 센서 역시, 도 5에서 개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무선 청소기(2)와 밀착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감지부(120)가 마이크로 스위치, 홀 센서, 또는 접촉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얼마든지 감지부(120)는 위에서 언급된 센서들이 복수개 및 혼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충전 거치대(1)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가능한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각각 대응하는 각 충전 단자가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전력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 거치대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밀착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주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상기 거치된 무선 청소기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자력부의 자력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에 상기 자력부의 자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상기 충전 거치대와 밀착되는 상기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먼지통과 밀착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 중 상기 자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지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 각각과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각각이 접속되어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회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회로의 형성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서로 다른 알람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충전 거치대에 주변에 위치하거나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수신된 알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알림 정보를 그래픽 정보, 오디오 신호,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감지부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된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활성화된 감지부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 중 서로 접속된 단자가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 청소기가 상기 충전 거치대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람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버저(buzzer),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버저 또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를 통해 출력되는 광신호로 상기 서로 다른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오디오 신호가 1회 출력되는 제1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일정한 크기 또는 크기 변화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가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가 탈거되거나,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될 때까지 상기 제2 알람의 출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6. 무선 청소기의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한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를 감지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거치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무선 청소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가,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가 충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무선 청소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면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무선 청소기의 거치 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1020180105457A 2018-09-04 2018-09-04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10255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57A KR102557817B1 (ko) 2018-09-04 2018-09-04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57A KR102557817B1 (ko) 2018-09-04 2018-09-04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18A KR20200027318A (ko) 2020-03-12
KR102557817B1 true KR102557817B1 (ko) 2023-07-21

Family

ID=6980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57A KR102557817B1 (ko) 2018-09-04 2018-09-04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27B1 (ko) * 2021-11-18 2022-09-05 (주)티케이케이 융과 심지 탈부착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스팀 청소기
KR20230089402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1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7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9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6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3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89398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KR20230089620A (ko) 2021-12-13 2023-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0A (ko)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74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의 배터리 충전 불량시 상태 표시방법
KR20040035325A (ko) * 2002-10-22 2004-04-29 유범상 시각 장애인용 충전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66134A (ko) * 2008-12-09 2010-06-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시스템
KR102626404B1 (ko) * 2016-05-09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충전대 및 청소기의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18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817B1 (ko)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TWI645311B (zh) 用於行動終端機的應用程式控制方法及設備、耳機裝置和應用程式控制系統
KR101945250B1 (ko)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US7330923B2 (en)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88741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osi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100601A (ko)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신호 단자에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 출력하는 전압을 제어 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461129B (zh) 笔迹绘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5745592B (zh) 用于通过感测对象的存在和意图的电子装置中的功率管理的方法和设备
US20120200251A1 (en) Charging apparatus
KR20170055866A (ko)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477853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어포던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212183717U (zh) 耳机盒与耳机套件
CN112399295B (zh) 入盒检测方法、充电方法、无线耳机、充电盒及存储介质
KR20200013548A (ko)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4997B1 (ko)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6376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KR20140108896A (ko) 충격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JP2009217420A (ja) 携帯端末装置
EP3482667A1 (en) Dust sensor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66134B1 (ko) 분리형 스마트워치
JP2014165896A (ja) 携帯端末
CN116680154B (zh) 触控笔操作的处理方法及装置
US9368985B2 (en) Electrical system, input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input apparatus
US7652451B2 (en) Charging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