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250B1 -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250B1
KR101945250B1 KR1020120146591A KR20120146591A KR101945250B1 KR 101945250 B1 KR101945250 B1 KR 101945250B1 KR 1020120146591 A KR1020120146591 A KR 1020120146591A KR 20120146591 A KR20120146591 A KR 20120146591A KR 101945250 B1 KR101945250 B1 KR 10194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plate
movable plate
po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602A (ko
Inventor
황선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250B1/ko
Priority to US14/093,770 priority patent/US9088098B2/en
Priority to EP13195681.5A priority patent/EP2744050B1/en
Priority to CN201310683159.3A priority patent/CN103872504B/zh
Publication of KR2014007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가 접촉되는 접촉 과정,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의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동형 플레이트가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는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커넥팅 시스템,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Connecting Interface and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커넥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형 플레이트를 기반으로 접속 영역이 변경되는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충전이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하여 케이블을 이용하도록 설계된다. 케이블의 양 끝단에는 일정한 커넥터가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는 케이블에 형성된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마련한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커넥팅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외관 일부에 홈을 마련하고, 케이블의 돌출된 커넥터가 해당 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홈에는 다양한 이물질들이 삽입되거나 먼지나 액체 등이 유입되어 홈 인터페이스를 파손시키거나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홈은 전반적인 디자인 설계를 어렵게 하거나 디자인의 실용성 예컨대 홈이 마련된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파손의 위협이 높게 형성되는 점 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시점에 커넥터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커넥터와의 체결력을 보존하도록 지원하며, 커넥터 미 접촉 시점에는 돌출되거나 침하된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장 배치를 수행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뛰어난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넥터에 마련된 연결부와 접속되는 단말 연결부, 상기 커넥터에 마련된 체결부와 접속되는 단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체결부는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접속 시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와 접촉되는 연결부, 상기 단말에 마련된 단말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단말 체결부에 접촉된 후 상기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커넥터 접속 시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상기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플레이트 또는 상기 후퇴된 이동형 플레이트에 의해 노출된 단말 안착부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가 접촉되는 접촉 과정,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의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동형 플레이트가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는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 외관을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파손의 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도 종래 커넥팅 구조의 체결력을 보존 또는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 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팅을 지원하는 단말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팅 지원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멀티 포인트 접촉 구조를 채용한 커넥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이 적용된 덕 커넥터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10)을 형성하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포고 커넥터(200) 및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포고 커넥터(200)에 접촉되도록 설계된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영역에 비하여 돌출되거나 또는 함몰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포고 커넥터(200)의 실제 접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포고 커넥터(200)와의 접속을 위하여 접속 인터페이스(170)를 구성하는 이동형 플레이트가 단말기(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어 포고 커넥터(200)와의 암수 결합을 가지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되기 이전에는 단말기(100)의 특정 표면이 돌출 또는 함몰 없이 유지되도록 하여 디자인 적으로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해당 부분의 파손이나 오염을 방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을 기반으로 단말기(100)와 포고 커넥터(200)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체결을 가질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면서도 경제성이나 추가 부품의 단순화를 통하여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기술을 제시한다.
상술한 포고 커넥터(200)는 단말기(100)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에 따라 전원을 단말기(100)에 공급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포고 커넥터(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와 연결이 필요한 외부 장치의 커넥터 구조를 지시하는 구성으로서, 여기서 외부 장치의 종류는 단말기(100)에 접속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라고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포고 커넥터(200)는 도 1에서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의 단말 체결부(172)에 접속되도록 포고 플레이트를 가지도록 설계하며, 타측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외부 장치에 마련된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고 커넥터(200)의 타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 연결되도록 마련된 코드 형태로 마련되거나, 통신 가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UART 포트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포고 커넥터(200)는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부(270)와 케이블(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측에는 전원 코드나 특정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270)는 포고 체결부(272)와 포고 연결부(271)를 포함하며, 포고 체결부(272)와 포고 연결부(271)를 감싸는 포고 케이스(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로 포고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케이블(220)이 연결될 수 있다.
포고 연결부(271)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171)에 접촉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포고 연결부(271)는 통신 데이터 또는 전원을 단말기(100)에 전달하는 접점 역할을 수행한다. 포고 연결부(271)는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들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돌기들은 스프링 장치가 포함되어 단말기(100)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171)의 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말 연결부(171)와의 접촉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포고 체결부(272)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접속 인터페이스(170) 중 단말 체결부(172)에 접속되어 포고 커넥터(200)를 단말기(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포고 체결부(272)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별로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포고 체결부(272)는 단말기(100)의 단말 체결부(172)와 동일한 면을 가지며 형성되며, 자력을 가지는 포고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단말 체결부(172)에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와의 접촉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고 체결부(272)는 자력을 가진 포고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포고 안착부를 마련하고, 해당 포고 안착부에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포고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포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포고 체결부(272)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근함에 따라 일정 자력을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자력 검출 센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는 포고 체결부(272)가 포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설계 방식에 따라 포고 체결부(272)에 마련되는 플레이트는 자력을 가지지 않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 예컨대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표시부(140) 및 표시부(140)를 감싸는 단말 케이스(180)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 예컨대 제어부나 카메라 모듈 등이 단말 케이스(180) 내외측에 마련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케이스(180)의 일측에는 포고 커넥터(200) 접속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170)가 마련된다. 예컨대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단말 케이스(180)의 측벽 일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주변 영역과 거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단말 연결부(171) 및 단말 체결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결부(171)는 앞서 언급한 포고 연결부(271)와 접촉되어 포고 커넥터(200)에 연결된 전원 장치나 통신 장치와의 전원 수신 또는 통신 데이터 송수신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 연결부(171)는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파인 다수개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연결부(171)에 마련되는 홈은 사실상 매우 작은 높이로 형성되며 포고 연결부(271)에 마련된 다수개의 돌출된 돌기들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거나 또는 해당 돌기들의 높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말 체결부(172)는 금속 재질의 이동형 플레이트와 이 이동형 플레이트를 단말 케이스(180)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원하는 플레이트 구동부 또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는 용수철 형태, 판 스프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 체결부(172)는 포고 커넥터(200)와 접속되기 이전에 단말 케이스(180)의 타 영역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말 케이스(180) 일측이 주변보다 함몰되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되는 시점에 내외측 중 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포고 커넥터(200)에 마련된 포고 체결부(272)와 암수 결합을 수행하여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 체결부(172)의 구조 및 포고 체결부(272)의 구조에 관하여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10)의 구성 중 접촉되는 부분들의 구성만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에서와 같이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단말 연결부(171)와 단말 체결부(172)를 포함하며, 단말 체결부(172)는 단말 안착부(71), 탄성 부재(72) 및 이동형 플레이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안착부(71)는 탄성 부재(72)와 이동형 플레이트(73)가 안착되도록 단말 케이스로부터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형 플레이트(73)는 전면이 단말 케이스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후면에 탄성 부재(72)가 배치된다. 이동형 플레이트(7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자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플레이트(73)는 자력을 가진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72)는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포고 커넥터(200)가 접촉되는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는 포고 커넥터(200)의 포고 플레이트(63)와 접촉되도록 이동하는데, 탄성 부재(72)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포고 커넥터(200)는 포고 연결부(271) 및 포고 체결부(272)를 포함하며, 포고 체결부(2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된 포고 안착부(61)에 일정 깊이로 부착 고정된 포고 플레이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포고 안착부(61)의 깊이는 포고 플레이트(63)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어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안착부(61)의 바닥면에 안착된 이후에도 포고 안착부(61)는 일정 깊이만큼 음각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와 포고 커넥터(200)는 203에서와 같이 포고 커넥터(200)가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됨에 따라 이동형 플레이트(73)가 포고 플레이트(63)에 접촉되도록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형 플레이트(73)가 포고 안착부(61)의 음각된 부분에 삽입된 후 포고 플레이트(63)와 접촉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은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후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분리되면 201에서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어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의 표면과 나란한 면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포고 커넥터(200)가 분리된 이후에도 단말 케이스의 표면을 평평한 면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다라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도록 지원하며, 외압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10)의 구성 중 접촉되는 부분들의 구성만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커넥팅 시스템(10)에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도 2에서 설명한 접속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포고 커넥터(200)는 도 2에서 설명한 포고 체결부(272)가 301에서와 같이 돌출된 포고 플레이트(63)로 대체될 수 있다. 포고 플레이트(63)는 포고 케이스(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그 일부는 포고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케이스(210)에 보다 견고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케이스(210)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포고 플레이트(63)의 일부가 포고 케이스(210) 내측에 배치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 등이 포고 케이스(210) 내측에 도포되어 포고 플레이트(63)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되도록 조작되면, 303에서와 같이 포고 커넥터(200)와 접속 인터페이스(170)가 체결된다. 즉 포고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된 포고 플레이트(63)가 단말 체결부(172)의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밀면서 진입한다. 이때 탄성 부재(72)는 포고 커넥터(200)가 분리된 후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한편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되도록 조작됨에 따라 포고 플레이트(63)가 단말 안착부(71)에 삽입되면, 탄성 부재(72)에 의하여 포고 플레이트(63)가 단말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리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 안착부(71)의 내측면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포고 플레이트(63)가 삽입된 후 탄성 부재(72)에 의하여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고 플레이트(63)가 금속 재질의 단말 안착부(71)에 자기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형 플레이트(73)는 포고 플레이트(63)와의 접촉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포고 플레이트(63)가 단말 안착부(71)에 체결되는 구조에서는 다른 재질 예컨대 고물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폴리 우레탄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단말 연결부(171)와 단말 체결부(172)가 마련되고, 단말 체결부(172)가 단말 안착부(71), 이동형 플레이트(73), 이동축(74) 및 플레이트 구동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 체결부(172)는 플레이트 구동부(75)가 이동축(74)을 조작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어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이동형 플레이트(7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축(74)은 플레이트 구동부(75) 조작에 따라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의 외측으로 밀어내거나, 외측으로 밀어낸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축(74)은 연신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구동부(75)는 늘어나거나 줄어듬이 가능한 이동축(74)의 연신 시점을 제어한다.
예컨대 플레이트 구동부(75)는 401에서와 같이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미접촉된 상태에서는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의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이동축(74)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구동부(75)는 403에서와 같이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포고 커넥터(200)의 포고 플레이트(63)와 접촉되도록 이동축(74)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되면,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73)는 포고 안착부(61)에 진입하면서 포고 플레이트(63)에 접촉된다. 이때 금속 재질의 이동형 플레이트(73)는 포고 플레이트(63)와 자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도 4에서 설명한 접속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단말 연결부(171)와 단말 체결부(172)를 포함하고, 단말 체결부(172)는 단말 안착부(71), 이동형 플레이트(73), 이동축(74), 플레이트 구동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안착부(71)는 도 4에서 설명한 단말 체결부(172)의 구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설명하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의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단말 안착부(71)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포고 커넥터(200)의 구조는 501에서와 같이 포고 연결부(271)와 포고 플레이트(63)로 구성된 포고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고 플레이트(63)는 포고 케이스(2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포고 플레이트(63)의 일부는 포고 케이스(210) 내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포고 커넥터(200)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되는 경우, 포고 플레이트(63)가 이동형 플레이트(73)와 먼저 접촉된다. 그러면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포고 플레이트(63) 접근을 확인하고,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고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된 포고 플레이트(63)가 일정 깊이만큼 진입되도록 지원한다. 이때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되는 길이는 포고 플레이트(63)의 두께에 대응한다. 포고 플레이트(63)가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따라 단말 안착부(71)로 진입하면 단말 연결부(171)와 포고 연결부(271)는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전원 신호나 통신 신호가 포고 연결부(271)를 통하여 단말 연결부(171)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고 플레이트(63)를 이동형 플레이트(73)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적절한 힘 예컨대 포고 플레이트(63)와 이동형 플레이트(73) 간의 자기적(Magnetic) 결합을 해소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함으로써 포고 커넥터(200)를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면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이동축(74)을 조작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이동형 플레이트(73)는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플레이트 구동부(75)의 일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전자석 모듈(310), 제어 모듈(330), 홀 센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전자석 모듈(310)은 이동축(74)과 연결하고, 제어 모듈(330)의 제어에 따라 전자석 모듈(310)의 전자기적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동축(74)의 연신이나 위치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홀 센서(320)를 이용하여 포고 커넥터(200)의 접촉을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이동 지원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홀 센서(320)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근할 경우, 포고 커넥터(200)에 마련된 포고 플레이트(63)로부터 발생된 자력을 감지하고, 자력 감지에 따른 포고 커넥터(200) 접촉을 제어 모듈(3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홀 센서(320)로부터 포고 커넥터(200) 접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석 모듈(310)을 제어하여 이동축(74)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석 모듈(310)에 의하여 이동축(74)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이동축(74)에 연결된 이동형 플레이트(73)가 단말 케이스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포고 체결부(272)와 단말 체결부(172)가 암수 결합의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푸쉬 모듈(340), 제어 모듈(330) 및 홀 센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푸쉬 모듈(340)은 이동축(74)과 연결되어 제어 모듈(330) 제어에 따라 이동축(74)을 단말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단말 케이스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홀 센서(320)는 도 6에서 설명한 홀 센서(3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근하는 경우, 포고 커넥터(200)에 배치된 포고 플레이트(63)의 자력을 감지한다. 홀 센서(320)는 자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 모듈(3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홀 센서(320)로부터 자력 감지에 대한 정보 수신이 발생하면 포고 커넥터(200) 접속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고, 푸쉬 모듈(340)을 제어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 모듈(330)은 도 4에서와 같이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안착부(61)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의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푸쉬 모듈(34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330)은 도 5에서와 같이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케이스(2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인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푸쉬 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 모듈(330)의 이동형 플레이트(73) 이동 제어는 단말 체결부(172)의 형상에 따라 사전 정의되거나 홀 센서(320)가 포고 커넥터(200) 타입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적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홀 센서(320)가 포고 커넥터(200) 타입을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된 돌출형으로 인식하는 경우 제어 모듈(330)은 전자석 모듈(310) 또는 푸쉬 모듈(340)을 이동축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320)가 포고 커넥터(200) 타입을 포고 안착부(61)가 마련되는 함몰형으로 인식하는 경우 플레이트 구동부(75)의 제어 모듈(330)은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양방향 이동형 타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 안착부(71)의 형상이 이를 지원하도록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전자석 모듈(310) 또는 푸쉬 모듈(340) 등을 구비하여 이동축(74)을 이용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구적 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유압이나 공압 방식을 기반으로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이동시키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피에조 방식(Piezoelectric)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커넥팅 시스템(10)의 구조에서 플레이트 구동부(75)를 채용하는 구성이 홀 센서(320)를 포함하여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전자석 모듈(310)이나 푸쉬 모듈(340) 또는 기타 다양한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만을 포함하고, 이동축(74)의 기계적 조작을 지원하거나, 직접적으로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이동을 지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10) 구성 중 단말기(100)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플레이트 구동부(75), 접속 인터페이스(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포고 커넥터(200)가 접촉되면 플레이트 구동부(75)를 제어하여 접속 인터페이스(170) 포함된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촉된 포고 커넥터(200)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171)에는 포고 연결부(271)가 접촉되는 경우 전압 등이 변경될 수 있도록 풀업 전압을 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풀업 전압 변경에 따라 포고 커넥터(200)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통화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웹 접속 기능 등 다양한 통신 관련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단말 연결부(171)와 포고 연결부(27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포고 커넥터(20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정보를 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조작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버튼키나, 사이드키, 홈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풀터치스크린 지원을 위해 가상 터치 패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 터치 패드는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면, 포고 커넥터(200)의 본체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 또는 포고 커넥터(200)와 연결된 외부 장치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20)가 생성한 입력 신호는 단말기(100) 구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포고 커넥터(200)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와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포고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특성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포고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가 스피커 장치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출력 기능이 차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마이크(MIC) 기능만 활성화될 수 있다. 포고 커넥터(200)와 연결된 스피커 장치가 마이크 기능 까지도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가 지원하는 마이크 기능도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30)는 포고 커넥터(200)의 연결 및 분리에 대응하는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이나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해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나 OLED 등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포고 커넥터(200)가 연결되는 경우, 포고 커넥터(200) 연결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포고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연결된 포고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기타 제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포고 커넥터(200)가 스피커 장치인 경우 표시부(140)는 포고 커넥터(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와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포고 커넥터(200)에 포함된 키 입력부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여 전달되면, 전달된 키 입력 신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포고 커넥터(200)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디케이터 영역 또는 특정 화면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또는 특정 단말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화상 통화 지원 시 화상 통화 지원을 위한 화상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외부 서버 접속을 위한 서버 접속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포고 커넥터(200) 접속에 따른 체결 지원을 위하여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151)은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서,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171)에 포고 연결부(271)가 접속되는 경우 포고 커넥터(200) 접속에 따른 인식을 수행하는 루틴, 포고 커넥터(200) 접속 시 플레이트 구동부(75)를 제어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루틴, 포고 커넥터(200)의 분리 시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원래의 위치로 복구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151)은 포고 커넥터(200) 접속 시 연결된 포고 연결부(271)를 통하여 포고 커넥터(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따른 이동형 플레이트(73) 이동을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단말 연결부(171) 및 단말 체결부(17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포고 커넥터(200)와 연결되어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단말 체결부(172)를 이용하여 포고 커넥터(200)에 마련된 포고 체결부(272)와 체결되며, 특히 포고 체결부(272)에 마련된 포고 플레이트(63)와 자기적으로 접촉된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플레이트 구동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이동시키도록 조작되는 이동축과 연결되거나 공압이나 유압 등을 이용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직접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원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과 분배 및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신호 전달과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고 커넥터(200) 접촉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및 포고 커넥터(200)의 견고한 체결 지원을 위하여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면 단말 연결부(171)를 이용하여 포고 커넥터(200)의 종류를 확인하거나, 포고 커넥터(200)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포고 커넥터(2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포고 플레이트(63)가 돌출된 포고 커넥터(200)인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안쪽으로 이동되도록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포고 플레이트(63)가 포고 케이스(210)의 전면으로부터 음각된 포고 안착부(61) 내측에 배치되는 함몰된 포고 커넥터(200)인 경우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플레이트 구동부(75)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포고 커넥터(200)가 돌출형과 함몰형 두 타입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타입으로 통일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포고 커넥터(200)의 종류 확인없이 포고 커넥터(200) 접속 확인 시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사전 정의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원 위치로 복구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 운용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은 901 단계에서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없는 경우 903 단계로 분기하여 발생되는 입력 이벤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없는 사용자 기능 예컨대 통화 기능이나 파일 검색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포고 커넥터(200) 연결을 인식하기 위하여 홀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 연결부(171)에 접촉된 포고 연결부(271)에 의한 전기적 신호 변화나, 포고 커넥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통하여 포고 커넥터(200)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901 단계에서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발생하면 905 단계로 분기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현재 위치에서 사전 정의된 일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이동형 플레이트(73)를 단말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 케이스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이동 이후, 단말기(100)는 포고 커넥터(200) 연결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907 단계에서 포고 커넥터(200) 연결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해제되면, 단말기(100)는 909 단계로 분기하여 이동형 플레이트(73)를 원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9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907 단계에서 포고 커넥터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 905 단계로 분기하여 이동된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포고 커넥터(200) 연결 기반의 사용자 기능 지원을 수행하거나,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10)은 포고 커넥터(200)와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 접속 시에만 단말 케이스(180) 일측을 돌출시키거나 후퇴되도록 함으로써 포고 커넥터(200)와 암수 결합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구동부(75)가 포고 커넥터(200)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단말 연결부(171)와 단말 체결부(172)를 포함하는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는 포고 커넥터(200)를 포함하되,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 구동부(75)가 포고 커넥터(200)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 체결부(172)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안착부(71), 탄성 부재(72) 및 이동형 플레이트(73)만을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 안착부(71)는 이동형 플레이트(7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되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전면에 의하여 개구부가 대체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형태의 음각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72)는 단말 안착부(71)의 바닥부와 이동형 플레이트(73) 사이에 배치되어, 단말 안착부(71)를 기준으로 이동형 플레이트(73)에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이동형 플레이트(73)는 탄성 부재(72)와 연결되며 포고 커넥터(200)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면이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포고 커넥터(200)는 포고 연결부(271)와 포고 체결부를 포함하며, 포고 체결부는 포고 플레이트(63), 이동축(64) 및 플레이트 구동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고 커넥터(200)에 마련된 이동축(64) 및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한 이동축(74) 및 플레이트 구동부(75)과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구동부(75) 구동을 위한 전원은 포고 커넥터(200)가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거나 자체 전원이 배치되거나 전원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면 포고 커넥터(200)의 플레이트 구동부(75)는 이동축(64)을 조작하여 포고 플레이트(63)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포고 플레이트(63)를 포고 케이스(2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축(74)을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고 플레이트(63)의 전면은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전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는 시점 검출을 위하여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가 자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포고 플레이트(63)는 자력이 없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73)가 자력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플레이트 구동부(75)에 마련된 홀 센서는 자력을 가진 이동형 플레이트(73)의 접근을 인식하며,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홀 센서 동작에 따라 포고 플레이트(63)를 이동시켜 접속 인터페이스(170)의 단말 안착부(7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지원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 구조에서 멀티 포인트로 구현된 커넥팅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두 곳의 단말 안착부(71)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단말 안착부(71)에 이동형 플레이트(73)들을 배치하여, 포고 커넥터(200)와의 연결을 지원한다. 포고 커넥터(200)는 멀티 포인트로 구현된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와 접속하기 위하여 두 곳에 포고 플레이트(63)들을 배치한 포고 안착부(61)들을 마련할 수 있다. 단말 연결부(171)는 이동형 플레이트(73)들의 중앙에 배치되며, 포고 연결부(271) 역시 포고 안착부(6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다 견고한 커넥팅 체결 구조가 요구되는 단말이나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에서, 플레이트 구동부(75)는 포고 커넥터(200)가 접속되면, 두 곳의 이동형 플레이트(73)들을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고,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73)들은 포고 안착부(61)들에 각각 안착되며 자력을 가지는 포고 플레이트(63)들과 접촉될 수 있다. 포고 커넥터(200)가 분리되면 두 개의 이동형 플레이트(73)들은 원래의 위치 즉 플레이트 전면이 단말 케이스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이 적용되는 덕(Dock) 커넥터(300)와 단말기(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덕 커넥터(300) 역시 앞서 설명한 포고 커넥터(200) 구동과 동일하게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면이 단말기(100) 삽입 이전에는 평평한 면으로 유지하다가, 단말기(100)가 삽입되면 덕 플레이트(30)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의 이동형 플레이트(73) 및 덕 플레이트(30)의 암수 결합 구조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구조들에 적용된 사례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덕 커넥터(300) 구조의 경우 덕 커넥터(3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말기(1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덕 플레이트(30)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돌출된 덕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 부분과 잦은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잦은 마찰은 단말기(100)의 접속 인터페이스(170) 부분을 마모시키거나 파손시키기 때문에 덕 플레이트(30)가 돌출되지 않는 실시 예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덕 커넥터(300)는 포고 커넥터(200)와 마찬가지로 단말 연결부와 접촉되어 전원 신호나 통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덕 커넥터(300)에서는 덕 플레이트(30)가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에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는 단말 케이스(18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덕 플레이트(30)가 이동되어 마련된 안착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은 단말기(100)의 케이스 일측에 마련된 접속 인터페이스 구조를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고 케이스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마련한다. 그리고 포고 커넥터(200)나 덕 커넥터(300)와 같이 접속이 요구되는 커넥터 연결이 시도되면, 접속 인터페이스 구조를 돌출시키거나 함몰되도록 변형하여 커넥터와의 암수 결합 형태를 가지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10)은 단말기(100)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고 미적으로도 뛰어한 디자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커넥터와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었던 또는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커넥팅 시스템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플레이트 구동부 180 : 접속 인터페이스
200 : 포고 커넥터 300 : 덕 커넥터

Claims (20)

  1. 커넥터에 마련된 연결부와 접속되는 단말 연결부;
    상기 커넥터에 마련된 체결부와 접속되는 단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체결부는
    단말 케이스 표면과 평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접속 시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체결부는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말 안착부;
    상기 단말 안착부의 바닥면과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체결부는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말 안착부;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의 이동 조작을 위한 이동축;
    상기 이동축 조작을 통하여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커넥터 접속 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를 상기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 접속 해제 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를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도록 배치하는 전자석 모듈 및 푸쉬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커넥터에 마련된 자력을 가진 플레이트 감지를 위한 홀 센서;
    상기 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전자석 모듈 및 푸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제어를 지원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커넥터 접속 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를 상기 단말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 케이스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 접속 해제 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를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도록 배치하는 전자석 모듈 및 푸쉬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단말 연결부에 접촉되는 상기 커넥터를 인식하고 상기 전자석 모듈 및 푸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제어를 지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 자력을 가진 재질,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단말 체결부가 접촉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 케이스의 표면과 나란하게 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8. 단말에 마련된 단말 연결부와 접촉되는 연결부;
    상기 단말에 마련된 단말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케이스 표면과 평평하게 배치되고, 단말 체결부에 접촉된 후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도록 마련된 안착부;
    상기 단말 체결부와의 접촉 해제 이후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도록 마련된 안착부;
    상기 플레이트의 돌출 조작 또는 후퇴 조작을 위한 플레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자력을 가진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단말 케이스 표면과 평평하게 배치되며 커넥터 접속 시 단말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되도록 마련된 이동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
    상기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플레이트 또는 상기 후퇴된 이동형 플레이트에 의해 노출된 단말 안착부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말 안착부;
    상기 단말 안착부의 바닥면과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플레이트는
    자력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 고정되거나,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잇다가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 접속 시 플레이트 구동부에 의하여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말 안착부;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의 이동 조작을 위한 이동축;
    상기 커넥터에 마련된 자력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접근에 따라 커넥터 접근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축 조작을 통하여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말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상기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후퇴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부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15. 단말기의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가 접촉되는 접촉 과정;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의 단말 케이스 표면과 평평하게 배치된 이동형 플레이트가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는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과정;
    상기 돌출된 또는 후퇴된 이동형 플레이트를 상기 단말 케이스 표면과 나란하도록 재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자력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근접에 따라 상기 자력을 센싱하는 과정;
    상기 자력 센싱에 따라 상기 커넥터 접촉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커넥터와의 접촉에 따라 단말 연결부의 전기적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전기적 변화에 따라 상기 커넥터 접촉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과정에 따라 돌출된 이동형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커넥터의 음각된 안착부에 암수 결합하는 과정;
    상기 이동 과정에 따라 후퇴된 이동형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단말 안착부에 커넥터의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암수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 자력을 가진 재질,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
KR1020120146591A 2012-12-14 2012-12-14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KR10194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591A KR101945250B1 (ko) 2012-12-14 2012-12-14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US14/093,770 US9088098B2 (en) 2012-12-14 2013-12-02 Terminal connecting system
EP13195681.5A EP2744050B1 (en) 2012-12-14 2013-12-04 Terminal connecting system
CN201310683159.3A CN103872504B (zh) 2012-12-14 2013-12-13 终端连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591A KR101945250B1 (ko) 2012-12-14 2012-12-14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602A KR20140077602A (ko) 2014-06-24
KR101945250B1 true KR101945250B1 (ko) 2019-02-07

Family

ID=4976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591A KR101945250B1 (ko) 2012-12-14 2012-12-14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8098B2 (ko)
EP (1) EP2744050B1 (ko)
KR (1) KR101945250B1 (ko)
CN (1) CN103872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8318B (zh) * 2013-02-04 2016-06-11 金士頓數位股份有限公司 連接裝置及電子裝置總成
CN203589349U (zh) * 2013-10-12 2014-05-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570843B2 (en) * 2014-06-13 2017-02-14 Htc Corporation Conductive structure and electronic assembly
CA2896664C (en) 2014-07-10 2017-09-12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coupling with magnetic connections
CN105449396A (zh) * 2014-09-24 2016-03-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160045284A (ko) *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211609A1 (en) * 2015-01-19 2016-07-21 Yeoshua Sorias Magnetically held charger plug for mobile devices
RU176982U1 (ru) * 2015-09-01 2018-02-05 Карен Ншанович Никоян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для персонального прослушивания звук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US10107646B2 (en) * 2015-11-18 2018-10-23 Nanoport Technology Inc. Orientation sensor
US10177507B2 (en) 2016-02-12 2019-01-08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load switch with connection sensor
US10165670B2 (en) * 2016-04-29 2018-12-25 Deere &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7453117B (zh) * 2016-05-31 2020-02-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线插拔方法、数据线插拔装置及移动终端
DE102016110699A1 (de) * 2016-06-10 2017-12-14 Lofelt Gmbh Benutzerschnittstellen-Diensteübergabesystem
US10541557B2 (en) 2016-10-07 2020-01-21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cord with intelligent switching
US9899783B1 (en) * 2017-03-10 2018-02-2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wo electronic components
US10931058B2 (en) * 2018-09-24 2021-02-23 Apple Inc. Gaskets for sealing spring-loaded contacts
CN109129556A (zh) * 2018-10-26 2019-01-04 徐州木牛流马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手臂外壳的固定装置
FR3096186B1 (fr) 2019-05-13 2021-06-04 Soc Dexploitation Des Procedes Marechal Système de socle de connexion électrique
US11424561B2 (en) 2019-07-03 2022-08-23 Norman R. Byrne Outlet-level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4676A (zh) * 2008-10-06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装置
WO2012007802A1 (ja) * 2010-07-16 2012-01-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接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969A (en) * 1978-09-01 1982-03-02 Hannes Riegler Electrical line-connector
US5691863A (en) * 1992-12-18 1997-11-25 Mabuchi Motor Co., Ltd. Power feeding device for VTR rotating drum
JP3963528B2 (ja) * 1997-06-27 2007-08-2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引戸用通電金具
US6183264B1 (en) 1999-07-19 2001-02-06 HARSáNYI EDUARDO G. Safety receptacle for electrical outlets
US6517357B1 (en) * 2000-11-22 2003-02-11 Athan Corporation Slip ring and brush assembly for use in a video recorder
US6981887B1 (en) * 2004-08-26 2006-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Universal fit USB connector
US7351066B2 (en) * 2005-09-26 2008-04-01 Apple Computer, Inc. Electro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FR2918216B3 (fr) 2007-06-27 2009-08-21 Franck Dabel Dispositif de connecteur electrique avec moyens de protection et maintien magnetique pour eclairage
US7762817B2 (en) * 2008-01-04 2010-07-27 Apple Inc. System for coupling interfacing parts
FR2932020A1 (fr) * 2008-05-28 2009-12-04 Steelcase Sa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multiple, socle d'alimentation et ensemble correspondants.
FR2938383A1 (fr) 2008-09-16 2010-05-14 Sebastien Philippe Connecteur magnetique pour dispositifs electroniques.
HK1133548A2 (en) * 2009-11-12 2010-03-19 Wong Ting Chuen Magnet electric conduction connector
IT1401934B1 (it) * 2010-09-16 2013-08-28 Pellini Spa Contatto elettrico unipolare magneticamente asservito idoneo all'incasso nei fianchi dei serramenti in genere in particolare dei serramenti in vetrocamera
US20120077352A1 (en) 2010-09-27 2012-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Connection device for data collection device
CN201937027U (zh) * 2010-12-01 2011-08-17 吴江市金茂五金有限公司 磁性电力线连接头
US8596881B2 (en) * 2010-12-09 2013-12-03 Microsoft Corporation Power and data connector
FR2974947B1 (fr) * 2011-05-04 2014-01-24 Schneider Toshiba Inverter Dispositif de connexion rapide pour un appareil electr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4676A (zh) * 2008-10-06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装置
WO2012007802A1 (ja) * 2010-07-16 2012-01-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2504B (zh) 2018-12-18
EP2744050A1 (en) 2014-06-18
KR20140077602A (ko) 2014-06-24
US9088098B2 (en) 2015-07-21
US20140170864A1 (en) 2014-06-19
EP2744050B1 (en) 2021-04-21
CN103872504A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50B1 (ko) 단말기의 커넥팅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단말기 접속 인터페이스와 커넥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US8345414B2 (en) Wearable computing module
CN107154678B (zh) 用于输入设备的无线充电
KR101820730B1 (ko)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RU267378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8918548B2 (en) System method for accessory adapter with power supplying capabilities wherein power conductive element is either active or passive depending on placement of electrical contacts
US9471187B2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N103081252A (zh) D形连接器
US8686948B2 (en) Highly mobile keyboard in separable components
KR20100126089A (ko) 휴대 단말기
US8414207B1 (en) Ultra-compact mobile touch-type keyboard
TW201428460A (zh) 用於電子裝置的鉸鏈結構之技術
KR101923472B1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US7988454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2128773A (ja) 機能拡張装置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20150016684A (ko) 전자펜 탈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KR102553112B1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110692A (ko) 전기 컨택 및 커넥터
US10321587B2 (en) Integrated connector receptacle device
CN212906326U (zh) 电子设备
US20100259489A1 (en)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and position indicator thereof
JP6602428B1 (ja) 電子機器
KR20160147498A (ko) 분리형 모노 이어셋
US1118194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lf-aligning accessory
CN107887737B (zh) 一种充电接口、移动终端及数据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