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498A - 분리형 모노 이어셋 - Google Patents

분리형 모노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498A
KR20160147498A KR1020150084311A KR20150084311A KR20160147498A KR 20160147498 A KR20160147498 A KR 20160147498A KR 1020150084311 A KR1020150084311 A KR 1020150084311A KR 20150084311 A KR20150084311 A KR 20150084311A KR 20160147498 A KR20160147498 A KR 2016014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ing
range wirel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석
설재혁
이학림
김선민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498A/ko
Publication of KR2016014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B5/0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무선형 모노 이어셋을 보관, 충전 및 추가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리시버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실장하는 제1 전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귀에 착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를 삽입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바디의 경계는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모노 이어셋{DETACHABLE MONO EARSET}
본 발명은 특정 바디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모노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이어셋은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청취하는 유선형과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청취하는 무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무선형 이어셋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무선형 이어셋의 경우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해야 하며,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형 이어셋에는 전원 공급부를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되어 부피의 소형화에 제약이 따르거나 부피를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자주 충전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한편 무선형 이어셋의 경우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작은 부피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적당한 곳에 보관할 필요성이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무선형 이어셋을 필요에 따라 보조 단말기에 결합하여 분실의 위험을 해결하고 전원을 공급 받으며 보조 단말기를 통해 추가적인 기능들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시버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실장하는 제1 전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귀에 착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를 삽입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바디의 경계는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부품을 실장하는 피씨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피씨비부는 정면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대하여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제1 전원공급부재 및 제2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 및 제2 전원공급부재는 서로 수직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정면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피씨비부와 겹쳐 구비되는 버튼 입력부, 상기 버튼 입력부의 다수의 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돔 키부, 상기 돔 키부를 수용하는 추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경계면, 상기 가이드 경계면에 돌출된 탄성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탄성 후크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구비된 후크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에 실장된 제1 자성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된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는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의 삽입을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삽입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형 이어셋의 분실의 위험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형 이어셋의 전원을 보조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청각이 약한 사람을 도와 주변의 소리를 확장시켜 들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형 이어셋을 결합하는 보조 단말기를 파지하기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불편함 없이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 제1 바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4 는 도 2 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의 제2 바디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도 1 의 분리형 모노 이어셋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도 5 의 제2 바디의 미들 프레임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은 단말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의 활용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단말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3 은 단말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바디(100)는 제2 바디(200)와 함께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제2 바디(200)의 수용부(202)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 제1 바디(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제1 바디(10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고 리시버(1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실장하는 제1 전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물리적으로 떨어진 다른 바디 또는 모듈로부터 음성 신호를 주고 받거나 또는 받기만 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리시버(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어팁(130)과 이어팁(130)에 이어진 리시버(120),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주 전원 공급부(154)를 실장하는 피씨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씨비부(140)는 제1 바디(100)의 리시버(120)에서 연결되는 전장부 하우징(15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 및 4 는 도 2 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전장부 하우징(150)의 외측면(151)의 형상은 특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곡률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바디(100)를 착용했을 때 자연스러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200, 도 1 참조)와 동일한 경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장부 하우징(150)의 내측면(152)은 전장부 하우징(150)의 외측면(15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을 가지며 완만하게 꺾인 형상을 할 수 있다. 또는 도 4 를 참조하면, 평면 형상의 피씨비부(153)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장부 하우징(150)의 내측면(152)은 평면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과 같이 전장부 하우징(150)의 내측면이 완만하게 꺾인 형상인 경우 평면의 형상을 갖는 피씨비부(153) 및 주 전원 공급부(154)의 실장을 위해 전장부 하우징(150)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피씨비부(153) 및 주 전원 공급부(154)를 각각 배치시킬 수 있다.
도 4 와 같이 전장부 하우징(150)의 내측면이 평면 형상인 경우 전장부 하우징(150) 내부 전체 영역에 구비되는 피씨비부(153) 및 주 전원 공급부(154)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의 주 전원 공급부(154)의 전원 완충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15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제1 바디(100)로의 일 방향인 경우, 즉 주 전원 공급부(154)의 전원 상태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할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특히 전원표시등(155)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원이 가득 찬 경우에는 녹색, 부족한 경우에는 빨간색, 두 경우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주황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바디(100)의 주 전원 공급부(154)의 전원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전원표시등(155)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10) 대부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전체 형상은 특히 두께가 얇은 원기둥일 수 있다. 하지만 제2 바디(200)의 형상은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 또는 육각 기둥 또는 통상적인 스마트워치의 형상 등 제1 바디(100)가 삽입될 공간 및 이하 서술하는 기능을 수행할 부품들을 실장 및 외장하기에 충분한 형상만이면 충분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전면 및 후면의 테두리는 자연스러운 곡률을 갖는 필렛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렛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물감 없이 제2 바디(200)를 파지할 수 있다.
제1 바디(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은 제2 바디(2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수용부(202)는 제2 바디(200)의 일 측에 치우쳐 구비되어 제1 바디(100)의 외측면이 노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00)의 외측면과 제2 바디(200)의 수용부 경계(203)는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200)가 원기둥 형상이며, 제1 바디(100)의 외측면 곡률과 제2 바디(200)의 측면 곡률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결합 형상 또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경계가 연속면을 형성하는 경우 제1 바디(100)를 제2 바디(200)에 결합은 돌출된 부분이 없어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의 제2 바디(200)의 분해도이다.
보조 전원 공급부(211)는 제2 바디(200)에 실장되어 제2 바디(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바디(100, 도1 참조)가 제2 바디(200)에 결합된 경우에는 제1 바디(100, 도1 참조)에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211)는 제2 바디(200)의 피씨비부(212)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피씨비부(212)에 실장되어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제2 바디(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도 1 의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제2 바디(200)의 피씨비부(212)는 제2 바디(200)에 필요한 다수의 전자적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정면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용부(202)와 피씨비부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02)와 피씨비부(212)가 제1 방향에 대하여 겹치지 않는 경우 제2 바디(200)의 제1 방향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수용부(202)와 피씨비부가 제1 방향에 대하여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바디(200)의 피씨비부(212)가 차지할 수 있는 면적이 수용부(202, 도1 참조)의 단면적만큼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실장되는 다수의 부품들의 배치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공급부(211)는 제1 전원공급부재(211-A) 및 제2 전원공급부재(211-B)로 나누어 제2 바디(200)의 피씨비부(212)에 개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수용부(202) 중 제1 바디(100, 도1 참조)의 이어팁(130, 도1 참조)이 위치하기 위한 영역은 그렇지 않은 영역보다 더 제2 바디(200)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된 영역을 피하여 제1 전원공급부재(211-A) 및 제2 전원공급부재(211-B)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정면에는 버튼 입력부(204)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버튼 입력부(20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2 바디(200) 또는 제1 바디(100) 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4)는 제2 바디(200)의 전면의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20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버튼 입력부(204)는 원형의 형상을 할 수 있고, 특히 상하좌우의 네 방향에 네 개의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입력부(204)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각 입력 버튼으로 기울어지는 틸팅 방식의 키로 구비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4)의 중심에는 추가 입력 버튼(20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 입력부(204) 및 추가 입력 버튼(205)의 내측면에는 각 버튼의 위치에 대응되는 돔 키(206)가 구비될 수 있다.
돔 키(206)는 피씨비부(212)에 직접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배치될 면적의 제한으로 인해 별도의 플렉서블피씨비(217)부에 구비되어 플렉서블피씨비(217)부가 피씨비부(21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버튼 입력부(204)는 각각 음량 증가/감소 버튼, 앞으로 감기/뒤로 감기 버튼, 재생/정지 버튼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는 제2 바디(200)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7)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07)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는 제2 바디(200)의 정면에는 버튼 입력부(204)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dot matrix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는 터치스크린에 비해 소모 전력이 적고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는 시간 또는 이어셋에서 재생되고 있는 목록 또는 재생여부 표시, 기타 외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예를 들어, 단말기(300)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 등의 간단한 알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는 동시에 입력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 후면에 돔 키(206)가 구비되는 경우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는 제2 바디(200)의 출력과 입력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버튼 방식의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가 될 수 있다. 버튼 방식의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와 버튼 입력부(204)는 경계(2081)로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도 있고, 또는 경계(2081)없이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어 버튼 방식의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208) 영역을 누르는 경우에는 중앙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버튼 입력부(204) 영역을 누르는 경우에는 버튼 입력부(204)의 각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제2 바디(200)의 측면에는 측면 입력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측면 입력부(213)는 실제로 거동함으로써 입력을 인식하는 기계식 키로 구성될 수 있고, 감압 또는 정전 방식의 터치 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측면 입력부(213)가 기계식 키로 구성되는 경우, 슬라이드 형 측면 입력부(213)가 될 수도 있고 버튼형 측면 입력부(213)가 될 수도 있다. 측면 입력부(213)는 제2 바디(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입력부(213)는 제2 바디(200)의 전원 또는 입력 잠금 모드 활성/비활성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바디(200)뿐만 아니라, 제1 바디(100, 도1 참조)에서 수행하는 기능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입력부(213)의 제1 입력부는 제2 바디(200)의 전원을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제1 바디(100, 도1 참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211)에 전원 충전 등을 위한 유에스비 포트(USB port)(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200)에는 잭(215)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잭(215)은 3극 또는 4극 플러그가 삽입하기 위한 포트(Port)가 될 수 있다. 잭(215)에는 유선 이어셋, 유선 스피커, 유선 마이크 등이 삽입되어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제2 바디(2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잭(215)이 구비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음성 신호 등의 전자적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후면에는 클립(216)이 구비될 수도 있다. 클립(216)을 이용하여 제2 바디(200)를 사용자의 옷 등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미들 프레임(218)은 제2 바디(200)의 피씨비부(212) 위에 구비되어 피씨비부(212) 및 플렉서블피씨비(217)부 등의 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가이드 경계면(209)은 제2 바디(200)의 수용부(202)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경계면(209)은 제1 바디(100)가 제2 바디(200)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제1 바디(100)가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여 제1 바디(100, 도2 참조)의 측면(112, 도2 참조)과 마주볼 수 있다. 가이드 경계면(209)은 제2 바디(200)의 전장부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외벽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도 5 의 제2 바디(200)의 미들 프레임(218)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미들 프레임(218)의 후면에는 제1 바디(100, 도1 참조)와 제2 바디(200)의 결합을 위한 탄성 후크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후크부(219)는 가이드 경계면(209)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탄성 후크부(219)는 마주보는 가이드 경계면(209)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의 측면(112)에는 탄성 후크부(219)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후크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9 를 참조하면, 탄성 후크부(219)는 일단이 가이드 경계면(209)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제2 바디(200) 내부에 회전 고정될 수 있는 삽입부(220)로 이루어지는 후크 부재 및 후크 부재의 삽입부(2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221)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 부재의 삽입부(220)와 경계면 외부로 돌출된 일단까지의 거리 C 가 탄성을 제공하여 제1 바디(100)의 측면과 맞닿는 경우 탄성 후크부(219)의 후크(222)는 제2 바디(200)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1 바디(100)의 후크 홈(111)과 맞닿는 경우 다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탄성 후크부(219)가 아닌 자석의 인력에 의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에 제1 자성부가 구비되고 제2 바디(200)의 제1 자성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자성부가 구비되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고정 결합 될 수 있다.
삽입 인식 센서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결합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에 구비된 홀(Hall) 센서 및 제1 바디(100)에 상기 홀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된 자성물질의 자기형 근접 센서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 인식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삽입 인식 센서는 상기 자기형 근접 센서에 한하지 않고,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제2 바디(200)에 삽입 결합한 제1 바디(100)를 다시 분리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바디(100)의 외측면 양쪽에 분리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0)가 제2 바디(200)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는 분리 홈(223)을 통해 제1 바디(100)의 측면(112)을 파지하여 제1 바디(100)를 제2 바디(200)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1 바디(100), 제2 바디(200) 및 단말기(300) 간의 통신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은 단말기(300),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제2 바디(200)에 구비된 제2 통신 모듈은 단말기(300)의 무선 통신 모듈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음성/MP3 형식의 포맷을 지원하는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무선 제어(Remote Control)을 수행하기 위한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또는 호 수/발신을 위한 HFP(Handsfree Profile)의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블루투스의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기(300)에서 수행되는 음악 재생에 관련된 신호 및 통화와 관련된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2.4GHz의 무선 연결(2.4GHz wireless connection) 방식의 규격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위해 제2 바디(200)에서 제1 바디(100)의 일 방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 방향 송신 인 Wi-Fi Direct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300)와 제2 바디(200)는 블루투스로 연결되고 제2 바디(200)와 제1 바디(100)가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경우 제1 바디(100)에서 제2 바디(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도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모노 이어셋(10)의 활용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가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제2 바디(200)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이어셋의 역할, 제2 바디(200)는 마이크 및 제어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입력 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보조 청력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착용자가 제1 바디(100)를 귀에 착용하고 마이크를 구비하는 제2 바디(200)를 음성 확대를 원하는 제1 위치(500)에 놓는 경우 제1 위치(500) 부근의 음성을 확대해서 들을 수 있으며, 특히 잘 들리지 않는 영역의 주파수를 설정해놓는 경우, 청력이 약한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 또한 확대하여 들을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회의 등의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는 단말기(300),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 사이, 또는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단말기(300),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가 서로 양 방향 통신을 만족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300)와 제1 바디(100)의 제1 연결, 단말기(300)와 제2 바디(200)의 제2 연결 및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제3 연결이 각각 독립적인 양방향 통신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 가지 대상 중 하나 이상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무선 가능 영역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대상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3-Way 근거리 무선 통신이라고 칭한다.
3-Way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현할 경우, 제1 바디(100)는 독립적인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에서 제1 바디(100)로 받는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또는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바디(100)에 상기 마이크가 입력 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2 바디(200)의 여부와 관계없이 제1 바디(100)의 구조만으로 보조 청력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바디(200)에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음성 신호가 제2 바디(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확성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단말기(300),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간 통신 방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또는, 단말기(300)가 마스터(Master)가 되고,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가 각각 제1 슬레이브(Slave) 및 제2 슬레이브(Slav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일 수 있다. 이를 편의상 2-Sink 근거리 무선 통신이라고 칭한다. 2-Sink 방식의 경우에도 여전히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간의 동기화는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제어하는 매개자는 마스터인 단말기(300)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분리형 모노 이어셋 100: 제1 바디
110: 제1 전장부 111: 후크 홈
112: 측면 120: 리시버
130: 이어팁 140: 피씨비부
150: 전장부 하우징 151: 전장부 하우징 외측면
152: 전장부 하우징 내측면 153: 제1 바디 피씨비부
154: 주 전원 공급부 155: 전원표시등
200: 제2 바디 201: 전면 테두리
202: 수용부 203: 수용부 경계
204: 버튼 입력부 205: 추가 입력 버튼
206: 돔 키 207: 디스플레이부
208: 도트 매트릭스 엘이디 2081: 경계
209: 가이드 경계면 211: 보조 전원 공급부
211-A: 제1 전원공급부재 211-B: 제2 전원공급부재
212: 제2 바디 피씨비부 213: 측면 입력부
213-A: 슬라이드형 측면 입력부 213-B: 버튼형 측면 입력부
214: 유에스비 포트(USB port) 215: 이어폰 잭
216: 클립 217: 플렉서블피씨비
218: 미들 프레임 219: 탄성 후크부
220: 삽입부 221: 고정부
222: 후크 223: 분리 홈
300: 통신 단말기 400: 제1 바디 착용자
500: 제1 위치

Claims (12)

  1. 리시버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실장하는 제1 전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귀에 착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를 삽입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바디의 경계는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부품을 실장하는 피씨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피씨비부는 정면에 수직인 제1 방향에 대하여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제1 전원공급부재 및 제2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 및 제2 전원공급부재는 서로 수직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정면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피씨비부와 겹쳐 구비되는 버튼 입력부;
    상기 버튼 입력부의 다수의 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돔 키부;
    상기 돔 키부를 수용하는 추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경계면;
    상기 가이드 경계면에 돌출된 탄성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탄성 후크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구비된 후크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실장된 제1 자성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된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는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삽입을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삽입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노 이어셋.
KR1020150084311A 2015-06-15 2015-06-15 분리형 모노 이어셋 KR20160147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311A KR20160147498A (ko) 2015-06-15 2015-06-15 분리형 모노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311A KR20160147498A (ko) 2015-06-15 2015-06-15 분리형 모노 이어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498A true KR20160147498A (ko) 2016-12-23

Family

ID=5773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311A KR20160147498A (ko) 2015-06-15 2015-06-15 분리형 모노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4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6250A (zh) * 2019-09-12 2021-03-12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可穿戴式智能终端设备
KR102270566B1 (ko) * 2020-03-25 2021-06-30 아카소 주식회사 하우징 디바이스
WO2021141173A1 (ko) * 2020-01-06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6250A (zh) * 2019-09-12 2021-03-12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可穿戴式智能终端设备
WO2021141173A1 (ko) * 2020-01-06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102270566B1 (ko) * 2020-03-25 2021-06-30 아카소 주식회사 하우징 디바이스
WO2021194096A1 (ko) * 2020-03-25 2021-09-30 아카소 주식회사 하우징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EP35919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KR101885734B1 (ko)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케이스
CN101938564B (zh) 具有蓝牙耳机的电子装置
WO2020155694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EP30781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data transfer in local area network
KR101521539B1 (ko) 이어폰 일체형 스마트 와치
KR20160025850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4500709A (zh) 个人无线媒体站
TW201415113A (zh) 眼鏡之轉接器
KR100936393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EP3186975B1 (en) Loudspeaker audio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110022391B (zh) 中框组件以及电子装置
US10063975B2 (en) Mobile terminal
KR20180033185A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104385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20155695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CN212115613U (zh) 耳机系统
KR101521938B1 (ko) 헤드셋
KR20160147498A (ko) 분리형 모노 이어셋
US7266392B2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KR100808634B1 (ko)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CN110417948B (zh) 一种移动终端
FI122442B (fi) Radiotekniikalla solukkoverkossa operoiva laite ja siihen kiinnitettävä handsfree-laite
KR101561782B1 (ko) 분리형 도킹 스피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