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566B1 - 하우징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우징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566B1
KR102270566B1 KR1020200035980A KR20200035980A KR102270566B1 KR 102270566 B1 KR102270566 B1 KR 102270566B1 KR 1020200035980 A KR1020200035980 A KR 1020200035980A KR 20200035980 A KR20200035980 A KR 20200035980A KR 102270566 B1 KR102270566 B1 KR 10227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vice
earbud
user
user terminal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
Original Assignee
아카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카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566B1/ko
Priority to PCT/KR2021/002013 priority patent/WO2021194096A1/ko
Priority to KR1020210081359A priority patent/KR2021011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어버드를 충전하는 하우징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버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외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음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징 디바이스{HOUSING DEVICE}
본 개시는 하우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어버드를 충전하는 하우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스테레오 시스템 및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와 같은 광범위한 전자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폰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용도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무선 이어폰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은 특정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 과정이 수행된 후 해당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무선 이어폰은 스마트폰과 같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사용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통화 기능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이어폰은 디바이스로 수신된 통화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폰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화 상대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무선 이어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을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에 비해 높은 편리성을 갖는다. 다만, 무선 이어폰은 무선 통신 회로 및 무선 이어폰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제공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무선 이어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무선 이어폰이 한 쌍의 이어버드인 경우, 이어버드가 비교적 작아 비사용시 분실하기 쉽기 때문에, 보관 및 충전이 가능한 하우징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하우징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비교적 작은 이어버드를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다만, 비교적 작은 이어버드는 사용자의 입과 비교적 먼 위치에 착용되어, 이어버드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어버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4196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이어폰의 일부 잠재적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하우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어버드를 충전하는 하우징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버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외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음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음향 신호와 관련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이어버드 또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어버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버부가 개방되었다고 인식된 경우 만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이어버드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서 상기 이어버드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이어버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 상기 이어버드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기 제 2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이어버드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이어버드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와 함께 가공한 가공 음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수신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서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이어폰의 일부 잠재적 결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하우징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 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 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서의 방법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에 선행해야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음향 수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통신부(140), 이어버드 센서부(150), 커넥터(160), 상태 표시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무선 이어폰을 보관하거나,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소형 무선 이어폰인 이어버드(300)를 보관하거나, 이어버드(3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어버드(300)를 편리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이어버드(300)를 편리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거나,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버드(30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2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사용자 단말(2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음향 수신부(1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내장(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음향 수신부(12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복수의 개소에 내장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부(12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수신부(12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음향 수신부(120)에 음향 수신부(12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리 가능한 음향 수신부(120)는 다른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음향 수신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워치)에 결합되어 음향 수신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음향 수신부(12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내장(또는, 결합)되는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음향 수신부(1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하우징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이어버드(3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수신부(1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통해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음향 수신부(120)는 주변 소음을 인식하고, 그 소음을 상쇄시키는 상쇄간섭을 일으켜 소음을 차단하는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화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수신부(120)가 획득한 사용자의 음성은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수신부(120)가 획득한 사용자의 음성은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어버드(300)는 소형 무선 이어폰으로,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입과 먼 위치에 착용된다. 이러한 이어버드(300)는 마이크를 구비하는데, 이어버드(300)에 구비된 마이크 또한 사용자의 입과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이어버드(300)는 음성전달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품질을 보장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동작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과 가까이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음향 수신부(120)를 이용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거나, 음성 인식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음향 수신부(120)가 획득한 사용자의 음성이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로 전송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과 관련된 입력(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화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전화의 연결을 허용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무선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및/또는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 및/또는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신호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직접 전송되거나 또는, 이어버드(300)를 경유하여 전달(즉,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이어버드(300)가 사용자 단말로 음향 신호를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동작이 제어되는 몇몇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 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40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식별하기 위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예를 들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부(140)는 음향 수신부(120)가 획득한 음향 신호와 관련된 음향 데이터를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가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음향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몇몇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입력을 수신한 경우,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및 페어링 정보)를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되는 특정 입력에 따라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향 수신부(12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 1 음향 수신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음향 수신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향 수신부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음향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로 특정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특정 명령 신호를 하우징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음향 수신부(120)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절전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절전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전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설정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현재 모드가 절전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모드가 절전 모드라고 인식한 경우, 음향 수신부(120)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음향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향 수신부(120)에서 획득되는 특정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라는 제 2 음향 수신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 2 음향 수신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로 특정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특정 명령 신호를 하우징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음향 수신부(120)에서 획득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녹음기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300)의 보관 및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더 많은 기능(예를 들어, 녹음기 기능 및 전원 보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일 영역에 이어버드 센서부(150) 및 커넥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버드 센서부(150)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이어버드 센서부(15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버드 센서부(150)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및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 디바이스(100)에는 이어버드 센서부(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160)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어버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특정 명령 또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6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와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160)는 하나의 단자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이어버드(300)와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60)는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이어버드(300)와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이어버드(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커넥터(160)를 통해 이어버드(30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이어버드(300)로부터 유선으로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이어버드(300)를 식별하기 위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예를 들어, 이어버드(300)의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상태 표시부(170)는 외부로 하우징 디바이스(100) 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관련 구성 요소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17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상태,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수용된 이어버드(300)의 충전 상태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 상태 또는, 무선 통신 준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태 표시부(17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태 표시부(17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표시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태 표시부(170)는 제 1 구성 요소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LED, 제 2 구성 요소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제 2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170)는 하우징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LED,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의 충전 상태 또는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태 표시부(17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 요소의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LED가 출력하는 색상은 배터리가 75 퍼센트 이상인 경우 제 1 색(예컨대, 녹색), 배터리가 75 퍼센트 미만인 경우 제 2 색(예컨대, 주황색), 그리고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 3 색(예컨대, 적색)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태 표시부(17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8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18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0)를 통해 이어버드(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8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어버드(300)와 연결된 커넥터(160)를 통해 상기 이어버드(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제어부(110)에 제어에 의하여 동작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페어링 된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의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저장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1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10).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버부가 개방되었다고 인식된 경우 만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인식한 경우(S110, Yes),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제 1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식별하기 위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준비(예를 들어, 페어링)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신호에 포함된 제 1 정보를 통해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정보에 포함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정보에 포함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페어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하우징 디바이스(10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때, 상기 페어링 정보를 통해 무선 통신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130).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될 경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사용자가 누른 상태일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2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음향 수신부(120)에서 불필요하게 수집된 음향 신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1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인식한 경우(S110, No),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10초)으로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를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화를 발신함에 따라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화를 걸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통화 연결 신호를 하우징 디바이스(100) 및 이어버드(300)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사전에 무선 통신 연결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과 이어버드(300)는 사전에 무선 통신 연결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고,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 사용자 단말(200)과 이어버드(300) 사이에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준비(예를 들어, 페어링)가 되어있을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인식함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통화 시 사용자가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방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대방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향을 이어버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통화 시 상대방 사용자가 상대방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을 이어버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버드(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향(즉, 통화 상대의 음성)을 이어버드(300)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을 이어버드(300)를 통해 들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버드(300)는 통화 연결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이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통화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어버드(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화 음향을 수신한 경우, 이어버드(3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어버드(3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버드(300)는 사용자가 이어버드(300)를 착용하고 있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어버드(300)는 사용자가 이어버드(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된 경우, 통화 음향을 수신할 수 없다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몇몇 단계들은 기재된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하우징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이어버드(300) 각각은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을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 연결된 이어버드(300)를 이용하여 통화 상대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 연결된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통화 상대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시 이어버드(300)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음향 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일 수 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사전에 무선 통신 연결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고,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준비(예를 들어, 페어링)가 되어있을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인식함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로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할 때, 주변 환경의 소음에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210). 여기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된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이어버드 센서부(150)를 통해, 이어버드(300)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되었다고 인식한 경우(S210, Yes), 이어버드(300)와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이어버드(300)로부터 커넥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제 2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이어버드(300)를 식별하기 위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신호에 포함된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준비(예를 들어, 페어링)를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 2 신호에 포함된 제 2 정보를 통해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 2 정보에 포함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이어버드(300)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 2 정보에 포함된 이어버드(300)의 페어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어버드(30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때, 상기 페어링 정보를 통해 무선 통신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제 2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230).
즉,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될 때마다(즉,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될 때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버드(300)를 다른 제품으로 변경하거나, 이어버드(300)를 새로 구입하더라도,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 및 이어버드(30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계(S21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되지 않았다고 인식한 경우(S210, No),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10초)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이어버드(300)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이어버드(300)에 전송함으로써, 이어버드(300)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이어버드(300)에 전송함으로써, 이어버드(300)가 음향 신호와 이어버드(300)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를 함께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음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이어버드(300)에 전송함으로써, 이어버드(300)가 음향 신호와 이어버드(300)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한 가공 음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음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이어버드(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되어, 이어버드(30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은 통화 시 사용자가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방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음향 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되어, 이어버드(30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로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할 때, 주변 환경의 소음에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의 접촉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10)는 이어버드(300)가 하우징 디바이스 (100)에 수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접촉이 유지된 상태(즉, 이어버드(30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이어버드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제 2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이어버드(300)를 식별하기 위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가 버튼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인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어버드(300)로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320).
다른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가 버튼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인 버튼을 누르고 있다가, 버튼에서 손을 뗀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될 경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어버드(300)로 전송하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사용자가 누른 상태일 경우에만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음향 수신부(120)에서 불필요하게 수집된 음향 신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음향 신호를 이어버드(300)로 전송(즉,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고,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0초)이 경과된 경우, 무선 통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330). 여기서, 무선 통신은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무선 통신 연결로 인해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는 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10)는 이어버드(30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이탈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접촉이 해제된 상태(즉, 이어버드(300)가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이탈된 상태)라고 인식한 경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이어버드(3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410). 여기서, 제 2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이어버드(300)를 식별하기 위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가 버튼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인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어버드(300)로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420).
다른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가 버튼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인 버튼을 누르고 있다가, 버튼에서 손을 뗀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해제될 경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어버드(300)로 전송하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사용자가 누른 상태일 경우에만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음향 수신부(120)에서 불필요하게 수집된 음향 신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음향 신호를 이어버드(300)로 전송(즉,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고,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0초)이 경과된 경우, 무선 통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연결된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5분) 동안 사용자 입력부(130)에 아무런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연결이 수행된 시점은 상술한 단계(S41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커넥터와 이어버드(300)의 데이터 단자 사이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수행된 무선 통신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무선 통신 연결로 인해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는 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형태,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형태 및 위치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6의 (a)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의 (b)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90)은 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 바디부(191) 및 하우징 커버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바디부(191)는 이어버드(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부(192)는 이어버드(300)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바디부(191) 및 하우징 커버부(192)는 힌지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부(191) 및 하우징 커버부(192)는 서로 맞닿는 측면에 힌지(193)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우징 바디부(191)의 제 1 측 및 상기 제 1 측과 맞닿는 하우징 커버부(192)의 제 2 측에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6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전면(구체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바디부(191)의 전면)의 일 영역에 음향 수신부(120) 및 상태 표시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측면(구체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바디부(191)의 측면)의 일 영역에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음향 수신부(12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두 개 이상의 일 영역에 음향 수신부(120) 및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후면의 일 영역에 음향 수신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후면의 일 영역에 사용자 입력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음향 수신부(12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부(130) 각각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수 있다.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음향 수신부(12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신호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직접 전송되거나 또는, 이어버드(300)를 경유하여 전달(즉, 이어버드(300)로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이어버드(300)가 사용자 단말로 음향 신호를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 걸려온 전화의 연결을 허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이어버드(300)와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예를 들어, 페어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어버드(300)와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하도록 이어버드(300)로 커넥터(16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2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정보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이어버드(300)를 식별하기 위한 이어버드(3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어버드(300)와 하우징 디바이스(100) 사이의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거리는 무선 통신의 송수신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거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하도록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식별하기 위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200)과 하우징 디바이스(100) 사이의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이어버드(300)가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야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이어버드(300)가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의 연결을 준비하도록 이어버드(300)로 커넥터(160)를 통해 무선 통신 연결 준비 명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200)과 이어버드(3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준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결합된 음향 수신부(120)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된 경우, 상기 음향 수신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음향 수신부(12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된 경우, 상기 음향 수신부(12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편리하게 음향 수신부(120)를 턴 온(활성화) 또는 턴 오프(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디바이스(100)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의 (b)는 이어버드(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90)의 하우징 바디부(191) 및 하우징 커버부(192)는 힌지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어버드(300)는 하우징 바디부(191)에서 하우징 커버부(192)가 열렸을 때,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일 영역에 음향 수신부(120) 및 상태 표시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디바이스(100)는 측면의 일 영역에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수신부(120) 및 상태 표시부(170)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는 이어버드 센서부(150) 및 커넥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어버드 센서부(15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이어버드(3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6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에 이어버드(300)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어버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60)는 이어버드(300)가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어버드(300)에 구비된 이어버드 커넥터와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어버드 커넥터는 하우징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 및 하우징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넥터(160)는 이어버드(300)의 이어버드 커넥터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넥터(16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전원 공급부(180)가 제공하는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 제어부(110)가 제공하는 특정 명령 또는 특정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용된 이어버드(3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이어버드 센서부(150) 및 커넥터(160)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우징 바디부(191)는 이어버드(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19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부(192)는 이어버드(300)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이어버드를 충전하는 하우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외부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음향 수신부; 및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 상기 이어버드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제 1 페어링 정보를 상기 이어버드로 전송하거나,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 상기 이어버드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제 2 페어링 정보를 상기 이어버드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와 관련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이어버드 또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버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버부가 개방되었다고 인식된 경우 만족되는,
    하우징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제 3 페어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어링 정보는,
    상기 이어버드에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페어링 정보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서 상기 이어버드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이어버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어버드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페어링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기 제 2 페어링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상기 이어버드의 데이터 단자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 2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하우징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키는,
    하우징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이어버드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키는,
    하우징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기 이어버드로 상기 음향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이어버드에서 획득한 음향 데이터와 함께 가공한 가공 음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야기시키는,
    하우징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수신부는,
    상기 하우징 디바이스에서 탈부착 가능한,
    하우징 디바이스.
KR1020200035980A 2020-03-25 2020-03-25 하우징 디바이스 KR10227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80A KR102270566B1 (ko) 2020-03-25 2020-03-25 하우징 디바이스
PCT/KR2021/002013 WO2021194096A1 (ko) 2020-03-25 2021-02-17 하우징 디바이스
KR1020210081359A KR20210119920A (ko) 2020-03-25 2021-06-23 하우징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80A KR102270566B1 (ko) 2020-03-25 2020-03-25 하우징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359A Division KR20210119920A (ko) 2020-03-25 2021-06-23 하우징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566B1 true KR102270566B1 (ko) 2021-06-30

Family

ID=766024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80A KR102270566B1 (ko) 2020-03-25 2020-03-25 하우징 디바이스
KR1020210081359A KR20210119920A (ko) 2020-03-25 2021-06-23 하우징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359A KR20210119920A (ko) 2020-03-25 2021-06-23 하우징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70566B1 (ko)
WO (1) WO2021194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196A (zh) * 2022-04-23 2022-08-02 东莞市和乐电子有限公司 一种实现蓝牙耳机自动组队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98A (ko) *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모노 이어셋
KR102014196B1 (ko) 2017-09-01 2019-08-27 크레신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JP2019195179A (ja) * 2017-10-30 2019-11-07 イアフレド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7265B1 (en) * 2015-09-30 2019-10-23 Apple Inc. Wireless earbuds with electronic contacts
KR102071268B1 (ko) * 2019-07-03 2020-01-30 주식회사 블루콤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간 통신을 위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98A (ko) *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모노 이어셋
KR102014196B1 (ko) 2017-09-01 2019-08-27 크레신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JP2019195179A (ja) * 2017-10-30 2019-11-07 イアフレド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196A (zh) * 2022-04-23 2022-08-02 东莞市和乐电子有限公司 一种实现蓝牙耳机自动组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096A1 (ko) 2021-09-30
KR20210119920A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3785A1 (en) Intelligent audio outputdevices
US1080573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US10217475B2 (en) Heads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562130B1 (en) Control method at wearable apparatus and related apparatuses
JP2023101519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状態に基づいたコンパニオン通信デバイスの動作の変更
KR102102647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329183A1 (en) Adapter For Eyewear
CN105451111A (zh) 耳机播放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102342559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72889A (ko) 사용자의 귀에의 무선식 음성 발생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123884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CN109644302A (zh) 无线耳机系统
KR102270566B1 (ko) 하우징 디바이스
CN111652100A (zh) 指纹识别模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4281431B (zh) 音频播放的方法及装置
KR201601051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케이스를 이용한 기능 확장방법
CN106031135B (zh) 可穿戴设备和通信控制方法
US11510064B2 (en) Secure wearable wireless personal server device
KR20110035565A (ko)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오디오 출력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897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739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8102493A (zh) 配对连接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18092847A (zh) 可穿戴设备管理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CN115119106A (zh) 耳机连接方法、耳机、耳机盒及存储介质
KR201400446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