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634B1 -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634B1
KR100808634B1 KR1020060085153A KR20060085153A KR100808634B1 KR 100808634 B1 KR100808634 B1 KR 100808634B1 KR 1020060085153 A KR1020060085153 A KR 1020060085153A KR 20060085153 A KR20060085153 A KR 20060085153A KR 100808634 B1 KR100808634 B1 KR 10080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less communication
ear modu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임
Original Assignee
(주)에디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디트론 filed Critical (주)에디트론
Priority to KR102006008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보조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이어 모듈;을 포함하여 손목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어 모듈은, 마이크와; 스피커와;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wristwatch sh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모듈의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20 : 충전부
130 : 주배터리 200 : 이어 모듈
210 : 음성 입출력부 220 : 근거리 통신부
230 : 제어부 231 : 음성 처리부
233 : 시간 셋팅부 235 : 비상상황 처리부
237 : 모드 설정부 240 : 표시부
250 : 버튼부 260 : 위치좌표 수신부
270 : 보조배터리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보조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보조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휴대폰의 보조 장치인 무선 헤드셋이다. 무선 헤드셋은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으로 직접 통화할 필요를 없앤다. 이에 따라 휴대폰이 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사용자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휴대폰을 직접 들고 통화하는 것이 아니므로 훨씬 간편하며, 또한 이러한 통화 방식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에의 노출 문제도 해결한다.
그러나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한다. 통상 MP3를 듣거나 하는 경우에 무선 헤드셋을 많이 이용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굳이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무선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아무래도 행동에 제약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축구나 농구 등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거추장스러울 뿐 아니라 쉽게 이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헤드셋을 항상 착용하지는 않는다.
미착용 상태에서 전화가 오는 경우에 무선 헤드셋을 착용한 후에 전화를 받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통상 직접 휴대폰으로 전화를 받는다. 그러나 휴대폰으로 직접 통화할 때 주위 소음이 큰 경우에는 상대방의 음성이 잘 들리지 않게 되는 문 제가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하였듯이 전자파에도 노출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휴대폰의 통화 기능을 보조하여 편리한 통화 방식을 제공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한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이어 모듈;을 포함하여 손목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어 모듈은, 마이크와; 스피커와;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어 모듈은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셋팅하고, 셋팅된 시간을 상기 표시부로 표시 처리하는 시간 셋팅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이어 모듈 내에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본체(100)와 이어 모듈(200)로 나뉜다. 여기서 이어 모듈(200)은 본체(100)에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어 모듈(200)은 음성 입출력부(210), 근거리 통신부(220),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음성 입출력부(210)는 음성 입출력을 지원하는 통상의 공지된 구성인 마이크(213)와 스피커(211)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이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RFID, UWB, 지그비(Zigbee) 등 알려진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향후에 개발될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2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하나로써,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에 최대 전송거리 10m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1Mbps는 사용자가 허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2.4G㎐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대를 사용해 비교적 손쉽게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전송속도이다.
또한 블루투스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다양한 프로파일을 규정하고 있는데, 전화용 프로파일로는 코드리스 전화 프로파일(Cordless Telephony Profile)이 알려져 있다. 코드리스 전화 프로파일은 음성 교환을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기기를 코드 리스 전화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이러한 전화용 프로파일의 지원으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으로 직접 전화통화 할 필요 없이 블루투스 헤드셋만을 착용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메모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어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30)는 음성 처리부(231)를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231)는 음성 처리를 위한 수단으로, 보코더(vocoder)가 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231)는 근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입출력부(210)의 스피커(211)로 출력하며, 음성 입출력부(210)의 마이크(2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근거리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처리부(231)는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면 통화 기능을 온(on) 시키며, 반대로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에 장착되면 통화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에 탈장착되는지는 통상의 감지 센서를 추가하여 판단이 가능하다. 아니면 기계적 접점의 변화를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이어 모듈(200)은 표시부(24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230)는 시간 셋팅부(233)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될 수 있다. 시간 셋팅부(233)는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어 근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셋팅하고, 셋팅 된 시간을 표시부(240)로 표시 처리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폰의 시간 데이터는 GPS 시간 데이터로, 그 시간 정보가 정확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 셋팅부(233)는 블루투스 통신이 활성화되는 초기에 휴대폰으로 시간 데이터를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셋팅하고 표시부(240)에 표시 처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손목시계의 시간을 수동으로 셋팅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뿐 아니라, 초 단위까지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본체(100)와 이어 모듈(2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에는 이어 모듈(20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과, 손목에 찰 수 있게 하는 시계줄이 구비되어 있다. 이어 모듈(200)은 본체(100)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0) 및 이어 모듈(200)에는 각각 자석(30, 20)들이 구비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이어폰 모양과 같이 사람의 귓 속에 삽입되는 이어 모듈(200)의 스피커부(10)가 본체(100)의 삽입부(4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명 스냅 단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아니면 자석 결합과 스냅 단추 방식의 결합을 함께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모듈(200)의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부(50)는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다. 마이크부(50)의 수납 및 인출 방식은 통상의 안테나 수납/인출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 널리 알려진 다양한 수납 및 인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자석 결합 혹은 스냅 단추 방식의 결합을 통해 이어 모듈(200)은 본체(100)에 장착 가능하며,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에 장착됨에 따라 통상의 손목시계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모듈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00)로부터 이어 모듈(200)을 탈착하고 이어 모듈(200)의 스피커부(10)를 자신의 귓속에 삽입하여 휴대폰의 보조 장치인 무선 헤드셋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이어 모듈(200)을 분리하여 통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손목시계처럼 손목에 차고 다닐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어 모듈(200)의 표시부(240)에는 시간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의 보조 장치인 무선 헤드셋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단지 형상만이 아닌 손목시계의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어 모듈(200)은 다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는 버튼부(2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비상상황 처리부(235)를 더 포함하는데, 비상상황 처리 부(235)는 버튼부(250)의 비상 버튼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비상상황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상황 처리부(235)는 비상 버튼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내 다수회 이상(예를 들어 5번 이상)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만족하면 비상상황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이는 비상 버튼이 오동작으로 눌려져 비상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비상상황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220)는 비상상황 데이터를 입력받아 근거리 통신 방식에 맞게 처리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휴대폰은 이어 모듈(200)의 근거리 통신부(220)로부터 전송된 비상상황 데이터를 수신한다. 비상상황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폰은 비상상황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은 SMS 방식에 따라 비상상황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비상상황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내용 정보와, 비상상황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정보를 포함한다. 내용 정보는 예를 들어 “위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가 되며,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비상상황 메시지는 휴대폰 내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SMS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휴대폰은 SMS 포맷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에 비상상황을 알리는 내용 정보를 채워 넣고, 수신자 정보인 휴대폰 전화번호는 SMS 포맷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에 채워 넣은 후, 수신자의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폰)로 전송 처리한다.
한편, 수신자 정보는 2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휴대폰은 널리 알려진 SMS 동보 전송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각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 처리한다.
추가적으로 이어 모듈(200)은 위치좌표 수신부(26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좌표 수신부(260)는 GPS 수신기가 된다. 따라서 위치좌표 수신부(260)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인 위도/경도에 대한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GPS 수신기 자체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상황 처리부(235)는 버튼부(250)의 비상 버튼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으면, 위치좌표 수신부(260)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위치좌표 정보를 상술한 비상상황 데이터에 추가시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 처리한다. 그러면 사용자 휴대폰은 위치좌표 정보가 추가된 비상상황 메시지를 SMS 방식에 맞게 처리하여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 처리한다.
그러나 이어 모듈(200)에 GPS 수신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휴대폰에 GPS 수신기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폰은 비상상황 데이터를 수신할 때 탑재된 GPS 수신기를 활성화시켜 위치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비상상황 메시지에 추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손목에 차고 있는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조작하여 자신의 위험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230)는 모드 설정부(237)를 더 포함한다. 모드 설정부(237)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어 모듈(200)의 스피커폰 동작 여부를 설정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스피커폰이란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자의 귀와 입에 가까이 붙이지 않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폰을 말한다. 이러한 스피커폰은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 및 오디오 앰프(amp)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폰이라 해도 일반 통화가 가능하며, 스피커 모드를 설정하여 스피커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스피커폰 모드의 설정은 오디오 앰프의 온/오프로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250)의 모드 설정 버튼을 누르면, 모드 설정부(237)는 모드 설정 버튼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확인한 후 음성 입출력부(210)의 오디오 앰프(215, 217)를 활성화시켜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버튼부(250)의 모드 해제 버튼을 누르면, 모드 설정부(237)는 모드 해제 버튼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확인한 후 음성 입출력부(210)의 오디오 앰프(215, 217)를 비활성화시켜 스피커폰 모드를 해제한다. 여기서 모드 설정 버튼과 모드 해제 버튼은 동일 버튼일 수 있으며, 누름 횟수 혹은 반복 누름에 따라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 모듈(200)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귀에 꽂을 필요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이어 모듈(200)은 보조배터리(270)를 더 포함하고, 본체(100)는 주배터리(130)와 충전부(120)를 포함한다. 충전부(120)는 외 부로부터 충전 커넥터(11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처리하여 본체(100)의 주배터리(130)를 충전하고, 충전단자(140)(280)를 통해 이어 모듈(200)의 보조배터리(270)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이다. 충전 회로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주배터리(130)는 전원단자(150)(290)를 통해 이어 모듈(200)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며, 보조배터리(270)는 충전단자(28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이어 모듈(200)의 전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충전단자(140)와 충전단자(280), 전원단자(150)와 전원단자(290)는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에 장착되면 자연스럽게 접촉됨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의 이어 모듈(200)은 본체(100)의 주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이어 모듈(200)은 보조배터리(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모듈(200)이 본체(100)에 장착 혹은 분리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달리하기 위해 스위칭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통화 기능을 보조하여 편리한 통화 방식을 제공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한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의 보조 장치인 무선 헤드셋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단지 형상만이 아닌 손목 시계의 완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손목시계의 시간을 수동으로 셋팅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뿐 아니라, 초 단위까지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납치되거나 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 모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만 이어 모듈에 내장된 보조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므로, 이어 모듈의 사용 가능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장소(예를 들어, 집)에서는 굳이 이어 모듈을 분리하여 사용할 필요 없이 스피커폰 모드로 하여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목에 찬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이어 모듈;을 포함하여 손목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어 모듈은 :
    마이크와;
    스피커와;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셋팅하고, 셋팅된 시간을 상기 표시부로 표시 처리하는 시간 셋팅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이어 모듈 내에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모듈은 :
    보조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
    주배터리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상기 주배터리 및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모듈과 본체는, 자석 결합하거나 스냅 단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
    입력 명령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7.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이어 모듈;을 포함하여 손목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어 모듈은 :
    마이크와;
    스피커와;
    휴대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비상상황을 알리는 비상 버튼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비상 버튼 신호 입력에 따라 비상상황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는 비상상황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모듈은 :
    현재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좌표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처리부는, 상기 위치좌표 수신부로부터 위치좌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상상황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KR1020060085153A 2006-09-05 2006-09-05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KR10080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53A KR100808634B1 (ko) 2006-09-05 2006-09-05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53A KR100808634B1 (ko) 2006-09-05 2006-09-05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634B1 true KR100808634B1 (ko) 2008-02-29

Family

ID=3938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153A KR100808634B1 (ko) 2006-09-05 2006-09-05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301B2 (en) 2013-06-20 2016-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rt watch
KR101622636B1 (ko) * 2009-08-26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890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42310B1 (ko) 2005-08-22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890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42310B1 (ko) 2005-08-22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636B1 (ko) * 2009-08-26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9288301B2 (en) 2013-06-20 2016-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rt wa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1938564B (zh) 具有蓝牙耳机的电子装置
JP5783352B2 (ja)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AU2011256920A1 (en) A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erting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JP2011114677A (ja) 携帯電話音声再生システム
CN204331316U (zh) 智能手表
KR20080004775U (ko) 외장스피커를 구비하는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0779145B1 (ko) 다기능 손목 시계
KR100808634B1 (ko)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KR20060024890A (ko)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JP2013229840A (ja) 着脱式受話器を有するタブレット型携帯情報端末
KR20160147498A (ko) 분리형 모노 이어셋
CN108124214B (zh) 一种蓝牙耳机及其组合
JP6285836B2 (ja) 携帯端末
KR20200068472A (ko) 송수신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안전모
WO2024109501A1 (zh) 通话控制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WO2024109497A1 (zh) 可穿戴设备管理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CN212013029U (zh) Tws耳机充电盒及系统
KR20080105671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GB2452027A (en) Bluetooth earpiece with data backup capabilities
JP2002056483A (ja) 体調異常検出・緊急連絡装置及び電話装置
FI122482B (fi) Radiotekniikalla solukkoverkossa operoiva laite ja siihen kiinnitettävä handsfree-laite
CN202841113U (zh) 一种电子设备
US20070217583A1 (en) Communication device outside-connected incoming call indicator and earphone device having such an incoming call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