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36B1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형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636B1 KR101622636B1 KR1020090079302A KR20090079302A KR101622636B1 KR 101622636 B1 KR101622636 B1 KR 101622636B1 KR 1020090079302 A KR1020090079302 A KR 1020090079302A KR 20090079302 A KR20090079302 A KR 20090079302A KR 101622636 B1 KR101622636 B1 KR 101622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pad
- switch
- case
- disposed
- operating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와,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작축이 포함된 키패드와, 상기 동작축을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축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와,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축의 사이가 방수되도록 상기 동작축의 외주에 장착되는 링부재, 및 상기 동작축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패드가 장착되며,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적 형태의 일 예로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있다.
상기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보다 방수가 가능한 키패드가 고려될 수 있다.
발명의 일 목적은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서 방수가 가능하며 조작이 편리한 키패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와,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작축이 포함된 키패드와, 상기 동작축을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축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와,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축의 사이가 방수되도록 상기 동작축의 외주에 장착되는 링부재, 및 상기 동작축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치를 보 호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키패드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키패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리세스된 면에 배치되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측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경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키패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리세스된 면에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중앙부 및 경사부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는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축의 축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키패드는 복수의 키톱을 포함한다. 키톱들의 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키톱들은 타면이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동작축들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키톱의 타면들에는 상기 동작축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는 보호캡들 및 연결라인을 포함한다. 보호캡들은 상기 복수의 동작축들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라인은 상기 보호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보호캡들과 동일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캡들을 서로 연결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상기 키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키패드에 상기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동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는 키톱을 포함한다. 키톱의 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키톱의 타면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키톱의 타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동작축의 단부에는 상기 동작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일면이 상기 관통홀의 개구보다 더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밀봉부재는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덮여지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된다.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멈춤링을 포함한다. 멈춤링은 상기 동작축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동작축의 단부와 상기 관통홀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이 상기 스위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 및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동작축이 포함된 키톱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는 돔 스위치와,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감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링부재, 및 상기 키톱과 상기 본체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키톱에 상기 스위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동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보호부재는 상기 동작축과 상기 돔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돔 스위치 를 보호하도록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돔 스위치와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돔 스위치를 구비하여 클릭감이 우수한 키패드를 구현하며, 보호부재를 통하여 돔 스위치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키패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키패드의 복원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하여 링부재를 주변에 보다 밀착시키며, 보다 우수한 방수구조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본체(110)는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120)와 연결된다. 상기 밴드(12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본체(110)은 무선통신 모듈(181, 도 8 참조)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외관은 케이스(111)에 의하여 형성된다. 케이스(111)는 유전체,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11)의 하부에는 커버(112, 도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1) 및 커버(112)는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단말기 본체, 주로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영상 입력부(115) 또는 사용자 입력부(116, 140, 도 8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케이스(1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디스플레이(113c,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c)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c)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3)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영상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14), 영상 입력부(115)가 배치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모듈(114b, 도 3 참조)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14b)은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15b, 도 3 참조)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입력부(181, 도 8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81)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81a, 도 3 참조)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입력부(181)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116, 140)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6, 14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출력 장치 이외에 제1 사용자 입력부(116)로 사용된다. 제2 사용자 입력부(140)는 케이스(1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16, 140)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입력부(116)는 시작이나 종료를 입력받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140)는 음향 출력부(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13)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인터페이스(188, 도 8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88)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8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8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커버(112)는 리어 커버(112a) 및 덮개(112b)를 포함한다. 리어 커버(112a)는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케이스(111)와 결합한다. 덮개(112b)는 상기 내부 공간을 덮도록 리어 커버(112a)에 장착된다.
리어 커버(112a) 및 덮개(112b)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2) 측에는 상기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70)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7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2)에는 전원공급부(170)와 외부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 단자(172)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는 케이스(111)에 커버(112)가 결합하여 부품들이 내장되는 내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장 공간에는 지지 프레임(132)이 장착되고,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전자부품들이 지지 프레임(132)을 통하여 지지되거나 지지 프레임(132)에 장착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윈도우(113a)가 장착된다.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소재이거나 빛이 투과할 수 없 도록 표면 처리된 영역이다.
상기 케이스(111)에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되는 키패드(141)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키패드 설치홈(142)이 형성되고, 키패드 설치홈(142)에는 키패드(141)가 상기 키패드 설치홈(142)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케이스(111)에는 적어도 일부가 손목을 감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131)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진 부분(131)에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무선통신 모듈(181, 도 8 참조)과 연관되게 작동하는 안테나가 내장된다.
상기 케이스(111)의 전면 및 측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는 지지 프레임(132)이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2)은 케이스(111)의 재질보다 높은 강도(剛度)나 높은 강성(强性)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1)가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형성된다면, 지지 프레임(132)은 이보다 강도가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프레임(132)은 얇은 두께로 케이스(111)의 강도나 강성을 보강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32)은 전면에서 디스플레이(113c)를 지지하고 후면에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c)는 윈도우(113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13c)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다.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113c)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c) 및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c)와 윈도우(113a) 사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윈도우(113a)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위경사의 변화를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2)의 일측에는 스피커 모듈(114b) 및 카메라 모듈(115b)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마이크로폰(181a)이 장착된다. 케이스(111)에는 상기 스피커 모듈(114b) 및 마이트로폰(181a)에 대응하도록 음향홀이 형성되고, 음향홀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2)의 측면에는 회로기판(119, Printed Circuit Board)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경사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19)는, 예를 들어 연성회로기판이 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19)에는 스위치(143)가 키패드(1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스위치(143)와 키패드(141)는 사용자 입력부(140, 도 1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한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키패드(141)는 복수의 키톱들(141a, 141b, 141c)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패드(141)는 하나의 키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톱들(141a, 141b, 141c)은 일면에 패턴, 예를 들어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인쇄, 식각, 천공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새겨질 수 있다. 키톱들(141a, 141b, 141c)은 타면이 상기 케이스(1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키톱들(141a, 141b, 141c)의 타면은 키패드 설치홈(142)의 리세스된 면(142a)을 덮도록 배치된다.
키패드(14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초소형인 외치형 단말기에서 키패드(141)의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키패드(141)는 상기 케이스(111)에 구비되는 관통홀(144a, 144b, 144c)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작축(145a, 145b, 145c)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동작축(145a, 145b, 145c)은 복수의 키톱들(141a, 141b, 141c)에 각각 형성되며, 회로기판(119)의 스위치(143)를 용이하게 눌러 동작시킬 수 있도록 키톱들(141a, 141b, 141c)의 타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홀들(144a, 144b, 144c)은 각각의 동작축들(145a, 145b, 145c)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패드 설치홈(142)의 리세스된 면(142a)에 형성되어 키패드 설치홈(142)과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축(145b)은 상기 관통홀(144b)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스위치(143)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143)는 상기 동작축(145b)의 축 방향에 수직하도록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키톱(141b)과 함께 이동하는 상기 동작축(145b)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143)는 상기 동작축(145b)의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동작축(145b)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스위치(143b)는 돔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44b)과 상기 동작축(145b)의 사이가 방수되도록 상기 동작축의 외주에는 링부재(146)가 장착된다. 링부재(146)는 동작축(145b)의 외주를 감도록 이루어지며, 관통홀(144b)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링부재(146)는, 예를 들어 오링(O-ring)이 될 수 있으며, 오링은 각 동작축들(145a, 145b, 145c)에 장착되며, 동작축(145b)의 외주에는 삽입홈(147)이 형성되며, 오링은 상기 삽입홈(147)에 삽입된다.
삽입홈(147)은 동작축(145b)에만 형성되며, 관통홀(144b)의 내주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동작축(145b)은 방수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관통홀(144b)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각 외주에는 멈춤링(148)이 장착된다. 멈춤링(148)은 상기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단부와 상기 관통홀들(144a, 144b, 144c)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들(145a, 145b, 145c)이 상기 스위치(14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키톱(141b)이 관통홀(144b)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멈춤링(148)은, 예를 들어 E형 멈춤링 또는 C형 멈춤링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보호부재(150, 도 3 참조)를 포함하고, 보호부재(150)는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각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보호부재(150)는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가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치(143)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보호부재(150)는 상기 동작축들(145a, 145b, 145c)과 상기 스위치(143)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143)를 보호하도록 상기 동작축들(145a, 145b, 145c) 중 적어도 하나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143)와 접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부재(150)는 보호캡들(151a, 151b, 151c)과 연결라인(152)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호캡들(151a, 151b, 151c)은 복수의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중앙에 홈(153)이 구비된다. 홈(153)을 통하여 보호캡들(151a, 151b, 151c)은 동작축들(145a, 145b, 145c)의 단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금속 재질의 동작축들(145a, 145b, 145c)에 의한 스위치(143)의 마멸, 파손 등이 완화될 수 있다.
연결라인(152)은 보호부재(15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보호캡들(151a, 151b, 151c)과 동일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캡들(151a, 151b, 151c)를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보호캡들(151a, 151b, 151c)이 연결라인(152)을 통하여 일체로 수납가능케 되고, 또한 한 번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호부재(150)는, 예를 들어 러버 등의 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키패드(141)와 케이스(11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9a, 149b)가 배치된다.
탄성부재(149a, 149b)는 동작축들(145a, 145b, 145c)에 의하여 스위치(143)가 가압될 때 상기 키패드(141)에 상기 스위치(143)가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49a, 149b)는 키톱들(141a, 141b, 141c)과 키패드 설치홈(142)의 리세스된 면(142a)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49a, 149b)는 하나의 키톱(예를 들어, 141a)에 대하여 복수로 구비되고, 대응하는 동작축(145a)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149a, 149b)는 일단이 상기 키톱(141a)의 타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키톱(141a) 및 탄성부재(149a, 149b)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키톱(141a)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지면, 눌러진 키톱(141a)에 대응하는 동작축(145a)이 스위치(143)을 가압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끝나면 동작축(145a)의 가압이 해제되며, 이 때, 탄성부재(149a, 149b)는 상기 키톱(141a)에 상기 스위치(14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링부재(146)가 관통홀(144a)의 내주에 밀착되더라도, 키톱(141a)의 조작후 위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140, 도 1 참조)는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조립되는 조립 매커니즘을 형성한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조립 매커니즘을 살펴보면, 먼저, 동작축(145b)에 링부재(146)를 장착하고, 키 톱(141b)의 홈에 탄성부재(149a, 149b)를 삽입한다. 다음은, 동작축(145b)을 관통홀(144b)에 삽입하면서 키톱(141b)을 키패드 설치홈(142)에 장착한다. 다음은, 케이스(111)의 내측에서 멈춤링(148)을 상기 동작축(145b)의 외주에 끼운다. 상기 조립 매커니즘에 의하면, 링부재(146)를 동작축(145b)에 끼움에 의하여 방수 구조가 간단히 구현되면, 케이스(111)의 외부에서 조립이 거의 이루어지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도록 도 3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동작축(245b)의 단부에는 상기 동작축(245b)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홈(261)이 구비된다.
보호부재(250)는 일면이 상기 관통홀(244b)의 개구보다 더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250)의 일면에는 상기 홈(261)에 삽입되는 돌기(262)가 형성된다. 돌기(262)와 홈(261)은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키톱(241b)이 관통홀(244b)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스위치(243)가 동작축(245b)에 의하여 마멸 또는 파손되는 것이 완화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키패드(341)와 케이스(311)의 사이에는 밀봉부재(263)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부재(263)는, 예를 들어 러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동작축(345b)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으로 이루어진다. 밀봉부재(263)는, 키패드(341)에 의하여 덮여지는 관통홀(344b)의 개구를 한정하고, 스위치(34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상기 관통홀(344b)의 개구를 한정하고 동작축(345b)의 외주를 감쌈에 의하여 방수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하여 키패드(341)의 조작후 위치 복원시에 키패드(341)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440)가 케이스(411)의 전면에 장착된다. 케이스(41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진 부분(431a, 431b)에는 복수의 안테나가 각각 내장된다. 사용자 입력부(440)는 디스플레이부(413)의 하측, 즉 경사진 부분(431a, 431b) 중 어느 하나에 인접 배치되며, 음향 출력부(414) 및 영상 입력부(415)는 디스플레이부(413)의 상측, 즉 경사진 부분(431a, 431b) 중 다른 하나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440)와 관련된 부품들과 음향 출력부(414) 및 영상 입력부(415)와 관련된 부품들의 금속 성분이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에 편중 배치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영상 입력부(115), 사용자 입력부(116, 140), 전원공급부(170), 제어부(180), 무선통신 모듈(181), 메모리(184), 방송수신 모듈(185), 센싱유닛(186), 음향 입력부(187), 인터페이스(188)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6, 14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116, 140)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8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81)로 출 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8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86)은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7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88)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88)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와치형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와치형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한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각각 도 3의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도록 도 3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7)
-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작축이 포함된 키패드;상기 동작축을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축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축의 사이가 방수되도록 상기 동작축의 외주에 장착되는 링부재; 및상기 동작축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며,상기 링부재는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키패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키패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리세스된 면에 배치되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설치홈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측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경사지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축의 축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키톱을 포함하고,상기 동작축들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키톱의 타면들에는 상기 동작축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보호부재는상기 복수의 동작축들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중앙에 홈이 구비되는 보호캡들; 및상기 보호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보호캡들과 동일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캡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키패드에 상기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동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키톱을 포함하고,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키톱의 타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타단 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축의 단부에는 상기 동작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 구비되고,상기 보호부재는 일면이 상기 관통홀의 개구보다 더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덮여지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축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동작축의 단부와 상기 관통홀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이 상기 스위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링을 더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 및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사용자 입력부는,상기 본체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동작축이 포함된 키톱;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는 돔 스위치;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감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링부재; 및상기 키톱과 상기 본체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축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키톱에 상기 스위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상기 링부재는 상기 동작축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동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동작축과 상기 돔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돔 스위치를 보호하도록 상기 동작축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돔 스위치와 접촉하여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302A KR101622636B1 (ko) | 2009-08-26 | 2009-08-26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302A KR101622636B1 (ko) | 2009-08-26 | 2009-08-26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1481A KR20110021481A (ko) | 2011-03-04 |
KR101622636B1 true KR101622636B1 (ko) | 2016-05-20 |
Family
ID=4393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302A KR101622636B1 (ko) | 2009-08-26 | 2009-08-26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26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7039B1 (ko) * | 2015-08-20 | 2022-07-05 |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
KR102369614B1 (ko) | 2017-09-05 | 2022-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251Y1 (ko) * | 2002-10-29 | 2003-02-05 | (주) 케이비아이 |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
JP2006171451A (ja) * | 2004-12-16 | 2006-06-29 | Asahi:Kk | 水中カメラケース |
KR100808634B1 (ko) * | 2006-09-05 | 2008-02-29 | (주)에디트론 |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
-
2009
- 2009-08-26 KR KR1020090079302A patent/KR1016226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251Y1 (ko) * | 2002-10-29 | 2003-02-05 | (주) 케이비아이 |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
JP2006171451A (ja) * | 2004-12-16 | 2006-06-29 | Asahi:Kk | 水中カメラケース |
KR100808634B1 (ko) * | 2006-09-05 | 2008-02-29 | (주)에디트론 |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1481A (ko) | 201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9023B1 (ko)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04704B1 (ko)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
KR20090054847A (ko) | 휴대 단말기 | |
KR20100050028A (ko) | 와치형 단말기 | |
KR10165902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22636B1 (ko)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
US10804047B2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27514A (ko) |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 |
KR20090102240A (ko) |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610206B1 (ko) | 이동 단말기 | |
US20080261665A1 (en) | Slidable mobile terminal | |
KR10150200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22678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1820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0480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871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70378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00080039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3304B1 (ko) |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2012003884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22603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5395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00039741A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92169A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