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185A -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185A
KR20180033185A KR1020187001922A KR20187001922A KR20180033185A KR 20180033185 A KR20180033185 A KR 20180033185A KR 1020187001922 A KR1020187001922 A KR 1020187001922A KR 20187001922 A KR20187001922 A KR 20187001922A KR 20180033185 A KR20180033185 A KR 2018003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set
function
call
state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559B1 (ko
Inventor
임상현
최연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셋 및 그 이어셋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 끝단을 포함하는 이어셋 본체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이어폰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양 끝단 탈부착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온(on)/오프(off) 또는 상기 이어셋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어셋 및 그 이어셋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셋은, 마이크와 이어폰이 합쳐진 형태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어셋은 라디오나 MP3 플레이어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음향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또는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아 이를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이러한 이어셋의 기능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보다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어셋은 자체적으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또는 복수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부가적인 단말기 없이도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거나, 다양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하여, 연결된 단말기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이어셋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처럼 이어셋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이 보다 다양해지고 많아짐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자가 상기 이어셋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현재 활발하게 연구 중인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는 이어셋 및 그 이어셋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키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셋 및 그 이어셋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earset)은, 서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 끝단을 포함하는 이어셋 본체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이어폰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양 끝단 탈부착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온(on)/오프(off) 또는 상기 이어셋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이어폰의 착탈 여부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이어폰의 착탈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가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착신된 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착신된 호에 따라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 또는 상기 착신된 호에 따른 통화를 보류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가 보류되는 경우, 통화 보류에 대응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착신된 호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 이어셋의 현재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가 출력 및,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은, 상기 연결된 통화를 종료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은,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어어폰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음원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어어폰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한곡 이상의 음원을 빨리감기 하는 기능 및 되감기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곡 이상의 음원이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어셋과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와 연계된 기능이 상기 이어셋 및 상기 주변 기기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이어셋과 연결 가능한 기기 중,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될 때에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과 관련된 동작 상태에 있는 기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영상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태 중에,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영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음원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태 중에,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어셋에서 재생되는 음원과 관련된 영상 정보가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기 설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다양한 광원의 빛이 발광되는 광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광 출력부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기 설정된 주변 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광 출력부의 발광을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변 기기는, 기 설정된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 끝단을 포함하는 이어셋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의 변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온(on)/오프(off) 또는 상기 이어셋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키들의 조합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기능을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어셋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감지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또는 실행되는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셋에 구비되는 키들의 수를 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어셋에 라이팅(lighting) 기능이 더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라이팅을 이용한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더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이 이어폰 모드인 경우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이 스피커 모드인 경우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이 이어폰 폰 모드인 경우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이 스피커 폰 모드인 경우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에서, 음원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에서, 음원 재생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이, 주변 기기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에서 동작하는 라이팅 기능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어셋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얼마든지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어셋(10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어셋(1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어셋(1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어셋(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어셋(100)과 다른 이어셋(100) 사이, 또는 이어셋(100)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어셋(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어셋(100) 내 정보, 이어셋(10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어셋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51), 햅팁 모듈(152), 광 출력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어셋(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셋(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어셋(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어셋(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어셋(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어셋(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의 재생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어셋(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어셋(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어셋(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어셋(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어셋(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어셋(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어셋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셋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어셋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어셋(100)을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어셋(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채널은 라디오 채널 또는 음악 방송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어셋(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어셋(100)과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어셋(100)과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100)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어셋(100) 주변에, 상기 이어셋(100)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100)과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어셋(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어셋(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어셋(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폰(122)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어셋(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어셋(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어셋(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어셋(100) 내 정보, 이어셋(10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어셋(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어셋(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에는 근접 센서(141)와 조도 센서(142)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조도 센서(142)는 이어셋(100) 주변의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말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에는 복수의 마그네틱 센서(1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마그네틱 센서(143)는 상기 이어셋(100)을 형성하는 외관의 적어도 두 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센서(143)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센서(143)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탈착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탈부착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에서 구동될 기능을 결정하거나 또는 현재 구동중인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에서 특정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현재 이어셋(100)에서 구동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어셋(100)이, 이어폰(earphone) 뿐만 아니라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여,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경로가 두 개(이어폰 또는 스피커)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어폰을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동작 모드(이하 이어폰 동작 모드) 또는 음향 신호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동작 모드(이하 스피커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150)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52), 호의 착신이나 배터리 부족 경고 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촉각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153) 및, 다양한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셋(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이어폰(earpho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 출력부(153)는 다양한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광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광 출력부(153)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광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3)가 출력하는 광 신호는 이어셋(100)에 구비된 LED(light-emitting diode)가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광 신호의 출력은 이어셋이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출력부(153)는 이벤트의 발생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단색 또는 복수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153)에서 단색 또는 복수의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이처럼 광출력부(153)에서 빛이 발광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와, 빛이 발광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서로 다른 동작 모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은,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탈부착 여부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60)는 이어셋(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어셋(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어셋(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어셋(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이어셋(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어셋(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어셋(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어셋(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어셋(100)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또는 다양한 음원에 대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햅틱 모듈(152) 또는 광 출력부(154)에서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광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어셋(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값들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마그네틱 센서(143)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 모드 또는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기 설정된 밝기의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라이팅(lighting) 모드 또는 빛이 발광되지 않는 통상적인 동작 모드(노말(normal)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감지값에 근거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에서 특정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현재 이어셋(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이어셋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어셋(100)은 사용자가 목걸이처럼 두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된 형태의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가 그 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줄 형태로 이어지는 형태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어셋 바디는 이어셋(100)을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어셋(100)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어셋(100)은 이어셋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어셋(100)에는 음향 출력부(151)로서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이어폰(200a, 200b)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스피커(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거나(이어폰 모드), 상기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스피커 모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200a, 200b)은 케이스 내부의 홈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이어셋(100) 케이스의 홈으로부터 이어폰(200a, 200b)을 꺼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에는 마그네틱 센서(143)가 각각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은 서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의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탈착되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때까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어셋(100)의 케이스에는 제1 및 제2 조작유닛(122a, 122b), 조도 센서(142), 마이크(121),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2a, 122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2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2b)은 이어폰(200a, 200b) 또는 스피커(220a, 220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는, 광 출력부(153)가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출력부(15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을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뒤쪽에서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이 보다 잘 식별될 수 있도록, 이어셋(100)의 뒤쪽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뒤쪽에서 상기 광 출력부(153)의 빛이 발광됨으로써, 사용자의 뒤에 위치한 차량 또는 사람이 사용자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보다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 이어셋(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이어셋(100)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현된 이어셋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이어셋(100)에서는 양 끝단(210a, 210b)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센서(143)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에 의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상기 마그네틱 센서(143)가 상기 양 끝단(210a, 210b) 외에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어셋(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S300 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이어폰(200a, 200b) 또는 스피커(220a, 220b)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어폰 모드 또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S300 단계에서,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302).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이어셋(100)에서 실행중인 기능 또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의 온 또는 오프가,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호 착신과 같은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근거하여 통화가 보류되도록 하거나, 현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호 착신 이벤트의 발생시에,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의 흐름을,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현재 이어셋(100)에서 실행 중인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통화 기능이면,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셋(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음원 재생 기능이면,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이어셋(100)에서 실행중인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경우에 상기 통화 기능이 제어되는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하고, 이어셋(100)에서 실행중인 기능이 음원 재생 기능인 경우에,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기능이 제어되는 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이어셋(100)에서 실행 가능한 특정 기능의 실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특정 주변 기기와 연계된 기능 또는 이어셋(100)의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의 온/오프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동작 상태로의 전환 여부가 결정되는 예를, 하기 도 11a 및 도 11b,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100)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호 착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햅틱 모듈(152)을 통해 출력되는 진동이나 음향 출력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기 설정된 음향 신호를 통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S400), 그에 따른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이 일정 거리 이상 서로 이격된 상태, 즉 탈착된 상태라면, 이어셋(100)은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된 상태라면, 이어셋(100)은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S400 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변경되지 않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통화 키 선택 또는 이어폰들(200a, 200b) 중 어느 하나를 착용하는 등)라면, 제어부(180)는 현재 이어셋(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S402). 즉, 이어셋(100)이 현재 이어폰 모드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이어폰 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이어셋(100)이 현재 스피커 모드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스피커 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0 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현재 착신된 호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다른 기능은, 현재 착신된 호에 대한 통화 보류 기능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호 착신 이벤트가 발생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라면, 상기 호 착신에 따른 호 연결이 보류(통화 보류)되도록 할 수도 있다(S406).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호의 상대방에게, 통화가 보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보류된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저장된 통화 보류 정보는 상기 이어폰(200a, 200b) 또는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또는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따라 통화 보류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따라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S400 단계의 감지 결과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변경되지 않는 경우, 통화 보류 기능 또는 현재 통화가 연결되지 않음을 상기 착신된 호의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400 단계의 감지 결과 양 끝단(210a, 210b)의 탈 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상기 착신된 호에 대한 통화 연결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변경이 있는 경우에, 현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통화 기능, 즉 상기 이어폰 폰 기능 또는 스피커 폰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따라 통화 보류 기능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은, 현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보류 기능과는 다른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하여, 상기 센싱부(14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의 감지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을 장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04). 상기 이어폰(200a, 200b)은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을 장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200a, 200b)을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어셋(100)에서 제공하는 통화 기능을 결정할 수도 있다(S408).
즉, 제어부(180)는, 현재 이어셋(100)이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즉 이어폰(200a, 200b)이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4 단계의 감지 결과, 이어폰(200a, 200b)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200a, 200b)의 착용을 이어폰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S408 단계에서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이어셋(200a, 200b)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이어폰 폰 기능의 제공).
반면 현재 이어셋(100)이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즉 이어폰(220a, 220b)이 착용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4 단계의 감지 결과, 이어폰(200a, 200b)이 착용 해제, 즉 탈착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200a, 200b)의 탈착을 스피커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S408 단계에서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스피커(220a, 220b)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스피커 폰 기능의 제공).
한편 이러한 이어셋(100) 동작 모드의 전환은, 상기 통화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통화 종료가 감지되기 전까지, 상기 이어폰(200a, 20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 및 전환된 동작 모드에 따른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이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이격되어 탈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두 번째 도면은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도 5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따라 현재 발생된 이벤트, 즉 호 착신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5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양 끝단(210a, 210b)이 부착되는 경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 즉 통화 보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에, 이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양 끝단(210a, 210b)이 탈착된 상태에서, 도 5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되고, 이어셋(200a, 200b)까지 탈착되는 경우, 이러한 이어셋(100)의 상태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스피커 폰 기능의 실행).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이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양 끝단(210a, 210b)이 부착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두 번째 도면은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도 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따라 현재 발생된 이벤트, 즉 호 착신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이격되어 탈착되는 경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 즉 통화 보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에, 이를 상기 호 착신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6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양 끝단(210a, 210b)이 탈착되고, 이어셋(200a, 200b)이 부착되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착신된 호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이어폰(200a, 200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이어폰 폰 기능의 실행).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현재 제공되는 기능, 즉 통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 변경에 근거하여 현재 연결된 통화가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이러한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양 끝단(210a, 210b)이 탈착된 상태인 경우 이어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어셋(100)은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호 착신에 따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이어폰 폰 기능).
그리고 이처럼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되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실행 중인 기능, 즉 통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비록 통화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중이라고 할지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마든지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착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 없이,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상태만을 변경, 즉 이어폰(200a, 200b)을 착용 해제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이어셋(100)의 상태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착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이어폰 모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이어폰(200a, 200b)만을 해제하는 경우, 이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의 세 번째 도면은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양 끝단(210a, 210b)이 부착된 상태인 경우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어셋(100)은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호 착신에 따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스피커 폰 기능).
그리고 이처럼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탈착되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실행 중인 기능, 즉 통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도 7에서 보인 바와 유사하게,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상태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80)는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착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 없이, 이어폰(200a, 200b)이 착용되는 경우라면, 이에 근거하여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스피커 모드에서 이어폰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스피커 모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이어폰(200a, 200b)을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의도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의 세 번째 도면은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상기 통화와 관련된 기능이 제공되거나 제어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얼마든지 다른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실행 중인 기능을 제어하거나 또는 관련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기능으로, 음원 데이터를 음향 신호로 재생하는 음원 재생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100)에서, 상기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이어폰 모드 또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로부터 재생된 음향 신호를, 현재 동작 모드에 따라 이어폰(200a, 200b) 또는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900).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기능, 즉 음원 재생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음원의 재생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S902). 상기 S902 단계에서,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은, 이어셋(100)이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을 탈착이 감지되는 경우가, 상기 이어셋(100)이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사용자의 동작 만으로 음원의 재생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다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904). 그리고 상기 S906 단계의 감지 결과에 따라 현재 정지된 음원의 재생이 속행되도록 할 수 있다(S906).
한편, 제어부(180)는 이러한 음원 재생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마든지 이어셋(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기능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을 착용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이어폰 모드로 또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의 착용을 해제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스피커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스피커(220a, 220b)를 통해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이어셋(100)이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200a, 200b)을 착용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이어폰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이어폰(200a, 200b)을 통해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감지 결과를, 보다 다양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이어폰(200a 또는 200b)에 대한 착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그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기능, 즉 음원 재생 기능 등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어폰(200a 또는 200b)만을 착용하거나 또는 착용 해제하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의 행위에 근거하여, 다른 음원이 재생(빨기 감기)되도록 하거나, 또는 재생된 음원이 다시 재생(되감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폰(200a 또는 200b)의 착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변경된 횟수 또는 착용 상태가 변경된 시간 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음원 재생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이처럼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셋(100)에서, 음원 재생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0의 첫 번째 도면은 이어셋(100)이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도 10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폰(200a, 200b)의 착용 상태는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만 변경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음원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반면, 도 10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어폰(제2 이어폰, 200b)의 착용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어폰(200b)이 착용 해제된 시간 또는 상기 제2 이어폰(200b)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착용 해제된 횟수에 근거하여, 적어도 1곡 이상의 음원을 빨리감기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다른 이어폰(제1 이어폰, 200a)의 착용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어폰(200a)이 착용 해제된 시간 또는 상기 제1 이어폰(200a)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착용 해제된 횟수에 근거하여, 적어도 1곡 이상의 음원을 되감기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0에서 도시한 예들은, 이어셋(100)이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예를 가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어셋(100)이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이어셋(100)의 기능이 제어하기 위한 이어셋(100)의 상태는 상기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다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80)는 도 10의 두 번째 도면과는 달리,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이격되어 탈착되는 경우에 음원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어폰(200a) 또는 제2 이어폰(200b)이 착용 해제되는 경우가 아니라, 착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이어폰(200a) 또는 제2 이어폰(200b)이 착용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착용된 횟수에 근거하여, 적어도 1곡 이상의 음원을 빨리감기 하거나 또는 되감기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따라 특정 주변 기기와 연계된 기능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이러한 경우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우선 도 1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1a의 첫 번째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이어폰 모드로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a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와 연계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이어셋(100)에 기 연결된 적이 있거나 또는 기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상기 이어셋(100)이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는, 특정 동작 상태에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즉, 이어셋(100)은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기기들 중 기 설정된 동작 상태로 동작하는 주변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셋(100)의 주변에 연결 가능한 기기가 복수 개 있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특정한 어느 하나의 기기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주변 기기에 이어셋(100)이 연결되면 바로 상기 이어셋(100)과 연계된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주변 기기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또는 TV나 컴퓨터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에 따라 연계될 수 있는 기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가 스마트 폰(smart phone : 1100)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스마트 폰(1100)에 구비된 영상 입력 장치, 즉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폰(1100)은 특정 동작 상태에 진입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이어셋(100)에 연결되는 스마트 폰(1100)은 전화 기능이 실행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 기능이 실행된 상태라는 것은, 호 착신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을 받기 위한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전화 기능과 같은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이어셋(100)이 연결되는 경우, 도 11a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스마트 폰(1100)의 영상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영상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a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면, 스마트 폰(1100)에서는 바로 상기 이어셋(100)과의 연계 기능, 즉 영상 통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11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통화 상대방의 영상(1110) 및,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사용자의 영상(1112)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주변 기기와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80)는 도 11a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이 탈부착 상태가 다시 변경되는 경우, 이를 상기 주변 기기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현재 연결된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110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통화 기능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영상 통화 기능이 종료된다고 할지라도, 현재 연결된 통화가 종료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 기능이 종료되면, 도 11a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셋(100)의 이어폰 모드로 통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주변 기기의 종류 또는 이어셋(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연계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주변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현재 이어셋(100)에서 실행 중인 기능, 즉 음원 재생 기능과 관련된 상기 주변 기기와의 연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b는 이러한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1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도 11b의 첫 번째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음원 재생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어셋(100)의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감지 및,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된 주변 기기는, 특정 동작 상태에 있는 주변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동작 상태는, 상기 이어셋(100)에서 현재 실행중인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도 11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셋(100)에서 통화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중이라면, 제어부(180)는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들 중, 전화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 있는 기 등록된 주변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어셋(100)이 음원을 재생하는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동작 상태에 있는 주변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동작 상태에 있는 주변 기기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으로, 감지된 주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된 주변 기기에서는, 현재 이어셋(100)에서 실행되는 기능, 즉 음원 재생 기능과 관련된 연계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계 기능의 예로는, 상기 이어셋(100)에서 재생되는 음원과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들 수 있으며, 도 11b의 두 번째 도면은, 이어셋(100)에서 재생되는 음원의 뮤직 비디오(1152)가, 상기 이어셋(100)과 연결된 주변 기기(1150)를 통해 재생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상기 주변 기기(115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기 설정된 서버(예를 들어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변 기기(1150)에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가 종료되기 전이라고 할지라도, 제어부(180)는 얼마든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연결된 주변 기기(115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변 기기(1150)와의 연결 해제는, 이어셋(100)에서 실행되는 기능, 즉 음원 재생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주변 기기(1150)와의 연결이 해제, 즉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주변 기기(1150)에서 재생되는 영상만 종료될 뿐, 이어셋(100)에서는 음원이 재생되는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하나의 주변 기기가 연결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어셋(100)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는 복수 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수나 종류에 따라 상기 이어셋(100)과 연결된 주변 기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연계 기능은 서로 다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은 광 출력부(153)를 포함하여,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을 이용한 라이팅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라이팅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셋(100)에서 라이팅 기능이 제공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2의 첫 번째 도면은,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탈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라이팅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따라 광 출력부(153)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12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이격된 탈착 상태에 있을 때에 라이팅 기능이 오프(off)되는 경우라면,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도 12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 있을 때 라이팅 기능이 온(on)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는 빛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뒤쪽에서 접근하는 차량 또는 사람이, 상기 사용자를 보다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2에서는,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탈착된 상태인 경우에 라이팅 모드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부착된 상태인 경우에 라이팅 기능이 오프 상태에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양 끝단(210a, 210b)이 서로 탈착되는 경우에 상기 광 출력부(153)로부터 빛이 발광(라이팅 기능이 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기능은, 기 설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팅 기능은, 조도 센서(142)의 감지 결과 이어셋(100)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 상기 라이팅 기능이 자동으로 온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라이팅 기능은 현재 시각에 근거하여, 현재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각 이후일 경우, 즉 저녁 또는 야간인 경우 자동으로 온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라이팅 기능은 이어셋(100)의 현재 위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어셋(100)이 실외에 있는 경우에 한해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 또는 상기 시각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온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라이팅 기능이 온 되면, 그 당시의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상태는 상기 라이팅 기능의 온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라이팅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이어셋(100) 양 끝단(210a, 210b)의 탈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라이팅 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기능이 온 또는 오프되는 조건 및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의 세기 등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어셋(100)과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 즉 스마트 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팅 기능이 온 또는 오프되는 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어셋(100)과 연결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의 세기나 빛의 색, 또는 빛의 점멸 여부 등을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이,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 포함된 센서들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보 중인지 또는 달리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근거하여, 세기, 색상,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주변 기기와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라이팅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거치대가 상기 이어셋(1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어셋(100)의 광 출력부(153)를 통해 기 설정된 세기 또는 색상의 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어셋(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키로부터 상기 광 출력부(153)에서 발광되는 빛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어셋(100)은 기 설정된 거치대와 연결되는 경우 조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어셋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서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 끝단을 포함하는 이어셋(earset) 본체;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이어폰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양 끝단 탈부착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온(on)/오프(off) 또는 상기 이어셋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이어폰의 착탈 여부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이어폰의 착탈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가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착신된 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호 착신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착신된 호에 따라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 또는 상기 착신된 호에 따른 통화를 보류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가 보류되는 경우, 통화 보류에 대응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착신된 호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 이어셋의 현재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가 출력 및,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은,
    상기 연결된 통화를 종료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통화와 관련된 기능은,
    상기 착신된 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어어폰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원 재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음원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 변경 여부 및, 상기 어어폰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과 관련된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한곡 이상의 음원을 빨리감기 하는 기능 및 되감기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착탈 여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곡 이상의 음원이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어셋과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와 연계된 기능이 상기 이어셋 및 상기 주변 기기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이어셋과 연결 가능한 기기 중,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될 때에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과 관련된 동작 상태에 있는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영상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태 중에,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영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음원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태 중에,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어셋에서 재생되는 음원과 관련된 영상 정보가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기 설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다양한 광원의 빛이 발광되는 광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 끝단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광 출력부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이 기 설정된 주변 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광 출력부의 발광을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변 기기는,
    기 설정된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7. 서로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 끝단을 포함하는 이어셋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양 끝단의 탈부착 상태의 변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어셋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온(on)/오프(off) 또는 상기 이어셋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어셋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의 제어 방법.
KR1020187001922A 2015-07-24 2015-07-24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2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759 WO2017018552A1 (ko) 2015-07-24 2015-07-24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185A true KR20180033185A (ko) 2018-04-02
KR102342559B1 KR102342559B1 (ko) 2021-12-23

Family

ID=5788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922A KR102342559B1 (ko) 2015-07-24 2015-07-24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84940B2 (ko)
KR (1) KR102342559B1 (ko)
WO (1) WO20170185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42B1 (ko) * 2018-09-13 2020-01-07 네이버 주식회사 이어셋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259B2 (en) * 2016-09-23 2019-07-09 Apple Inc.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828952B1 (ko) * 2017-08-24 2018-02-13 (주)다보산업 불면증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한 두뇌 자극 장치
KR102468640B1 (ko) * 2018-02-26 202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16812B2 (en) * 2018-09-13 2020-10-27 Apple Inc. Display devices with multimodal audio
JP7028339B2 (ja) * 2018-12-19 2022-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装着型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CN111385719A (zh) * 2020-04-30 2020-07-07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低损耗的无线立体声蓝牙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68Y1 (ko) * 2001-10-16 2002-03-18 이인국 이동통신단말 및 라디오 겸용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로폰
KR101498087B1 (ko) *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US20150195639A1 (en) * 2014-01-09 2015-07-09 Apple Inc. Earphones with left/right magnetic asymmet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56Y1 (ko) 2003-03-14 2003-06-18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목걸이형 스테레오 이어마이크세트
EP2508007B1 (en) * 2009-11-30 2015-0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rrangement in a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 service involving play out of media
US9025782B2 (en) 2010-07-2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ulti-microphone location-selective processing
US9565490B2 (en) * 2011-05-02 2017-02-07 Apple Inc. Dual mode headphon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US9769556B2 (en) * 2012-02-22 2017-09-19 Snik Llc Magnetic earphones holder including receiving external ambient audio and transmitting to the earphones
WO2014055312A1 (en) * 2012-10-02 2014-04-10 Mh Acoustics, Llc Earphones having configurable microphone arrays
KR2017001155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68Y1 (ko) * 2001-10-16 2002-03-18 이인국 이동통신단말 및 라디오 겸용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로폰
KR101498087B1 (ko) *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US20150195639A1 (en) * 2014-01-09 2015-07-09 Apple Inc. Earphones with left/right magnetic asymmet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42B1 (ko) * 2018-09-13 2020-01-07 네이버 주식회사 이어셋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559B1 (ko) 2021-12-23
US10284940B2 (en) 2019-05-07
WO2017018552A1 (ko) 2017-02-02
US20180220220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025B2 (en) Wearable electronic system
KR102342559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70817A1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KR201600669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497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7606A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35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460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89283A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6007052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549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700192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34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6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526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2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9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