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34B1 - 분리형 스마트워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스마트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34B1
KR101966134B1 KR1020150089232A KR20150089232A KR101966134B1 KR 101966134 B1 KR101966134 B1 KR 101966134B1 KR 1020150089232 A KR1020150089232 A KR 1020150089232A KR 20150089232 A KR20150089232 A KR 20150089232A KR 101966134 B1 KR101966134 B1 KR 10196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mart watch
sensor
unit
heart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235A (ko
Inventor
바실리 쿠즈네초프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에 있어서 물 속에서 비상 사태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험을 감지하여 외부로 위험을 알리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결합하고 제1 밀도 값 이하의 밀도를 갖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분리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체결부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스마트워치{DETACHABLE SMART WATCH}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스마트워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형태는 사용자와 떨어져 사용자가 소지하며 사용해야 하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 등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의 대표적 예로 스마트워치를 들 수 있다.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어 단말기의 일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기본적인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특정 정보 또는 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최근 기본적인 기능인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과 같은 기능 이외에 제한적인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특정한 기능은, 사용자 내지 단말기를 보호 하거나 긴급상황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레저나 탐험 활동 중 고립된 경우 워치에서 안테나를 쏘아 올려 그것을 통해 비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또는 단말기의 낙하를 감지하여 단말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막이 생기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트랩으로부터 본체부를 분리하도록하는 단말기가 존재한다.
하지만, 스마트워치가 물속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전제로, 비상 신호를 알릴 수 있는 단말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 일부를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단말기 또한 존재하지 않아 이러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에 있어서 물 속에서 비상 사태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험을 감지하여 외부로 위험을 알리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결합하고 제1 밀도 값 이하의 밀도를 갖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분리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체결부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가 안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함몰부 내면에 돌출된 제1 후크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 후크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구비된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결합을 분리시키는 릴리징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릴리징버튼부는, 외부의 제1 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바디와 동일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 바디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양 단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릴리징버튼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스트랩이고, 상기 제2 바디의 일단은 상기 스트랩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은 상기 스트랩의 타단과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평균 밀도는 상기 제1 밀도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 센서에 의해 제1 박동수 이하 또는 제2 박동수 이상의 심박수가 측정되면 상기 체결부를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제2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체결부를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제2 바디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이 제2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를 활성화 시키고,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지피에스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제1 바디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심박을 인식하는 심박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위치 등의 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인식한 정보 및 상기 심박 센서가 인식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분리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이동 거리를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제2 바디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제2 바디의 분리를 감지한 이후부터 상기 제2 바디가 수면에 위치하는 제3 압력이 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1 신호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긴급 상황을 단말기가 스스로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단말기의 일부를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바디가 스트랩, 제2 바디가 스마트워치의 본체가 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도 3의 B-B' 방향의 단면도 일부이다.
도 7은 제어부 및 구동부를 이용하여 체결부를 분리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제2 바디의 내에 실장된 구성들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심박 센서를 이용한 분리 조건 판단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한 분리 조건 판단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의 형태를 예로 기술하고 있으나, 반드시 스마트워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단말기 또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분리형 스마트워치(10)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분리되지 않는 제1 바디(100)와 제1 바디(100)에 결합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제2 바디(200)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사용자에게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손목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본체 일부 및 본체 일부에 결합된 스트랩(10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01)은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스트랩(101)은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101)은 제1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101)은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스트랩(101)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제1 바디(100)는 제2 바디(200)가 안착되는 함몰부(103)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103)의 형상은 제2 바디(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제2 바디(2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의 함몰부(103)에 안착되어 결합할 수 잇다.
제2 바디(200)는 제1 밀도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밀도는 제2 바디(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밀도뿐만 아니라 제2 바디(200)의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부품까지 포함한 전체 밀도를 가리킨다.
제1 밀도 값은 바닷물 또는 일반 물의 밀도의 유사 값을 갖는 경우 물속에서 제2 바디(200)가 물리적인 제약 없이 분리되는 경우 물보다 적은 밀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면위로 상승하게 된다. 제1 밀도는 예를 들어 1g/cm^3 이 될 수 있다.
밀도는 질량에 부피를 나눈 값이므로 제2 바디(200)는 부피를 가능한 한 크게 하고 질량은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제2 바디(200)의 하우징은 제2 바디(20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질량은 가벼워야 한다. 제2 바디(200)의 하우징의 재료는 특히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내부에는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장부는 기체가 포함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에 구비된 기체는 일반 공기일 수도 있고, 또는 밀도가 낮은 수소, 헬륨일 수도 있다. 또는 중공부는 기체가 없는 진공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만 제2 바디(200)가 진공상태가 되는 경우 제2 바디(200)의 하우징은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찌그러지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의 A-A' 방향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다.
체결부(300)는 제2 바디(200)와 제1 바디(100)를 결합하고 있을 수 있다. 특히 체결부(300)는 제1 바디(100)의 함몰부(103)의 내면에 돌출된 제1 후크부(111) 및 제2 바디(200)가 함몰부(103)에 안착되는 경우 제1 후크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구비된 제2 후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특정 조건에 따라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제1 후크부(111)는 제1 바디(100)에 구비되어 특정 압력이상이 작용시 압축되어 제1 후크부(111)를 이동시키는 릴리징버튼부(110)과 연결될 수 있다. 릴리징버튼부(110)이 눌러지는 경우 제1 스프링(112)이 압축되면서 제1 후크부(111)를 압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후크부(211)를 눌러 제2 바디(200)가 이탈하지 않도록 눌러주던 힘을 제거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분리 스프링(113)이 구비되어 체결부(300)이 분리되어 제2 바디(200)가 용이하게 튕겨 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가 분리되는 특정 조건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릴리징버튼부(110)를 눌러서 제2 바디(200)를 분리시키는 경우와 분리가 될 특정 수심에 해당하는 제1 압력에 의해 릴리징버튼부(110)가 자동으로 눌러져 제2 바디(200)를 분리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릴리징버튼부(110)를 눌러서 제2 바디(200)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릴리징버튼부(110)는 도 1 과 같이 제1 바디(100)에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릴리징버튼부(110)이 릴리징버튼부(110)이 구비된 제1 바디(100)의 제1 면보다 돌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우연히 눌러져 제1 바디(100)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릴리징버튼부(110)를 포함하는 체결부(300)는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3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릴리징버튼부(110)가 모두 눌러진 경우에만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릴리징버튼부(110)은 제1 바디(100) 상면 상하에 대칭으로 구비되거나 좌우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바디(100)의 좌우 측면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2 바디(200)의 상하 양 단에 대칭으로 구비되거나 좌우 양 단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릴리징버튼부(110)이 동시에 눌러져 제2 바디(200)가 분리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압력 이상이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릴리징버튼부(110)를 동시에 눌러 제2 바디(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반면 특정 수심에 해당하는 제1 압력에 해당하여 릴리징버튼부(110)가 자동으로 눌러져 제2 바디(200)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릴리징버튼부(110)을 눌러 체결부(300)가 제2 바디(200)와 제1 바디(100)를 분리시키지 않도록 릴리징버튼부(110)은 구비된 제1 바디(100)와 동일면에 구비되거나 제1 바디(100)에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릴리징버튼부(110)이 함몰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해 분리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릴리징버튼부(110)은 제1 바디(100)에 하나만 구비되면 족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 및 제1 바디(100)는 방수 구조를 포함하고, 체결부(300)는 분리되더라도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가 여전히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300)가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와 각각 독립된 공간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체결부(300)는 방수기능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300)가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와 각각 독립된 공간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체결부(30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방수기능을 만족할 수 있다. 방수는 릴리징버튼부(110)과 제1 바디(100)의 경계, 제1 후크부(111)와 제1 바디(100)의 경계, 제2 후크부(211)와 제2 바디(200)의 경계에 각각 방수를 수행하는 방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310)는 고무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바디(100)가 스트랩(101), 제2 바디(200)가 스마트워치의 본체가 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스트랩(101)이 제1 바디(100)가 되고, 스마트워치의 본체부분이 제2 바디(200)가 되어 제2 바디(200)의 일단은 제1 바디(1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바디(200)의 타단은 스트랩(101)의 타단과 체결부(300)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부(300)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분리시키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하나가 되어 사용자의 손목에서 분리되어 물에 뜨게 된다.
따라서, 제1 바디(100)가 스트랩(101), 제2 바디(200)가 스마트워치의 본체가 되는 경우에는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 전체의 평균 밀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의 밀도를 가져야 한다.
도 6은 본 도 3의 B-B' 방향의 단면도 일부이다.
일정 압력 이상에 의해 릴리징버튼부(110)부는 제2 바디(200) 내측으로 눌러질 수 있다. 릴리징버튼부(110)부가 내측으로 눌러짐에 따라 제3 후크부(121)와 체결되어 있던 제4 후크부(131)가 내측으로 압축되어 체결이 해제되고 스프링(112)에 의해 제1 바디(100)의 일 단이 팅겨져 나올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는 기계적인 구조만을 이용하여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전자적, 기계적인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제어부(180) 및 구동부(320)를 이용하여 체결부를 분리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계적인 버튼 방식을 통해 제2 바디(200)와 제1 바디(100)가 분리되는 경우 이외에 제어부(480) 및 구동부(320)를 이용하여 센싱에 의한 전자 신호 발생에 따라 체결부(300)가 분리될 수도 있다. 구동부(320)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동력으로 바꾸어주는 구성을 말한다.
센싱부(440)에 의한 분리 조건에 해당함을 판단한 제어부(480)는 모터(144)에 회전 신호를 전달하여 제2 기어(143)이 움직여 제1 기어(142)를 움직이고 후크홈(151)에 걸려 고정된 제5 후크부(141)가 후크홈(151)에서 이탈하여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리 스프링(113)이 구비되어 체결부(300)이 분리되어 제2 바디(200)가 용이하게 튕겨 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구동부(320)에 관한 일 실시 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제2 바디(200)의 내에 실장된 구성들에 관한 개념도이다.
해당 구성요소들은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구성들의 기본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형 스마트워치(10)는 무선 통신부(410), 입력부(420), 센싱부(440), 출력부(450), 인터페이스부(460), 메모리(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분리형 스마트워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410)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분리형 스마트워치(1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410)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통신 모듈(411), 근거리 통신 모듈(112), 위치정보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4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4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4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440)는 근접센서(4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압력 센서(442),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445)(acceleration sensor, 445),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444)(finger scan sensor, 444),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4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분리형 스마트워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4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분리형 스마트워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60)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4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70)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470)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분리형 스마트워치(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470)에 저장되고, 분리형 스마트워치(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480)에 의하여 상기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4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메모리(4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분리형 스마트워치(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이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480)는 센싱부(440)가 체결부(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한 입력이 있는 경우와 같은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는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일정 값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480)가 인식하여 분리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인식한 신호가 분리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체결부(300)에 구비된 구동부(320)를 구동하도록하는 분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분리 신호는 사용자의 상태를 분리형 스마트워치(10)가 자동으로 인식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분리 신호를 입력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의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센서는 심박 센서(443) 또는 압력 센서(442)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심박 센서(443)를 이용한 분리 조건 판단의 흐름도이다.
심박 센서(443)는 제1 바디(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 등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심박 센서(443)가 측정한 분당 심박수가 너무 낮아 제1 박동수 이하가 되거나 너무 높아 제2 박동수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480)는 체결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어부(480)는 심박 센서(443)가 측정한 분당 박동수를 디텍팅한다(S110). 디텍팅한 분당 박동수가 제1 박동수 이상이거나 제2 박동수 이하인 경우(S120), 체결부(300)를 분리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S130).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압력 센서(442)를 이용한 분리 조건 판단의 흐름도이다.
압력 센서(442)는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외측면에 작용하는 수심에 의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압력 값인 제2 압력 이상이 센싱되는 경우 제어부(480)는 체결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어부(480)는 압력 센서(442)가 측정 압력을 디텍팅한다(S210). 디텍팅한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인 경우(S230), 체결부(300) 분리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S230).
압력 센서(442)에 의한 제2 바디(200)의 분리는 사용자가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수심 이상으로 들어가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스마트워치(10)의 보호를 위해 분리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분리형 스마트워치(10)는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일정 수압 이상에서 일정 시간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방수 기능을 상실하여 물이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420)를 통해 수동적으로 분리 신호를 입력시킬 수도 있다. 입력부(4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451)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지문인식 센서(444)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한 분리 신호 입력은 특정 패턴 또는 PIN 비밀번호의 입력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444)를 통해 분리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지문인식 센서(444)에 사용자의 지문을 제1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입력하는 경우 이를 비상신호로 인식하여 제어부(480)는 체결부(300)를 분리시키는 분리 신호를 생성 및 체결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박 센서(443), 압력 센서(442) 및 지문인식 센서(444) 또는 입력부(420)를 통한 사용자의 분리 신호 입력 중 적어도 두 가지 방법이 동시에 구비되고 구비된 다수의 방법의 분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한 경우에 제어부(480)가 체결부(300)를 분리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가 상기 분리 조건을 감지한 경우, 구동부(320)가 구비된 체결부(300)를 통해 분리 신호를 전달하는 것 이외에 간접적으로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 또는 광출력부(450), 예를 들어 엘이디(LED)와 같은 출력부(450)로 하여금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알림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체결부(300)를 분리시킬 것을 권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체결부(300)를 분리해 주세요"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수심 100m가 초과하였습니다. 체결부(300)를 분리해 주세요" 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광 출력부(452)(450)가 붉은색으로 깜박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위치정보 모듈(413)은 제2 바디(200)에 실장되어 제2 바디(200)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3)은 예를 들어, 위성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는 지피에스(GPS) 모듈이 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3)은 비상시 제2 바디(200)의 위치를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3)이 인식하는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제2 바디(200)에 실장되어 지피에스 모듈이 파악한 제2 바디(2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근거리에 있는 다른 대상 기기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412)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상황에 따라 GSM, CDMA, WCDMA 또는 LTE와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장거리에 있는 대상 기기에 신호를 보내는 이동통신 모듈(4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제2 바디(200) 내에 실장되어 센싱부(440)가 체결부(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410)로 하여금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무선 통신부(410)의 송신 신호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신호가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체결부(300)가 수심이 깊은 곳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2 바디(200)가 신호 송신이 가능한 수심 이하로 올라오기 전에 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신하는 경우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480)는 제1 수심 값 이하가 된 경우 또는 제2 바디(200)가 수면에 도달한 경우에만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바디(200)가 분리되었는지 여부 또는 제2 바디(200)가 분리 후 수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등을 제어부(480)가 인식하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가속도 센서(445)는 제2 바디(200)에 실장되어 제2 바디(200)의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중에서 일정한 속도인 제1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하다 수면에 뜨면서 속도는 제1 속도 이하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445)에 의해 측정한 제2 바디(200)의 속도가 제1 속도 이상에서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신호가 송신가능한 수면에 떠오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441)의 송신부 및 수신부가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의 경계에 구비될 수 있다. 경계는 제1 바디(100)의 함몰부(103)에 포함될 수 있다. 근접 센서(441)에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해당 분리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압력 센서(442)는 물속의 수압 또는 물 밖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압력이 수면의 고도에 해당하는 제3 압력과 동일하게 되는 시점을 제어부(480)는 도달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분리 시점으로부터 도달 시점까지 가속도 센서(445)가 측정한 가속도의 변화를 통해 제2 바디(200)의 상승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상승거리는 분리 시점에서의 제1 바디(100)의 수심, 즉 사용자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수심이 될 수 있다.
제1 신호에는 제2 바디(200)의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제2 바디(200)가 분리된 시점에서의 제2 바디(200)의 수심도 포함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5)는 제2 바디(200)의 수심 또는 고도뿐만 아니라 위치 좌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전술한 지피에스(GPS)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세한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피에스 모듈이 파악한 제2 바디(200)의 대략적인 위치뿐만 아니라 제2 바디(200)의 구체적인 위치 또는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피에스 모듈은 일정 수심 이상에서는 위성의 신호를 추적하기 어려워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따라서 제2 바디(200)가 수면에 도달하여 지피에스 모듈에 의해 측정된 위도 및 경도의 위치에서 제2 바디(200)가 수면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제2 바디(200)의 위도 및 경도의 움직임 값을 역으로 계산하여 분리 시점에서 사용자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예측할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445)는 제2 바디(200)의 분리 시점 이전의 제2 바디(200)의 움직임 또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급박한 상황이 있었는지, 예를 들어 제2 바디(200)에 갑작스런 격렬한 움직임 또는 진동 등이 있었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
카메라(421)부는 제2 바디(20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으로 카메라(421)를 활성화시키지 않은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445)의 제2 바디(200)의 격렬한 움직임 또는 진동 등 급박한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의 움직임 패턴 등을 미리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이 디텍팅되면 제어부(480)가 자동으로 카메라(421)부를 실행하여 녹화를 수행도록 할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445), 압력 센서(442), 심박 센서(443) 및 지피에스 모듈 등이 파악한 제2 바디(200) 또는 제2 바디(200)를 포함한 제1 바디(100)의 움직임 등의 정보는 제2 바디(200)의 메모리(4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메모리(470)에 상기 정보들이 저장됨으로써 추후에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건강상태 등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바디(200)에는 상기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 공급부(4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에도 전원이 필요한 부품이 필요한 경우 보조 전원 공급부(490)가 제1 바디(100)에 별도로 구비되어 독립적인 전원 공급부(490)가 구비될 수 있다. 주 전원 공급부(490)는 전원 잔량이 제1 전력값 이하인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여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시스템이 절전모드로 인식이 되면 압력 센서(442)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이 제2 압력 이상인 경우 가속도 센서(445)를 활성화시키고,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지피에스 모듈을 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제1 신호를 송신할 때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잔량을 고려하여 신호 송신 주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80)는 신호의 송신이 없이 또는 최초의 제1 신호만 송신한 이후 신호의 수신만 수행하다 구조대 등에서 보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신호를 일정 주기로 다시 재송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로부터 분리된 상태 및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구분하여 제2 바디(200)가 분리된 경우에 제1 신호를 통상의 무선 통신시 신호보다 더 증폭하여 송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 바디 101: 스트랩
102a: 파스너 103: 함몰부
110: 제1 버튼 111: 제1 후크부
112: 스프링 113: 분리스프링
121: 제3 후크부 131: 제4 후크부
141: 제5 후크부 142: 제1 기어
143: 제2 기어 144: 모터
151: 후크홈 200: 제2 바디
211: 제2 후크부 300: 체결부
310: 방수부 320: 구동부

Claims (10)

  1.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며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고 제1 밀도 값 이하의 밀도를 갖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어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바디에 실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분리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체결부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함몰부 내면에 돌출된 제1 후크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 후크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구비된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결합을 분리시키는 릴리징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징버튼부는,
    외부의 제1 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바디와 동일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 바디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양 단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릴리징버튼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스트랩이고,
    상기 제2 바디의 일단은 상기 스트랩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은 상기 스트랩의 타단과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평균 밀도는 상기 제1 밀도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착용면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 센서에 의해 제1 박동수 이하 또는 제2 박동수 이상의 심박수가 측정되면 상기 체결부를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제2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체결부를 분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제2 바디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이 제2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를 활성화 시키고,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제1 바디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심박을 인식하는 심박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위치 등의 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인식한 정보 및 상기 심박 센서가 인식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분리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제2 바디의 이동 거리를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제2 바디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제2 바디의 분리를 감지한 이후부터 상기 제2 바디가 수면에 위치하는 제3 압력이 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1 신호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워치.
KR1020150089232A 2015-06-23 2015-06-23 분리형 스마트워치 KR10196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232A KR101966134B1 (ko) 2015-06-23 2015-06-23 분리형 스마트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232A KR101966134B1 (ko) 2015-06-23 2015-06-23 분리형 스마트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35A KR20170000235A (ko) 2017-01-02
KR101966134B1 true KR101966134B1 (ko) 2019-08-13

Family

ID=5781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232A KR101966134B1 (ko) 2015-06-23 2015-06-23 분리형 스마트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158763U (zh) * 2022-06-22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412Y1 (ko) * 2001-05-11 2001-10-15 주식회사 홈코리아월드 Gps를 이용한 선박 비상 송신용 부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996A (ko) * 2003-05-23 2003-06-09 이준구 수갑형 손목부착장치
KR20080082753A (ko) * 2007-03-09 2008-09-12 천경환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
KR101515929B1 (ko) * 2013-10-10 2015-05-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상 및 수중 인명 구조를 위한 무선 착용 기술 기반의 스마트 구명 조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412Y1 (ko) * 2001-05-11 2001-10-15 주식회사 홈코리아월드 Gps를 이용한 선박 비상 송신용 부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35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437B2 (en)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106911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KR101677642B1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모니터링 방법
CN107646128B (zh) 可穿戴装置和通过使用该可穿戴装置提供信息的方法
KR20220044169A (ko)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US9621690B2 (en) Cellphone with contoured surfaces
JP2018529416A (ja) 心拍数モニタ
US20160157756A1 (en) Bluetooth falling-over alarm insole
KR1020776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3957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79445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KR20160080473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64781A1 (en) Watch-type terminal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9959721B1 (en) Anti-thef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113057A (zh) 具有光学传感器的光学通信
US10184854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sition correlation utilizing time-based atmospheric pressure measurements
WO2018082227A1 (zh) 终端和宠物姿态检测方法和装置
US20170332907A1 (en) Device for judging state of motion of a user
WO201720555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101741074B1 (ko)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101966134B1 (ko) 분리형 스마트워치
CN205788741U (zh) 一种用手势控制电器的智能穿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