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20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208A
KR20150120208A KR1020140046165A KR20140046165A KR20150120208A KR 20150120208 A KR20150120208 A KR 20150120208A KR 1020140046165 A KR1020140046165 A KR 1020140046165A KR 20140046165 A KR20140046165 A KR 20140046165A KR 20150120208 A KR20150120208 A KR 2015012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bile terminal
sound
type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신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0208A/ko
Priority to PCT/KR2014/007873 priority patent/WO2015160045A1/en
Priority to US14/528,912 priority patent/US9699543B2/en
Publication of KR2015012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는 중,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되면, 이동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 또는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을 삽입한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음향 출력 경로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용으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이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현재 낮은 젼력을 제공하는 용도롤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동을 돕는 기기, 휴대용 장치, 도구, 무정전 전원 장치 들을 들 수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차 전지의 수요는 더욱 더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전지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차 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장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이차전지의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의 개발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신규한 형태의 이차전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 신규한 형태의 이차 전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이동 단말기에 이용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적절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음향 출력부; 전원 공급부;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 및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중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은, 음악 파일 재생, 호 수신(incomming call) 또는 알람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마지막에 사용된 음향 출력 경로로 상기 음향을 출력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음향 출력 수단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이 착용된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과 페어링 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을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동작하는 제1 제어부(Main Processor)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대기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제어부(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한 전원으로 상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배터리 잔량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구별되는 제2 그래픽 객체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및 제2 그래픽 객체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로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 충전되도록 충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외부 충전기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자만 상기 이어폰 포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 포트의 삽입 정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음향 출력부; 전원 공급부;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 및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중 상기 이어폰 포트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인지를 인지하고,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동 단말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중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이동 단말기에 이용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적절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의 플러그 단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의 인터페이스 및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 포트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의 케이블의 일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S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S110 및 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으로 이동 단말기의 충전 및 음향 출력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로 이용되는 상황에서,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될 경우,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조작으로 충전 방향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외부 충전기 포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162),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을 위하여, 이어폰 포트(161)와 외부 충전기 포트(162)에 별도의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포트(161), 외부 충전기 포트(162)의 보다 자세한 블럭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제어부(180a), 제2 제어부(18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80a)는 전원 공급부(190)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이 실행될 때,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180b)는 이동 단말기(10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이어폰 포트(161)에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삽입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 출력을 위한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180b)는 이동 단말기(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대기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90) 또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일측에 이어폰(Earphone:200)의 플러그(Plug:220)가 삽입되는 이어폰 포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어폰 포트(161)를 통해 상기 이어폰(200)에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어폰(200)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포트(161)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상단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어폰(200)을 보조 배터리로 사용하여, 이어폰(200)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200)은 플러그(220), 스피커(230), 마이크(240),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시키며,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하는 이어폰 케이블(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2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와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230)는 좌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좌스피커(231), 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우 스피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40)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어폰(200)이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어, 이어폰이 내장하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 공급부(19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직접적으로 충전시킬 수도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어폰 포트(161)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상단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충전기 포트(162)는 케이스 하단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충전기 포트(162)는 외부 충전기(300)의 연결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전기 포트(162)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에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 경로로 이용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의 보조 배터리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어폰 플러그의 구조 및 기능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의 플러그 단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의 플러그(220)는 좌음향 단자(L), 우음향 단자(R), 그라운드 단자(G), 마이크 단자(M) 및 파워 단자(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4극 단자의 경우, L,R,G,M 단자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어폰의 기능이 음향 출력 기능 외에 이동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파워 단자(P)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도 4의 (a) 참조).
다만, 상기 파워 단자(P)의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4극 단자에 파워 단자를 추가하여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단자에서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표준 4극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의 구조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를 참조하면, 표준 4극 단자에서 마이크 단자의 극을 분리하여 하나의 단자에 마이크 극(M)과 파워 극(P)이 모두 포함되도록 플러그의 설계를 변경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하는 이어폰(200)은 마이크(240)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가 포함된 모듈에는 상기 마이크(240) 외에,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예를 들어, 재생 버튼, 정지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200)이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이어폰(200)은 파워 극(P)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들에서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파워 단자(P)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하는 이어폰(2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하는 이어폰은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됨으로써, 충전 및/또는 방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의 플러그는 도 4의 (a)에 도시된 구성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의 인터페이스 및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 포트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200)은 플러그(220), 스피커(230), 마이크(240) 및 케이블형 배터리(21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이어폰 포트(161), 마이크(122), 음향 출력부(152),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는 이어폰 케이블(2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형 배터리(210)의 참조부호를 이어폰 케이블(210)과 동일한 부호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어폰 케이블(210)은 케이블형 배터리 구성 외에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어폰(200)의 플러그(220)는 이동 단말기(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이다. 상기 플러그(200)는 마이크 단자(M), 그라운드 단자(G), 우음향 단자(R), 좌음향 단자(L) 및 파워 단자(P)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200)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는 상기 이어폰(2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이어폰(200)의 플러그(200)와 같이 마이크 단자(M), 그라운드 단자(G), 우음향 단자(R), 좌음향 단자(L) 및 파워 단자(P)를 포함하고, 이어폰(200)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단자(D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포트(161)의 그라운드 단자(G)는 접지되고, 상기 이어폰 포트(161)의 우음향 단자(R)는 음향 출력부(152)의 우음향 출력 단자(R)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 포트(161)의 좌음향 단자(L)는 음향 출력부(152)의 좌음향 출력 단자(L)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포트(161)의 검출단자(DET)는 풀업 저항(R1)과 연결되며, 이어폰(200)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 오픈(Open) 상태가 되고, 이어폰(200)이 삽입된 경우 이어폰(200)의 접지단자(G)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포트(161)의 파워 단자(P)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1)와 연결되어, 이어폰(2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파워 단자(P)를 통해 케이블형 배터리(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파워 단자(P)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191)의 전원을 케이블형 배터리(2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여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음향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코덱(codec) 및 오디오 앰프(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 실장된 마이크(도 1의 122) 및 스피커(152a,152b)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22) 또는 이어폰(200)의 마이크(24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롤 변환하고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a,152b) 또는 이어폰(200)의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a,152b) 또는 이어폰(200)의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52)는 MP3 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a,152b) 또는 이어폰(200)의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향 출력부(152)는 좌음향 출력 단자(L), 우음향 출력단자(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어폰 포트(161)의 검출 단자(DET)와 연결되며, 이어폰(20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폰 검출 단자(Ear_Detect), 이어폰 포트(161)의 마이크 단자(MIC)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원(VDD)에 의하여 이어폰 검출 단자(Ear_detect)에 하이(High) 신호(예를 들어, 3V)가 입력되는 경우 이어폰(20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어폰 포트(151)의 검출단자(DET)가 이어폰(20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연결되어 이어폰 검출 단자(Ear_Detect)에 로우(Low) 신호(예를 들어, 0V)가 입력되는 경우, 이어폰(20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이어폰(200)의 삽입이 검출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1)가 케이블형 배터리(210)로부터 충전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210)를 통해 충전되는 중,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음향을 음향 출력부(152) 또는 이어폰(200)의 스피커(230) 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경로를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부(152) 또는 이어폰(200)의 스피커(230) 둘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것은, 음향이 출력되는 순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순간 사용자의 의도를 유추하여 자동으로 특정 음향 출력 경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200)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더라도, 이어폰(200)을 음향 출력을 위한 것이 아닌, 보조 배터리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 이어폰의 케이블의 일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적용되는 이어폰(200)은 이어폰 케이블(210) 내에 케이블 형태의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형태의 배터리는, 공개특허 10-2012-0019977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형태의 배터리의 단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210)는 이차 전지로서,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음극 집전체(211), 상기 음극 집전체의 외면에 음극활물질 패턴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음극활물질 패턴층(212), 상기 음극활물질 패턴층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30),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에, 상기 음극활물질 패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양극활물질 패턴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양극활물질 패턴층(214), 및 상기 양극 활물질 패턴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양극 집전체(21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특별히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배터리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수평 단면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선형 구조를 갖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변형이 자유롭다.
한편,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210)는 보호피복(21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피복(216)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양급 집전체(215)의 외면에 형성된다. 보호 피복(216)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케이블형 배터리(210)의 단면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블 형태의 배터리 구성으로 인하여, 가요성이 부가됨에 따라 생길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절한 구조적 설계 변형들이 가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충전하는 중,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될 경우, 이어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 및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2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00).
상기 이어폰이 삽입될 때, 외부 충전기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이 삽입될 때 외부 충전기가 이동 단말기의 외부 충전기 포트에 연결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충전지에 의해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동 단말기(100)는 케이블형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케이블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어폰(200)이 삽입되면, 전원 공급부(190)에 남은 잔량을 확인한 후, 미리 설정된 잔량 이상인 경우, 케이블형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90)에 남은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잔량 이하인 경우, 케이블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케이블형 배터리에 남은 잔량도 확인하여,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방향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에서 이어폰(200)의 케이블형 배터리(210)로 충전되는 제1 충전 방향, 이어폰(200)의 케이블형 배터리(210)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로 충전되는 제2 충전 방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어,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가 이동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 방향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이어폰(200)의 케이블형 배터리(2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되는지를 확인한다(S110).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되는 중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S120).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은, 음악 파일 재생, 호 수신(incomming call), 미리 정해진 알람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음향 출력부 또는 이어폰 중에서 음향을 출력할 경로를 선택한다(S130).
여기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어폰 사용 의도를 고려하여 음향 출력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저장된 MP3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알람을 벨소리 등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이어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을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에 삽입한 목적은 음향 출력 외에,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추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적절한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여,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여야 한다.
이하, 도 7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의 각 단계를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S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의 플러그(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K,R,G,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의 보조 배터리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파워 단자(P)가 이어폰 포트(161)에 완전히 삽입되어야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포트(161)에 구비되는 이어폰 검출단자(DET)는 플러그(220)의 파워 단자(P)가 이어폰 포트(161)에 모두 삽입된 경우, 이어폰(200)이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도 8의 (a)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220) 중 마이크 단자(M) 까지만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이어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는 중,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단계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200) 중 파워 단자(P)가 모두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
도 9은 도 7의 S110 및 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되는 중(도 7의 S110:YES), MP 3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 3 음향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플레이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MP 3의 재생 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이어폰의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으로 이동 단말기의 충전 및 음향 출력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외부 충전 케이블(300)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면, 제1 전원 신호(P1)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200)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면, 제2 전원 신호(P2)가 이어폰(200)으로 전달됨으로써, 케이블형 배터리(2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제3 전원 신호(P3)가 케이블형 배터리(210)에서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어폰(200)을 통해 충전되는 중, 제1 오디오 신호(A1)를 이어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이어폰(200)을 통해 충전되는 중,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를 통해 제2 오디오 신호(A2)를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외부 충전 케이블(300)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의 배터리 잔량이 소량인 경우(미리 설정된 값 이하)에는, 외부 충전 케이블(30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90)의 배터리를 이용하다가, 임계치 이하로 남는 경우에, 이어폰 포트(161)에 연결된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 받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로 이용되는 상황에서,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될 경우,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고 있는 상황을 감지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MP 3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20)는 이어폰 모드(21), 스피커 모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모드(2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이어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를 의미하고, 스피커 모드(22)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고 있는 상황을 감지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MP 3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직전 음향 출력 경로로 음향을 출력할 것임을 알리는 정보(3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 후, 상기 직전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전 음향 출력 경로는, MP 3를 실행하기 이전에,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했던 경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MP 3를 재생하기 전에,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 경우, 상기 MP 3 재생 결과를 이어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 3를 재생하기 전에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152)를 통해 음향을 출력한 경우, 상기 MP 3 재생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152)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배터리형 케이블이 내장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어,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 중인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고 있는 상황을 감지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화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대방 측이 발화하는 내용을 음향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메뉴(20) 중 선택된 경로를 통해 상대방 측의 통화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의 실시예에서, 통화 호 연결 요청 화면 중, 상태 바(4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상태 바(40)를 위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태 바(40)가 위로 슬라이드 되어 표시될 수 있다.
통화가 불가능함을 상대방에게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능 버튼(43)을 상기 슬라이드 된 상태 바(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 바(40)에 전술한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4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40)로부터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고 있는 상황을 감지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을 출력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전, 가능한 음향 출력 수단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51,52)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80)는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전,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특정 음향 출력 경로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상기 특정 음향 출력 경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것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음향 출력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으며, 상기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는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을 음향 출력 경로로 이용하겠다는 사용자의 의도를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되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200)은, 이어폰 착용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착용 검출부는, 이어폰의 귀 접촉면에 구비된 센서(251,252,253,254,255,256,257,2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 스피커(231,232)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귀에 착용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는, 압력 센서, 정전용량 감지센서, 열감지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센서라 할지라도 소형이고 접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는 것이든 장착할 수 있고,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의 감지 범위에 따라 장착될 수 있는 센서의 개수나 위치도 조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이어폰 착용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로 입력되며, 제어부(180)에서 그 접촉 정보에 따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8개의 센서 중 5개) 이상일 경우, 이어폰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하에서는 이어폰을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거나, 마지막에 사용된 음향 출력 경로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를 유추하여 음향 출력 경로를 선정하고, 선정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200a)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200a)이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 경로로 이용될 수도 있고, 페어링만 된 상태에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이어폰(200a)과 관계없이,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200)이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200a)의 페어링된 상태를 인지하고, 사용자의 의도가, 블루투스 이어폰(200a)을 음향 출력 경로로 이용하겠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음향 출력 경로로 이용 가능한 수단은,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200),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152)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200a)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를 유추하여 음향 출력 경로를 선정하고, 선정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100a,100b)와 그룹 플레이(group play) 방식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a,100b)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152)와 다른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음악 파일을 3 개의 스피커 채널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충전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동 단말기(100) 및 다른 단말기(100a,100b)를 통해 그룹 플레이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그룹 플레이가 실행됨에 따라 음향 출력 경로를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200)이 아닌,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15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그룹 플레이에 참여하는 다른 단말기의 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전술한 2개의 단말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어, 케이블형 배터리가 이동 단말기를 충전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음향 출력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유추하여 적절한 음향 출력 경로로 음향을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케이블형 배터리가 삽입됨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소정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전원 공급부(190)의 배터리 잔량을 제1 그래픽 객체(61)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래픽 객체(6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인디케이터 영역(6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 중임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표시(63), 이어폰이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표시(64), 와이 파이 연결 상태, 시간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61)와 함께,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62)가 함께 인디케이터 영역(6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래픽 객체(61)는 제2 그래픽 객체(62)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픽 객체(61)는 건전지 형상이지만, 제2 그래픽 객체(62)는 케이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그래픽 객체(61)와 제2 그래픽 객체(62)는 색상 또는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이 삽입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 및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한 배터리 잔량 또는 충전되는 양 등을 그래픽 객체로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에서는, 이어폰(200)에 구비된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별도의 그래픽 객체로 하여 표시하였으나,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두 가지 전원 소스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됨으로써, 늘어나는 배터리 잔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의 배터리 잔량(51%)만큼 제1 색상으로 채워진 영역(71)을 제1 그래픽 객체(6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충전되는 양만큼 제2 색상으로 채워진 영역(72)을 제2 그래픽 객체(6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충전된 양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배터리 용량(83%)을 수치로 환산하여(73) 상기 제1 그래픽 객체(61)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충전되는 양을 실시간으로 제1 그래픽 객체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의해 충전되는 양이 전원 공급부(190)에서 저장할 수 있는 전기적 용량의 최대치인 100%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최대치의 초과분에 대해서는 제1 그래픽 객체(61)를 길이 방향으로 늘려서,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전되는 가상의 배터리 양(61')을 표시할 수 있다. 참조부호 7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저장된 용량에 대응되고, 참조부호 72'는 케이블형 배터리(210)에 의해 충전된 용량에 대응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에 의해 충전되는 경우, 충전 방향을 나타내는 식별자(83)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객체의 좌측 영역(8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80)에 대응되고, 우측은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케이블형 배터리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를 충전시키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2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조작으로 충전 방향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경우,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제1 그래픽 객체(84)와 제2 그래픽 객체(85)를 터치 스크린(디스플레이부, 151)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태 창을 슬라이드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된 제1 그래픽 객체(84) 또는 제2 그래픽 객체(85)에 대한 터치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슬라이드된 상태 창에 제1 그래픽 객체(84')와 제2 그래픽 객체(85')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래픽 객체(84')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픽 객체(85')는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낸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4')에 대한 터치를 제2 그래픽 객체(85')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그래픽 객체(84')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에서 제2 그래픽 객체(85')에 대응하는 케이블형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2에 도시된 제1 그래픽 객체(84')와 제2 그래픽 객체(85')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통해 충전 방향을 결정하여,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이어폰이 삽입되는 경우, 케이블형 배터리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를 충전시키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 삽입된 후, 도 2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그래픽 객체(85')에 대한 터치를 제1 그래픽 객체(84')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케이블형 배터리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로 충전을 시작할 수도 있다.
도 23은 외부 충전기 포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되고, 또한, 외부 충전 케이블(300)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태를 가정한다.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 중 음향 출력 기능을 실행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어폰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상기 외부 충전 케이블(300)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케이블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87)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가 이어폰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폰 모드에서 이어폰(200)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이어폰이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에 내장된 케이블형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MP 3 플레이어로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 및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2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S200).
여기서, 전원이 오프된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외에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대기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를 제1 제어부(180a)라 호칭하고,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제2 제어부(180b)라 호칭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제2 제어부(180b)는 이어폰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S210).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어떠한 동작도 실행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2 제어부(180)는, 대기 전력하에서 이어폰의 삽입이 감지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음향 출력 모드로 전환한다(S220). 즉, 제2 제어부(180)는,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특정 기능만을 웨이크업(wake-up) 시키고, 나머지 기능에 대해서는 슬립 상태(sleep state)로 둔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180b)를 통해 이어폰으로 제어 가능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S221). 즉, 상기 기능은 MP 3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제2 제어부(180)는 이어폰(200)을 통해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30). 상기 이어폰(200)에 구비되는 제어 버튼(예를 들어, 재생 버튼, 빠른 플레이 버튼 등)을 통해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디스플레이부, 151) 또한 오프(OFF) 상태이므로, 상기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소정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대한 입력 또한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제어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제어부(180b)는 이어폰(200)에 내장된 케이블형 배터리를 보조 배터리로 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S240).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이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152) 또한 오프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180b)는, 상기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에 따른 음향을 이어폰(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50).
도 25은 도 2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가 전술한 제2 제어부(180b)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이어폰(200)의 삽입되면, 제2 제어부(180b)가 이를 감지한다. 이어폰의 제어 수단(240)을 통해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제어부(180b)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폰(200)에 내장된 케이블형 배터리가 보조 배터리로 이용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이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음향 출력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 삽입되기 전에, 이동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어폰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 및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2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내장 스피커(도 1의 152 참조)를 통해 음향 출력 기능의 실행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S300).
상기 음향 출력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180)는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어폰 포트(도 1의 161 참조)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310).
즉,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중,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중 이어폰이 삽입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가능한 동작을 살펴보면,
첫째, 이동 단말기는 음향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이어폰이 삽입되기 전에는 이용 가능한 음향 출력 경로가 이동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 하나이지만, 이어폰이 삽입되면 이어폰을 통해서도 음향 출력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음향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고, 그 후의 음향 출력을 위한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둘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어폰이 삽입됨에 따라, 음향 출력 경로를 스피커에서 이어폰으로 스위칭하여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어폰인 경우, 사용자의 의도는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의 기능을 고려하여, 이어폰이 삽입되더라도 상기 이어폰을 통해서는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고, 음향 출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인지를 먼저 판단할 필요가 있다(S320).
상기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 공급부(도 1의 190 참조)가 충전되는지를 인지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190)가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는 경우(S325),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이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상기 그래픽 객체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어폰이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잔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폰 포트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삽입된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것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가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는 경우(S325:YES),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출력 중인 음향의 출력 경로를 상기 내장 스피커를 통해 계속 출력할 지 아니면 새롭게 삽입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지 선택할 수 있다(S330). 그런 후, 제어부(180)는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중,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는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어폰은 단순히 보조적인 배터리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어폰이 삽입되더라도, 상기 음향 출력의 경로를 내장 스피커로 계속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는 중, 이어폰이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 등을 고려하여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18을 통해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 포트(161)에 삽입된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아닌 것을 판단되는 경우(S325:NO), 상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경로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2)에서 이어폰(200)으로 변경하고,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50).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어폰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장 스피커(152)를 통해 MP 3 재생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중, 이어폰(2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의 종류를 먼저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을 케이블형 배터리 내장형 이어폰으로 판단하고,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삽입된 이어폰(200)은 충전용도로 이용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음향을 상기 스피커(152)를 통해 계속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삽입된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라 음향 출력 경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경로를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로 선택할 수 있다.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이 소량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를 충전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음향 출력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52: 음향 출력부
161: 이어폰 포트 162: 외부 충전기 포트
200: 이어폰 210: 이어폰 케이블(케이블형 배터리)
220: 이어폰 플러그 230: 이어폰 스피커
300: 외부 충전 케이블

Claims (20)

  1. 음향 출력부;
    전원 공급부;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 및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중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은,
    음악 파일 재생, 호 수신(incomming call) 또는 알람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지막에 사용된 음향 출력 경로로 상기 음향을 출력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음향 출력 수단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이 착용된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과 페어링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을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동작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대기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한 전원으로 상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배터리 잔량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형 배터리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구별되는 제2 그래픽 객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및 제2 그래픽 객체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로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 충전되도록 충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외부 충전기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의 잔량을 삭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자만 상기 이어폰 포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 포트의 삽입 정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음향 출력부;
    전원 공급부;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 및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중 상기 이어폰 포트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인지를 인지하고,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이 케이블형 배터리를 내장한 이어폰이 아닌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케이블형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동 단말기 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형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가 충전되는 중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향 출력부 또는 상기 이어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음향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46165A 2014-04-17 2014-04-1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0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65A KR20150120208A (ko) 2014-04-17 2014-04-1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4/007873 WO2015160045A1 (en) 2014-04-17 2014-08-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528,912 US9699543B2 (en) 2014-04-17 2014-10-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65A KR20150120208A (ko) 2014-04-17 2014-04-1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08A true KR20150120208A (ko) 2015-10-27

Family

ID=5432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165A KR20150120208A (ko) 2014-04-17 2014-04-1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99543B2 (ko)
KR (1) KR20150120208A (ko)
WO (1) WO2015160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29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0204B (zh) * 2014-06-25 2019-04-0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及系统
USD807324S1 (en) 2015-04-02 2018-01-09 Braven, Lc Wireless speaker system
US10638209B2 (en) 2015-01-05 2020-04-28 Zagg Amplified, Inc. Wireless speaker and system
US9883265B2 (en) * 2015-01-05 2018-01-30 Braven, Lc Wireless speaker and system
US20160254833A1 (en) * 2015-02-26 2016-09-01 Ariel Inventions, Llc Liste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uxiliary power to a wireless device
SE538468C2 (sv) * 2015-04-27 2016-07-12 Pugz Gear Ab Charging interface for wearable device for listening to sound
KR20170006716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신호 제어 방법
TW201712481A (zh) * 2015-09-24 2017-04-01 尚宏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之傳輸線
CN105338447B (zh) * 2015-10-19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耳机控制电路及方法、耳机以及音频输出装置及方法
CN113253592B (zh) 2016-02-26 2022-11-0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连接部件、电源装置、电子设备及系统
CN105656137B (zh) * 2016-02-29 2018-07-2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的充电方法、电路和系统及移动终端
CN107241665A (zh) * 2016-03-29 2017-10-10 峰范(北京)科技有限公司 智能耳机
CN107547975B (zh) * 2016-06-23 2019-09-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音频通道的切换方法、系统和语音采集器
US10200780B2 (en) * 2016-08-29 2019-02-05 Bragi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battery life of wireless earpiece
US10951973B2 (en) * 2017-03-09 2021-03-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Headset,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102261183B1 (ko) * 2017-11-22 2021-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케이블형 배터리
US20190335267A1 (en) 2018-04-27 2019-10-31 Avnera Corporation Earbud operation during earbud insertion detection
KR102367368B1 (ko) * 2018-07-13 2022-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케이블 배터리를 구비한 데이터 케이블 장치
WO2020017128A1 (ja)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ワイヤレスイヤホン用充電器とワイヤレスイヤホンとワイヤレスイヤホンシステム
CN109301911A (zh) * 2018-11-30 2019-02-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充电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13068B (zh) * 2019-04-29 2022-12-06 深圳市迈悦科技有限公司 声音外放机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47799B (zh) * 2019-12-31 2022-10-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及处理设备
CN111525645A (zh) * 2020-04-30 2020-08-1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方法、系统及其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261B1 (ko) * 2002-05-08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0516659B1 (ko) * 2003-08-07 200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마이크 잭을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773321B1 (ko) * 2005-01-22 2007-11-05 팜쉬주식회사 사운드 신호 처리 기능을 갖는 배터리 충전기
KR101144271B1 (ko) * 2005-09-13 201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US20070104333A1 (en) * 2005-11-08 2007-05-10 Bill Kuo Headset with built-in power supply
KR100740948B1 (ko) * 2005-12-07 2007-07-20 주식회사 큐세미 다목적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WO2008062646A1 (en) * 2006-11-22 2008-05-29 Nikon Corporation Output device
KR100904209B1 (ko) * 2007-08-01 2009-06-25 김성완 충전기 겸용 헤드폰
US8588849B2 (en) * 2010-07-09 2013-11-1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media
KR20120068274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합 커넥터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WO2013042939A2 (ko) 2011-09-19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51575B1 (ko) * 2012-05-22 2014-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포트를 이용한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9111A (ko) * 2013-03-05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29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045A1 (en) 2015-10-22
US20150304757A1 (en) 2015-10-22
US9699543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5263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EP3116202B1 (en) Mobile terminal
KR201900172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94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8871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5866A (ko)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600731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676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947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03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6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0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6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7060A (ko)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30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7524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