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111A -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111A
KR20140109111A KR1020130023400A KR20130023400A KR20140109111A KR 20140109111 A KR20140109111 A KR 20140109111A KR 1020130023400 A KR1020130023400 A KR 1020130023400A KR 20130023400 A KR20130023400 A KR 20130023400A KR 20140109111 A KR20140109111 A KR 20140109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mode
audio
output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111A/ko
Priority to US14/196,113 priority patent/US20140254838A1/en
Publication of KR2014010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1Transducers used as a loudspeaker to generate sound aswell as a microphone to detect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7Protection circuits f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스피커;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며,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경로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가 리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AUDIO OUTPUT CONTROLLING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 단말은, 음성 통화 기능이 주 목적이었고, 따라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시의 통화음 출력을 위한 하나의 리시버(13)와 벨 소리 등의 출력을 위한 하나의 스피커(14)를 탑재하였다.
한편, 최근의 통신 단말은, 음악 감상 및 동영상 시청 등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자리잡고 있다. 멀티 미디어 기기로서의 충분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최근의 통신 단말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3) 이외에 스테레오 출력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14)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들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리시버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도 1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종래의 단말은, 제어부(11), 코덱(12), 스피커(14) 및 리시버(13)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코덱(12)으로 전달하고, 해당 오디오 신호에 대한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오디오 신호의 복조 시에 복조된 오디오 신호가 결정된 출력 레벨을 갖도록 코덱(12)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복조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도록 코덱(12)을 제어한다.
코덱(12)은,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스피커(14) 및 리시버(13)는, 코덱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스피커(14)는, 리시버(13)에 비하여 낮은 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스피커(14)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리시버(13)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보다 큰 출력 레벨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어부(11)에 타이밍 제어 오류가 발생하거나 통신 이상 환경으로 인한 급작스런 출력 레벨이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디오 출력 레벨이 적정 수준에서 제어되지 못한 채, 큰 출력 레벨로 리시버(13)로 출력되는 경우 음향 쇼크(acoustic shock)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청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와 리시버를 모두 탑재하는 것은 최근의 단말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어긋나고, 제조 원가의 상승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와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스피커;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며,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경로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가 리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피던스를 통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조절로 인하여, 프로그램 오류 및 통신 이상 환경으로 발생하는 음향 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 내지 도 1의 (c)는 종래의 단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 성립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피커(140)를 포함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피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셋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스피커 모드와 리시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스피커 모드에서는 리시버 모드에 비하여 높은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리시버 모드에서는 스피커 모드에 비하여 낮은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리시버 모드란, 스피커의 최고 출력 레벨이 설정 값 이하가 되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리시버 모드는, 사용자가 단말을 귀에 인접한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스피커 모드란, 리시버 모드보다 최고 출력 레벨이 높은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 모드는, 사용자가 단말을 귀에 인접하지 않은 상태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스피커폰 통화 모드, 음악 감상 및 동영상 시청 등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드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 없이 스피커 만으로, 리시버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다수의 스피커(140)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리시버 모드에서 어느 하나의 스피커만으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은, 제어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경로부(130) 및 스피커(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오디오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란, 예를 들어, 음악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의 선택 또는, 호 성립 또는 호 발신을 위한 메뉴의 선택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의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멀티미디어의 소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으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소스를 획득하여 오디오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메모리를 제어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소스가 메모리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로 직접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대방으로부터의 호 착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호 성립을 위한 메뉴의 선택이 있거나, 호 발신을 위한 메뉴의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통신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통화에 필요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와 스피커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오디오 출력 모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경로부(130)를 통하여 스피커(140)로 출력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경로부(130)의 제 1 경로(132) 및 제 2 경로(134) 중 어느 경로를 통하여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지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로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경로부(130)는, 제 1 경로(132) 및 제 2 경로(134)를 포함한다. 제 1 경로(132)와 제 2 경로(134)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경로(132)의 임피던스는 제 2 경로(134)의 임피던스보다 크며, 제 2 경로의 임피던스는 0 이거나, 제 1 경로의 임피던스(Z1)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스피커(140)는, 설정된 임피던스를 가지며, 경로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말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라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현재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가 제 1 경로(132)를 통하여 스피커(1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로(132)는, 설정된 값을 갖는 임피던스(Z1)를 포함한다. 따라서, 리시버 모드에서 제 1 경로(132)를 경유하는 오디오 신호는 그 출력 레벨이 저하되고, 따라서, 스피커(140)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임피던스(Z1) 값에 따라 일정 레벨 이하의 출력 레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단말을 귀에 인접한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 중이라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고, 설정된 출력 레벨 이하로 오디오 출력 레벨이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음향 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현재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가 제 2 경로(134)를 통하여 스피커(1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경로(134)는, 임피던스를 갖지 않으므로, 제 1 경로(132)를 경유하는 경우보다 높은 출력 레벨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테이블 위에 둔 상태로 스피커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나,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귀에 가까이 대지 않고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음악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이 있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2 경로(134)에도 임피던스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2 경로의 임피던스 값은 제 1 경로의 임피던스 값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 없이 스피커만으로 리시버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이,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 성립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단계(401)에서, 제어부(110)는, 호 성립 요청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 있다면 단계(403)로 진행한다. 호 성립 요청이 있는 경우란, 예를 들어, 상대방으로부터 요청된 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위한 버튼 또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를 포함한다.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한 후에 호 발신을 위한 버튼 또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를 포함한다.
호 성립 요청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403)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한 후, 단계(405)로 진행한다.
단계(405)에서, 제어부(110)는, 리시버 모드에 대응하는 경로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한 후, 단계(407)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오디오 신호가 제 1 경로(13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10) 또는 메모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 1 경로(132)를 통하여 스피커(140)로 전달한다.
단계(407)에서, 제어부(110)는, 호 종료 또는 호 발신 취소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 있다면 단계(409)로 진행한다.
단계(409)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거나, 리시버 모드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호 성립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설정된 임피던스를 갖는 경로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낮은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수행중인 경우, 오디오 출력 레벨을 낮추어 음향 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단계(501)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 있다면 단계(503)로 진행한다. 오디오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란, 예를 들어, 음악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의 선택 또는, 호 착신 또는 호 발신을 위한 메뉴의 선택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503)에서, 제어부(110)는,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한 후, 단계(505)로 진행한다.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지 정보 및 사용자가 단말을 귀에 가까이 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근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505)에서, 제어부(110)는, 획득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근접 센서(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근접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단말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한 상태에서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하여, 단말을 귀 가까이에 가져다 댄 경우일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0),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근접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단말에 설정된 거리 밖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근접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는, 단말의 전면부, 즉, 스피커가 위치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그립 센서(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파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0)는, 그립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파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그립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 센서는, 단말의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근접 정보 및 파지 정보 모두를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단말에 설정된 거리 내에 인접한 상태에서 단말을 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파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단말에 귀를 가까이 대고 있지 않은 경우라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근접 정보 및 파지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만을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제어부(110)는,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의 경로 선택을 제어한 후, 단계(509)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가 제 1 경로(13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반면,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오디오 신호가 제 2 경로(134)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단계(509)에서, 제어부(110)는, 단말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된 경우 단계(511)로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근접 센서 및 그립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센싱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511)에서,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하거나 유지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사용 상태에 적합한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 결정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122)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코덱의 경로 선택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경로부(130)에 포함된 제 1 경로(132) 및 제 2 경로(134)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복조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코덱(122)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설정된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복조될 수 있도록 코덱(122)을 제어할 수 있다.
코덱(122)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그리고, 코덱(122)은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40)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122) 및 스위치(124)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설정된 출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복조될 수 있도록 코덱(122)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코덱(122)에서 복조된 오디오 신호가 경로부(130)에 포함된 제 1 경로(132) 및 제 2 경로(134)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치(124)를 제어한다.
코덱(122)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스위치(124)가 연결하는 경로를 통하여 스피커(140)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에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며,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경로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가, 제 1 출력 모드보다 작은 출력 레벨을 요하는 제 2 출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경로보다 큰 임피던스를 갖는 상기 제 2 경로를 선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모드는 스피커 모드이고, 상기 제 2 출력 모드는 리시버 모드인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 성립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상기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코덱;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상기 단말을 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설정된 거리 내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단말 사용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그립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11. 단말에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오디오 출력 모드가, 제 1 출력 모드보다 작은 출력 레벨을 요하는 제 2 출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경로보다 큰 임피던스를 갖는 상기 제 2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모드는 스피커 모드이고, 상기 제 2 출력 모드는 리시버 모드인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호 성립 또는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상기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상기 단말을 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설정된 거리 내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 사용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사용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는,
    그립 정보 및 근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KR1020130023400A 2013-03-05 2013-03-05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9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00A KR20140109111A (ko) 2013-03-05 2013-03-05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196,113 US20140254838A1 (en) 2013-03-05 2014-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of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00A KR20140109111A (ko) 2013-03-05 2013-03-05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11A true KR20140109111A (ko) 2014-09-15

Family

ID=5148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00A KR20140109111A (ko) 2013-03-05 2013-03-05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54838A1 (ko)
KR (1) KR20140109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208A (ko) * 2014-04-17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89C (zh) * 1999-06-30 2004-06-30 Lg情报通信株式会社 具有扬声器电话功能的移动电话站
CN101964838A (zh) * 2009-07-23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使用模式自动转换功能的通讯装置及方法
US8532312B2 (en) * 2009-08-21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coustic shock prevention circuit and related operation method
US8750528B2 (en) * 2011-08-16 2014-06-10 Fortemedia, Inc. Audio apparatus and audio controller thereof
US20130304583A1 (en) * 2012-05-14 2013-1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37601B2 (en) * 2012-05-18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function selection using position in relation to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4838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9563B2 (ja) 音量調節方法、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KR1006774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노 및 스테레오 음원 출력 장치
KR102035477B1 (ko) 카메라 선택에 기초한 오디오 처리
US91132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microphone by detecting voice signal strength
CN104243662B (zh) 一种终端提示模式调整方法及终端
TW201707498A (zh) 用於使用個人通信裝置之虛擬會議系統的方法及系統
US20120294454A1 (en) Mobile terminal and earphone identifying method
KR20130066880A (ko)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06433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80262837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146491A (ko) 오디오 시스템,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채널 맵핑 방법
CN108024128A (zh) 蓝牙音乐播放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9473097A (zh) 一种智能语音设备及其控制方法
EP2636212B1 (en) Controlling audio signals
KR20170058320A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60044120A1 (en) Car audio system and method combining with MP3 player
KR2011001984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채널 간 크로스 톡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10065052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109111A (ko) 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665271B2 (en) Controlling audio output
US20060264250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453980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2313972B (zh) 用于音频呈现的装置和相关联的方法
JP2012191611A (ja) 通信装置及び切替方法
CN11114283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