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97B1 -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Google Patents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97B1
KR102644997B1 KR1020190086107A KR20190086107A KR102644997B1 KR 102644997 B1 KR102644997 B1 KR 102644997B1 KR 1020190086107 A KR1020190086107 A KR 1020190086107A KR 20190086107 A KR20190086107 A KR 20190086107A KR 102644997 B1 KR102644997 B1 KR 10264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electronic device
external
processor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511A (ko
Inventor
이우광
신동락
오효민
강철
박태욱
박형식
서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97B1/ko
Priority to PCT/KR2020/009264 priority patent/WO2021010732A1/en
Priority to US16/947,111 priority patent/US11269588B2/en
Publication of KR2021000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외부 오디오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 포트,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UDIO THROUGH USB PORT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port)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내장된 스피커뿐만 아니라 이어폰과 같은 외부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외부 오디오 장치는 포트(port)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장치는 장치의 소형화나 다른 구성에 미치는 영향의 최소화를 위하여 아날로그 방식을 이용하는 3.5파이 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USB 포트를 이용하여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USB 포트를 이용할 때 외부 오디오 장치와 전자 장치 간 접점이 3.5파이 포트를 이용할 때의 접점에 비하여 작으므로 USB 포트는 외부 충격에 민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타입-C(Type-C) 포트를 통해 외부 오디오 장치와 전자 장치가 연결된 경우, 포트에 충격(예: ESD(electro static discharge))이 발생하면 D+ 및/또는 D- 포트에 순간적인 노이즈(noise)가 발생하고,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재생 중인 미디어를 중지(pause)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중인 미디어가 더 이상 재생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오디오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port),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재생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 포트, 및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됨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USB 포트를 통해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된 전자 장치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오디오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SB 타입-C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layer)들 간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101) 및 오디오 장치(201)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1)는 유선으로 전자 장치(101)에 연결되고, 전자 장치(101)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이어폰의 형태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201)만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201)는 헤드폰 또는 외장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오디오 장치(201)는 USB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USB 포트는 커넥터(connector)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가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예: 도 1의 연결 단자(178)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는 커넥터(220)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파일을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USB 포트는 예를 들어, USB 타입-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SB 타입-C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커넥터(210)를 통해 오디오 장치(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는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꽂힐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이하, 가역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넥터(210)의 내부에는 접점 기판(3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은 정방향에 대응되는 제1 면(예: A면)에 열 두 개의 핀(310-1, 310-2,...,310-12)을 포함하고, 역방향에 대응되는 제2 면(예: B면)에 열 두 개의 핀(320-1, 320-2,..,320-1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도체 특성을 갖는 미드 플레이트(306)가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는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310-1, 310-2,..,310-12)과 접촉되도록 제1 면(예: A면)에 열 두 개의 핀(330-1, 330-2,..,330-12)을 포함할 수 있고, 접점 기판(305)의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320-1, 320-2,...320-12)과 접촉되도록 제2 면(예: B면)에 열 두 개의 핀(340-1, 340-2,...340-1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에 구성된 핀의 개수는 오디오 장치(201)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의 CC 핀은 종류에 따라 한 개이거나 두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가 제1 면 또는 제2 면 중 어느 방향으로 꽂힐 수 있도록,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의 배열 순서는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의 배열 순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오디오 장치(201)의 케이블을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에 180도로 회전된 상태로 꽂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과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핀의 배열은 아래 [표 1]과 같다.
Pin No. PinNo. SignalName Function Note
A1 B1 GND Power 그라운드(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2 B2 TX1+또는
SSTXp1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TX posi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TX1-)
A3 B3 TX1-또는
SSTXn1
USB 3.1 or Alternate Mode Supper speed T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TX1+)
A4 B4 VBUS Power USB cable 충전 전원(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5 B5 CC1, CC2 CC or VCONN 식별 단자
A6 B6 D+ USB 2.0 + line of the differential bi-directional USB signal
A7 B7 D- USB 2.0 - line of the differential bi-directional USB signal
A8 B8 SBU1, SBU2 Alternate Mode Side band Use: additional purpose pin(e.g., Audio signal, display signal 등)
A9 B9 VBUS Power USB cable 충전 전원(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10 B10 RX2-또는
SSRXn2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R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RX2+)
A11 B11 RX2+또는
SSRXp2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R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RX2-)
A12 B12 GND Power 그라운드(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표 1]을 참조하면, 커넥터(210)는 제1 면(예: A면)과 제2 면(예: B면)에 각각 12개의 핀(단자)을 포함한다. 제1 면(예: A면)의 12개의 핀은 GND(A1), TX1+(A2), TX1-(A3), VBUS(A4), CC1 (A5), D+(A6), D-(A7), SBU1(A8), VBUS(A9), RX2- (A10), RX2+(A11), GND(A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예: B면)의 12개의 핀은 GND(B1), TX2+(B2), TX2-(B3), VBUS(B4), CC2(또는 VCONN)(B5), D+(B6), D-(B7), SBU2(B8), VBUS(B9), RX1-(B10), RX1+(B11), GND(B12)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타입-C의 커넥터(210)는 가역성(reversibility)으로 인해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된 24개의 핀들이 반사된 구성(mirrored configuration)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를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에 180도 회전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칭적인 핀은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TX1+ 및 TX1-가 사용되면, TX2+, TX2-, RX2+, RX2-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RX1+, RX1-가 사용되면, RX2+, RX2-, TX2+, TX2-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210)의 접점 기판(305)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미드 플레이트(306)가 포함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에는 총 24개(예: 제1 면에 12개 및 제2 면에 12개)이 핀이 존재하지만, 해당되는 핀이 동시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핀이 사용될 것인지는 연결하는 케이블과 케이블 끝에 붙어 있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의 연결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CC1 핀(310-5)과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CC2 핀(320-5)은 커넥터(210)에 연결된 오디오 장치(201)의 용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에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의 제1 면(예: A면)이 위로 향하도록 꽂혀서 전자 장치(101)의 CC1 핀(310-5)이 오디오 장치(201)의 CC 핀(330-5)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101)의 CC2 핀(320-5)은 오디오 장치(301) 인식용 IC(integrated circuit)를 위한 전원을 공급(VCON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210)에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의 제1 면(예: A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꽂혀서 전자 장치(101)의 CC2 핀(220-5)이 오디오 장치(201)의 CC 핀(230-5)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101)의 CC1 핀(210-5)은 오디오 장치(201) 인식용 IC를 위한 전원을 공급(VCON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1)의 CC 핀들(210-5, 220-5)은 오디오 장치(201)의 CC 또는 VCONN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의 CC 핀들(210-5, 220-5)은 CC와 VCONN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BU1 핀(210-8) 및 SBU2 핀(220-8)은 대체 모드에서 사용되도록 할당된 저속 신호 핀이다. 전력 송수신하기 이전에, 전자 장치(101)와 오디오 장치(201) 간의 이러한 대체 모드의 협상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BU 1 핀(210-8) 및 SBU 2 핀(220-8)은 UFS 메모리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커넥터(210)에 연결된 오디오 장치(201)로부터 데이터 수신 시 제1 면(예: A면)의 VBUS(A4), RX2-(A10), RX2+(A11), GND(A1, A12)의 핀들이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의 제1 면(예: A면)의 VBUS(A4), TX1+(A2), TX1-(A3), GND(A1, A12)의 핀들과 연결되거나, 제2 면(예: B면)의 VBUS(B4), TX2+(B2), TX2-(B3), GND(A1, A12)의 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X1+, TX1-, TX2+, TX2-, RX2+, RX2-, RX1+, 및 RX1-는 USB 프로토콜(예: USB 3.1, USB 3.0 프로토콜)에 더하여 DP 프로토콜(display port), UFS 프로토콜(universal flash storag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프로토콜 또는 PCI 익스프레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YPE C 커넥터는 USB PD(power delivery) 표준의 얼터네이트 모드(Alternate mode)(예:)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비 USB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일부 구성요소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구성들은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의 집합(se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실행함으로써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널 레이어(kernel layer)(430)의 하위에 전자 장치(101)의 USB 포트(예: 도 2의 커넥터(210))가 배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41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media) 어플리케이션(415)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410)에 저장될 수 있다. 미디어 어플리케이션(415)은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예: 음악 어플리케이션,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레이어(framework layer)(420)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410)와 커널 레이어(430) 간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레이어(420)는 오디오 프레임워크(421)와 USB 프레임워크(42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프레임워크(421)는 미디어 세션 서비스(media session service)(422)와 오디오 서비스(423)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프레임워크(425)는 USB 호스트 매니저(host manager)(426)와 USB Alsa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매니저(427)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레이어(430)는 USB 포트와 외부 전자 장치(예: 오디오 장치(201)) 간 연결 상태를 인식(recognize)하고, 외부 전자 장치의 정보(예: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class))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적합한 기능을 로딩할 수 있다. 커널 레이어(430)는 USB 타입-C 드라이버(431)와 USB 호스트 드라이버(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201)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은 하기와 같다. 오디오 장치(201)의 커넥터(220)가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삽입되면, 커넥터(210)의 CC 핀(예: 도 3의 CC1(310-5) 또는 CC2(320-5))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저항이 발생하면 USB 타입-C 드라이버(431)에 포함된 PDIC(power delivery integrated circuitry) 드라이버(433)에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고, USB 타입-C 매니저(432)는 USB 호스트 드라이버(435)로 오디오 장치(201)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예: USB Host on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USB 호스트 드라이버(435)에 포함된 USB 허브(hub) 드라이버(437)는 수신된 신호를 통해 오디오 장치(201)가 연결됨을 식별(identify)하고,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 절차를 통해 USB 오디오 클래스(class) 드라이버(436)를 로딩(loading)할 수 있다. 오디오 클래스 드라이버(436)는 인식된 오디오 장치(201)에 대한 정보(예: 장치의 종류)를 USB 프레임워크(425)로 전송할 수 있다. USB 프레임워크(425)에 포함된 USB 호스트 매니저(426)는 USB 호스트 드라이버(435)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파싱(parsing)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장치(201)임을 인식하고, 수신된 정보를 USB Alsa 매니저(427)에게 전달할 수 있다. USB Alsa 매니저(427)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프레임워크(421)에게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경로(path)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오디오 서비스(423)는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장치(201)의 연결 상태에 따라 오디오의 재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1)의 연결이 끊어지면(disconnected) 오디오 서비스(423)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415)에게 오디오 재생의 중지(pause)를 명령하고, 오디오 장치(201)가 연결되면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할 수 있다. 미디어 세션 서비스(422)는 재생 중인 오디오에 대한 정보(예: 노래 제목 또는 재생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미디어 어플리케이션(415)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예: 음악)이 재생될 때,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재생 중인 오디오와 연관된 화면(501)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와 연관된 화면(501)은 예를 들어, 재생 중인 오디오에 대한 이미지, 오디오가 재생 중인지를 나타내는 텍스트(text), 재생 시간, 재생과 연관된 기능(예: 일시 정지,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가 재생 중이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501) 내에 오디오가 재생 중임을 나타내는 제1 GUI(510)(예: 일시 정지 버튼)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가 전자 장치(101) 내에서 재생되는 동안에, 오디오 장치(201)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채로 USB 포트(예: 커넥터(210, 220))에 외부 충격(502)이 발생할 수 있다. USB 포트의 경우, 외부 충격(502)이 발생하면 오디오가 전송되는 라인(line)(예: D+ 및/또는 D-)에서 단락(short)이 발생할 수 있다. 단락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장치(201)가 분리(detach)된 것으로 인식(recognize)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가 분리된 것으로 인식되면, 오디오 장치(201)가 실제로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자 장치(101)는 재생 중인 오디오가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화면(501) 내에 오디오가 중지 됨을 나타내는 제2 GUI(520)(예: 재생 버튼)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오디오가 중지되면 사용자는 오디오를 들을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 없이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1)의 분리가 감지된 이후 지정된 시간 내에 동일한 외부 장치(즉, 오디오 장치(201))의 연결(attachment)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501) 내에 오디오가 재생 중임을 나타내는 제1 GUI(5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서술되는 도 6 및 다른 동작 흐름도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예: 도 4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USB 포트는 예를 들어, USB 타입-C를 지원할 수 있다. 재생되는 오디오는 외부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detachment)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의 일부 라인(예: D+ 및/또는 D-)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6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재생 중인 오디오를 중지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벤트가 감지된 이후 지정된 시간(예: 800ms)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USB 포트의 CC 핀을 통해 이전과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면(동작 620의 'YES'), 동작 6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지 않으면(동작 620의 'NO'), 외부 오디오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분리된 것일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를 재생하지 않고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달함으로써 오디오의 재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구성 및 그에 관한 의미는 하기의 [표 2]로 표현될 수 있다.
구성(configuration) 정보 의미
action change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 또는 분리와 관련된 변화 발생
USBAUDIO_STATE i) ATTACH
ii) DETACH
i) 외부 오디오 장치가 연결됨
ii) 외부 오디오 장치가 분리됨
KEEP_PLAY_MUSIC i) TRUE
ii) FALSE
i) 외부 오디오 장치가 분리된 후 지정된 시간 내 동일한 장치가 연결
ii) 외부 오디오 장치가 분리된 후 지정된 시간 내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지 않음
CUR 현재 시간
LAST 이전 시간
DIFF 현재 시간 - 이전 시간
예를 들어, [표 2]를 참조할 때,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에 처음 연결되면, USBAUDIO_STATE는 'ATTACH'를 나타내고, KEEP_PLAY_MUSIC은 'FALSE'를 나타낼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됨이 감지되면, USBAUDIO_STATE는 'DETACH'를 나타내고, KEEP_PLAY_MUSIC은 'FALSE'를 나타낼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된 후 지정된 시간 내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에 연결됨이 감지되면, USBAUDIO_STATE는 'ATTACH'를 나타내고, KEEP_PLAY_MUSIC은 'TRUE'를 나타낼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전자 장치(101)에 연결되거나 다른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101)에 연결됨이 감지되면, USBAUDIO_STATE는 'ATTACH'를 나타내고, KEEP_PLAY_MUSIC은 'FALSE'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에게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생 정보(예: 오디오 파일, 노래 제목, 또는 재생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71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 USBAUDIO_STATE)는 'DETACH'를 나타내고, 재생 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 KEEP_PLAY_MUSIC)는 'FALSE'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72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DETACH'를 나타내므로, USB 프레임워크(525)는 '끊어짐(dis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25에서, 오디오 서비스(523)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에게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것을 명령(command)할 수 있다.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오디오가 재생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의 식별 정보 또는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는 수신된 명령에 기반하여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면, 동작 730에서, 오디오 서비스(523)는 재생 중인 오디오의 중지를 명령하는 메시지(예: becoming noisy)를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735에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재생 정보의 전송을 중단하였음을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에게 알려줄 수 있다(notify).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후 지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이 감지되는지에 기반하여,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 USB 프레임워크(525), 오디오 프레임워크(521), 및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740 내지 동작 765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770 내지 동작 775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후 지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이 감지될 수 있다(동작 740). 이 경우, 동작 74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ATTACH'를 나타내고, 재생 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TRUE'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재연결됨(re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55에서, 오디오 서비스(523)는 저장된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복원(restore, or recovery)하도록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에게 명령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중지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65에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은 재생 정보를 미디어 세션 서비스(5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제1 시간 범위가 경과한 후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이 감지될 수 있다(동작 770). 다른 예를 들어,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시간 범위 이내에 연결된 외부 오디오 장치가 이전 외부 오디오 장치와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77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ATTACH'를 나타내고, 재생 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FALSE'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70은 외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또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교체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USB 프레임워크(525)는 오디오의 중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6에 도시된 동작들과 병렬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예: 도 6의 동작 605).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예: 도 6의 동작 610).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8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재생 중인 오디오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디오의 볼륨(volume)을 음소거(mute)로 설정(set)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벤트가 감지된 이후 지정된 시간(예: 800ms)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예: 도 6의 동작 620).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면(동작 820의 'YES'), 동작 8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의 볼륨을 복원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오디오 장치가 다시 연결되지 않으면(동작 820의 'NO'), 외부 오디오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분리된 것일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를 중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5에서,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05).
동작 910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10).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91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 USBAUDIO_STATE)는 'DETACH'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92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DETACH'를 나타내므로, USB 프레임워크(525)는 '끊어짐(dis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25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예: 오디오 서비스(523))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생 중인 오디오의 볼륨을 음소거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끊어짐'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된 후 지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에 '재연결됨(re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에 기반하여,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 USB 프레임워크(525), 및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제3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930 내지 동작 945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4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950 내지 동작 95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시간 범위는 도 7의 제1 시간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시나리오에 따르면, '끊어짐'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된 후 지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에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동작 940). 예를 들어, 제2 시간 범위 이내에 외부 오디오 장치의 연결이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에 의하여 감지되고(동작 930),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935). USB 프레임워크(525)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45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오디오의 볼륨을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4 시나리오에 따르면, 동작 950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2 시간 범위 이후에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제2 시간 범위 이내 또는 이후에 '끊어짐'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55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재생 중인 오디오의 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5에서,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05).
동작 1010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10).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101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 USBAUDIO_STATE)는 'DETACH'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DE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된 후 지정된 제3 시간 범위 이내에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에 기반하여,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 및 USB 프레임워크(525)는 제5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1020 내지 동작 1030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6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1035 내지 동작 104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시간 범위는 도 9의 제2 시간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시나리오에 따르면, USB 프레임워크(525)는 'DE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후 지정된 제3 시간 범위 이내에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제3 시간 범위 이내에 외부 오디오 장치가 연결됨을 감지하고(동작 1020),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1025). 동작 103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됨(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재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USB 프레임워크(525)는 동작 1030에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6 시나리오에 따르면, 동작 1035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제3 시간 범위 이내에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제3 시간 범위가 경과한 이후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끊어짐(dis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1040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재생 중인 오디오의 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들 간 다른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5에서,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05).
동작 1110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예: 도 7의 동작 710).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동작 1115에서,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는 이벤트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2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 USBAUDIO_STATE)는 'DETACH'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USB 프레임워크(525)는 '끊어짐(dis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25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재생 중인 오디오의 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끊어짐'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된 후 지정된 제4 시간 범위 이내에 '재연결됨(reconnected)'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에 기반하여, USB 호스트 드라이버(535), USB 프레임워크(525), 및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제7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1130 내지 동작 1140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8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1145 내지 동작 115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시간 범위는 도 10의 제3 시간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시나리오에 따르면,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끊어짐'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지정된 제4 시간 범위 이내에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프레임워크(525)는 제4 시간 범위 이내에 USB 호스트 드라이버로부터 'ATTACH'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동작 1130),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1135). 동작 1140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중지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8 시나리오에 따르면, 동작 1145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제4 시간 범위 이내에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제4 시간 범위가 경과한 이후 '연결됨'(또는 '재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25)는 '끊어짐(disconnected)'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오디오 프레임워크(521)는 오디오의 중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디어 어플리케이션(515)에게 아무런 명령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201)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2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5에서, 오디오 장치(201)는 USB 포트(예: 도 2의 커넥터(22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1))에 연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 USB 포트는 예를 들어, USB 타입-C를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1)가 USB 포트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1210에서, 오디오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1)는 USB 포트의 일부 라인(예: D+ 및/또는 D-)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215에서, 오디오 장치(201)는 이벤트가 감지된 후로 지정된 시간 범위(예: 800ms) 이내에 이전과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1)는 USB 포트의 CC 핀을 통해 이전과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가 다시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가 다시 연결되면(동작 1215의 'YES'), 동작 1220에서, 오디오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에게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가 다시 연결되지 않으면(동작 1215의 'NO'), 외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분리된 것일 수 있으므로 오디오 장치(201)는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외부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201)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 포트(예: 도 2의 210),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도 1의 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SB 포트는, USB 타입-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D+ 또는 D- 라인의 단락(short)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의 CC 핀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게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이 중지됨을 나타내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가 재생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음소거(mute)로 설정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복원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를 중지하기 이전에,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상기 중지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재생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을 중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SB 포트는, USB 타입-C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D+ 또는 D- 라인의 단락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USB 포트의 CC 핀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게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재생이 중지됨을 나타내는 제1 G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가 재생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음소거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복원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를 중지하기 이전에,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상기 중지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중지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오디오 장치(예: 도 2의 2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101)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 포트(예: 도 2의 220), 및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됨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오디오의 재생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SB 포트는, USB 타입-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D+ 또는 D- 라인의 단락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의 CC 핀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장치는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오디오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port);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음소거(mute)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복원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중지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USB 타입-C(type-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D+ 또는 D- 라인의 단락(short)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의 CC 핀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게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이 음소거로 설정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재생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음소거로 설정하기 이전에,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의 복원을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복원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USB 포트; 및
    상기 USB 포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됨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분리와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음소거(mute)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복원하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USB 타입-C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KR1020190086107A 2019-07-17 2019-07-17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64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07A KR102644997B1 (ko) 2019-07-17 2019-07-17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PCT/KR2020/009264 WO2021010732A1 (en) 2019-07-17 2020-07-14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udio through usb port and method thereof
US16/947,111 US11269588B2 (en) 2019-07-17 2020-07-17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udio through USB por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07A KR102644997B1 (ko) 2019-07-17 2019-07-17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11A KR20210009511A (ko) 2021-01-27
KR102644997B1 true KR102644997B1 (ko) 2024-03-08

Family

ID=7421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07A KR102644997B1 (ko) 2019-07-17 2019-07-17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9588B2 (ko)
KR (1) KR102644997B1 (ko)
WO (1) WO2021010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89A (ko) * 2021-05-18 2022-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6266895A (zh) * 2021-12-16 2023-06-20 缤特力股份有限公司 用于静电放电保护的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1158A1 (en) * 2014-07-15 2016-01-21 Soundchip Sa Media/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3500B2 (ja) * 1996-09-30 1999-03-03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パネル搬送治具
US20100115149A1 (en) * 2002-12-02 2010-05-06 Plan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ing of computer headset connection status
US7826562B2 (en) * 2003-05-28 2010-11-02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interface receiver apparatus
KR20060106299A (ko) * 2005-04-07 2006-10-12 주식회사 팬택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JP4203495B2 (ja) * 2005-06-16 2009-01-0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SG163453A1 (en) 2009-01-28 2010-08-30 Creative Tech Ltd An earphone set
KR101874888B1 (ko) * 2011-11-22 2018-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US8891216B2 (en) 2012-04-25 2014-11-18 Apple Inc. Techniques for detecting removal of a connector
KR20150006123A (ko)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의 연결 속도 복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31399B2 (en) * 2015-06-05 2019-06-25 Apple Inc. Smart audio playback when connecting to an audio output system
KR20160148401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6445856B (zh) * 2015-08-07 2019-05-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接口电路、状态切换方法及装置
GB201704067D0 (en) * 2017-03-14 2017-04-26 Soundchip Sa Earphone connection apparatus
CN109788387A (zh) * 2019-01-28 2019-05-21 深圳市傲基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蓝牙耳机的控制方法、蓝牙耳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1158A1 (en) * 2014-07-15 2016-01-21 Soundchip Sa Media/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11A (ko) 2021-01-27
US20210019111A1 (en) 2021-01-21
WO2021010732A1 (en) 2021-01-21
US11269588B2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456456B1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27206B1 (ko) 외부 액세서리 연결에 따른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26534A (ko)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WO2021033965A1 (ko) 전력 관리를 위한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51715B1 (ko) Usb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263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with docking device by using USB interface
KR102644997B1 (ko)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101702A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110006A (ko) 외부 변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90091966A (ko)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01553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KR20200143985A (ko) 이어 잭 내 삽입된 객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69568B1 (ko) 전자 장치의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210033758A (ko)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27633B1 (ko)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1293B1 (ko)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수신 방법
KR102597599B1 (ko)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72130B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27931A (ko) 소켓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29527A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연결 해제 감지 방법
KR102667177B1 (ko)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전압에 대한 피드백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