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966A -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966A
KR20190091966A KR1020180011161A KR20180011161A KR20190091966A KR 20190091966 A KR20190091966 A KR 20190091966A KR 1020180011161 A KR1020180011161 A KR 1020180011161A KR 20180011161 A KR20180011161 A KR 20180011161A KR 20190091966 A KR20190091966 A KR 2019009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or
electronic device
interface modul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640B1 (ko
Inventor
정재천
박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40B1/ko
Priority to EP18904464.7A priority patent/EP3700027B1/en
Priority to US16/764,098 priority patent/US11217950B2/en
Priority to PCT/KR2018/011374 priority patent/WO2019151604A1/ko
Publication of KR2019009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제1 핀 및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라인들 중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 하나의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FUNCTION BY USING USB CONNECTOR}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FM(frequency modulation)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 회로(또는 안테나 라인)는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신호가 아닌 다른 신호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가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송되면,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잡음 성분이 발생하여 안테나 라인의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장치에 포함되는 방송 안테나 라인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제1 핀 및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라인들 중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 하나의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커넥터, 음성 신호 또는 DP(display port)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USB C-TYPE 커넥터, 음성 신호 또는 DP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USB C-TYPE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C-TYPE 커넥터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USB C-TYPE의 핀에 연결된 라인들을 외부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라인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C-TYPE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차폐부(shielding unit)와 케이블 외피 사이에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PCB(printed circuit board) 회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안테나 라인과 차폐부 사이에 절연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d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안테나 라인을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e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래치 핀(latch pin)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커넥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커넥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 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전자 장치(101)에서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전자 장치(101)에서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이 임베디드 되는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애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애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200)(예: 도 1의 네트워크(100))는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와 외부 장치(202)는 커넥터(210)(예: 도 1의 연결 단자(178)) 및 커넥터(230)를 통해 외부 장치(202)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USB 표준 단체(USB.org)에서 규정하는 USB 프로토콜 또는 USB 프로토콜이 아닌 프로토콜(비(非) USB 프로토콜로 지칭될 수 있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202)에게 신호(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USB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2.0버전 또는 3.x버전(3.0이상 버전을 의미)을 포함할 수 있다. 비 USB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규정하는 DP(display port) 프로토콜, JEDEC(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에서 규정하는 UFS(Universal flash storage)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커넥터(210)를 통해 외부 장치(202)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210)는 예를 들어, USB 표준 단체에 의하여 규정되는 USB C-TYPE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오디오 모듈(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을 통해 생성된 음성 신호를 외부 장치(202)에게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202)의 입력 장치로(예: 마이크로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에 포함되는 안테나 라인(245)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예를 들어, FM(frequency modulation)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2)는 전자 장치(201)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세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2)는 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셋, 데이터 링크 케이블, 또는 커넥터(230)를 통해 전자 장치(201)와 연결되는 도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가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면, 외부 장치(202)는 커넥터(230)를 통해 전자 장치(201)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202)의 입력 장치로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전자 장치(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는 방송 신호 (예: FM 또는 DMB 신호)를 전자 장치(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2)는 케이블(240) 및 커넥터(230)를 통해 전자 장치(201)에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커넥터(230)는 예를 들어, USB C-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30) 및 케이블(240)의 일 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참조 번호 230a를 참조하면, 커넥터(230)는 케이블(240)의 라인들(241, 242, 243, 244, 및 245)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pin)들(231, 232, 233, 234, 및 2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D 핀(233 및 234), VBUS 핀(232), GND 핀(231), 및 안테나(ANT) 핀(235)을 포함하는 커넥터(230)를 도시하였지만, 도 2에 도시된 핀들로 실시 예가 제한되지 않으며, 커넥터(230)는 USB 표준 단체에 의하여 규정되는 USB C-TYPE 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핀들(231, 232, 233, 234, 및 235)은 서로 다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핀(235)을 제외한 핀들(231, 232, 233, 및 234)이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3에서 상세히 서술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235)에 연결되는 안테나 라인(245)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라인(245)은 안테나 라인(line), 안테나 레인(lane), 안테나 와이어(wire),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2)는 안테나 라인(245)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안테나 핀(235)을 통해 전자 장치(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235)은 USB C-TYPE의 핀들 중 하나의 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핀(235)은 GND 핀, TX+/- 핀, RX+/-핀, 또는 SBU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SB C-TYPE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커넥터(210)를 통해 외부 장치(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는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꽂힐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이하, 가역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넥터(210)의 내부에는 접점 기판(3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의 정방향에 대응되는 제1 면(예: A면)에는 열 두 개의 핀(310-1, 310-2,...310-12)이 형성되고, 역방향에 대응되는 제2 면(예: B면)에는 열 두 개의 핀(320-1, 320-2,...320-1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도체 특성을 갖는 미드 플레이트(306)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가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310-1, 310-2,...310-12)과 접촉될 수 있도록, 커넥터(230)의 제1 면(예: A면)에는 열 두 개의 핀(330-1, 330-2,...330-1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30)가 접점 기판(305)의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320-1, 320-2,...320-12)과 접촉될 수 있도록, 커넥터(230)의 제2 면(예: B면)에는 열 두 개의 핀(340-1, 340-2,...340-12)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에 구성된 핀의 개수는 외부 장치(202)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외부 장치(202)의 CC 핀은 한 개이거나 두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가 제1 면 또는 제2 면 중 어느 방향으로 꽂힐 수 있도록,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의 배열 순서는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열 두 개의 핀의 배열 순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를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180도로 회전된 상태로 꽂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과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핀의 배열은 아래 [표 1]과 같다.
Pin No. Pin
No.
SignalName Function Note
A1 B1 GND Power 그라운드
(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2 B2 TX1+
또는
SSTXp1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TX posi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TX1-)
A3 B3 TX1-
또는
SSTXn1
USB 3.1 or Alternate Mode Supper speed T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TX1+)
A4 B4 VBUS Power USB cable 충전 전원
(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5 B5 CC1, CC2 CC or VCONN 식별 단자
A6 B6 D+ USB 2.0 + line of the differential bi-directional USB signal
A7 B7 D- USB 2.0 - line of the differential bi-directional USB signal
A8 B8 SBU1, SBU2 Alternate Mode Side band Use: additional purpose pin
(e.g., Audio signal, display signal 등)
A9 B9 VBUS Power USB cable 충전 전원
(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A10 B10 RX2-
또는
SSRXn2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R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RX2+)
A11 B11 RX2+
또는
SSRXp2
USB 3.1 or Alternate Mode Super speed RX negative
(e.g., 10Gb/s differential pair with RX2-)
A12 B12 GND Power 그라운드
(e.g., Support for 60W minimum (combined with all VBUS pins))
[표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SB C-TYPE의 커넥터(210) 또는 커넥터(230)의 핀들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USB C-TYPE의 커넥터(210)는 제1 면(예: A면)과 제2 면(예: B면)에 각각 12개의 핀(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예: A면)의 12개의 핀들은 GND(A1), TX1+(A2), TX1-(A3), VBUS(A4), CC1 (A5), D+(A6), D-(A7), SBU1(A8), VBUS(A9), RX2- (A10), RX2+(A11), GND(A1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예: B면)의 12개의 핀들은 GND(B1), TX2+(B2), TX2-(B3), VBUS(B4), CC2(또는 VCONN)(B5), D+(B6), D-(B7), SBU2(B8), VBUS(B9), RX1-(B10), RX1+(B11), GND(B1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SB C-TYPE 커넥터(210)의 가역성(reversibility)으로 인하여,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된 24개의 핀들은 반사된 구성(mirrored configuration)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를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180도 회전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칭적인 핀은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TX1+ 핀 및 TX1- 핀이 사용되면, TX2+ 핀, TX2- 핀, RX2+ 핀, 및 RX2- 핀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RX1+ 핀, RX1- 핀이 사용되면, RX2+ 핀, RX2- 핀, TX2+ 핀, 및 TX2- 핀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210)는 접점 기판(305) 내부에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미드 플레이트(30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 기판(305)에는 24개(예: 제1 면에 12개 및 제2 면에 12개)이 핀들이 존재하며, 핀들은 동시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핀들 중 어떤 핀이 사용될 것인지 여부는 커넥터(210) 및 커넥터(230)의 연결 상태(예: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점 기판(305)의 제1 면(예: A면)에 형성된 CC1 핀(310-5)과 제2 면(예: B면)에 형성된 CC2 핀(320-5)은 커넥터(210)에 연결된 외부 장치(202)의 용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의 제1 면(예: A면)이 위로 향하도록 꽂혀서 전자 장치(201)의 CC1 핀(310-5)이 외부 장치(202)의 CC 핀(330-5)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201)의 CC2 핀(320-5)은 외부 장치(202) 인식용 IC를 위한 전원을 공급(VCONN)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의 제1 면(예: A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꽂혀서 전자 장치(201)의 CC2 핀(320-5)이 외부 장치(202)의 CC 핀(330-5)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201)의 CC1 핀(310-5)은 외부 장치(202) 인식용 IC를 위한 전원을 공급(VCONN)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C 핀들(310-5, 320-5)은 외부 장치(202)의 CC 또는 VCONN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의 CC 핀들(310-5, 320-5)은 CC와 VCONN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 및 외부 장치(202)는 CC 핀들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가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BU1 핀(310-8, 340-8) 및 SBU2 핀(320-8, 330-8)은 대체 모드에서 사용되도록 할당된 저속 신호 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와 외부 장치(202)가 전력을 송수신하기 이전에, 전자 장치(201)와 외부 장치(202) 간 대체 모드의 협상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SBU 핀들을 통해 레거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레거시 모드는 예를 들어, D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호의 송수신, 음성 신호의 송수신, 또는 수분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SBU 핀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2)의 안테나 라인(245)이 커넥터(230)의 SBU 핀에 할당되면, 전자 장치(201)는 SBU 핀들을 통해 방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방송 모드에서,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D+ 핀(310-6, 320-6, 330-6, 340-6) 및 D- 핀(310-7, 320-7, 330-7, 340-7)은 음성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D+ 핀 또는 D- 핀을 통해 음성 신호를 외부 장치(202)에게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202)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 핀들을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 신호는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가 커넥터(210)에 연결된 외부 장치(202)로부터 신호(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1 면(예: A면)의 VBUS(A4), RX2-(A10), RX2+(A11), GND(A1, A12)의 핀들이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의 제1 면(예: A면)의 VBUS(A4), TX1+(A2), TX1-(A3), GND(A1, A12)의 핀들과 연결되거나, 제2 면(예: B면)의 VBUS(B4), TX2+(B2), TX2-(B3), GND(A1, A12)의 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예: 도 2의 안테나 라인(245))은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의 GND 핀(2개의 GND 핀들 중 하나의 GND 핀), TX+ 핀, TX- 핀, SBU 핀, RX- 핀, 또는 RX+ 핀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안테나 라인이 연결된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의 핀 및 대응되는 전자 장치의 커넥터(210)의 핀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차폐부와 케이블 외피 사이에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는 케이블(240) 및 커넥터(230)가 VBUS, D+, D-, GND, 및 안테나 핀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4a에 도시된 핀들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3에서 서술된 USB C-TYPE의 다른 핀들이 포함되는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케이블(240)은 커넥터(230)의 VBUS 핀, D+ 핀, D- 핀, GND 핀, 및 안테나 핀에 연결된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은 2개의 GND 핀들 중 도 4a에 도시된 GND 핀 이외의 GND 핀, TX+ 핀, TX- 핀, SBU 핀, RX- 핀, 또는 RX+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블(240)은 복수의 라인들 간 잡음 성분(예: DMI)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라인들의 외부를 감싸는 차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블(240)은 차폐부(420) 및 복수의 라인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부(420)의 외부에 외피(410)(jacke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과 연결되는 안테나 라인(245)은 차폐부(420)의 외부와 외피(410)의 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라인(245)은 차폐부(420)를 스크류(screw)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라인(245)이 차폐부(420)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는 다른 라인들 간 발생하는 잡음 성분으로부터 안테나 라인(245)을 보호하고,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20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 라인(245)의 재질은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또는 주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라인(245)의 길이는 방송 신호의 파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의 파장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λ는 파장의 길이, f는 주파수 크기, c는 빛의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FM 신호의 주파수는 87.5메가헤르츠(MHz) ~ 108MHz를 포함할 수 있고, DMB 신호의 주파수는 174MHz ~ 230MHz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의 길이는 파장의 길이 λ의 1/2 또는 1/4에 해당될 수 있고, 안테나의 길이에 파장 단축률(0.9~0.95)을 적용하면 안테나 라인(245)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PCB(printed circuit board) 회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b는 케이블(240) 및 커넥터(230)가 VBUS, D+, D-, GND, 및 안테나 핀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4b에 도시된 핀들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3에서 서술된 USB C-TYPE의 다른 핀들이 포함되는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케이블(240)은 커넥터(230)의 USB C-TYPE의 적어도 하나의 핀과 안테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블(240)은 복수의 라인들의 외부를 감싸는 차폐부(420)와 차폐부(420)의 외부에 외피(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245)은 차폐부(420)의 외부와 외피(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라인(245)은 PCB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PCB 회로는 예를 들어, 필름(film) 타입의 플렉서블(flexible) PCB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절연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c 및 도 4d는 케이블(240) 및 커넥터(230)가 VBUS, D+, D-, GND, 및 안테나 핀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4c 또는 도 4d에 도시된 핀들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3에서 서술된 USB C-TYPE의 다른 핀들이 포함되는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케이블(240)은 커넥터(230)의 USB C-TYPE의 적어도 하나의 핀과 안테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블(240)은 복수의 라인들의 외부를 감싸는 차폐부(420)와 차폐부(420)의 외부에 외피(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라인(245)은 차폐부(420)의 외부와 외피(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라인(245)은 예를 들어, 차폐부(420)를 스크류 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PCB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라인(245)이 차폐부(420)를 스크류 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면, 안테나 라인(245)의 재질 및 길이는 도 4a에서 서술된 방식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블(240)은 안테나 라인(245)과 차폐부(420) 간 신호 연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43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4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라인(245)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e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래치 핀(latch pin)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e는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 및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를 상단 또는 하단에서 바라보는 도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는 USB C-TYPE 핀(460)(예: 도 3의 핀(310-1, 310-2,...310-12) 또는 핀(320-1, 320-2,...320-12)에 더하여 두 개의 래치 핀들(440-a 및 44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는 USB C-TYPE 핀(470)(예: 도 3의 핀(330-1, 330-2,...330-12) 또는 핀(340-1, 340-2,...340-12)에 더하여 두 개의 래치 핀들(450-a 및 450-b)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핀은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와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외부 장치(202)의 커넥터(230)가 삽입되면, 래치 핀(440-a)와 래치 핀(450-a)가 결합되고, 래치 핀(440-b)와 래치 핀(450-b)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래치 핀은 커넥터들 간 물리적 결합을 고정하는 기능 외에도 방송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 및 외부 장치(202)는 두 개의 래치 핀들 중 하나의 래치 핀을 안테나 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는 래치 핀(450-a 또는 450-b)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1)는 래치 핀(440-a 또는 440-b)을 통해 외부 장치(202)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커넥터(210),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53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스위치(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도 5에 도시되는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 또는 프로세서(5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 및 프로세서(5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30) 로부터 불러온 데이터 또는 오디오 모듈로부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처리 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형태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은 레거시 모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레거시 모드에서,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은 D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호, 음성 신호, 또는 수분 인식과 관련된 신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은 커넥터(210)의 핀들 중에서 안테나 핀(예: SBU 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방송 모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 모드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커넥터(210)의 핀들 중에서 안테나 핀(예: SBU 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및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신호를 물리적으로 커넥터(210)에게 전달하는 PHY(physical transceiver) 또는 PHY를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PHY들 각각은 커넥터(210)와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6)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신호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26)는 예를 들어, 각각의 인터페이스 모듈들과 별도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에 내장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526)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에 내장된 콘트롤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526)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53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530)가 비휘발성 메모리이면, 메모리(330)는 플래시(flash)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0)는 eMMC(embedded multimedia card), UFS, 또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0)가 비휘발성 메모리면, 메모리(530)는 RAM(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530)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모듈들이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26)(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가 각각의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530)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540)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과 커넥터(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540)는 프로세서(526)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및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커넥터(310)와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아날로그 형태의 스위치(540)를 도시하였지만, 전자 장치(201)는 스위치(540)를 포함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 내부에 디지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6)는 외부 장치(202)가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핀이 SBU 핀에 할당된 경우, 프로세서(526)는 방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SBU 핀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로 변경되도록 스위치(5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은 SBU 핀에 연결되고,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SBU 핀 이외에 다른 USB C-TYPE의 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테나 핀은 SBU 핀이 아닌 다른 핀에 할당될 수 있다. 안테나 핀이 SBU 핀 이외의 핀에 할당되면,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과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은 서로 다른 핀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므로, 전자 장치(201)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치(5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5에서,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가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외부 장치(202)가 커넥터(230)를 통해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연결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외부 장치(202)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종류(예: USB 프로토콜 또는 비 USB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CC 핀을 통해 외부 장치(202)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가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면, 커넥터(21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202)가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이 SBU 핀 이외의 핀에 할당되면, 전자 장치(201)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하지 않고 동작 615 또는 동작 620을 구현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USB C-TYPE의 핀들 중에서 안테나 핀으로 할당된 핀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동작 615에서 방송 신호를 외부 장치(202)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CC 핀을 통해 요청 신호를 외부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커넥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201) 또는 프로세서(526)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메모리(530)에 저장되는 인스트럭션들이 프로세서(526)에 의하여 실행될 때 도 7에 도시되는 동작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법 700의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201)(예: 프로세서(526))는 외부 장치(202)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2)가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외부 장치(202)가 커넥터(230)를 통해 전자 장치(201)의 커넥터(210)에 연결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외부 장치(202)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201)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202)가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2)가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201)는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2)가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면, 전자 장치(201)는 동작 715를 구현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전자 장치(201)는 커넥터(210)의 SBU 핀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인터페이스 모듈들과 커넥터(219) 사이에 배치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하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 내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핀이 SBU 핀이 아닌 다른 핀(예: GND 핀, TX+/- 핀, 또는 RX+/- 핀에 할당되면, 전자 장치(201)는 동작 715를 구현하지 않고, 동작 720 또는 동작 725를 구현할 수 있다.
동작 725에서,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202)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동작 720에서 방송 신호를 외부 장치(202)에게 요청할 수 있다.
방법 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 내부에 방송 안테나가 내장되지 않아도, 전자 장치(201)는 USB C-TYPE 커넥터(210)를 통해 방송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20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커넥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201) 또는 프로세서(526)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메모리(530)에 저장되는 인스트럭션들이 프로세서(526)에 의하여 실행될 때 도 8에 도시되는 동작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외부 장치(202)의 안테나 라인(245)이 커넥터(230)의 SBU 핀에 할당 됨을 가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방법 800의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201)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의 세기는 예를 들어, SNR(signal to noise ratio),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201)는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임계 값은 예를 들어, 메모리(530)에 저장될 수 있다.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201)는 방법 800의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신호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전자 장치(201)는 동작 815를 구현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전자 장치(201)는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미리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재시도 횟수는 전자 장치(201)가 커넥터(210)의 SBU 핀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에서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로 스위칭 하는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위칭 시간은 전자 장치(201)가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을 시도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동작 825에서, 전자 장치(201)는 커넥터(21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가 스위칭 동작을 재시도하기 이전에,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201)는 신호 세기가 제1 임계 값 미만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201)가 외부 장치(202)로부터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므로,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201)는 방송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방법 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모듈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한 방송 기능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02))는, 외부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제1 핀 및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예: 도 2의 커넥터(230)), 및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케이블(예: 도 2의 케이블(2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라인들 중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예: 도 2의 안테나 라인(245))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 하나의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GND(ground)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송신 핀 또는 수신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SBU(side band use)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핀들을 감싸도록 설정되는 차폐부(shielding unit)의 외부와 상기 케이블의 외피(jacket)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와이어(wire)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02))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커넥터(예: 도 2의 커넥터(210)), 음성 신호 또는 DP(display port)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예: 도 5의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예: 도 5의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5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 또는 도 5의 프로세서(526)),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예: 도 5의 스위치(5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C-TYPE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GND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송신 핀 또는 수신 핀에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SBU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방송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10))는,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02))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USB C-TYPE 커넥터(예: 도 2의 커넥터(210)), 음성 신호 또는 DP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예: 도 5의 제1 인터페이스 모듈(522)),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예: 도 5의 제2 인터페이스 모듈(524)),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5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520), 또는 도 5의 프로세서(526)),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USB C-TYPE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예: 도 5의 스위치(54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GND 핀, 송신 핀, 수신 핀, 또는 SBU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상기 방송 신호를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USB C-TYPE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방송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제1 핀 및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및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라인들 중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 하나의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GND(ground)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송신 핀 또는 수신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 중에서 SBU(side band use) 핀에 할당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상기 핀들을 감싸도록 설정되는 차폐부(shielding unit)의 외부와 상기 케이블의 외피(jacket)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라인은,
    와이어(wire)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커넥터;
    음성 신호 또는 DP(display port)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C-TYPE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GND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송신 핀 또는 수신 핀에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SBU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방송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USB C-TYPE 커넥터;
    음성 신호 또는 DP 프로토콜에 기반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방송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USB C-TYPE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안테나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C-TYPE 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GND 핀, 송신 핀, 수신 핀, 또는 SBU 핀과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C-TYPE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상기 방송 신호를 요청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USB C-TYPE 커넥터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스위칭 시간이 지정된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위칭 재시도 횟수 또는 상기 스위칭 시간이 상기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방송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11161A 2018-01-30 2018-01-30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61A KR102488640B1 (ko) 2018-01-30 2018-01-30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8904464.7A EP3700027B1 (en) 2018-01-30 2018-09-27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function by using usb connector
US16/764,098 US11217950B2 (en) 2018-01-30 2018-09-27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function by using USB connector
PCT/KR2018/011374 WO2019151604A1 (ko) 2018-01-30 2018-09-27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61A KR102488640B1 (ko) 2018-01-30 2018-01-30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66A true KR20190091966A (ko) 2019-08-07
KR102488640B1 KR102488640B1 (ko) 2023-01-16

Family

ID=674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161A KR102488640B1 (ko) 2018-01-30 2018-01-30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7950B2 (ko)
EP (1) EP3700027B1 (ko)
KR (1) KR102488640B1 (ko)
WO (1) WO20191516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40A1 (ko) * 2021-02-26 2022-09-0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93B1 (ko) * 2019-04-17 202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수신 방법
CN115036675B (zh) * 2021-03-04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配件及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068A1 (en) * 2011-01-25 2012-07-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terminals and methods using a usb cable as a rf broadcast signal antenna
JP2014183512A (ja) * 2013-03-21 2014-09-29 Ntt Docomo Inc Usbケーブル
US20150230049A1 (en) * 2012-09-12 2015-08-13 Tomtom International B.V. Portable device with integrated radio receiver
KR20170096510A (ko) * 2016-02-1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87A (en) * 1980-11-25 1982-08-31 Raychem Corporation High frequency attenuation cable
EP0844697B1 (en) * 1996-11-22 2007-07-18 Sony Corporation Connecting cables,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s
JP4206612B2 (ja) * 2000-06-07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30004817A (ko) 2001-07-06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범용직렬버스 포트에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는 휴대용컴퓨터 및 그 방법
JP4003671B2 (ja) * 2003-03-07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ーホーンア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機
KR20060083630A (ko)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KR20070023209A (ko) 2005-08-23 2007-02-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단말기에서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KR101112635B1 (ko) * 2006-11-23 201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914310B2 (en) * 2007-10-29 2011-03-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ntenna capabilities
JP5338411B2 (ja) * 2009-03-19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444786B2 (ja) * 2009-03-30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WO2010134538A1 (ja) * 2009-05-20 2010-11-25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600987B2 (ja) * 2010-03-26 2014-10-08 ソニー株式会社 コブラアンテナ
EP2485406B1 (en) * 2011-02-07 2017-03-15 Sony Corpor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c power socket
JP5799852B2 (ja) * 2011-03-30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
JP2012238946A (ja) 2011-05-10 2012-12-06 Kyocera Corp ケーブル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5834487B2 (ja) * 2011-05-18 2015-12-24 ソニー株式会社 Usbケーブルアンテナ
JP5861455B2 (ja) * 2011-12-28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803896B2 (ja) * 2012-02-23 2015-11-04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
EP2874232B1 (en) * 2012-07-13 2020-11-04 Sony Corporation Antenna
KR101320200B1 (ko) * 2012-08-29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케이블, 이를 갖는 입력 장치 및 컴퓨터 장치
JP5974944B2 (ja) * 2013-03-21 2016-08-2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
US9431841B2 (en) * 2014-03-24 2016-08-30 Nokia Technologies Oy Device to device charging via USB type-C interfaces
US9866270B2 (en) * 2014-05-01 2018-01-0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oaxial data communication with reduced EMI
JP2015232984A (ja) * 2014-06-10 2015-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ノイズ抑制ケーブル
JP6595487B2 (ja) * 2014-08-26 2019-10-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アンテナ
KR101684174B1 (ko) 2015-07-21 2016-1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타입 무선 헤드셋용 fm 라디오 안테나
US10387095B2 (en) * 2015-08-30 2019-08-20 EVA Automation, Inc. User interface based on system-state information
US10339089B2 (en) * 2015-10-28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mmunications over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cable
EP3404672B1 (en) * 2016-01-15 2022-11-30 Sony Group Corporation Cable
US20190110119A1 (en) * 2016-03-29 2019-04-11 Sony Corporation Receiver and rf signal supply apparatus
KR102576929B1 (ko) * 2016-07-29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375463B1 (en) * 2018-04-26 2019-08-06 Bose Corporation Wireless personal acoustic device with remote coaxial antenn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068A1 (en) * 2011-01-25 2012-07-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terminals and methods using a usb cable as a rf broadcast signal antenna
US20150230049A1 (en) * 2012-09-12 2015-08-13 Tomtom International B.V. Portable device with integrated radio receiver
JP2014183512A (ja) * 2013-03-21 2014-09-29 Ntt Docomo Inc Usbケーブル
KR20170096510A (ko) * 2016-02-1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40A1 (ko) * 2021-02-26 2022-09-0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640B1 (ko) 2023-01-16
US11217950B2 (en) 2022-01-04
US20200280152A1 (en) 2020-09-03
WO2019151604A1 (ko) 2019-08-08
EP3700027A4 (en) 2020-12-23
EP3700027B1 (en) 2022-07-20
EP3700027A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1662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88640B1 (ko)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63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with docking device by using USB interface
KR20190036165A (ko) Usb 타입 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멀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200110006A (ko) 외부 변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34058A (ko)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전압에 대한 피드백 검출 장치
US11372789B2 (en)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audio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438082B2 (en)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20210009511A (ko)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11765A (ko) 인터포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27709B2 (en) Electronic device,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signal by electronic device connected with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536143B1 (ko) 안테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799253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high-speed charging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KR10242039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KR20210012766A (ko) 선택적으로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KR20210017089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62731A (ko) 안테나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을 보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11903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004353A1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using antenna signal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20200087609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구비한 오디오 전자 장치
KR20200116250A (ko)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141299A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 톡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20200055901A (ko)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액세서리 장치
KR20210022925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1384A (ko)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는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