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250A -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250A
KR20200116250A KR1020190037781A KR20190037781A KR20200116250A KR 20200116250 A KR20200116250 A KR 20200116250A KR 1020190037781 A KR1020190037781 A KR 1020190037781A KR 20190037781 A KR20190037781 A KR 20190037781A KR 20200116250 A KR20200116250 A KR 2020011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lectronic device
signal
audio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박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6250A/ko
Priority to PCT/KR2020/002923 priority patent/WO2020204362A1/en
Priority to US16/804,227 priority patent/US11144484B2/en
Publication of KR2020011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USB 타입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데이터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간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고,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의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산업을 발달로 인해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급속히 퍼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통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개인용 디지털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MP3 플레이어,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예: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트들은 다양한 표준에 의해 규격화될 수 있다. 다양한 표준들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표준으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방식이 있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는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방식으로서, 그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USB 방식으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장치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USB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제공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USB 방식으로 수신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USB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자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USB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USB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USB 방식의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EBI 성분에 의해, 신호 간섭이 발생하여, RF 신호 송수신 시 감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USB 타입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데이터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간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고,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의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USB 타입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오디오 입출력 모듈;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오디오 입출력 모듈로부터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획득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오디오 입출력 모듈 간 송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경유하거나 또는 경유하지 않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리셉터클에 포함된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D+핀 또는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악을 감상하거나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RF 신호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USB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개선된 안테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모듈(170)의 블록도(20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연결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모듈(17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모듈(170)은, 예를 들면,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 오디오 입력 믹서(22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30),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50), 오디오 출력 믹서(260), 또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입력 장치(150)의 일부로서 또는 전자 장치(101)와 별도로 구성된 마이크(예: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또는 피에조 마이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부터 획득한 소리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가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헤드셋 또는 마이크)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102)와 연결 단자(178)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통신 모듈(192)을 통하여 무선으로(예: Bluetooth 통신)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부터 획득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어 신호(예: 입력 버튼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오디오 입력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입력 채널들 중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채널 별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믹서(220)는 입력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 믹서(220)는,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된 복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ADC(2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ADC(230)는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입력 믹서(220)를 통해 합성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는 ADC(230)를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샘플링 비율 변경, 하나 이상의 필터 적용, 보간(interpolation) 처리, 전체 또는 일부 주파수 대역의 증폭 또는 감쇄, 노이즈 처리(예: 노이즈 또는 에코 감쇄), 채널 변경(예: 모노 및 스테레오간 전환), 합성(mixing), 또는 지정된 신호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은 이퀄라이저(equaliz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AC(25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르면, DAC(250)는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260)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믹서(260)는 DAC(250)를 통해 아날로그로 전환된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DAC(250)를 통해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믹서(260)에 의해 합성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어, dynamic driver 또는 balanced armature driver 같은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55)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 스피커들을 통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채널들(예: 스테레오, 또는 5.1채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외부 스피커 또는 헤드셋)와 연결 단자(178)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통신 모듈(192)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오디오 입력 믹서(220) 또는 오디오 출력 믹서(26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합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오디오 증폭기(미도시)(예: 스피커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증폭기는 오디오 모듈(170)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리셉터클(315)(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315)은, 전자 장치(310)의 하우징(housing)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 및 개구와 이어진 홀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315)은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는 연결 단자(예: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310)의 아래쪽 일면에 리셉터클(315)을 포함할 수 있으나, 리셉터클(315)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310)의 다른 면에 리셉터클(315)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315)은 제1USB 타입의 규격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315)에는 제1USB 타입의 규격 조건을 만족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USB 타입은 USB type 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315)을 통해 전자 장치(31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예: 도 4b의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예: 헤드셋, 이어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는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USB 타입의 플러그가 상기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입출력 장치는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직접 포함하는 대신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입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예: 3.5파이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고, 어댑터 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는 어댑터 장치의 오디오 잭에 연결되고, 어댑터 장치의 제1USB 타입의 플러그는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연결됨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3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310)는 어댑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에 포함된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리셉터클(315)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3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리셉터클(315)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고속 충전 또는 일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장치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플러그(3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플러그(325)가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플러그(325)는 각각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규격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USB 타입의 플러그(325)를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함에 따라 전자 장치(31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310)와 제1USB 타입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플러그(325)의 삽입 해제에 따라 전자 장치(310)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예를 들면, 플러그(325)에 포함된 연결 단자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제2오디오 처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오디오 처리부(323)는 도 2의 오디오 모듈(17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오디오 처리부(323)는, USB 컨트롤러(예: USB2.0 컨트롤러), USB audio function topology, DAC, ADC, AMP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오디오 처리부(323)는 전자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오디오 처리부(323)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외부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예: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별개 구성으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플러그(325)는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는, 플러그(325)의 GND핀들(예: 도 5의 플러그(325)의 A1핀, A12핀, B1핀, 및 B1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플러그(325)의 적어도 하나의 핀은, 리셉터클(315)(예: 도 5의 리셉터클(315)의 GND핀들(A1핀, A12핀, B1핀, 및 B12핀) 중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전자 장치(310)로 RF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 및 플러그(325)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RF신호를 수신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 회로 구성(예: matching component, RF tunner)(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플러그(325)의 핀은,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310)의 매칭 회로 구성(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연결되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제1모드 또는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오디오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디지털 신호(예: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복수의 핀들 중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디지털 신호(예: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리셉터클(315)의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예: VBUS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전자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제2오디오 처리부(323) 또는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디지털 신호(예: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에 대한 신호 간섭을 유발하여 안테나 성능을 일부 저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아날로그 신호(예: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의 소모 전력을 줄이고 최소한의 전력으로 전자 장치(310)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RF 신호 수신 시 신호 간섭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제2모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오디오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AP(311), CC IC(316)), 제1오디오 처리부(313)(예: 도 2의 오디오 모듈(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스위치(312) 및 트랜지스터(314)를 통해 제1모드와 제2모드에서의 오디오 신호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을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와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지원하고 전자 장치(320)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2모드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전자 장치(310)는 제1모드로 동작할 경우, ①의 경로를 통해 리셉터클(315)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①의 경로로 리셉터클(315)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제1모드로 동작할 경우, ①의 경로를 통해 제2오디오 처리부(323)를 거쳐 플러그(325)와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 ②의 경로로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 내에서 ②의 경로로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2오디오 처리부(323)을 경유하지 않고 플러그(325)와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 ②의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스위치(312)를 통해 전자 장치(310)에서 오디오 신호가 ①의 경로로 이동하거나 또는 ②의 경로로 이동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10)는, AP(311)와 연결된 트랜지스터(314)의 신호 레벨 변경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 신호 경로 스위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상기 트랜지스터(314)의 신호 레벨을 변경함에 따라, 트랜지스터(314), 리셉터클(315), 및 플러그(32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소모 전력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도 4a 및 도 4b의 ①의 경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310)에서의 소모 전류는 126.5 mA로 측정된 데 반해, 제2모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도 4a 및 도 4b의 ②의 경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310)에서의 소모 전류는 41.3 mA로 측정되어, 약 83. 2 mA의 소모 전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RF 신호의 송수신 기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 모드 제2 모드 비교
검색 채널 수 49 51 +2
유효 채널 수 15 23 +8
표 1은, 제1모드 및 제2모드에서, 전자 장치(310)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 경우의 RF 신호 송수신 성능(예: FM 안테나의 수신 감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310)에서 검색된 라디오 신호의 검색 채널 수와 유효 채널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10)에서 검색된 검색 채널 수와 유효 채널 수는, 제1모드에 비해 제2모드에서 각각 2개, 8개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연결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 및 상기 리셉터클(315)에 연결될 수 있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플러그(325)는 각각 제1USB 타입의 규격 조건을 만족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USB 타입은 USB type 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315) 및 플러그(325)는, 각각 복수의 핀들(A1 내지 A12, B1 내지 B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315) 및 플러그(325)에 포함된 각 핀들은 지정된 규격 조건에 기반하여, 플러그(325)가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각각의 대응하는 핀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325)가 리셉터클(315)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325)의 A1핀(GND핀)은, 플러그(325)의 삽입 방향에 따라, 리셉터클(315)의 A1핀(GND핀) 또는 B1핀(GND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325)의 A3핀(Tx1-핀)은 리셉터클(370)의 A3핀(Tx1-핀) 또는 B3핀(Tx2-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에 포함된 D+핀(A6, B6) 또는 D-핀(A7, B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단자(320)와 오디오 신호(예: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에 포함된 CC1핀(A5) 또는 CC2핀(B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연결 여부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CC IC(316))를 통해, 리셉터클(315)의 CC1핀(A5) 또는 CC2핀(B5)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종류(예: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장치인지 여부, 오디오 입출력 장치인지 여부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에 포함된 VBUS핀들(A4, A9, B4, B9)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연결 단자에 포함된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모드를 지원하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제1모드의 신호 경로) 이외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제2모드의 신호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신호(예: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로 신호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의 CC IC(316)은 상기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모드의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되는 전압 값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모드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한 전압 값이 제1임계 전압(예: 1.8 V) 이상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모드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리셉터클(315)의 수분 유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한 전압 값이, 제1임계 전압보다 낮은 크기의 제2임계 전압(예: 0.8 V)과 비교하여, 상기 제2임계 전압 이하인 경우 리셉터클(315)에 수분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상기 획득한 전압 값이 제2임계 전압보다 클 경우 리셉터클(315)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한 전압 값이, 제2임계 전압(예: 0.8 V)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리셉터클(315)에 수분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획득한 전압 값이, 제2임계 전압(예: 0.8 V)보다 크고 제3임계 전압(예: 1.0 V)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리셉터클(315)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았으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상기 획득한 전압 값이, 제1임계 전압(예: 1.8 V)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리셉터클(315)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았으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D+핀(A6, B6) 또는 D-핀(A7, B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한 디지털 신호 정보(예: PID, VID)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저전력 모드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입출력 신호 경로를 제1모드의 신호 경로에서 제2모드의 신호 경로로 전환하거나, 제2모드의 신호 경로에서 제1모드의 신호 경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신호 경로를 제1모드의 신호 경로에서 제2모드의 신호 경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310)의 트랜지스터(314)의 신호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지스터(314)의 신호 레벨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가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314)는 리셉터클(315)의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셉터클(315)의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는 플러그(325)에 포함된 연결 단자의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325)의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는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핀 번호 신호
이름
USB 통신
플러그 핀 용도
제2모드 지원
플러그 핀 용도
스위칭 제어
신호 핀 후보
A1, B1 GND 그라운드 (또는안테나) 그라운드 (또는
안테나)
-
A2, B2 Tx+ 고속 데이터 신호 경로 (positive) - O
A3, B3 Tx- 고속 데이터 신호 경로
(negative)
- O
A4, B4 VBUS 케이블 전원 버스
(전원 공급)
케이블 전원 버스
(전원 공급)
-
A5, B5 CC configuration channel configuration channel -
A6, B6 D+ 데이터 신호 경로 (positive)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경로 (right)
-
A7, B7 D- 데이터 신호 경로 (negative)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경로 (left)
-
A8, B8 SBUS 보조 버스
(secondary bus)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 경로
-
A9, B9 VBUS 케이블 전원 버스
(전원 공급)
케이블 전원 버스
(전원 공급)
-
A10, B10 RX- 고속 데이터 신호 경로
(negative)
- O
A11, B11 RX+ 고속 데이터 신호 경로
(positive)
- O
A12, B12 GND 그라운드 (또는
안테나)
그라운드 (또는
안테나)
-
표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서,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 대신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핀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핀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모드에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데이터 신호(예: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에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 대신, USB 통신 시 고속 데이터 신호 경로로 이용되는 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 대신, Rx1+핀(B11), Rx1-핀(B10), Rx2+핀(A11), Rx2-핀(A10), Tx1+핀(A2), Tx1-핀(A3), Tx2+핀(B2), 또는 Tx2-(B3)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모드 지원 여부를 판단하거나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Rx1+핀(B11), Rx1-핀(B10), Rx2+핀(A11), Rx2-핀(A10), Tx1+핀(A2), Tx1-핀(A3), Tx2+핀(B2), 또는 Tx2-(B3)핀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동작 610에서 외부 장치(예: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전자 장치(310)에 연결되는지 여부 및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예: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1, 316)는,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상기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종류(예: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등) 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다른 핀들(예: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 Rx2-핀 또는 Rx1-핀 중 적어도 하나, Rx2+핀 또는 Rx1+핀 중 적어도 하나, Tx1-핀 또는 Tx2-핀 중 적어도 하나, Tx1+핀 또는 Tx2+핀 중 적어도 하나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종류(예: 외부 장치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310)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모드 및 전자 장치(310)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지원할 경우,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310)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예: 도 4b의 ①의 경로) 및 전자 장치(310)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예: 도 4b의 ②의 경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VBUS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전력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의 특정 모듈(예: 제1모드와 관련된 모듈(예: 도 4b의 제2오디오 처리부(323)))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동작 63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30은 동작 620 이후에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동작 620이 수행되기 이전에 동작 61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예를 들면 RF 신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의 충전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임계 전압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기준 조건(예: 24 bit 또는 96 kHz) 미만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송신 또는 수신 요청될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가 제1모드(예: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드) 및 제2모드(예: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드)를 모두 지원하고, 전자 장치(310)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2모드로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 및 외부 장치의 신호 경로를 제1모드의 신호 경로(예: 도 4a 및 도 4b의 ①의 경로)에서 제2모드의 신호 경로(예: 도 4a 및 도 4b의 ②의 경로)로 변경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2모드로서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이거나 RF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예: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동작 601에서, 외부 장치(예: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전자 장치(310)에 연결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연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602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는, 전자 장치(310)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모드에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전자 장치(310)의 제1오디오 처리부(313)의 출력 단자로부터 수신되어,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 전달되고,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오디오 처리부(323)을 경유하지 않고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예: 스피커, 마이크 등)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모듈(330)로부터 획득되어, 제2오디오 처리부(323)를 거치지 않고,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자 장치(310)의 제1오디오 처리부(313)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의 SBU1핀(A8) 또는 SBU2핀(B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한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 장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 PID(product ID) 또는 VID(vender ID)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동작 603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동작 605에서 제1모드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드는 전자 장치(310)와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①의 경로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동작 603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가 제2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동작 604에서 전자 장치(310)에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604에서,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은, 예를 들어, 입력 장치(예: 도 1의 입력 장치(1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제2모드 실행 요청 입력에 기반하여,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RF 신호를 이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604에서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FM 라디오를 청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상기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의 충전된 정도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전압 미만일 경우, 동작 604에서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출력 요청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2모드의 실행 요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기준 조건(예: 24 bit 또는 96 kHz) 미만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 요청될 경우, 동작 604에서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동작 604에서 상기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동작 605에서 제1모드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상기 동작 604에서 제2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동작 606에서, 전자 장치(310)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1모드와 관련된 모듈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오디오 처리부(예: 도 4b의 제2오디오 처리부(32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 상기 제2오디오 처리부(323)(예: 제2오디오 처리부(323)의 USB Controller, USB Audio Function Topology, DAC, AMP)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제2오디오 처리부(323)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 후, 전자 장치(310)에서 제1모드와 관련된 모듈(예: 도 4a의 AP(311)의 USB HW(hardware))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전자 장치(310)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의 오디오 신호의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트랜지스터(예: 도 4a의 트랜지스터(314))의 신호 레벨을 변경하여, 리셉터클(315)의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의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324) 및 제3스위치(326)이 제어됨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에서 오디오 신호 경로는 제2모드의 신호 경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전자 장치(310)의 제1오디오 처리부(313)으로 전달되거나 제1오디오 처리부(313)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D+핀 또는 D-핀을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스위치(312)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8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②의 경로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제2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②의 경로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송수신하는 도중, 제1모드로의 전환 요청 신호(예: 제1모드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RF 신호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배터리가 임계 전압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 또는 기준 조건 이상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요청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제1모드로의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다시 오디오 신호가 ①의 경로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와 송수신되도록 전자 장치(310)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USB 타입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데이터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간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고,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의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서의 신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USB 타입은 USB type 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CC1핀, CC2핀,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SBU1핀 또는 상기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는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한 전압 값이 임계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Rx1+핀, Rx1-핀, Rx2+핀, Rx2-핀, Tx1+핀, Tx1-핀, Tx2+핀, 또는 Tx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의 신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 배터리의 전압이 임계 전압 미만인 경우, 또는 기준 조건 미만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 요청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기 신호의 경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연결 단자의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 단자의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에 포함된 제2오디오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도록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USB 타입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오디오 입출력 모듈;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오디오 입출력 모듈로부터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획득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오디오 입출력 모듈 간 송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경유하거나 또는 경유하지 않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USB 타입은 USB type 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포함된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 경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에 포함된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에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리셉터클에 포함된 CC1핀 또는 CC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D+핀 또는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오디오 입출력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D+핀 또는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D+핀 또는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에 포함된 제2오디오 처리부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USB 하드웨어 블록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SBU1핀 또는 SBU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에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1오디오 처리부의 출력 단자와 상기 D+핀 또는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도록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Rx1+핀, Rx1-핀, Rx2+핀, Rx2-핀, Tx1+핀, Tx1-핀, Tx2+핀, 또는 Tx2-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장치에 회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 배터리의 전압이 임계 전압 미만인 경우, 또는 기준 조건 미만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 요청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0190037781A 2019-04-01 2019-04-01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6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1A KR20200116250A (ko) 2019-04-01 2019-04-01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2923 WO2020204362A1 (en) 2019-04-01 2020-02-28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ceiving audio signal
US16/804,227 US11144484B2 (en) 2019-04-01 2020-02-28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ceiving audi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1A KR20200116250A (ko) 2019-04-01 2019-04-01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50A true KR20200116250A (ko) 2020-10-12

Family

ID=7260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781A KR20200116250A (ko) 2019-04-01 2019-04-01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44484B2 (ko)
KR (1) KR20200116250A (ko)
WO (1) WO20202043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630A (ko)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WO2014148711A1 (ko) * 2013-03-19 2014-09-25 (주) 비에스티 식물성 소재 추출물 및 그 발효 물질에 의한 화장품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5229947A (zh) 2013-05-17 2016-01-06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音频混合器系统
US9658818B2 (en) * 2014-08-11 2017-05-23 Princeton Audio, LLC Adaptable audio systems
GB2561772B (en) * 2015-02-25 2019-06-05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Connectors for audio data transfer
KR102393364B1 (ko) 2015-10-29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70098100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0339093B2 (en) 2016-03-29 2019-07-02 Intel Corporation USB interface using repeaters with guest protocol support
KR102575430B1 (ko) 2016-10-25 2023-09-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GB2558009A (en) * 2016-12-20 2018-07-04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Audio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10999A1 (en) 2020-10-01
WO2020204362A1 (en) 2020-10-08
US11144484B2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2553B1 (ko)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574467B1 (ko)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12048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conversion device
KR20200085546A (ko)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41764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20210053094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527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of audio jack
US11217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function by using USB connector
US11372789B2 (en)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audio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438082B2 (en)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20210083059A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43985A (ko) 이어 잭 내 삽입된 객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27709B2 (en) Electronic device,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signal by electronic device connected with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200116250A (ko)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396558B1 (ko) 이어폰 안테나를 위한 이어잭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99253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high-speed charging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TWI394045B (zh) 攜帶型電子裝置及其附件鑒別方法
US20220004353A1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using antenna signal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20200087609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구비한 오디오 전자 장치
KR20200055901A (ko)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액세서리 장치
KR20200141299A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 톡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20210126981A (ko) 스위치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