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888B1 -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888B1
KR101874888B1 KR1020110121995A KR20110121995A KR101874888B1 KR 101874888 B1 KR101874888 B1 KR 101874888B1 KR 1020110121995 A KR1020110121995 A KR 1020110121995A KR 20110121995 A KR20110121995 A KR 20110121995A KR 101874888 B1 KR101874888 B1 KR 10187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onnection state
interrupt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404A (ko
Inventor
정라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88B1/ko
Priority to US13/668,652 priority patent/US9282391B2/en
Publication of KR2013005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7Protection circuits fo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의 분리 및 장착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은 이어폰과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ARPHONE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된 이어폰이 3극인지 4극인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동영상 재생 기능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3.5파이 규격의 이어잭을 제공하고 있다. 이어잭에는 3극 이어폰과 4극 이어폰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어잭에 장착된 이어폰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어폰의 종류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이 이어잭에 장착되면, 이에 따른 인터럽트(interrupt)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고,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의 전압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이어잭에 장착된 이어폰의 종류를 인식하며, 인식 결과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감지된 인터럽트 신호의 전압값을 기반으로 이어폰에 설치된 키(예, 통화키, 불륨 조절 키 등)의 동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잭은 이어폰의 종류 및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인터럽트 단자는 이어잭 홀로 삽입되는 이어 플러그의 끝부분과 서로 접촉이 되도록 이어잭 홀의 말단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어폰의 사용 중에 이어잭 홀로 이물질이 삽입되고, 이러한 이물로 인해 이어 플러그와 인터럽트 단자 간의 접속이 불안정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 종류의 인식이 불가능한 이슈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어잭 홀의 측면에 인터럽트 단자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럽트 단자가 이어잭 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어 플러그가 인위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여러 번 발생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4극 이어폰의 이어 플러그를 이어잭 홀에 삽입하게 되면, 인터럽트 단자가 먼저 이어폰의 우음향 단자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며 휴대 단말기는 3극 이어폰의 장착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이어 플러그가 이어잭 홀에 조금 더 삽입되면 이어폰의 우음향 단자(R)와 인터럽트 단자 간에 접촉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며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의 분리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이어 플러그가 이어잭 홀에 완전히 삽입되면 인터럽트 단자가 이어폰의 마이크 단자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며 휴대 단말기는 4극 이어폰의 장착으로 인식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최종적으로 4극 이어폰 장착임을 정확히 인식하긴 하나, 중간에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분리'로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재생 중에 '분리'로 인식됨에 따라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pause)하는 오작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이어 플러그를 이어 잭에서 분리할 때도 인터럽트 신호가 여러 번 발생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어 플러그가 이어잭에서 분리되는 중에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에 노이즈가 혼입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잭 키(예컨대, 통화키)가 눌린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이슈가 있다.
또한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실제로 이어 플러그가 이어잭에서 분리된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접촉 상태의 일시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이어폰의 연결 상태가 분리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는 오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이러한 잘못된 인식에 따라 오디오 출력 경로를 이어폰에서 스피커로 변경하는 오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어폰의 분리 및 장착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은 이어폰과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는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어폰과 상기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관된 동작(즉, 이어잭에서 이어폰을 빼내는 동작 또는 이어폰을 이어잭에 삽입하는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어폰의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어폰의 분리 및 장착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이이폰 인식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및 핸드헬드(hand-held)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스마트 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의 장착 여부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어폰의 장착된 경우, 오디오가 이어잭을 통해 이어폰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어폰이 분리된 경우 오디오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오디오 재생 중에 이어폰이 분리된 것으로 인식될 경우, 오디오 재생을 일시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장착된 이어폰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이어폰 키의 인식 상태를 '인식 불가능' 또는 '인식 가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착된 이어폰이 4극 이어폰으로 인식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어폰 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동작이 감지되면 관련 기능(예, 통화, 재생 시작, 재생 일지 정지, 볼륨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인터럽트 신호의 전압값을 확인하여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장착된 이어폰이 3극 이어폰으로 인식되거나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어폰 키의 인식 상태를 '인식 불가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이 감지되더라도 관련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3.5 파이 규격의 4극 이어잭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의 종류 및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 단자가 구비된 4극 이어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 단자는 이어 플러그의 단자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4극 이어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물로 인한 이어 플러그와 인터럽트 단자 간의 접속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어잭 홀의 측면에 인터럽트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터럽트 단자는, 이어 플러그가 4극 이어잭의 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이어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이 감지되면, 이어폰의 연결 상태(즉, 4극 이어폰 장착, 3극 이어폰 장착 및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 플러그의 분리 또는 장착되는 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의 일시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후,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 전의 이어폰 연결 상태와 현재의 이어폰 연결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비교 결과 이어폰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연결 상태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안정화 시간 동안에 발생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안정화 시간 동안에도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안정화 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인터페이스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은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7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인터넷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좌/우안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D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3D 구현 방식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은 색 필터 방식, 편광 필터 방식 및 셔터 글라스 방식 등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및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등이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본 발명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로 출력되는 상기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이어폰 키의 인식 가능 여부와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이어폰 연결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정화 시간과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거나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상술한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결과에 따라 이어폰 키의 인식 가능 여부를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값을 데이터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의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이어폰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인식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어폰 인식 어플리케이션은 이어폰의 장착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루틴과, 이어폰 키의 인식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루틴과,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후,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 전의 이어폰 연결 상태와 현재의 이어폰 연결 상태를 비교하는 루틴과, 비교 결과 이어폰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상기 변경된 상태로 결정하는 루틴과, 안정화 시간 동안에 상태가 변경될 경우 상기 안정화 시간을 초기화하는 루틴과, 오디오 재생 중에 이어폰이 분리될 경우 오디오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여 인코딩(Encoding) 및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는 음향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60)는 코덱(Codec) 및 오디오 앰프(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와 연결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60)는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예컨대, MP3 파일, 동영상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 등)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60)는 이어폰 연결 시 이어잭의 좌음향 단자 및 우음향 단자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에 전송하거나, 이어잭의 마이크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70)는 이어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잭은 3.4 파이 규격을 가지는 4극 표준 이어잭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어잭에는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이 장착될 수 있고 이어폰의 종류 및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 단자는 이어잭 홀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단자는 4극 이어폰이 이어잭의 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이어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럽트 단자는 3극 이어폰이 이어잭의 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이어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잭은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잭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상술한 이어폰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의 기능 특히, 이어폰 인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한 실시 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70)는 이어잭(171), 인터럽트 발생부(172) 및 AD 변환부(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 발생부(172) 및 AD 변환부(173)는 이어잭(171)과 제어부(18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감지부(172) 및 AD 변환부(173)는 제어부(18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어잭(171)과 제어부(18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어잭(171)은 이어폰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접지 단자(G), 마이크 단자(M), 우음향 단자(R), 좌음향 단자(L) 및 인터럽트 단자(INT)를 포함할 수 있다. 4극 이어폰(210)이 이어잭(171)에 완전히 삽입되면, 이어잭(171)의 그라운드 단자(G)는 4극 이어폰(21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되고, 이어잭(171)의 마이크 단자(M)는 4극 이어폰(210)의 마이크 단자(M)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우음향 단자(R)는 4극 이어폰(21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좌음향 단자(L)는 4극 이어폰(21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는 4극 이어폰(210)의 마이크 단자(M)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3극 이어폰(220)이 이어잭(171)에 완전히 삽입되면, 이어잭(171)의 그라운드 단자(G)는 3극 이어폰(22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되고, 이어잭(171)의 마이크 단자(M)는 3극 이어폰(21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우음향 단자(R)는 3극 이어폰(22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좌음향 단자(L)는 3극 이어폰(2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며,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는 3극 이어폰(22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어잭(171)의 그라운드 단자(G)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이어잭(171)의 마이크 단자(M)는 풀업 저항(R1)을 통해 마이크 바이어스 전원(Mic_Bias)과 연결되고 또한 마이크 단자(M)는 오디오 처리부(160)의 마이크 입력 단자(M)와 연결되며, 이어잭(171)의 우음향 단자(R)는 오디오 처리부(160)의 우음향 출력 단자(R)와 연결되며, 이어잭(171)의 좌음향 단자(L)는 오디오 처리부(160)의 좌음향 출력 단자(L)과 연결되며,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는 인터럽트 발생부(172) 및 AD 변환부(173)와 연결되고 또한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는 풀업 저항(R1)을 통해 마이크 바이어스 전원(Mic_Bias)과 연결된다.
인터럽트 발생부(172)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인터럽트 발생부(17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트 발생부(172)는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V_ref)을 비교하여 로우 레벨 신호 또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 발생부(172)는 이어폰의 단자(즉, G, M, R 또는 L)와 미 연결시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이어폰의 단자와 연결되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인터럽트 발생부(172)는 이어폰의 단자와 미 연결시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이어폰의 단자와 연결되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럽트 발생부(172)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인터럽트 발생부(1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로우에서 하이 또는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면, 인터럽트(즉, 이어폰의 연결 상태의 변화 또는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AD 변환부(173)는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AD 변환부(173)의 입력 단자는 이어잭(171)의 인터럽트 단자(INT) 및 마이크 바이어스 전원(Mic_Bias)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AD 변환부(173)의 출력 단자는 제어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AD 변환부(173)는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를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AD 변환부(17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을 기 저장된 인식 테이블과 비교하여 이어폰의 연결 상태 및 이어폰 키의 동작 상태 등을 인식한다. 저장부(140)는 상기 인식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 테이블은 다음 표 1과 같을 수 있다. 표 1의 인식 테이블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전압이 3.3V(마이크 바이어스 전원)이면 "이어폰 분리"로 인식하고, 입력전압이 3.0V이면 4극 이어폰(210)이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며, 입력전압이 0.6V이면 통화키(211)가 눌린 것으로 인식하며, 입력전압이 0.0V이면 3극 이어폰(220)이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표 1은 일 예 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인터페이스부(170) 및 인식 테이블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입력전압(V) 구분
3.30 이어폰 분리
3.00 4극 이어폰 장착
2.80 Reserved
2.58 Reserved
2.41 Reserved
2.20 Reserved
1.98 Reserved
1.80 볼륨 업 키 눌림
1.57 볼륨 다운 키 눌림
1.38 Reserved
1.18 Reserved
1.00 Reserved
0.78 Reserved
0.60 통화키 눌림
0.38 Reserved
0.18 Reserved
0.00 3극 이어폰 장착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터럽트 발생부(172)로부터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301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의 레벨이 로우에서 하이 또는 하이에서 로우로 변경되면,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02에서 제어부(180)는 AD 변환부(17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303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가 바로 '이전의 상태'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303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단계 304로 진행하여, 안정화 시간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 305에서 제어부(180)는 일정 시간을 지연한 후 단계 302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303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하면 제어부(180)는 단계 306으로 진행하여 안정화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306에서의 판단 결과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단계 305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을 지연한 후 단계 302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306에서의 판단 결과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80)는 단계 307로 진행한다. 이상으로 제어부(180)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상기 단계 302 즉,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이전의 상태'는 현재 이어폰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바로 전의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의미한다. 다만 인터럽트가 발생된 후 상기 단계 302가 최초로 수행된 것이면, 상기 '이전의 상태'는 현재 확인된 이어폰의 연결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 시간은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그 때부터 카운트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 시간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어잭에 천천히 삽입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제어부(180)는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후 최종적으로 확인된 이어폰의 연결 상태와 상기 단계 301에서 인터럽트가 발생되기 전의 이어폰의 연결 상태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307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하면 제어부(180)는 상태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인터럽트가 발생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상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안정화 시간의 경과 전후의 상태가 동일하면, 상기 상태 변화는 사용자가 의도한 상태 변화가 아닌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어잭에 끼우는 과정에서 인식된 '분리'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 변화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어잭에서 빼내는 과정에서 인식된 '분리'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 변화일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단자와 이어 플러그 간의 접촉 상태가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발생한 '분리'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 변화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 예컨대, 재생 중인 음악의 일시 정지, 오디오 경로의 변경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07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이어폰과 이어잭 간의 연결 상태를 변경된 연결 상태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308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화가 3극에서 4극으로 변화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308에서의 판단 결과 장착된 이어폰이 3극에서 4극으로 변화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09로 진행하여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가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어폰 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한다. 이어폰 키의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키와 관련된 기능(예, 통화, 볼륨 업 등)을 수행한다. 또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제어부(180)는 3극에서 4극으로의 상태 변화와 상관없이 상기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제어부(180)는 상태 변화가 4극에서 3극으로 변화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310에서의 판단 결과 장착된 이어폰이 4극에서 3극으로 변화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11로 진행하여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불가능'으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어폰 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어폰 키의 동작이 감지되더라도 관련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제어부(180)는 4극에서 3극으로의 상태 변화와 상관없이 상기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312에서 제어부(180)는 4극 이어폰이 분리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312에서의 판단 결과 4극 이어폰이 이어잭에서 분리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13으로 진행하여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불가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오디오 경로를 이어폰에서 스피커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변경된 오디오 경로에 맞게 코덱(Codec)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제어부(180)는 재생을 일시 중지시킬 수 있다.
단계 314에서 제어부(180)는 3극 이어폰이 분리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314에서의 판단 결과 3극 이어폰이 분리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15로 진행하여 오디오 경로를 이어폰에서 스피커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변경된 오디오 경로에 맞게 코덱(Codec)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제어부(180)는 재생을 일시 중지시킬 수 있다.
단계 316에서 제어부(180)는 4극 이어폰이 장착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316에서의 판단 결과 4극 이어폰이 장착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17로 진행하여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가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오디오 경로를 스피커에서 이어폰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변경된 오디오 경로에 맞게 코덱(Codec)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단계 316에서의 판단 결과 3극 이어폰이 장착된 것이면 제어부(180)는 단계 318로 진행하여 오디오 경로를 스피커에서 이어폰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변경된 오디오 경로에 맞게 코덱(Codec)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10: 터치스크린 120: 키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처리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71: 이어잭 172: 인터럽트 발생부
173: AD 변환부
210: 4극 이어폰 211: 통화키
220: 3극 이어폰

Claims (18)

  1. 이어폰과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안정화 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이어폰과 상기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를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이어폰이 3극 이어폰에서 4극 이어폰으로 변경된 것이면,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가능'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이어폰이 상기 4극 이어폰에서 3극 이어폰으로 변경된 것이면, 상기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불가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이 '인식 가능'으로 설정되면 상기 이어폰 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상기 3극 이어폰에서 상기 4극 이어폰 또는 상기 4극 이어폰에서 상기 3극 이어폰으로의 상태 변화와 상관없이 상기 재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가 이어폰 분리이면 재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8.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어폰과 상기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안정화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인터럽트 발생 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안정화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이어폰과 상기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를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이어폰이 3극 이어폰에서 4극 이어폰으로 변경된 것이면,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가능'으로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이어폰이 상기 4극 이어폰에서 3극 이어폰으로 변경된 것이면, 상기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을 '인식 불가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키와 관련된 설정값이 '인식 가능'으로 설정되면 상기 이어폰 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재생 중이면 상기 3극 이어폰에서 상기 4극 이어폰 또는 상기 4극 이어폰에서 상기 3극 이어폰으로의 상태 변화와 상관없이 상기 재생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연결 상태가 이어폰 분리이면 재생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과 연결 가능한 이어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은 접지 단자, 마이크 단자, 우음향 단자, 좌음향 단자 및 상기 이어폰과 상기 인터페이스부 간의 연결 상태를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럽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단자는, 상기 4극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장착될 때, 상기 4극 이어폰의 마이크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이어잭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럽트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럽트 단자의 출력 전압값의 변화에 의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인터럽트 발생부와,
    상기 인터럽트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럽트 단자의 출력 전압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AD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의 레벨이 로우에서 하이 또는 하이에서 로우로 변경되면, 상기 연결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값을 기반으로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장치.
KR1020110121995A 2011-11-22 2011-11-2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87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995A KR101874888B1 (ko) 2011-11-22 2011-11-2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US13/668,652 US9282391B2 (en) 2011-11-22 2012-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arphone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995A KR101874888B1 (ko) 2011-11-22 2011-11-2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04A KR20130056404A (ko) 2013-05-30
KR101874888B1 true KR101874888B1 (ko) 2018-07-06

Family

ID=4842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995A KR101874888B1 (ko) 2011-11-22 2011-11-2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2391B2 (ko)
KR (1) KR101874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8656B2 (en) 2020-02-10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9420B (zh) * 2012-04-18 2016-10-0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确定耳机线序的方法及电子设备
TWI533716B (zh) * 2013-06-25 2016-05-1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手持式電子裝置與對應之抗噪耳機
US9525928B2 (en) * 2014-10-01 2016-12-20 Michael G. Lannon Exercise system with headphone detection circuitry
KR102340230B1 (ko) 2015-01-16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2218B1 (ko) * 2015-01-2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1940B1 (ko) * 2015-06-24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어폰 삽입 오인식 방지 방법
KR102410668B1 (ko) * 2017-09-27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44997B1 (ko) 2019-07-17 2024-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포트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GB2589387B (en) * 2019-11-30 2023-09-06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Circuitry for detecting jack plug removal
US11733962B2 (en) 2020-02-10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udio outpu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5723A1 (en) * 2008-09-23 2010-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table device including earphon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20019306A1 (en) * 2010-07-23 2012-01-26 Turner John R Audio jack reset
US20130142350A1 (en) * 2011-12-06 2013-06-06 Christian Larsen Multi-standard headset support with integrated ground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004B2 (en) * 2009-10-29 2013-12-31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n audio accessory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5723A1 (en) * 2008-09-23 2010-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table device including earphon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34229A (ko) * 2008-09-2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20019306A1 (en) * 2010-07-23 2012-01-26 Turner John R Audio jack reset
US20130142350A1 (en) * 2011-12-06 2013-06-06 Christian Larsen Multi-standard headset support with integrated ground swi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8656B2 (en) 2020-02-10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04A (ko) 2013-05-30
US20130129109A1 (en) 2013-05-23
US9282391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888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JP6184684B2 (ja) イヤホン接続検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支援する端末機
KR101937839B1 (ko)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운용 방법
KR101640465B1 (ko)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0702322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udio data
CN108024128B (zh) 蓝牙音乐播放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4169609A1 (zh)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KR20110054609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4424B1 (ko)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314683B1 (ko) 광 커넥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9525941B2 (en) Ear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036906A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JP656313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13001475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0698A (ko) 전자 기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EP2894878B1 (en) Automatically controllable sound accessory
KR1018590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의 제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789943B (zh) 蓝牙设备的播放方法及装置
EP3729236A1 (fr) Assistant vocal
CN110708627B (zh) 一种耳机及其控制方法
KR20130071730A (ko) 휴대단말기의 음악재생 종료장치 및 방법
CN109218914B (zh) 音频播放装置及音频传输电路
CN112449235A (zh) 配对方法、配对装置及电视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