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398A -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 Google Patents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9398A KR20230089398A KR1020210177997A KR20210177997A KR20230089398A KR 20230089398 A KR20230089398 A KR 20230089398A KR 1020210177997 A KR1020210177997 A KR 1020210177997A KR 20210177997 A KR20210177997 A KR 20210177997A KR 20230089398 A KR20230089398 A KR 20230089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ction
- module
- vacuum cleaner
- purifi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7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가 거치되는 거치 스테이션과는 별도로 청정기모듈이 제공되고, 상기 청정기모듈은 상기 거치 스테이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과 거치 스테이션은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의 결합에 의해 서로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정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선택적으로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거치 스테이션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집하고 공기만 배출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전원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면서 모터를 구동하는 유선 청소기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무선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청소기의 경우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기능과 해당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충전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의 기술과 같이 충전 거치 스테이션(도킹 스테이션) 내에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무선 청소기가 먼지통에 집진한 이물질을 충전 거치대 내의 수거 공간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충전 거치대 내에 흡입장치가 포함되는 기술의 경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에 결합될 때 동작되면서 먼지통 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먼지통 내의 이물질을 수거하지 않는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흡입장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비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먼지통 내의 이물질 수거시에만 일시적으로 흡입장치가 동작될 뿐 그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흡입장치는 대기 상태로만 유지된다. 이로써, 해당 충전 거치대의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많지 않아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되었던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사용 목적이나 처리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단독의 제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구입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팬모터의 크기가 클 수록 더욱 넓은 실내 공간에 대한 공기 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소형의 팬모터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는 낮은 출력으로 인해 국소적인 부위(예컨대, 책상 등)의 정화를 위한 작용만을 수행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를 이용하는 소형의 공기 청정기는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대한 배터리의 충전은 전원 코드를 연결하는 유선 충전기를 이용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청소기의 거치를 위한 거치 스테이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면서 해당 거치 스테이션이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청정기모듈과 거치 스테이션이 각자 사용되거나 혹은,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 스테이션 내에 구비되는 흡입부가 청소기 먼지통의 이물질 수거를 위한 동작 외에도 주변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정기모듈이 거치 스테이션에 설치될 경우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과는 별도로 청정기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은 거치 스테이션과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거치 스테이션에 장착될 경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을 거치 스테이션에 결합함으로써 거치 스테이션은 공기 청정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거치 스테이션 중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부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 내로 거치 스테이션 내의 공기 흡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1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 스테이션은 청소기의 먼지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 수거장치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2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만 별도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는 서로 다른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각 흡입부의 선택적인 동작으로 사용 용도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 내에는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제1흡입부에 이르기까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1공기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에는 메인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흡입개구로부터 제1흡입부에 이르기까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2공기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제2흡입부의 동작에 의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별도의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만 휴대용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거치 스테이션의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모듈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의 모듈본체는 전후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의 모듈본체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모듈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본체의 전면에는 흡입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모듈본체 내로 먼지 외의 물체가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본체의 개방된 후면에는 배출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 스테이션 내의 공기 흡입력이 모듈본체 내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본체와 배출그릴의 구속 구조는 청소기의 먼지통과 먼지통덮개의 구속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 스테이션의 조작동작부를 이용하여 모듈덮개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에 제공되는 필터모듈은 제2흡입부의 공기 흡입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흡입부가 공기 중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청소기의 배터리와 동일한 접점의 배터리 충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 스테이션에 청정기모듈을 장착할 경우 청정기모듈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정기모듈은 지면에 얹은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에는 제1공기유로와는 별개의 제2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공기유로와는 별개의 공기 흡입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공기유로는 거치 스테이션 내의 제1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공기유로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의 상면으로 제2공기유로의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상측에 부유하는 공기에 대한 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공기유로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위는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공기유로의 공기 유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공기유로의 공기 유입측에는 필터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공기유로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과 청정기모듈의 결합에 의해 대용량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의 제1흡입부와 청정기모듈의 제2흡입부가 동시에 동작되는 제어를 통해 더욱 넓은 면적의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의 제1흡입부와 청정기모듈의 제2흡입부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어를 통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정기모듈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휴대용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진공 청소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청정기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메인하우징 및 제1공기유로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5는 도 7의 “B”부 확대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조작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정기모듈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2공기유로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진공 청소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청정기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메인하우징 및 제1공기유로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5는 도 7의 “B”부 확대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조작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청정기모듈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정기모듈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2공기유로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청정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사용하는 청소기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청소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청소기(10)는 흡입모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11), 배터리(도시는 생략됨)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12), 연장관(13) 및 흡입노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1)에는 상기 흡입노즐(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5)은 바닥면(도면상 우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바닥면에는 먼지통덮개(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에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먼지통덮개(16)는 구속부(17)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청소기(10)가 거치되는 거치 스테이션(20)과는 별도로 청정기모듈(30)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청정기모듈(30)은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과는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의 결합에 의해 서로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에 장착될 경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30)을 거치 스테이션(20)에 결합함으로써 거치 스테이션(20)은 공기 청정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청정기모듈(30) 및 거치 스테이션(20)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거치 스테이션(20)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 스테이션(20)은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먼지통(15) 내의 먼지를 수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거치 스테이션(20)은 메인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청소기(10)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11)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둘레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전면 상측 부위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먼지통의 바닥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15)의 바닥(도면상 우측면)은 상기 장착부(111) 내의 후면(개방된 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에는 받침덮개(112)가 상기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4와 같이 상기 받침덮개(112)는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연결링크(11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114)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받침덮개(112)는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하게 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먼지통(15)의 구속부(17)를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동작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시 동작되면서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8과 같이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으로 동작되는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122)과, 상기 피니언(122)에 맞물려 동작되는 랙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123)의 상면에는 조작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124)에는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연동부재(124a)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작동작부(120)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모터(121)와 랙기어(123) 및 조작돌기(124)와 연동부재(124a)의 순차적인 동작으로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될 경우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배터리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배출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를 경유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개구이다.
상기 배출개구(102)는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후면에 하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110) 내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의 하측 후방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은 집진하우징(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4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중 상기 장착부(111)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내부는 집진통(141)이 위치되는 집진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후술될 제1유로(181)를 따라 수거되는 먼지통(15) 내의 먼지들이 상기 집진공간의 집진통(141)에 집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집진통(141)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진하우징(140) 내로부터 선택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통(141)은 접힘 가능한 봉투(예컨대, 종이봉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에는 제1연결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공(142)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저면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집진하우징(140)의 제1연결공(142)을 통해 유입된 후 집진하우징(140)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개방된 저면을 통과하여 메인하우징(11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은 흡입하우징(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중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집진하우징(140)과 배출개구(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내부는 흡입부(16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후술될 흡입부(160)는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면 중앙측 부위는 연통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개방된 저면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연통개구(151)를 통해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저면에는 배출덕트(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제1흡입부(160)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부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둘레면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덕트(155)의 상면은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개방된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덕트(155)의 어느 한 둘레 부위는 개방되면서 메인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개구(10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흡입부(160)를 경유한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155)의 안내를 받아 배출개구(10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하우징(140)과 상기 흡입하우징(15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바닥면 혹은, 흡입하우징(150)의 상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171)는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흡입부(160)의 구동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171)에서 걸러진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은 제1흡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부(160)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써 흡입하우징(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부(160)는 흡입팬(161)과 팬모터(162) 및 팬하우징(1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161) 및 팬모터(162)는 상기 팬하우징(163) 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161)은 상기 팬모터(162)의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팬하우징(163)은 상면 및 저면의 중앙측 부위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흡입팬(161)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163)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의 저면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중 제1흡입부(160)의 공기 유출측(흡입하우징의 공기 유출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필터(17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흡입하우징(150)의 바닥에 상기 제2필터(17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흡입부(160)를 통과하여 배출덕트(155)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필터(172)를 지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며, 이후 배출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공기유로(1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81)는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된 먼지통(15)으로부터 수거되는 이물질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즉, 상기 제1공기유로(181)에 의해 흡입부(160)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흡입력이 장착부(111)로 전달되고, 이로써 먼지통(15) 내의 이물질에 대한 흡입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8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81)는 관체로 형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제1연결공(14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기유로(181)의 타단은 상기 제1연결공(142)을 관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81)의 일단은 받침덮개(112)가 동작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제1공기유로(181)의 일단에 대한 폭과 깊이가 결정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81)는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의 유로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공기유로(181)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먼지통(15)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가 집진통(141)에 원활히 집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30)을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청정기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과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에 장착되어 실내의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대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자체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대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정기모듈(30)은 거치 스테이션(20)의 장착부(111)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정기모듈(30)은 무선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되는 장착부(111)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해당 거치 스테이션(30)은 제1흡입부(160)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거치 스테이션(20)의 장착부(111)에는 청소기(10)의 먼지통(15) 혹은, 청정기모듈(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정기모듈(30)을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청정기모듈(30)은 외관을 이루는 모듈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본체(310)는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의 장착부(1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본체(310)는 그 후단(도면상 우측 끝 부위)이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듈본체(310)는 전후로 개방된 통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모듈본체(310)를 거치 스테이션(20)의 장착부(111)에 장착할 경우 실내 공기는 상기 모듈본체(310)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부(111)에 연결된 제1공기유로(181)에 흡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청정기모듈(30)은 공기 흡입력의 발생을 위한 제2흡입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부(320)는 모듈본체(310) 내에서 해당 모듈본체(310)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개방된 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2흡입부(320)의 제공에 의해 청정기모듈(30)만 별도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가 있다.
상기 제2흡입부(320)는 흡입팬(321) 및 팬모터(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부(320)는 거치 스테이션(20) 내의 제1흡입부(160)와는 서로 다른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흡입부(320)가 제1흡입부(160)보다 작은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두 흡입부(160,320)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두 흡입부(160,320)가 동시에 사용될 경우 어느 하나만 사용될 경우보다 더욱 넓은 영역의 공기 정화가 가능하며, 어느 한 흡입부만 사용될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본체(310)는 둘 이상 복수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제1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전방측몸체(311)와 후방측몸체(312)가 서로 결합되어 단일의 모듈본체(3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310)의 전면에는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그릴(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30)은 실내 공기가 모듈본체(310) 내에 흡입될 경우 해당 공기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제2흡입부(320)의 파손 방지 또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310)의 후면에는 배출그릴(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그릴(340)은 모듈본체(310) 내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면서도 모듈본체(310)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그릴(340)은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그릴(340)은 모듈본체(310)의 개방된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그릴(340)은 거치 스테이션(20)의 조작동작부(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청정기 모듈(30)의 배출그릴(340)은 청소기(10)의 구속부(17)와 동일한 구속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청정기모듈(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필터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모듈(350)에 의해 모듈본체(310) 내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청정기모듈(30)은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350)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 냄새의 탈취를 위한 필터, 세균의 사멸을 위한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필터모듈(350)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Pre-Filter),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필터모듈(350)이 복수의 필터로 제공될 경우 각 필터는 순서대로 적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350)은 상기 모듈본체(310) 내에 설치되어 해당 모듈본체(31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본체(310) 내부 중 제2흡입부(320)의 공기 흡입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흡입부(320)가 모듈본체(310)를 통과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됨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필터모듈(350)는 전방측몸체(311) 내에 설치되고, 제2흡입부(320)는 후방측몸체(3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청정기모듈(30)은 배터리(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청정기모듈(30)은 배터리(360)의 전원으로 제2흡입부(320)가 동작되면서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360)는 상기 모듈본체(3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본체(310)의 후면 중 일부에 삽입 장착될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360)의 후면에는 충전단자(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청정기모듈(30)을 거치 스테이션(20)에 장착할 경우 무선 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거치 스테이션(20)의 충전용 접속단자(도시는 생략됨)에 상기 충전단자가 접속되면서 배터리(360)가 충전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20)과 청정기모듈(30)이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거치 스테이션(20)만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은 무선 청소기(10)의 거치 혹은, 먼지통(15) 내의 먼지 수거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이 무선 청소기(10)의 먼지 수거 용도로 사용될 경우는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덮개(16)를 구속하는 구속부(17)는 조작동작부(120)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 이는 첨부된 도 22와 같다.
상기한 초기 상태에서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은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버튼(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버튼, 도시는 생략됨)이 조작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에는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부(130)에 접속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즉,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되면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먼지통(15)의 장착 여부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부(111)에 구비된 받침덮개(112)가 동작되면서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를 개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받침덮개(112)는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건의 만족 여부와 상관없이 설정 각도만큼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덮개(112)가 회전되어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가 개방된 이후에는 조작동작부(120)가 동작된다. 즉, 조작동작부(120)의 동작으로 청소기(10)의 구속부(17)가 구속 해제 위치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로써 먼지통덮개(16)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회전되면서 먼지통(15)의 바닥면(첨부된 도 22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 벽면)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동작부(120)가 동작될 경우에는 제1흡입부(160)의 팬모터(162)가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팬(161)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먼지통(15) 내에 집진된 이물질이 제1공기유로(181)를 따라 집진하우징(160) 내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는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만 해당 집진통(141) 내에 집진된다.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집진통(141)를 통과한 후 흡입하우징(150)과 배출덕트(155)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배출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 제1흡입부(160)의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1흡입부(160)의 동작이 정지되면 덮개 동작모터(113)가 동작되면서 받침덮개(112)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2)가 접촉된 먼지통덮개(16)도 받침덮개(112)와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전진 이동)된 후 먼지통(15)의 개방된 바닥면을 폐쇄하면서 구속부(17)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전술된 먼지 수거 동작이 완료되면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10)를 이루는 배터리의 충전 및 청소기(10)의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은, 청정기모듈(30)만 단독으로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청정기모듈(30)만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청정기모듈(30)은 휴대용의 소용량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예컨대, 책상 위)에 해당 청정기모듈(30)을 얹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른 제2흡입부(320)의 구동으로 주변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 청정기모듈(30)은 배터리(360)의 전원으로 제2흡입부(320)가 동작되면서 주변 공기를 정화하도록 작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흡입부(320)의 동작시 발생된 공기 흡입력으로 주변의 공기가 모듈본체(3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흡입된 후 개방된 후면을 통해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23과 같다.
상기 과정에서 모듈본체(3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흡입그릴(330)은 공기의 흡입유동을 안내하고, 큰 이물질이나 먼지가 아닌 다른 물체가 유입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듈본체(3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배출그릴(340)은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듈본체(310) 내에 설치되는 제1필터모듈(350)은 해당 모듈본체(310) 내를 지나는 공기 중의 이물질 혹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거치 스테이션(20)과 청정기모듈(30)이 함께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거치 스테이션(20)과 청정기모듈(30)이 함께 제공될 경우 청소기(청소기의 먼지통)는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로부터 분리되어 별도 보관되고, 청정기모듈(30)은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청정기모듈(30)의 모듈본체(310)는 후면이 장착부(111) 내의 개방된 부위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전술된 거치 스테이션(20)에 청정기모듈(3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가 개방된다. 즉, 청정기모듈(30)이 장착될 경우에는 받침덮개(112)가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를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이로써, 청정기모듈(30)의 모듈본체(310)와 제1공기유로(181)는 서로 연통된다.
또한, 거치 스테이션(20)에 청정기모듈(3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청정기모듈(30)의 배터리(360)에 구비된 충전단자가 거치 스테이션(20)에 제공되는 충전부(130)의 접속단자에 접속된다. 이로써 청정기모듈(30)의 배터리(360)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되면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운전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1동작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흡입부(160)가 동작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 공기 흡입력은 제1공기유로(181)를 통해 장착부(111)에 장착된 청정기모듈(30)로 전달되고, 이로써 실내 공기가 청정기모듈(30)의 모듈본체(310)를 통과하여 제1공기유로(181)에 흡입된다. 이는 첨부된 도 24와 같다.
상기 실내 공기는 모듈본체(310)를 통과하는 도중 해당 모듈본체(310) 내의 제1필터모듈(35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정화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필터모듈(350)을 지나면서 정화된 공기는 제1공기유로(181)와 집진하우징(140)과 흡입하우징(1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공간(105)의 배출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로써, 거치 스테이션(20)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 스테이션(20)이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는 청정기모듈(30)의 제2흡입부(320)도 함께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더욱 큰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어서 더욱 넓은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만일, 주변 공기가 미리 설정된 청정도에 해당될 경우 제1흡입부(160)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제2흡입부(320)는 단독으로 동작되거나 혹은, 제1흡입부(160)와 함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20)과 청정기모듈(30)의 결합에 의해 대용량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20)의 제1흡입부(160)와 청정기모듈(30)의 제2흡입부(320)가 동시에 동작되는 제어를 통해 더욱 넓은 면적의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거치 스테이션(20)의 제1흡입부(160)와 청정기모듈(30)의 제2흡입부(32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어를 통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정기모듈(30)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휴대용의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를 각 형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청정기모듈(30)의 모듈본체(310) 내에는 살균모듈(3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370)은 청정기모듈(30)의 제1필터모듈(350)을 통과한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모듈(370)은 살균용 자외선(UVC)를 조사하는 UV LED를 포함하는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370)은 청정기모듈(30)을 이루는 모듈본체(310)의 내부 공간 중 제1필터모듈(350)과 제2흡입부(3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모듈(370)의 제공에 의해 제1필터모듈(350)을 통과한 후 공기 중의 각종 세균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2실시예의 형태로 인해 실내 공기가 청정기모듈(30)을 지나는 도중 살균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청정기모듈(30)이 지면에 얹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청정기모듈(30)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3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380)는 청정기모듈(30)을 이루는 모듈본체(31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듈본체(3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정위치에 놓이기 어려울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받침대(380)에 의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해 청정기모듈(30)이 거치 스테이션(20)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경우 지면이나 책상 위 등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휴대용의 사용시 정확히 안착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스테이션(20)을 이루는 메인하우징(110)내에 제1공기유로(181)와는 별개의 제2공기유로(18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182)는 공기가 유동되는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공기유로(181)뿐 아니라 제2공기유로(182)로도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메인하우징(110)에는 실내로 개방되는 흡입개구(101)가 형성되고, 제2공기유로(182)는 일단이 상기 흡입개구(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하우징(1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개구(101)는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상측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입개구(101)는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입개구(101)에는 제2필터모듈(1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모듈(190)은 상기 흡입개구(101)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19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필터모듈(190)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Pre-Filter),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개구(101)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기 흡입개구(101)를 폐쇄하기 위한 탑커버(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15)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흡입개구(10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기유로(182)의 타단은 흡입하우징(15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1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공(152)은 흡입하우징(15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182)는 메인하우징(110) 내의 어느 한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공기유로(182)는 메인하우징(110) 내의 후방측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공기유로(182)는 제1공기유로(181)와는 별개의 공기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공기유로(182)는 집진하우징(14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면 혹은, 둘레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제4실시예에 따르면, 청정기모듈(30)과 메인하우징(110)을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청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흡입부(16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제1공기유로(181)와 제2공기유로(182)에 제공되고, 이로 인해 청정기모듈(30)과 흡입개구(101)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청정기모듈(30)의 제1필터모듈(350)과 흡입개구(101)의 제2필터모듈(190)을 통과하는 도중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각 공기유로(181,182)를 따라 흡입하우징(150)으로 흡입된 후 배출공간(105)의 배출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실내 공기의 흡입은 제1공기유로(181)를 통해서만 수행되도록 하거나 혹은, 제2공기유로(182)를 통해서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청정기모듈(30)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자 할 경우 제1공기유로는 개방되고 제2공기유로는 폐쇄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2공기유로의 폐쇄는 탑커버의 닫음 동작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9와 같다.
반면, 제2공기유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자 할 경우 제2공기유로는 개방되고 제1공기유로는 폐쇄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기유로의 폐쇄는 받침덮개의 닫음 동작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30과 같다.
따라서, 상기한 제3실시예의 형태로 인해 더욱 많은 실내 공기에 대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12. 배터리 하우징 13. 연장관
14. 흡입노즐 15. 먼지통
16. 먼지통덮개 17. 구속부
20. 거치 스테이션
110. 메인하우징 101. 흡입개구
102. 배출개구 111. 장착부
112. 받침덮개 113. 덮개 동작모터
114. 연결링크 115. 탑커버
120. 조작동작부 121. 모터
122. 피니언 123. 랙기어
124. 조작돌기 124a. 연동부재
130. 충전부 140. 집진하우징
141. 집진통 150. 흡입하우징
155. 배출덕트 160. 제1흡입부
161. 흡입팬 162. 팬모터
163. 팬하우징 171. 제1필터
172. 제2필터 181. 제1공기유로
182. 제2공기유로 190. 제2필터모듈
30. 청정기모듈
310. 모듈본체 311. 전방측몸체
312. 후방측몸체 313. 걸림턱
320. 제2흡입부 321. 흡입팬
322. 팬모터 330. 흡입그릴
340. 배출그릴 341. 후크부재
350. 제1필터모듈 360. 배터리
361. 배터리부 370. 살균모듈
380. 받침대
12. 배터리 하우징 13. 연장관
14. 흡입노즐 15. 먼지통
16. 먼지통덮개 17. 구속부
20. 거치 스테이션
110. 메인하우징 101. 흡입개구
102. 배출개구 111. 장착부
112. 받침덮개 113. 덮개 동작모터
114. 연결링크 115. 탑커버
120. 조작동작부 121. 모터
122. 피니언 123. 랙기어
124. 조작돌기 124a. 연동부재
130. 충전부 140. 집진하우징
141. 집진통 150. 흡입하우징
155. 배출덕트 160. 제1흡입부
161. 흡입팬 162. 팬모터
163. 팬하우징 171. 제1필터
172. 제2필터 181. 제1공기유로
182. 제2공기유로 190. 제2필터모듈
30. 청정기모듈
310. 모듈본체 311. 전방측몸체
312. 후방측몸체 313. 걸림턱
320. 제2흡입부 321. 흡입팬
322. 팬모터 330. 흡입그릴
340. 배출그릴 341. 후크부재
350. 제1필터모듈 360. 배터리
361. 배터리부 370. 살균모듈
380. 받침대
Claims (20)
-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도록 요입 형성되고 후면은 개방된 장착부를 가지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1흡입부와,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제1흡입부에 이르기까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1공기유로를 가지는 거치 스테이션;
상기 거치 스테이션의 장착부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상기 제1흡입부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모듈은
외관을 이루면서 상기 거치 스테이션의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모듈본체와,
공기 흡입력의 발생을 위한 제2흡입부와,
상기 모듈본체 내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부는 거치 스테이션 내의 제1흡입부보다 작은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전후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면서 개방된 전면으로 공기가 흡입된 후 개방된 후면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의 전면에는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그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의 개방된 후면에는 배출그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그릴은 모듈본체의 개방된 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모듈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는 상기 제2흡입부의 공기 흡입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테이션의 장착부 둘레에는 충전용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기모듈의 둘레에는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충전되는 청정기용 배터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모듈의 둘레에는 지면에의 얹음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거치 스테이션을 이루는 메인하우징의 어느 한 외면에는 흡입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개구로부터 상기 흡입부에 이르기까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2공기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흡입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덮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는 상기 흡입부의 공기 유입측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무선 청소기의 거치 및 충전을 위한 거치 스테이션의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 내에 구비되면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2흡입부와,
상기 모듈본체 내에 구비되면서 해당 모듈본체 내로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포함되는 청정기모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전후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면서 개방된 전면으로 공기가 흡입된 후 개방된 후면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기모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의 전면에는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그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기모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의 개방된 후면에는 배출그릴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기모듈. - 제 16 항에 잇어서,
상기 모듈본체에는 배터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거치 스테이션에의 장착시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거치 스테이션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기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7997A KR20230089398A (ko) | 2021-12-13 | 2021-12-13 |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7997A KR20230089398A (ko) | 2021-12-13 | 2021-12-13 |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9398A true KR20230089398A (ko) | 2023-06-20 |
Family
ID=8699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7997A KR20230089398A (ko) | 2021-12-13 | 2021-12-13 |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939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6387A (ko) | 2016-05-09 | 2017-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의 충전기구 |
KR20200027318A (ko) | 2018-09-04 | 2020-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
KR20210002057A (ko) | 2020-07-03 | 2021-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
-
2021
- 2021-12-13 KR KR1020210177997A patent/KR2023008939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6387A (ko) | 2016-05-09 | 2017-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의 충전기구 |
KR20170126379A (ko) | 2016-05-09 | 2017-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의 충전대 |
KR20200027318A (ko) | 2018-09-04 | 2020-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
KR20210002057A (ko) | 2020-07-03 | 2021-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100954B4 (en) | Cleaning apparatus | |
JP6214606B2 (ja) | 自律型真空掃除機 | |
JP2013240599A (ja) | 自律型真空掃除機 | |
KR102683649B1 (ko) |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 |
CN210801440U (zh) | 包括双向排出流路的空气净化器 | |
KR20230089398A (ko) |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 |
CN210124714U (zh) |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 |
EP4374762A1 (en) | Cleaner station | |
KR20230089620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KR20230089396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US20240065499A1 (en)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30089399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KR20230089397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KR20230089402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KR20230089403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JP2002349918A (ja) | 空気清浄機 | |
KR20230089400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KR20230089401A (ko)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
EP4403085A1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40112686A (ko) | 공기 청정기 | |
JP2024084524A (ja) | 掃除機、掃除機から塵埃を回収する回収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清掃具セット | |
KR20040056156A (ko) | 공기청정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