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397A -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397A
KR20230089397A KR1020210177996A KR20210177996A KR20230089397A KR 20230089397 A KR20230089397 A KR 20230089397A KR 1020210177996 A KR1020210177996 A KR 1020210177996A KR 20210177996 A KR20210177996 A KR 20210177996A KR 20230089397 A KR20230089397 A KR 2023008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acuum cleaner
suction
dust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원
유현선
손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397A/ko
Publication of KR2023008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 제공되는 필터모듈이 메인하우징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이로써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용도뿐 아니라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선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집하고 공기만 배출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전원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면서 모터를 구동하는 유선 청소기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무선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청소기의 경우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기능과 해당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거치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충전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의 기술과 같이 충전 거치대(도킹 스테이션) 내에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무선 청소기가 먼지통에 집진한 이물질을 충전 거치대 내의 수거 공간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충전 거치대 내에 흡입장치가 포함되는 기술의 경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에 결합될 때 동작되면서 먼지통 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먼지통 내의 이물질을 수거하지 않는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흡입장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비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먼지통 내의 이물질 수거시에만 일시적으로 흡입장치가 동작될 뿐 그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흡입장치는 대기 상태로만 유지된다.
이로써, 해당 충전 거치대의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많지 않아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되었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를 충전 거치대에 거치하는 도중이나 먼지통의 덮개가 순간적으로 개방될 때 일부의 먼지 혹은, 미세 먼지가 충전 거치대 외부로 흘러 내리는 우려가 있다. 이로써 충전 거치대 주위의 먼지로 인해 사용자가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의 수거를 위한 동작 외에도 주변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흡입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거치대만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공기 정화기로의 사용을 위한 별도의 키트를 추가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을 메인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메인하우징은 공기 청정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서로 별개의 두 공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의 먼지통에 대한 먼지 수거를 위한 유로와는 별개로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며, 어느 한 외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흡입개구가 형성되는 메인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개구를 통해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유로는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로부터 흡입부에 이르기까지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유로는 메인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흡입부에 이르기까지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의 흡입개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은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의 외관에 필터모듈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보관이나 충전 혹은, 먼지 수거 외에도 공기 정화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은 메인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의 관리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흡입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을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얹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흡입개구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정화 기능의 비사용시 흡입개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 집진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은 집진공간에 집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집진공간 내에는 집진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집진통을 별도로 비우거나 새로운 집진통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에는 배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 내를 유동한 공기는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배출개구는 흡입부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유로는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의 유로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가 뭉쳐진 상태로 집진통에 집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유로는 제1유로와는 별개의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유로를 통한 공기는 제1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유로는 메인하우징 내의 어느 한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유로는 제1유로와는 별개의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유로의 공기 유출측 부위는 흡입부의 공기 유입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개구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부로 곧장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유로와 흡입부 간의 연결 부위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먼지통의 먼지 수거시 제2유로와 흡입부 간의 연결 부위는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은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에 대한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은, 필터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에는 삽입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과 메인하우징의 결합 부위 사이로 공기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하우징 내에는 안내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의 공기 유출측으로부터 삽입관에 이르도록 공기 유동이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하우징의 상면에는 다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릴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가 외부 물체에 부딪혀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에는 UV 엘이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모듈을 지나는 공기가 살균용 자외선(UVC)의 조사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모듈과 메인하우징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에 제공되는 전원을 필터모듈이 전달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이 필터모듈과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면서 청소기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이 필터모듈과 함께 제공되면서 청소기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 뿐 아니라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터모듈이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공기 정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터모듈 내에 살균모듈이 제공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필터모듈를 지나는 도중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터모듈이 메인하우징과의 결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살균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별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유로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2유로에 혼합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메인하우징으로부터 필터모듈이 분해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메인하우징 및 제1공기유로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가 닫힌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조작동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조작동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D”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도 3과는 다른 부위에서 단면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2개폐판에 대한 동작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필터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필터모듈과 메인하우징 간의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필터모듈을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필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과 도 19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필터모듈과 메인하우징 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E”부 확대도
도 20은 도 19의 “F”부 확대도
도 22는 도 17의 “G”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조작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받침덮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공기 정화기능의 수행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필터모듈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사용하는 청소기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청소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청소기(10)는 흡입모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11), 배터리(도시는 생략됨)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12), 연장관(13) 및 흡입노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1)에는 상기 흡입노즐(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5)은 바닥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바닥면에는 먼지통덮개(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에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먼지통덮개(16)는 구속부(17)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청소기(10)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11)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둘레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장착부(111)는 후면(먼지통의 바닥과 대향되는 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은 상기 장착부(111) 내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에는 받침덮개(112)가 상기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받침덮개(112)는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연결링크(11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114)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받침덮개(112)는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하게 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먼지통(15)의 구속부(17)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동작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시 동작되면서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으로 동작되는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122)과, 상기 피니언(122)에 맞물려 동작되는 랙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123)의 상면에는 조작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124)에는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연동부재(124a)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작동작부(120)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모터(121)와 랙기어(123) 및 조작돌기(124)와 연동부재(124a)의 순차적인 동작으로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될 경우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배터리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흡입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개구(101)는 실내와 메인하우징(110)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개방된 개구로써,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개구(101)의 제공에 의해 실내 공기가 메인하우징(11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개구(101)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기 흡입개구(101)를 폐쇄하기 위한 제1개폐판(5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판(510)은 하향 가압력에 의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흡입개구(101)를 개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개폐판(510)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흡입개구(101)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배출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102)는 후술될 흡입부(16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개구이다. 즉, 상기 메인하우징(11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배출개구(102)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될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102)는 메인하우징(110)의 하단측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출개구(102)가 실내의 바닥에 위치되는 여타 물건들(예컨대, 카펫 등)에 막혀 공기 유출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집진하우징(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집진하우징(14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4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중 상기 장착부(111)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내부는 집진통(141)이 위치되는 집진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후술될 제1유로(181)를 따라 수거되는 먼지통(15) 내의 먼지들이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에 집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에는 제1유로(181)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공(142)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142)은 집진통(141)의 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저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의 연결공(142)을 통해 집진하우징(14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하우징(140) 개방된 저면을 통과하여 메인하우징(11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에 제공되는 집진통(141)은 제1유로(181)를 통해 집진하우징(140)의 연결공(142)으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공(142)을 통해 집진하우징(140) 내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집진통(141) 내에 집진되고, 공기만이 집진통(141)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집진통(141)은 예컨대, 종이 또는, 섬유 재질의 봉투나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흡입하우징(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중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집진하우징(140)과 배출개구(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내부는 흡입부(160)가 설치되는 흡입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후술될 흡입부(160)는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면 중앙측 부위는 제1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과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개방된 저면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제1개구(151)를 통해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저면에는 배출덕트(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흡입부(160)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부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둘레면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덕트(155)의 상면은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개방된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덕트(155)의 어느 한 둘레 부위는 개방되면서 배출개구(10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흡입부(160)를 경유한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155)의 안내를 받아 배출개구(10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하우징(150)에는 제2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개구(152)는 후술될 제2유로(182)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제공받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 3과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제2개구(152)는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흡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60)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흡입부(160)는 팬하우징(165)과, 흡입팬(161) 및 팬모터(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161) 및 팬모터(162)는 상기 팬하우징(165) 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161)은 상기 팬모터(162)의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팬하우징(165)의 상면 및 저면의 중앙측 부위는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흡입팬(161)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165) 내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집진하우징(140)과 상기 흡입하우징(150) 사이에는 제1필터(17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면에 상기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171)는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흡입부(160)의 구동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171)에서 걸러진다.
첨부된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공기 출구에는 제2필터(1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저면을 통과하여 배출덕트(155)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상기 제2필터(172)에 의해 걸러진 후 배출개구(102)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유로(1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81)는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된 먼지통(15) 내의 이물질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즉, 상기 제1유로(181)에 의해 흡입부(160)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흡입력이 장착부(111)로 전달되고, 이로써 먼지통(15) 내의 이물질에 대한 흡입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첨부된 도 3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제1유로(18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181)는 관체로 형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연결공(14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유로(181)의 일단은 받침덮개(112)가 동작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제1유로(181)의 일단에 대한 폭과 깊이가 결정된다.
상기 제1유로(181)는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의 유로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유로(181)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먼지통(15)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가 집진통(141)에 정확히 집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2유로(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182)는 상기 흡입개구(101)로부터 흡입하우징(150) 내에 이르기까지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상기 제2유로(182)는 공기가 유동되는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제2유로(182)는 상기 제1유로(181)와는 별개의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유로(181)의 경우 먼지통(15)의 먼지가 유동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해당 제1유로(181) 내에는 일부의 먼지가 잔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2유로(182)를 제1유로(181)와는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제2유로(18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먼지가 포함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유로(182)는 메인하우징(110) 내에 위치되면서 흡입개구(101)와 흡입하우징(15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182)의 일단은 흡입개구(101)에 연결되고 제2유로(182)의 타단은 흡입하우징(150)의 제2개구(152)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유로(182)는 메인하우징(110) 내의 어느 한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유로(182)는 메인하우징(110) 내의 후방측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제2개구(152)은 흡입하우징(15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2유로(182)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유로(182)는 제1유로(181)와는 별개의 공기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유로(182)는 집진하우징(14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흡입하우징(150)에 연결되는 관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흡입하우징(150)의 상단 중 제2유로(182)가 연결되는 제2개구(152)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개구(152)는 공기 청정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로써 흡입공간(150) 내의 흡입력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제2개구(152)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해, 제2개구(152)에는 제2개폐판(5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판(520)은 전자적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유로(182)와 흡입하우징(150) 내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개폐판(520)은 먼지통(15)의 먼지 수거시 상기 제2개구(152)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터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400)은 흡입부(160)의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400)의 제공에 의해 메인하우징(110)에 제공되는 흡입부(160)는 먼지 수거외에도 공기 정화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모듈(40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4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매하여 사용되는 키트(Kit) 형태로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14와 같이 상기 필터모듈(400)은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40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해당 부위에 형성된 흡입개구(101)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필터모듈(4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메인하우징(110)에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13 및 도 16과 같이 상기한 필터모듈(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411,412,413) 및 상기 필터를 보호하는 필터하우징(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411,412,413)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 냄새의 탈취를 위한 필터, 세균의 사멸을 위한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Pre-Filter)(411),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412),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413)를 포함하는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420)은 내부에 상기 필터(411,412,413)가 설치될 수 있도록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420)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하우징(420)의 바닥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연통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은 연통개구(421)를 통해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420)의 내부 둘레에는 필터(411,412,413)가 장착되는 장착턱(422)이 형성된다. 즉, 필터(411,412,413)는 상기 장착턱(422)에 얹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턱(422)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각의 필터(411,412,413)가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서로의 돌출 거리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장착턱(422)만 제공하되 각 필터(411,412,413) 사이는 별도의 간격 유지링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420)의 내부 중 상기 장착턱(422)의 저부에는 상기 필터(411,412,413)를 통과하여 연통개구(421)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411,412,413)를 통과한 공기는 연통개구(421)에 이르도록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11,412,413)는 상기 연통개구(421)보다 크게 형성되고, 안내가이드(423)는 상기 필터(411,412,413)로부터 상기 연통개구(421)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5와 같이 상기 필터하우징(420)의 저면에는 삽입관(42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424)은 상기 연통개구(421)로부터 연장되면서 흡입개구(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관(424)에 의해 필터모듈(400)과 메인하우징(110)의 결합 부위 사이로 공기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424)의 출구에는 제3개폐판(5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판(530)은 상기 삽입관(424)을 흡입개구(101)에 삽입할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개폐판(530)은 삽입관(424)의 어느 한 둘레에 회전축(도시는 생략됨)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외면에는 조작돌기(5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삽입관(424)을 흡입개구(101)에 삽입시 상기 조작돌기(531)가 제1개폐판(510)에 맞닿으면서 해당 회전축이 강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420)의 개방된 상면에는 다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릴플레이트(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411,412,413)가 외부 물체에 부딪혀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110)만 단독으로 제공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메인하우징(110)과 필터모듈(400)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이 단독으로 제공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혹은, 먼지 수거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과 필터모듈(400)이 함께 제공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혹은, 먼지 수거 용도뿐 아니라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10)과 필터모듈(400)이 함께 제공될 경우 상기 필터모듈(400)은 메인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400)은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필터모듈(400)의 삽입관(424)은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필터모듈(400)과 메인하우징(110)의 결합 부위 사이로 공기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424)이 흡입개구(101)에 삽입되면서 제1개폐판(510)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개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삽입관(424)에 설치된 제3개폐판(530)은 그의 조작돌기(531)가 제1개폐판(510)에 맞닿으면서 회전되고, 이로써 상기 삽입관(424)도 개방된다. 이는, 첨부된 도 17 내지 도 22와 같다.
그리고, 전술된 메인하우징(110)과 필터모듈(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혹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동작 가능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하우징(110)과 필터모듈(400)이 결합되어 함께 제공될 때의 각 사용 용도별 운전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및 충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청소기(10)를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청소기(10)는 메인하우징(110)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청소기(10)의 배터리는 메인하우징(110)의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을 위한 거치 용도로의 운전은 먼지통(15)의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 혹은, 공기 정화를 위한 운전의 수행 여부와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각 운전은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적어도 두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10)의 먼지통(15)에 대한 먼지 수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10)의 먼지통(15)에 대한 먼지 수거를 위해 해당 청소기(10)는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에 청소기(10)가 장착된 상태의 경우 먼지통덮개(160)를 구속하는 구속부(17)는 조작동작부(120)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
상기한 초기 상태에서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은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버튼(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버튼, 도시는 생략됨)이 조작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에는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부(130)에 접속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먼지통(15)이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여부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되면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부(111)에 구비된 받침덮개(112)가 동작되면서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을 개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받침덮개(112)는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건의 만족 여부와 상관없이 설정 각도만큼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덮개(112)가 회전되어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가 개방된 이후에는 조작동작부(120)가 동작된다. 즉, 도 24 및 도 25와 같은 조작동작부(120)의 동작으로 구속부(17)가 구속 해제 위치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로써 먼지통덮개(16)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회전되면서 먼지통(15)의 바닥면(첨부된 도 23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 벽면)이 개방된다. 이는 도 23과 도 26 및 도 27과 같다.
상기 조작동작부(120)가 동작될 경우에는 흡입부(160)의 팬모터(162)가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첨부된 도 23과 같이 먼지통(15)이 개방될 경우 흡입팬(161)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먼지통(15) 내에 집진된 이물질이 제1유로(181)를 따라 집진하우징(140)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하우징(140)으로 유동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에 집진된다. 상기 이물질과 함께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41)를 통과한 후 흡입하우징(150)으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는 집진하우징(140)의 개방된 저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당 부위에 위치된 제1필터(171)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재차적으로 제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흡입하우징(150) 내부를 통과한 후 배출덕트(155)를 통해 메인하우징(110)의 배출개구(102)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부(160)의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흡입부(160)의 동작이 정지되면 덮개 동작모터(113)가 동작되면서 받침덮개(112)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2)가 접촉된 먼지통덮개(16)도 받침덮개(112)와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전진 이동)된 후 먼지통(15)의 개방된 바닥면을 폐쇄하면서 구속부(17)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전술된 먼지 수거 동작이 완료되면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10)를 이루는 배터리의 충전 및 청소기(10)의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운전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동작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와, 먼지통덮개(15)가 구속부(17)에 의해 구속된 상태일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흡입하우징(150)의 제2개구(152)는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제2개구(152)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동작모터(도시는 생략됨)의 구동에 의한 제2개폐판(520)의 동작으로 제2개구(152)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흡입부(160)가 동작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때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는 받침덮개(112)에 의해 후면 개구가 폐쇄된 상태이고, 흡입하우징(150)의 제2개구(152)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로써 상기 공기 흡입력은 제2개구(152)를 통해 필터모듈(40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400)로 전달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필터하우징(420)의 상면 개구를 통해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420) 내로 흡입된 공기는 각 필터(411,412,4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중의 이물질은 상기 각 필터(411,412,41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필터(411,412,413)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필터모듈(400) 내를 유동한 후 삽입관(424)을 통과하여 제2유로(182)에 제공된다. 상기 제2유로(182)에 제공된 공기는 해당 제2유로(182) 내를 유동한 후 흡입하우징(150)의 제2개구(152)를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흡입된다. 이후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개방된 저면에 위치된 제2필터(172)를 거쳐 미세 먼지가 추가 제거된 후 배출덕트(155)의 안내를 받아 배출개구(102)를 통해 메인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28과 같다.
전술된 과정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종료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먼지통덮개(16)를 구속하던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흡입부(160)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동작이 종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110)이 필터모듈(400)과는 개별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필터모듈(40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청소기(10)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110)에 필터모듈(400)을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청소기(10)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 뿐 아니라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터모듈(400)이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공기 정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먼지통(15)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제1유로(181)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제2유로(182)가 서로 별개로 제공된다. 이로써 서로의 공기가 혼합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첨부된 도 29와 같이 필터모듈(400) 내에는 살균모듈(4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440)은 필터모듈(400)의 각 필터(411,412,4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제2유로(104)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모듈(440)은 살균용 자외선(UVC)를 조사하는 다수의 UV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440)은 필터모듈(400)을 이루는 필터하우징(420)의 내부 공간 중 각 필터(411,412,413)와 안내가이드(4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모듈(440)의 제공에 의해 각 필터(411,412,413)를 통과한 후 제2유로(104)에 전달되는 공기 중의 각종 세균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살균모듈(44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은 외부 전원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메인하우징(110)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30과 같이 필터모듈(400)의 삽입관(424) 외면과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 내면에 서로의 전원 연결을 위한 단자(424a,106)가 추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의 결합으로 메인하우징(110)의 전원을 필터모듈(400)이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 형태로 인해 실내 공기가 필터모듈(400)을 지나는 도중 살균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10.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12. 배터리 하우징 13. 연장관
14. 흡입노즐 15. 먼지통
16. 먼지통덮개 17. 구속부
101. 흡입개구 102. 배출개구
110. 메인하우징 111. 장착부
112. 받침덮개 113. 덮개 동작모터
114. 연결링크 120. 조작동작부
121. 모터 122. 피니언
123. 랙기어 124. 조작돌기
130. 충전부 140. 집진하우징
141. 집진통 142. 연결공
150. 흡입하우징
151. 제1개구 152. 제2개구
155. 배출덕트 160. 흡입부
161. 흡입팬 162. 팬모터
163. 팬하우징 171. 제1필터
172. 제2필터 181. 제1유로
182. 제2유로 400. 필터모듈
424a,106. 단자 411. 프리필터
412. 헤파필터 413. 탈취필터
420. 필터하우징 421. 연통개구
422. 장착턱 423. 안내가이드
424. 삽입관 430. 그릴플레이트
510. 제1개폐판 520. 제2개폐판
530. 제3개폐판 531. 조작돌기

Claims (20)

  1.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고,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부가 구비되는 흡입하우징;
    상기 장착부로부터 수거되는 먼지 및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흡입개구와 상기 흡입하우징 간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2유로;
    상기 메인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흡입개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구에는 해당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제1유로의 공기 유출측과 흡입부의 공기 유입측 사이에는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수거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하우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하우징 내에는 집진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과한 공기의 실내 배출을 위한 배출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는 상기 흡입부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공기 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부가 위치된 공간을 연결하는 관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어느 한 벽면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공기 유출측 부위는 상기 흡입하우징의 상단 둘레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와 흡입하우징 간의 연결 부위에는 공기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에 집진된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운전시 상기 개폐판은 상기 제2유로와 흡입하우징 간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외관을 이루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개구를 관통하여 제2유로 내에 삽입되는 삽입관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 내에는 상기 필터의 공기 유출측으로부터 상기 삽입관에 이르도록 공기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에는 다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릴플레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 내에는 살균용 자외선(UVC)의 조사를 위한 UV 엘이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대향면에는 서로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1020210177996A 2021-12-13 2021-12-13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96A KR20230089397A (ko) 2021-12-13 2021-12-13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96A KR20230089397A (ko) 2021-12-13 2021-12-13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97A true KR20230089397A (ko) 2023-06-20

Family

ID=8699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96A KR20230089397A (ko) 2021-12-13 2021-12-13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39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87A (ko)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충전기구
KR20200027318A (ko)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20210002057A (ko)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87A (ko)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충전기구
KR20170126379A (ko)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충전대
KR20200027318A (ko)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20210002057A (ko)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63513B2 (en) Cleaning apparatus
EP2106232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JP2004283327A (ja) 電気掃除機
US20060277872A1 (en) Vacuum cleaner
KR20230032841A (ko)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CN101534692A (zh) 真空清洁方法
KR20230089397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6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8A (ko) 청정기모듈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청정기모듈
KR20230089620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2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399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0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1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30089403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40910B1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4496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040176A (ko)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82734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8A (ko) 청소기 스테이션
CN117529264A (zh) 吸尘器基站
ES2941934A1 (es) Estacion de vaciado con sistema de limpieza de medios de filtrado extraibles y metodo asociado
KR20240082733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40029237A (ko)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KR20220057138A (ko)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