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237A -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237A
KR20240029237A KR1020220107448A KR20220107448A KR20240029237A KR 20240029237 A KR20240029237 A KR 20240029237A KR 1020220107448 A KR1020220107448 A KR 1020220107448A KR 20220107448 A KR20220107448 A KR 20220107448A KR 20240029237 A KR20240029237 A KR 2024002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cyclone
vacuum clean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완
신진혁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237A/ko
Publication of KR202400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먼지통, 상기 먼지통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싸이클론 유동으로 발생시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의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먼지통 내부의 저장 유닛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CLEANER AND CLEANER SYSTEM}
본 발명은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통 내부의 저장 유닛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선행특허문헌으로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98828호에는 그릴 조립체와 그릴 조립체를 갖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더스트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그릴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먼지 차단 부재가 그릴 바디를 향해 상승하는 기류에 포함된 먼지를 차단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그릴 어셈블리의 외측을 따라 유동하는 회오리 기류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 먼지 차단 부재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그릴 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여 먼지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먼지통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느린 공간의 공기를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빠른 공간으로 유도하여 먼지통 내부에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없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988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저장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먼지통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0에 가까워지는 영역인 데드 존(dead zone)이 최소화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통 내부의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청소기를 분리하여 머리카락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먼지통 내부의 머리카락에 엉킨 잔여물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싸이클론 유동으로 발생시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의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에 대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저장 유닛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연결하는 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저장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시스템은,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안착하여 결합되는 결합부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먼지 통과 홀과 상기 먼지 집진부를 연결시키는 유로부와,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해 상기 먼지 집진부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을 통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의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에 대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저장 유닛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연결하는 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저장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집진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통과해 상기 먼지 집진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에 의하면, 싸이클론 유동을 따라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도는 머리카락이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어 먼지통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0에 가까워지는 영역인 데드 존(dead zone)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이 감기지 않도록 하여 먼지통 내부의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가 작동되는 경우, 집진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통 내부에 감긴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통 내부에 머리카락이 잔존하지 않도록 하므로 머리카락에 엉킨 잔여물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로 구성된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공기의 유속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로 구성된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청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시스템(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가 개시되고, 도 7은 도 6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개시되고, 도 8는 도 7에서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개시되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청소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청소기(2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흡입부(212)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에서 흡입부(212)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본체 하우징(211), 흡입부(212), 싸이클론부(213), 흡입 모터(214), 공기 배출 커버(215), 핸들(216) 및 조작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청소기(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흡입 모터(214)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본체 하우징(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212)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연장관(25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 유로(212a)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흡입부(212)의 내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š, 상기 가상의 선의 흡입 유로의 길이 방향 축(a1)을 의미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되며, 흡입부(212)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 즉, 싸이클론부(213)는 먼지통(220)의 내주면을 따라 도는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싸이클론부(213)는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 중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즉,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청소기(20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한 것이거나,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경우 발생하는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필터 바디(31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공간은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2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싸이클론부(213)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싸이클론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 형태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을 기준으로 필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유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싸이클론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이 중력 방향 하측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을 기준으로 필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또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을 기준으로 필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싸이클론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싸이클론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또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을 따라 나선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200)는 싸이클론부(213)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싸이클론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200)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싸이클론 모듈(270)은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싸이클론 모듈(270)은 흡입 모터(2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싸이클론 모듈(270)은 필터부(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싸이클론부(213)와 싸이클론 모듈(270)은 필터부(300)를 사이에 두고 먼지통(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싸이클론 모듈(270)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싸이클론부(213)에서 배출된 공기는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271)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싸이클론 모듈(270)은 단일의 싸이클론 바디(27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싸이클론 모듈(27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 모듈(27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싸이클론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과 싸이클론 모듈(27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동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싸이클론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으로 통칭될 수 있다.
먼지통(22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저장 유닛(510)이 배치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싸이클론 모듈(270)의 하측에 결합되며 배출 커버(222)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하측은 개구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을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 먼지 저장부(510a)와,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 먼지 저장부(510b)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유닛(510)과 먼지통(220) 사이 공간이 제1 먼지 저장부(510a)로, 저장 유닛(510)의 하측 내부 공간이 제2 먼지 저장부(510a)로 정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제1 먼지 저장부(510a)와 제2 먼지 저장부(510b)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즉, 제1 먼지 저장부(510a)와 제2 먼지 저장부(510b)를 함께 외부에 노출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해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모터(214)를 작동시키는 경우,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싸이클론부(213)에서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모터(214)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흡입 모터의 회전축(a2)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대략적으로 중앙부가 먼지통(220)과 본체 하우징(211)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의 적어도 일부는 싸이클론부(21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터(214)는 먼지통(2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싸이클론 모듈(27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모듈(270)과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91b)와, 배출 가이드(291b)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91a)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 가이드(291b)는 싸이클론 모듈(270)의 상측에 위치되고, 유동 가이드(291a)는 배출 가이드(291b)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의 적어도 일부는 유동 가이드(291a)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싸이클론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은 흡입 모터(214)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 모터(214)가 싸이클론 모듈(270)의 상측에 위치되면,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흡입 모터(214)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어, 싸이클론부(213)와 흡입 모터(214)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14a)는 샤프트(214b)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14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임펠러(214a)는 흡입 모터(2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임펠러(214a)에 의해서 공기는 흡입 모터(214)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임펠러(214a)의 회전축과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a4)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싸이클론부(213)에서 배출된 공기, 즉,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흡입 모터(214)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흡입 효율이 증가하며, 나아가, 흡입 모터(21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9)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흡입 모터(214)를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2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292a, 292b)은 흡입 모터(214)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92a)과 흡입 모터(214)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9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각 모터 하우징(292a, 292b) 내부에 수용되고, 유동 가이드(291a)는 모터 하우징(292a, 292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291a)의 적어도 일부는 모터 하우징(292a, 292b)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유동 가이드(291a)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하우징(211)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가이드(291a)의 내주면과 상부 모터 하우징(292a)의 외주면은 제1 공기 유로(211a)를 형성할 수 있고, 유동 가이드(291a)의 외주면과 본체 하우징(211)의 내주면은 제2 공기 유로(211b)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유동 가이드(291a)가 복수 개의 공기 유로, 즉, 제1 공기 유로(211a)와 제2 공기 유로(211b)를 형성하고, 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 공기 유로(211a)를 따라 흡입 모터(214)로 유동할 수 있고, 흡입 모터(214)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 공기 유로(211b)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기 유로(211a)는 흡입 유로 역할을 하고, 제2 공기 유로(211b)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공기 배출 커버(215)는 본체 하우징(211)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291a)및 배출 가이드(291b)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216)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2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16)은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 또는 싸이클론부(213)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된 파지부, 파지부의 길이 방향(축 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흡입 모터(214)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파지부의 길이 방향(축 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먼지통(2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의 길이 방향(기둥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파지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파지부 관통축(a3)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파지부 관통축(a3)은 원기둥 형태의 핸들(216) 내부에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고, 파지부의 외측면(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핸들(216)의 상면은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장부는 파지부에서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는 파지부에서 먼지통(2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8)를 통하여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먼지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싸이클론부(213)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본체(221), 배출 커버(222), 먼지통 압축 레버(223) 및 압축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는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22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내부 공간)를 관통하고,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원통 형태의 먼지통 본체(221)에서 축 방향을 의미함)을 따라 연장 형성된 가상의 먼지통 관통선을 형성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에는 하면 연장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 연장부(221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배출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커버 본체(222a) 및 힌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힌지부(22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22b)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22b)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에서 분리될 경우,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에서 힌지부(222b)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커버(222)는 결합 레버(222c)를 통해 먼지통(2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220)의 전방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력 인가 시, 결합 레버(222c)는 커버 본체(222a)와 먼지통 본체(221)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22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가 닫혀있는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 및 하면 연장부(221a)에 의하여 막힐(실링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싸이클론부(21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싸이클론부(213)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와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2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와 압축자(미도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는 먼지통(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240)가 탈착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먼지통(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를 배터리 하우징(23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4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240)와 배터리 하우징(23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청소기(200)는 연장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50)은 청소 모듈(26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의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14)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60)은 연장관(2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지나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중력 및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221)의 외주면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흡입부(212)는 결합부(120)의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220)의 중심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장관(25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집진부(170) 및 먼지 집진부(170)로 먼지가 집진되는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먼지 흡입 모듈(1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바닥면(111), 외벽면(112) 및 상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1)은 먼지 흡입 모듈(190)의 중력 방향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111)은 먼지 흡입 모듈(190)의 집진 모터(17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111)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청소기(2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111)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1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는 바닥면(111)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111)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외벽면(112)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111)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면(112)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112)은 제1 외벽면(112a), 제2 외벽면(112b),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200)가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제2 외벽면(112b)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112c)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112d)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200)의 형상에 대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외벽면(112a)에는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외벽면(112a)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112b)은 제1 외벽면(112a)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외벽면(112b)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실내의 벽에 밀착시킬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외벽면(112b)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은 제1 외벽면(112a)과 제2 외벽면(112b)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112c)이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112c)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중력 방향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이라 함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3)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면(113)에는 표시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410)에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상태 및 청소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그 외에 청소 진행 상황, 청소 구역에 대한 지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부면(113)은 외벽면(1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3)이 분리되면, 외벽면(11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청소기(200)에서 분리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고,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며,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0)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본체(210),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면(121)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먼지 통과 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유입되도록 먼지통(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후술할 제1 흡입 유로(18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먼지통(2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먼지통(220)의 전방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돌기 이동 홀(122a)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 이동 홀(122a)을 따라 후술할 푸쉬 돌기(151)가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의 중력 방향 하측에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150)의 기어 등이 수용되는 기어 박스(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하측 면과 기어 박스(155)의 상측 면 사이에는 푸쉬 돌기(151)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공간(12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공간(122b)은 바이패스 홀(122c)을 통하여 제1 흡입 유로(181)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돌기 이동 홀(122a), 가이드 공간(122b), 바이패스 홀(122c) 및 제1 흡입 유로(181)는 하나의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도 14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220)이 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잔존하는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120)는 가이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서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측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4)은 결합면(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결합면(12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측벽(124)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벽(124)은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가이드 돌기(1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125)를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센서(12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측벽(124)을 지나 결합면(1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대향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과 함께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흡입부 가이드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은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은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에는 흡입부(212)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의 형상은 흡입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 출입홀(127)은 고정부재(131)가 출입 가능하도록 측벽(124)을 따라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먼지통 가이드면(122), 가이드 돌기(123) 및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의해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유닛(1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고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면(121)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1)와, 고정부재(131)를 구동시키는 고정부 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은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을 고정부재(131)에 전달하는 고정부 링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1)는 결합부(120)의 측벽(124)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을 고정시키도록 측벽(124)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31)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31)는 결합부(1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131)는 결합면(121)을 중심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 링크(135)는 고정부 모터(133)의 회전력을 고정부재(131)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고정 실러(136)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기밀하도록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되면, 청소기(200)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 실러(136)를 가압할 수 있고,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122)이 밀봉될 수 있다.
고정 실러(136)는 고정부재(13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133)가 작동되어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을 가압하면, 먼지통(220)의 동일한 높이 상의 둘레를 밀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실러(136)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150)의 배치에 대응하여 꺾인 선 형태로 먼지통 가이드면(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20)에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130)은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됨을 감지하는 경우,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켜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 도 12,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유닛(14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도어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도어(141), 도어 모터(142) 및 도어 암(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41)는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되고,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41)는 도어 본체(14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는 원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막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 본체(141a)의 상측에는 힌지부가 배치되고, 도어 본체(141a)의 하측에는 암 결합부(141b)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기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에 배치된 내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면와 내측면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본체(141a)의 내측면에는 힌지부와 암 결합부(141b)를 연결시키고, 도어 본체(141a)의 지지력 강화를 위한 보강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는 도어(141)를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힌지부는 도어 본체(141a)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결합면(121)과 결합될 수 있다.
암 결합부(141b)는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암 결합부(141b)는 도어 본체(141a)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본체(141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141)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당기면, 힌지부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밀면, 힌지부(141b)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막힐 수 있다.
한편,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고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141)는 배출 커버(222)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41)의 회전에 따라 배출 커버(222)는 도어(141)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 암(1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적어도 일부 폐쇄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어 암(143)은 도어(141)와 도어 모터(142)를 연결시키고, 도어 모터(142)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14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암(143)은 제1 도어 암(143a)과 제2 도어 암(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14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143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143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143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타측 단부는 도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은 도어(141)를 밀거나 당겨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도어 개폐 감지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도어(141)가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 암(143)의 회전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141)의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도어(141)가 소정 위치까지 열리게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암(143)이 미리 설정된 도어 폐쇄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도어(141)가 소정 위치까지 열리게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어 유닛(140)은 결합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외벽면(112a)의 외측과 유로부(180) 및/또는 먼지 집진부(17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열리는 경우 같이 열릴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140)이 닫히면,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이와 연동하여 같이 닫힐 수 있다.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가 제거되는 경우,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141)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도어(141)는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를 향하여 밀 수 있다.
도 2,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버 개방 유닛(15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커버 개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150)은 결합부(120)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150)은 푸쉬 돌기(151), 커버 개방 모터(152), 커버 개방 기어(153), 지지판(154) 및 기어 박스(15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청소기(200) 결합 시,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돌기 이동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푸쉬 돌기(151)가 돌기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결합 레버(222c)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 레버(222c)는 돌기 이동 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레버(222c)는 푸쉬 돌기(151)의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151)는 기어 박스(155)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커버 개방 기어(153)와 결합되어, 커버 개방 기어(153)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커버 개방 모터(152)는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모터(152)는 모터 샤프트(미도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푸쉬 돌기(151)가 결합 레버(222c)를 누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결합 레버(222c)를 누른 푸쉬 돌기(1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는 커버 개방 모터(152)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152)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153)는 기어 박스(15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의 구동기어(153a)는 커버 개방 모터(152)의 모터 샤프트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의 피동기어(153b)는 푸쉬 돌기(151)와 결합되어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피동기어(153b)는 랙 기어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기어(153a)와 치합되고, 구동기어(153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배출 커버(222)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출 커버(222)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는 개방될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과 먼지통(22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기어 박스(15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되며, 커버 개방 기어(153)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기어 박스(155)에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기어 박스(155)의 내측 면 또는 외측 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기어 박스(155)의 내측면에 한 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푸쉬 돌기(151)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기어 박스(155)의 외측 면에 두 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푸쉬 돌기(151)의 초기 위치 및 커버 개방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유닛(15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청소기의 배출 커버(222)를 열지 않고도 먼지통(220)을 개방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커버(222)가 열리므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여 먼지 집진부(17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집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집진부(170)는 집진 모터(191)에 의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봉투를 의미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집진부(17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 수 있고, 새로운 먼지 집진부(170)가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먼지 집진부(170)는 소모성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지 봉투는 집진 모터(19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봉투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봉투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먼지 봉투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는 롤 비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가 밀봉 또는 접합되면 먼지 봉투 내부에 포집된 먼지 또는 악취가 먼지 봉투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봉투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미도시)를 통하여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먼지 봉투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를 통하여 교체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유로부(18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유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80)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유로부(180)는 결합면(121)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부(180)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유로부(180)는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후측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먼지 및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되면, 먼지통(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흡입 유로(181), 제1 흡입 유로(181)와 먼지 집진부(170)의 내부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 흡입 유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 유로(181)는 흡입 모터(214)의 축선 또는 먼지통(220)을 관통하는 가상의 관통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 모터(214)의 축선 또는 먼지통(220)의 관통선은 제1 흡입 유로(181)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 유로(182)는 제1 유로(181)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 유로(181)와 제2 흡입 유로(182)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유로부(180)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여 먼지 흡입 모듈(19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흡입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흡입 모듈(190)은 집진 모터(191), 제1 필터(192) 및 제2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먼지 집진부(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유로부(18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191)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모터(191)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비우기 위해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시켜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키는 경우,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싸이클론부(213)에서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 모터(191)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집진 모터 축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필터(192)는 먼지 집진부(170)와 집진 모터(1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192)는 프리 필터일 수 있다.
제2 필터(미도시)는 집진 모터(191)와 외벽면(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미도시)는 헤파(HEPA)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충전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측면 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먼지 집진부(17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17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배기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구(311)는 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구(311)는 하우징(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집진 모터(191)와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 모터(191)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311)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필터부(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부(300)는 싸이클론부(21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부(300)는 싸이클론부(213)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싸이클론 모듈(27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필터부(300)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 필터(mesh filter)일 수 있다.
필터부(300)는 필터 바디(310) 및 필터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바디(310)는 먼지통(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바디(310)는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모듈(270)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는 싸이클론부(213)와 싸이클론 모듈(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은 필터 바디(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은 싸이클론 유동의 축(a4)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필터 바디(310)의 중심축(a5)은 싸이클론 유동의 축(a4)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바디(310)의 두께는 0.3mm 내지 0.4mm일 수 있다. 이때, 필터 바디(310)의 두께란 필터 바디(3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필터 바디(3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바디(3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홀(320)은 필터 바디(3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필터홀(320)은 필터 바디(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홀(320)은 소정 직경을 가지는 구멍으로서, 싸이클론부(21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큰 이물질들은 필터홀(32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들은 필터홀(32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필터홀(320)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 바디(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싸이클론 모듈(27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 바디(310)의 외측 및/또는 외부란 필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싸이클론부(213)와 마주하는 방향이고, 필터 바디(310)의 내측 및/또는 내부란 필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싸이클론 모듈(270)과 마주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싸이클론부(213)에서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필터 바디(310)의 외측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에서 필터홀(320)을 통해 필터 바디(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절곡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 바디(310)의 외측을 따라 유동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필터홀(320)의 입구 측에서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 바디(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필터 바디(310)의 외측을 따라 유동하는 싸이클론 유동은 필터홀(320)의 입구 측에서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 바디(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때, 필터홀(320)의 입구 측이란 싸이클론부(213)에서 필터홀(320)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홀(320)의 입구 측이란 필터홀(320)과 싸이클론부(213) 사이의 경계가 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필터홀(320)의 출구 측이란 필터홀(320)에서 싸이클론 모듈(270)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홀(320)의 출구 측이란 필터홀(320)과 싸이클론 모듈(270) 사이의 경계가 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가 개시되고, 도 1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가 개시되고, 도 1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공기의 유속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200)의 가이드부(5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부(500)는 싸이클론부(213)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2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싸이클론부(213)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가이드부(500)는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싸이클론부(213)의 외측, 즉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먼지통(220)의 내주면이란 원통 형태를 갖는 먼지통(220)의 내측 원주 둘레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여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속 분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9에서는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노란색 또는 녹색 부분)의 유속이 어두운 부분(파란색 부분)의 유속보다 빠른 것을 의미한다. 즉, 도 19에서는 먼지통(220)의 중심부에서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까울수록 먼지통(2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른 것을 의미한다.
흡입 모터(214) 또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하여 싸이클론부(213)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때, 싸이클론부(213)의 내측, 즉 먼지통(220)의 중심부에서 공기의 유속은 0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싸이클론부(213)의 외측, 즉 먼지통(220) 내부 공간 중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까운 공간에서 공기의 유속은 30m/s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때,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원심력에 의해 싸이클론부(213)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공기 유속은 빨라지고,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서는 공기 유속은 0에 가까워지는 데드 존(dead zone)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데드 존(dead zone)이란 지역적으로 두 개의 지역 사이의 중립지역, 또는 통신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에 신호가 잡히지 않아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국소 지역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데드 존이라 함은 싸이클론부(213) 내부에서 공기 유속이 0에 가까워지는 공간, 즉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싸이클론부(213)는 먼지통(220)의 내주면을 따라 도는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싸이클론부(213)는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 중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는 먼지통(220)의 중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저장 유닛(510)과 가이드 리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 유닛(510)은 흡입 모터(214) 또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공기 유속이 0에 가까워지는 데드 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 존은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0에 가까워지는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먼지통(220)의 내주면을 따라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하므로,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란 먼지통(220)의 중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먼지통(2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과 먼지통(220)의 내주면 사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을 싸이클론부(213)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 먼지 저장부(510a)와, 싸이클론 모듈(2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 먼지 저장부(510b)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유닛(510)과 먼지통(220) 사이 공간이 제1 먼지 저장부(510a)로, 저장 유닛(510)의 하측 내부 공간이 제2 먼지 저장부(510a)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싸이클론 모듈(270)의 하측에 결합되며 배출 커버(222)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하측은 개구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길이 방향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먼지통(220)의 길이 방향 축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의 길이 방향 축은 먼지통(220)의 길이 방향 축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길이 방향 축은 싸이클론 유동의 축(a4)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의 길이 방향 축은 싸이클론 유동의 축(a4)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먼지통(220)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먼지통(220)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510)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는 경우,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싸이클론 유동을 형성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되므로, 싸이클론 유동을 따라 도는 먼지통(220) 내부의 머리카락은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된다. 즉, 저장 유닛(510)의 단면적이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작아질수록 머리카락과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 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이 감소되므로, 집진 모터(191) 작동시 머리카락이 먼지통(220)에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하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때, 싸이클론 유동에 의한 먼지통(220) 내부의 이물질과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 간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저장 유닛(510)은 싸이클론 모듈(270)의 하측에 결합되고 먼지통(220)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내부가 빈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511) 및 경사부(511)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직선부(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싸이클론부(213)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청소기(20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흡입 모터(214)가 작동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14)가 작동된 상태에서,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집진 모터(191)가 작동된 상태에서,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는 경우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먼지 통과 홀(121a)을 통과해 먼지 집진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집진 모터(191)가 작동된 상태에서,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를 따라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먼지 통과 홀(121a)을 통과해 먼지 집진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에서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리브(520)는 먼지통(22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을 따라 저장 유닛(5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과 먼지통(22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저장 유닛(510)에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20)는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DF)에 대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므로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DF)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리브(520)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보다 안정적으로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까워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의 적어도 일부는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의 적어도 일부는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 즉 데드 존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을 따라 가이드 리브(520)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즉,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싸이클론 유동을 타고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데드 존을 벗어나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깝고,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빠른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는 경우,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을 따라 가이드 리브(520)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즉,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싸이클론 유동을 타고 싸이클론부(213) 내부의 데드 존을 벗어나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깝고,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빠른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서 가이드 리브(520)를 타고 데드 존을 벗어난 머리카락은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 통과 홀(121a) 및 유로부(180)를 거쳐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은 제1 측면(520a), 제2 측면(520b) 및 절곡면(52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측면(520a)은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DF)의 후방, 즉 가이드 리브(520)가 기울어진 방향의 후방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측면(520b)은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DF)의 전방, 즉 가이드 리브(520)가 기울어진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절곡면(520c)은 제1 측면(520a)과 제2 측면(520b)을 연결하도록 제1 측면(520a)과 제2 측면(520b)의 사이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싸이클론부(213)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저장 유닛(510)이 위치하는 싸이클론부(213)의 중심부에서 유속이 느려지게 되는데,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을 따라 느리게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 리브(520)의 제1 측면(520a)을 타고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까워질 수 있다.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므로, 제1 측면(520a)을 타고 상승한 공기는 절곡면(520c)에서 제2 측면(520b)을 향해 절곡되지 않고 절곡면(520c) 상의 소정 위치에서 절곡면(520c)으로부터 이탈하여 먼지통(220)의 내주면과 가깝게 위치한 싸이클론 유동을 타고 유동하게 된다.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과 가이드 리브(520)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드 리브(520)의 측면 사이에는 저장 유닛(510)과 가이드 리브(520)를 연결하는 곡선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과 가이드 리브(520)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측면(520b) 사이에는 저장 유닛(510)과 가이드 리브(520)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호(arc) 형상의 곡선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520a)을 타고 먼지통(220)의 내주면에 가까워지도록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곡면(520c)에서 이탈하지 못하고, 절곡면(520c) 및 제2 측면(520b)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측면(520b)을 타고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곡선부(530)를 따라서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을 타고 유동하게 되므로 제2 측면(520b)과 저장 유닛(5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된다.
가이드 리브(520)는 먼지통(220)의 바닥면(220a)을 향할수록 싸이클론부(213) 내부를 유동하는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싸이클론부(213) 내부를 유동하는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20)는 먼지통(220)의 바닥면(220a)을 향할수록 높이(H)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20)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H)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어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때, 싸이클론 유동에 의한 먼지통(220) 내부의 이물질과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 간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는 경우, 싸이클론부(213)의 내부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은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싸이클론 유동을 형성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되므로, 싸이클론 유동을 따라 도는 먼지통(220) 내부의 머리카락은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먼지통(220)을 빠져나가게 된다. 즉, 가이드 리브(520)의 높이가 먼지 통과 홀(121a)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낮아질수록 머리카락과 가이드 리브(520)의 외주면 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이 감소되므로, 집진 모터(191) 작동시 머리카락이 먼지통(220)에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시스템(10)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0)은 결합부(120), 고정 유닛(130), 도어 유닛(140), 커버 개방 유닛(150), 먼지 집진부(170), 유로부(180), 먼지 흡입 모듈(190), 흡입 모터(214), 조작부(218) 및 배터리(24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401)와, 청소기(200)를 제어하는 청소기 제어부(402)로 구분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401)와 청소기 제어부(402)는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스테이션 제어부(401)와 청소기 제어부(402)는 제어부(400)로 통칭한다.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의 결합을 감지하면,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28)에서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작동시켜,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131) 또는 고정부 링크(135)가 소정 고정 지점까지 이동하면, 고정 감지부(137)가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400)는 고정 감지부(137)로부터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20)의 비움이 종료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청소기(2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를 작동시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도어(14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141) 또는 도어 암(143)이 소정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 개폐 감지부(137)로부터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20)의 비움이 종료되면, 도어 모터(1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를 작동시켜,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가이드 프레임(151e)이 소정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를 구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흡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작동시켜 청소기(200)에 대한 먼지통 비움 상황 및 충전 상황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표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1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 별도의 표시 장치에 배치될 수 있고, 휴대 전화를 포함한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410)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구동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입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4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표시부(4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청소기 시스템 100: 청소기 스테이션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21: 결합면 121a: 먼지 통과 홀
130: 고정 유닛 131: 고정부재
133: 고정부 모터 135: 고정부 링크
140: 도어 유닛 141: 도어
142: 도어 모터 143: 도어 암
150: 커버 개방 유닛 151: 푸쉬 돌기
152: 커버 개방 모터 153: 커버 개방 기어
154: 기어 박스 160: 배기 유로
170: 먼지 집진부 180: 유로부
181: 제1 흡입 유로 182: 제2 흡입 유로
190: 먼지 흡입 모듈 191: 집진 모터
200: 청소기 210: 본체
211: 본체 하우징 211a: 제1 공기 유로
211b: 제2 공기 유로 212: 흡입부
213: 싸이클론부 214: 흡입 모터
214a: 임펠러 214b: 샤프트
216: 핸들 220: 먼지통
220a: 바닥면 222: 배출 커버
222c: 결합 레버 223: 먼지통 압축 레버
230: 배터리 하우징 240: 배터리
250: 연장관 260: 청소 모듈
270: 싸이클론 모듈 271: 싸이클론 바디
291a: 유동 가이드 291b: 배출 가이드
292a: 상부 모터 하우징 292b: 하부 모터 하우징
300: 필터부 310: 필터 바디
320: 필터홀 400: 제어부
500: 가이드부 510: 저장 유닛
510a: 제1 먼지 저장부 510b: 제2 먼지 저장부
511: 경사부 512: 직선부
520: 가이드 리브 520a: 제1 측면
520b: 제2 측면 520c: 절곡면
530: 곡선부 a1: 흡입 유로의 길이 방향 축
a2: 흡입 모터의 회전축 a3: 파지부 관통축
a4: 싸이클론 유동의 축 a5: 필터 바디의 중심축

Claims (19)

  1. 먼지통;
    상기 먼지통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싸이클론 유동으로 발생시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의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에 대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저장 유닛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연결하는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먼지통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저장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안착하여 결합되는 결합부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먼지 통과 홀과 상기 먼지 집진부를 연결시키는 유로부와,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해 상기 먼지 집진부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을 통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의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에 대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저장 유닛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연결하는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저장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통과해 상기 먼지 집진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KR1020220107448A 2022-08-26 2022-08-26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KR20240029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48A KR20240029237A (ko) 2022-08-26 2022-08-26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48A KR20240029237A (ko) 2022-08-26 2022-08-26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237A true KR20240029237A (ko) 2024-03-05

Family

ID=902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448A KR20240029237A (ko) 2022-08-26 2022-08-26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2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28A (ko)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필룩스 컴퓨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28A (ko)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필룩스 컴퓨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2911B (zh) 用於吸塵器的停靠站及其控制方法
US7510587B2 (en) Vacuum cleaner
TW202137926A (zh) 清掃機站、清掃機系統及其控制方法
KR20220073946A (ko) 청소기 스테이션
TWI809524B (zh) 吸塵器停靠站
KR20240029237A (ko)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TWI789813B (zh) 吸塵器停靠站
TWI797665B (zh) 吸塵器停靠站
KR20240018289A (ko) 청소기 및 청소기 시스템
KR20230133655A (ko) 청소기 스테이션
CN219461030U (zh) 清洁器站
KR20230165439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8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46863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7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4004496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19785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6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5260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082404A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06957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2023008393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089401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20073945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040176A (ko)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