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120A -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120A
KR20210073120A KR1020190163613A KR20190163613A KR20210073120A KR 20210073120 A KR20210073120 A KR 20210073120A KR 1020190163613 A KR1020190163613 A KR 1020190163613A KR 20190163613 A KR20190163613 A KR 20190163613A KR 20210073120 A KR20210073120 A KR 2021007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leaning
cleaning module
clean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효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120A/ko
Priority to PCT/KR2020/015993 priority patent/WO2021118079A1/ko
Priority to AU2020402278A priority patent/AU2020402278A1/en
Priority to CN202080086003.5A priority patent/CN114786551B/zh
Priority to TW109140149A priority patent/TWI792096B/zh
Priority to US17/116,322 priority patent/US11857141B2/en
Publication of KR2021007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obo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청소기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고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시각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VACUUM CLEANER AND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내어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를 이용하여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청소기와,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911호에는 개선된 형태의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6377호에는 이러한 청소기를 거치하는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청소기 충전대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된 청소기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흡입노즐이 흡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청소기와 청소기 충전대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능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청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 가정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적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뜻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2911 A (2017.10.12.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26377 A (2017.11.17. 공개)
본 명세서는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에서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인식하고, 청소 과정의 시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청소를 추천하거나 청소모듈의 세척 또는 교체를 제안할 수 있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누적된 청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하고, 청소 패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청소모듈을 인식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청소기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미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미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특정 대상에 기준 시간 동안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대상의 청소가 필요함을 제안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는 전류, 전압, 부하 전류(load current)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누적된 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누적시간 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누적된 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누적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청소모듈의 세척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능동적으로 알려 청소기 효율을 유지하고 위생적인 청소기 사용을 담보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모듈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엿음을 알려 고장으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누적시간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세척이 필요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기준 누적시간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교체가 필요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에 대응하는 구매 가능한 목록과 구매 사이트 링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모드별 사용시각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모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변환하여 저장하여,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상이한 사용모드별로 독립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청소 패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청소를 제안하거나, 청소 스케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 및 사용시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청소 패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청소 패턴 정보에는 사용이 필요한 청소모듈들의 스케쥴링과 작동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청소를 제안하거나, 청소 스케쥴을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소 패턴 정보에는 사용이 필요한 청소모듈들의 리스트 및 순서와, 각 청소모듈들의 작동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센서로부터 결합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전류, 전압, 부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사용시간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청소모듈에 대하여 모터의 출력을 달리하는 복수의 사용모드를 제공하고,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는,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전류, 전압, 부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정보와,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의 정보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제1 무선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기와, 상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흡입력을 달리하는 복수의 사용모드를 제공하는 사용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무선송신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송신기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통신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청소모듈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2 통신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모듈에 마련되고 상기 청소모듈의 정보를 전달하는 제2 무선송신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무선송신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와 상기 청소기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청소기는 센서로부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송신기를 통해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메모리는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프로세서는, 현재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특정 대상에 기준 시간 동안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대상의 청소가 필요함을 제안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청소기 제품에서도 IOT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에서 결합되는 청소모듈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고, 해당 청소모듈의 사용 데이터, 부하 데이터, 오염 데이터 등의 정보를 청소기 본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청소모듈의 누적 시간을 관리하여 세척이 필요한 시기 또는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청소기의 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매 청소과정을 기록으로 저장하고,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청소가 필요한 부분을 제안하고, 청소 스케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청소기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프로세서의 예시를 나타낸 블륵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는 청소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와 청소모듈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와 청소모듈의 결합부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와 청소모듈의 결합부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청소기(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제어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제어 시스템은, 청소기(100)와, 청소기(100) 제어 또는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20)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30)와, 스마트 디바이스(20)와 청소기(100) 및 서버(30)간 통신을 위한 인터넷(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제어부(101), 입력부(102), 출력부(103), 센싱부(104), 메모리(105), 통신모듈(106) 및 전원 공급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콘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청소기(100)의 손잡이 근방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에 형성될 수 있고, 터치 버튼 또는 누름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 형태로 마련되어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출력부(103)는 영상 출력부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 출력부로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는 LC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순히 단수 또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피커는 선택음, 경고음, 청소 시작 또는 청소 완료 알림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이외의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센싱부(104)는 후술하는 구동부의 전류 값(또는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와, 구동부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센서와, 구동부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와, 작동 시간 및 시각을 감지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DRAM(리프레시를 필요로 하는 RAM), SRAM(리프레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RAM), ROM, EPROM, EEP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06)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6)은 송수신기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송신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원공급부(107)와 청소기(10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모터 또는 모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는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주 구동모터와 청소기 흡입단에 마련되는 흡입노즐에 설치되어 롤러의 회전력 등을 발생시키는 보조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제어부(21), 입력부(22), 메모리(23), 전원 공급부(24), 무선 통신부(25), 음향 출력부(26) 및 디스플레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는 디스플레이부(27)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 방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5)는 인터넷(40)과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26)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설치한 청소기(100) 관리 또는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시키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청소기(100) 관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넷(40)을 통해 서버(30)에 저장된 청소기(100)의 관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20)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은 인터넷(4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서버(30)로 전송되고, 서버(30)에서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청소기(100)의 통신모듈(106)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06)을 통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은 청소기(100)의 제어부(101)로 수신되고, 제어부(101)에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1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센싱부(104)에서 수신되는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신모듈(106)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청소기(100)의 통신모듈(106)을 통하여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에서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40)을 통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무선 통신부(25)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5)로 수신된 이벤트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27)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01), 입력부(102), 출력부(103), 센싱부(104), 메모리(105), 통신모듈(106) 및/또는 전원 공급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콘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로부터 물리신호 또는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물리버튼 또는 터치버튼과,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101)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로부터 이미지를 입력받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3)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오디오 신호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03)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기반하여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청소 정보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고, 동시에, 출력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센싱부(104)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동부의 전류, 전압, 부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시각을 알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 또는 장애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05)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 전송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05)에 저장되고,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01) 의하여 상기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통신모듈(106)은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 또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06)은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06)은 5G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모듈(106)은 5G 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06)은,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인터넷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부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 또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는 본 명세서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 주변에, 상기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1)는 상기 감지된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가 본 명세서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인 경우,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의 사용자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청소 정보를 수신하고, 청소 정보를 다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7)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07)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입력부(102), 출력부(103), 센싱부(104), 메모리(105), 통신모듈(106) 및 전원 공급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입력부(102)와 출력부(103)를 제어하여, 맞춤형의 청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센싱부(104)를 제어하여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에 필요한 정보들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센싱부(104)로부터 전류/전압 값, 부하 값, 토크 값, 작동시간과 작동시각 정보, 사용자 인식정보 및/또는 장애물 감지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메모리(105)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 영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영상만을 이용(메타 러닝(Meta Learning))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분류하기 위한 얼굴 분류 모델을 생성/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메모리(105)에 저장된 복수의 식품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의 식품 영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영상만을 이용하여 식품을 분류하기 위한 식품 분류 모델을 생성/학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통신모듈(106)을 제어하여 외부의 이동 단말기로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1)의 기능/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프로세서의 예시를 나타낸 블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제어부(101)는 AI 장치(50)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AI 장치(50)는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는 AI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또는 상기 AI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AI 프로세싱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AI 프로세싱은, 도 3에 도시된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된 모든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 또는 획득된 데이터를 AI 프로세싱 하여 처리/판단, 제어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AI 프로세싱 하여 지능형 전자 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I 장치(50)는 AI 프로세싱 결과를 직접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AI 프로세싱 결과를 다른 기기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환경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AI 장치(50)는 AI 프로세서(51), 메모리(55) 및/또는 통신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 장치(50)는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I 프로세서(51)는 메모리(5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특히, AI 프로세서(51)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모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 뉴런의 시냅틱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신경망은 신경망 모델에서 발전한 딥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예는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Boltzmann Machine),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s),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와 같은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을 포함하며, 컴퓨터비젼,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음성/신호처리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일 수 있으나,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AI 전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GPU)일 수 있다.
메모리(55)는 AI 장치(5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5)는 비 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D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55)는 AI 프로세서(51)에 의해 액세스되며, AI 프로세서(51)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인식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신경망 모델(예를 들어, 딥 러닝 모델(26))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AI 프로세서(51)는 데이터 분류/인식을 위한 신경망을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52)는 데이터 분류/인식을 판단하기 위하여 어떤 학습 데이터를 이용할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하고 인식할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52)는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학습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52)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AI 장치(5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52)는 인공지능(AI)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범용 프로세서(CPU)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AI 장치(5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52)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52)는 학습 데이터 획득부(53) 및 모델 학습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획득부(53)는 데이터를 분류하고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 모델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 획득부(53)는 학습 데이터로서,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차량 데이터 및/또는 샘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델 학습부(54)는 상기 획득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이 소정의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할지에 관한 판단 기준을 가지도록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모델 학습부(54)는 학습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판단 기준으로 이용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는 모델 학습부(54)는 지도 없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판단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54)는 학습에 따른 상황 판단의 결과가 올바른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여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54)는 오류 역전파법(error back-propagation) 또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cent)을 포함하는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이 학습되면, 모델 학습부(54)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모델 학습부(54)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AI 장치(5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학습부(52)는 인식 모델의 분석 결과를 향상시키거나, 인식 모델의 생성에 필요한 리소스 또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학습 데이터 전처리부(미도시) 및 학습 데이터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학습 데이터 전처리부는 획득된 데이터가 상황 판단을 위한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 전처리부는, 모델 학습부(54)가 이미지 인식을 위한 학습을 위하여 획득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선택부는, 학습 데이터 획득부(53)에서 획득된 학습 데이터 또는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 중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학습 데이터는 모델 학습부(54)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 선택부는, 지능형 전자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중 특정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데이터만을 학습 데이터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52)는 신경망 모델의 분석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델 평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델 평가부는, 신경망 모델에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평가 데이터로부터 출력되는 분석 결과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델 학습부(52)로 하여금 다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데이터는 인식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 정의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모델 평가부는 평가 데이터에 대한 학습된 인식 모델의 분석 결과 중, 분석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평가 데이터의 개수 또는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통신부(57)는 AI 프로세서(51)에 의한 AI 프로세싱 결과를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기기는, 자율주행 차량, 로봇, 드론, AR 기기,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가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 상기 AI 장치(50)는 상기 자율 주행 모듈 차량과 통신하는 다른 차량 또는 5G 네트워크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I 장치(50)는 차량 내에 구비된 자율주행 모듈에 기능적으로 임베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5G 네트워크는 자율 주행 관련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AI 장치(50)는 AI 프로세서(51)와 메모리(55), 통신부(57) 등으로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AI 모듈로 호칭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200)와,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는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와 청소모듈(210)을 연결하는 길이조절부재(220)와,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는 배터리(400)와, 청소기 본체(200)가 거치되는 청소기 거치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유동기(미도시)가 설치되는 몸통부(201)와, 몸통부(201)의 후방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02)와, 몸통부(201)의 전방에 연결되고 청소모듈(210) 또는 길이조절부재(220)가 결합되는 연결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210)은 먼지 등을 빨아들이는 흡입부(211)와, 청소기 본체(200) 또는 길이조절부재(220)에 결합되는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220)는 일 단이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고, 타 단이 청소모듈(2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재(220)는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재(220)는 탄성적으로 변경 가능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재(220)는 일 단이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고, 타 단에 흡입부(미도시)가 마련되어 별도의 청소모듈이 결합되지 않고도 흡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400)는 청소기 본체(200)의 몸통부(20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청소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400)는 청소기 거치대(300)의 배터리 수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400)는 2개가 마련되어, 하나는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는 청소기 거치대(300)에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대(300)는 스탠드 형 또는 벽걸이 형의 몸체부(301)와, 배터리(400)가 충전되는 배터리 수용부(302)와, 청소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청소기 지지부(303)와,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된 배터리(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벽걸이 형의 몸체부(301)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바닥 위에 서 있는 상태로 마련되는 스탠드 형의 몸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는 청소기 지지부(303)에 지지된 상태에서 배터리(400)가 충전부(3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200)를 청소기 거치대(300)에 거치시키는 동안 배터리(40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거치대(300)는 전원선(310)을 통해 외부 콘센트(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310)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는 청소기 거치대의 충전부(304)를 통해 청소기 본체(200)에 수용된 제1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배터리 수용부(302)에 거치된 제2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200)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흡입부가 모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청소모듈(210)은 기능별로 복수 개 마련되고, 사용자는 청소대상에 맞는 청소모듈(210)을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청소모듈(210)은 기본적인 마룻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침구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매트리스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카펫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물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굳은 먼지용, 구부러지는 틈새용, 상부 청소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청소모듈이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2in1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221)과 틈새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222)이 청소기 거치대(300)에 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2in1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221)은 버튼 조작으로 솔의 길이를 조절하여, 소파나 매트리스를 청소할 경우에는 기본형으로 사용하고, 액자나 가구를 청소할 경우에는 솔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틈새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222)은 흡입구가 폭이 좁은 노즐 형태로 마련되어 좁은 틈새에 삽입시켜 먼지 등을 빨아들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모듈(210)이 탈부착 가능한 모듈식으로 마련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청소모듈(210)을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00)는 청소모듈(210)으로부터 사용 청소모듈의 정보 및 부하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200)에 마련되는 메인회로(MCU: Micro Controller Unit)는 청소모듈(210)과 연결되는 전원선에서 측정되는 전류 값(또는 전압 값)을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청소모듈(210)이 무엇인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모듈(210)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전원선의 전류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메인회로는 청소모듈(210)에 가해지는 부하 정보 또는 토크 정보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모터의 토크는 회전자에 흐르는 부하 전류(load current)에 비례한다. 모터의 부하가 증가하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토크가 증가하여 부하와 균형이 잡혀 안정적인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토크와 부하 전류의 관계는 토크 특성 곡선(torque characteristic curve)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로는 어떤 청소모듈(210)을 어느 시기에, 어느 시간동안 사용했는지에 관한 정보, 즉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의 흡입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사용모드가 강/중/약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 메인회로는 사용자가 사용한 사용모드별 사용시간과 사용출력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로는 이들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사용한 청소모듈별 사용 누적시간 및 사용빈도 정보를 서버(3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30)는 누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청소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사용자의 청소패턴을 분석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 또는 청소기(100)에 필요한 청소유형을 추천하여 청소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100)의 누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할 때, 마지막으로 침구류 청소를 진행한지가 2달이 지난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침구류 청소를 진행할 때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밖에도 서버(30)는 청소모듈(210) 부품의 세척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거나, 청소모듈(210)이 고장나거나 교체시기가 경과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7는 청소기(100)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는 전원선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청소기 본체(200)와 서버(3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서버(30)와 스마트 디바이스(2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의 결합부는 청소기 본체(200)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청소모듈(210)로 전달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흡입관과, 청소모듈(21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선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의 메인회로는 전원선의 전류 값(또는 전압 값)을 통해 어떤 청소모듈(210)이 결합되었는지, 현재 사용 중인지, 가해지는 부하 내지 토크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는 전원선을 통한 물리적으로 연결과 함께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청소기 본체(200)와 서버(3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서버(30)와 스마트 디바이스(2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의 결합부는 청소기 본체(200)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청소모듈(210)으로 전달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흡입관과, 청소모듈(21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선과, 청소모듈(210)의 사용 정보를 전달하기 통신선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의 메인회로는 통신선의 정보를 통해 어떤 청소모듈(210)이 결합되었는지, 현재 사용 중인지,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전원선의 전류(또는 전압) 정보에는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노이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이들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의 식별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별도의 통신선을 이용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정보만을 별도의 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구전용 청소모듈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가동전류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전원선을 통해 사용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선과 별도로 통신선을 마련하고, 통신선을 통해 청소모듈(210)의 사용정보를 전달하여 누락되는 정보없이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청소모듈(210)과 청소기 본체(200)는 전원선을 통한 물리적으로 연결과 함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청소기 본체(200)와 서버(3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서버(30)와 스마트 디바이스(2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소모듈(210)에는 사용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송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에는 청소모듈(210)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의 메인회로는 수신부의 정보를 통해 어떤 청소모듈(210)이 결합되었는지, 현재 사용 중인지,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의 수단으로는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200)와 청소모듈(210)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200)와 청소모듈(210)의 결합부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청소기 본체(200)는 몸통부(201)의 전방에 연결되고 청소모듈(210) 또는 길이조절부재(220)가 결합되는 연결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3)는 몸통부(201)의 전방에 돌출되는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모듈(210) 또는 길이조절부재(220)의 일 단부에는 연결부(203)에 결합되는 결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2)는 연결부(203)가 수용될 수 있는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212)의 내경은 연결부(20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조금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03)와 결합부(212)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연결부(203)의 외주면에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03c)과 결합부(212)의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기(212c)의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212c)는 결합부(212)와 힌지(hinge)로 연결되고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연결부(203)를 결합부(212) 내측 공간으로 삽입시키면 결합돌기(212c)가 탄성부재를 가압한 상태로 눌리게 되고, 연결부(203)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212c)가 결합홈(203c)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203)와 결합부(21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리시에는 결합부(212)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누름쇠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쇠를 누르면, 이와 연결된 결합돌기(212c)가 탄성부재를 가압한 상태로 눌리게 된다. 즉, 결합돌기(212c)가 결합홈(203c)으로부터 분리되어 연결부(203)를 결합부(2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연결부(203)는 청소기 본체(200)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청소모듈(210)로 전달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1 흡입관(203a)과, 청소모듈(21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원 연결부(203b)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2)는 연결부(203)의 흡입력이 전달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2 흡입관(212a)과, 제1 전원 연결부(203b)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 전원 연결부(21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원 연결부(203b, 212b)는 제1 및 제2 흡입관(203a, 212a)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2개의 단자가 접속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원 연결부(212b)는 양 단자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제1 전원 연결부(203b)는 음 단자가 요입되도록 마련되어 제2 전원 연결부(212b)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연결부(203)와 결합부(212)가 결합하면서 흡입관(203a, 212a)과 전원 연결부(203b, 212b)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200)와 청소모듈(210)의 결합부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연결부(203)는 청소기 본체(200)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청소모듈(210)로 전달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1 흡입관(203a)과, 청소모듈(21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원 연결부(203b)와, 후술하는 제2 정보 연결부(212d)에 접속되어 정보를 전달받는 제1 정보 연결부(203d)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2)는 연결부(203)의 흡입력이 전달되고, 청소모듈(210)에서 빨아드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제2 흡입관(212a)과, 제1 전원 연결부(203b)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 전원 연결부(212b)와, 청소모듈(210)의 정보를 청소기 본체(200)의 메인회로에 전달하는 제2 정보 연결부(212d)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원 연결부(203b, 212b)는 제1 및 제2 흡입관(203a, 212a)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2개의 단자가 접속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원 연결부(212b)는 양 단자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제1 전원 연결부(203b)는 음 단자가 요입되도록 마련되어 제2 전원 연결부(212b)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정보 연결부(203d, 212d)는 제1 및 제2 전원 연결부(203b, 212b)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일 단자가 접속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연결부(212d)는 일 단자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제1 정보 연결부(203d)는 음 단자가 요입되도록 마련되어 제2 전원 연결부(212d)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연결부(203)와 결합부(212)가 결합하면서 흡입관(203a, 212a)과 전원 연결부(203b, 212b)와 정보 연결부(203d, 212d)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이용하여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타낸 블록도이다.
청소기(100)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청소모듈(210)이 모듈식으로 마련되고, 모듈형 청소모듈(210)이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청소기(100)의 청소모듈(210)을 결합할 수 있다(S100). 청소기(100)의 메모리(105, 도 3 참조)에는 사용가능한 청소모듈들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청소모듈(210)은 기본적인 마룻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침구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매트리스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카펫전용 흡입구를 구비하는 청소모듈과, 물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굳은 먼지용, 구부러지는 틈새용, 상부 청소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청소모듈이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청소기(100)의 제어부(101, 도 3 참조)는 결합된 청소모듈(210)이 메모리(105)에 저장된 청소모듈들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인식하여 특정할 수 있다(S110). 한편, 도면과 달리 청소모듈을 인식하는 단계는 서버(3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후술할 청소정보 전송 단계(S150) 이후에 청소모듈을 인식하여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청소기(100)를 이용하여 청소를 시작하면(S120), 청소기(100)의 센싱부(104, 도 3 참조)에서 수신되는 정보들이 메모리(105)에 저장된다(S130). 그리고 사용자가 청소기(1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키면(S140), 제어부(101)는 통신모듈(106)을 통해 서버(30)에 정보를 전송한다(S150).
청소기(100)에서 서버(30)로 전달되는 청소관련 정보에는 실행된 청소모듈(210)의 종류, 청소기(100)의 구동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청소기(100)가 구동된 시간, 청소기에서 선택된 사용모드, 청소기(100)에 가해진 부하 정보, 청소기(100) 또는 청소모듈(210)의 오염정보 또는 배터리의 잔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는 청소기(100)에서 전달되는 정보들을 누적하여 저장한다(S160). 예를 들어, 서버(30)는 청소기(100)의 사용이력을 데이터화해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모듈(210)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누적된 데이터들을 통해 청소이력정보를 분석한다(S170). 예를 들어, 서버(30)는 사용한지가 일정 시간 초과하여 재사용 시기가 도래한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 누적 사용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세척이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 또는 배터리의 잔여 수명에 관한 정보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청소기(100)와 동기화된 어플리케이션(APP)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알림을 제공한다(S180). 예를 들어, 서버(30)는 특정 청소모듈(210)이 사용된지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해당 청소모듈(210)을 사용하여 청소하는 대상의 청소시기가 도래하였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는 특정 청소모듈(210)이 청소되고나서 누적 사용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청소모듈(210)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하거나, 특정 청소모듈(210)이 최초로 사용된 후 누적 사용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청소모듈(210)의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는 배터리의 잔여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아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청소기(100)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200).
청소기(100)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210)을 구분하여 특정할 수 있다(S220). 또는 청소기(100)로부터 정보를 받은 서버(30)에서 청소모듈(210)을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특정된 청소모듈(210)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한다(S240). 이 때, 청소모듈(210)별로 각각 사용시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30)는 청소모듈(210)의 마지막 사용시각과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 미사용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기준 경과시간과 비교하여 미사용시간이 기준 경과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60). 또는 이러한 판단은 청소기(100) 내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서버(30)는 특정 청소모듈(210)의 미사용 기간이 기준 경과시간보다 큰 경우 해당 청소모듈(210)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280). 이러한 알림은 청소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고, 청소기(1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알림을 통해 특정 대상에 청소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구 전용 청소모듈에 대한 기준 경과시간이 30일인 경우, 마지막으로 침구 전용 청소모듈을 사용한지 30일이 지났다면, 스마트폰에서 "침구 청소를 한지 30일이 지났으니 침구 청소를 시작하세요!"라는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2에서 살펴본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알림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청소기(100)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200).
청소기(100)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210)을 구분하여 특정할 수 있다(S220). 또는 청소기(100)로부터 정보를 받은 서버(30)에서 청소모듈(210)을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특정된 청소모듈(210)의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한다(S250). 이 때, 청소모듈(210)별로 각각 사용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30)는 지금까지 누적된 청소모듈(210)의 사용시간에 새로 전달된 청소모듈(210)의 사용시간을 더하여 총 누적 사용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기준 누적시간과 비교하여 누적 사용시간이 기준 누적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0). 또는 이러한 판단은 청소기(100) 내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서버(30)는 특정 청소모듈(210)의 누적 사용시간 기준 누적시간보다 큰 경우 해당 청소모듈(210)의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290). 이러한 알림은 청소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고, 청소기(1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알림을 통해 특정 청소모듈(210)에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구 전용 청소모듈에 대하여 청소가 필요한 기준 누적시간이 360분인 경우, 마지막으로 침구 전용 청소모듈을 청소하고 난 뒤에 360분을 사용했다면, 스마트폰에서 "침구 청소모듈(210)의 세척이 필요합니다"라는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침구 전용 청소모듈에 대하여 교체가 필요한 기준 누적시간이 3600분인 경우, 마지막으로 침구 전용 청소모듈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뒤에 3600분을 사용했다면, 스마트폰에서 "침구 청소모듈(210)의 교체가 필요합니다"라는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3에서 살펴본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청소기(100)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200).
청소기(100)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210)을 구분하여 특정할 수 있다(S220). 또는 청소기(100)로부터 정보를 받은 서버(30)에서 청소모듈(210)을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청소모듈(210)의 사용모드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사용모드는 청소기 본체(200)의 흡입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강/중/약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사용모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청소정보 데이터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 모드의 가중치는 3, 중 모드의 가중치는 2, 약 모드의 가중치는 1로 하여, 각각 사용모드에서의 총 사용시간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곱하여 가중치가 반영된 새로운 총 사용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특정된 청소모듈(210)에서 가중치가 반영된 사용시각와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한다(S240, S250).
이후 단계는 이전과 동일하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청소 정보 제공 방법은 청소기(100)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21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200).
청소기(100)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210)을 구분하여 특정할 수 있다(S220). 또는 청소기(100)로부터 정보를 받은 서버(30)에서 청소모듈(210)을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청소기(100)는 특정된 청소모듈(210)의 사용시각 정보와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한다(S300). 이 때, 청소모듈(210)별로 각각 사용시각 정보와 사용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30)는 청소모듈(210)별 사용시각 정보와 사용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소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록된 청소 정보를 토대로 마룻바닥 청소, 그 다음 침구 청소, 그 다음 매트리스 청소, 마지막으로 물걸레 청소로 연결되는 청소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판단은 청소기(100) 내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청소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서버(30)는 청소패턴 내에서 현재 진행 중인 청소 단계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다음 청소 대상 또는 그에 사용될 수 있는 청소모듈(21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은 청소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고, 청소기(1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알림을 통해 계획적으로 청소를 진행할 수 있고, 청소 단계가 엇갈리거나 실수로 일부 청소단계를 누락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20: 스마트 디바이스, 30: 서버,
40: 인터넷, 50: AI 장치,
100: 청소기, 101: 제어부,
102: 입력부, 103: 출력부,
104: 센싱부, 105: 메모리,
106: 통신모듈, 107: 전원공급부,
200: 청소기 본체, 201: 몸통부,
202: 손잡이부, 203: 연결부,
210: 청소모듈, 211: 흡입부,
212: 결합부, 220: 길이조절부재,
300: 청소기 거치대, 310: 전원선,
311: 콘센트, 400: 배터리.

Claims (22)

  1.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소기의 센서로부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미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미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는 전류, 전압, 부하 전류(load current)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누적된 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누적시간 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누적된 사용시간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누적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누적시간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세척이 필요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누적시간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교체가 필요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는 상기 청소모듈에 대응하는 구매 가능한 목록과 구매 사이트 링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모드별 사용시각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모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청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 및 사용시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청소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청소 패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청소 패턴 정보에는 사용이 필요한 청소모듈들의 스케쥴링과 작동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패턴 정보는 사용이 필요한 청소모듈들의 리스트 및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결합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전류, 전압, 부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청소기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사용시간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청소모듈에 대하여 모터의 출력을 달리하는 복수의 사용모드를 제공하고,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청소기의 제어방법.
  15.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전류, 전압, 부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정보와,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의 정보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제1 무선송신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기와,
    상기 사용 개시가 필요한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흡입력을 달리하는 복수의 사용모드를 제공하는 사용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무선송신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각 사용모드별 사용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중인 청소모듈에 대한 각 사용모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송신기에 전달하는 청소기.
  19. 제15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 청소기.
  20. 제15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통신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청소모듈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2 통신라인을 포함하는 청소기.
  21. 제15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모듈에 마련되고 상기 청소모듈의 정보를 전달하는 제2 무선송신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무선송신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무선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청소모듈의 제1 전원공급라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청소기.
  22. 모듈식 청소모듈이 결합되는 청소기와 상기 청소기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센서로부터 청소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송신기를 통해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 중 사용 중인 청소모듈을 구분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메모리는 상기 센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청소모듈들의 사용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청소기의 프로세서는,
    현재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미리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청소모듈의 사용시각 정보가 상기 청소모듈에 지정된 기준 경과시간 정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청소모듈에 대하여 사용 개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90163613A 2019-12-10 2019-12-10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073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613A KR20210073120A (ko) 2019-12-10 2019-12-10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PCT/KR2020/015993 WO2021118079A1 (ko) 2019-12-10 2020-11-13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AU2020402278A AU2020402278A1 (en) 2019-12-10 2020-11-13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leaning information,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acuum cleaner
CN202080086003.5A CN114786551B (zh) 2019-12-10 2020-11-13 提供匹配式清扫信息的方法、吸尘器及其控制方法
TW109140149A TWI792096B (zh) 2019-12-10 2020-11-17 真空吸塵器及提供其自訂清掃資訊的方法
US17/116,322 US11857141B2 (en) 2019-12-10 2020-12-09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613A KR20210073120A (ko) 2019-12-10 2019-12-10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120A true KR20210073120A (ko) 2021-06-18

Family

ID=7620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613A KR20210073120A (ko) 2019-12-10 2019-12-10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57141B2 (ko)
KR (1) KR20210073120A (ko)
CN (1) CN114786551B (ko)
AU (1) AU2020402278A1 (ko)
TW (1) TWI792096B (ko)
WO (1) WO2021118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7132A1 (ko) * 2023-02-10 2024-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6016A (zh) * 2020-04-09 2022-12-1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911A (ko)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70126377A (ko)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충전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18148A (zh) * 2004-07-08 2006-0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能表示运动量的吸尘器
JP5395586B2 (ja) * 2009-09-15 2014-01-2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2011206354A (ja) * 2010-03-30 2011-10-20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US20120030897A1 (en) * 2010-08-05 2012-02-09 James Todd Crouch Hand-held and conversion vacuum cleaner
JP2014016202A (ja) * 2012-07-06 2014-01-30 Nikon Corp 検出装置及び清浄化装置
JP6247746B2 (ja) * 2013-05-08 2017-12-13 ヴィジレ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Vigilent Corporation 環境に管理されるシステムにおける影響の学習
KR102158690B1 (ko) * 2013-12-27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0740B1 (ko) * 2014-01-29 2020-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이들의 구동방법
TWM495819U (zh) * 2014-09-29 2015-02-21 Airos Corp 清潔系統及清潔裝置
JP6566633B2 (ja) * 2014-12-03 2019-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電気掃除機、掃除管理システム、掃除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1614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1339B1 (ko) * 2015-08-25 2017-02-02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소모품 통합 관리 시스템
JP6673111B2 (ja) * 2016-09-15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寝具掃除機、寝具乾燥機、寝具掃除機の運転管理システム及び寝具乾燥機の運転管理システム
JP6985922B2 (ja) * 2017-12-20 2021-12-2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3740109A1 (en) * 2018-01-17 2020-11-2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eaning system based on a surface to be cleaned
US11331796B2 (en) 2018-02-12 2022-05-17 Brain Corporation Autonomous multi-tasking modular robotic system
KR102130691B1 (ko) * 2018-05-18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210051014A (ko) * 2019-10-29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동작 방법
TWM600318U (zh) * 2020-05-06 2020-08-21 台南家專學校財團法人台南應用科技大學 配合蓮蓬頭的人體用清潔劑供應裝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911A (ko)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70126377A (ko)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충전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7132A1 (ko) * 2023-02-10 2024-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2027A (zh) 2021-06-16
AU2020402278A1 (en) 2022-08-04
US11857141B2 (en) 2024-01-02
US20210169290A1 (en) 2021-06-10
TWI792096B (zh) 2023-02-11
CN114786551A (zh) 2022-07-22
CN114786551B (zh) 2023-12-01
WO2021118079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7641B2 (ja) 定置状態の検出によってユーザおよび/または外部装置とのインタフェースを形成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226667B (zh) 清洁机器人及其执行任务的方法
AU2020399417B2 (en) Charging device
CN111657785B (zh) 抽吸物收集站、相关的系统以及用于此的方法
US20200268141A1 (en) Voice Assistant in an Electric Toothbrush
KR20210067604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주방 환경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U2020406798C1 (en) Charg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73120A (ko) 맞춤형 청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청소기와, 그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CN104471427A (zh) 连接的消费装置的家庭网络
CN112135553B (zh) 用于执行清洁操作的方法和设备
CN106415509A (zh) 集线器到集线器外设发现
CN111973076A (zh) 房间属性识别方法、装置、扫地机器人和存储介质
KR20210073058A (ko) 청소기의 제어 방법
AU2020420367B2 (en)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4057B1 (ko) 로봇 청소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026324B2 (ja) 事象認識システムおよび事象認識方法
CN115137251B (zh) 扫地机器人及其控制方法、控制系统及存储介质
JP2024129482A (ja) 掃除機管理プログラム
KR20210089463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40037027A (ko) 청소 로봇의 옵션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20230012125A (ko) 이동 로봇, 도킹 스테이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
CN118605315A (zh) 一种基于vslam算法和深度学习的居家机器人系统
CN118766346A (en) Cleaning robot and task execution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