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996A -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 Google Patents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996A
KR20190125996A KR1020197028778A KR20197028778A KR20190125996A KR 20190125996 A KR20190125996 A KR 20190125996A KR 1020197028778 A KR1020197028778 A KR 1020197028778A KR 20197028778 A KR20197028778 A KR 20197028778A KR 20190125996 A KR20190125996 A KR 2019012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olyester
functional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068B1 (ko
Inventor
히데타카 기무라
게이타 가와나미
다이시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18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23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1886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2307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0800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59811A1/ja
Publication of KR201901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6Substrates for image-receiving members; Image-receiving members comprising only one layer
    • G03G7/0073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8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6Substrates for image-receiving members; Image-receiving members comprising only one layer
    • G03G7/0066Inorganic compon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4/00Paper of special types, e.g. bank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복사 용지 등의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 비용적으로 매우 우수한 적층 백색 필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겉보기 밀도가 0.7~1.3g/㎤, 두께가 10~100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본 발명은, 적층 백색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사 용지 등의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피기록재로서 바람직한 플라스틱제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복사기나 인자(印字) 프린터류의 고성능화에 수반하여, 이들의 기기가 서류의 인쇄나 복사 외에, 사진이나 영상의 인쇄, 장표(帳票)나 전표류의 발행 등의 다양한 용도나 형태의 종이재의 발행에 이용되고 있다. 그 결과, 기업이나 가정에 있어서의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를 포함하는 종이의 대량 소비는 삼림 벌채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종이를 회수하고, 제지 공장에서 재생 펄프로 이해(離解)하여 리사이클한 재생지가 이용되어 오고 있다.
재생지는, 그 주된 원료가 회수된 사용이 끝난 용지이지만, 회수된 사용이 끝난 종이로 재생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양의 새로운 목재 자원도 필요하여, 가령 재생지의 이용률이 올랐다고 하여도 목재 자원이 소비되는 것에 변함은 없으며, 재생지의 이용은 삼림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발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는다. 또한, 리사이클의 공정에도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도 과제가 있다.
또한, 재생지는, 상질지(上質紙)와 비교하여 아직 품질이 뒤떨어져 있으며, 재생지로 이루어지는 복사 용지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종이의 백색도가 내려가서 색조가 그레이빛을 띠게 되기 때문에, 인쇄하였을 시의 발색 정도가 떨어져서 화상 품질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재생지는, 제조 비용이 들어서 상질지보다도 값이 비싸지기 쉽다.
이들의 다양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질지를 대신하는 용지로서 이용은 정착되고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이러한 재생지 대신에,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종이의 표면에 형성된 화상을 박리 제거함으로써, 일단 사용한 종이를 재이용할 수 있는 용지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섬유를 주체로 한 종이를 베이스로 하여, 당해 베이스의 화상을 기록하는 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세트산 비닐, 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층을 마련하고, 당해 폴리머를 포함하는 층 상에,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발(撥)토너성을 가지는 층을 마련한 재이용 가능한 피기록재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피기록재는, 폴리머층의 비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폴리머층의 두께를 얇게 하고, 어디까지나 베이스에는 종이를 필요로 하고 있는 구성으로부터, 완전하게 목재 자원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삼림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해결책은 되지 않는다. 또한, 종이를 이용하고 있는 이상, 기록된 화상은 종이의 섬유 내부에 함침되기 때문에, 박리 제거 성능은 불충분하게 된다.
그래서, 종이로 완전하게 바뀌는 재료로서, 플라스틱제의 합성지의 검토도 있으며, 예를 들면, 일용품 등에는 폴리프로필렌제의 합성지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3416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20419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합성지는 열에 약하여, 비교적 고온에서 토너의 정착을 행하는 복사기나 프린터에 사용하면, 복사기 내에서 합성지가 녹아서 주름이 발생하고, 종이 막힘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는, 복사 용지 등의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비용적으로 매우 우수한 적층 백색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복사기 내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힘을 저감하는 것도,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겉보기 밀도가 0.7~1.3g/㎤, 두께가 10~100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非相溶)인 폴리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백색 필름은, 기재(基材)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외에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복사 용지 등의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비용적으로 매우 우수한 플라스틱제의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백색 필름은, 토너상(像)을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다. 즉, 토너상을 피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자 사진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토너상을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피기록재로서 사용한 후에는, 표면에 형성된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복사기 내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에 이형제(離型劑)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기록재로서 사용한 후에,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상의 전사라고 하는 특성, 즉 화상 형성 물질을 필름 기재에 정착시키는 특성과, 그 반대의 상반하는 특성인, 필름 기재로부터 화상 형성 물질을 박리하는 특성의 쌍방을 구비한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1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가지는 적층 백색 필름 1(「본 적층 백색 필름 1」이라고 칭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기재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성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 가장 함유 비율이 많은 수지의 의미이다. 당해 주성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 3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5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질량% 이상(100질량%를 포함한다)을 차지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이어도 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비한 2층, 3층,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단층인 경우에는,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층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어도 되며, 1층 이상이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수지층이어도 된다. 특히, 모든 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兩)표층과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표층/중간층/표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구성이 2층인 경우란, 2개의 표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종류나, 함유하는 입자 등의 배합이 다른 조성의 2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상기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그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공중합되지 않는 호모폴리머여도 되고, 또한, 디카르본산 성분의 20몰% 이하가 주성분 이외의 디카르본산 성분이며, 및/또는 디올 성분의 20몰% 이하가 주성분 이외의 디올 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또한,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디카르본산과 디올의 반응으로 직접 폴리에스테르를 얻는 방법이나, 디카르본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디올을 종래 공지의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 반응시킨 후,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당해 중합 촉매로서는,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티탄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등 공지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는, 후술의 실시예의 항에 기재되는 방법으로 측정된 값으로서, 0.55~0.75dl/g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60dl/g 이상 또는 0.70dl/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連伸)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무수의 미세한 공동(空洞)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당해 미세한 공동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을 산란시켜, 백색 불투명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겉보기 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에 인쇄된 토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용이하게 정착시키고, 또한,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층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였을 때,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에 인쇄된 토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용이하게 정착시키고, 또한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층에 미세한 공동을 가지거나, 표면이 조면(粗面)화하거나 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이 양호하게 정착하기 위한 앵커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표층에 함유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의 정착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박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놀랍게도, 이러한 효과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후술하는 기능층을 마련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또는 보다 한층 현저하게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은폐성 및 경량화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중간층에 함유시켜도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 구성인 경우,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全)층에 함유시켜도 되고, 특정한 층에 선택적으로 함유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층에 포함되는 경우나, 중간층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로서는, 종래 공지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4-메틸펜텐-1, 비정성(非晶性)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 중에서도 공동의 형성, 제막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주성분 수지와는 다른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중, 프로필렌 단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다. 프로필렌 단위 이외의 공중합 단위의 함유량을 적게 하고,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미세 공동의 생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폴리에스테르 100질량부에 대하여,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1~7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질량부 이상 또는 5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3질량부 이상 또는 4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상 또는 35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온도 230℃, 하중 2.16㎏(21.2N)의 조건하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멜트 플로우 인덱스는, 하한으로서 통상 0.5㎖/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10분 이상이다. 상기 범위의 경우, 충분한 공동의 크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신 시의 파단을 회피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한으로서는, 통상 50㎖/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40㎖/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10분 이하이다. 상기 범위의 경우, 가로 연신 시의 클립 빠짐의 회피도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보지(保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하한은, 통상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상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미세 공동의 생성량이 충분한 것이 되어, 필름의 은폐성이 향상하고, 또한, 겉보기 밀도의 저감 효과 즉 경량화가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필름의 슬라이딩성이나 연필 등의 필기성도 향상하고, 인쇄 반송성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필름 표면에 있어서는, 인쇄된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문자나 화상이 정착하기 쉬우며, 또한 박리 제거하기 쉬워져, 필름을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통상 7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당해 범위의 함유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생성하는 공동의 양이 지나치게 많지 않아, 연신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 구성인 경우, 상기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층에서의 평균 함유율을 의미하여도 되고, 특정한 층 중의 함유량을 의미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나, 중간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3층 이상의 구성인 경우, 중간층은, 필름 제조 시에 발생하는 잉여 부분, 예를 들면 단부(端部)(이부(耳部)), 마스터 롤 단부(이부) 및 마스터 롤 나머지부(하측 감김부) 등의 재생품을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된다. 재생품이 포함됨으로써, 코스트 다운 및 환경 부하 저감 대응의 효과를 가진다.
중간층에 있어서의 재생품의 함유량은, 색조 규제 외에, 고유 점도 저하에 의한 제막 안정성의 면으로부터, 중간층에 대하여 9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다. 중간층에 있어서의 재생품의 함유량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으며, 0중량%여도 된다. 코스트 다운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금속 화합물 입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새로운 은폐성이나 백색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 입자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3층 이상의 구성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시키는 층은, 표층이어도 중간층이어도 상관없다. 은폐성이나 백색도의 향상을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한 공동에 의해 발생하는 광산란 효과에 의한 백색 불투명성을 보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은폐도 및 백색도를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탄산 칼슘, 황산 바륨, 탄산 마그네슘, 탄산 바륨, 황산 칼슘,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은폐성이나 백색도 향상의 관점에서 산화티탄, 탄산 칼슘, 황산 바륨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이 특히 적합하다.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하한은 통상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며, 상한은 통상 0.50㎛ 이하,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이다. 상기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필름으로 하였을 시의 은폐도가 충분한 것이 되며, 특히 필름 양면에 전면(全面) 인쇄하였을 시의 뒤비침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입자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구상(球狀), 괴상(塊狀),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 경도(硬度), 비중, 색 등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며, 상한은, 통상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금속 화합물 입자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은폐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더 비용적으로도 유리하여, 종이를 재료로 하는 용지 대신에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최적인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 구성인 경우, 상기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층에서의 평균 함유율을 의미하여도 되고, 특정한 층 중의 함유량을 의미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나, 중간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취급성 및 이활성(易滑性)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입자,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유기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소량으로 효과를 내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0㎛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의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이활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당해 입자의 평균 입경의 상한은, 통상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어지지 않으며, 또한, 필름 표면에 인쇄된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박리 제거하기 쉬우며, 또한, 필름을 반복하여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입자 탈락의 면으로부터 표층의 두께를 극단적으로 두껍게 할 필요도 없어, 두께의 최적인 범위도 넓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구상, 괴상,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 경도, 비중, 색 등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평균 입경에도 의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는, 통상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한 범위의 하한은, 0.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다. 당해 범위이면,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적당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이활성 부여를 달성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활성 부여 뿐만 아니라, 필름 표면에 인쇄된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박리 제거하기도 쉬워지고, 필름을 반복하여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리카 입자, 유기 입자의 역할로서, 연필, 샤프펜슬이나 볼펜 등의 필기성을 더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 구성인 경우, 상기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층에서의 평균 함유율을 의미하여도 되고, 특정한 층 중의 함유량을 의미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나, 중간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압출 성형된 시트를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미세한 독립 공간(공동)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공동의 한층 더 미세화, 혹은, 은폐성이나 백색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불활성 입자, 형광 증백제 등을 배합하여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상기 서술의 입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이외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염료,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자외선 흡수제, 특히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적층 구성의 경우)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의 경우, 2층이면, 그 중의 어느 1층, 3층 이상이면, 그 중의 표층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층 이상의 적층 구성인 경우, 표층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및,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하면, 연신에 의해 미세한 공동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은폐성 및 백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표면 거칠기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화상이 정착하기 쉬우며, 또한, 사용 후에 박리할 수도 있다.
당해 표층이, 추가로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면, 은폐성이나 백색도를 더 높일 수 있으며, 추가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이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표층 이외의 중간층은,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으면,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금속 화합물 입자 및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함유하여도 된다. 금속 화합물 입자 및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의 함유량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하고, 또한, 재생품으로서의 폴리에스테르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코스트 다운 및 환경 부하 저감 대응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두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1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이상 또는 500㎛ 이하, 그 중에서도 30㎛ 이상 또는 400㎛ 이하, 그 중에서도 38㎛ 이상 또는 3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경도(단단함)이나 취급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복사기 내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한 바와 같이 3층 이상의 적층 구성인 경우, 각 표층의 두께는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 이상 또는 40㎛ 이하, 그 중에서도 3㎛ 이상 또는 30㎛ 이하, 그 중에서도 4㎛ 이상 또는 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술의 금속 화합물 입자,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에 의한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겉보기 밀도는, 하한이 0.7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7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g/㎤ 이상이다. 겉보기 밀도의 하한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보지(保持)할 수 있으며, 정보 인쇄 매체인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종이를 대신하는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시의, 복사기 내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으며, 최적인 인쇄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겉보기 밀도의 상한은 1.3g/㎤ 이하, 바람직하게는 1.2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g/㎤ 이하이다. 겉보기 밀도의 상한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대량의 인쇄물을 옮길 때의 작업 부담이 경감되고, 나아가서는 필름(시트)의 수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삭감에 의한 환경 부하 저감이나 코스트 다운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겉보기 밀도는, 주성분 수지인 폴리에스테르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비상용인 폴리머를 배합하고,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미세한 독립 공동의 형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성)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JIS B0601(2001)에 의해 준거한다.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사용하는 용도에 의해 다양하지만, 상한은 통상 9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8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이하이다.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이 정착하기 쉬우며, 또한,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으며, 필름을 반복하여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하한은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이다.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은폐성이나 반송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데도 최적인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더 충분한 필기성을 가질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색미를 나타내는 지표인 b값(반사법)은, 통상 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이며,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황색미를 억제할 수 있어 백색도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컬러 인쇄용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때에는, 얻어지는 화상 품질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50℃, 30분에 있어서의 필름 길이 방향(MD) 및 필름 폭방향(TD)의 가열 수축률이, 절대값으로서 통상 2.8% 이하,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열 수축률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전자 사진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피기록재에 인쇄할 때에, 열에 의한 영향으로 필름의 치수안정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필름(시트)의 테두리의 부분, 즉,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문자나 화상에 변형이나 불균일 등이 발생하여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주름은, 한번 발생해버리면 지울 수 없으며, 반복하여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은폐성(OD)은, 맥베스 농도계에 의해 필름 단매(單枚)를 측정하여, 통상 0.30 이상,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이다. 상기 범위에서 이용함으로써, 필름 양면에, 전면 인쇄하였을 시의 뒤비침이 경감되어, 품질이 좋은 문자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은폐성(OD)의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다른 물성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백색도는, 측색계에 의해 필름 단매일 시의 헌터 백색도(Wb)를 측정하여, 하한은 통상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8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2.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3.5% 이상이다. 백색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였을 때, 특히 컬러 인쇄를 행하였을 때 등에 있어서, 문자나 화상이 고화질인 것이 되고, 품질적으로 바람직한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용도에도 의존하지만, 고급감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한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광택을 신경 쓰는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은 95.0% 이하이다.
<기능층>
다음으로, 본 적층 백색 필름 1을 구성하는 기능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능층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물질이 층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피기록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기록층은, 부착된 화상 형성 물질을 정착시킬 뿐만 아니라, 후술의 수지층을 마련하였을 때에 화상 형성 물질을 수지층과 함께 제거시키는 역할을 가지는 층이다.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 있어서의 기능층은, 대전 방지 성능 및 이형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는, 겉보기 밀도의 저감과, 비용이 드는 일 없이 백색화를 행하는 것과,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 및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표층에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능층을 마련하였을 경우, 표면에 가지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성능을 발현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기능층은 이형 성능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본 적층 백색 필름 1은,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때, 복사기·복합기의 용지 반송에 있어서의 중송(重送) 방지, 용지 취급 시의 용지끼리의 첩부(貼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여,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적어도 편면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층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복합기 내에서 필름의 막힘이 없고, 인쇄된 필름의 중송의 발생이 없어, 1매 1매 독립하여 반송할 수 있으며, 또한,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좋은 필름이나 화상 품질이 좋은 필름 인쇄물로 할 수 있다.
기능층에 함유하는 대전 방지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열성, 내습열성이 양호한 것으로부터, 고분자 타입의 대전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타입의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 폴리에테르 화합물, 술폰산기를 가지는 화합물, 베타인 화합물, 도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 성능을 고려하면,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나 술폰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형제 등, 기능층을 형성하는 다른 재료와의 상용성을 고려하면,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 폴리머는 대전 방지성에는 가장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단, 재료가 고가인 것과, 착색에 극도로 약한 용도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아민, 지환족 아민이나 방향족 아민의 암모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고분자 타입의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암모늄기는, 카운터 이온으로서가 아닌, 고분자의 주쇄나 측쇄 중에 짜 넣어져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가 중합성의 암모늄기 또는 아민 등의 암모늄기의 전구체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중합한 중합체에 의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적합하게 이용된다. 중합체로서는, 부가 중합성의 암모늄기 또는 아민 등의 암모늄기의 전구체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단독으로 중합하여도 되고, 이들을 함유하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도, 대전 방지성, 내열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피롤리디늄환(環)을 가지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피롤리디늄환을 가지는 화합물의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2개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하여 알킬기, 페닐기 등이며, 이들의 알킬기, 페닐기가 이하에 나타내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치환 가능한 기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알콕시기, 페녹시기, 나프톡시기, 티오알콕시, 티오페녹시기, 시클로알킬기, 트리알킬암모늄알킬기, 시아노기, 할로겐이다. 또한,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2개의 치환기는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CH2)m-(m=2~5의 정수), -CH(CH3)CH(CH3)-, -CH=CH-CH=CH-, -CH=CH-CH=N-, -CH=CH-N=CH-, -CH2OCH2-, -(CH2)2O(CH2)2- 등을 들 수 있다.
피롤리디늄환을 가지는 폴리머는, 디알릴아민 유도체를, 라디칼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고리화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중합은, 용매로서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등의 극성 용매 중에서 과산화수소, 벤조일퍼옥사이드, 제 3급 부틸퍼옥사이드 등의 중합개시제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알릴아민 유도체와 중합성이 있는 탄소-탄소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대전 방지성 및 내습열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대전 방지제가 하기 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인 것도 바람직하다. 하기 식 (1)의 구조를 가지는 단독의 중합체나 공중합체, 나아가서는, 그 외의 복수의 성분을 공중합하여 있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예를 들면, 상기 식 중에서 치환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20의 알킬기, 페닐기 등의 탄화수소기, R2가 -O-, -NH- 또는 -S-, R3이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 또는 식 1의 구조를 성립할 수 있는 그 외의 구조, R4, R5, R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페닐기 등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 등의 관능기가 부여된 탄화수소기, X-는 각종의 카운터 이온이다.
상기 중에서도, 특히 대전 방지성이나 내습열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식 (1) 중에서, 치환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6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3은 탄소수가 1~6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4, R5, R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R4, R5, R6의 어느 1개는 수소원자이며, 다른 치환기가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상기 서술한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암모늄기의 카운터 이온(카운터 이온)이 되는 아니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 이온, 술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카르복시레이트 등의 이온을 들 수 있다.
또한, 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 1000~500000, 바람직하게는 2000~3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200000이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에는 기능층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나, 내열 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자량이 500000을 넘는 경우에는, 도포액의 점도가 높아져, 취급성이나 도포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측쇄에 가지는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술폰산 등,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도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티오펜계,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폴리아세틸렌계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폴리스티렌술폰산과 병용하는, 폴리티오펜계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도전 폴리머는 저항값이 낮아진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서술의 다른 대전 방지제에 비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편, 착색이나 비용이 신경이 쓰이는 용도에서는 사용량을 저감하는 등의 궁리가 필요로 된다.
기능층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하한이 통상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통상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다. 대전 방지제를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대전 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며, 필름끼리의 첩부 방지나, 먼지의 부착 방지에 효과적인 것이 되어, 인쇄 반송성이나, 화상 품질에 우수한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형제)
상기 기능층에는, 인쇄를 행한 후에, 필름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적합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이형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은,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과 동일하여도, 다른 층이어도 된다. 특히,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이 이형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과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이 다른 층인 경우에는, 이형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을 외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에 이형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 등을 박리 제거하는 기능을,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정착성과 박리성의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1개의 기능층으로, 보다 고도로 실현하는 수법을 발견했다. 이 기술은, 일반적인 정착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에서는 박리 성능이 실현되지 않고, 한편, 일반적인 박리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에서는 정착 성능이 실현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대단히 효과가 높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과 박리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을 적층하였다고 하여도, 모든 성능을 발현시키는 것은 곤란하여, 최외층에 접하는 기능층의 성능이 주로 반영된다.
화상 형성 물질 등에 대한 이형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능층은 이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공지의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장쇄(長鎖) 알킬기 함유 화합물, 불소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오염성이 적고, 화상 형성 물질의 박리 제거가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는 장쇄 알킬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장쇄 알킬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화상 형성 물질의 박리 제거를 중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실리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의 화상 형성 물질의 인쇄성을 중시하고 싶을 경우에는 왁스가 효과적이다. 이들의 이형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종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기능층을 코팅에 의해 마련하는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의 젖음성의 관점에서는, 상기의 이형제 중에서도,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이란, 탄소수가 통상 6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라우릴기, 옥타데실기, 베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란, 예를 들면, 각종의 장쇄 알킬기 함유 고분자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아민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에테르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과적으로 이형성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장쇄 알킬기를 측쇄에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를 측쇄에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은, 반응성기를 가지는 고분자와, 당해 반응성기와 반응 가능한 알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아민, 반응성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반응성기 함유 폴리(메타)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형성이나 취급 용이함을 고려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반응성기와 반응 가능한 알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헥실이소시아네이트, 옥틸이소시아네이트, 데실이소시아네이트, 라우릴이소시아네이트,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베헤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장쇄 알킬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헥실클로라이드, 옥틸클로라이드, 데실클로라이드, 라우릴클로라이드, 옥타데실클로라이드, 베헤닐클로라이드 등의 장쇄 알킬기 함유 산클로라이드; 장쇄 알킬기 함유 아민; 장쇄 알킬기 함유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형성이나 취급 용이함을 고려하면 장쇄 알킬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장쇄 알킬기를 측쇄에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은, 장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물이나 장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의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장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화합물이란, 화합물 중에 불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다. 오염성의 저감을 위해서는,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합물(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라인 코팅에 의한 도포 외관의 점에서 유기계 불소 화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되고,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 등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 화합물의 중합체, 플루오로벤젠 등의 방향족 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성의 관점에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화합물에는 후술하는 장쇄 알킬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알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알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알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알킬-1-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알킬-2-프로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나 그 중합물; 퍼플루오로알킬메틸비닐에테르, 2-퍼플루오로알킬에틸비닐에테르, 3-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3-퍼플루오로알킬-1-메틸프로필비닐에테르, 3-퍼플루오로알킬-2-프로페닐비닐에테르 등의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비닐에테르나 그 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중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물은 단일 화합물만이어도 복수 화합물의 중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이형성의 관점에서 퍼플루오로알킬기는 탄소원자수가 3~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장쇄 알킬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과의 중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와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염화비닐과의 중합물인 것도 바람직하다.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실리콘, 디에틸실리콘 등의 알킬실리콘, 또한, 페닐기를 가지는 페닐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에는 각종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테르기, 수산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본산기, 불소 등의 할로겐기, 퍼플루오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관능기로서, 비닐기를 가지는 실리콘이나 수소원자가 직접 규소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겐 실리콘도 일반적이며, 양자를 병용하여, 부가형(비닐기와 하이드로겐실란의 부가 반응에 의한 형)의 실리콘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로서, 아크릴그래프트실리콘, 실리콘그래프트아크릴, 아미노 변성 실리콘, 퍼플루오로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변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형의 종류로서는, 축합형, 부가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등 어느 경화 반응 타입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왁스란, 천연 왁스, 합성 왁스, 그들을 배합한 왁스 중에서 선택된 왁스이다.
천연 왁스란, 식물계 왁스, 동물계 왁스, 광물계 왁스, 석유 왁스이다. 식물계 왁스로서는, 칸데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유 등을 들 수 있다. 동물계 왁스로서는, 밀랍, 라놀린, 경랍 등을 들 수 있다. 광물계 왁스로서는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등을 들 수 있다. 석유 왁스로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왁스로서는, 합성 탄화수소, 변성 왁스, 수소화 왁스,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아민류, 이미드, 에스테르 왁스,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탄화수소로서, 구체적으로는, 피셔·트롭쉬 왁스(별명 사솔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를 들 수 있으며, 이 외에 저분자량의 고분자(구체적으로는 수평균 분자량 500으로부터 20000의 고분자)인 이하의 폴리머, 즉,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그래프트 결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왁스로서, 구체적으로는 몬탄 왁스 유도체,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의 유도체란, 정제, 산화, 에스테르화, 비누화 중 어느 것의 처리,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또한, 수소화 왁스로서, 구체적으로는 경화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블로킹 등의 특성이 안정된다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기능층에 있어서의 이형제로서는 합성 왁스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왁스가 보다 바람직하고,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가 더 바람직하다. 합성 왁스의 수평균 분자량은, 블로킹 등의 특성의 안정성, 취급성의 관점에서, 통상 500~30000, 바람직하게는 1000~1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8000이다.
기능층에 있어서의 이형제의 함유량은, 하한이 통상 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통상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다. 이형제를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 등과의 정착성을 확보하면서, 박리성을 향상시켜, 화상 형성 물질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머)
기능층에 대한 화상 형성 물질 등과의 정착성의 향상, 기능층의 형성의 용이함, 또는, 기능층을 코팅에 의해 마련할 때의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 향상을 위해, 기능층에는, 폴리머(상기 서술한 대전 방지제, 이형제나 후술하는 가교제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에 이용하는 폴리머로서는, 종래 공지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폴리비닐알코올,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외관의 향상, 기재의 필름과의 밀착성, 대전 방지 성능이나 이형 성능의 안정화의 관점에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 성능이나 이형 성능의 안정화, 또는 코팅에 의해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도포액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종합적인 성능을 고려하면,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능층에 함유시키는 상기 폴리머로서의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나아가서는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한,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드록실기,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실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다양한 질소 함유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각종의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다양한 규소 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각종의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액 디엔류를 들 수 있다.
기능층에 함유시키는 상기 폴리머로서의 우레탄 수지란, 우레탄 결합을 분자 내에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이며, 통상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작성된다. 폴리올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 폴리에테르폴리올류, 폴리올레핀폴리올류, 아크릴폴리올류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복수종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로서는, 다가 카르본산(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푸마르산, 말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그들의 산무수물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디메탄올벤젠,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알킬디알칸올아민, 락톤디올 등)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것,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락톤 화합물의 유도체 유닛을 가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는, 다가 알코올류와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탈(脫)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폴리(3-메틸-1,5-펜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에테르폴리올류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기능층의 타성분과의 상용성이나, 대전 방지 성능이나 이형 성능의 안정화 등을 고려하면, 상기 폴리올류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상기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가지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된다.
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에 사슬연장제를 사용하여도 되고, 사슬연장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활성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일반적으로는,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2개 가지는 사슬연장제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수산기를 2개 가지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글리콜, 크실릴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글리콜과 같은 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기를 2개 가지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산디아민,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트리메틸헥산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헥실-4,4'-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우레탄 수지는, 용제를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것이다.
우레탄 수지를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이용하는 강제 유화형, 우레탄 수지 중에 친수성기를 도입하는 자기 유화형 또는 수용형(水溶型) 등이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의 구조 중에 이온기를 도입하여 아이오노머화 한 자기 유화 타입이, 액의 저장 안정성이나 얻어지는 기능층의 내수성, 투명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이 때, 도입하는 이온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술폰산, 인산, 포스폰산, 제 4급 암모늄염 등, 다양한 것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 반응의 각 단계 중에서 다양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폴리머 합성 시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나, 폴리올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슬연장제 등의 1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디올을 이용하여, 이 성분의 투입량에 의해 원하는 양의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의 중합에 이용하는 디올에 대하여,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 비스-(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산, 비스-(2-히드록시에틸)부탄산 등을 공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카르복실기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 금속류, 무기 알칼리류 등에서 중화한 염의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러한 우레탄 수지는, 도포 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중화제를 제거한 카르복실기를, 다른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반응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 전의 액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한데다, 얻어지는 기능층의 내구성, 내용제성, 내수성, 내블로킹성 등을 추가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능층에 함유시키는 상기 폴리머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주된 구성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다가 카르본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다가 카르본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르본산, 2,5-나프탈렌디카르본산, 1,5-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2,7-나프탈렌디카르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2-칼륨술포테레프탈산, 5-소듐술포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카르본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피로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멜리트산 모노칼륨염 및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p-크실릴렌글리콜,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에틸술폰산 나트륨, 디메틸올프로피온산 칼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 각각 적절히 1개 이상을 선택하여, 통상의 방법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하면 된다.
기능층에 함유시키는 상기 폴리머로서의 폴리비닐알코올이란, 폴리비닐알코올 부위를 가지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나 부티랄화 등이 된 변성 화합물도 포함하여, 종래 공지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40000의 범위의 것이 이용된다. 중합도가 100 미만인 경우, 기능층의 내수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9㏖%, 더 바람직하게는 80~98㏖%, 특히 바람직하게는 86~97㏖%의 범위인 폴리아세트산 비닐비누화물이다.
기능층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함유량은, 하한이 통상 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통상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다. 폴리머를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의 형성의 용이함,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 향상, 또한, 기능층을 코팅에 의해 마련할 때의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 향상에 의한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가교제)
기능층의 강도를 올리기 위하여,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등과의 정착성의 향상을 위해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교 후의 기능층은, 가교제에 유래하는 가교 구조를 함유하는 것이 된다. 즉, 가교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이란, 가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기능층을 의미한다.
또한, 기능층에 가교제를 함유함으로써,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 향상의 성질을 부여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특히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코팅에 의해 기능층을 마련하는 경우에 젖음성이 나빠, 도포액을 튕겨버릴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뜻밖에도, 기능층에 가교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젖음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가교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실란커플링 화합물, 히드라지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실란커플링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기능층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멜라민 화합물이나 옥사졸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기재의 필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옥사졸린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상기 서술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들 중에서도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실란커플링 화합물이 젖음성 향상에는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옥사졸린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종합적으로 생각하면, 가교제로서 가장 바람직한 재료는, 옥사졸린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다. 또한, 이들의 가교제는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옥사졸린 화합물로서는, 특히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 단독 또는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다른 모노머는,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면 제한 없으며, 예를 들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등의 함(含)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알킬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로 대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가지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화물,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우레트디온화물,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등의 중합체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한 황변을 피하기 위하여,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보다도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그 블록제로서는, 예를 들면, 중아황산염류,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등의 페놀계 화합물,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벤질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화합물, 말론산 디메틸, 말론산 디에틸, 이소부타노일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아세틸아세톤 등의 활성 메틸렌계 화합물, 부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탄계 화합물,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등의 락탐계 화합물, 디페닐아닐린, 아닐린, 에틸렌이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 아세트아닐리드, 아세트산 아미드의 산아미드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독심, 아세톤옥심, 메틸에틸케톤옥심, 시클로헥사논옥심 등의 옥심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이라도 2종 이상의 병용여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특히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이나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의 관점에서, 활성 메틸렌계 화합물에 의해 블록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단체로 이용해도 되며, 각종 폴리머와의 혼합물이나 결합물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분산성이나 가교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의미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우레탄 수지와의 혼합물이나 결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A 등의 수산기나 아미노기와의 축합물을 들 수 있으며,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멜라민 화합물이란, 화합물 중에 멜라민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에 알코올을 반응시켜서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에테르화에 이용하는 알코올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단량체, 또는 2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된다. 각종 화합물과의 반응성을 고려하면, 멜라민 화합물 중에 수산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멜라민 화합물의 반응성을 올리기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유도체 구조를 1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다. 보다 양호한 기능층의 강도 등을 위하여, 분자 내에 2개 이상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종래 공지의 기술로 합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축합 반응이 이용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방향족계, 지방족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수용성이나 수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디알킬아미노알콜의 4급 암모늄염, 히드록시알킬술폰산염 등의 친수성 모노머를 첨가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실란커플링 화합물이란, 1개의 분자 중에 유기 관능기와 알콕시기 등의 가수분해기를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비닐기 함유 화합물;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p-스티릴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스티릴기 함유 화합물;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의 (메타)아크릴기 함유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트리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레이트기 함유 화합물;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중에서도, 기능층의 강도나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에폭시기 함유 실란커플링 화합물, 비닐기나 (메타)아크릴기 등의 이중 결합 함유 실란커플링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실란커플링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층에 함유하는 가교제는, 통상, 건조 과정이나, 제막 과정에 있어서, 폴리머나 가교제 자신과 반응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 있어서의 기능층에는, 이들 가교제의 미반응물, 반응 후의 화합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가교제 유래의 화합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된다.
기능층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하한이 통상 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통상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기능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 향상이나, 기능층을 코팅에 의해 마련할 때의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 향상에 의한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서, 가교제의 함유량이란, 가교 반응 전의 원료(도포액)에 있어서의 불휘발 성분 중의 함유 비율을 의미하고, 가교 반응 후의 기능층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의미를 가리킨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기능층에, 블로킹이나 슬라이딩성 개량을 위해,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능층에,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등을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층의 막두께)
기능층의 막두께는, 통상 0.001~3㎛, 바람직하게는 0.005~1㎛,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5㎛, 더 바람직하게는 0.02~0.3㎛,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0.2㎛이다. 기능층의 막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대전 방지 성능과 이형 성능을 양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기능층의 배치)
기능층은,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마련하는 것도,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면에 마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양면 모두 피기록재로서 사용 가능한 필름으로 할 수 있으며, 필름의 취급성이 양호화되는 등의 이점도 있어, 편면의 경우보다 성능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층을 양면에 마련함으로써,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한 컬(curl)성을 개선할 수도 있는 경향이 있다.
(기능층의 대전 방지 성능)
기능층의 대전 방지 성능으로서는, 표면 저항값으로서, 통상 1×1013Ω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2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11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1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10Ω 이하이다. 상기 범위 내의 경우, 필름끼리의 첩부 방지, 먼지 등의 부착 방지에 유효한 필름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전자 사진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토너상을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는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때, 복사기·복합기의 용지 반송에 있어서의 중송 방지, 용지 취급 시의 용지끼리의 첩부 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제조방법>
이하, 본 적층 백색 필름 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공지의 수법에 의해 건조 또는 미건조의 배합한 원료를 용융 압출 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용융 폴리머를 다이에 유도하여 용융 시트를 제조한다.
또한, 2층 이상으로 적층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 층마다 배합한 원료를 각 용융 압출 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각 층의 용융 폴리머를, 통상 멀티 매니폴드 또는 피드 블록을 거쳐서 다이에 유도하여 적층한다.
이어서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시트를, 회전 냉각 드럼 상에서 글라스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가 되도록 급랭 고화하고, 실질적으로 비결정 상태의 미(未)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 및/또는 액체 도포 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하는 미세한 독립 공동은, 이러한 연신에 의해 생성된다.
연신 조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70~150℃에서 2.5~5배로 연신하여, 세로 1축연신 필름으로 한다. 세로 1축연신 필름은, 폭방향(가로방향)으로 70~160℃에서 3~5배 연신을 행하고, 통상 200~250℃, 바람직하게는 210~2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240℃의 범위에서, 통상 5~600초간, 바람직하게는 8~30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를 이러한 온도 범위 내에서 조정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용융 점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필름 표면의 거칠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의 모든 조건은, 필름의 가열 수축률 뿐만 아니라, 필름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에도 영향을 준다. 즉, 상기 범위의 고온으로 함으로써, 표면 또는 적층 구조의 경우에는 표층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가 형성한 미세한 공동을 용해시킨다. 표면 거칠기를 적절하게 저감시킴으로써, 인쇄에 의해 필름 표면에 형성된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의하여, 필름을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처리 공정 후에는, 열처리의 최고 온도존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쿨링존에 있어서, 세로방향 및/또는 가로방향으로 2~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시 세로 연신, 다시 가로 연신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층의 형성 방법)
상기 서술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편면에 기능층을 적층시킨다.
기능층은, 코팅법, 공압출법, 전사법 등, 공지의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들 중에서도, 효율적인 제조 및 성능부여의 관점에서 코팅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의 수법은,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롤 코팅, 다이 코팅, 에어독터 코팅, 블레이드 코팅, 로드 코팅, 바 코팅, 커튼 코팅, 나이프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스퀴즈 코팅, 함침 코팅, 키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캘린더 코팅, 압출 코팅 등, 종래 공지의 코팅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기능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마련되어도 되며, 일단 제조한 필름 상에 계외에서 도포하는, 오프라인 코팅을 채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기능층은, 인라인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라인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의 공정 내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압출하고 나서 연신 후 열고정하여 감아 올릴 때까지의 임의의 단계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다. 통상은, 용융, 급랭하여 얻어지는 미연신 시트, 연신된 1축연신 필름, 열고정 전의 2축연신 필름, 열고정 후에 감아 올리기 전의 필름 중 어느 것에 코팅한다. 이하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연이은 2축연신에 있어서는, 특히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연신된 1축연신 필름에 코팅한 후에 폭방향(가로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우수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제막과 기능층 형성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상의 메리트가 있고, 또한, 코팅 후에 연신을 행하기 때문에, 기능층의 두께를 연신 배율에 의해 변화시킬 수도 있으며, 오프라인 코팅에 비교하여, 박막 코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전에 필름 상에 기능층을 마련함으로써, 기능층을 기재 필름과 함께 연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기능층을 기재 필름에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클립 등에 의해 필름 단부를 파지하면서 연신함으로써, 필름을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으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 주름 등이 생기지 않고 평면성을 유지한 채 고온을 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인라인 코팅을 행하면, 도포 후에 실시되는 열처리가 다른 방법에서는 달성되지 않는 고온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층의 조막(造膜)성이 향상하여, 기능층과 기재 필름을 보다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강고한 기능층으로 할 수 있으며, 기능층의 탈락을 막고, 대전 방지 성능이나 이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교제를 함유하는 원료(도포액)를 이용하여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열고정 시의 고온에 의해 가교 반응을 행할 수 있다.
기능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서술의 일련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용매의 분산체로서, 고형분 농도가 0.1~80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한 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코팅하는 요령으로 적층 백색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라인 코팅에 의해 마련하는 경우에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에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액에는 소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유기 용제는 1종류만이어도 되며, 적절히,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기능층을 형성할 시의 건조 및 경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팅에 의한 방법의 경우, 도포액에 사용하고 있는 물 등의 용매의 건조 온도는, 통상 70~150℃, 바람직하게는 80~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20℃이다. 건조의 시간으로서는, 기준으로서 3~200초, 바람직하게는 5~120초이다.
또한, 기능층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통상 150~270℃, 바람직하게는 17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240℃의 범위의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열처리 공정의 시간으로서는, 기준으로서 5~600초, 바람직하게는 8~300초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하여도 된다. 본 적층 백색 필름 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화상 형성 물질 등>
본 적층 백색 필름 1은, 기능층 상에, 화상 형성 물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문자, 화상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문자, 화상은, 종래 공지의 수법으로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사기나 프린터 등으로 인쇄하는 것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해서도,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물질에 한정은 없다. 즉, 상기의 「화상 형성 물질 등」에는, 일반적으로 피기록재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 가능한 물질의 전부를 포함하고, 고체 입자, 현탁액, 용액 등의 어느 성상(性狀)이어도 되고, 잉크도 포함된다.
또한, 착색제에도 제약은 없으며, 안료, 염료, 유색 화합물 등의 어느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중에 안료를 분산시켜서 미립상으로 한 토너가 바람직하다.
<수지층>
본 적층 백색 필름 1은, 추가로 화상 형성 물질 등 상에 또는 기능층 상에 수지층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수지층은, 적층 백색 필름을 재이용하는 등을 위해, 문자, 화상을, 수지층과 함께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하기 위하여 마련하는 주지여도 된다.
이 수지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성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성의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의 수지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층이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문자, 화상을 남김 없이 박리 제거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으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 전자선 경화성 수지층, 가시광선 경화성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취급의 용이성이나, 경화성의 성능을 고려하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의 반응성 규소 화합물 등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생산성 및 경도의 양립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 경화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수지층을, 화상을 적층 백색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하기 위하여 마련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재료로 함으로써, 양호한 박리 제거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공지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1종류 이상 혼합한 것,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하드 코팅용 수지재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 또는 이들 이외에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외의 성분을 추가로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스페놀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르산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 외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의 미립자, 중합개시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광안정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웨트 코팅법에 있어서 성막 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임의의 양의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수지층을, 문자나 화상을 적층 백색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하기 위하여 마련하는 경우에는, 통상, 당해 박리 제거의 공정은 필름을 제조하는 공장이 아닌, 오피스 등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오피스 등의 옥내에서의 사용에는,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수지액)으로서, 용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의도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롤 코팅법, 다이 코팅법 등의 일반적인 웨트 코팅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된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실시하여, 경화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2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적층 백색 필름」이라고도 칭한다) 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의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이라고 칭한다)은,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층을 적어도 2층 이상 가지는 적층 필름이며, 그 중의 적어도 표층은, 폴리에스테르와,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적층 구성>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적층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넘지 않는 한, 2층, 3층,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양표층과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표층/중간층/표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구성이 2층인 경우란, 2개의 표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종류나, 함유하는 입자 등의 배합이 다른 조성의 2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표층>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은, 적어도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성분 수지」란, 표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 가장 함유 비율이 많은 수지의 의미이다. 당해 주성분 수지는, 표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 3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5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질량% 이상(100질량%를 포함한다)을 차지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 있어서의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마찬가지이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무수의 미세한 공동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한 공동에 의해,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광을 산란시켜, 백색 불투명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겉보기 밀도를 저감시킨다.
그 중에서도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였을 때,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표면에 인쇄된 토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은폐성 및 경량화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중간층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시켜도 된다.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에 관해서도, 상기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 있어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와 마찬가지이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하한은, 통상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상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미세 공동의 생성량이 충분한 것이 되어, 필름의 은폐성이 향상하고, 또한, 겉보기 밀도의 저감 효과 즉 경량화가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필름의 슬라이딩성이나 연필 등의 필기성도 향상하고, 인쇄 반송성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필름 표면에 있어서는, 인쇄된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문자나 화상을 박리 제거하기 쉬워져, 필름을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표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통상 7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다. 당해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생성하는 공동의 양이 지나치게 많지 않아, 연신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각 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하한은, 통상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상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은폐성을 가지면서, 또한, 겉보기 밀도의 저감 효과 즉 경량화가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각 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통상 7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다. 당해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생성하는 공동의 양이 지나치게 많지 않아, 연신 시의 파단을 억제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이 3층 이상의 구성인 경우, 중간층은 필름 제조 시에 발생하는 이부, 마스터 롤 이부 및 마스터 롤 하측 감김부 등의 재생품을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된다. 재생품이 포함됨으로써, 코스트 다운 및 환경 부하 저감 대응의 효과를 가진다. 중간층에 있어서의 재생품의 함유량은, 색조 규제 외에, 고유 점도 저하에 의한 제막 안정성의 면으로부터, 중간층에 대하여 9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의 범위이다.
(금속 화합물 입자)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에, 새로운 은폐성이나 백색도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3층 이상의 구성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시키는 층은, 표층이어도, 중간층이어도 상관없다. 은폐성이나 백색도의 향상을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에 사용하는 금속 화합물 입자는, 비상용인 폴리머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미세한 공동에 의해 발생하는 광산란 효과에 의한 백색 불투명성을 보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은폐도 및 백색도를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이 때, 당해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상기 본 적층 백색 필름 1로 설명한 금속 화합물 입자와 마찬가지이다.
금속 화합물 입자의 함유량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 전체에 대하여,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며, 상한은, 통상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은폐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비용적으로도 유리하여, 종이를 재료로 하는 용지 대신에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최적인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취급성, 이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에, 이활성 부여를 위해 상기에서 예시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로서는, 상기 본 적층 백색 필름 1에 있어서 설명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와 마찬가지이다.
(그 외의 성분)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중에는, 상기 서술의 입자,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이외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형광증백제, 염료,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자외선 흡수제, 특히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적층 구성>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층을 적어도 2층 이상 가지는 적층 필름이며, 그 중의 적어도 표층은, 폴리에스테르와,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하고, 또한, 당해 표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9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층이,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및,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함유하면, 연신에 의해 미세한 공동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은폐성 및 백색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표면 거칠기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기성을 높일 수 있다.
당해 표층이, 추가로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면, 은폐성이나 백색도를 추가로 높일 수 있으며, 추가로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이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층 이외의 중간층은,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으면,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금속 화합물 입자 및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함유하여도 된다. 금속 화합물 입자 및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의 함유량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하고, 또한, 재생품으로서의 폴리에스테르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코스트 다운 및 환경 부하 저감 대응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두께>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 가능한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8~350㎛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탄성이나 취급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금속 화합물 입자나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는 표층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에는, 재생품을 배합하여 코스트 다운 및 환경 부하 저감 대응을 행하기 위하여, 공압출법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한 바와 같이 3층 이상의 적층 구성인 경우, 각 표층의 두께는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 이상 또는 40㎛ 이하, 그 중에서도 3㎛ 이상 또는 30㎛ 이하, 그 중에서도 4㎛ 이상 또는 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후술의 금속 화합물 입자,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에 의한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또한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겉보기 밀도는, 하한이 통상 0.7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7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g/㎤ 이상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보지할 수 있으며, 정보 인쇄 매체인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종이를 대신하는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시의, 복사기 내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으며, 최적인 인쇄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한으로서는, 통상 1.3g/㎤ 이하, 바람직하게는 1.2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g/㎤ 이하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대량의 인쇄물을 옮길 때의 작업 부담이 경감되어, 나아가서는 필름(시트)의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CO2삭감에 의한 환경 부하 저감이나 코스트 다운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겉보기 밀도는, 주성분 수지인 폴리에스테르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비상용인 폴리머를 배합하고,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물성>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면 즉 표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9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50㎚ 이하, 그 중에서도 8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인쇄에 의해 필름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으며, 필름을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하한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0㎚ 이상, 그 중에서도 300㎚ 이상, 그 중에서도 3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은폐성이나 반송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는데도 최적인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충분한 필기성을 가질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정 방법에 의거하는 것으로 한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황색미를 나타내는 지표인 b값(반사법)은, 통상 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이며,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황색미를 억제할 수 있어 백색도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컬러 인쇄용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때에는 얻어지는 화상 품질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150℃, 30분에 있어서의 필름 길이 방향(MD) 및 필름 폭방향(TD)의 가열 수축률은, 절대값으로서 통상 2.8% 이하,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가열 수축률이 상기 범위이면, 전자 사진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피기록재에 인쇄할 때에, 열에 의한 영향으로 필름의 치수안정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특히 필름(시트)의 테두리의 부분, 즉,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도,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문자나 화상에 변형이나 불균일 등이 발생하여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름은, 한번 발생해버리면 지울 수 없기 때문에,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은폐성(OD)은, 맥베스 농도계에 의해 필름 단매를 측정하고, 통상 0.30 이상,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이다. 상기 범위에서 이용함으로써, 필름 양면에, 전면 인쇄하였을 시의 뒤비침이 경감되어, 품질이 좋은 문자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은폐성(OD)의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다른 물성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0.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백색도는, 측색계에 의해 필름 단매일 때의 헌터 백색도(Wb)를 측정하고, 하한은 통상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8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2.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3.5% 이상이다. 백색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종이를 대신하는 정보 인쇄 매체인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하였을 때, 특히 컬러 인쇄를 행하였을 때 등에 있어서, 문자나 화상이 고화질인 것이 되고, 품질적으로 바람직한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용도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고급감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한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광택을 신경 쓰는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은 95.0% 이하이다.
<기능층>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적어도 편면에 기능층을 마련하여도 된다.
이 기능층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물질이 층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피기록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기록층은, 부착된 화상 형성 물질을 정착시킬 뿐만 아니라, 후술의 수지층을 마련하였을 때에 화상 형성 물질을 수지층과 함께 제거시키는 역할을 가지는 층이다.
상기 기능층은, 대전 방지 성능 및 이형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에는, 겉보기 밀도의 저감과, 비용이 드는 일 없이 백색화를 행하는 것과,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 및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표층에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능층을 마련하였을 경우, 표층에 가지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성능을 발현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기능층은 이형 성능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쇄를 행한 후에, 필름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토너 등의 문자, 화상 형성 물질을 적합하게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이형 성능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능층은 이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전자 사진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토너상을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는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이용할 때, 복사기·복합기의 용지 반송에 있어서의 중송 방지, 용지 취급 시의 용지끼리의 첩부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는,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고, 품질이 좋은 필름이나 화상 품질이 좋은 필름 인쇄물로 하기 위하여, 기능층은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적어도 편면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형성 물질의 형성의 용이함과 정착성의 향상, 또한, 기능층을 코팅에 의해 마련할 때의, 기재 필름에의 젖음성 향상을 위해, 기능층은, 폴리머(상기 서술한 대전 방지제, 이형제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층에, 대전 방지제, 이형제 및 폴리머를 함유시켜 적당한 이형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화상 형성 물질 등을 필름 표면에 정착하는 기능과, 화상 형성 물질 등을 박리 제거하는 기능을, 보다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정착성과 박리성이라고 하는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1개의 기능층으로, 보다 고도로 실현하는 수법을 발견했다. 이 기술은, 일반적인 정착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에서는 박리 성능이 실현되지 않고, 한편, 일반적인 박리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에서는 정착 성능이 실현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대단히 효과가 높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과 박리 성능을 가지는 기능층을 적층하였다고 하여도, 모든 성능을 발현시킬 수는 없으며, 최외층에 접하는 기능층의 성능만이 반영된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으로 이용하는 상기의 대전 방지제, 이형제 및 폴리머는, 상기 본 적층 백색 필름 1로 이용하는 대전 방지제, 이형제 및 폴리머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기능층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b값, 가열 수축률, 은폐성(OD), 백색도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한 수치 범위와 마찬가지이다.
<제조방법>
이하,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공지의 수법에 의해 건조한, 또는 미건조의 각 층마다 배합한 원료를 각 용융 압출 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각 층의 용융 폴리머를, 통상 멀티 매니폴드 또는 피드 블록을 거쳐서 다이에 유도하여 적층한다.
이어서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시트를, 회전 냉각 드럼 상에서 글라스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가 되도록 급랭 고화하고, 실질적으로 비결정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 및/또는 액체 도포 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하는 미세한 독립 공동은, 이러한 연신에 의해 생성된다.
연신 조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70~150℃에서 2.5~5배로 연신하여, 세로 1축연신 필름으로 한 후, 폭방향(가로방향)으로 70~160℃에서 3~5배 연신을 행하고, 통상 200~250℃, 바람직하게는 210~2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240℃의 범위에서, 통상 5~600초간, 바람직하게는 8~30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 공정의 여러 조건은, 필름의 가열 수축률 뿐만 아니라, 필름의 표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에도 영향을 준다. 즉, 상기 범위의 고온으로 함으로써, 표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가 형성한 미세한 공동을 용해시킨다. 표면 거칠기를 적절하게 저감시킴으로써, 인쇄에 의해 필름 표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문자나 화상을 용이하게 박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의하여, 필름을 복사 용지나 프린터 용지의 피기록재로서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처리 공정 후에는, 열처리의 최고 온도존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쿨링존에 있어서, 세로방향 및/또는 가로방향에 2~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시 세로 연신, 다시 가로 연신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에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능층은, 코팅법, 공압출법, 전사법 등, 공지의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들 중에서도, 효율적인 제조 및 성능 부여의 관점에서 코팅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의 수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마련되어도 되며, 일단 제조한 필름 상에 계외에서 도포하는, 오프라인 코팅을 채용하여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인라인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의 공정 내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압출하고 나서 연신 후 열고정하여 감아 올릴 때까지의 임의인 단계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다. 통상은, 용융, 급랭하여 얻어지는 미연신 시트, 연신된 1축연신 필름, 열고정 전의 2축연신 필름, 열고정 후에 감아 올리기 전의 필름 중 어느 것에 코팅한다. 이하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연이은 2축연신에 있어서는, 특히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연신된 1축연신 필름에 코팅한 후에 가로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우수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제막과 기능층 형성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상의 메리트가 있으며, 또한, 코팅 후에 연신을 행하기 때문에, 기능층의 두께를 연신 배율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어, 오프라인 코팅에 비교하여, 박막 코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전에 필름 상에 기능층을 마련함으로써, 기능층을 기재 필름과 함께 연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기능층을 기재 필름에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클립 등에 의해 필름 단부를 파지하면서 연신함으로써, 필름을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으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 주름 등이 생기지 않고 평면성을 유지한 채 고온을 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포 후에 실시되는 열처리를 다른 방법에서는 달성되지 않는 고온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층의 조막성이 향상하고, 기능층과 기재 필름을 보다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강고한 기능층으로 할 수 있으며, 기능층의 탈락을 막고, 대전 방지 성능이나 이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물질>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의 표층의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면 상 또는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는 면 상에는, 화상 형성 물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문자, 화상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자, 화상은, 종래 공지의 수법으로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사기나 프린터 등으로 인쇄하는 것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관해서도,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
본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은, 또한, 화상 형성 물질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문자, 화상 상에, 수지층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수지층은,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재이용하는 등을 위하여, 문자, 화상을, 수지층과 함께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시키기 위하여 마련하는 주지여도 된다.
수지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성의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의 수지층으로서는, 열경화성 수지층,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들 수 있다. 문자, 화상을 남김 없이 박리 제거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으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 전자선 경화성 수지층, 가시광선 경화성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취급의 용이성이나, 경화성의 성능을 고려하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의 반응성 규소 화합물 등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생산성 및 경도의 양립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 경화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공지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1종류 이상 혼합한 것,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하드 코팅용 수지재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 또는 이들 이외에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외의 성분을 추가로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스페놀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르산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 외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의 미립자, 중합개시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광안정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웨트 코팅법에 있어서 성막 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임의의 양의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오피스 등의 옥내에서의 사용에는,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수지액)로서, 용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의도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롤 코트법, 다이 코팅법 등의 일반적인 웨트 코팅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된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실시하고, 경화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등>
본 발명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인 숫자)라고 기재하였을 경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인 숫자)이라고 기재하였을 경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의 뜻을 포함하며, 「Y 이하」(Y는 임의인 숫자)라고 기재하였을 경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종의 물성 및 그 측정 방법, 정의는 하기와 같다.
<측정 방법>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성분 및 입자 등의 다른 성분을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g을 정칭(精秤)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를 추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멜트 플로우 인덱스(MFI)
JIS K7210-1995를 따라, 비정성 폴리올레핀은 275℃, 21.2N으로, 폴리프로필렌은 230℃, 21.2N으로 측정하였다. 이 값이 높을수록, 폴리머의 용융 점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3) 산술 평균 거칠기(Ra)
필름 표면을, 주식회사료카시스템제, 비접촉 표면·층단면 형상 계측 시스템 Vert Scan(등록 상표) R550GML을 사용하고, CCD 카메라:SONY HR-50 1/3', 대물렌즈:20배, 경통:1X Body, 줌 렌즈:No Relay, 파장 필터:530 white, 측정 모드:Wave로, 640㎛×480㎛의 영역을 측정하고, 4차의 다항식 보정에 의한 출력을 이용하고, 산술 평균 거칠기 Ra값을 10점 평균내서 구하였다.
(4) 입자의 평균 입경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사제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SA-CP3형을 이용하여 스톡스의 저항칙에 의거하는 침강법에 의해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등가 구형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체적 기준) 50%의 값을 이용하여 평균 입경이라고 하였다.
(5) 기능층의 막두께
기능층의 표면을 RuO4로 염색하고, 에폭시 수지 중에 포매(包埋)하였다. 그 후, 초박절편법에 의해 작성한 절편을 RuO4로 염색하고, 기능층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주식회사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제 H-7650, 가속 전압 100㎸)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막두께를 측정하였다.
(6) 수평균 분자량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토소주식회사제 HLC-8120G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산출하였다.
(7) 가열 수축률
시료를 무장력 상태에서 150℃로 보지한 오븐 중, 30분간 처리하고, 그 전후의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가열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가열 수축률(%)={(L0-L1)/L0}×100
(상기 식 중, L0은 가열 처리 전의 샘플 길이, L1은 가열 처리 후의 샘플 길이)
필름 길이 방향(MD)과 폭방향(TD)으로 5점씩 측정하고, 각각의 방향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8) 표면 저항값
일본 휴렛팩커드사제 고저항 측정기:HP4339B 및 측정 전극:HP16008B를 이용하여, 23℃, 50% RH의 측정 분위기 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충분히 조습(調濕) 후, 인가 전압 100V로 1분 후의 기능층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9) 헌터 백색도
니혼덴쇼쿠고교주식회사제 측색계 NDH-1001DP(C광원, 2°시야)를 이용하여, JIS P8123-1961의 방법에 준하여, 필름 단매일 시의 헌터 백색도(Wb)를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 배면은 흑색판으로 눌렀다.
(10) b값(반사법)
니혼덴쇼쿠고교주식회사제 측색계 NDH-1001DP(C광원, 2°시야)를 이용하여, JIS Z-8722, 8730의 방법에 준하여, 필름 단매일 시의 b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 배면은 흑색판으로 눌렀다.
(11) 은폐도(OD)
맥베스 농도계 TD-904형을 사용하여, 백색광에 의한 투과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점 행하고, 그 평균값을 OD값이라고 하였다. 이 값이 클수록 광선 투과율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12) 겉보기 밀도(g/㎤)
필름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10㎝×10㎝의 정방형의 샘플을 잘라내고, 마이크로미터로 균등하게 9개소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평균값과 필름의 중량으로부터, 단위체적당의 중량을 산출하여, 겉보기 밀도라고 하였다. 측정수는 5점으로 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13) 적층 백색 필름의 두께
필름 작은 조각을 에폭시 수지로 고정 성형한 후, 마이크로톰으로 절단하고,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사진으로 관찰하였다. 그 단면 중 필름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2개, 명암에 의해 계면이 관찰된다. 그 2개의 계면과 필름 표면까지의 거리를 10매의 사진으로부터 측정하여, 평균값을 적층 백색 필름의 두께라고 하였다.
(14) 전자 사진 인쇄에 의한 화상 품질 적정
리코주식회사제 복합기:imagio MP C5001 it에, A4사이즈로 커트한 필름(시트)을 급지하고, 사진 프린트에 의한 화상 형성 물질이 올려진 풀컬러의 테스트 화상을 얻었다. 화상 품질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 필름에 주름 등이 발생하는 일 없이, 고화질, 고품질인 화질
B : 화질의 일부가 약간 불선명하지만 실용상 문제 없다
C : 필름에 주름 등이 발생하여, 화질도 불선명하여 전체적으로 뒤떨어진다.
(15) 문자, 화상(토너상) 박리 제거 적정
(14)에서 얻어진 화상 형성 물질이 정착한 필름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를 95중량부,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이르가큐어 184,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주식회사제)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균일 도포하고, 당해 혼합물 상에 글라스판을 두고, 그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글라스판과 필름을 박리시켰다. 이 때, 형성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은 글라스판측에 접착하고, 필름 표면에 형성된 화상 형성 물질 등에 의한 문자나 화상을 전사, 보지할 수 있다. 이 때의 필름 표면 상의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상태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
A : 필름 표면 상의 화상 형성 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복사 용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B : 필름 표면 상에 일부, 약간 화상 형성 물질이 남아있지만, 반복하여 복사 용지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실용상 문제 없다.
C : 필름 표면 상에 화상 형성 물질이 대부분 남아있고, 반복하여 복사 용지로서 사용할 수 없다.
(16) 인쇄 반송성
리코주식회사제 복합기:imagio MP C5001 it에, A4사이즈로 커트한 필름(시트)을 100매 급지하고, 사진 프린트에 의한 100매 연속 인쇄를 행하였을 때의, 복합기의 필름(시트) 반송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 복합기 내에서 필름(시트)의 막힘이 일체 없다. 또한, 인쇄된 필름(시트)의 중송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1매 1매 독립하여 반송된 것을 복합기의 배지대에서 확인.
B : 인쇄된 필름(시트)의 중송이 때때로 발생하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범위에서 복합기 내에서 필름(시트)의 막힘 없이 연속 인쇄를 할 수 있던 것을 복합기의 배지대에서 확인.
C : 필름(시트)끼리가 첩부됨으로써 필름 몇매가 덩어리가 되기 때문에, 복합기가 필름(시트)을 반송할 수 없다, 또는, 복합기 내에서 필름(시트)의 막힘이 자주 발생하여 연속 인쇄할 수 없다, 또는, 간신히 인쇄할 수 있어도 화질이 선명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뒤떨어진다.
(17) 필기성
미쓰비시연필주식회사제 , 유니의 경도 H의 연필로, 1㎜ 간격으로 5개의 직선을 그리고, 육안으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
A : 개별의 직선을 판별할 수 있다.
B : 선의 색이 얇아, 개개의 선이 판별하기 어렵다.
C : 직선을 그릴 수 없다.
(18) 기능층 외관
형광등 아래에서 적층 백색 필름을 관찰하여, 기능층의 외관을 육안으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
A : 기능층에 결함이 보여지지 않으며 균일한 외관
B : 기능층의 일부에 결함이 보인다
C : 기능층의 대부분에 결함이 보인다
[실시예 1군]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로서, 실시예 1-1~실시예 1-69 및 비교예 1-1~비교예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능층>
기능층을 구성하는 화합물은 이하와 같다.
·대전 방지제(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 : (IA)
주쇄에 피롤리디늄환을 가지는 하기 조성으로 중합된 폴리머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N-메틸올아크릴아미드=90/5/5(㏖%). 수평균 분자량 30000.
·대전 방지제(암모늄기를 가지는 화합물) : (IB)
하기 식 (2)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카운터 이온이 메탄 술폰산 이온인 수평균 분자량 50000의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이형제(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 : (IIA)
4구 플라스크에 크실렌 200중량부,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600중량부를 추가하고, 교반 하에 가열하였다. 크실렌이 환류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평균 중합도 500, 비누화도 88몰%의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를 소량씩 10분 간격으로 약 2시간에 걸쳐 추가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을 마저 추가하고 나서, 추가로 2시간 환류를 행하고,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80℃까지 냉각하고 나서, 메탄올 중에 추가한 바, 반응생성물이 백색 침전으로서 석출되었으므로, 이 침전을 여과 분리하고, 크실렌 140중량부를 추가하고, 가열하여 완전하게 용해시킨 후, 다시 메탄올을 추가하여 침전시키는 조작을 수회 반복한 후, 침전을 메탄올에서 세정하고, 건조 분쇄하여 얻었다.
·이형제(폴리에테르기 함유 축합형 실리콘) : (IIB)
디메틸실리콘의 측쇄에, 몰비로 디메틸실록산 100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쇄가 8인 폴리에틸렌글리콜(말단은 수산기)을 1함유하는 수평균 분자량 7000의 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리콘(실리콘의 실록산 결합을 1이라고 하였을 경우, 몰비의 비율로, 폴리에테르기의 에테르 결합은 0.07이다). 수평균 분자량 500 이하의 저분자 성분은 3중량%, 규소에 결합한 비닐기(비닐실란), 수소기(하이드로겐실란)는 존재하지 않고. 또한, 본 화합물은, 중량비로, 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리콘을 1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을 0.25의 비율로 배합하고, 수분산된 것.
·이형제(왁스) : (IIC)
교반기, 온도계, 온도 컨트롤러를 구비한 내용량 1.5L의 유화 설비에 융점 105℃, 산가 16mgKOH/g, 밀도 0.93g/㎖, 수평균 분자량 5000의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300g, 이온 교환수 650g과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계면활성제를 50g, 48중량% 수산화칼륨 수용액 10g을 추가하여 질소로 치환 후, 밀봉하여 150℃로 1시간 고속 교반한 후 130℃로 냉각하고,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400기압 하에서 통과시켜 40℃로 냉각한 왁스 에멀션.
·아크릴 수지 : (III)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N-메틸올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88/10/1/1(중량%)의 유화중합체(유화제:논이온계 계면활성제)
·가교제(옥사졸린 화합물) : (IVA)
옥사졸린기 및 폴리알킬렌옥사이드쇄를 가지는 아크릴폴리머 에폭로스(등록 상표)(옥사졸린기량=4.5mmol/g, 주식회사일본촉매제)
·가교제(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 (IVB)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0중량부를 60℃에서 교반하고, 촉매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카프릴레이트 0.1중량부를 추가하였다. 4시간 후, 인산 0.2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이소시아누레이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이소시아누레이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100중량부, 수평균 분자량 400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42.3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9.5중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7시간 보지하였다. 그 후 반응액온도를 60℃로 보지하고, 이소부타노일아세트산 메틸 35.8중량부, 말론산 디에틸 32.2중량부, 나트륨메톡시드의 28중량% 메탄올 용액 0.88중량부를 첨가하고, 4시간 보지하였다. n-부탄올 58.9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액 온도 80℃에서 2시간 보지하고, 그 후, 2-에틸헥실애시드포스페이트 0.86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진 활성 메틸렌에 의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 (IVC)
[실시예 1-1]
중간층용으로서 고유 점도가 0.67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80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0㎖/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20중량부를 280℃로 설정한 메인의 벤트를 구비한 2축 압출기에, 표층용으로서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9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60중량부를 280℃로 설정한 서브의 벤트를 구비하는 2축 압출기에 보냈다. 기어 펌프, 필터를 개재하여, 메인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중간층, 서브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표층이 되도록 2종 3층(표층/중간층/표층)의 층구성으로 공압출하여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켜, 두께 887㎛의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비정질 시트를 세로방향으로 92℃에서 3.1배 연신한 후, 이 세로 연신 필름의 양면에, 하기 표 7에 나타내는 수계의 도포액 1을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가 0.10㎛가 되도록 도포하고,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가로방향으로 120℃에서 3.8배로 연신한 후, 235℃에서 1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가로방향으로 10% 이완하여 6㎛(표층)/62㎛(중간층)/6㎛(표층)의 두께 구성으로 전체 두께가 74㎛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필기성, 및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4,8에 나타낸다.
[실시예 1-2~1-4]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5~1-14]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15]
고유 점도가 0.63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40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7㎖/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실시예 1-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시에 발생한 이부나 마스터 롤 이부로부터의 재생품을 4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중간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중간층에 있어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유래 및 재생품 유래의 폴리프로필렌의 합계량은, 24중량%가 된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필기성,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4,8에 나타낸다.
[실시예 1-16~1-18]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19~1-27]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및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28]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3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0㎖/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0중량부, 실시예 1-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시에 발생한 이부나 마스터 롤 이부로부터의 재생품을 87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중간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필기성,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4,8에 나타낸다.
[실시예 1-29~1-31]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8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32~1-40]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8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및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41]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5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3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0.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6중량부, 고유 점도가 0.68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82.1중량부를 표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9에 나타낸다.
[실시예 1-42~1-44]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를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은 하기 표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45~1-53]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2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인쇄 반송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54]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5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0.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8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74.5중량부를 표층으로 하여, 세로 연신 후의 도포액의 도포 공정에 있어서, 편면에만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에 대해서,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필기성의 각 평가는, 도포액의 도포를 행하지 않는 쪽의 면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화상 품질 적정, 인쇄 반송성 및 기능층 외관은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9에 나타낸다.
[실시예 1-55]
평균 입경이 0.1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9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6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이고, 인쇄 반송성, 필기성,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9에 나타낸다.
[실시예 1-56~1-58]
기능층의 막두께(건조 후)를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은 하기 표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필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59~1-67]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2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이고, 인쇄 반송성 및 필기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1-68]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11.1㎛의 실리카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70중량부를 표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인쇄 반송성, 필기성 및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9에 나타낸다.
[실시예 1-69]
필름제 막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 온도를 201℃, 10초간 열처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 각 층의 두께는, 6㎛/63㎛/6㎛인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필름을 평가한 바, 인쇄 반송성, 필기성 및 기능층 외관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9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으로 보충하고, 기능층을 마련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6,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인쇄 반송성, 및 필기성의 어느 특성도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1-2]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여,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2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3에, 기능층의 도포액 조성을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6,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이나 인쇄 반송성이 나쁜 것이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실시예 2군]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로서, 실시예 2-1~실시예 2-6 및 비교예 2-1~비교예 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1]
중간층으로서, 고유 점도가 0.67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80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0㎖/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280℃로 설정한 메인의 벤트를 구비한 2축 압출기에 보냈다.
또한 표층으로서,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9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6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280℃로 설정한 서브의 벤트를 구비한 2축 압출기에 보냈다.
기어 펌프, 필터를 개재하여, 메인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중간층, 서브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표층이 되도록 2종 3층(표층/중간층/표층)의 층구성으로 공압출하여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켜, 두께 887㎛의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세로방향에 92℃에서 3.1배 연신한 후,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가로방향에 120℃에서 3.8배로 연신한 후, 235℃에서 1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가로방향에 10% 이완하여 6㎛(표층)/62㎛(중간층)/6㎛(표층)의 두께 구성으로 전체 두께가 74㎛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필기성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중간층으로서, 고유 점도가 0.63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40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7㎖/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15중량부, 실시예 2-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시에 발생한 이부나 마스터 롤 이부로부터의 재생품을 4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또한, 중간층에 있어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유래 및 재생품 유래의 폴리프로필렌의 합계량은 24중량%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필기성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중간층으로서,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3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0㎖/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10중량부, 실시예 2-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시에 발생한 이부나 마스터 롤 이부로부터의 재생품을 87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필기성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표층으로서, 평균 입경이 0.1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9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6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 및 필기성은 모두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표층으로서,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1.3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0.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6중량부, 고유 점도가 0.69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82.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4㎛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2㎛/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은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표층으로서,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5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을 0.5중량부, 평균 입경이 4.1㎛의 실리카 입자를 3.5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10중량부, 고유 점도가 0.68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을 74.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한 바, 화상 품질 적정은 양호한 것이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2,13에 나타낸다.
[비교예 2-1]
표층으로서, 평균 입경이 0.32㎛의 산화티탄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15중량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8㎖/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칩 15중량부, 평균 입경이 11.1㎛의 실리카 입자를 5.0중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가 0.66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7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의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6㎛/63㎛/6㎛였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12,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이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2-2]
필름제 막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 온도를 201℃, 10초간 열처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75㎛, 각 층의 두께는, 6㎛/63㎛/6㎛인 2축 배향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표 12,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품질 적정 및 문자, 화상 박리 제거 적정이 나쁜 것이었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Claims (18)

  1. 겉보기 밀도가 0.7~1.3g/㎤, 두께가 10~100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기능층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대전 방지제에 추가하여 이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이형제를 당해 기능층 중에 3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가교제에 유래하는 가교 구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이 피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 이외의 입자로서, 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 또는 이들 양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양표층과 중간층을 가지며,
    당해 양표층은, 폴리에스테르, 당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 금속 화합물 입자, 및, 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 또는 이들 양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당해 표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9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폴리머의 함유량은 1중량% 이상 7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0.05㎛ 이상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 화합물 입자의 함유량은 1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0㎛ 보다 크며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0.005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백색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백색 필름의 기능층 상에 화상 형성 물질을 가지는 적층 백색 필름.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백색 필름의 기능층 상에 화상 형성 물질을 가지는 피기록재.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물질 상 또는 상기 기능층 상에 수지층을 구비한, 적층 백색 필름 또는 피기록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상기 화상 형성 물질 또는 상기 기능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백색 필름 또는 피기록재.
KR1020197028778A 2017-03-02 2018-03-02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KR102601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9869 2017-03-02
JPJP-P-2017-039869 2017-03-02
JPJP-P-2017-039870 2017-03-02
JP2017039870 2017-03-02
JP2017218862A JP7052306B2 (ja) 2017-03-02 2017-11-14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JP-P-2017-218863 2017-11-14
JPJP-P-2017-218862 2017-11-14
JP2017218863A JP7052307B2 (ja) 2017-03-02 2017-11-14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PCT/JP2018/008008 WO2018159811A1 (ja) 2017-03-02 2018-03-02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996A true KR20190125996A (ko) 2019-11-07
KR102601068B1 KR102601068B1 (ko) 2023-11-13

Family

ID=6811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778A KR102601068B1 (ko) 2017-03-02 2018-03-02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66853B2 (ko)
EP (1) EP3590712B1 (ko)
KR (1) KR102601068B1 (ko)
CN (1) CN110325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4731A (zh) * 2017-03-02 2022-07-08 三菱化学株式会社 层叠白色薄膜和被记录材料
CN110744830B (zh) * 2019-10-17 2022-03-15 重庆金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导电聚酯薄膜的制备方法
WO2024083485A1 (en) 2022-10-19 2024-04-25 Agfa-Gevaert Nv Recording material containing a coated polyester fil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196A (ja) 1997-01-23 1998-08-04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印刷性に優れた合成紙
JPH11116716A (ja) * 1997-10-21 1999-04-27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1026089A (ja) * 1999-05-12 2001-0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49001A (ja) *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234162A (ja) 2004-02-19 2005-09-02 Ricoh Co Ltd 電子写真用紙、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KR20150113834A (ko) * 2014-03-31 2015-10-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KR20160046851A (ko) * 2014-01-28 2016-04-29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5016A (en) * 1958-02-12 1961-08-16 Adhesive Tapes Ltd A member having a release coating
JPH0747360B2 (ja) * 1985-06-10 1995-05-24 尾池工業株式会社 転写印刷方法
DE3623483A1 (de) * 1985-07-11 1987-01-15 Fuji Xerox Co Ltd Waermesensitives aufzeichnungsmaterial
US5811371A (en) * 1987-03-20 1998-09-22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Image-receiving sheet
US5407724A (en) * 1989-11-14 1995-04-18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heat-sensitive image transfer material
JPH0429889A (ja) * 1990-05-25 1992-01-31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830147B2 (ja) * 1990-09-17 1996-03-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透明シリコーンオイルコンパウンド組成物
US5422175A (en) * 1992-06-01 1995-06-0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Void-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
JPH07186597A (ja) * 1993-12-27 1995-07-25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紙
JPH07199756A (ja) 1993-12-28 1995-08-04 Nitto Denko Corp トナー記録用紙の記録消去方法
US5698489A (en) * 1994-02-25 1997-12-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US5660931A (en) * 1994-03-17 1997-08-26 Skc Limited Polymeric film with paper-like characteristics
JPH08132747A (ja) * 1994-11-04 1996-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光沢制御方法
GB9425874D0 (en) * 1994-12-21 1995-02-22 Ici Plc Receiver sheet
JP3667371B2 (ja) * 1995-01-11 2005-07-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
US5516865A (en) * 1995-02-03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borne (meth) acrylic latex polymers for release
US6183856B1 (en) * 1996-07-25 2001-02-06 Mobil Oil Corporation Opaque polymeric film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DE69825818T2 (de) * 1997-06-09 2005-09-01 Toyo Boseki K.K. Poröser Polyesterfilm und thermisches Übertragungsbildempfangsschicht
JPH11157037A (ja) 1997-12-02 1999-06-15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Kk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ビデオプリンター用受像紙
DE69804392T3 (de) * 1997-08-12 2006-08-3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Polyesterfilm, enthaltend feine Zellen
JP4001307B2 (ja) 1998-06-22 2007-10-31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ビデオプリンター用受像紙
US6348258B1 (en) * 1998-06-25 2002-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film having organic filler
JP2000169610A (ja) 1998-12-08 2000-06-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ビデオプリンター用受像紙
JP4061444B2 (ja) 1998-09-25 2008-03-19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ビデオプリンター用受像紙
US6482510B1 (en) * 1999-03-30 2002-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gital printable and releasable form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useful thereto
EP1052268B1 (en) * 1999-05-12 2007-10-1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Microcellular polyester film
JP3972530B2 (ja) 1999-06-08 2007-09-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体
JP2001105747A (ja) *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染料受像シート及び受容層転写シート
KR100561960B1 (ko) * 2000-04-03 2006-03-21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US6613430B2 (en) * 2000-09-07 2003-09-02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Release coated polymer film
DE60215341T3 (de) * 2001-04-19 2013-01-31 Toray Industries, Inc. Weisses polyesterlaminat und bildempfangsschicht für thermotransfer-aufzeichungsverfahren
JP3717423B2 (ja) * 2001-06-04 2005-11-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キル変性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US6638893B2 (en) * 2001-12-27 2003-10-28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dye transfer receiver element with microvoided support
US20040175560A1 (en) * 2003-01-30 2004-09-09 Chang-Ho Suh Porous polyester film
US6825150B2 (en) * 2003-02-26 2004-11-30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dye-transfer receiving element with microvoided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40241352A1 (en) * 2003-06-02 2004-12-02 Shih Frank Yen-Jer Ink-receptive coatings, composites and adhesive-containing facestocks and labels
JP2005103804A (ja) * 2003-09-29 2005-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
JP4157071B2 (ja) * 2004-03-31 2008-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の受容層形成用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受像シート
US7312293B2 (en) * 2004-05-24 2007-12-25 Lintec Corporation Release agent composition and release liner
US8372232B2 (en) * 2004-07-20 2013-02-12 Neenah Paper, Inc. Heat transfer material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536567B2 (ja) * 2005-03-30 2010-09-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の受容層形成用樹脂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受像シート
US20070082196A1 (en) * 2005-10-07 2007-04-12 Ali Mahfuza B Antistatic additive and tapes made therefrom
KR100718848B1 (ko) * 2005-11-30 2007-05-1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490382B2 (ja) * 2006-02-28 2010-06-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9988A (ja) * 2006-02-28 2007-09-13 Fujifilm Corp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093623A1 (ja) 2007-01-31 2008-08-07 Toray Industries,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シート
US7910519B2 (en) * 2007-03-05 2011-03-22 Eastman Kodak Company Aqueous subbing for extruded thermal dye receiver
KR20090009107A (ko) * 2007-07-19 2009-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
JP4685900B2 (ja) * 2007-09-14 2011-05-18 株式会社リコー 剥離部材、剥離部材の製造方法、画像除去装置、画像除去方法、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除去システムの画像除去方法
CN101402735B (zh) * 2008-11-11 2011-02-02 宁波润禾化学工业有限公司 一种长链烷基硅油的制备方法
KR101794262B1 (ko) * 2009-01-19 2017-11-07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재사용가능 프린팅 매체,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US8758548B2 (en) * 2011-08-19 2014-06-24 Neenah Paper, Inc. Durable, heat resistant, erasable release coatings, release coated substrate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CN103764779A (zh) * 2011-08-31 2014-04-30 琳得科株式会社 粘合片
US20140030485A1 (en) * 2012-07-27 2014-01-30 John L. Stoffel Renewable print media
JP2015024576A (ja) * 2013-07-26 2015-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
US9707788B2 (en) * 2013-12-07 2017-07-18 Kodak Alaris, Inc. Conductive thermal imaging receiving layer with receiver overcoat layer
US10272707B2 (en) * 2013-12-07 2019-04-30 Kodak Alaris Inc. Thermal image receiver element with conductive dye-receiving layer
IT201600086208A1 (it) * 2016-08-19 2018-02-19 Policrom Screens S P A Sistema di trasferimento per stampa
JP2018144251A (ja) * 2017-03-01 2018-09-20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196A (ja) 1997-01-23 1998-08-04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印刷性に優れた合成紙
JPH11116716A (ja) * 1997-10-21 1999-04-27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1026089A (ja) * 1999-05-12 2001-0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49001A (ja) * 1999-08-05 2001-02-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234162A (ja) 2004-02-19 2005-09-02 Ricoh Co Ltd 電子写真用紙、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KR20160046851A (ko) * 2014-01-28 2016-04-29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KR20150113834A (ko) * 2014-03-31 2015-10-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1774A1 (en) 2019-12-19
CN110325363A (zh) 2019-10-11
EP3590712B1 (en) 2023-10-25
EP3590712A1 (en) 2020-01-08
KR102601068B1 (ko) 2023-11-13
CN110325363B (zh) 2022-09-06
EP3590712A4 (en) 2020-03-18
US11766853B2 (en)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8609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766853B2 (en) White laminated film and recording material
JP2006334966A (ja) 空洞含有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052306B2 (ja)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WO2018159811A1 (ja)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6172209B2 (ja)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4512988B2 (ja) インサート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7035888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7124493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441838B2 (ja) 空洞含有複合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感熱転写記録材料用基材フィルム
JP7264294B2 (ja)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7327545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653185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27959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7052307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2018020569A (ja) 積層フィルム
JP7264295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2018159929A (ja) 光学部材
JP7013945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2018123325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6218482A (ja) 光学部材
JP653171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78085B2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3941404B2 (ja)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JP2017154128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