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465A -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465A
KR20190100465A KR1020197024478A KR20197024478A KR20190100465A KR 20190100465 A KR20190100465 A KR 20190100465A KR 1020197024478 A KR1020197024478 A KR 1020197024478A KR 20197024478 A KR20197024478 A KR 20197024478A KR 20190100465 A KR20190100465 A KR 2019010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esin
concrete
wiring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준 조
히데야스 나카지마
미치오 시마모토
아키라 우에다
마사키 도노
가츠미 닛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Abstract

콘크리트 (3) 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 (16) 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3) 타설 전에 배치되는 슬리브 (10) 는,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 (12)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SLEEVE, SECTION THROUGH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관련 분야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15년 5월 2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5-109574호 명세서 및 2015년 7월 1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5-138984호 명세서 (이들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원용된다) 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되는 슬리브, 이러한 슬리브를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 및 이러한 슬리브를 사용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각 층의 콘크리트 타설 바닥에 있어서, 배관 또는 배선을 층 위에서부터 층 아래 또는 그 반대로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구획 관통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또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 관통 구멍에 콘크리트를 형성하지만,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전에 보이드 또는 슬리브라고 불리는 관을 바닥 하지에 설치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슬리브 주위에 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콘크리트 바닥을 만들고 양생하여, 슬리브의 내부에 구획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획 관통 구멍으로 하고, 배관 또는 배선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슬리브는 통상적으로 종이, 수지 또는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양생 후에 인발 작업이 필요했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배관 또는 배선 후에 내화성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어, 시공이 번잡했다. 또 내화성 장치에 팽창재와 같은 내화재가 설치되어 있는지 어떤지의 확인은, 설치된 후에는 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572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25670호
배선 또는 배관 후에 내화성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타설 후의 구획 관통 구조가 내화성을 갖고 있으면 유익하다. 또 슬리브 그 자체에 내화성이 있으면 인발할 필요도 없다. 시공 확인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성이 우수하고 또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과 그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리브를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하면 구획 관통 구멍 형성을 위한 형 (型) 으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항 1.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되는 슬리브로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
항 2. 슬리브를 바닥 하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항 1 에 기재된 슬리브.
항 3. 슬리브 본체의 하단부에 각각이 구멍을 갖는 1 개 또는 복수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슬리브.
항 4.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의 끝에서부터 끝까지 연장되는 갈라진 틈을 갖는 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5. 슬리브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6.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종이제 심을 추가로 구비하는 항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7. 슬리브의 단부에 부착 가능한 고리형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항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8. 덮개 부재는 가소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는 염화비닐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항 7 에 기재된 슬리브.
항 9. 덮개 부재가 덮개 부재를 분단하는 갈라진 틈을 갖는 항 7 또는 8 에 기재된 슬리브.
항 10. 덮개 부재와 슬리브가 일체화되어 있는 항 7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1. 덮개 부재가 착색되어 있는 항 7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2. 슬리브에 대해,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가 쌓아 올려져 있는 항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3. 상기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의 상측에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가 쌓아 올려지고,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상단부의 개구부에 고리형 보강구 (79) 가 장착되고, 상기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의 하단부에 경질 수지로 형성된 고정구가 장착되어 있는 항 12 에 기재된 슬리브.
항 14. 슬리브의 외측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통이 형성되고, 슬리브의 내측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통이 형성되어 있는 항 1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5. 슬리브 본체의 측면에, 슬리브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를 추가로 구비한 항 1 에 기재된 슬리브.
항 16. 슬리브 본체의 단부에, 슬리브 본체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슬리브의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추가로 구비한 항 1 에 기재된 슬리브.
항 17. 상하 대칭인 항 1 ∼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8. 분해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항 1 ∼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19.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벨로스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항 1 ∼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
항 20. 구획 관통 구조로서,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와,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되고,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항 1 ∼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를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
항 21. 상기 슬리브 내에 배치된 배관 또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항 20 에 기재된 구획 관통 구조.
항 22. 상기 배관 또는 배선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고, 배관 또는 배선과 슬리브에 접촉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항 21 에 기재된 구획 관통 구조.
항 23. 항 1 ∼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를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하는 공정과,
슬리브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항 24. 콘크리트 타설 후에, 상기 슬리브 내에 배관 또는 배선을 배치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23 에 기재된 시공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할 수 있고,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슬리브, 배관, 바닥 하지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슬리브를 저면에서 본 대략 사시도이다.
도 3 의 (a) ∼ (d) 는 도 1 의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4 의 (b) 는 슬리브의 갈라진 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5 의 (a) ∼ (d) 는 도 4 의 (a) 의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6 의 (a) 는 덮개 부재 예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6 의 (b) 는 도 6 의 (a) 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를 슬리브 상에 배치한 상태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8 의 (a) 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된 슬리브의 다른 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 의 (b) 는 도 8 의 (a) 의 슬리브의 단면도, 도 8 의 (c) 는 도 8 의 (a) 의 슬리브의 다른 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의 (a) ∼ (c) 는 덮개 부재의 다른 예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10 은 배관 또는 배선과 슬리브 사이에 지지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의 (a) 는 슬리브 고정부가 일체 형성된 다른 예의 슬리브의 정면도이다. 도 11 의 (b) 는 슬리브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1 의 ㅜ(a) 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슬리브와는 별체로서 형성된 슬리브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 의 (a) ∼ (d) 는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가 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에 대해 쌓아 올려져 있는 슬리브의 스택 구조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4 는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5 는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6 은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7은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8 은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19 의 (a) ∼ (d) 는 슬리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20 은 슬리브의 스택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다.
도 21 의 (a) 는 슬리브의 스택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대략 사시도이고, 도 21 의 (b) 는 도 21 의 (a) 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가 개시되어 있다. 슬리브 (10) 는 보이드라고도 불린다. 슬리브 (10) 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12) 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에 의해 개구부 (19) 가 형성되고, 구획 관통 구멍 (16) (도 3 의 (b) 참조) 으로서 작용한다. 개구부 (19) 의 크기 (슬리브 본체 (12) 의 내부 직경) 는 배관 또는 배선 (5) 의 외부 직경보다 커, 배관 또는 배선 (5) 을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치수이다. 슬리브 (10) 의 재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에는, 1 개 또는 복수 (도면에서는 4 개) 의 부착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 (24) 는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부착부 (24) 는, 도 1 에서는 각각 슬리브 (10) 의 축 (A) 에 관해서 약 90˚이간된 4 개의 부착부로 도시되고, 각 부착부 (24) 는 바닥 하지 (1) 에 대해 슬리브 (10) 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26) 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바닥이 있는 사각형의 형틀 (2) 은, 콘크리트 (3) (도 3 의 (b) 참조) 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형틀 (2) 내에는 콘크리트 (3) 의 보강용 철근 (R) 이 수용되어 있다. 콘크리트 (3) 및 철근 (R) 은 바닥 하지 (1) 를 구성한다.
구멍 (26) 에는 슬리브 (10) 를 형틀 (2), 철근 (R) 또는 콘크리트 (3)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철사 등의 금속선, 볼트, 나사, 못 등의 고정용 부재가 통과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 (10) 는, 금속선 등을 부착부 (24) 의 구멍 (26) 에 통과시켜, 그 금속선의 양 단을 철근 (R) (도 1 참조) 에 묶음으로써, 철근 (R) 에 대해 고정된다. 또, 임의 선택으로, 고정용 부재를 슬리브 (10) 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멍 (26) 에 고정용 부재를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그리스를 발라 두거나, 부착부 (24) 에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면 부착부 (24) 의 부분이 부러져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슬리브 (10) 는, 슬리브 본체 (12) 의 외측면에,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리브는, 슬리브 (10) 의 축 (A) 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도 1 에서는 3 개) 리브 (12a) 와, 슬리브 (10) 의 축 (A) 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고리형 (원주 상) 으로 연장되는 복수 (도 1 에서는 3 개) 의 리브 (12b) 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 (12a,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리브 (12a, 12b) 는, 슬리브 (10) 주위에 콘크리트를 흘려 넣었을 때에 콘크리트로부터 받는 힘에 대해 슬리브 (10) 가 견딜 수 있도록 슬리브 (10) 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리브 (12b) 중, 최하부의 리브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보다 약간 높은 위치 (예를 들어 3 mm ∼ 20 mm) 에 형성되어 있고, 최하부의 리브 (12b) 의 하면보다 하방의 슬리브 본체 (12) 의 부분과, 최하부의 리브 (12b) 와, (또한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착부 (24) 와) 의 사이에는 공간 (12c) 이 형성된다.
도 1 로 되돌아와 참조하면, 슬리브 (10) 에는 내부에 개구부 (31) 를 갖는 고리형 덮개 부재 (30) 가 부착된다. 덮개 부재 (30) 는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비내화성 또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 (30) 는 가소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는 염화비닐 수지이거나 또는 고무 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관을 부여하도록 덮개 부재 (30) 에는 코팅 등의 마무리층이 추가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를 구성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탄성을 갖는 부틸 고무 등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와는 상이한 조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고, 슬리브 (10) 와는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적색, 황색, 오렌지색, 청색, 녹색 등의 색의 착색 등에 따라) 구성된다. 또한,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형광색이어도 된다. 덮개 부재 (30) 는 덮개 본체 (32) 와 본체 (32) 보다 직경이 작은 레그부 (34) 를 갖는다.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덮개 부재 (30) 의 내부 직경은 배관 또는 배선 (5) 의 외부 직경보다 커, 덮개 부재 (30) 의 개구부 (31) 에 배관 또는 배선 (5) 이 수용된다. 덮개 본체 (32) 의 외부 직경은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의 외부 직경보다 크고, 레그부 (34) 의 외부 직경은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그래서, 덮개 본체 (12) 가 슬리브 (10) 의 상단 (13a) 상에 배치되고, 레그부 (34) 가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덮개 부재 (30) 는 본체 (32) 와 작은 레그부 (34) 를 통과하는 덮개 부재 (30) 를 분단하는 갈라진 틈 (33)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갈라진 틈 (33) 위치에서 덮개 부재 (30) 의 양 단부를 파지하며 덮개 부재 (30) 를 확경시켜,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 감음으로써, 배관 또는 배선 (5) 을 구획 관통 구멍 (16) 에 통과시켜 설치한 후에도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갈라진 틈 (33) 이 절곡되고, 갈라진 틈 (33) 의 서로 대향하는 접촉면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갈라진 틈 (33) 을 맞췄을 때의 걸어맞춤력이 강화되어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에 장착한 후에, 외력에 의해 덮개 부재 (30) 가 슬리브 (10) 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브 (10) 는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화 수지 재료는, 수지 성분에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슬리브 (10) 는,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서, 혼련 롤, 라이카이기, 유성식 교반기 등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혼련하고,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리브 (12a, 12b), 그리고 부착부 (24) 가 동일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수지 성분으로는, 공지된 수지 성분을 널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고무 물질 및 그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1-)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고무 물질로서는,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1,2-폴리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염소 화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아크릴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다가황 고무, 비가황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수지 및/또는 고무 물질은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합성 수지 및/또는 고무 물질 중에서도, 유연하며 고무적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갖는 수지 성분은 무기 충전재를 고충전할 수 있고,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유연하며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보다 유연하며 취급하기 쉬운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부틸 등의 비가황 고무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대신에, 수지 자체의 난연성을 높여 방화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은 가열시에 팽창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버미큘라이트, 카올린, 마이카, 열팽창성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흑연이란, 종래에 공지된 물질로서, 천연 인상 (鱗狀) 그래파이트, 열분해 그래파이트, 킷슈 그래파이트 등의 분말을, 진한 황산, 질산, 셀렌산 등의 무기산과, 진한 질산, 과염소산, 과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중크롬산염, 과산화수소 등의 강산화제로 처리하여 그래파이트 층간 화합물을 생성시킨 것으로, 탄소의 층상 구조를 유지한 상태의 결정 화합물의 1 종이다.
상기와 같이 산 처리하여 얻어진 열팽창성 흑연은, 또한 암모니아, 지방족 저급 아민,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등으로 추가로 중화시켜도 된다. 열팽창성 흑연의 입도는 20 ∼ 200 메시가 바람직하다. 입도가 200 메시보다 수치가 크면, 흑연의 팽창도가 팽창 단열층이 얻는 데에 충분하고, 또한 입도가 20 메시보다 작으면, 수지에 배합할 때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물성이 양호하다. 열팽창성 흑연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토소사 제조 「GREP-EG」, GRAFTECH 사 제조 「GRAFGUARD」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제는, 팽창 단열층이 형성될 때, 열 용량을 증대시키고 전열을 억제함과 함께, 골재적으로 작용하여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무기 충전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페라이트 등의 금속 산화물 ;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함수 무기물 ;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스트론튬, 탄산바륨 등의 금속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충전제로서는, 이들 이외에, 황산칼슘, 석고 섬유, 규산칼슘 등의 칼슘염 ; 실리카, 규조토, 도소나이트, 황산바륨, 탤크, 클레이, 마이카,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활성 백토, 세피오라이트, 이모고라이트, 세리사이트, 유리 섬유, 유리 비즈, 실리카계 벌룬,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 벌룬, 목탄 분말, 각종 금속 분말, 티탄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티탄산지르콘산납,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알루미늄보레이트, 황화 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섬유, 붕산 아연, 각종 자성 분말, 슬래그 섬유, 플라이애시, 탈수 오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충전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무기 충전제의 입경으로는, 0.5 ∼ 1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다. 무기 충전제는, 첨가량이 적을 때에는, 분산성이 성능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0.5 ㎛ 이상이면, 분산성이 양호하다. 첨가량이 많을 때에는, 고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이 저하되는데, 입경을 크게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입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100 ㎛ 이하의 입경이 성형체의 표면성, 수지 조성물의 역학적 물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 중, 수산화알루미늄의 구체예로서는, 입경 18 ㎛ 의 「하이디 라이트 H-31」(쇼와 덴코사 제조), 입경 25 ㎛ 의 「B325」(ALCOA 사 제조), 탄산칼슘에서는, 입경 1.8 ㎛ 의 「화이톤 SB 적색」(비호쿠훈카 공업사 제조), 입경 8 ㎛ 의 「BF300」(비호쿠훈카 공업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팽창성 내화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인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린 ;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크실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각종 인산 에스테르 ;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마그네슘 등의 인산 금속염 ; 폴리인산암모늄 ;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방화 성능의 관점에서, 적린, 폴리인산암모늄 및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성능, 안전성, 비용 등의 관점에 있어서 폴리인산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1) 중, R1 및 R3 은, 수소,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2 는, 수산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 알킬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 알콕실기,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적린으로는, 시판되는 적린을 사용할 수 있는데, 내습성, 혼련시에 자연 발화되지 않는 등의 안전성 관점에서, 적린 입자의 표면을 수지로 코팅한 것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인산암모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인산암모늄, 멜라민 변성 폴리인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는데,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인산암모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클라리언트사 제조 「AP422」, 「AP462」, Budenheim Iberica 사 제조 「FR CROS 484」, 「FR CROS 487」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틸포스폰산, 메틸포스폰산디메틸, 메틸포스폰산디에틸, 에틸포스폰산, n-프로필포스폰산, n-부틸포스폰산, 2-메틸프로필포스폰산, t-부틸포스폰산, 2,3-디메틸-부틸포스폰산, 옥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디옥틸페닐포스포네이트, 디메틸포스핀산, 메틸에틸포스핀산, 메틸프로필포스핀산, 디에틸포스핀산, 디옥틸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디에틸페닐포스핀산, 디페닐포스핀산, 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t-부틸포스폰산은 고가이기는 하지만, 고난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을 10 ∼ 350 중량부 및 상기 무기 충전재를 30 ∼ 400 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상기 무기 충전재의 합계는,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50 ∼ 60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내화 단열층을 형성한다. 이 배합에 따르면, 상기 열팽창성 내화재는 화재 등의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필요한 체적 팽창률을 얻을 수 있고, 팽창 후에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짐과 함께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잔류물을 형성할 수도 있고, 안정적인 방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무기 충전재의 합계량은, 50 중량부 이상에서는 연소 후의 잔사량을 만족시켜 충분한 내화 성능이 얻어지고, 600 중량부 이하이면 기계적 물성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각각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페놀계, 아민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이외에, 금속 저해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가교제, 활제, 연화제, 안료, 점착 부여 수지, 성형 보조재 등의 첨가제, 폴리부텐,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열팽창성 내화재는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어, 스미토모 3M 사 제조의 파이어 배리어 (클로로프렌 고무와 버미큘라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로 이루어지는 열팽창성 내화재, 팽창률 : 3 배, 열전도율 : 0.20 kcal/m·h·℃), 미츠이 금속 도료사의 메지히커트 (폴리우레탄 수지와 열팽창성 흑연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팽창성 내화재, 팽창률 : 4 배, 열전도율 : 0.21 kcal/m·h·℃), 세키스이 화학공업사 제조 피블록 등의 열팽창성 내화재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내화재는, 화재시 등의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그 팽창층에 의해 단열되고, 또한 그 팽창층의 강도가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50 kW/㎡ 의 가열 조건하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의 체적 팽창률이 3 ∼ 50 배인 것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체적 팽창률이 3 배 이상이면, 팽창 체적이 상기 수지 성분의 소실 (燒失) 부분을 충분히 메울 수 있고, 또한 50 배 이하이면, 팽창층의 강도가 유지되어 화염의 관통을 방지하는 효과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3 의 (a) ∼ (d) 를 참조하면서, 슬리브 (10) 를 사용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를 바닥 하지 (1) 에 고정시킨다. 슬리브 (10) 의 바닥 하지 (1) 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볼트 (28) 를 슬리브 (10) 하단 (13b) 의 부착부 (24) 의 구멍 (26) 을 통과하여 바닥 하지 (1) 안까지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형틀 (2) 저부의 슬리브 (10) 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관 또는 배선 (5) (도 3 의 (c) 참조)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둔다.
다음으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3) 를 바닥 하지 (1) 에 흘려 넣는다. 이 도면에서는 콘크리트 (3) 의 두께 즉 높이 (H)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에서부터 슬리브 본체의 상단 (13a) 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내측의 개구부 (19) 를 남기고, 슬리브 (10) 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 (3) 가 타설되어 구획 관통 구조 (100) 가 완성된다. 슬리브 (10) 내측의 개구부 (19) 는 구획 관통 구멍 (16) 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슬리브 본체 (12) 에 형성된 최하부의 리브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 (10) 주위에 콘크리트 (3) 를 타설했을 때, 최하부의 리브 (12b) 의 하면보다 하방의 슬리브 본체 (12) 의 부분과, 최하부의 리브 (12b) 와, (또한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로부터 돌출되는 부착부 (24)) 에 의해 형성된 공간 (12c) (도 2 참조) 에 콘크리트 (3) 가 진입하여,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3) 안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3) 를 관통하도록 구획 관통 구멍 (16) 을 통과하여 1 또는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5) 을 실시한다. 배관에는, 수도관, 냉매관, 열매관, 가스관, 흡배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포함된다. 배선에는,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이 포함된다. 또한, 슬리브 본체의 상단 (13a) 에,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5) 의 주위를 많고 또한 구획 관통 구멍 (16) 을 막도록, 덮개 부재 (30) 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도 3 의 (c) 에 있어서, 구획 관통 구조 (100) 의 층 아래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3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팽창되어,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메워 불의 진로를 막는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3) 의 타설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화성을 발휘하여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양생 후에 인발할 필요도 없고, 슬리브 (10) 의 설치와 동시에 내화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 (30) 가, 배관 또는 배선 (5) 의 외주면에 접하고, 또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 사이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더 부여하고 있다. 또, 도 3 의 (c), (d) 의 구획 관통 구조 (100) 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덮개 부재 (30) 가 슬리브 (10) 의 위를 커버하여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눈 가리개의 역할을 하여, 구획 관통 구멍 (16) 안이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미관이 유지된다. 또한, 덮개 부재 (30) 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면, 바닥 아래서부터의 소리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여기까지, 본 발명을 제 1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해 왔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리브 (12a) 및 리브 (12b) 의 일방 또는 양방이 생략되어도 된다.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는, 리브 (12a) 또는 리브 (12b) 의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는, 슬리브 (10) 의 축 (A) 에 수평한 방향, 수직인 방향 이외에, 슬리브 본체 (12) 의 측면을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것이어도 되고, 슬리브 본체 (12) 의 측면을 나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리브는, 슬리브 본체 (12) 의 외측면 (외주면) 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내측면 (내주면) 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들 리브는 슬리브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리브의 범위에 포함된다.
·리브 (12a,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리브 본체 (12) 의 측면 주위에 금속제, 수지제 등의 보강재를 형성하고, 보강재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하는 대신에, 슬리브 본체 (12) 의 재료에 보강 재료를 혼합한 부분이나 두께를 늘린 부분 등을 형성하여 슬리브 (10) 를 보강해도 된다.
·부착부 (24) 의 수는 4 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 (10) 를 바닥 하지 (1) 에 고정시키는 데에 충분한 임의의 수여도 된다.
·부착부 (24) 를 생략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의 (a) 에는,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가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 (10) 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12) 와 슬리브 본체 (12) 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리형 플랜지부 (14) 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 본체 (12) 는 1 장의 사각형 시트상 부재로 형성되고, 플랜지부 (14) 도 1 장의 고리형 시트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14) 는,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슬리브 (10) 의 축 방향 (A) 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14) 의 폭 (W) 은 슬리브 본체 (12) 의 두께 (T) 보다 크다.
도 4 의 (a) 로 되돌아와,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부에는, 슬리브 본체 (12) 를 바닥 하지 (1) (도 5 의 (a) 참조) 에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고정 부재로서의 고리형 고정구 (20) 가 장착된다. 고정구 (20) 는, 슬리브 본체 (12) 의 외부 직경에 적합한 내부 직경을 갖는 금속제 링 (22) 과, 링 (22) 상에 이간 배치된 복수의 (도 4 의 (a) 에서는 4 개) 부착부 (24) 를 갖는다. 각 부착부 (24) 는 볼트 (28) (도 5 의 (a) 참조) 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26) 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12) 및 플랜지부 (14) 는 동일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내화 수지 재료는, 수지 성분에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5 의 (a) ∼ (d) 를 참조하면서, 슬리브 (10) 를 사용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의 하단부에 고정구 (20) 를 장착하고, 슬리브 (10) 를 바닥 하지 (1) 에 고정시킨다. 슬리브 (10) 의 바닥 하지 (1) 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볼트 (28) 를 고정구 (20) 의 부착부 (24) 의 구멍 (26) 을 통과하여 바닥 하지 (1) 안까지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바닥 하지 (1) 에 흘려 넣는다. 이 도면에서는 콘크리트의 두께 즉 높이 (H)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에서부터 플랜지부 (14) 의 하면 (15) 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내측의 개구부 (19) 를 남기고, 슬리브 (10) 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 (3) 가 타설되어 구획 관통 구조 (100) 가 완성된다. 슬리브 (10) 내측의 개구부는 구획 관통 구멍 (16) 으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3) 를 관통하도록, 구획 관통 구멍 (16) 을 통과하여 1 또는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5) 이 실시된다. 배관에는, 수도관, 냉매관, 열매관, 가스관, 흡배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포함된다. 배선에는,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5 의 (c) 에 있어서, 구획 관통 구조 (100) 의 층 아래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5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및 플랜지부 (14) 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팽창되어,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메워 불의 진로를 막는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3) 의 타설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화성을 발휘하여,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양생 후에 인발할 필요도 없고, 슬리브 (10) 의 설치와 동시에 내화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획 관통 구조 (100) 는, 도 6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부에 개구부 (31) 를 갖는 고리형 덮개 부재 (3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덮개 부재 (30) 는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내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여도 된다. 또한, 미관을 부여하도록 덮개 부재 (30) 에는 코팅 등의 마무리층이 추가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를 구성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탄성을 갖는 부틸 고무 등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30) 는 덮개 본체 (32) 와 본체 (32) 보다 직경이 작은 레그부 (34) 를 갖는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덮개 부재 (30) 의 개구부 (31) 에 배관 또는 배선 (5) 이 수용되고, 덮개 본체 (32) 가 플랜지부 (14) 상에 배치되고, 레그부 (34) 가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또,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30) 는 본체 (32) 와 작은 레그부 (34) 를 통과하는 갈라진 틈 (33)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갈라진 틈 (33) 위치에서 덮개 부재 (30) 의 양 단부를 파지하며 덮개 부재 (30) 를 확경시키고,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 감음으로써, 배관 또는 배선 (5) 을 구획 관통 구멍 (16) 에 통과시켜 설치한 후에도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 (30) 는, 배관 또는 배선 (5) 의 외주면에 접하고, 또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 사이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추가로 부여하고 있다. 또, 도 7 의 구획 관통 구조 (100) 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덮개 부재 (30) 가 플랜지부 (14) 위를 커버하여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 (14) 및 구획 관통 구멍 (16) 안이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미관이 유지된다.
여기까지, 본 발명을 제 2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해 왔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슬리브 본체 (12) 와 플랜지부 (14) 에는, 도 4 의 (a) 에 있어서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 (10) 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를 통과하는 연속되는 갈라진 틈 (17)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슬리브 (10) 를 부틸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고,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 (10) 의 끝에서부터 끝까지 연장되는 갈라진 틈 (17) 을 형성하면, 슬리브 (10) 의 콘크리트 (2) 로부터의 착탈이나 슬리브 (10) 의 배관 또는 배선 (5) 으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배관 또는 배선 (5) 을 앞서 시공하고, 그 후에 슬리브 (10) 를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의 (a) 의 갈라진 틈 (17) 은 슬리브 (12) 의 축 방향을 따른 직선 상태의 갈라진 틈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2) 를 비스듬하게 뻗는 갈라진 틈 (예를 들어 스파이럴형) 이어도 된다.
·슬리브 본체 (12) 와 플랜지부 (14) 는, 상이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슬리브 본체 (12) 가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플랜지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화재시에는 적어도 슬리브 본체 (12) 가 팽창되어, 슬리브 (10) 를 통한 불의 연소는 방지된다.
·플랜지부 (14) 를 생략해도 되고, 이 경우에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본체 (12) 상에 부착해도 된다.
·고정구 (20) 의 부착부 (24) 의 수는 4 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 (10) 를 바닥 하지 (1) 에 고정시키는 데에 충분한 임의의 수여도 된다.
·고정구 (20) 는 금속 이외의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 (20) 는 가연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 (20) 는 경질 염화비닐을 비롯한 경질 수지로 형성된다. 고정부 (20) 를 경질 수지로 구성하면, 슬리브 고정부 (20) 가 장착된 슬리브 (10) 의 하단부에는 강도가 부여되어, 콘크리트 (3) 를 타설할 때 흘려 넣어진 콘크리트 (3) 의 압력에 의한 슬리브 (10) 의 변형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고정구 (20) 를 생략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에 제 1 실시형태의 리브 (12a 및/또는 12b) 등의 슬리브 (10) 의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에,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1 개 또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 (10a) 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도면에서는 위치 결정부 (10a) 는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 중심의 상하 2 군데, 구체적으로는 슬리브 (10) 의 상단과 하단 부근의 2 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도로 본 경우, 위치 결정부 (10a) (도면에서는 4 개) 가 등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 (10a)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내에 배관 또는 배선 (5) 을 배치하는 경우에, 위치 결정부 (10a) 가 슬리브 (10) 내에 있어서의 적은 어긋남에 의한 배관 또는 배선 (5) 의 위치 결정을 지원한다. 위치 결정부 (10a) 의 내측으로의 돌출이 길면, 배관 또는 배선 (5) 은 거의 어긋나거나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고 슬리브 (10) 내의 축 중심 위치에 배치 (센터링) 된다.
·도 8 의 (a), (b) 의 위치 결정부 (10a) 는, 도 8 의 (c) 에서와 같이 더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부 (10a) 보다 중심측에 위치 결정부 (10b) 를 형성하고, 위치 결정부 (10b) 보다 중심측에 위치 결정부 (10c) 를 형성하고, 위치 결정부 (10b) 의 돌출되는 길이는 위치 결정부 (10a) 보다 크고, 위치 결정부 (10c) 의 돌출되는 길이는 위치 결정부 (10b) 보다 크게 한다. 단, 배관 또는 배선 (5) 이 위치 결정부 (10c) 와 접촉되며 손상되지 않도록, 배관 또는 배선 (5) 을 슬리브 (10) 내에 배치했을 때에, 위치 결정부 (10c)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리브 (10) 내에 배관 또는 배선 (5) 을 배치하는 경우에, 위에서부터 배치한 경우에도 아래서부터 배치한 경우에도, 배관 또는 배선 (5) 은 슬리브 (10) 내의 축 중심 위치에 배치되도록 유도된다. 위치 결정부 (10a, 10b 및 10c) 의 슬리브 (10)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치 결정부 (10a, 10b 및 10c) 의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 및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위치 결정부 (10a, 10b 및 10c)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도 된다.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와 슬리브 (10) 를 일체화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덮개 부재 (30) 와 슬리브 (10)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콘크리트 (3) 가 슬리브 (10) 의 개구부 (19) 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 (5) 주위의 내화성도 증대된다.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를 생략해도 된다.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의 갈라진 틈 (33) 을 생략해도 된다. 갈라진 틈 (33) 을 생략해도, 배관 또는 배선 (5) 을 구획 관통 구멍 (16) 에 통과시키기 전에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의 일단부에 부착할 수는 있고, 또한 배관 또는 배선 (5) 을 구획 관통 구멍 (16) 을 통과하여 배치한 후에도, 배관 또는 배선 (5) 의 단부를 덮개 부재 (30) 의 개구부 (31) 에 통과시키고, 배관 또는 배선 (5) 을 따라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의 위치까지 이동시켜도 부착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6 의 (b) 의 레그부 (34) 는 생략해도 된다.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대신에,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35) 가, 1 쌍의 덮개 부품 (36) 과 1 쌍의 덮개 부품 (36) 을 제 1 단부에서 접속하는 축 부재 (37) 를 갖고, 축 부재 (37) 를 중심으로 1 쌍의 덮개 부품 (36) 이 개폐되고, 1 쌍의 덮개 부품 (36) 이 지지 부재 (37) 와는 반대측인 제 2 단부에서 1 쌍의 끼워 맞춤부 (38)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닫았을 때에 배관 또는 배선 (5) 이 1 쌍의 덮개 부품 (36) 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개구부 (39) 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대신에,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40) 가, 1 쌍의 덮개 부품 (41 및 42) 을 갖고, 덮개 부품 (41 및 42) 각각의 양 단부에는 서로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부 (43 및 44) 가 형성되고, 끼워 맞춤부 (43 및 44) 를 개재하여 덮개 부품 (41 및 42) 이 접속되어 닫았을 때에 배관 또는 배선 (5) 이 덮개 부재 (4) 의 덮개 부품 (43 및 44) 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개구부 (45) 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 또는 도 6 의 (a) 의 덮개 부재 (30) 가 레그부 (34) 의 외주면에 나사부 (46) 를 구비하고,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덮개 부재 (30) 와 서로 겹쳐지는 상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 (47) 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상에 부착할 때에,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에 대해 회전시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덮개 부재 (30) 와 슬리브 (10) 를 보다 강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또는 배선 (5) 와 슬리브 (10) 사이에 슬리브 (10) 내에 진입하는 배관 또는 배선 (5) 을 슬리브 (10) 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50) 가 배치되어도 된다. 지지 부재 (50) 는 금속, 수지, 나무 및 그들의 복합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슬리브 (10) 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 (50) 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고무 물질의 수지 성분,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 (50) 는 끝이 가늘어진 선단 (52) 을 갖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 (50) 는 쐐기형을 하고 있다. 지지 부재 (50) 는 슬리브 (10) 즉 구획 관통 구멍 (16) 내에 있어서의 배관 또는 배선 (5) 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즉, 도 3 의 (c) 또는 도 5 의 (c) 와 같이 슬리브 (10) 내에 배관 또는 배선 (5) 을 배치한 상태에서, 지지 부재 (50) 를 선단 (52) 부터 슬리브 (10) 내에 삽입하고,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의 양방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면, 배관 또는 배선 (5) 은 슬리브 (10) 내에서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배관 또는 배선 (5) 에 건물에 금구 등에 부착하지 않아도, 배관 또는 배선 (5) 은 구획 관통 구멍 (16) 내에서 지지 및 고정된다. 또, 도 10 에서는 1 개의 지지 부재 (50) 를 나타냈는데, 복수의 지지 부재 (50) 를 사용해도 된다. 또, 슬리브 (10) 단부 (11) 의 형상을, 지지 부재 (50) 의 슬리브 (10) 내로의 삽입을 촉진시키고, 또한 지지 부재 (50) 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지지 부재 (50) 의 형상과 적합하게 하여 경사지게 해도 된다.
·도 1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착부 (24)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구 (20)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바닥 하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빔 또는 벽) 에 슬리브 (10) 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본체 (12) 에 일체 형성된 슬리브 고정부 (6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슬리브 고정 부재로서의 슬리브 고정부 (60) 는 슬리브 홀더라고도 불린다.
슬리브 고정부 (60) 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에 의해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고정부 (60) 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고정부 (60) 는 슬리브 본체 (12) 와 동일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고정부 (60) 는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열팽창성 흑연을 제외한 동일한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2 색 형성에 의해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슬리브 고정부 (60) 부분의 외관이 양호해지고, 강도도 향상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고정부 (60) 는 슬리브 본체 (12) 와는 별체로 형성된다. 슬리브 고정부 (60) 는, 슬리브 (10) 의 외측에 장착되는 치수의 고리형 (도면에서는 원고리형) 의 부재 (6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태에 따르면 슬리브 본체 (12) 가 통형이어도 되기 때문에, 슬리브 본체 (12) 를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해진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고정부 (60) 는 가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화재 등의 열에 의해 연소된다. 그래서, 슬리브 고정부 (60) 는 콘크리트 부설 후에도 슬리브 (10) 에 장착한 상태여도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고정부 (60) 는 경질 염화비닐을 비롯한 경질 수지로 형성된다. 슬리브 고정부 (60) 를 경질 수지로 구성하면, 슬리브 고정부 (60) 가 장착된 슬리브 (10) 의 하단부에는 강도가 부여되어, 콘크리트 (3) 를 타설할 때 흘려 넣어진 콘크리트 (3) 의 압력에 의한 슬리브 (10) 의 변형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1 의 (a) 및 (b) 그리고 도 12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슬리브 고정부 (60) 의 일단에는, 철근 (R) 이 끼워 넣어지도록 형성된 클립부 (61) 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부 (61) 는, 대략 원통 둘레면의 일부를 개구한 대략 C 자형 단면을 갖고, 그 내부 직경이, 끼워 넣어지는 철근 (R) 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클립부 (61) 의 축선 (C1) 은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축선 (C2) 에 대해 수직이지만, 클립부 (61) 의 축선 (C1) 은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축선 (C2) 에 대해 예각 (예를 들어 45˚) 을 이루어도 된다. 클립부 (61) 의 상대되는 개구단 가장자리부에는, 철근 (R) 의 끼워 넣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폭 확대 방향으로 되접어 꺾인 1 쌍의 가이드 립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부 (61) 에는 아암부 (63) 가 연속해서 형성되고, 클립부 (61) 의 측방으로 장출 (張出) 되어 있다. 아암부 (63) 의 단면은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클립부 (61) 의 강성을 강화시킨다. 아암부 (63) 의 선단은, 슬리브 본체 (12) 와 접속되어 있다.
슬리브 고정부 (60) 의 슬리브 (10) 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슬리브 고정부 (60) 를 클립부 (61) 를 개재하여 철근 (R) 의 임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위치로 한다. 슬리브 (10) 의 관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슬리브 (10) 의 관 길이 방향으로 이간되어 부착한 2 개 이상의 슬리브 고정부 (60) 에 의해 슬리브 (10) 를 유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슬리브 (10) 의 둘레 방향에 2 개 이상의 슬리브 고정부 (60)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슬리브 고정부 (60) 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철근 (R) 에도, 수직으로 배치되는 철근 (R) (예를 들어 빔의 스타 랩) 에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경우에는 슬리브 고정부 (60) 를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절단할 수도 있다.
슬리브 고정부 (60) 를 사용한 관통 구멍의 시공 방법은 이하와 같다. 먼저, 빔 또는 벽의 형틀 내에 철근을 쌓아 올리고, 적어도 하나의 철근 (R) 에 이 슬리브 고정구 (60) 의 클립부 (61) 를 장착하여, 슬리브 (10) 의 위치 결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이 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슬리브 고정부 (60) 를 구비한 상태로 슬리브 (10) 를 콘크리트 내에 매설 고정시킨다. 콘크리트의 경화를 기다렸다가 탈형하면, 슬리브 (10) 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 고정부 (60) 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공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어, 간단하고 정밀도 좋게 슬리브 (10) 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3 의 (a) ∼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본체 (12) 를 구비한 슬리브 (10) 에 대해, 슬리브 (10) 의 축 방향을 따라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70) 가 추가로 쌓아 올려져 있어도 된다. 슬리브 (70) 는 슬리브 (10) 의 위, 아래, 또는 상하 양방 어느 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슬리브 (70) 는 슬리브 (10) 와 동일한 구성을 취할 수 있지만,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가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슬리브 (70) 의 중공 슬리브 본체 (72) 는 슬리브 본체 (12) 와는 이종 재료의 경질 염화비닐, 금속을 비롯한 비열팽창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70) 는 경질 염화비닐 등의 비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이 타워형 구성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바닥 두께가 커진 경우에도, 슬리브 (10) 에서 부족한 두께의 분량을 슬리브 (70) 를 쌓아 올림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경질 염화비닐로 형성된 슬리브 (70) 는 열팽창성 재료로 형성된 슬리브 (10) 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한 종류의 슬리브 (10) 를 사용하여 슬리브 (70) 에서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슬리브 구조 전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비용을 억제하면서 150 mm, 180 mm, 210 mm 와 같이 상이한 두께의 콘크리트 타설에 슬리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3 의 (a) 는 슬리브 (10) 아래에 슬리브 (70) 를 쌓아 올린 슬리브 구조의 실시형태이다. 아래 절반이 비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70) 임으로써, 슬리브 본체 (12) 하측의 개구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슬리브 (70) 는 고리형 고정구 (2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3 의 (b) 는 슬리브 (10) 상에 슬리브 (70) 를 쌓아 올린 슬리브 구조의 실시형태이다. 위 절반이 비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70) 임으로써, 슬리브 본체 (12) 상측의 개구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임의 선택으로, 슬리브 (10) 와 슬리브 (70) 사이에는 슬리브 (10) 및 슬리브 (70) 를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등으로 형성된 1 또는 복수의 접속구 (73) 가 가설 (架設) 되어 있어도 된다. 비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70) 의 개구부에는, 개구부의 형상을 원형으로 유지하는 고리형 보강구 (79) 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 보강구 (79) 는 슬리브 (10) 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지는 치수를 갖는 고리형 본체 (79a) 와, 고리형 본체 (79a) 의 내부에 고리형 본체 (79a) 의 중심을 통과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4 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 (79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리형 보강구 (79) 는 도 13 의 (a) 와 같이 아래 절반에 있는 슬리브 (70) 의 개구부가 형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고리형 보강구 (79) 에 부착부 (24)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리형 보강구 (79) 는 슬리브 (10) 에 형성해도 된다. 슬리브 (10) 및/또는 슬리브 (70) 상측의 개구부 또는 하측의 개구부에 고리형 보강구 (79) 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의 강도를 높여 반송시나 시공시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가 원형인 경우, 고리형 보강구에 의해 개구부가 타원형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의 하단부에는 열팽창성 또는 비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고정구 (20) 가 외삽, 장착된다. 고정구 (20) 는 도 1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1 또는 복수 (도면에서는 4 개) 의 부착부 (24) 를 갖고, 각 부착부 (24) 에는 슬리브 (10) 를 형틀 (2), 철근 (R) 또는 콘크리트 (3)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철사 등의 금속선, 볼트, 나사, 못 등의 고정용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26) 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구 (20) 전체를 경질 염화비닐 등의 경질 수지로 형성하면, 반송시나 콘크리트 타설시의 슬리브 (10) 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 (20) 를 화재에 의한 열에 의해 연소시킬 수도 있다.
접속구 (73) 대신에, 도 1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슬리브 (10) 는, 하측의 슬리브 (70) 에 끼워 맞추기 위한 축경된 감삽부 (74)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슬리브 (10) 의 감삽부 (74) 의 외부 직경은, 슬리브 (70) 본체의 내부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도 13 의 (c) 에 있어서, 슬리브 (10) 와 슬리브 (70) 는 위 아래가 반대의 배치여도 된다. 대신에, 도 13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슬리브 (70) 는, 상측의 슬리브 (10) 에 끼워 맞추기 위한 축경된 감삽부 (75)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슬리브 (70) 의 감삽부 (75) 의 외부 직경은, 슬리브 (10) 본체의 내부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도 13 의 (d) 에 있어서, 슬리브 (10) 와 슬리브 (70) 는 위 아래가 반대의 배치여도 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하 대칭이어도 된다. 요컨대, 슬리브는 상단과 하단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의 부착부 (24) 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작업자가 슬리브 (10) 의 위 아래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슬리브 (10) 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의 본체 (12) 에는 눈금 (76)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눈금은 1 mm 간격, 1 cm 간격 등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눈금 (76) 은 본체 (12) 에 형성된 새김눈, 패임부, 볼록부, 마커, 시일 등의 임의의 표시여도 된다. 눈금 (76) 옆에는 추가로 수치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체 (12) 대신에, 슬리브 (10) 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12a) 에 눈금 (76)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눈금 (76) 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3) 를 흘려 넣는 높이를 확인, 조정할 수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3) 의 타설 작업 전, 작업 한창 중 또는 작업 후에, 슬리브 (10) 의 개구부 (19) 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 (19) 를 덮는 종이제 등의 커버재 (77) 를 씌워도 된다. 커버재 (77) 를 종이로 제조하면, 태워서 파기할 수 있다. 커버재 (77) 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 (10) 의 개구부에 적합한 대략 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사각형, 부정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의 복수의 부착부 (24) 대신에,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로서 슬리브 (10) 의 일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부착부 (24) 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시각적으로 부착부 (24) 및 구멍 (26) 의 확인이 용이해져, 고정 지점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의 개구부 (19) 에,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을 따라 종이제 심 (78) 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고리형,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중공 원통형의 종이제 심 (78) 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3) 타설시의 슬리브 (10) (특히 슬리브 본체 (12))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심 (78) 은 콘크리트 (3) 타설 후에 회수해도 되고, 그대로 설치해 두고 연소시에 태워서 처분해도 된다. 또, 심 (78) 의 높이를 슬리브 (10) 의 높이보다 크게 하면, 심 (78) 이 설치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는 분해 가능한 복수의 부품 (110a ∼ 110d) 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110a ∼ 110d) 은 동일한 형상의 4 개의 부품이고, 각 부재에는 접속 부재 중 돌출부 (110e) 와 슬롯 (110f) 이 형성되고, 사용시에는 서로 이웃하는 부품 (110a ∼ 110d) 의 돌출부 (110e) 와 슬롯 (110f) 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리브 (10) 의 운반 또는 보관 중에는, 슬리브 (10) 는 분해된 상태에서 복수의 부품 (10a ∼ 10d) 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장소를 차지하지 않아, 운반이나 보관의 효율이 증대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타워형 슬리브 (10) 대신에, 바닥 높이의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도 19 의 (a) ∼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가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신축할 수 있는 벨로스 부분 (82) 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가 비신축성 단부 (80) 와, 그것에 인접하는 벨로스 부분 (82) 을 구비하고, 도 19 의 (a) 의 상태로부터 슬리브 (10) 의 단부 (80) 에 도면 좌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벨로스 부분 (82) 이 확장되어, 도 19 의 (b) 의 상태로 슬리브 (10) 를 신장시킬 수 있다. 단부 (80) 를 도면 우방향으로 되밀어내면 슬리브 (10) 를 수축시킬 수 있어, 슬리브 (10) 의 전체 길이를 원하는 바닥의 두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9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스 부분 (82) 의 일부 또는 전부의 주위에, 벨로스 부분 (82) 의 외형에 적합한 나사부 (83) 를 구비한, 수지 등으로 형성된 성형체 (84) 를 형성하면, 성형체 (84) 주위에 콘크리트 (3) 가 타설된 후에도, 성형체 (84) 에 주위가 덮인 벨로스 부분 (4) 은 도 19 의 (d) 에 나타낸 상태로 더 신장할 수 있고, 콘크리트 (3) 타설 후에도 슬리브 (10) 를 신축시켜, 슬리브 (10) 의 전체 길이를 원하는 바닥의 두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슬리브 (10) 의 적어도 슬리브 본체 (12) 의 외주에 보강용 금속판 등을 추가로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콘크리트 (3) 타설시의 슬리브 (10) (특히 슬리브 본체 (12)) 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화재시에 슬리브 (10) 가 열팽창되어도 슬리브 (10) 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슬리브 (10) 및 덮개 부재 (30) 이외에도,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획 관통 구조에는, 임의의 공지된 내화성 충전재, 내화성 수지 조성물, 내화성 시트 또는 내화성 금속판 등을 추가로 사용해도 된다.
·슬리브 (10) 와 빔 또는 벽의 형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슬리브 (10) 의 하단부를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또는, 슬리브 (10) 와 빔 또는 벽의 형틀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슬리브 (10) 의 상단부를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슬리브 (10) 의 외면을 마모 또는 알칼리 용액 등의 약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 혹은 도료 등의 코팅재로 코팅해도 된다. 또한, 슬리브 (10) 의 내면을 배관 또는 배선 (5) 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 혹은 도료 등의 코팅재로 코팅해도 된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를 보강하기 위해서 슬리브 (10) 의 외측에,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가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통 (85)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슬리브 (10) 를 보강하기 위해서 슬리브 (10) 의 내측에,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통 (86) 을 형성해도 된다. 외통 (85) 및 내통 (86) 은 일체 성형에 의해 슬리브 (10) 에 형성해도 되고, 별도로 제작한 후, 슬리브 (10) 에 끼워 넣어도 된다. 또한, 외통 (85) 및 내통 (86) 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일방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통 (85) 및 내통 (86) 의 길이 (높이)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 (10) 길이의 일부여도 되고, 슬리브 (10) 와 동일한 길이여도 된다. 또, 외통 (85) 및 내통 (86) 을 구성하는 소재는 비팽창성이면서 또한 가연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통 (85) 및 내통 (86) 을 구성하는 소재는 경질 염화비닐 등의 경질 수지이다. 외통 (85) 및 내통 (86) 의 적어도 일방을 형성함으로써, 슬리브 (10) 의 강도가 증대되어, 슬리브 (10) 반송시 또는 콘크리트 (3) 타설시의 슬리브 (10) 의 변형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통 (85) 및 내통 (86) 을 화재 등의 열에 의해 연소하는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열에 의해 외통 (85) 및/또는 내통 (86) 은 연소되기 때문에 슬리브 (10) 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도 21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슬리브 (10) 의 위 아래에,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슬리브 (87) 및 슬리브 (88) 를 부착해도 된다. 슬리브 (87 및 88) 를 구성하는 소재는 경질 염화비닐 등의 경질 수지가 바람직하다. 슬리브 (10) 는 구획 관통 구멍 (16) 을 통한 불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구획 관통 구멍 (16) (도 3 의 (b) 참조) 에 배치된다. 슬리브 (10) 는 구획 관통 구멍 (16) 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슬리브 (88) 의 길이는 바닥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슬리브 (87 및 88) 의 형상 및 치수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데, 동일하게 하면 슬리브 (87 및 88) 의 제조 비용이 저감됨과 함께, 슬리브 (10) 그리고 슬리브 (87) 및 슬리브 (88) 로 이루어지는 스택 구조의 제조가 용이하다.
도 2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87) 의 하단부가 슬리브 (10) 의 상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고, 슬리브 (88) 의 상단부가 슬리브 (10) 의 하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슬리브 (87 및 88) 가 슬리브 (10) 에 대해 부착되어 있는데, 대신에, 슬리브 (87 및 88) 가 슬리브 (10) 에 대해 접착제 등의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도 된다. 배관 또는 배선 (5) 을 스택 구조에 통과시키기 전에, 슬리브 (87) 의 상단에는 슬리브 (87)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종이제 커버재 (77) 를 씌워도 된다. 상측 슬리브 (87) 를 형성함으로써, 반송시나 시공시의 슬리브 (10)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이제 커버재 (77) 에 의해, 슬리브 (87) 내에 먼지 또는 티끌 등의 침입을 방지함과 함께, 슬리브 (87) 상단의 개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배관 또는 배선 (5) 을 스택 구조에 통과시킬 때에는 종이제 커버재 (77) 를 떼어 내고, 배관 또는 배선 (5) 을 스택 구조에 삽입 통과시킨 후, 덮개 부재 (30, 35 및 40) 등의 본 발명의 덮개 부재를 상측 슬리브 (87) 의 개구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87) 를 슬리브 (10) 와는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적색, 황색, 오렌지색, 청색, 녹색 등의 색 또는 형광 등에 따라) 구성하면, 방화 구획 처리가 실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의 (b) 및 도 5 의 (b) 에서 콘크리트 (3) 를 타설할 때에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까지 콘크리트 (3) 를 흘려 넣었지만,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상단부를 시인 (視認) 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3) 를 슬리브 (10) (슬리브 본체 (12)) 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부설해도 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멍 (16) 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상정하고, 슬리브 (10) 그리고 덮개 부재 (30, 35 및 40) 가 단면 원형인 고리형 부재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구획 관통 구멍 (16) 의 형상에 적합하게 하면 되고, 슬리브 (10) 및 덮개 부재 (30, 35 및 40) 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인 고리형 부재여도 되고, 단면이 사각형인 고리형 부재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덮개 부재는 덮개 부재 (30, 35, 40) 이외에, 공지된 시판되는 덮개 부재, 커버 부재 또는 캡을 사용해도 된다.
·덮개 부재에는, 덮개 부재를 정면에서 본 경우, 위치 결정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덮개 부재의 개구부의 중심으로 안표의 교점이 교차되도록 상하 좌우에 4 개의 안표을 형성한다)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내에 배관 또는 배선 (5) 을 배치하는 경우에, 위치 결정부가 슬리브 (10) 내에 있어서의 적은 어긋남에 의한 배관 또는 배선 (5) 의 위치 결정을 지원한다. 이로써, 배관 또는 배선 (5) 은 거의 어긋나거나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고 슬리브 (10) 내의 축 중심 위치에 배치 (센터링) 된다.
·덮개 부재를, 비내화성 또는 내화성 충전 퍼티로 형성해도 된다. 충전 퍼티는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 간극이 없도록 덮개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구획 관통 구멍 (16) 에 복수의 배선 또는 배관 (5) 이 삽입 통과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배선 또는 배관 (5) 주위를 충전하면서, 배관 또는 배선 (5) 주위에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간극을 폐색할 수 있다. 또한, 충전 퍼티는 시공의 재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덮개 부재 (30, 35, 40) 는, 덮개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에 함유되는 가소제가 밖으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덮개 부재 (30, 35, 40) 자체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올레핀 수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 혹은 도료 등의 코팅재로 코팅해도 된다. 또한, 덮개 부재 (30, 35, 40) 와 배관 또는 배선 (5) 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덮개 부재 (30, 35, 40) 의 내주면에 둥그스름한 모양을 지니게 하거나, 윤활성 코팅을 실시한 미끄럼면으로 해도 된다.
·도 10 의 지지 부재 (50) 대신에, 배관 또는 배선 (5) 과 슬리브 (10) 사이를 발포성 불연 우레탄 수지로 메워도 된다.
·슬리브 (10) 및/또는 덮개 부재 (30, 35, 40) 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곰팡이 방지성, 방충성, 단열성, 내습성 등을 추가로 부여하기 위해서, 공지된 곰팡이방지제, 방충제, 단열제, 내습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10) 를 바닥 위에서부터 시공하는 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슬리브 (10) 는 바닥 아래서부터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슬리브는, 바닥 하지 (상대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의 바닥재가 되는 층 아래의 바닥뿐만 아니라, 천정 바닥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측벽 등의 벽 하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1 : 바닥 하지
3 : 콘크리트
5 : 배관 또는 배선
10 : 슬리브
10a, 10b, 10c : 위치 결정부
12 : 슬리브 본체
12a, 12b : 리브
14 : 플랜지부
16 : 구획 관통 구멍
17 : 슬리브의 갈라진 틈
20, 60 : 슬리브 고정 부재
24 : 부착부
26 : 구멍
30, 35, 40 : 덮개 부재
33 : 덮개 부재의 갈라진 틈
50 : 지지 부재
60 : 슬리브 고정부
70 :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77 : 커버재
78 : 종이제 심
82 : 벨로스 부분
100 : 구획 관통 구조
110a ∼ 110d : 슬리브의 복수의 부품

Claims (24)

  1.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 구멍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되는 슬리브로서,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바닥 하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슬리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의 하단부에 각각이 구멍을 갖는 1 개 또는 복수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의 끝에서부터 끝까지 연장되는 갈라진 틈을 갖는 슬리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슬리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종이제 심을 추가로 구비하는 슬리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단부에 부착 가능한 고리형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슬리브.
  8. 제 7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가소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는 염화비닐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슬리브.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가 덮개 부재를 분단하는 갈라진 틈을 갖는 슬리브.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와 슬리브가 일체화되어 있는 슬리브.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가 착색되어 있는 슬리브.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에 대해,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가 쌓아 올려져 있는 슬리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의 상측에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가 쌓아 올려지고, 비열팽창성 재료를 함유하는 슬리브 상단부의 개구부에 고리형 보강구 (79) 가 장착되고, 상기 열팽창성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 슬리브 본체를 구비한 슬리브의 하단부에 경질 수지로 형성된 고정구가 장착되어 있는 슬리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외측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통이 형성되고, 슬리브의 내측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통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15.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의 측면에, 슬리브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를 추가로 구비한 슬리브.
  16.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의 단부에, 슬리브 본체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슬리브의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추가로 구비한 슬리브.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대칭인 슬리브.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해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슬리브.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벨로스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슬리브.
  20. 구획 관통 구조로서,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와,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되고,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를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내에 배치된 배관 또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획 관통 구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또는 배선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고, 배관 또는 배선과 슬리브에 접촉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획 관통 구조.
  23.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리브를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하는 공정과,
    슬리브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 상기 슬리브 내에 배관 또는 배선을 배치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공 방법.
KR1020197024478A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KR20190100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9574 2015-05-29
JPJP-P-2015-109574 2015-05-29
JP2015138984 2015-07-10
JPJP-P-2015-138984 2015-07-10
PCT/JP2015/079219 WO2016194251A1 (ja) 2015-05-29 2015-10-15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および区画貫通構造の施工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727A Division KR102015714B1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65A true KR20190100465A (ko) 2019-08-28

Family

ID=574406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727A KR102015714B1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157033917A KR101748979B1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197024478A KR20190100465A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727A KR102015714B1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157033917A KR101748979B1 (ko) 2015-05-29 2015-10-15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28542B2 (ko)
KR (3) KR102015714B1 (ko)
WO (1) WO2016194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3519B2 (ja) * 2016-03-28 2020-04-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カバー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6908358B2 (ja) * 2016-07-01 2021-07-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JP6867155B2 (ja) * 2016-12-28 2021-04-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6894284B2 (ja) * 2017-04-20 2021-06-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KR101868754B1 (ko) * 2017-09-14 2018-06-19 주식회사 피앤아이 Pvc입상배관 고정구
KR102123098B1 (ko) * 2018-06-15 2020-06-15 (주)동성화인텍 친환경 복합재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파이프
US11479982B2 (en) * 2019-10-04 2022-10-25 Forrester Manufacturing Co., Inc. Isolation pocket form and method for making crack resistant concrete slabs
US11346116B1 (en) * 2022-01-28 2022-05-31 Carlos Contreras Block out chair system used to make a block out or a pass-through in a concrete slab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281A (ja) 1993-03-06 1994-09-13 Daiwa Hous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打設階上床スリーブ工法
JPH09125670A (ja) 1995-10-31 1997-05-13 Taisei Corp スリーブユニットと配管用スリーブ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4692B (de) 1983-05-20 1987-12-28 Werner Hauff Durchfuehrung fuer leitungen, wie kabel, rohre oder dergleichen durch eine wandoeffnung und vorrichtung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durchfuehrung in einer betonwand
JPH0666022A (ja) * 1992-05-14 1994-03-08 Taisei Sangyo:Kk 穴型筒及び該穴型筒を用いた壁穴施工方法
JP3051318B2 (ja) * 1995-04-03 2000-06-12 ジェイエイエム株式会社 スリーブとそれに使用する養生蓋
JP2001123563A (ja) 1999-10-26 2001-05-08 Tosetz Co Ltd 防火区画貫通穴形成用打込み型枠及びこの施工法
JP2001280550A (ja) * 2000-03-30 2001-10-10 Tosetz Co Ltd 防火区画貫通部材
JP3966772B2 (ja) * 2002-06-24 2007-08-29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JP2004232418A (ja) * 2003-01-31 2004-08-19 Takiron Co Ltd ブーツパッキン
JP4033466B2 (ja) * 2003-05-15 2008-01-16 トーセツ株式会社 ボイド装置
JP2005155091A (ja) * 2003-11-21 2005-06-16 Akuset:Kk スラブ用スリーブの蓋と蓋構造
JP2005344382A (ja) * 2004-06-03 2005-12-15 Sugita Ace Kk 接続リング体
JP4639105B2 (ja) * 2005-03-29 2011-02-23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貫通用スリーブ
JP4443521B2 (ja) * 2006-02-02 2010-03-3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部品
JP2009144465A (ja) * 2007-12-17 2009-07-02 Hokensha:Kk コンクリート貫通孔用スリーブ
JP5383082B2 (ja) 2008-04-25 2014-01-08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材用のスリーブ
JP5491839B2 (ja) * 2009-12-07 2014-05-14 未来工業株式会社 防火処理具及び防火処理構造
JP2011208719A (ja) * 2010-03-30 2011-10-20 Sekisui Chem Co Ltd 建築物の配管更新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配管材
JP2011214236A (ja) * 2010-03-31 2011-10-27 Cci Corp 固定治具
JP2012036635A (ja) * 2010-08-06 2012-02-23 Bbeng Co Ltd シート材及びコンクリート開口部形成方法
JP2012057320A (ja) * 2010-09-07 2012-03-22 Nichido Denko Kk Alc防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施工方法
KR101247435B1 (ko) 2011-05-20 2013-03-25 황혜자 슬리브 조립체
KR200469369Y1 (ko) *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401343B1 (ko) * 2012-12-17 2014-05-29 경일프라스틱산업 (주) 층간 관통 슬리브에서의 화재 저항 구조체, 화재 저항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층간 관통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281A (ja) 1993-03-06 1994-09-13 Daiwa Hous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打設階上床スリーブ工法
JPH09125670A (ja) 1995-10-31 1997-05-13 Taisei Corp スリーブユニットと配管用スリーブ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94251A1 (ja) 2018-04-12
KR102015714B1 (ko) 2019-08-28
KR101748979B1 (ko) 2017-06-19
WO2016194251A1 (ja) 2016-12-08
KR20180004698A (ko) 2018-01-12
JP7028542B2 (ja)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714B1 (ko)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JP6734134B2 (ja) 区画貫通構造
JP6867155B2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6205087B1 (ja) 区画貫通構造
JP2016223190A (ja) 貫通孔カバー、及び区画貫通孔の防火構造
JP6791618B2 (ja) スリーブおよび区画貫通構造
JP6763709B2 (ja) 区画貫通構造の施工方法
JP6908358B2 (ja) 区画貫通構造。
JP6683519B2 (ja) 防火カバー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6737569B2 (ja) ケーブル用保護管、及び耐火構造
JP2018044356A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の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スリーブ
JP6876396B2 (ja) 耐火充填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の施工方法
JP2016191209A (ja) 区画貫通部用のカバー部材および区画貫通部構造
JP7050861B2 (ja) ケーブル用保護管、及び耐火構造
JP2018109284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6769762B2 (ja) 区画貫通部構造における配管システム
JP6616693B2 (ja) 防火材、防火材の成形方法
JP2016187488A (ja)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JP6832055B2 (ja) 熱膨張性ブッシング
KR102338454B1 (ko) 건축물에 구획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JP2017227111A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2017066851A (ja) 中空構造の区画体における貫通部の防火構造
JP2018044612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2018109418A (ja)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JP2018109283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