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754B1 - Pvc입상배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Pvc입상배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754B1
KR101868754B1 KR1020170117523A KR20170117523A KR101868754B1 KR 101868754 B1 KR101868754 B1 KR 101868754B1 KR 1020170117523 A KR1020170117523 A KR 1020170117523A KR 20170117523 A KR20170117523 A KR 20170117523A KR 101868754 B1 KR101868754 B1 KR 10186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wing
granular pipe
wing
pvc
pvc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
이선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 이선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11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에 있어서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된 관통슬리브(이하 '관통홀'과 혼용 사용한다.)를 통해, 급수와 급탕수의 공급 또는 오배수 등을 흘려보내기 위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PVC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한 한 쌍의 마주보는 좌,우익부(100)(200)의 각 일단부가 리벳결합 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좌익부(1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다수개의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고 외측에는 가이드편(1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좌익몸체(110)와; 상기 좌익몸체(1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익탄성편(120');이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 길이의 삽입부(212)를 형성하여 삽입부(212)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걸림구(213)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우익몸체(210)와; 상기 우익몸체(2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익탄성편(220');이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결합되는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형성된 결합홀(111')에 결합되어 일체로서의 결합체(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의하면, 다가구주택의 슬라브 바닥면에 인접한 공간이나 또는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성이 좋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슬래브층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상에도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배관이 아래로 미끄러져 떨어질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고정 가능하며, 상,하층간 소음이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PVC입상배관 고정구가 제공되게 된다.

Description

PVC입상배관 고정구{PVC VERTICAL PIPE FIXTURE}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되는 관통슬리브(이하 '관통홀'과 혼용 사용한다.)를 통해 급수와 급탕수의 공급 또는 오배수 등을 흘려보내기 위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PVC입상배관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있어서는,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관통슬리브가 매설되고, 상기 관통슬리브를 통해 급수와 급탕수의 공급 또는 오배수 등을 흘려 보내기 위하여 수직으로 입상배관이 설치된다.
상기 입상배관은 주로 PVC입상배관이 설치되고 있다.
즉, 상기의 PVC입상배관은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의 관통슬리브에 삽입되어 상층슬래브층 또는 하층슬래브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PVC입상배관은, 자체 하중으로부터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이나 팽창 현상, 배관내 유체의 유동에 의한 진동, 기타 배관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 기계적 또는 열적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크고 작은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PVC입상배관은, 신축변위에 의해서 슬래브층에 매설된 관통슬리브 내벽에 부딪히면서 몸체에 손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PVC입상배관과의 틈새를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되며 화재가 건물 전체로 번지게 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입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슬래브층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지나는 PVC입상배관을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과의 틈새를 차단해 줌으로써 층간 소음의 전파를 막고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PVC입상배관 고정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PVC입상배관 고정구는, 대부분 볼트체결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볼트를 체결 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히 건물의 슬래브층 바닥면에 인접한 공간이나 또는 좁은 공간에서는 볼트체결작업에 의한 설치가 매우 힘든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클램프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서 슬래브층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입상배관 고정클램프를 슬래브층 바닥면이나 관통슬리브의 상부에 볼트 및 너트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래브층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상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형성되어져 있어야 하며, 이때 볼트를 조여주기 위한 너트 체결의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트고정식 클램프의 경우에는 배관 자체의 진동에 의해 볼트가 풀려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이때에는 하중을 받고 있던 배관이 아래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이 입상배관이 제거된 상태의 관통홀을 통해 상,하층간 소음이 확산전달되어 이웃간에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화재의 발생시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 전파되며 화재가 건물 전체로 번지게 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입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가구주택의 슬라브층 바닥면에 인접한 공간이나 또는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성이 좋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슬래브층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상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배관이 아래로 미끄러져 떨어질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고정 가능하며, 상,하층간 소음이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한 한 쌍의 마주보는 좌,우익부(100)(200)의 각 일단부가 리벳결합 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좌익부(1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다수개의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고 외측에는 가이드편(1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좌익몸체(110)와; 상기 좌익몸체(1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익탄성편(120');이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 길이의 삽입부(212)를 형성하여 삽입부(212)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걸림구(213)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우익몸체(210)와; 상기 우익몸체(2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익탄성편(220');이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결합되는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형성된 결합홀(111')에 결합되어 일체로서의 결합체(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의하면, 다가구주택의 슬라브 바닥면에 인접한 공간이나 또는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성이 좋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슬래브층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상에도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배관이 아래로 미끄러져 떨어질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고정 가능하며, 상,하층간 소음이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PVC입상배관 고정구가 제공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좌익부의 부분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우익부의 부분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절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5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결합상태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결합상태의 저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측면을 도시한 (a)정면도, (b)배면도, (c)좌측면도 및 (d)우측면도이다.
도10은, 건축물 슬래브층의 관통슬리브에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은,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로써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2는, 도11의 정면도이다.
도13은, 도12의 AA'선을 절단하고 몸체와 내화충전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도13의 몸체에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삽입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1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좌익부의 부분 설명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우익부의 부분 설명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 절편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5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평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저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측면을 도시한 (a)정면도, (b)배면도, (c)좌측면도 및 (d)우측면도이고, 도10은, 건축물 슬래브층의 관통슬리브에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1 내지 도9에 나타 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한 한 쌍의 마주보는 좌,우익부(100)(200)의 각 일단부가 리벳결합 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좌익부(1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다수개의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고 외측에는 가이드편(1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좌익몸체(110)와; 상기 좌익몸체(1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익탄성편(120');이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 길이의 삽입부(212)를 형성하여 삽입부(212)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걸림구(213)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우익몸체(210)와; 상기 우익몸체(2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익탄성편(220');이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결합되는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형성된 결합홀(111')에 결합되어 일체로서의 결합체(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두께의 스텐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형성한 한 쌍의 마주보는 부메랑 형상으로 된 반원형의 좌익부(100)와 우익부(200)의 각각의 일단부가 리벳(300) 결합되어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로써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텐레스 철판의 두께는 입상배관의 직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직경 100mm의 PVC입상배관 고정용으로 두께 0.6mm 이상 0.8mm미만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사용하여 충분하였다.
상기 스테인레스 철판의 두께가 0.6mm미만의 경우에는 좌,우익절편(120)(220)의 PVC입상배관 파지력이 약해져서 고정이 견고하지 못하였고, 스테인레스 철판의 두께가 0.8mm이상일 경우에는 좌,우익절편(120)(220)의 탄성력이 너무커서 체결에 어려움은 물론 체결후 하부 이동시 PVC입상배관의 외면이 긁히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상하게 하는 한편 재료비의 과다한 지출이 발생하여 적절치 않았다.
상기 좌익부(100)의 일단부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익몸체(110)를 종단하는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의 중심점에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된다.
이때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 또한,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익몸체(210)를 종단하는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의 중심점에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익부(100)(200)의 각각의 일단부는,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좌,우익몸체(110)(210)의 내주에 돌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좌익부(100)의 타단부에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 영역에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통공되고, 끝단 영역에는 가이드편(113)이 상향으로 프레쓰(press) 형성 된다.
상기 가이드편(113)은 "
Figure 112017089213230-pat00001
"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프레스(press)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익부(100)의 내주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길이의 등간격으로 절개하여 연이어 형성된 다수개의 좌익절편(120)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되도록 프레스(press)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쓰(press) 형성된 좌익절편(120)의 끝단부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르며 하향 경사지는 좌익절편경사면(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연질인 PVC입상배관 외면과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결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좌익절편(120)의 끝단부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끝이 뾰족한 바소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좌익절편(120)은, 도7 및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각도 상향으로 경사지게 열처리함으로써, 소정의 탄성을 유지하는 좌익탄성편(120', 본 명세서에서는 좌익절편(120)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이 된다.
도9는, 도1에 나타낸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측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정면방향, (b)는 배면 방향, (c)는 좌측면 방향. (d)는 우측면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9에 의해 좌,우익탄성편(120')(220')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상기 좌익탄성편(120')의 상향 경사각이 10도 이상 40도 미만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게 되었다.
상기 좌익탄성편(120')의 상향 경사각도가 10도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익탄성편(120')이 PVC입상배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력이 약하여 입상배관과의 결착력이 약했고, 상기 좌익탄성편(120')의 상향 경사각도가 40도를 넘게 되는 경우에는 좌익탄성편(120')이 PVC입상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입상배관 고정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익몸체(210)를 종단하는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의 중심점에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익부(100)(200)가 상기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삽입된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각 일단부는 좌,우익몸체(110)(210)의 내주에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우익부(200)의 타단부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길이의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2)의 단부에는, 도5 내지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
Figure 112017089213230-pat00002
"형상으로 하부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걸림구(213)가 형성된다.
상기 우익부(200)의 내주연에는, 도5 내지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길이의 등간격으로 절개하여 연이어 형성된 다수개의 우익절편(220)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되도록 프레스(press)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쓰(press) 형성된 우익절편(220)의 끝단부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르며 하향 경사지는 우익절편경사면(2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우익절편(220)의 단부는 바소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익절편(220)은, 도5 내지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열처리하여 소정의 탄성을 유지하는 우익탄성편(220', 본 명세서에서는 우익절편(220)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이 된다.
도9는, 도1에 나타낸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측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정면방향, (b)는 배면 방향, (c)는 좌측면 방향. (d)는 우측면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9에 의해 좌,우익탄성편(120')(220')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상기 우익탄성편(220')의 상향 경사도는 10도 이상 40도 미만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게 되었다.
상기 우익탄성편(220')의 상향 경사도가 10도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우익탄성편(220')이 PVC입상배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력이 약하여 결착력이 약했고, 상기 우익탄성편(220')의 상향 경사도가 40도를 넘게 되는 경우에는 우익탄성편(220')이 PVC입상배관의 외면에 결착시 외면으로부터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입상배관 고정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도1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마주보는 부메랑 형상의 반원형 좌익부(100)와 우익부(200)가 리벳(300)에 의해 각 일단부가 리벳 결합되어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의 반원형 좌익몸체(110)와, 상기 좌익몸체(1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익탄성편(120')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익몸체(110)는, 일단부에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되고, 타단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고, 타단부의 외측에는 우익부(200) 삽입부(212)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편(1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반원형 좌익부(100)를 형성한다.
다음,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의 반원형 우익몸체(210)와, 상기 우익몸체(2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익탄성편(220)으로 형성되되, 상기 우익몸체(210)는, 일단부에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 길이의 삽입부(212)를 형성하여 삽입부(212)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걸림구(213)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반원형 우익부(200)를 형성한다.
다음, 도1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우익부(100),(200)의 각각의 일단부의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리벳(300)을 결합하여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로써 구성되는 본 고안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구성을 완성한다.
다층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된 관통슬리브를 통해 급수와 급탕수의 공급 또는 오배수 등을 흘려보내기 위한 PVC입상배관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과 상기 PVC입상배관 외면과의 틈새에는 내화충전재가 채워진다
다음,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자는 PVC입상배관이 설치된 슬래브층에 서서, 입상배관 외부에 본 고안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좌,우익탄성편(120')(220')이 상향되도록 벌려 삽입하고, 좌익부(100)의 가이드편(113)에 우익부(200)의 삽입부(212)를 삽입하여 최대한 당겨준 다음, 좌익부(100)의 잠금장공(112)에 우익부(200)의 걸림구(213)를 걸어 채움으로써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결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결착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로 밀어내려 관통슬리브의 상단에 밀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관통슬리브 상부에의 설치를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고정을 위한 볼트와 너트 체결의 작업성에 구애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자는 PVC입상배관이 설치된 슬래브층에 서서, 입상배관 외부에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좌,우익탄성편(120')(220')이 하향되도록 벌려 삽입하고, 좌익부(100)의 가이드편(113)에 우익부(200)의 삽입부(212)를 삽입하여 최대한 당겨준 후, 좌익부(100)의 잠금장공(112)에 우익부(200)의 걸림구(213)를 걸어 채움으로써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결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결착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로 밀어올려 관통슬리브의 하단에 밀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관통슬리브 하부에의 설치를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고정을 위한 볼트와 너트 체결의 작업성에 구애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가 PVC입상배관 외면에 결착된 상태를 상부에서 내려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가 PVC입상배관 외면에 결착된 상태를 하부에서 올려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가 건축물 슬래브층 관통슬리브의 상,하부에 설치됨으로써, 관통슬리브 내면과 PVC입상배관과의 틈새에 채워진 내화충전재의 안전한 충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관통슬리브를 상,하부에서 이중으로 막아주게 되어 배관설비의 안전과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상,하층간 방화구역을 형성하여 화염 및 유독가스의 타층 전이 및 확산을 효율적으로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에 의하면 관통슬리브에 고정장치의 안착을 위한 슬리브덮개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관통슬리브에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볼트 및 너트의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상기 관통슬리브에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인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좌,우익탄성편(120'),(220')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PVC입상배관의 외면에 압력을 가하며 고정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경도가 약한 비철금속으로 된 입상배관의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입상배관 외면에 체결한 후 위로 또는 아래로 밀어 이동시켜 슬래브층 관통홀의 상면 또는 하면을 막아줌으로써 상층과 하층간의 신속한 방화벽 설치에 의한 화염 전파 방지 및 소음 전파 방지 목적으로 매우 큰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11 내지 도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건축물 슬래브층의 입상배관 관통홀에 결합되어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내화충전재(D)를 결합한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도11은, PVC입상배관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로써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12는, 도11의 정면도이고, 도13은, 도12의 AA'선을 절단하여 몸체(B)와 내화충전재삽입홈(C)에 삽입된 내화충전재(D)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14 및 도15는, 도13의 몸체(B)에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삽입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입상배관의 직경은 매우 다양하므로 입상배관의 외경과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경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상배관의 외경과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가 발생하므로 입상배관을 견고하게 고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경우 마찰에 의해 입상배관에 손상을 가져오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입상배관이 하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슬래브층의 관통홀은, 화재 발생시에는 신속한 화염의 전파 통로가 되기도 하고 평상시에는 층간 소음의 전파통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도14 내지 도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1')에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삽입 고정하여 일체로써의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형성된 결합홀(111')에 결합됨으로써 일체로서의 결합체(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연질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결합홀(11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111')에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를 삽입 고정한 결합체(2)를 입상배관 외면에 결착하게 되면, 상기 결합체(2)는,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좌,우익탄성편(120')(220')에 의해 입상배관 외면에 견고하게 결착 가능하게 되어, 마찰에 의해 입상배관에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입상배관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층간 소음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에 의하면 기존의 볼트 조임 방식의 클램프와는 달리 작업자 자신이 작업이 편리한 임의의 작업높이에서 PVC입상배관 외면에 결착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관통홀까지 밀어 내려 마개처럼 덮어 눌러주기만 하면 시공을 마칠 수 있어 체결 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착이 가능하며 특히 건물 슬래브층의 바닥면에 인접한 공간이나 또는 비좁은 공간에서도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되며 또한 관통슬리브를 상,하부에서 이중으로 막아주게 되어 관통슬리브 내면과 PVC입상배관과의 틈새에 채워진 내화충전재의 안전한 충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배관설비의 안전 유지 및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상,하층간 방화구역을 형성하여 화염 및 유독가스의 타층 전이 및 확산을 효율적으로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작업이 가능하므로 공기 단축은 물론, 인건비 및 자재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인 PVC입상배관 고정구(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PVC입상배관 고정구 1' 연질의 입상배관 고정구 111' 결합홈
AA' 절단선 B 몸체 C 내화충전재삽입홈 D 내화충전재
2 연질의 입상배관 고정구 내주에 PVC입상배관 고정구를 삽입 고정한 결합체
100 좌익부
110 좌익몸체 111 좌익리벳결합공 112 잠금장공 113 가이드편
120 좌익절편 120' 좌익탄성편 121 좌익절편경사면
200 우익부
210 우익몸체 211 우익리벳결합공 212 삽입부 213 걸림구
220 우익절편 220' 우익탄성편 221 우익절편경사면
300 리벳

Claims (5)

  1. 소정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한 한 쌍의 마주보는 좌,우익부(100)(200)의 각 일단부가 리벳결합 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좌익부(1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좌익리벳결합공(1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다수개의 잠금장공(112)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고 외측에는 가이드편(1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좌익몸체(110)와; 상기 좌익몸체(1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익탄성편(120');이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우익부(200)의 일단부는 종단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름의 중심점에는 우익리벳결합공(211)이 통공되고 타단부는 우익몸체(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소정 길이의 삽입부(212)를 형성하여 삽입부(212)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걸림구(213)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부메랑 형상의 우익몸체(210)와; 상기 우익몸체(210)의 내주연에 소정 길이와 간격으로 연이어 절개되어 하나건너 하나씩 제거된 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익탄성편(220');이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좌,우익리벳결합공(111)(211)에 결합되는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PVC입상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PVC입상배관 고정구(1)는, 연질 소재의 입상배관 고정구(1')의 내주에 연하여 형성된 결합홀(111')에 결합되어 일체로서의 결합체(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입상배관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7523A 2017-09-14 2017-09-14 Pvc입상배관 고정구 KR10186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23A KR101868754B1 (ko) 2017-09-14 2017-09-14 Pvc입상배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23A KR101868754B1 (ko) 2017-09-14 2017-09-14 Pvc입상배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754B1 true KR101868754B1 (ko) 2018-06-19

Family

ID=6279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23A KR101868754B1 (ko) 2017-09-14 2017-09-14 Pvc입상배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87A (ko) 2021-08-17 2023-02-24 (주)대승산업 입상관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585U (ko) * 1984-10-01 1986-05-01
WO2012003889A1 (en) * 2010-07-09 2012-01-12 Dresser Wayne Ab Fuel dispensing unit comprising a locking member for retaining a fuel conduit in a locked position
KR101748979B1 (ko) * 2015-05-29 2017-06-1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585U (ko) * 1984-10-01 1986-05-01
WO2012003889A1 (en) * 2010-07-09 2012-01-12 Dresser Wayne Ab Fuel dispensing unit comprising a locking member for retaining a fuel conduit in a locked position
KR101748979B1 (ko) * 2015-05-29 2017-06-1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87A (ko) 2021-08-17 2023-02-24 (주)대승산업 입상관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195B2 (en) Landscape edging clip
EP3256765B1 (en) Pipe clamp
KR101868754B1 (ko) Pvc입상배관 고정구
US20080257567A1 (en) Decorative support panel
KR100877149B1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US20170219128A1 (en) Pipe clips and brackets therefor
CA2863023A1 (en) Gutter guard barrier
KR101605009B1 (ko) 공동주택용 슬래브 관통파이프 고정장치
KR200426254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틀
EP1700967A1 (en) Suspension element
US20150191903A1 (en) Toilet with a Tube Bottom Seal
KR101440913B1 (ko) 입상배관을 통한 층간소음방지 고정 조인트
KR101891099B1 (ko)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101556475B1 (ko)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US20190323630A1 (en) Holding device for cables or pipes
US7322615B1 (en) Adjustable plumbing fitting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KR101196101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101973400B1 (ko) 와이어 로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고정방법
JP5893718B1 (ja) 配線支持金具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100938778B1 (ko) 배관설치용 행거
KR200489016Y1 (ko) 파이프 연결구
AU2014203755A1 (en) Pipe Fitting Assembly
TW472103B (en) Support syste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