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475B1 -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475B1
KR101556475B1 KR1020140082238A KR20140082238A KR101556475B1 KR 101556475 B1 KR101556475 B1 KR 101556475B1 KR 1020140082238 A KR1020140082238 A KR 1020140082238A KR 20140082238 A KR20140082238 A KR 20140082238A KR 101556475 B1 KR101556475 B1 KR 10155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net
pipe
vertic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현
Original Assignee
류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현 filed Critical 류재현
Priority to KR102014008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난방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가로철망(2) 및 세로철망(3)이 교차로 고정된 고정철망(1)과, 파이프(P)를 서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망(1)과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통해 파이프(P)를 고정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하는 집게부(20); 및 상기 집게부(20)의 측면에 가로철망(2)의 삽설을 유도하게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31a)를 개재하는 가로홈(31)과, 집게부(20)의 내면에 세로철망(3)을 수용 고정하는 세로홈(32)을 구비하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의 높낮이는 서로 편차되게 형성되는 고정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 시 삽설되는 난방파이프를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수용되는 철망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 시공비용의 저렴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Structure for breakaway preventing pipe fixture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 시 삽설되는 난방파이프를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수용되는 철망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 시공비용의 저렴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늘날의 온돌은 보일러를 설치하고 방바닥에 파이프를 매설하여 기름, 연탄, 가스보일러로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하는 방식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온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파이프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위치에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1179호에 따르면,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주택 등의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용 U형핀에 있어서: 상단 만곡부(4)를 중심으로 대략 파이프 직경과 비슷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1쌍의 다리(1); 및 상기 다리(1)의 하단부 부근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된 화살표 형상의 다수의 고리(2);를 포함하는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용 U형핀.’을 제시한다.
이러한,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용 U형핀은 온돌파이프 매설시 임의간격을 작업자가 정하여 파이프를 매설하기 때문에 파이프와 파이프와의 간격이 일정치 않아 온돌바닥의 온기가 불규칙적으로 유지되어 온돌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용 U형핀의 대안으로 제시한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261732호에 따르면,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에서 난방파이프(P)와 철망(F)의 사이에 고정구(10)를 조립한 구조로 이탈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고정편(11)상에 철망(F)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결착수단(20)(30)이 설치되고, 상기 결착수단(20)(30)은 적어도 별도로 제작하거나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는 별도의 추가적인 결착수단을 구비하여 고정하였음에 따라 경제적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1179호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용 U형핀” 한국 등록특허 제1261732호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 시 삽설되는 난방파이프를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수용되는 철망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 시공비용의 저렴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난방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가로철망 및 세로철망이 교차로 고정된 고정철망과, 파이프를 서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망과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통해 파이프를 고정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측면에 가로철망의 삽설을 유도하게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를 개재하는 가로홈과, 집게부의 내면에 세로철망을 수용 고정하는 세로홈을 구비하되, 가로홈과 세로홈의 높낮이는 서로 편차되게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가로철망과 세로철망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삽설하여 고정 가능하게 세로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가로홈과 세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 시 삽설되는 난방파이프를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수용되는 철망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 시공비용의 저렴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파이프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고정철망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파이프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고정철망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난방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가로철망(2) 및 세로철망(3)이 교차로 고정된 고정철망(1)과, 파이프(P)를 서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본체(10), 집게부(20), 고정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고정철망(1)과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에서 난방파이프(P)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고정철망(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10)는 상술한 고정철망(1)과 파이프(P) 사이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집게부(20)와 고정수단(30)을 통해 고정철망(1)과 파이프(P)를 각각 고정하면서 파이프(P)를 일정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는 집게부(20)와 고정수단(30)을 구비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집게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통해 파이프(P)를 고정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한다. 집게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일체로 파이프(P)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21)을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P)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집게부(20)는 상부 방향에서 파이프(P)가 삽설되는 바, 파이프(P)의 수용이 더욱 용이하면서 삽설 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삽설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은 상기 집게부(20) 상에 고정철망(1)을 수용하여 억지 고정한다. 고정철망(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30)은 집게부(20)의 수용홈(21) 상에 설치되어 고정철망(1)의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집게부(20)의 측면에 가로철망(2)의 삽설을 유도하게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31a)를 개재하는 가로홈(31)과, 집게부(20)의 내면에 세로철망(3)을 수용 고정하는 세로홈(32)을 구비하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의 높낮이는 서로 편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30)은 상술한 집게부(20)에 파이프(P)가 삽설되기 전에 고정철망(1)의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로홈(31)과 세로홈(32)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지만, 서로 편차되게 형성된다. 즉, 가로홈(31)과 세로홈(32)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고정철망(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철망(1)의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은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교차 시 반드시 가로철망(2) 또는 세로철망(3)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야 함으로 서로 편차되도록 구성된다. 파이프(P)가 삽설된 길이 방향이 본체(10)로부터 전, 후방이라고 가정하면 가로홈(31)에는 세로철망(3)이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31a)를 따라 삽설하여 고정되고, 세로홈(32)에는 가로철망(2)이 삽설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수단(30)에 고정철망(1)이 먼저 수용된 상태로 집게부(20)에 파이프(P)가 삽설되기 때문에 파이프(P)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고정이 필요 없어 간편한 장점을 지닌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이 양방향으로 삽설하여 고정 가능하게 세로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하였던 고정수단(30)의 경우 고정철망(1)의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서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가로홈(31)과 세로홈(32)에 맞게 삽설하여야 하지만,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30)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은 세로 방향으로 한쌍으로 형성됨에 따라 교차 형성된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이 양방향 즉, 어떠한 방향으로 삽설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부에 바닥의 크기에 맞게 형성된 고정철망(1)의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을 본체(10)의 고정수단(30)에 형성된 가로홈(31)과 세로홈(32)에 삽설하여 고정시킨 다음, 파이프(P)를 집게부(20)에 수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추가적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고정철망(1)과 파이프(P)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난방 배관공사 시 삽설되는 난방파이프를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수용되는 철망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 시공비용의 저렴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고정철망 2: 가로철망
3: 세로철망 10: 본체
20: 집게부 21: 고정홈
22: 삽설부 30: 고정수단
31: 가로홈 31a: 가이드부
32: 세로홈 P: 파이프

Claims (3)

  1. 건축물의 내부에 난방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가로철망(2) 및 세로철망(3)이 교차로 고정된 고정철망(1)과, 파이프(P)를 서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망(1)과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통해 파이프(P)를 고정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하는 집게부(20); 및
    상기 집게부(20)의 측면에 가로철망(2)의 삽설을 유도하게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31a)를 개재하는 가로홈(31)과, 집게부(20)의 내면에 세로철망(3)을 수용 고정하는 세로홈(32)을 구비하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의 높낮이는 서로 편차되게 형성되는 고정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가로철망(2)과 세로철망(3)이 양방향으로 삽설하여 고정 가능하게 세로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가로홈(31)과 세로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KR1020140082238A 2014-07-02 2014-07-02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KR10155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38A KR101556475B1 (ko) 2014-07-02 2014-07-02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38A KR101556475B1 (ko) 2014-07-02 2014-07-02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475B1 true KR101556475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38A KR101556475B1 (ko) 2014-07-02 2014-07-02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4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781A (ko) * 2018-10-04 2020-04-14 박채선 난방호스 받침대
CN114165020A (zh) * 2021-12-16 2022-03-11 郑州海粤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地暖安装的架空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95B1 (ko) * 2013-09-09 2013-11-20 백경봉 난방배관 고정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95B1 (ko) * 2013-09-09 2013-11-20 백경봉 난방배관 고정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781A (ko) * 2018-10-04 2020-04-14 박채선 난방호스 받침대
KR102249549B1 (ko) * 2018-10-04 2021-05-12 박채선 난방호스 받침대
CN114165020A (zh) * 2021-12-16 2022-03-11 郑州海粤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地暖安装的架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285B1 (ko) 공동주택 지중전력구 케이블 고정장치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JP6154009B2 (ja) 金属壁ブラケット
US9127787B1 (en) Double hangar
KR101556475B1 (ko)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KR20170122394A (ko)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CN104895400A (zh) 一种将刚性栅栏固定在支柱上的固定装置
US20170219128A1 (en) Pipe clips and brackets therefor
EP2221518A3 (fr) Pièce de fixation d'un tronçon de chemin de cables en treillis de fils sur un bras de console
JP2015183375A (ja) 天井用吊りボルト、天井材取付装置及び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GB2555736A (en) Fixing for a balcony
KR20100086318A (ko)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1605009B1 (ko) 공동주택용 슬래브 관통파이프 고정장치
KR101030218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ES2927114T3 (es) Elemento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con soporte de tubo y método de conexión de tuberías de soporte de elementos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KR101261732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100784144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보호관 보강장치
KR101352538B1 (ko)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14626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KR20090075320A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0484299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조립체
KR101196101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101634925B1 (ko) 전선관 원터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