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49B1 - 난방호스 받침대 - Google Patents

난방호스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49B1
KR102249549B1 KR1020180118427A KR20180118427A KR102249549B1 KR 102249549 B1 KR102249549 B1 KR 102249549B1 KR 1020180118427 A KR1020180118427 A KR 1020180118427A KR 20180118427 A KR20180118427 A KR 20180118427A KR 102249549 B1 KR102249549 B1 KR 102249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ove
wire
hose
entr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781A (ko
Inventor
박채선
Original Assignee
박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선 filed Critical 박채선
Priority to KR102018011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4Clips for fastening heating tubes on a reinforcement net or mesh, e.g. mesh for concrete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상부측에는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자체탄성력을 갖춰 난방호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호스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는 격자형태의 와이어메시를 이루는 상부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홈과 하부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고정홈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고정홈은 하부에 몸체의 전,후면을 관통시켜 바닥면에 상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상부진입부로 형성되고, 하부고정홈은 몸체의 전면을 가로지르게 관통시켜 그 전면으로 하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하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하부진입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부고정홈은 몸체의 전,후면을 각각 가로지르게 관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상부고정홈은 상부에 호스파지부의 하측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하는 상부진입부가 구성되고, 하부고정홈은 상부에 호스파지부의 양측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하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하는 하부진입부가 구성되어, 와이어메시에 쉽게 고정되면서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임의로 전복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난반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난방호스 받침대{Heating hose support}
본 발명은 난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난방공사 중 욕실 난방공사는 받침대를 격자형태로 배열된 와이어메시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고정되도록 하여 이중으로 견고히 고정하거나, 교차부분이 아니더라도 와이어메시의 어느 한 부분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상방향에서 와이어메시의 교차부분이 진입 고정되어 와이어메시가 슬라브와 비교적 높게 이격되도록 하여 바닥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와이어메시가 받침대에 탄성력으로 쉽고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난방호스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바닥 난방공사는 슬라브의 상면에 단열 및 층간소음억제를 위해 스티로폼 또는 열반사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깔고, 그 단열재 상면에 격자형태로 고정된 와이어메시가 배치되며, 그 와이어메시에 받침대를 고정한 후, 그 받침대 상부에 "∩,∪"형상으로 연속 반복되는 난방호스가 순환되도록 설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그 상면에 타일을 붙이거나 또는 장판을 깔아 난방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특히, 욕실난방공사는 출수관과 배수관의 시공으로 인하여 그 슬라브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단열재를 깔지 않고 와이어메시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슬라브 상면에 안착시켜 시공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메시는 다수의 하부와이어와 상부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양생 완료된 콘크리트 내부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철심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받침대를 고정시켜 난방호스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난방호스는 온수가 분배기로 순환되도록 배열하여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금속으로 형성된 배관 또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플랙시블한 호스로 이루어져 다수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된 상기 받침대에 난방호스를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받침대는 난방호스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난방호스를 순환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도록 받침대의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119657호(명칭: 난방 배관 고정대)가 일례로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건물 실내의 바닥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대와 이 고정대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고리로 구성되는 난방 배관 시스템의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바닥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멍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편과; 이 지지편 사이에 서로 대칭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연장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 조정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조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정구멍 사이에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용 클립을 가지는 프레임이 고정고리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 받침대는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편과 배관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조정편으로 구성되어 설치자가 배관을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 받침대는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향후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이 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더불어 많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조립이 불편하고 그에 따라 조립시간도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대 하부에 "+"형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와이어메시가 교차되는 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는 방식의 받침대가 제공되었으며, 나아가 받침대의 하단 양측을 톱날형상으로 형성시켜 단열재에 뚫고 진입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받침대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의 받침대는 와이어메시가 교차되는 부분에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난반호스가 그 해당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면 결합 불가능한 문제로 고정에 제한이 따르게 되고, 또한 톱니형상의 고정은 단열재를 훼손시키게 되어 바닥의 냉기 난방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난방공사 중 특히 욕실난방공사 시, 상,하부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메시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가능하게 구성시켜 난방호스가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또한 와이어메시에 고정시 자체탄성력으로 상,하부와이어가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고정되며,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시 임의로 전복되지 않으면서도 양생 후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난방호스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몸체의 상부측에는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자체탄성력을 갖춰 난방호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호스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는 격자형태의 와이어메시를 이루는 상부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홈과 하부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고정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홈은 하부에 몸체의 전,후면을 관통시켜 바닥면에 상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상부진입부로 구성되고, 하부고정홈은 몸체의 전면을 가로지르게 관통시켜 그 전면으로 하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하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하부진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부고정홈은 하부에 몸체의 전,후면을 관통시켜 바닥면에 상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상부진입부로 구성되고, 하부고정홈은 몸체의 전,후면을 각각 가로지르게 관통시켜 그 전,후면 중 어느 한 일면으로 하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하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되는 하부진입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부고정홈은 상부에 호스파지부의 하측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하는 상부진입부가 구성되고, 하부고정홈은 상부에 호스파지부의 양측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부와이어가 진입한 후, 하부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연통하는 하부진입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하부진입부의 선단은 상,하부와이어의 외경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고, 말단은 상,하부고정홈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홈과 하부고정홈의 각각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탄성제공홈에 의해 자체탄성력을 갖춰 상,하부고정홈으로 각각 진입하는 상,하부와이어의 외주연과 접촉 유무에 따라 벌림과 오므림 되는 탄성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 오목한 내면으로 충전된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고정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면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임의로 전복됨을 방지하고, 동시에 경화된 콘트리트에 고정되는 콘크리트고정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복수가 원추 또는 요철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 또는 미장부분 상면에 박혀 임의로 이동됨을 방지하고, 동시에 와이어메시를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바닥고정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연질의 접착층이 형성되고, 그 접착층의 하면에 뜯어서 제거되는 대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상부측에는 난방호스가 고정되는 호스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와이어메시를 구성하는 상부와이어가 고정되는 상부고정홈과 하부와이어가 고정되는 하부고정홈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상부고정홈은 몸체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고정홈은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하부와이어가 교차되지 않는 부분이라도 하부와이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상기 하부고정홈을 몸체 전,후면에 각각 형성시켜 고정방향에 제한을 두지 않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상기 상,하부고정홈을 몸체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시켜 와이어메시가 단열재의 상면에서 비교적 높게 배치되어 양생 된 콘크리트의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상,하부고정홈의 양측에는 탄성제공홈의 형성으로 자체탄성력을 갖는 탄성부가 형성되어, 상,하부와이어와 접촉상태에 따라서 쉽게 벌어진 후 오므려져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콘크리트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가 그 내부로 충전된 후 경화되면 임의로 전복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의 하면 양측에 돌출된 콘크리트고정판을 형성시켜 콘크 리트 타설시 넓은 면적으로 전복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원추형상으로 돌출된 바닥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실내 난방시공 시 사용되는 단열재의 상면에 박혀 콘크리트 타설시 임의로 이동됨을 방지하고, 욕실 난방시공 시 고르지 않은 슬라브 상면을 미장한 경우 그 미장부분에 바닥고정부를 박은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바닥고정부는 와이어메시가 단열재 또는 미장상부 정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접착층을 구성함으로써, 슬라브의 고르지 않은 상면 맞춰 연질의 접착층이 변형되어 고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와 난방호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호스가 고정된 받침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가 난방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받침대 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받침대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받침대 와이어메시에 단계별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의 받침대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의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의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되는 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의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례의 받침대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례의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례의 받침대가 와이어메시에 고정되는 전단면와 와이어메시가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콘크리트고정판이 형성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바닥고정부가 형성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바닥고정부가 단열재 또는 미장상면에 박혀진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잡척층이 구비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첩착층이 고르지 못한 표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대(1)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크게, 몸체(10)와, 그 몸체(10)의 상부측에 난방호스(200)를 고정하는 호스파지부(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에 와이어메시(100)를 구성하는 상부와이어(110)가 고정되는 상부고정홈(30)과, 하부와이어(120)가 고정되는 하부고정홈(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욕실 난방시공 시에는 슬라브 상면 또는 미장부분의 상면에 안착되고, 안방 및 거실 난방시공 시에는 단열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써, 적정한 높이를 갖춰 상부에 고정되는 난방호스(200)가 콘크리트 양생 후,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양생된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문제를 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호스파지부(20)는 난방호스(200)를 받침대(1)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몸체(10) 상부측에 난방호스(200)를 수용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되, 상부는 중앙에서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난방호스(200)를 자체탄성력으로 삽탈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방호스(200)는 금속재질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향후 부식으로 인한 침전물로 배관이 막혀 온수가 원할히 순환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상기 난방호스(200)는 내식성이 강하면서도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가능한 합성고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엑셀파이프(PE-XL Pipe)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엑셀파이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특수 반응 성형장치에 의해 분자구조를 선상 고분자 구조에 3차원 망상가교고분자물로 변화시킨 가교화 고밀도 필레에틸렌관으로 고온에서 녹지 않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구성 및 유연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수도(금수) 및 온돌,온수파이프로 갖추어야 할 모든 조건에 최적합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메시(100)는 상부와이어(110)와 하부와이어(120)를 격자형태로 배열한 후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으로써, 받침대(1)를 상기 상,하부와이어(110)(120)에 고정한 후, 그 받침대(1)의 호스파지부(20)에 난방호스(200)를 삽입 고정시켜 온수가 분배기(210)를 거쳐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홈(30)은 상부와이어(110)가 끼워진 후 고정되고, 하부고정홈(40)은 하부와이어(120)가 끼워진 후 고정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받침대(1)에는 3가지 실시 례를 제공한다.
먼저, 제1실시례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후면을 관통되는 상부진입부(31)가 형성되고, 그 상부진입부(31)의 상부측에 상부고정홈(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전면의 양측을 가로지르게 관통되는 하부진입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진입부(41)의 내측에 하부고정홈(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1실시례는 상부진입부(31)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하부진입부(4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호 교차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와이어(110)가 수직방향으로 상부진입부(31)로 진입한 후, 상부고정홈(30)에 고정하고, 다음 하부와이어(120)가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받침대(1)를 이동하여 하부진입부(41)로 하부와이어(120)를 진입시킨 후, 하부고정홈(40)으로 고정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실시례는 상부와이어(110) 또는 하부와이어(120)만을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상,하부와이어(110)(12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로 종래와 같이 상,하부와이어가 교차된 부분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제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2실시례는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제1실시례에서 전면에 형성되는 하부고정홈(40)과 하부진입부(41)를 후면에 대칭으로 형성시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상,하부진입부(31)(41) 및 상,하부고정홈(31)(41)은 상호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실시례는 하부진입부(41)와 하부고정홈(40)이 전면에만 형성되어 하부와이어가 위치된 방향에 따라 돌려서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2실시례는 고정되어야할 방향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부와이어(120)가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일면의 하부고정홈(40)에 끼워지면 타면의 하부고정홈(40)과 하부진입부(41)는 빈 공간으로 남아 그 부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 경화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실시례에서 상부고정홈(31)은 하부고정홈(41)에서 상부에 형성되어야 상방향에서 끼워지는 받침대(1)가 우선 상부외아어(110)를 상부고정홈(31)에 끼운 후 하부와이어(1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3실시례는 첨부된 도면 도 11 내지도 13과 같이, 상기 호스파지부(20)의 내측 전,후면을 관통하되 일정깊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절개되는 상부진입부(31)가 형성되고, 그 상부진입부(31)의 하부에 상부고정홈(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파지부(20)의 양측면을 관통하되 일정깊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절개되는 하부진입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진입부(41)의 하부에 하부고정홈(40)이 형성된다.
즉, 제3실시례의 상부고정홈(31)과 하부고정홈(41)은 호스파지부(20)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형상으로 교차 형성되어 와이어메시(100)를 상방향에서 끼워진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제1,2실시례와 달리 제3실시례는 와이어메시(100)의 하방향에서 상,하부와이어(110)(120)를 동시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3실시례의 하부고정홈(40)은 상부고정홈(30)에서 하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메시(100) 고정시 하부고정홈(40)에 하부와이어(120)가 우선 고정된 후, 상부와이어(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제3실시례는 상기 호스파지부(20) 직하부에 상,하부고정홈(30)(40)을 형성함으로써, 몸체(10)의 바닥면에서 하부고정홈(40)의 이격길이가 제1,2실시례보다 길게되어, 와이어메시(100)를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그러함으로써 양생된 콘크리트 중앙부분에 와이어메시(100)를 배치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진입부(31)(41)의 선단은 하부와이어(110)(120)의 외경보다 큰 폭(W1)으로 형성되고, 말단은 폭(W2)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로 형성되되, 폭(W2)이 좁은 말단은 상,하부고정홈(30)(40)의 외경보다 비교적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와이어(110)(120)는 폭(W1)이 넓은 상,하부진입부의 선단으로 수용이 용이하고, 상,하부고정홈(30)(40)으로 완전히 진입된 후에는 상,하부와이어(110)(120)의 외경보다 좁은 폭(W2)의 말단에 걸려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고정홈(30)(40)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탄성제공홈(51)에 의해 자체탄성력을 갖춘 탄성부(50)가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탄성부(50)는 상,하부와이어(110)(120)가 상,하부진입부(31)(41)로 진입시 탄성제공홈(51)의 이격된 간격으로 각각 밀려 벌어지게 되고, 상,하부와이어(110)(120)가 상,하부고정홈(30)(40)으로 진입이 완료되면 복원력으로 탄성부(50)가 오므려져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받침대는 고정홈으로만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와이어 진입시 그 고정홈이 와이어에 눌려 깍아져 진행을 간섭하는 저항력으로 고정이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받침대(1)는 자체탄성력을 갖춘 탄성부(50)를 이용하여 받침대(1)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적은 힘으로 상,하부와이어(110)(120)를 손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실시례와 같이 호스파지부(20)의 상부의 양측면을 절단한 하부진입부(41)와 탄성제공홈(51)은 결과적으로 호스파지부(20)를 다수로 분할하게 되어 탄성력을 갖춤으로써, 난방호스(200) 설치시 일체로 형성된 제1,2실시례의 호스파지부보다 탄성력이 각각으로 발휘하여 적은힘으로도 쉽게 끼움고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제공홈(51)은 탄성진입부(51a)와, 이 탄성진입부(51a)와 접하는 홈(5j1b)을 구비한다. 이때, 탄성진입부(51a)의 선단도 마찬가지로 폭은 넓고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시켜 탄성부(50)의 선단이 크게 벌어져 큰 외경의 와이어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탄성부(50)가 크게 벌어지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도 크게 발휘하여 신속하게 원위치 될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탄성부(50)의 벌어짐과 복원력을 크게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탄성제공홈(51)의 탄성진입부(51a) 및 홈(51b)의 접하는 부위 (a1)와, 상부진입부(31) 및 상부고정홈(30)의 접하는 부위(a2)가 상호 수평선상에서 어긋나서 비대칭을 이룬다. 또한, 탄성진입부(51a) 및 홈(51b)의 접하는 부위 (a2)와, 하부진입부(41) 및 하부고정홈(40)의 접하는 부위(a3)가 상호 수평선상에서 어긋나서 비대칭을 이룬다.
나아가, 상기 몸체(10)의 하부 양측면의 호스파지부(20)가 시작되는 부위에 오목한 콘크리트고정홈(60)이 형성되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 내부로 수용되어 충전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고정홈(60)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경화되면 받침대(1)는 단순히 콘크리트 공간에 묻히는 형태가 아니라 굴곡면이 콘크리트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지진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내구성으로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고정홈(60)은 몸체(10)의 하부 양측면의 호스파지부(20)가 시작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고정홈(60)과 같이 콘트리트 양생 후, 고정력을 높이도록 몸체(10)의 하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콘크리트고정판(70)이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고정판(70)은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 후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하면 면적을 몸체(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외력에 임의로 전복되지 않고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콘크리트고정판(70)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켜 그 부분으로 콘크리트가 충전 경화되어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면에서 돌출된 바닥고정부(80)가 형성되어 안방 또는 거실 난방시공시 슬라브에 깔리는 단열재에 박혀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단열재 공사가 없는 욕실 난방시공시 슬라브에 시멘트를 도포하는 미장공사 후 바로 시멘트 상면에 박혀 경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고정부(80)는 단열재에 박히기 용이하도록 원추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또는 경화 전의 시멘트가 내부로 수용되어 걸려지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바닥고정부(80)는 단열재 또는 미장 상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체만으로 고정되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받침대(1) 및 와이어메시(100)가 정위치에 고정되어 난방호스(200)가 어느 한 부분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싱기 몸체의 하면에는 연질의 접착층(9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뜯어서 제거 가능한 대지(91)가 구성된다.
상기 접착층(90)은 표면이 고르지 않은 슬라브 상면 또는 단열재 상면에 안착된 후 누르면 그 거친 표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상부에 고정되는 난방호스(200)가 기울어지지 않고 비교적 평탄한 상태로 배열되어 고른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층(90)은 연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성을 갖는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틈새마감 등의 보수공사에 주로 사용하는 백색시멘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받침대(1)는 와이어메시(100)에 쉽고 간편헤가 고정할 수 있어 건물 실내 난방시공 중 특히 작업공간이 협소한 욕실 난방시공에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받침대(1)는 제1,2실시례와 같이, 하부고정홈(40)을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각각 형성하되 상,하부고정홈(30)(40)이 교차되지 않게 구성시켜, 종래와 같이 와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만 고정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난방호스(200)가 배열되는 위치에 맞춰 상,하부와이어(110)(120)에 각각 고정하더나 또는 상,하부와이어(110)(120)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는 제3실시레와 같이, 와이어메시(100)가 상방향에서 진입 고정되는 교차되는 상,하부고정홈(30)(40)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메시(100)를 지면에서 높게 설치하여 양생 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탄성제공홈(51)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는 상,하부와이어(110)(120)를 쉽고 간편하게 삽탈할 수 있고, 콘크리트고정홈(60)과 콘크리트고정판(70)은 콘크리트 양생 후 내설된 받침대(1)와 일체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고정부(80)와 연질의 접착층(90)은 받침대(1)를 슬라브 또는 미장상부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난방호스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받침대: 1 몸체: 10
호스파지부: 20 상부고정홈: 30
상부진입부: 31 하부고정홈: 40
하부진입부: 41 탄성부: 50
탄성제공홈: 51 콘크리트고정홈: 60
콘크리트고정판: 70 바닥고정부: 80
접착층: 90 대지: 90
폭:W1,W2 와이어메시: 100
상부와이어: 110 하부와이어: 120
난방호스: 200 분배기: 210

Claims (10)

  1. 난방호스(200)가 하방으로 끼워지도록 양측부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가공된 호스파지부(20)가 상부에 마련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가공되고, 격자 형태의 메시와이어(100) 중 상부와이어(11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해 측면상 개방면인 선단부 보다 기저부의 폭이 더 좁은 일정 깊이의 상부진입부(31)와, 이 상부진입부(31)의 기저부에 접하면서 기저부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가공되어 상부와이어(110)가 끼워지는 상부고정홈(30);
    상기 상부고정홈(30)과 격자 형태로 몸체(10)의 하부에 가공되고, 메시와이어(100) 중 하부와이어(12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해 측면상 개방면인 선단부 보다 기저부의 폭이 더 좁은 일정 깊이의 하부진입부(41)와, 이 하부진입부(41)의 기저부에 접하면서 기저단(w2)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가공되어 하부와이어(110)가 끼워지는 하부고정홈(40);과,
    상기 상부고정홈(30) 또는 하부고정홈(40)에 나란하면서 일정 깊이를 가지고, 측면상 개방면인 선단부 보다 기저부의 폭이 더 좁은 탄성진입부(51a)와, 이 진입부(51a)의 기저부에 접하면서 기저단의 폭(w2)보다 더 큰 직경의 홈(51b)을 구비하는 탄성제공홈(51);
    상기 탄성제공홈(51) 및 상부고정홈(30) 또는, 탄성제공홈(51) 및 하부고정홈(40) 사이에 위치되어 측면상 선단부 보다 기저부 폭이 더 넓게 성형된 탄성부(50);와
    상기 호스파지부(20)의 기저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콘크리트고정홈(6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50)의 기저부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양측부의 돌출된 부위가 비대칭을 이루기 위해 상기 탄성진입부(51a) 및 홈(51b)의 접하는 부위(a1)와, 상부진입부(31) 및 상부고정홈(30)의 접하는 부위(a2)가 수평선상에서 어긋나거나,
    상기 탄성진입부(51a) 및 홈(51b)의 접하는 부위(a1)와, 하부진입부(41)와 하부고정홈(40)의 접하는 부위(a3)가 수평선상에서 어긋나게 가공되는 난방호스 받침대.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서,
    상기 상부진입부(31)는 몸체(10)의 하면에서부터 가공되고, 하부진입부(41)는 몸체(10)의 양측면 중 일면 또는 양면에서부터 가공되거나,
    상기 상부진입부(31)는 몸체(10)의 호스파지부(20)의 바닥면에 가공되고, 하부진입부(41)는 호스파지부(20)의 상단에서부터 가공되는 난방호스 받침대.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몸체(10)는,
    하면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임의 전복을 방지하고, 경화된 콘트리트에 고정되는 콘크리트고정판(70),
    하면에 복수가 원추 또는 요철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 또는 미장부분 상면에 박혀 임의 이동을 방지하고, 와이어메시(100)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바닥고정부(80)와,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난방호스 받침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18427A 2018-10-04 2018-10-04 난방호스 받침대 KR102249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27A KR102249549B1 (ko) 2018-10-04 2018-10-04 난방호스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27A KR102249549B1 (ko) 2018-10-04 2018-10-04 난방호스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81A KR20200038781A (ko) 2020-04-14
KR102249549B1 true KR102249549B1 (ko) 2021-05-12

Family

ID=7029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27A KR102249549B1 (ko) 2018-10-04 2018-10-04 난방호스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38A (ko) 2020-12-09 2022-06-16 하재은 배관 설치를 위한 와이어 메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601A1 (en) * 2006-06-09 2009-12-03 Asker Hojlund Pedersen Mounting Clamp For A Floor Heating System
KR101168834B1 (ko) * 2012-04-13 2012-07-25 백경봉 난방배관 고정용 클램프
US20130020446A1 (en) * 2010-01-25 2013-01-24 Winkler Technik Gmbh Retaining rail for accommodating a heating pipe
JP2014150705A (ja) * 2013-01-31 2014-08-21 Marui Sangyo Co Ltd 電気工事用長尺材支持具
KR101556475B1 (ko) * 2014-07-02 2015-10-01 류재현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27277U1 (de) * 1982-09-29 1984-01-26 Nordrohr Kunststoffröhrenwerk GmbH & Co KG, 2200 Elmshorn Klammer zum Halten eines Fußbodenheizungsrohrs an einem Bewehrungsdraht
KR890006917Y1 (ko) * 1986-04-23 1989-10-12 김상수 온수파이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601A1 (en) * 2006-06-09 2009-12-03 Asker Hojlund Pedersen Mounting Clamp For A Floor Heating System
US20130020446A1 (en) * 2010-01-25 2013-01-24 Winkler Technik Gmbh Retaining rail for accommodating a heating pipe
KR101168834B1 (ko) * 2012-04-13 2012-07-25 백경봉 난방배관 고정용 클램프
JP2014150705A (ja) * 2013-01-31 2014-08-21 Marui Sangyo Co Ltd 電気工事用長尺材支持具
KR101556475B1 (ko) * 2014-07-02 2015-10-01 류재현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81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758A (en) Combined form and drian titl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035500B2 (en) Bracket for positioning and protecting pipes in concrete
KR102249549B1 (ko) 난방호스 받침대
US20180002936A1 (en) Concrete Form Clip
EP0767857A1 (en) Spacing member
KR101331495B1 (ko) 난방배관 고정틀
WO2004111544A1 (en) Indoor floor heating system
JP2007163116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温水マット及び該温水マットを利用し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200034557A (ko) 난방배관용 패널조립체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CN210070008U (zh) 一种预制装配式地热采暖结构
US2702564A (en) Conduit section
KR102333183B1 (ko) 난방파이프 타설용 경계구에 조립되는 철선 삽입형 결속고정구
KR102113869B1 (ko) 안전발판 설치구조
KR101623728B1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KR101196101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0144289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200365409Y1 (ko) 가스관 배관용 슬리브
JP3132654U (ja) 1坪前後の浴室の洗い場における、継ぎ目のない可撓性のある連続した一本の温水パイプを使っ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ための曲線部の温水マット形状及び該曲線部の温水マットと直線部の温水マットの2種類の温水マットの組み合わせ。
KR102595544B1 (ko) 조립식 난방패널
KR102602072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102513855B1 (ko) 온돌바닥 미장 모르타르와 일체화되고, 난방효율 확보를 위해 모르타르 두께에 따른 배관 높이 고정이 가능한 고정패드
KR101357005B1 (ko) 배관 구조가 개선된 슬래브 데크 시스템
KR101650476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KR101022488B1 (ko) 온돌바닥 난방구조에서의 배관 수평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