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041A -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 Google Patents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041A
KR20160013041A KR1020157033766A KR20157033766A KR20160013041A KR 20160013041 A KR20160013041 A KR 20160013041A KR 1020157033766 A KR1020157033766 A KR 1020157033766A KR 20157033766 A KR20157033766 A KR 20157033766A KR 20160013041 A KR20160013041 A KR 2016001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beer
beverage
beer flavored
beer
bar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544B1 (ko
Inventor
신스케 이토
교코 후지와라
도모코 다카하시
다쿠야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발명의 과제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대한 맥주스러운 풍미의 부여와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를 양립시키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농도 8 g/ℓ 이상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이다.

Description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UNFERMENTED BEER-FLAVOURED BEVERAGE CONTAINING INDIGESTIBLE DEXTRIN, AND BITTER SUBSTANCE}
본 발명은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 및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에 관한 것이다.
맥주 풍미 음료에는, 실질적으로 에탄올을 함유하는 주류인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 및 실질적으로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는 탄산 음료인 맥주 풍미 탄산 음료 등의 다종류의 제품이 있다.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는, 주로 맥아 또는 곡류의 당화액을 주원료로서 사용하여, 이것을 발효시켜 제조된다. 발효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는, 이하, 「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라고 한다. 한편,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에는, 음용수에 보리즙, 맥아 엑기스, 당류, 향료 및 에탄올 등을 첨가함으로써 맥주스러운 풍미 및 미질 (味質) 로 마무리한 것도 있다.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되는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는, 이하,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라고 한다.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는, 제조 과정에서 발효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하는 데에 특별한 발효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에 적합하다. 그러나, 어떠한 성분을 어느 정도의 양으로 조합 (調合) 하면 맥주스러운 풍미 및 미질을 재현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해지지 않았으며, 제조 방법은 연구 개발 도상에 있다.
한편,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알코올 도수가 낮아, 운전자 및 임신ㆍ수유 중인 여성도 부담없이 마실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통상의 맥주에 비해 칼로리가 낮아, 건강을 지향하는 사람에게도 지지를 받고 있다.
맥주 풍미 탄산 음료의 제조 방법은, (1) 에탄올 제거, (2) 발효 억제, (3) 비발효의 3 종류로 크게 나누어진다. (1) 은 통상의 맥주로부터 특수한 장치로 에탄올분만을 제거하여 만든다. (2) 는 통상보다 저온에서 발효시키거나 하여 효모의 활동을 억제하고, 저에탄올로 마무리한다. 이들 발효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이하, 「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라고 한다.
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제조 방법에 발효 공정이 있기 때문에, 맥주스러운 풍미가 된다. 그러나, 발효 공정에서 에탄올이 생성되어 버려, 에탄올 함유량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반해, (3) 은 음용수에 보리즙, 맥아 엑기스, 당류 및 향료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들의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되는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이하,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라고 한다.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는, 제조 과정에서 발효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용이하다. 또, 제조하는 데에 특별한 발효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에 적합하여 만인용 음료이다. 그러나, 어떠한 성분을 어느 정도의 양으로 조합하면 맥주스러운 풍미 및 미질을 재현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해지 않았으며, 제조 방법은 연구 개발 도상에 있다.
또한,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는,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의 제조 과정에서 에탄올을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요컨대, 양자의 실질적인 상이점은 에탄올의 함유 여부뿐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 및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를 함께 취급하며, 양방을 포함하여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라고 한다.
특허문헌 1 에는,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 분해물 및 맥아 추출물을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맥주풍의 쓴맛이나 풍미감을 부여하여, 향미에 깊이와 흐트러짐 없는 일정함을 더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맥아 추출물은 그 자체로 감미나 감칠맛이 강하다. 그 때문에, 맥아 추출물을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시키면, 과잉의 감미나 감칠맛이 두드러짐으로써 풍미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어려운 데다가, 맥아 자체가 갖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악취가 두드러져 버린다.
그 결과, 종래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통상의 맥주와 대비하면, 여전히 맥주스러운 풍미에 대해서 차이가 크고, 특히, 「밸런스의 양호함」,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이 통상의 맥주보다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는, 구체예로서 폴리덱스트로오스를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는, 폴리덱스트로오스의 사용 목적, 기능 작용에 대해서 아무런 설명이 없다. 그 때문에, 폴리덱스트로오스는 단순한 성분으로서 기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여, 폴리덱스트로오스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취지의 시사는 없다.
한편, 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의 분야에서는, 만족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원료 중 맥아의 사용 비율을 높은 비율로 함으로써 만족감을 확보할 수 있는 것, 및 보리를 원료의 일부로 한 알코올 함유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류액을 첨가함으로써, 맥아 발효 음료의 만족감을 저해하지 않고, 목넘김의 깔끔함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요즈음의 일본의 식생활의 구미화에 수반하는 지질의 과잉 섭취는, 비만이나 메타볼릭 신드롬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이나 동맥 경화 등의 생활 습관병의 발증 리스크를 높이게 되어, 국민의 건강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가져오는 요인으로서 문제시되고 있다. 공복시에 있어서의 혈중 중성 지방치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진단 기준의 하나로, 이 값을 저하시키는 것은 비만 예방에 유효하다. 한편, 최근에는, 식후에 혈중 중성 지방치가 높은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는 식후 고지혈증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어, 식후 고지혈증이 심질환이나 뇌경색의 위험 인자인 것이 밝혀졌다. 즉,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비만뿐만 아니라 심질환이나 뇌경색의 예방에도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를 갖는 식품 소재로서, 수용성 식물 섬유인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보고되어 있다. 그 작용 기전으로서, 담즙산 미셀의 붕괴를 저해하여 안정화시키고, 지질의 방출을 지연시킴으로써 지질 흡수를 억제하는 것, 또 변 중으로의 지질 배설을 촉진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가공 적성이나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지금까지 여러 가지 식품에 사용되고 있어,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매우 우수한 식품 소재라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 5 에는, 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의 양조 원료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사용 목적은, 특허문헌 3 에서는 맥주의 저칼로리화이고, 특허문헌 4 및 5 에서는 향미, 깊은 맛의 부여이며, 「밸런스의 양호함」,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의 부여는 아니다. 또,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에 대한 기재는 전혀 없다.
원래 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에서는, 저분자량의 당이나 질소원은 효모에 자화 (資化) 되어, 최종 제품에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밸런스의 양호함」,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을 본래적으로 가져, 해결 과제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42901호 국제 공개 2005/0567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99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34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맥주스러운 풍미 및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를 부여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을 증강시키고, 적당히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대해 맥주스러운 풍미를 부여시키면서,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를 갖게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대한 맥주스러운 풍미의 부여와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를 양립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도 8 g/ℓ 이상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를 제공한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쓴맛 물질이 이소 α 산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소 α 산의 농도가 0.001 g/ℓ 이상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것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감미 물질을 추가로 함유한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감미 물질의 농도가 자당 환산으로 18 g/ℓ 이하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감미 물질이 아세술팜 K 이고, 그 농도가 0.09 g/ℓ 이하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감미 물질이, 단당, 이당 및 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이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음용에 의해 혈중 중성 지방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이 증강되고, 적당히 밸런스가 맞춰져 있어, 맥주스러운 풍미를 가지면서,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도 겸비한다.
도 1 은 공복시 중성 지방치가 약간 높은 피험자에게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를 부하식과 함께 섭취시킨 후, 혈중 중성 지방치가 어떻게 추이하는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 측정값, b : 변화량).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한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음료는, 마셨을 때 목에 걸리는 감각을 부여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특징인 「밸런스의 양호함」,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 및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이라는 특징을 갖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가 제공된다.
또,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져,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비만, 심질환 및 뇌경색 등의 예방에 유효하다. 맥주 풍미 음료에는 지질 에너지 비율이 높은 식사 (고지방 식품) 와 함께 섭취되는 경향이 있어, 맥주 풍미 음료에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기능이 부여되는 의의는 높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전분 분해물로, 전분을 산 배소하여 얻어지는 덱스트린에 알파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양은, 농도 8 g/ℓ 이상이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농도가 8 g/ℓ 미만이 되면,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목에 걸리는 감이 약해지고, 또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 효과도 약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농도는 9 ∼ 25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12.8 ∼ 16.2 g/ℓ 이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농도가 25 g/ℓ 를 초과하면,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풍미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감미 물질을 적당히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미 물질이란, 사람이 입에 머금었을 때 감미를 느끼는 물질을 말한다. 대표적인 감미 물질은 감미료이다. 감미료란, 음료 또는 식품에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조미료를 말한다. 감미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음료는, 산미와 감미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산미 또는 감미 등의 후미감을 부여하기 어려워져,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을 높인다.
감미 물질의 예로서, 당류 또는 당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당류로는 포도당, 과당, 자일로오스, 소르보오스, 갈락토오스, 이성화당 (과당 포도당 액당, 포도당 과당 액당, 고과당 액당 등), 자당, 맥아당, 유당, 이성화 유당, 팔라티노오스, 이소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라피노오스,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커플링슈거, 팔라티노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류로는, 예를 들어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티톨, 이소말티톨, 락티톨, 말토트리이톨, 이소말토트리이톨, 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로는, 예를 들어 아스파탐, 스테비아, 효소 처리 스테비아, 소마틴, 수크랄로오스, 아세술팜 K, 네오탐, 나한과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감미 물질로서 저분자당이 사용된다. 저분자당이란 각종의 당이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올리고머를 말한다. 보다 바람직한 감미 물질은, 단당, 이당 및 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한 감미 물질은,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말토오스, 과당 포도당 및 포도당 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감미 물질의 농도는, 자당 환산으로 18 g/ℓ 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미 물질로는 아세술팜 K 가 바람직하다. 그 경우,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아세술팜 K 의 농도는 0.09 g/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5 ∼ 0.060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 0.045 g/ℓ 이다.
예를 들어, 감미 물질의 함유량은,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에탄올의 양을 고려하여 조절된다. 에탄올은 정미 (呈味) 기능으로서 감미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첨가하는 에탄올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료용 알코올, 맥주, 소주, 아와모리 (泡盛, 오키나와 전통 소주), 위스키, 브랜디, 보드카, 럼, 테킬라, 진, 스피리츠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가 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발효 맥주 풍미 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감미 물질의 농도는, 자당 환산으로 18 g/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3 ∼ 12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9 g/ℓ 이다.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가 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알코올 음료인 경우에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감미 물질의 농도는, 자당 환산으로 0.1 ∼ 1.8 g/ℓ, 바람직하게는 0.4 ∼ 1.3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1.1 g/ℓ 이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을 함유함으로써,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를 마셨을 때 목에 걸리는 감각, 즉,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이 보다 증강된다. 또,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은 기포 유지 효과도 갖는다.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이란, 대두, 완두, 옥수수, 소맥, 대맥, 쌀, 땅콩, 유채씨, 해바라기 등으로부터 얻어진, 분리 단백질 등의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는 획분을 식물 단백질 원료로 하고, 이 곡물 단백질 원료를 산, 알칼리 또는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한 것이다. 곡물 유래 단백질 원료로는, 대두 및 완두 등의 콩과 식물에서 유래하는 단백질이 바람직하고, 가수분해 방법은 효소법이 바람직하다. 효소법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프로테아제를 사용하여, 그들에 적합한 온도, pH, 시간으로 가수분해를 실시한다. 분해의 정도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대체로 15 중량% TCA 가용화율 30 ∼ 100 % 가 적합하다. 또, 분자 사이즈가 지나치게 크면, 후공정이나 보존 중에 침전물이 되어 불용화되어 오는 획분이 많고, 지나치게 작으면 위화감이 있는 감칠맛의 원인이 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 중에 함유하는 수용성 획분의 평균 분자량이 550 이상 3,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1,500 이하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의 파라미터인 15 중량% TCA 가용화율 및 수용성 획분의 평균 분자량의 의의는, 특허문헌 1 의 제 0017 단락 및 제 0018 단락에 각각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곡물 유래 단백질 분해물의 양은, 지나치게 적으면 효과가 약하고, 지나치게 많으면 반대로 잡미의 원인이 되기 쉬우며, 또한 pH 상승에 의한 미생물 리스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최종 음료 중의 농도가 10 g/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 6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4 g/ℓ 가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리즙이란 대맥 맥아를 분쇄하여 당화를 실시한 액을 말한다. 대맥 엑기스란 대맥, 대맥 맥아 또는 이들의 분쇄물로부터 물 또는 열탕으로 성분을 추출한 추출액, 추출액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말한다.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당 또는 질소원을 많이 함유하여, 그 자체로 감미나 감칠맛이 강하다. 그 때문에,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시키면, 풍미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어려워, 뒷맛으로서 감미가 남거나 불쾌한 악취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한다」란,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대해,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로서 실질적인 양으로 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향료 등에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가 포함되어 있어,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가 향료로서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소량 배합된 경우에는,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에 해당하지 않는다.
보리즙이란 대맥 맥아를 분쇄하여 당화를 실시한 보리 당화액을 말한다. 보리 당화액은, 예를 들어, 대맥 맥아를 맥아 유래의 효소를 사용하여 당화 반응시켜 얻어진다. 보리 당화액은, 대맥을 효소를 사용하여 당화 반응시켜 얻은 것이어도 된다. 대맥 엑기스란 대맥, 대맥 맥아 또는 이들의 분쇄물로부터 물 또는 열탕으로 성분을 추출한 추출액, 추출액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말한다.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당 또는 질소원을 많이 포함하여, 그 자체로 감미나 감칠맛이 강하다. 그 때문에,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면, 풍미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어려워, 뒷맛으로서 감미가 남거나 불쾌한 악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얻어지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하여 제조하면 된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의 함유량은,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의 불휘발성 성분의 농도가 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가 되는 양이다.
본래, 효모 발효시킨 맥주 풍미 음료에서는, 저분자량의 당이나 질소원은 효모에 자화되어, 최종 제품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다. 반대로, 고분자량의 당은 효모에 자화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그대로 잔존한다. 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서는, 이 소량의 저분자당 (감미 물질) 과 다량의 고분자당의 함유 밸런스에 의해, 과도한 감미나 감칠맛과 같은 과잉의 뒷맛이 억제되고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이 제공되어, 맥주스러운 풍미가 실현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는, 맥주 특유의 산뜻한 쓴맛을 재현하기 위해, 쓴맛 물질을 함유한다. 쓴맛 물질이란, 사람이 입에 머금었을 때 쓴맛을 느끼는 물질을 말한다. 쓴맛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음료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첨가에 의한 끈적거림, 개운하지 않은 후미감을 부여하기 어려워져,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을 나타내게 된다. 쓴맛 물질로는, 맥주와 동질 혹은 근사한 쓴맛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홉 중에 포함되어 있는 쓴맛 성분이어도 되고, 홉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쓴맛 성분이어도 된다. 당해 쓴맛 물질로는, 구체적으로는, 마그네슘염, 칼슘염, 시트르산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에틸, 나린진, 쿠아신, 이소 α 산, 테트라이소 α 산, β 산의 산화물, 퀴닌, 모모르디신, 퀘르시트린, 테오브로민, 카페인 등의 쓴맛 부여 성분, 및 비터 멜론, 당약차, 쿠딩차 (苦丁茶), 쓴쑥 추출물, 용담 추출물, 키나 추출물 등의 쓴맛 부여 소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특히, 난소화성 덱스트린 첨가에 의한 끈적거림이 억제되어 보다 맥주스러운 풍미를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이소 α 산이 바람직하다.
단리한 이소 α 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소 α 산은 홉에 함유되어 있어, 홉 또는 홉 엑기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홉 또는 홉 엑기스란, 홉의 잎이나 그 마쇄물, 이들을 물이나 열탕으로 추출한 추출액, 추출액의 농축물이나 건조물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 함유되는 이소 α 산의 양은, 농도 0.001 g/ℓ 이상이다. 이소 α 산의 농도가 0.001 g/ℓ 미만이 되면,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한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뒷맛이 끈적거려 개운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이소 α 산의 농도는 0.005 ∼ 0.08 g/ℓ,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03 g/ℓ 이다. 이소 α 산의 농도가 0.08 g/ℓ 를 초과하면,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풍미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당류, 당알코올, 사포닌 등의 각종 배당체, 향료, 식물 섬유나 다당류, 산류, 효모 엑기스 등의 원료를 병용할 수 있다. 당류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환원당이나 자당 등의 소당류, 각종 덱스트린이나 올리고당류를 들 수 있고, 향료로는 몰트 플레이버 (보리나 맥아 유래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해도 된다), 홉 플레이버 (홉 유래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해도 된다), 맥주 플레이버, 알코올 플레이버, 캐러멜 플레이버 등을 들 수 있다. 산류로는 시트르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이나, 염산, 인산 등의 광산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제조 방법은,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를 제조할 때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공정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먼저, 고분자당, 감미 물질 및 그 밖의 성분을 소정량 혼합하여 배합물을 조제한다. 이어서, 배합물에 음용수를 소정량 첨가하여 1 차 원료액을 조제한다. 1 차 원료액을 자비 후, 필요에 따라 발효 알코올을 첨가하고, 카보네이션 공정에 의해 탄산을 첨가한다.
필요에 따라, 각 단계에 있어서, 여과, 원심 분리 등으로 침전을 분리 제거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원료액을 농후한 상태로 제작한 후에 탄산수를 첨가해도 된다. 이들은 통상의 소프트 드링크의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함으로써, 발효 설비를 가지지 않아도 간편하게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의 조제가 가능하다.
카보네이션 공정이나 탄산수 첨가 공정 전에 침전을 제거하면, 침전물이나 잡미의 원인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카보네이션 공정이나 탄산수의 첨가 공정 전에, 필요에 따라 여과 또는 살균을 실시해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배합
표 1 에 기재하는 배합물 (단위는 g) 을 혼합하여 1 ℓ 가 되도록 물로 메스업하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표 1]
Figure pct00001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마츠타니 화학사 제조의 「파이버 솔 2」(상품명) 를 사용하였다 (이후의 데이터도 동일). 파이버 솔 2 에 있어서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함량은 90 중량% 이다. 대두 단백질 분해물에 대해서는 만족감 부여 및 기포 유지 목적, 캐러멜은 착색 목적, 인산은 pH 조정 목적으로 각각 배합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2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5 명에 의한 각 9 점 만점의 채점을 평균하였다. 관능 평가시에는 향기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때문에 노즈클립을 코에 끼운 상태로 실시하였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에서는 모두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에서 낮게 평가되었고, 코멘트에서도 끈적거림, 점성이 있음, 뒷맛이 남음 등의 맥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평가가 보이고, 특히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12.8 g/ℓ 이상 첨가한 시험구 2 나 3 에서 풀같이 쩍하고 입에 닿는 느낌 때문에 마시기 어려워, 맥주 풍미로서의 마신 후의 깔끔함이라고 하는 특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1
이소 α 산의 배합
비교예에서 평가가 바람직하지 않았던 시험구 2 의 배합에 대해, 풀같이 쩍하고 입에 닿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홉 유래의 이소 α 산을 첨가하였다. 이소 α 산은 홉 (표 3), 고미료 (苦味料) (표 4) 의 형태로 각각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이소 α 산량에 정합되도록 첨가량을 조절하였다. 표 3, 4 에 기재하는 배합물 (단위는 g) 을 혼합하여 1 ℓ 가 되도록 물로 메스업하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표 3]
Figure pct00003
홉은 Barth-Haas Group 사 제조의 「CO2 Hop Extract」(상품명) 를 사용하여, 표에 기재된 이소 α 산 함량 (g/ℓ)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표 4]
Figure pct00004
고미료는 Barth-Haas Group 사 제조의 「ISOHOP」(상품명) 을 사용하여, 표에 기재된 이소 α 산 함량 (g/ℓ)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5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3 명에 의한 각 9 점 만점의 채점을 평균하였다. 관능 평가시에는 향기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노즈클립을 코에 끼운 상태로 실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홉, 고미료 중 어느 형태로 이소 α 산을 부여한 것 모두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에 있어서 최종 이소 α 산 함량 0.01 ∼ 0.03 g/ℓ 에서 평가가 좋아졌고, 특히 0.02 g/ℓ 에서 가장 높은 평가가 되었다. 끈적거림, 점성이 있음, 뒷맛이 남음 등의 코멘트도 두드러지지 않게 된 한편, 톱에서 미들에 걸쳐 산미가 두드러져, 전체적인 밸런스가 조절되지 않은 것이 느껴졌다.
[표 5-1]
Figure pct00005
[표 5-2]
Figure pct00006
실시예 2
감미 물질의 배합
표 6 에 기재하는 배합물 (단위는 g) 을 혼합하여 1 ℓ 가 되도록 물로 메스업하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표 6]
Figure pct00007
감미 물질은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과당 포도당, 아세술팜 K, 수크랄로오스, 스테비아, 아스파탐, 소마틴을, 각각 감미도를 일정하게 한 후에 배합하였다. 감미 물질의 자당 환산 농도는 5 g/ℓ 이다. 홉은 Barth-Haas Group 사 제조의 「CO2 Hop Extract」(상품명) 를 사용하여, 이소 α 산 함량이 0.02 g/ℓ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7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3 명에 의해 각 9 점 만점의 채점을 평균하였다. 관능 평가시에는 향기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노즈클립을 코에 끼운 상태로 실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인 단당, 이당류 및 아세술팜 K 에서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의 평가가 상승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 저분자당 및 감미료를 사용한 샘플의 에너지를 확인한 결과, 아세술팜 K 를 비롯한 감미료에서 매우 낮은 에너지량이 되어, 이것은 비만이나 메타볼릭 신드롬을 걱정하는 분들의 에너지 섭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배합인 것이 확인되었다.
[표 7]
Figure pct00008
실시예 3
아세술팜 K 의 배합
표 8 에 기재하는 배합물을 혼합하여 1 ℓ 가 되도록 물로 메스업하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표 8]
Figure pct00009
홉은 Barth-Haas Group 사 제조의 「CO2 Hop Extract」(상품명) 를 사용하여, 이소 α 산 함량이 0.02 g/ℓ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9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5 명에 의해 각 9 점 만점의 채점을 평균하였다.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에 있어서, 아세술팜 K 첨가량 0.015 ∼ 0.045 g/ℓ 에서 평가가 좋아졌고, 특히 0.030 g/ℓ 에서 가장 높은 평가가 되었다.
[표 9]
Figure pct00010
실시예 4
혈중 중성 지방 저감 효과
1 ℓ 당 배합량이, 표 10 에 기재하는 배합 (단위는 g) 이 되도록 향료 이외를 물에 용해시키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냉각 후표 10 에 기재된 향료를 첨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켜 용기를 채운 후, 내온이 65 ℃ 에서 10 분 이상이 되도록 열 살균하였다.
[표 10]
Figure pct00011
공복시 혈중 중성 지방이 정상 고치역 (高値域) 으로부터 약간 높은 (120 ∼ 200 ㎎/dL) 20 세 이상 65 세 미만의 남녀 80 명을 피험자로 하고, 플라시보 대조 랜덤화 2 중 맹검 크로스오버 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질량 42.5 g 의 부하식과 함께 조제한 음료 350 ㎖ 를 피험자에게 섭취시키고, 섭취 2, 3, 4, 6 시간 후에 채혈을 실시하여, 혈중 중성 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1 및 도 1 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12
시험의 결과, 부하식 섭취 후 2, 3, 4 시간에서의 혈중 중성 지방 측정값 및 변화량에 있어서, 피험 음료군은 대조 음료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 (섭취 후 2, 4 시간 p < 0.05, 섭취 후 3 시간 p < 0.01). 본 시험 중에 있어서, 시험 음료의 섭취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유해 사상 (事象) 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시험에 사용한 난소화성 덱스트린 배합 탄산 음료는 안전하고, 공복시 혈중 중성 지방이 정상 고치역에서 약간 높은 쪽의 식후 혈중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에 유용한 음료인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5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배합량에 의한 효과
1 ℓ 당 배합량이, 표 12 에 기재하는 배합 (단위는 g) 이 되도록 향료 이외를 물에 용해시키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냉각 후표 12 에 기재된 향료 (대조ㆍ시험 모두 동일 향료) 를 첨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켜 용기를 채운 후, 내온이 65 ℃ 에서 10 분 이상이 되도록 열 살균한 것을 제작하였다.
[표 12]
Figure pct00013
홉은 Barth-Haas Group 사 제조의 「CO2 Hop Extract」(상품명) 를 사용하여, 이소 α 산 함량이 0.02 g/ℓ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12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6 명에 의한 각 9 점 만점의 채점을 평균하였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에서는 모두 「밸런스의 양호함」의 평가를 떨어뜨리지 않고, 「목에 느껴지는 식음감」이나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의 평가가 첨가량에 따라 상승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배합에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함유됨으로써, 풀같이 쩍하고 입에 들러붙는 느낌 때문에 마시기 어려운 것을 느끼게 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고, 그 후의 맛의 낙차에 의해 깔끔함을 느끼게 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표 13]
Figure pct00014
실시예 6
보리 당화액 배합에 의한 효과
표 14 및 표 15 에 기재하는 배합물을 혼합하여 1 ℓ 가 되도록 물로 메스업하고, 1 시간 자비를 실시한 후, 증발분의 물을 추가하고, 청정화를 위해 규조토 여과 및 필터 여과를 실시하고, 액 중으로 탄산 가스를 불어넣음으로써 탄산 가스를 2.9 가스 볼륨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보리 당화액에 대해서는 대맥 맥아를 맥아 유래의 효소를 사용하여 당화 반응시킨 후에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단, 대맥을 효소로 당화한 것이어도 된다).
[표 14]
Figure pct00015
[표 15]
Figure pct00016
보리 당화액은 여과 후 엑기스분 (불휘발성 성분) 15 중량% 인 것을 지정량 첨가하였다 (최종 엑기스분 0.5 중량%, 1.5 중량% 분이 되도록 첨가). 홉은 Barth-Haas Group 의 「CO2 Hop Extract」(상품명) 를 사용하여, 최종 이소 α 산 0.02 g/ℓ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음료의 평가를 표 16 및 17 에 나타냈다. 평가는 맥주류 전문 패널 3 명에 의해 각 9 점 만점의 평가를 평균하였다. 관능 평가시에는 향기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노즈클립을 코에 끼운 상태로 실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인 단당, 이당류 및 아세술팜 K 에서 「밸런스의 양호함」, 「마신 후의 깔끔함의 양호함」의 평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의 저분자당 및 감미료를 사용한 샘플의 에너지를 확인한 결과, 아세술팜 K 를 비롯한 감미료에서 매우 낮은 에너지량이 되어, 이것은 비만이나 메타볼릭 신드롬을 걱정하는 분들의 에너지 섭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배합인 것이 확인되었다.
[표 16]
Figure pct00017
[표 17]
Figure pct00018

Claims (9)

  1. 농도 8 g/ℓ 이상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쓴맛 물질이 이소 α 산인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 α 산의 농도가 0.001 g/ℓ 이상인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리즙 또는 대맥 엑기스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미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 물질의 농도가 자당 환산으로 18 g/ℓ 이하인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 물질이 아세술팜 K 이고, 그 농도가 0.09 g/ℓ 이하인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 물질이 단당, 이당 및 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인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용에 의해 혈중 중성 지방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KR1020157033766A 2013-05-29 2014-03-07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KR102231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3183 2013-05-29
JPJP-P-2013-113183 2013-05-29
PCT/JP2014/056061 WO2014192357A1 (ja) 2013-05-29 2014-03-07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及び苦味物質を含有する非発酵ビール風味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041A true KR20160013041A (ko) 2016-02-03
KR102231544B1 KR102231544B1 (ko) 2021-03-23

Family

ID=5198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766A KR102231544B1 (ko) 2013-05-29 2014-03-07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66614A1 (ko)
JP (1) JP5694616B1 (ko)
KR (1) KR102231544B1 (ko)
CN (1) CN105246352B (ko)
HK (1) HK1213439A1 (ko)
TW (1) TWI492713B (ko)
WO (1) WO2014192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64506B (es) 2011-09-02 2019-04-26 Suntory Holdings Ltd Bebidas con sabor a cerveza que contienen saponina.
JP6419458B2 (ja) * 2014-05-30 2018-11-07 キリン株式会社 苦味成分を配合した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6499833B2 (ja) * 2014-07-09 2019-04-1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穀類エキス含有ビール風味アルコール飲料
JP6727752B2 (ja) * 2014-12-25 2020-07-22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麦と大豆を併用するビールテイスト非発酵飲料
TW201638326A (zh) * 2015-04-21 2016-11-01 朝日啤酒股份有限公司 類啤酒發泡性飲料之製造方法
WO2016189631A1 (ja) * 2015-05-25 2016-12-01 花王株式会社 ビアテイスト飲料
JP2017012014A (ja) * 2015-06-26 2017-01-19 キリン株式会社 ビールらしい飲み応えやバランスを有する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6723529B2 (ja) * 2015-07-14 2020-07-15 株式会社東洋新薬 ホップ葉含有飲食用組成物
JP2017112911A (ja) * 2015-12-24 2017-06-29 キリン株式会社 ビールらしい苦味を有する未発酵の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6010713B1 (ja) * 2016-04-05 2016-10-19 花王株式会社 ビアテイスト飲料
JP6661515B2 (ja) * 2016-11-09 2020-03-11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非発酵ビール風味ノンアルコール飲料
JP6815187B2 (ja) * 2016-12-15 2021-01-2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非発酵ビール様発泡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6825B1 (ko) * 2017-04-28 2019-06-07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저감미 맥아엑기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풍미가 향상된 무알코올 맥주맛 음료
JP6959038B2 (ja) * 2017-06-02 2021-11-02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容器入り非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487521B1 (ja) * 2017-12-18 2019-03-20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
CN111526725A (zh) * 2017-12-27 2020-08-11 三得利控股株式会社 饮料及其制造方法
JP6828086B2 (ja) * 2019-05-14 2021-02-1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非発酵ビールテイスト飲料
US11540549B2 (en) 2019-11-28 2023-01-03 Tate & Lyle Solutions Usa Llc High-fiber, low-sugar soluble dietary fibers, products including them and methods for using them
JP7469886B2 (ja) 2020-01-24 2024-04-17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90369B2 (ja) * 2020-08-11 2023-06-13 株式会社東洋新薬 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46A (ko) 2003-12-10 2005-06-1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JP2006006342A (ja) 2004-11-08 2006-01-12 Sapporo Breweries Ltd 麦芽、大麦及び小麦を使用しない低糖質発泡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発泡アルコール飲料
KR20090025783A (ko) * 2007-09-07 2009-03-11 하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맥주의 제조방법
JP2011142901A (ja) 2009-12-18 2011-07-28 Fuji Oil Co Ltd 非発酵ビール風味炭酸飲料
JP2011188833A (ja) * 2010-03-16 2011-09-29 Asahi Group Holdings Ltd ビール様発泡性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
JP2011217706A (ja) * 2010-04-14 2011-11-04 Asahi Breweries Ltd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064A (ja) * 2000-03-13 2001-09-18 Matsutani Chem Ind Ltd 食物繊維を含有するビール又は発泡酒
CN100482106C (zh) * 2006-04-07 2009-04-29 哈尔滨三乐生物工程有限公司 活性肽果味啤酒样饮料及其制备方法
JP5231438B2 (ja) * 2009-01-08 2013-07-10 麒麟麦酒株式会社 酸味が低減・緩和された未発酵のビール風味麦芽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66962B2 (ja) * 2011-07-19 2014-08-06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未発酵のビールテイスト飲料
WO2014057954A1 (ja) * 2012-10-09 2014-04-17 花王株式会社 ビアテイスト飲料
JP5535388B2 (ja) * 2012-10-09 2014-07-02 花王株式会社 ビアテイスト飲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46A (ko) 2003-12-10 2005-06-1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JP2006006342A (ja) 2004-11-08 2006-01-12 Sapporo Breweries Ltd 麦芽、大麦及び小麦を使用しない低糖質発泡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発泡アルコール飲料
KR20090025783A (ko) * 2007-09-07 2009-03-11 하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맥주의 제조방법
JP2011142901A (ja) 2009-12-18 2011-07-28 Fuji Oil Co Ltd 非発酵ビール風味炭酸飲料
JP2011188833A (ja) * 2010-03-16 2011-09-29 Asahi Group Holdings Ltd ビール様発泡性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
JP2011217706A (ja) * 2010-04-14 2011-11-04 Asahi Breweries Ltd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995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2713B (zh) 2015-07-21
TW201446156A (zh) 2014-12-16
CN105246352A (zh) 2016-01-13
WO2014192357A1 (ja) 2014-12-04
JP5694616B1 (ja) 2015-04-01
CN105246352B (zh) 2017-06-09
US20160066614A1 (en) 2016-03-10
KR102231544B1 (ko) 2021-03-23
JPWO2014192357A1 (ja) 2017-02-23
HK1213439A1 (zh)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544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JP5694615B1 (ja)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非発酵ビール風味飲料
KR101845582B1 (ko)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TWI712365B (zh) 非發酵啤酒風味無酒精飲料
WO2016163200A1 (ja) 発酵ビール様発泡性飲料
JP6757136B2 (ja) ビール様発泡性飲料
WO2017026226A1 (ja) ビール様発泡性飲料
JP5793628B2 (ja) 非発酵ビール風味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TWI737853B (zh) 類啤酒發泡性飲料
JP6382546B2 (ja) 非発酵濃色ビール風味飲料
JP6499833B2 (ja) 穀類エキス含有ビール風味アルコール飲料
JP6814274B1 (ja) ビール様発泡性飲料
JP6722726B2 (ja) 非発酵濃色ビール風味飲料
JP6799131B1 (ja) ビール様発泡性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