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746A -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746A
KR20050056746A KR1020030089801A KR20030089801A KR20050056746A KR 20050056746 A KR20050056746 A KR 20050056746A KR 1020030089801 A KR1020030089801 A KR 1020030089801A KR 20030089801 A KR20030089801 A KR 20030089801A KR 20050056746 A KR20050056746 A KR 2005005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eturn spring
fixing
calip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남열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746A/ko
Publication of KR2005005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캘리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은 브레이크 패드(10,11)가 내장된 캐리어(20)와, 제동 유압에 의해 피스톤(30)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캐리어(20)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실린더(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의 패드 플레이트(12) 배면 좌우측변 중앙에 마모감지 센서(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9)를,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워지는 상기 마모감지 센서(17)의 두께보다 2배 이상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S01);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의 부착편(51) 부착단(55)에 고정공(57)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57)을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우는 단계(S02); 상기 리턴 스프링(50)이 끼워진 상기 고정돌기(19)를 리벳팅하여 발생된 체결수단(15)에 의해 상기 리턴 스프링(50)을 상기 패드 플레이트(12)의 배면에 고정하는 단계(S0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마모감지 센서 고정돌기를 리턴 스프링 장착용으로 공용할 수 있게 되므로 리턴 스프링의 조립비용 및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assembling method of a caliper pad return spring for a caliper brake}
본 발명은 차량의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차량의 캘리퍼 브레이크에서 제동압이 제거된 후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면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어 나올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의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을 브레이크 패드의 배면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인 차량을 멈추게 하거나 그 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안전장치인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동장치에 적용되는 캘리퍼브레이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의 안쪽 너클아암에 고정되면서 디스크의 양측면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내외측 브레이크 패드(110,111) 및 브레이크 패드(110)에 연결된 마모감지센서(112)를 갖는 캐리어(120)와, 유압에 따른 피스톤(130)의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110)를 디스크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120)를 중심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실린더(1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캐리어(120)의 미도시한 하단에는 관통홀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너클아암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단 양측에는 미도시한 핀 홀(121)을 갖는 가이드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123)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패드(110,111)의 미도시한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가이드홈부 및 스프링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40)의 중심부에는 브레이크 패드(110)의 미끄럼 이동 방향으로 미도시한 휠 실린더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휠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130)이 설치되어 휠 실린더내로 주입되는 유압에 의해 디스크의 내측에 위치한 브레이크 패드(110)를 디스크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양측단이 캐리어(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캘리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를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실린더(140)의 휠 실린더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피스톤(130)은 주입된 브레이크 오일에 의해 전진하면서 내측에 위치한 브레이크 패드(110)를 디스크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140)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130)의 전진 작용에 대하여 후방으로 반작용하게 된다. 이 때 실린더(140)는 슬라이딩 핀(125)을 통해 캐리어(120)의 가이드부(123)에 형성된 핀 홀(121)에서 미끄럼 이동을 이루며 후방으로 이동한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실린더(130)의 하부에 형성된 미도시한 포크부는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브레이크 패드(111)를 디스크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의 브레이크 패드(110,111)의 디스크 접촉은 마찰력을 통해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회전속도를 감속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캘리퍼 브레이크(100)는 제동 후 브레이크 패드(110,111)가 마찰면인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분리되는 데 필요한 충분한 복원력이 없음으로 인해 소정 시간 동안 맞닿아 드래그가 과도하게 발생되거나, 드래그로 인해 브레이크 디스크에 편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주행중 브레이킹 노이즈 또는 이상 떨림 현상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및 도 3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크 패드 리턴장치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6-68493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패드 리턴장치는 도시된 것처럼, 패드(14)와 인접한 캐리어(13) 부위에 스프링플레이트(22)를 부착하고, 패드(14)의 백플레이트(23)의 전방에 스프링고정구(24)를 부착하여 스프링플레이트(22)와 스프링고정구(24) 사이에 스프링걸림구(25,26)를 통해 인장 스프링(30)을 설치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14)가 제동 시 피스톤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가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였다가, 제동압이 해제된 때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와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브레이크 패드 리턴장치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이 다수이며, 브레이크 패드(14)의 백플레이트(14)나 캐리어(13) 리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로 가공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소요부품이 늘어나 생산 단가가 증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플레이트 배면에 일단이 장착되고, 캐리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타단이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제동 해제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면에서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드 리턴 스프링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캐리어나 브레이크 패드에 리턴 스프링의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캘리퍼 브레이크의 생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레이크 패드가 내장된 캐리어와, 제동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캐리어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브레이크 패드 배면에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의 배면에 고정되는 부착편과, 캐리어의 내외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부착편에서 2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탄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을 제공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가 내장된 캐리어와, 제동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캐리어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브레이크 패드 배면에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플레이트 배면 좌우측변 중앙에 마모감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이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마모감지 센서의 두께보다 2배 이상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부착편 부착단에 고정공을 관통 형성하고 이 고정공을 고정돌기에 끼우는 단계; 리턴 스프링이 끼워진 고정돌기를 리벳팅하여 발생된 체결수단에 의해 리턴 스프링을 패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이 적용된 캘리퍼 브레이크(1)를 도 4를 통해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의 양측면을 사이에 두고 작동되는 내외측 브레이크 패드(10,11)를 갖는 캐리어(20)와, 유압에 따른 피스톤(30)의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10)를 디스크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20)를 중심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실린더(40)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마스터 실린더를 통해 브레이크 오일이 실린더(40)의 휠 실린더 내부로 주입되면서 피스톤(30)을 전진시켜 안쪽에 위치한 브레이크 패드(10)를 디스크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실린더(40)의 하부에 형성된 포크부는 바깥쪽에 위치한 브레이크 패드(11)를 디스크의 외면에 밀착시켜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회전속도를 감속하게 된다.
여기에서, 브레이크 패드(10,11)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부착편(51)과 탄지편(53) 2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착편(51)은 리턴 스프링(50)을 브레이크 패드(10,11)의 패드 플레이트(12)배면에 즉, 패드 플레이트(12)의 마찰재(13) 반대쪽 면에 부착시키는 부분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패드 플레이트(12) 배면에 밀착되는 부착단(55)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57)에 결합되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15)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12)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탄지편(53)은 캐리어(20)의 내외측 벽면에 대해 리턴 스프링(5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서, 부착편(51)에서 두 차례에 걸쳐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일차로 부착편(51) 측변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편(59)을 통해서 부착편(51)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편(59)의 끝부분 하변에서 굴절부(60)를 통해 절곡되어 예컨대, 수직선에 대해 30°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 부착편(51), 연결편(59), 탄지편(53) 등은 탄력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일정 길이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연결편(59)과 탄지편(53)을 연결하는 굴절부(60)는 종단면 S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탄지편(53)의 탄성력을 더욱 높이도록 되어 있으며, 캐리어(20)의 내외측 벽면에 맞닿는 탄지편(53)의 끝부분은 탄지편(53)이 가압될 때 끝부분의 모서리가 내외측 벽면에 찍히거나 걸리지 않도록 둥글게 말려 올려져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은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마모감지 센서(17)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5) 등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12) 배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감지 센서(17)와 관계 없이 브레이크(1)의 축선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좌우 대칭형의 리턴 스프링(50,70)이 브레이크 패드(10) 배면 좌우측변 중앙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브레이크(1)의 중점에 대해서도 선대칭을 이루도록 내외측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 좌우측에 동시에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물론 어느 한 쪽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10,11)의 배면에 마모감지 센서(17)와 리턴 스프링(50)을 설치하기 위해 브레이크 패드(10,11)의 패드 플레이트(12) 배면에는 패드가 내측 또는 외측 어느 쪽에 배치되더라도 일정한 위치에 즉, 도 4 또는 도 6의 우측 상단에 마모감지 센서(17)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측변 모두의 중앙에 마모감지 센서(17)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19)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고정돌기(19)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돌기(19)에 끼워지는 리턴 스프링(50)과 마모감지 센서(17)의 두께와, 체결수단(15)이 되도록 리벳팅될 여유 길이를 감안하여 마모감지 센서(17) 두께의 2배 이상 충분히 길게 돌출되어 있다(S01).
이렇게 해서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돌기(19)를 구비한 브레이크 패드(10,11)와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 및 마모감지 센서(17)가 준비되면, 먼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50)의 탄지편(53)이 패드(10,11)의 측면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드(10,11)의 고정돌기(19)에 리턴 스프링(50) 부착편(51) 부착단(55)의 고정공(57)을 끼운다(S02).
그리고 나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50)의 고정공(57)이 끼워져 있는 고정돌기(19) 위에 마모감지 센서(17)를 끼운다(S03).
고정돌기(19)에 리턴 스프링(50)과 마모감지 센서(17)가 차례로 끼워진 다음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감지 센서(17)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19) 상단부분을 리벳팅하여 이 때 발생되는 체결수단(15)에 의해 리턴 스프링(50)과 마모감지 센서(17)를 패드 플레이트(12) 배면에 확실히 고정하게 된다(S04).
이 때, 당연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감지 센서(17)가 설치되지 않는 고정돌기(19)에는 마모감지 센서(17) 끼움단계(S03)가 생략되며, 따라서 고정돌기(19)에 리턴 스프링(50)이 끼워진 다음에 곧바로 고정돌기(19) 돌출부분을 리벳팅하여 체결수단(15)에 의해 리턴 스프링(50) 만을 패드 플레이트(12) 배면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리턴 스프링(50)은 평면도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좌형 리턴 스프링(50)과 좌측에 위치하는 우형 리턴 스프링(70) 2개의 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캘리퍼 브레이크(1)의 축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좌형 리턴 스프링(50)은 도 10a에, 우형 리턴 스프링(7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 형상을 가지고 있는 바, 전체적으로 한 변이 짧은 ㄷ자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각각의 절첩선(63,64,65)(83,84,85)을 따라 절곡되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절첩선(63,83)은 부착편(51,71)과 연결편(59,79) 사이의 경계를, 절첩선(64,84)은 연결편(59,79)과 탄지편(53,73) 사이의 경계를, 그리고 절첩선(65,85)은 부착편(51,71)과 부착단(55,75) 사이의 경계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좌형 리턴 스프링(5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편(51)의 좌변 상측에서 절첩선(63)을 경계로 연결편(59)이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편(59)은 다시 하변 좌측의 절첩선(64)을 경계로 하여 직각 방향으로 탄지편(53)과 연결되어 있고, 부착편(51)의 끝부분에는 리턴 스프링(50)을 고정공(57)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고정하는 부착단(55)이 절첩선(65)을 경계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형 리턴 스프링(70)은 부착편(71)의 우변 상측에서 절첩선(83)을 경계로 연결편(79)이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편(79)은 하변 우측의 절첩선(84)을 경계로 탄지편(73)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편(71)의 끝부분에는 우형 리턴 스프링(70)을 고정공(77)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고정하는 부착단(75)이 절첩선(85)을 경계로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개된 상태로 리턴 스프링(50,70)을 제작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9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금형(90)은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기다란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좌형 리턴 스프링(50)과 우형 리턴 스프링(70)을 금형(90) 하나로 제작할 수 있도록 금형 상면에는 도 10a,b에 도시된 좌우형 리턴 스프링(50,70)과 동일한 형태의 요형부(95,95',97,97')를 가공한다. 이 때, 금형(90)의 가용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요형부(95,95',97,97')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컴팩트하게 배열되는 바, 좌형 리턴 스프링(50)의 요형부(95)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형 리턴 스프링(50)이 상하로 쌍(250)을 이루어 마주보면서 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되도록, 우형 리턴 스프링(70)의 요형부(97)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형 리턴 스프링(70)이 상하로 쌍(270)을 이루면서 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아울러, 좌우 리턴 스프링(50,70)의 상하 쌍(250,270)이 횡방향으로 번갈아 반복하여 배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금형(90)에 의해 좌우형 리턴 스프링(50,70)이 도 10a,b에 도시된 것처럼 성형되면, 각각 절첩선(63,64)(83,84)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하고, 절첩선(65,85)을 따라 수직선에 대해 30° 전후의 각도로 절곡한 뒤, 절첩선(65,85)에 인접한 탄지편(53,73) 부분을 단면 S자 모양으로 말아 접으면 굴절부(60)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끝으로 탄지부(53,73)의 끝부분을 원호 모양으로 말아 올리면 좌우형 리턴 스프링(50,7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의 작용을 아래에 설명한다.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의 브레이크 오일이 캘리퍼 브레이크(1) 실린더(40)의 휠 실린더로 주입되면 피스톤(30)이 전진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브레이크 패드(10)를 가압하여 디스크에 밀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안쪽으로 이동하는 실린더(30) 하부의 포크부에 의해 바깥쪽 브레이크 패드(11)도 디스크 외면에 밀착되어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정지 또는 감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브레이크 패드(10,11)가 이동함에 따라 일단이 캐리어(20)의 내외측 벽면에 걸려 있고, 타단은 이 내외측 벽면에서 점차 멀어지는 패드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는 리턴 스프링(50)은 점차 벌어져 변형되면서 내부에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그러다가 제동압이 사라지면 각 브레이크 패드(10,11)는 다시 자유상태가 되고, 따라서 원래의 형태로 펴지는 리턴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동 전 위치로 신속히 복귀하면서 디스크와의 접촉이 신속하게 해제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캘리퍼 브레이크용 리턴 스프링에 따르면,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캘리퍼 브레이크의 제동압이 제거된 때 캘리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접촉을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패드와 디스크의 미분리로 인한 소위 드래그 현상 및 드래그로 인한 소위 저더(judder)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제동성능의 향상 및 제동소음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리턴 스프링의 형상을 2단 절곡된 ㄷ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리턴 스프링과 주위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해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모감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해 이미 패드 플레이트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를 브레이크 패드의 배면에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는 수단으로 공용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리턴 스프링을 브레이크 패드에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리턴 스프링의 조립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브레이크 패드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캘리퍼 브레이크의 부분 절결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 리턴장치의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이 적용된 캘리퍼 브레이크의 부분 절결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캘리퍼 브레이크 캐리어의 횡단 평면도.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단계를 나타낸 평면도로, 도 9a는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 및 마모감지 센서 준비단계를, 도 9b는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 끼움단계를, 도 9c는 마모감지 센서 끼움단계를, 도 9d는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과 마모감지 센서의 리벳팅 단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좌형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전개도.
도 10b는 우형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전개도.
도 11은 좌우형 리턴 스프링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캘리퍼 브레이크 10,11 : 브레이크 패드
15 : 체결수단 17 : 마모감지 센서
20 : 캐리어 30 : 피스톤
40 : 지지단 50 : 리턴 스프링
51,71 : 부착편 53,73 : 탄지편
59,79 : 연결편 60 : 굴절부
90 : 금형 95,95',97,97' : 요형부
250,270 : 좌우형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상하 쌍

Claims (4)

  1. 브레이크 패드(10,11)가 내장된 캐리어(20)와, 제동 유압에 의해 피스톤(30)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캐리어(20)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실린더(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의 패드 플레이트(12) 배면 좌우측변 중앙에 마모감지 센서(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9)를,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워지는 상기 마모감지 센서(17)의 두께보다 2배 이상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S01);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의 부착편(51) 부착단(55)에 고정공(57)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57)을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우는 단계(S02);
    상기 리턴 스프링(50)이 끼워진 상기 고정돌기(19)를 리벳팅하여 발생된 체결수단(15)에 의해 상기 리턴 스프링(50)을 상기 패드 플레이트(12)의 배면에 고정하는 단계(S0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 끼움단계(S02)가 종료된 다음, 상기 리턴 스프링(50) 고정단계(S03)에서 상기 고정돌기(19)를 리벳팅하기 전에 상기 고정돌기(19) 위에 마모감지 센서(17)를 끼우는 단계(S03)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3. 브레이크 패드(10,11)가 내장된 캐리어(20)와, 제동 유압에 의해 피스톤(30)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캐리어(20)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실린더(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대향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 배면에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는 캘리퍼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10,11)의 패드 플레이트(12) 배면 좌우측변 중앙에 마모감지 센서(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9)를,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워지는 상기 마모감지 센서(17)의 두께보다 2배 이상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S01);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50)의 부착편(51) 부착단(55)에 고정공(57)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57)을 상기 고정돌기(19)에 끼우는 단계(S02);
    상기 리턴 스프링(50)의 고정공(57)이 끼워진 상기 고정돌기(19) 위에 마모감지 센서(17)를 끼우는 단계(S03);
    상기 리턴 스프링(50)과 상기 마모감지 센서(17)가 끼워진 상기 고정돌기(19)를 리벳팅한 체결수단(15)에 의해 상기 리턴 스프링(50)과 상기 마모감지 센서(17)를 상기 패드 플레이트(12)의 배면에 고정하는 단계(S0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50)은 상기 내외측 브레이크 패드(10,11) 어느 한 쪽의 또는 양쪽 모두의 배면 좌우측변에 상기 브레이크(1)의 축선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KR1020030089801A 2003-12-10 2003-12-10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KR20050056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01A KR20050056746A (ko) 2003-12-10 2003-12-10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01A KR20050056746A (ko) 2003-12-10 2003-12-10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746A true KR20050056746A (ko) 2005-06-16

Family

ID=3725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801A KR20050056746A (ko) 2003-12-10 2003-12-10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7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041A (ko) 2013-05-29 2016-02-0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KR20160130211A (ko) 2014-03-07 2016-11-10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041A (ko) 2013-05-29 2016-02-0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KR20160130211A (ko) 2014-03-07 2016-11-10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7871Y2 (ko)
JP2010236619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GB2111618A (en) Disc brake pad assemblies
US8746418B2 (en) Disc brake
JP4881864B2 (ja) 小形のキャリア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0104764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50056746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JP3729583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50056745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
KR20050056747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제작방법
JP3789236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H0543299Y2 (ko)
KR10077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88Y1 (ko) 디스크 브레이크_
JPS6231696Y2 (ko)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CN216691951U (zh) 低拖滞制动钳
CN218063168U (zh) 车辆及其制动卡钳组件
CN220060326U (zh) 用于车辆的制动钳组件及具有其的车辆
JPS6020841Y2 (ja) デイスクブレ−キのパツドスプリング
JPS5923871Y2 (ja) デイスクブレ−キ
JP2542331Y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キの摩擦パッドとシム板の組付け構造
KR100466133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브레이크패드 복귀구조
JPS6344976B2 (ko)
JPH0320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