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988Y1 - 디스크 브레이크_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88Y1
KR200281988Y1 KR2019980022111U KR19980022111U KR200281988Y1 KR 200281988 Y1 KR200281988 Y1 KR 200281988Y1 KR 2019980022111 U KR2019980022111 U KR 2019980022111U KR 19980022111 U KR19980022111 U KR 19980022111U KR 200281988 Y1 KR200281988 Y1 KR 200281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plate
spring
p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988U (ko
Inventor
창 복 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22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8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88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플레이트의 원활한 복원과 진동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능과 진동방지성능을 가지는 패드 스프링이 패드 플레이트 지지턱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이 고정면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두 개의 탄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지면에는 고무재 등으로 마련된 연질의 탄성부재가 코팅되었다. 따라서, 상기 탄지면의 탄성력에 의해 뛰어난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우수한 진동방지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그 구성이 크게 단순화됨으로써 패드 스프링의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플레이트의 원활한 복원과 진동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의 양측면에 마찰패드를 강제로 밀착시킴으로써, 이 마찰력을 통해 차량을 제동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캘리퍼 하우징(10)의 일측에 실린더부(11)가 형성되고, 이 실린더부(11)에는 유압에 의해 마찰패드를 밀어주는 피스톤(12)이 설치된다. 그리고, 피스톤(12)이 설치된 맞은편 쪽으로 한쌍의 패드 플레이트(21,22)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그중 하나의 패드 플레이트(21)는 피스톤(12)에 인접되고, 다른 하나는 맞은편 지지부(13)에 인접되게 된다.
또한, 캘리퍼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21,22)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지지해주는 캐리어(30)가 설치되는데, 이 캐리어(30)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이 된다.
또한, 캐리어(30)의 양측에는 패드 플레이트(21,22)의 양단부을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31)이 형성되고, 패드플레이트(21,22)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홈(31)에 끼워지는 지지턱(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홈(31)과 지지턱(24) 사이에는 패드 플레이트(21,22)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차량의 진동시 패드 플레이트(21,22)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패드 지지스프링(25)이 설치된다.
그리고, 패드 플레이트(21,22)의 상단부에는 브레이크 동작이 완료된 후에 패드 플레이트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패드 리턴스프링(26)과, 이 패드 리턴 스프링이 지지되는 지지봉(27)이 설치된다.
즉,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플레이트(21,22)는 캐리어의 지지홈(31)에 설치되는 패드 지지스프링(25)과, 패드 플레이트(21,2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패드 리턴스프링(26) 및 지지봉(27)이 구비됨으로써, 패드 플레이트의 진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원활한 복귀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은 지지홈(31)에 설치되는 지지스프링(25)과, 패드 플레이트(21,22)의 상단부에 설치된 리턴스프링(26) 및 지지봉(27)이 별도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지지스프링(25) 및 리턴스프링(26)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어렵고, 스프링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방지 효과 및 패드 플레이트의 복원성이 유지되면서도 스프링의 제작 및 설치가 크게 단순해지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디스크, 51,52: 패드 플레이트,
53: 지지턱, 60: 캘리퍼 하우징,
61: 실린더부, 62: 피스톤,
63: 지지부, 70: 캐리어,
71: 지지홈, 80: 패드 스프링,
81: 고정면, 82: 탄지면,
84: 탄성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밀착되어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일면에 마찰패드가 부착되고 그 양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한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그 양측에 상기 지지턱이 끼워지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그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동압의 해지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패드 스프링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마찰패드가 부착되는 쪽의 상기 지지턱의 전면에 고정이 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상·하측 양단부에서 상기 지지턱의 상면과 하면을 덮도록 패드 플레이트의 후면 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지지홈의 내면에 지지되는 탄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40)가 구비되고, 이 디스크(40)의 양측에는 디스크의 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일면에 마찰패드(51a,52a)가 부착된 한쌍의 패드 플레이트(51,52)가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패드 플레이트(51,52)의 상부에는 두 패드 플레이트(51,52)를 디스크(40) 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일측에 가압 피스톤(62)이 설치된 실린더부(6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절곡된 지지부(63)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6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드 플레이트(51,52)는 내측 패드 플레이트(51)와 외측 패드 플레이트(52)로 구별되며, 내측 패드 플레이트(51)가 상기 피스톤(62)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외측 패드 플레이트(52)가 맞은편 지지부(63)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캘리퍼 하우징(60)의 하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51,5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안내해주는 캐리어(70)가 설치된다. 이때, 캐리어(70)는 그 일측이 차량의 차체에 고정이 되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60)은 이 케리어(70)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켈리퍼 하우징(60)은 캐리어(70)에 결합된 채 미끄럼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70)의 양측에는 패드 플레이트(51,52)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홈(71)이 형성되고, 패드 플레이트(51,52)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홈(71)에 끼워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턱(53)이 마련된다. 따라서, 피스톤(62)의 운동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51,52)가 가압되게 되면, 패드 플레이트는 지지턱(53)이 지지홈(71)에 안내되면서 디스크(40)의 전후 방향으로 진퇴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지지턱(53)에는 차량의 진동에 따른 패드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압이 해지될 때 패드 플레이트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패드 스프링(80)이 설치된다.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스프링(80)은 탄성을 가진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패드 플레이트(51) 양단부의 지지턱(53)에 고정이 된다. 여기에서 패드 플레이트 및 패드 스프링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내측 패드 플레이트(5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패드 플레이트(51)의 마찰패드(51a)가 부착되는 쪽의 지지턱(53) 전면에 고정이 되는 고정면(81)과, 이 고정면의 상·하측 양단부에서 지지턱(53)의 상면과 하면을 덮도록 패드 플레이트(51)의 후면 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두 개의 탄지면(8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면(81)은 지지턱(53)의 전면에 리벳(83) 등을 통해 고정이 되게 되고, 지지턱(53)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두 개의 탄지면(82)은 지지턱(53)의 상·하면에서 약간 들뜬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패드 스프링(80)이 캐리어의 지지홈(71)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홈(71)의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패드 플레이트(51)에 제동압이 제거될 때, 패드 플레이트(51)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스프링(80)이 설치된 지지턱(53)이 지지홈(71)으로 진입되면, 패드 스프링(80)의 탄지면(82)이 팽창하려 하기 때문에 패드 플레이트(51)는 후방으로 후퇴하려는 성질을 띄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턱(53)의 상·하면과 접하는 상기 탄지면(82)의 내면에는 패드 스프링(80)이 상기 캐리어(70)의 지지홈(71)에 끼워진 상태에서 진동이 될 때, 이 진동을 흡수하여 패드 플레이트(51)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 등으로 마련된 연질의 탄성부재(84)가 코팅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의 브레이크 패달을 밟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서 제동유압이 생성되게 되고, 이 제동유압은 캘리퍼 하우징(60)의 실린더(61)의 내측으로 전달되어 피스톤(62)이 디스크(40) 쪽으로 전진하면서 내측 패드 플레이트(51)를 밀어주게 되어, 내측 패드 플레이트(51)의 마찰패드(51a)가 디스크(40)에 밀착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61)와 일체로 형성된 캘리퍼 하우징(60)은 상대적으로 피스톤(62)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지부(63)에 지지된 외측 패드 플레이트(52)를 디스크 (40)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패달을 놓아 제동유압이 해지되게 되면, 내측과 외측의 패드 플레이트(51,52)는 지지턱(53)에 고정된 패드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게 되어 마찰패드(51a,52a)와 디스크(40)의 사이가 이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캐리어의 지지홈(71)에 지지되는 탄지면(82)이 외측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동유압이 제거되는 순간 탄지면(82)과 지지홈(71) 내면사이의 미끌림이 발생되면서 패드 플레이트(51,52)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패드 플레이트(51,52)의 복귀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패드 스프링(80)의 탄지면(82)에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84)가 코팅됨으로써, 차량의 진동이 발생될 때 탄성부재가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패드 스프링(80)은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그 구조가 크게 단순화되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능과 진동 방지성능 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이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능과 진동방지성능을 가지는 패드 스프링이 패드 플레이트 지지턱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이 고정면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두 개의 탄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지면에는 고무재 등으로 마련된 연질의 탄성부재가 코팅되었다. 따라서, 상기 탄지면의 탄성력에 의해 뛰어난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우수한 진동방지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그 구성이 크게 단순화됨으로써 패드 스프링의 제작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40)와, 상기 디스크에 밀착되어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일면에 마찰패드(51a,52a)가 부착되고 그 양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턱(53)이 형성된 한쌍의 패드 플레이트(51,52)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그 양측에 상기 지지턱(53)이 끼워지는 지지홈(71)이 형성되며 그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70)와, 상기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동압의 해지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패드 스프링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상기 마찰패드(51a,52a)가 부착되는 쪽의 상기 지지턱(53)의 전면에 고정이 되는 고정면(81)과, 상기 고정면의 상·하측 양단부에서 상기 지지턱(53)의 상면과 하면을 덮도록 패드 플레이트(51,52)의 후면 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지지홈(71)의 내면에 지지되는 탄지면(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탄성력을 가진 판재가 "ㄷ"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53)의 상·하면과 접하는 상기 탄지면(82)의 내면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51,52)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부재(84)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2019980022111U 1998-11-13 1998-11-13 디스크 브레이크_ KR200281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11U KR200281988Y1 (ko) 1998-11-13 1998-11-13 디스크 브레이크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11U KR200281988Y1 (ko) 1998-11-13 1998-11-13 디스크 브레이크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988U KR20000009988U (ko) 2000-06-15
KR200281988Y1 true KR200281988Y1 (ko) 2002-09-19

Family

ID=6951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111U KR200281988Y1 (ko) 1998-11-13 1998-11-13 디스크 브레이크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20B1 (ko) * 2015-03-20 2016-06-13 주식회사 만도 캘리퍼 브레이크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52B1 (ko) * 2009-11-30 2013-10-11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20B1 (ko) * 2015-03-20 2016-06-13 주식회사 만도 캘리퍼 브레이크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988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88Y1 (ko) 디스크 브레이크_
KR101294666B1 (ko) 디스크브레이크
KR10077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59082A (ko) 모노블럭 캘리퍼 브레이크
KR10050251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심
KR1007608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0847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2111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209799B1 (ko) 디스크브레이크용 패드스프링 및 이를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KR1007710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50056746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의 조립방법
KR10076018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948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94014B1 (ko) 차량용 디스크블레이크의 패드리턴스프링
KR19990000422U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70045033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080012466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S5846270Y2 (ja) デイスクブレ−キ
KR20060064843A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 리턴장치
KR2011012513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4006630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40071881A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