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875A - 차량 도어 닫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닫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875A
KR20140138875A KR1020147028182A KR20147028182A KR20140138875A KR 20140138875 A KR20140138875 A KR 20140138875A KR 1020147028182 A KR1020147028182 A KR 1020147028182A KR 20147028182 A KR20147028182 A KR 20147028182A KR 20140138875 A KR20140138875 A KR 2014013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vehicle door
child protection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테오도르 멘케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05B77/287Prevention or overriding of a super-lock condition, e.g. for preventing being trapped in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3, 4) 그리고 대응하는 센서를 갖는 어린이 보호 요소(14)를 포함한 차량 도어 닫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위치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구동부(3, 4)는 작동 또는 정지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의 위치는 센서(15)를 이용함으로써 요청된다. 작동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스위치(17)에 의하여 비상 작동시에 정지될 수 있으며 록킹 메커니즘은 전기 구동부(3, 4)에 의하여 열릴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닫힘 장치{Motor vehicle door closure}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 그리고 대응하는 센서를 갖는 어린이 보호 요소(child-restraint element)를 포함하여 센서에 의하여 결정된 어린이 보호 요소의 위치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가 작동 가능할 수 있거나 정지 가능할 수 있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door closure)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 닫힘 장치의 전기적 열림은 EP 1 225 290 B1에 개시된 예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외부 작동 레버 및/또는 내부 작동 레버와 같은 핸들은 록킹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수동이 아닌- 모터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핸들에 의하여 트리거된 센서는 전기 구동부가 동력을 공급받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작동력을 줄이며,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의 안전하고 확실한 열림이 보장된다.
종전과 같이, 록킹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로터리 래치 그리고 로터리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포올을 포함한다. 전기 구동부는 전형적으로 포올을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려 스프링의 도움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다. 이전에 유지된 록킹 핀은 이제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관련된 차량 도어는 열릴 수 있다.
전기적 열림 동안에 위에서 언급된 정상적인 작동을 제외하고, 록킹 메커니즘의 비상 열림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소위 비상 작동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EP 1 320 652 B1는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제어 가능한 중간 레버를 설명한다. 비상 열림 또는 비상 작동 동안, 중간 레버는 외부 작동 레버에 의하여 작동하는 트리거 레버를 관통 저널에 의하여 포올과 결합시킨다. 그 결과, 비상 열림 또는 비상 작동이 일어난 경우에는 외부 작동 레버는 포올을 기계적으로 직접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그리고 DE 102 59 972 B4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차량 도어 닫힘 장치에서, 차량 도어 록 닫힘 시스템이 개시되며, 이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 요소로서 기계적인 어린이 보호 레버를 포함한다. 어린이 보호 레버는 기계적인 전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안전 요소에 배치된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핸들 또는 전기적 내부 작동 수단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한다. 그 결과, 공지된 어린이 보호 장치는 전기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어린이 보호 스위치가 제공되며, 이 내부 어린이 보호 스위치의 도움으로 내부 도어 핸들 그리고 그에 따라 내부 도어 핸들 스위치는 때로는 정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린이 보호 장치가 작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또는 어른은 스스로 차량을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이 경우에 차량의 운전자가 실질적으로 차량을 벗어나기로 결정한다면 전기적 내부 작동이 단지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그리고 특히 사고 동안 및 사고 후에 기능적인 신뢰도가 증가되고 선행 기술의 해결책의 비용 절약적으로 간략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러한 차량 도어 닫힘 장치의 다른 개발의 기술적인 문제에 기초한다.
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닫힘 장치는 비상 작동 동안에, 작동하는 어린이 보호 요소를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작동 위치에서, 어린이 보호 요소는 평상시처럼 관련된 내부 작동 레버가 더 이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즉, 어린이 보호 요소가 작동한다면 탑승자는 차량 내에서 각 차량 도어를 열 수 없다. 반대로, 차량 도어 상의 외부 작동 레버에 의한 열림 작동이 아직 가능하며, 이는 평상시의 어린이 보호 기능에 대응한다.
비상 작동의 경우에 또는 비상 열림이 요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은 작동된 어린이 보호 요소가 이러한 비상 작동 동안에 정지 기능으로 순수하게 전기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어린이 보호 요소가 작동 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비상 작동 동안에 차량 탑승자는 각 차량 도어를 열 수 있으며 따라서 탈출할 수 있다. 위의 기능은 이러한 경우에 어린이 보호 장치가 구비된 후방 도어를 통하여 차량을 떠나고 싶어하는 또는 차량을 떠나야만 하는 앞좌석 탑승자에게도 적용된다.
전자 부품의 고장의 경우에 비상 작동의 부분으로써 각 차량 도어 닫힘 장치가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전체 설계가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스위치 또는 일반적인 센서가 어린이 보호 요소에 배치된다. 이 스위치 또는 센서의 도움으로 어린이 보호 장치는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스위치는 유리하게는 차량 내의 대시보드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대시보드 스위치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이 스위치 또는 대시보드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하여 작동될 때, 이전에 작동된 어린이 보호 요소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어린이 보호 장치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었을지라도 어른이 내부로부터 후방 도어를 열 수 있다는 옵션을 제공한다. 이는 도어 록을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될 록킹 및 언록킹 스위치에게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유니트가 제공되며, 이 제어 유니트의 도움으로 각각의 어린이 보호 요소는 차량 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정지된다. 또한, 제어 유니트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에 속하는 하나의 스위치 또는 대응 스위치가 평가되는 것 그리고 각 차량 도어 록이 그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유니트가 어린이 보호 요소에 대하여 각 차량 도어가 명확하게 그리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작동 그리고 정지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스위치에 의하여 또는 메뉴 제어에 의하여 이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개별적인 또는 모든 어린이 보호 요소를 정지시키는 옵션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필요할 때에 제한 없이 탑승자가 차량을 떠나는 것을 허용한다.
설계시 고려 사항에서, 어린이 보호 요소는 팔로워에 의하여 커플링 레버와 협력하도록 장치는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레버는 팔로워가 록킹 레버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커플링 레버는 또한 작동 레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만일 어린이 보호 요소가 정지 위치에 있다면, 팔로워와 커플링 레버는 록킹 레버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는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기능이다. 이는 정지된 어린이 보호 장치가 록킹 레버가 그의 "언록킹" 위치뿐만 아니라 "록킹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만일 어린이 보호 요소가 활동적인(active) 또는 작동된 위치에 있다면, 팔로워와 커플링 레버는 록킹 레버가 그의 "록킹" 위치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정지"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어린이 보호 요소의 이전은 그래도 커플링 레버가 이미 그의 "언록킹" 위치에 있다면 커플링 레버가 그의 "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는 작동 레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레버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커플링 레버는 작동 레버가 트리거 레버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거나 작동 레버가 각 트리거 레버에 관하여 아이들 스트로크를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작동 레버는 전형적으로 내부 작동 레버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작동 레버 또는 내부 작동 레버와 트리거 레버는 동일 축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이 시점에서, 보통 록 케이스 내에 또는 일반적으로 록 하우징 내에 고정된 회전 축 상에 작동 레버와 트리거 레버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레버는 그 양 종단 상의 2개의 작동 저널을 포함한다. 작동 저널은 록킹 저널로서 설계될 수 있다. 록킹 저널은 팔로워 상의 요부를 통하여 그리고 또한 록킹 레버 또는 록킹 레버 내에 제공된 요부를 통하여 연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작동 저널은 트리거 저널로서 설계된다. 트리거 저널은 작동 레버 내의 요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커플링 레버의 결합 위치에서 트리거 레버의 에지 또는 연장 아암과 협력한다. 커플링 레버의 이 결합 위치에서, 작동 레버의 작동은 동일 축 상에 장착된 트리거 레버가 이 운동을 뒤따르는 것 또는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커플링 레버가 결합될 때 트리거 레버의 도움으로 포올은 로터리 래치로부터 기계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레버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린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해결책에서, 전기적 정지 동안에 어린이 보호 장치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유지한다. 이는 단순히 언록킹 후에도 차량 도어 록을 열기 위하여 전기적 내부 작동이 일시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록킹된 그리고 어린이 보호 정지" 위치에서의 차량 도어 닫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록킹된 그리고 어린이 보호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에 따른 차량 도어 닫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반적인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상세하기 도시되지 않은- 로터리 래치 및 포올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1)가 그 관련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트리거 레버(1)는 이 포올에 작용하여 포올을 열 수 있다. 축(2)을 중심으로 하는 트리거 레버(1)의 이러한 시계 방향 운동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포올과 대응한다. 여기서, 포올은 로터리 래치와의 결합으로부터 떨어져 선회하며 따라서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릴 수 있다. 이전에 유지된 록킹 볼트는 해제되며 그리고 각 차량 도어는 열릴 수 있다.
트리거 레버(1)의 설명된 열림 운동은 기계적일 수도 있고 모터 구동 방식일 수 있다. 트리거 레버(1)의 전동 열림은 명확함의 목적을 위하여 도 1에서만 지시되고 그리고 주로 전기 모터(3) 및 전기 모터(3)에 의하여 구동하는 종동 풀리(4)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부(3, 4)에 의하여 제공된다. 만일, 도 1의 예에서 종동 풀리(4)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종동 풀리(4) 상에 제공된 그러나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열림 윤곽부(opening contour)는 트리거 레버에 작용할 수 있고, 이 작용의 결과 트리거 레버는 축(2)을 중심으로 지시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포올을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린다.
대안적으로, 트리거 레버(1)는 또한 작동 레버(5)의 도움으로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비록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을지라도, 작동 레버(5)는 예에서의 내부 작동 레버(5)이다. 작동 레버(5)와 트리거 레버(1)는 동일 축 상에 배치되며 따라서 공통 축(2)을 갖는다.
커플링 레버(6)는 작동 레버(5)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플링 레버(6)는 작동 레버(5)를 향하는 한 종단 상에 -단지 지시된- 작동 저널(7)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 작동 저널은 트리거 저널(7)이다. 트리거 저널(7)은 작동 레버 또는 내부 작동 레버(5) 내의 요부(8)를 통하여 연장되며, 또한 커플링 레버(6)의 결합된 위치에서 트리거 레버(1)의 에지 또는 연장 아암과 협력할 수 있다.
만일, 커플링 레버(6)가 작동 레버(5) 내의 요부(8)에 관하여 -도 1 내에서 파선/점선에 의하여 단지 지시된- 오른쪽 종단 위치에 있다면 ("결합" 위치), 작동 레버 또는 내부 작동 레버(5)가 트리거 레버(1)와 공유된 그 축(2)을 중심으로 선회하자마자 트리거 저널(7)은 트리거 레버(1)와 함께 커플링 레버(6)에 작용한다. 이는 내부 도어 핸들(20) 또는 내부 도어 핸들(20)에 작용하는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커플링 레버(6)의 "결합" 위치에서, 작동 레버 또는 내부 작동 레버(5), 트리거 레버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 사이에 연속적인 기계적 연결이 제공되어 작용된 내부 도어 핸들(20)이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다. 커플링 레버(6)의 "결합" 위치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록킹 레버(10)의 "언록킹" 위치(ER)는 이 위치에 대응한다. 이 기능적인 위치에서, 이하에서 설명될 어린이 보호 장치는 분리되거나 정지된다.
예에서, 커플링 레버(6)는 2개의 작동 저널(7, 9)을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작동 저널(7)은 트리거 저널(7)이며 커플링 레버(6)의 "결합" 위치에서 작동하며,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5)와 트리거 레버(1) 간의 기계적 결합으로서 보호 장치는 결합 또는 분리되고 록킹 레버(10)의 "언록킹" 위치에 있다. 커플링 레버(6)의 종단에 제공된 다른 작동 저널(9)은 록킹 저널(9)이다. 록킹 저널(9)은 록킹 레버(10) 또는 이 지점에서 록킹 레버(10)에 제공된 요부(11)뿐만 아니라 팔로워(12)를 통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팔로워는 록킹 저널(9)을 수용하고 안내하는 요부(13)를 포함한다.
이미 지시된 바와 같이, 차랑 도어 닫힘 장치는 어린이 보호 장치 또는 어린이 보호 기능을 포함하며 따라서 차량 도어 닫힘 장치는 승용차 내의 후방 도어를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어린이 보호 장치는 어린이 보호 요소(14)를 포함한다. 어린이 보호 장치는 또한 어린이 보호 요소(14)에 배치된 센서(15)를 포함한다.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위치는 센서(15)와 함께 결정될 수 있다. 센서(15)는 제어 유니트(16)에 연결되어 필요할 때 전기 모터(3)에 작용하여 이미 설명된 전기적 열림을 시작한다. 더욱이, 스위치(17)가 제공되며, 이 경우에 스위치는 대시보드 스위치(17)일 수 있다. 이 스위치(17)의 신호는 또한 제어 유니트(16)에 의하여 처리된다. 스위치 또는 대시보드 스위치(17)는 차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록킹 및 언록킹 스위치(17)로서 설계된다.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일반적으로 2개의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분리 또는 정지" 위치에 있는 반면에, 도 2의 기능적 위치는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결합 또는 작동" 위치에 대응하며, 따라서 전체로서 어린이 보호 장치이다. 따라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작동 너트이며, 이 작동 너트는 일반적으로 스패너, 스크류드라이버 등의 도움으로 차량 도어 닫힘 장치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다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린이 보호 요소는 록 하우징 상의 디텐트 요부(18)와 협력하는, 성형된 캐치(14')를 포함한다.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위치가 각 센서(15)에 의하여 제어 유니트(16)로 전달되는 것에 따라, 제어 유니트는 전기 모터(3) 또는 전기 구동부(3)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작동하거나 정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만일, 어린이 보호 요소(14)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또는 정지" 위치에 있다면, 제어 유니트(16)가 센서(19)로부터 부가적인 신호를 받는 경우 록킹 메커니즘은 전기적으로 열릴 수 있다. 이 센서(19)는 내부 도어 핸들(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9)이다. 내부 도어 핸들(20)이 당겨지거나 또는 작동된다면, 센서(19)가 작동되며, 제어 유니트(16)는 결과적으로 이를 열림 요청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니트(16)가 (각 센서(15)를 점검함에 의하여) 어린이 보호 요소(14)가 "정지"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결정한다면, 내부로부터의 도시된 차량 도어 닫힘 장치의 (전기적) 열림이 허용된다.
이는 어린이 보호 위치에서 또는 어린이 보호 요소(13)의 "정지" 위치에서 록킹 레버(10)가 "언록킹" 위치(ER) 그리고 "록킹" 위치(VR)를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지 록킹 레버(10)가 "언록킹" 위치(ER)로 이동되면, 커플링 레버(16)는 "결합" 위치에 있다, 이 경우에, 작동 레버(5)와 트리거 레버(1)는 맞물린다.
전기 구동부가 고장일 때, 예를 들어, 도 1의 기능적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작동 레버(5)의 소위 "이중 스트로크 작동(two-stroke activation)"이 요구된다. 이 이중 스트로크 작동을 이루기 위하여, 작동 레버(5)는 제 1 스트로크 동안, 즉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 동안에 록킹 레버(10)가 도 1의 "록킹" 위치(VR)에서 "언록킹" 위치(ER)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동시에, 커플링 레버(6)가 "결합"된다. 다음 스트로크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작동 레버(5)는 커플링 레버(6)의 도움으로 트리거 레버(1)에 작용할 수 있다.
어린이 보호 장치가 "작동"되고 따라서 어린이 보호 요소(14)가 "작동"될 때,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작동 레버(5)에 작용하는 것은 커플링 레버(6)가 기본적으로 도 2의 위치에 관하여 위로 이동하는 것 또는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록킹 저널(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보장하며 또한 어떠한 경우에는 트리거 레버(1)와 상호 작용할 수 없다는 보장한다. 이는 내부 도어 핸들(20)의 어떠한 작동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 오지 않거나 원하는 아이들 스트로크(idle stroke)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도어 닫힘 장치가 "록킹"되고 어린이 보호 장치는 적용된다. 어떠한 내부 작동은 결과적으로 성과가 없다.
만일 이 기능적 위치에서 스위치 또는 대시보드 스위치(17)가 작동되고 그리고 제어 유니트(16)가 어떤 신호를 수신한다면, 스위치가 유지되는 동안에 제어 유니트(16)는 록킹 메커니즘 그리고 어린이 보호 장치의 일시적인 정지를 언록킹한다. 이 경우, 어린이 보호 요소(14)에 배치된 센서(15)의 신호는 가교되거나(bridged) 무시된다. 이는 스위치(17)가 작동된 어린이 보호 장치(어린이 보호 장치 내에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 내에서 변하지 않고 있다)의 일시적인 전기적 정지를 야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도 3의 기능적 개요도 내에 도시된다.
어린이 보호 요소(14)가 작동될 때 2가지 옵션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기능적 위치에서 그리고 작동하는 센서(15)로 스위치 또는 대시보드 스위치(17)가 작동된다면, 이는, 도 3의 상부 시퀀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구동부(3, 4)가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 유니트(16)에 의하여 해석된다.
그러나, 부가적인 스위치(17)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작용하는 센서(15) 그리고 센서(15)를 스캔닝하는 제어 유니트(16)는 전기 구동부(3, 4)가 작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도 3의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Claims (14)

  1.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3, 4) 그리고 대응하는 센서(15)를 갖는 어린이 보호 요소(14)를 포함하며, 센서(15)에 의하여 감지된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위치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에 관하여 전기 구동부(3, 4)는 작동되거나 또는 정지될 수 있으며, 또한 비상 작동 동안에, 작동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스위치(17)에 의하여 정지될 수 있고 전기 구동부(3, 4)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은 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7)는 어린이 보호 요소(14)에 배치되며, 작동된 어린이 보호 장치의 일시적인 전기적 정지를 임의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치(17)는 차량 내의 대시보드 스위치(17)이며 동시에 록킹 및 언록킹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16)가 제공되며, 개별적인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제어 유니트의 도움으로 임의적으로 작동/정지되고 제어 유니트는 각 스위치(17)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전기 구동부(3, 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보호 요소(14)는 팔로워(12)에 의하여 커플링 레버(6)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커플링 레버(6)는 팔로워(12)를 록킹 레버(10)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커플링 레버(6)는 작동 레버(5) 상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팔로워(12)와 커플링 레버(6)는 어린이 보호 요소(14)의 정지 위치에서 록킹 레버(10)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어린이 보호 요소(14)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팔로워(12)와 커플링 레버(6)는 록킹 레버(10)를 그의 "록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5) 상의 커플링 레버(6)의 위치에 따라 커플링 레버(6)는 작동 레버(5)를 트리거 레버(1)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거나, 트리거 레버(1)에 관하여 작동 레버(5)의 아이들 스트로크(idle stroke)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5)와 트리거 레버(1)는 동일 축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레버(6)는 2개의 작동 저널(7, 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한 작동 저널(9)은 록킹 핀이며, 록킹 레버(10) 그리고 팔로워(12) 내의 요부(13)를 통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링 레버(6) 상의 다른 작동 저널(7)은 작동 레버(5) 내의 요부(8)를 통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닫힘 장치.
KR1020147028182A 2012-03-28 2013-03-16 차량 도어 닫힘 장치 KR20140138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03171.6 2012-03-28
DE201220003171 DE202012003171U1 (de) 2012-03-28 2012-03-28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CT/DE2013/000153 WO2013143522A2 (de) 2012-03-28 2013-03-16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875A true KR20140138875A (ko) 2014-12-04

Family

ID=4891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182A KR20140138875A (ko) 2012-03-28 2013-03-16 차량 도어 닫힘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34427B2 (ko)
EP (1) EP2831356B1 (ko)
JP (1) JP6255631B2 (ko)
KR (1) KR20140138875A (ko)
CN (1) CN104185712B (ko)
CA (1) CA2867379A1 (ko)
DE (1) DE202012003171U1 (ko)
IN (1) IN2014DN07001A (ko)
MX (1) MX2014011586A (ko)
RU (1) RU2014136068A (ko)
WO (1) WO201314352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199A (ko) * 2017-04-19 2019-12-23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록
KR20190141182A (ko) * 2017-04-19 2019-12-23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2592A1 (de) * 2013-07-30 2015-02-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20150059424A1 (en) * 2013-09-04 2015-03-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door
DE102013112122A1 (de) * 2013-11-04 2015-05-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5108738A1 (de)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5108739A1 (de) *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DE102015113359A1 (de) * 2015-08-13 2017-02-16 Kiekert Ag Elektroschloss mi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116283A1 (de) * 2015-09-25 2017-03-30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US10077583B2 (en) 2016-06-01 2018-09-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child locks for vehicles with power release door latches
US10619385B2 (en) * 2016-06-02 2020-04-14 Magna Closures Inc. Closure latch for a rear vehicle door having an emergency child lock release mechanism
DE102016112260A1 (de) 2016-07-05 2018-01-11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CN107620529B (zh) 2016-07-15 2020-12-15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CN107642287B (zh) 2016-07-20 2020-08-28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JP6627672B2 (ja) 2016-07-20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6010672A1 (de) * 2016-09-05 2018-03-08 Magna BÖCO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und Verfahren
JP6703271B2 (ja) * 2016-09-21 2020-06-03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627729B2 (ja) 2016-11-25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08179936B (zh) * 2016-12-08 2019-09-06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门锁
KR20180071434A (ko) * 2016-12-19 2018-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DE102017102815A1 (de) * 2017-02-13 2018-08-1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4527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
DE102017012025A1 (de) * 2017-12-22 2019-06-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anordnung mit Notbetätigungshebel
DE102018110700A1 (de) 2018-05-04 2019-11-07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DE102018113562A1 (de) 2018-06-07 2019-12-12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JP6627920B2 (ja) 2018-06-26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3613928B1 (en) * 2018-08-17 2021-06-09 Inteva Products, LLC Inside release spring for vehicle door
DE102019110334A1 (de) * 2019-01-14 2020-07-1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001951A1 (de) * 2019-03-20 2020-09-24 Daimler Ag Türschlosseinrichtung für die Fond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133654A1 (de) 2019-12-10 2021-06-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0102109A1 (de) 2020-01-29 2021-07-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22944A1 (de) 2021-09-06 2023-03-0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33115A1 (de) * 2021-12-14 2023-06-1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277A (ja) * 1984-02-17 1985-09-0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チヤイルドプル−フ機能を備える自動車用ドアロツクの制御装置
JPH0739785B2 (ja) * 1988-11-09 1995-05-0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CN1073194C (zh) * 1994-11-10 2001-10-17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车辆门锁装置中防儿童的闭锁机构
JPH08135274A (ja) * 1994-11-11 1996-05-28 Yazaki Corp ドアロック装置
DE19506440A1 (de) * 1995-02-24 1996-08-29 Kiekert Ag Zentralgesteuerte Verschluß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türen
JPH08338166A (ja) * 1995-06-13 1996-12-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スライド扉用ロック装置のチャイルドロック
GB2307506B (en) * 1995-11-24 1999-12-15 Rockwell Lvs Vehicle door lock actuator
DE19706898A1 (de) * 1996-03-13 1997-09-18 Kiekert Ag Kraftfahrzeug mit elektrischer Diebstahlsicherungsschutz-Anlage
GB9609842D0 (en) * 1996-05-10 1996-07-17 Lucas Ind Plc Vehicle door locking system
US5894906A (en) * 1996-11-08 1999-04-20 Weber; Harold J. Accident responsive safety release for a motor vehicle's rear door child-lock device
DE19650661B4 (de) * 1996-12-06 2007-03-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mit elektrischem Kraftfahrzeugtürschloss
US6081758A (en) * 1998-04-03 2000-06-27 Sony Corpor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automotive child safety door lock
FR2786519B1 (fr) * 1998-11-26 2001-01-19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portiere avant ou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E19916733A1 (de) * 1999-04-13 2000-10-19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anlage für Fahrzeuge
DE10016632A1 (de) * 2000-04-04 2001-10-18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mit elastisch auslenkbarem Kupplungselement
JP2002081243A (ja) * 2000-09-08 2002-03-22 Suzuki Motor Corp パワーウインドウ用チャイルドプルーフ装置
DE10048709A1 (de) 2000-09-30 2002-04-1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2002129807A (ja) * 2000-10-26 2002-05-09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6557911B2 (en) 2001-01-23 2003-05-06 Kiekert Ag Power-open motor-vehicle door latch
GB0121066D0 (en) * 2001-08-31 2001-10-2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latch arrangement
DE10259972B4 (de) 2002-12-20 2005-02-10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türschlossanlage und Kraftfahrzeugtürschloss
GB0309266D0 (en) * 2003-04-24 2003-06-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A lock mechanism
DE10336602A1 (de) * 2003-08-08 2005-03-03 Daimlerchrysler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heit
JP4342502B2 (ja) * 2004-11-17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ックチャイルドプロテクタ装置
GB2427434B (en) * 2005-06-23 2007-08-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Automotive childproof safety lock control apparatus
JP2007126842A (ja) * 2005-11-02 2007-05-24 Calsonic Kansei Corp チャイルドロックシステム
JP4503051B2 (ja) * 2007-07-23 2010-07-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JP4775345B2 (ja) * 2007-08-24 2011-09-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8746755B2 (en) * 2009-03-12 2014-06-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global latch system
JP5450021B2 (ja) * 2009-12-10 2014-03-2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US8789861B2 (en) * 2010-09-03 2014-07-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DE102011010797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2656A1 (de) *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1005608U1 (de) * 2011-04-27 2013-06-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2111288A1 (de) *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111298A1 (de) *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199A (ko) * 2017-04-19 2019-12-23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록
KR20190141182A (ko) * 2017-04-19 2019-12-23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6522A (ja) 2015-06-11
CA2867379A1 (en) 2013-10-03
WO2013143522A2 (de) 2013-10-03
RU2014136068A (ru) 2016-05-20
CN104185712B (zh) 2017-06-23
EP2831356A2 (de) 2015-02-04
US9534427B2 (en) 2017-01-03
WO2013143522A3 (de) 2014-03-20
JP6255631B2 (ja) 2018-01-10
DE202012003171U1 (de) 2013-07-01
US20150048632A1 (en) 2015-02-19
CN104185712A (zh) 2014-12-03
MX2014011586A (es) 2014-11-21
EP2831356B1 (de) 2018-09-26
IN2014DN07001A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875A (ko) 차량 도어 닫힘 장치
JP6213927B2 (ja) 自動車両ドアロック
US875768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8870288B2 (en)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JP6236678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10508476B2 (en) Electric vehicle door lock with increased operating reliability
KR102087878B1 (ko) 차량 도어 록
CN104937198A (zh) 机动车门锁
US1087632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20020000726A1 (en) Lock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US6648379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KR20140010123A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CN104937197A (zh) 机动车门锁
US1111837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door lock
KR20220005078A (ko) 자동차 도어 락
CN113574241A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20070079640A1 (en) Vehicle door latch
US20220364397A1 (en) Motor vehicle lock,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bonnet lock
CN116583653A (zh) 机动车锁、特别是机动车门锁
CN115874879A (zh) 机动车锁、特别是机动车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