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878B1 - 차량 도어 록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878B1
KR102087878B1 KR1020157012845A KR20157012845A KR102087878B1 KR 102087878 B1 KR102087878 B1 KR 102087878B1 KR 1020157012845 A KR1020157012845 A KR 1020157012845A KR 20157012845 A KR20157012845 A KR 20157012845A KR 102087878 B1 KR102087878 B1 KR 10208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ehicle door
door lock
open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067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바름샤이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7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개방 구동부(3, 4) 그리고 또한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을 갖춘 차량 도어 록이다. 조작자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더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적어도 "안전"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3, 4)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9, 10, 11)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의 중간 레버(7)를 준비하며,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중간 레버(7)는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변환하여 안전 장치(9, 10, 11)의 위치에 따라, 개방 구동부(3, 4)를 작동시키는 센서(8)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거나 작용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Motor 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열림 구동부, 작동 레버 메커니즘 그리고 조작자 열림 요청과 안정 장치를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적어도 "안전"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방지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의 열림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소위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 열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외부 작동 레버 및/또는 내부 작동 레버와 같은 핸들은 록킹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조작자 열림 요청의 경우에 조작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는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열림 구동부 또는 전기 구동부가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록킹 메커니즘은 모터에 의하여 열리나, 수동적인 조치에 의해서는 열리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는 트리거 레버를 선회시키는 열림 구동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각각이 록킹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인 포올을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린다.
용어 "전기적 개방"을 제외하고, 각 문헌은 또한 이 상황에서 "와이어에 의한 열림"을 참조한다 (2002년 4월 보시에 의하여 출판된 Kraftfahrtechnisches Taschenbuch 24판 896면 참조). 이러한 시스템의 상당한 이점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소위 "수동적인 진입(passive entry)"을 제공할 수 있는 선택이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매우 빠른 언록킹 작용 또는 소위 "앞지르기 해결책(overtaking solution)"을 필요로 한다. "앞지름 원리"는 앞선 언록킹 작용이 완전하게 종료되지 않았을지라도 개방 구동부가 록킹 메커니즘을 이미 개방했거나 또는 로터리 래치로부터 포올을 들어올린 과정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작자는 어떠한 대기 시간을 느끼지 않는다.
차량 도어 록 또는 전기적 개방을 위한 설명된 기능을 갖는 차량 도어 록을 위한 전형적인 예가 EP 1 320 652 B1에 개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정상 작동과 비상 작동 간에 차이가 있다. 전기 구동부는 정상 작동 중에 전기적 개방을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적어도 비상 작동 시에는 록킹 메커니즘이 기계적으로 열리는 것을 보장한다. 비상 작동은 전형적으로 비상 개방에 대응하며, 이 비상 작동은 차량 내의 전압 강하로 인하여 전기 구동부가 더 이상 확실하게 작동될 수 없거나 또는 전혀 작동되지 않을 때 요구되거나 요구될 수 있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그리고 비상 작동의 부분으로서, 록킹 메커니즘의 기계적인 작동 -비상 개방-은 그후 아직 가능하다.
일반적인 차량 도어 록이 DE 197 06 393 B4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선행 기술에서는 다른 제어 전자 부품과 신호 장치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외부 및 내부 도어 핸들 상에 중앙-제로 (centre-zero) 스위치가 제공된다. 또한, 안전 장치로서의 차일드 록 장치의 위치는 또한 차일드 록 스위치의 도움으로 감지된다. 차일드 록이 적용된다면, 내부 도어 핸들 상에서의 중앙-제로 스위치 또는 스위치의 작동은 개방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영향을 받은 센서는 개방 구동부를 트리거시키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DE 197 06 393 B4의 일반적인 기술은 복잡한 기능을 개시하며 그리고 따라서 안전 장치와 핸들(내부 및 외부 핸들)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는 공지된 차량 도어 록을 실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다수의 구성 요소를 초래한다. 또한 센서의 신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리고 개방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많은 센서가 하나 또는 다수의 제어 유니트에 연결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전형적으로 각 인쇄 도전체 배치를 포함하는 소위 부품 캐리어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많은 경우에, 이 인쇄 도전체 배치는 이 기술 내에서 설명된 이유로 복잡한 생산 및 설치를 필요로 하는 리드 프레임으로서 설계된다.
이는 센서를 제어 유니트에 또는 다른 유니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그리고 실제로 모든 요구되는 기능적 상태를 기계적으로 만들어 내기 위하여 DE 197 06 393 B4에 개시된 선행 기술의 복잡한 기능이 다수의 센서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정교한 인쇄 도전체 배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비교적 높은 제조 비용이다. 이것이 "수동적인 진입" 기능에 의하여 제공된 추가적인 수준의 편안함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실증될 수 있을지라도 자동차 분야에서의 비용 압박이 상당하며 따라서 더 비용 면에서 더욱 효과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술적인 그리고 구조적인 포인트로부터 생산하기 더 쉬운 방식으로 그리고 특히 선행 기술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설명된 구조의 차량 도어 록을 더 개발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록은 안전 장치의 설정에 따라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실행하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중간 레버가 선택적으로 개방 구동부에 작용하거나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특정 중간 레버를 이용한다. 이 중간 레버는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실행한다. 이는 개방될 때 예를 들어, 이 중간 레버가 핸들(내부 핸들 및/또는 외부 핸들)에 의하여 선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핸들을 규칙적으로 당김에 의한 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조작자가 조작자 개방 요청을 나타내자마자, 중간 레버를 기계적으로 결합함에 의하여 조작자 개방 요청은 기계적으로 실행된다. 그 결과, 중간 레버는 전형적으로 축(중간 레버는 하우징 또는 록 케이스 등 내에서 이 축 상에 장착됨)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운동을 수행한다.
중간 레버의 선회 운동은 개방 구동부를 트리거시키고 작동되는 센서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센서의 트리거는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개방 구동부를 트리거되게 한다. 개방 의미에서 개방 구동부가 작동하자마자, 예를 들어 트리거 레버는 개방 구동부의 도움으로 선회되며, 결과적으로 로터리 래치로부터 포올이 들어올려진다. 종전과 같이, 록킹 메커니즘은 전형적으로 로터리 래치와 포올을 포함하며, 록킹 메커니즘의 닫힘 상태에서 포올은 로터리 래치와 결합한다.
안전 장치가 그의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설명된 상황이 단지 일어나거나 또는 단지 실행된다. 한편, 안전 장치가 그의 "안전" 위치에 있다면, 위에서 설명된 초래된 결과로 조작자 개방 요청은 중간 레버의 설명된 선회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또한 개방 구동부가 결과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가동하지 않고 그리고 개방시키지 않기 위하여 개방 구동부를 트리거시키는 센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각각의 취해진 위치("해제된" 또는 "안전")를 갖는 안전 장치가 조작자 개방 요청이 중간 레버의 선회로 이어지거나 (즉, 안전 장치의 "해제된" 위치에) 또는 (안전 장치가 그의 "안전" 위치를 취할 때) 이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단일 센서만을 필요로 한다.
이는 -예를 들어 DE 197 06 393 B4에 개시된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안전 장치의 위치가 부가적인 센서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에, 안전 장치의 위치가 중간 레버가 센서에 작용하는지 작용하지 않는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조작자 개방 요청을 인식하고 그리고 중간 레버에 의하여 작용되는 센서가 본 발명의 단일 센서로서 충분하다.
다른 이점은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중간 레버가 내부 핸들 그리고 외부 핸들에 또는 양 핸들에 동시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DE 19706 393 B4에 개시된 위에서 언급된 선행 기술 내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내부 핸들과 외부 핸들을 위한 별개의 센서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각 핸들에 더하여 록킹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하여 중간 레버가 또한 모터에 의하여 작용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진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 록을 위한 원격 제어 또는 위에서 언급된 "수동적인 진입" 접근과 관련하여 이는 실행 가능하다.
양 상황에서, 예를 들어 원격 제어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차량에 접근함에 의하여 전달된 조작자 개방 요청은 설명된 바와 같이 선회되는 중간 레버에 의하여 실행된다. 중간 레버의 선회의 결과로서, 개방 구동부의 도움으로 록킹 메커니즘이 직접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중간 레버가 작용하고 그리고 열림 구동부를 트리거시키는 센서는 영향을 받게 된다. 안전 장치가 그의 "해제된" 위치를 취하는 경우에 이는 자연스럽게 적용된다. 한편, 안전 장치가 그의 "안전" 위치에 있다면, 설명된 결과로서 조작자 개방 요청은 중간 레버의 선회 운동으로 변환되지 않는다.
어떠한 경우에, 안전 장치의 부가적인 확인을 고려하면 단일 센서가 "전기적 개방" 기능을 수행하기 충분함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은 특히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는 선행 기술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센서가 안전 장치에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 도어 록 내에 제공된 인쇄 도전체 배치가 단순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리드 프레임으로써 설계된 인쇄 도전체 배치는 이전 배치에서보다도 더욱 간단하게 그리고 비용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상세하게는, 안전 장치는 보통 작동 저널을 포함한다. 조작자 개방 요청 동안에 안전 장치의 위치("안전" 또는 "해제된")에 따라 작동 저널은 중간 레버에 작용한다. 안전 장치의 "안전" 위치에서, 작동 저널은 중간 레버에 대하여 프리휠(freewheels)된다. 그러나, 안전 장치가 그의 "해제된" 위치에 있다면, 작동 저널은 중간 레버에 작용한다. 그 결과,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는 선회되고 그리고 센서를 작동시킨다. 그후 개방 장치는 작동되고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의 설명된 전기적 개방을 생성한다.
안전 장치의 다른 위치를 실행하기 위하여, 장치는 수동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안전 장치가 수동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수동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안전 장치는 또한 모터 또는 전기 모터의 도움으로 다른 위치("해제된" 그리고 "안전")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비용 이유로 그리고 안전 장치가 가끔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이 시점에서 수동 작동 요소의 사용이 권장된다.
수동 작동 요소에 더하여, 본 발명의 안전 장치 또한 작동 저널을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는 작동 요소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작동 요소는 전형적으로 작동 스프라켓이다. 그에 반하여, 대부분의 경우 액츄에이터는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요소 또는 작동 슬라이더에 유연하게 연결된 작동 슬라이더로서 설계된다.
중간 레버는 일반적으로 블록킹 레버이다.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는 개방 구동부와 상호 작용한다. 블록킹 레버는 실제로 적어도 표준 작동시에 개방 구동부의 어떠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이 록킹 메커니즘의 원하지 않는 그리고 잠재적인 위험한 개방을 야기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에 조작자 개방 요청이 등록되지 않는 한 블록킹 레버의 블록킹 캐치는 개방 구동부와 맞물린다. 그러나, 조작자 개방 요청의 경우,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는 작동되고 그리고 선회된다. 결과적으로 센서는 또한 작동하며 그리고 개방 구동부를 트리거시킨다.
안전 장치의 "해제" 위치에서, 블록킹 레버는 기계적으로 핸들 및/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에 결합된다. 핸들 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 각각은 조작자 개방 요청을 변환시킨다. 이 목적을 위하여, 블록킹 레버 또는 중간 레버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핸들은 선회되거나 방향을 바꾸며, 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는 작동된다. 한편, 안전 장치의 "안전" 위치에서, 핸들 및/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는 블록킹 레버에 관하여 프리휠된다.
또한, 작동 레버 메커니즘은 그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작동 동안에, 명세서의 도입부 내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록킹 레버는 그의 "록킹된" 위치를 영구적으로 유지한다. 이는 개방 장치에 의하여 시작된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 과정이 "록킹된" 위치에서 "해제된" 위치로의 록킹 레버의 전이를 앞지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소위 표준 작동에서- 록킹 레버가 영구적으로 그의 "록킹된" 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이는 개방 구동부를 위한 해제 록을 만든다. 즉, (표준 작동에서) 개방 구동부에 작용하는 것은 "록킹된" 위치를 유지하고 그리고 "록킹된"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록킹 레버에 대응한다. 위의 해제 록은 따라서 실행된다.
단지 비상 작동에서, 즉, 이는 전형적으로 개방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단지 비상 작동에서, 록킹 레버는 그의 "해제된" 위치를 취한다. 이는 소위 비상 개방에 대응한다. 이 작동 동안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분명하게 언급된 독일특허출원 DE (본 출원인의 파일 번호 X 12 901)에 상세하게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배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안전 장치의 "해제된" 그리고 "록킹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해제된" 그리고 "언록킹된" 위치에서의 도 1의 대상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전" 및 "언록킹된" 위치에서의 차량 도어 록과 안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안전" 및 "록킹된" 위치에서의 도 3의 대상물을 도시한 도면.
도면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것과 같이, 록킹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 로터리 래치와 포올을 포함한다. 릴리즈 레버(1)는 축(2)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고 있다. 도 1에서의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의 축(2)을 중심으로 하는 릴리즈 레버(1)의 선회 운동은 포올이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야기하며 그리고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림 구동부(3, 4)는 기본적으로 전기 모터(3) 및 전기 모터(3)에 의하여 작동하는 종동 풀리(4)를 포함한다.
종동 풀리(4)는 그 뒤쪽에 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작동 캠을 포함하며, 이 작동 캠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1)에 작용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풀리가 축(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전기 모터(3)가 종동 풀리(4)에 작용한다. 종동 풀리(4)가 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을 수행하자마자 그리고 그 뒤쪽의 작동 캠이 릴리즈 레버(1)를 그 축(2)을 중심으로 선회시키자마자, 록킹 메커니즘은 열림 구동부(3, 4)의 도움으로 개방된다.
도시된 차량 도어 록의 다른 기본적인 설계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을 포함한다. 단지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록킹 레버(6)와 중간 레버(7) 또는 블록킹 레버(7)만이 도시된다. 정상적으로,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은 또한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은 다른 레버를 포함하나, 이 레버는 아래의 설명과는 관련이 없다.
뿐만 아니라 도면은 센서(8)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 센서는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8)이다. 스위치(8)는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는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어야 한다.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는 실제로 공통 축(2) 상의 릴리즈 레버(1)와 동일 축 상에 장착된다. 각 축(2)을 중심으로 하는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의 시계 방향 이동은 블록킹 레버(7)의 작동 캠(7a)이 센서 또는 스위치(8)에 작용하는 것을 야기한다. 관련된 스위치 위치 또는 스위치 위치에 대한 변화는 연결된 제어 유니트에 의하여 스위치 위치 또는 스위치 위치의 변화로서 해석되며 또한 실시예에서 개방 구동부(3, 4)가 작동되는 것을 야기한다.
실제로 이는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 이동을 야기한다. 이는 센서 또는 스위치(8)의 작동 후에 도 1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풀리(4)가 축(5)을 중심으로 그의 반시계 방향 운동을 수행하여 이 과정 동안에 릴리즈 레버(1)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방식으로 개방 구동부(3, 4)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유니트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포올은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따라서 그후 록킹 메커니즘이 개방된다.
마지막으로, 도면은 또한 안전 장치(9, 10, 11)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 안전 장치는 차일드 록(9, 10, 11)이다. 안전 장치(9, 10, 11)는 일반적으로 2개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안전 장치 또는 차일드 록(9, 10, 11)은 "해제된", "차일드 록 오프" 위치에 있다. 반대로, 도 3 및 도 4에서의 기능적 위치는 안전 장치(9, 10, 11)의 "안전" 위치 또는 "차일드 록 온" 위치에 대응한다.
적어도 안전 장치(9, 10, 11)의 "안전" 위치(도 3 및 도 4 참조)에서, 안전 장치 또는 차일드 록(9, 10, 11)은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을 방지한다. 센서 또는 스위치(8)의 도움으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조작자 개방 요청이 확인된다. 조작자 개방 요청은 실제로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의 중간 레버의 도움으로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이는 안전 장치(9, 10, 11)의 위치에 따라 실행된다.
동시에,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가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변환하여 안전 장치(9, 10, 11)의 위치에 따라 개방 구동부(3, 4)를 작동시키는 센서(8)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게 전체 구조가 이루어진다.
만일 안전 장치 또는 차일드 록(9, 10, 11)이 그의 "해제된" 또는 "차일드 록 오프" 위치(도 1 및 도 2 참조)에 있다면,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는 조작자 개방 요청을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센서(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안전 장치(9, 10, 11)는 작동 저널(110)을 포함한다. 안전 장치(9, 10, 11)의 "해제된" 위치에서,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의 조작자 개방 요청의 경우에 그리고 상향 이동의 의미에 있어서, 작동 저널(11)은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에 작용한다. 그 결과, 작동 저널(11)은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 또는 블록킹 캐치(7b)에 대항하여 이동하며, 따라서 이 이동의 결과로서,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는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고 센서 또는 스위치(8)를 작동시킨다.
이 과정 동안에,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의 블록킹 캐치(7c)는 종동 풀리(4)에서 분리된다. 그 결과, 센서 또는 스위치(8)는 개방 구동부(3, 4)에 작용하며, 개방 구동부는 그후 설명된 바와 같이 종동 풀리(4)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릴리즈 레버(1)는 포올을 록킹 메커니즘에서 들어올린다. 이 과정의 마지막에서 록킹 메커니즘이 개방된다.
블록킹 캐치(7c)가 종동 풀리(4)에 결합되어 있는 한, 블록킹 캐치(7c)가 종동 풀리(4)의 운동을 차단함에 따라 이러한 개방 운동은 가능하지 않다. 이는 개방 구동부(3, 4)의 부정확한 전원 공급이 원하지 않는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을 야기하지 않거나 야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안전 장치(9, 10, 11)는 작동 캠(9) 형태의 수동 작동 요소(9)를 포함한다. 또한, 액츄에이터(10)는 작동 저널(11)이 장착된 곳에 제공되며, 이 경우 액츄에이터는 작동 슬라이더(10)이다. 작동 슬라이더 또는 액츄에이터(10)는 작동 요소 또는 작동 캠(9)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안전 장치(9, 10, 11)의 "해제" 위치 또는 "차일드 록 오프" (도 1 및 도 2 참조)에서, 블록킹 레버(7)는 -도시되지 않은- 핸들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 연결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상향 이동의 의미 그대로 안전 장치(9, 10, 11)의 작동 저널(11)이 도면에 지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핸들과 전기 모터는 조작자 개방 요청을 변환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각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핸들은 작동 저널에 작동할 수 있다. 유사한 과정이 전기 모터 구동부에 적용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안정 장치(9, 10, 11)의 "해제된" 위치 또는 차일드 록(9, 10, 11)의 "차일드 록 오프" 위치에서의 또는 조작자 열림 요청은 상향 이동의 의미 그대로 작동되는 작동 저널(11)의 도움으로 블록킹 레버(7)가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그 결과, 센서 또는 스위치(8)는 작동되며 개방 구동부(3, 4)는 트리거되어 록킹 메커니즘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안전 장치(9, 10, 11)의 "안전" 위치에서 또는 차일드 록의 "차일드 록 온" 위치에서 핸들 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는 블록킹 레버(7) 또는 전기 모터 구동부에 관하여 프리휠된다 (도 3 및 도 4 참조). 상향 이동의 의미 그대로 작동 저널(11)로의 작용은 관련된 도 3 및 도 4에서 블록킹 레버(7)에 관하여 프리휠링을 야기한다. 이는 이 과정 동안에 작동 저널(11)이 블록킹 레버(7)의 작동 캠(7b)에 도달하지 않고 이를 지나 이동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은 중간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7)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된 록킹 레버(6)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에서, 록킹 레버(6)는 그의 "록킹된" 위치에 있다. 반대로, 도 2 및 도 3의 위치는 록킹 레버(6)의 "언록킹된" 위치에 대응한다. 표준 작동시 그리고 안전 장치(9, 10, 11)가 "해제된" 또는 "차일드 록 오프" 위치에 있을 때 록킹 레버(6)는 일정하게 그의 "록킹된" 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설명된 개방 구동부(3, 4)의 안전 록이 실행된다. 안전 장치(9, 10, 11)가 그의 "해제된" 또는 "차일드 록 오프" 위치를 유지하는 한, 록킹 레버(6)의 ("언록킹된" 또는 "록킹된") 위치는 조작자 개방 요청의 실행에 중요하지 않다.
이는 안전 장치(9, 10, 11)가 그의 "해제된" 위치를 취하자마자 핸들이 작용할 때 그리고/또는 전기 모터가 가동될 때 중간 레버(7)의 도움으로 조작자 개방 요청이 항상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으로 기계적으로 변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록킹 레버(6)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이는 도 1과 도 2를 비교할 때 명백해진다. 도면은 록킹 레버(6)가 "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레버(6)가 그의 "언록킹된" 위치에 있을 때 조작자 개방 요청을 변환시키는 작동 저널(11)이 블록킹 레버(7)의 작동 캡(7b)에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황에서, 안전 장치(9, 10, 11)가 그의 "해제된" 위치를 취하는 것 또는 취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만일 안전 장치(9, 10, 11)가 그의 "안전" 위치에 있거나 또는 차일드 록(9, 10, 11)이 "차일드 록 온" 위치에 있다면, 블록킹 레버(7)의 작동 아암(7b)에 관하여 그리고 록킹 레버(6)의 위치에 관계없이 작동 저널(11)은 일정하게 프리휠(freewheel)한다. 도 3에서, 록킹 레버는 그의 "언록킹된" 위치에 있으며, 도 4에서는 그의 "록킹된" 위치에 있다. 양 상태에서, 안전 장치(9, 10, 11)의 위치는 작동 저널(11)이 블록킹 레버(7)의 작동 캠(7b)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여 프리휠링(freewheeling)을 야기한다.

Claims (10)

  1. 로터리 래치와 포올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 전기 모터(3)에 의하여 작동하고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종동 풀리(4)를 포함하는 개방 구동부(3, 4), 작동 캠(7a)을 갖는 중간 레버(7)를 포함하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 조작자 열림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및 적어도 "안전"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의 안전 장치(9, 10, 11)를 구비하며,
    중간 레버(7)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 레버는 회전 운동의 제1 위치에서 전기 모터(3)가 종동 풀리(4)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회전 운동의 제2 위치에서 작동 캠(7a)이 안전 장치(9, 10, 11)의 위치에 따라 개방 구동부(3, 4)를 작동시키는 센서(8)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차량 도어 록.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8)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또는 중간 레버(7)에 관하여 프리휠시키기 위하여 조작자 열림 요청 후에 안전 장치(9, 10, 11)는 위치("해제된" 또는 "안전")에 따라 중간 레버(7)에 작용하는 작동 저널(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3. 제2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9, 10, 11)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3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9, 10, 11)는 수동 작동 요소(9) 그리고 작동 저널(11)을 지지하는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4항에 있어서, 수동 작동 요소(9)는 작동 아암(9)으로서 설계되며 그리고 액츄에이터(10)는 수동 작동 요소(9)에 유연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4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0)는 작동 슬라이더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레버(7)는 열림 구동부(3, 4)와 상호 작용하는 블록킹 레버(7)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7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9, 10, 11)의 "해제된" 위치에서의 블록킹 레버(7)는 핸들 및 전기 모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반면에, 안전 장치(9, 10, 11)의 "안전" 위치에서 핸들 및 전기 모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록킹 레버(7)에 관하여 프리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1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9, 10, 11)는 차일드 록(9, 10, 11)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6)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의 부분으로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KR1020157012845A 2012-10-18 2013-10-17 차량 도어 록 KR102087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20424.8 2012-10-18
DE102012020424.8A DE102012020424A1 (de) 2012-10-18 2012-10-18 Kraftfahrzeugtürschloss
PCT/DE2013/000609 WO2014059966A2 (de) 2012-10-18 2013-10-17 Kraftfahrzeugtür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067A KR20150074067A (ko) 2015-07-01
KR102087878B1 true KR102087878B1 (ko) 2020-03-12

Family

ID=5002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845A KR102087878B1 (ko) 2012-10-18 2013-10-17 차량 도어 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63169B2 (ko)
EP (1) EP2909404B1 (ko)
JP (1) JP6458264B2 (ko)
KR (1) KR102087878B1 (ko)
CN (1) CN104854288B (ko)
BR (1) BR112015008628A2 (ko)
CA (1) CA2891626A1 (ko)
DE (1) DE102012020424A1 (ko)
MX (1) MX2015004696A (ko)
RU (1) RU2628977C2 (ko)
WO (1) WO20140599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0882B2 (en) * 2009-03-12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global latch system
JP5781024B2 (ja) * 2012-07-09 2015-09-1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DE102012111288A1 (de) *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5108739A1 (de) *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CN107620529B (zh) 2016-07-15 2020-12-15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CN107642287B (zh) 2016-07-20 2020-08-28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JP6627672B2 (ja) 2016-07-20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703271B2 (ja) * 2016-09-21 2020-06-03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627729B2 (ja) 2016-11-25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7124517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mit elektrischer Öffnungseinrichtung
JP6627920B2 (ja) 2018-06-26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9110334A1 (de) 2019-01-14 2020-07-1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11936A1 (de) 2019-05-08 2020-11-1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12470A1 (de) * 2019-05-13 2020-11-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280B2 (ja) * 1993-08-13 2001-03-07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ドアロック解除機構
JP4644538B2 (ja) * 2005-06-23 2011-03-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ロック操作装置
JP4821745B2 (ja) * 2007-09-19 2011-11-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536Y2 (ja) * 1989-03-22 1995-11-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閉鎖装置
DE19702698C2 (de) 1996-04-02 1999-03-18 Kiekert Ag Kraftfahrzeug mit zumindest einer in einer Seitenwand angeordneten Schiebetür
IT1290825B1 (it) * 1996-04-02 1998-12-11 Kiekert Ag Veicolo con dispositivo di comando elettronico per l'azionamento della porta del veicolo con chiusura della porta del veicolo
DE19635414C2 (de) * 1996-08-31 2001-07-12 Mannesmann Vdo Ag Schloß,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oder dergleichen
JP4543468B2 (ja) * 1999-12-22 2010-09-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061719A1 (de) * 2000-03-29 2001-10-04 Witte Strattec Llc Troy Drehfallenschloss mit freigebbarem Auslöser
DE10020971B4 (de) * 2000-04-28 2004-02-0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EP1191752A1 (de) 2000-09-26 2002-03-27 Daniel Ge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ausch von Informationen
DE10048709A1 (de) 2000-09-30 2002-04-1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GB0309266D0 (en) * 2003-04-24 2003-06-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A lock mechanism
DE10336050A1 (de) * 2003-08-01 2005-02-2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EP1580366A3 (de) * 2004-03-23 2009-10-28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04036670A1 (de) * 2004-07-28 2006-03-2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mit motorischem Öffnungsantrieb
GB2427434B (en) * 2005-06-23 2007-08-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Automotive childproof safety lock control apparatus
DE102005040775A1 (de) * 2005-08-26 2007-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und Türschloss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08018500A1 (de) * 2007-09-21 2009-04-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JP4516613B2 (ja) * 2008-02-28 2010-08-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DE202009015561U1 (de) * 2009-11-14 2011-05-0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1002154U1 (de) * 2011-01-31 2012-05-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JP5781025B2 (ja) * 2012-07-09 2015-09-1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280B2 (ja) * 1993-08-13 2001-03-07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ドアロック解除機構
JP4644538B2 (ja) * 2005-06-23 2011-03-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ロック操作装置
JP4821745B2 (ja) * 2007-09-19 2011-11-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04696A (es) 2016-02-03
RU2015113726A (ru) 2016-11-10
CA2891626A1 (en) 2014-04-24
DE102012020424A1 (de) 2014-02-20
WO2014059966A3 (de) 2014-11-27
WO2014059966A2 (de) 2014-04-24
JP6458264B2 (ja) 2019-01-30
JP2015537132A (ja) 2015-12-24
EP2909404B1 (de) 2017-07-19
US20150259952A1 (en) 2015-09-17
EP2909404A2 (de) 2015-08-26
CN104854288B (zh) 2017-03-08
US9863169B2 (en) 2018-01-09
KR20150074067A (ko) 2015-07-01
CN104854288A (zh) 2015-08-19
RU2628977C2 (ru) 2017-08-23
BR112015008628A2 (pt)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878B1 (ko) 차량 도어 록
RU2633253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534427B2 (en) Motor vehicle door closure
US967730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2015685B1 (ko) 차량 도어 록
JP6398121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JP6236678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6648379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US1074594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80132919A (ko)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CN107923199B (zh) 用于机动车锁的具有致动装置的电动锁
CN110857606B (zh) 针对车辆的发动机罩的锁
US9085921B2 (en) Unlocking device
CN111373110A (zh) 具有门锁和控制单元的机动车
US20070079640A1 (en) Vehicle door latch
CN111279042A (zh) 具有紧急开启功能的锁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