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946A -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946A
KR20140099946A KR1020147018928A KR20147018928A KR20140099946A KR 20140099946 A KR20140099946 A KR 20140099946A KR 1020147018928 A KR1020147018928 A KR 1020147018928A KR 20147018928 A KR20147018928 A KR 20147018928A KR 20140099946 A KR20140099946 A KR 2014009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skin
measurement
analysis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330B1 (ko
Inventor
후미에 구스모토
마사시 요시무라
에이지 사카타
히로노부 나가노
겐지 마츠오카
겐고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9843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999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6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including treatment, e.g., us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blating,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eth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Abstract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서버에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여 그 분석 결과를 얻을 때에, 데이터의 유효 이용에 의해, 서비스의 무료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저가격화를 가능하게 한다.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된 경우에,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인증한다. 또,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때의, 검색 레벨과 액세스 레벨이 요구된다.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검색 레벨 및 액세스 레벨의 범위에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이 허가된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EMENT OF SKIN CONDITION MEASUREMENT ANALYSIS INFORMATION,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KIN CONDITION MEASUREMENT ANALYSIS INFORMA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나 태블릿 등의 주로 무선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 클라이언트(휴대 단말)에, 피부 측정기 장치를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피부의 상태의 측정과 측정 결과의 분석을 행함과 함께, 측정 결과나 분석 결과의 데이터(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킨케어용의 화장품이나 미용 기구(스킨케어 장치:케어 에스테틱(aesthetic) 장치)의 판매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피부의 상태를 알기 위해, 피부용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를 확대하여 촬영하고, 피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나서, 피부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킨케어용의 화장품, 세안용품 등이나 스킨케어용의 기구를 판매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경우에, 피부의 표면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피부 상태 측정 수단:피부용 카메라)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 기기 등의 각종의 피부용 측정 기기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고, 피부의 확대 화상으로부터 피부의 상태를 판정하거나, 피부의 수분량으로부터 피부의 상태를 판정하거나 하고 있다.
이 경우에, 피부의 상태의 측정에 피부용 측정 기기가 설치되고, 또한, 측정 결과로부터 피부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으며, 피부의 상태로부터 스킨케어 방법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는 점원이 있는 점포에 갈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점포까지 가는 것이 번거로웠거나, 점포에 가서 상술과 같은 서비스를 받은 후에 상품의 구입을 추천받는 것이 번거로웠거나 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바와 같은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무선 전화 회선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인터넷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무선 단말에, 주변 기기로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접속한다. 혹은, 휴대 무선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등의 내장 기기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서 이용한다. 그리고,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인 데이터를, 휴대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로부터 피부의 상태를 분석해주는 업자의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화장품 판매하는 점포에 가지 않아도 피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참조). 이 경우에, 측정 데이터를 수취한 서버에서는, 예를 들면, 측정 결과의 분석을 자동으로 행하거나, 측정 데이터를 표시시켜 오퍼레이터에 분석 결과를 입력시키거나 하게 된다.
이 경우에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구입 등이 필요해지는데, 이와 같은 피부 측정용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유저(user)에게 부담을 끼치지 않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정기적으로 피부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14879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4-35420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5616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15068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366651호 공보
그런데, 유저는, 무선 휴대 단말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면, 기본적으로 피부용 카메라 등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저는, 측정 결과를 분석하게 하기 위해, 과금되는 경우가 있어, 정기적으로 피부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찾기가 거북한 것이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측정 데이터가 보내져 오는 서버 측에서는,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나 그 분석 결과 등을 축적 가능하다. 또, 측정 데이터의 분석에 있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대해, 회원 등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고, 회원 등록 시에, 성명, 주소, 전화번호, 메일 주소, 생년월일, 성별 등의 개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거나, 앙케이트에의 협력을 부탁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유저가 증가하면, 피부의 측정 결과, 측정 결과의 분석 결과 등의 데이터나, 이들 데이터에 관련지어져서, 회원 등록 시의 데이터나 앙케이트의 데이터에 의한 연령, 성별, 거주 지역과 같은 정보가 축적된다.
이 축적된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지면,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스킨케어 상품의 개발에 이용 가능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피부 측정 결과를 송신하게 함으로써, 축적되는 데이터의 유효 이용이 충분하게 도모되고 있지 않다.
또, 피부의 상태와 스킨케어용의 화장품(세안 관계를 포함한다)의 관계를 생각한 경우에, 유저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피부 케어용의 화장품과, 피부의 상태의 변화의 관계, 즉,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피부 케어용의 화장품이, 자신의 피부 상태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지금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은 자신의 피부에 맞는지의 여부나, 자신의 피부에 더 맞는 화장품이 없는지를 알고 싶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의 화장품 회사의 점포 등에서의 피부 진단으로는, 그 화장품 회사의 상품인 화장품의 정보밖에 얻을 수 없다.
화장품 회사 측에서 본 경우에, 상술과 같이 점포에서 피부용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유저의 피부의 상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점원에 의한 유저에의 질문이나 앙케이트 등에 의해 고객의 정보, 예를 들면 고객의 주소, 이름 등의 개인 정보나,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나 그 밖의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유저가 자사 상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자사 상품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에의 영향 등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점포 등에서 피부의 상태의 측정 등을 행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품 회사의 판매 계통에 포함되지 않는 판매점이나 통신 판매 등으로 화장품을 구입하는 유저층의 피부의 상태 등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타사 제품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 등의 정보를 얻는 것도 어려웠다.
현재, 국내에서만 해도 많은 화장품 메이커(여기서 메이커라고 한 경우에 판매 회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가 있음과 함께, 타업종으로부터의 신규 참여도 있고, 또, 해외의 화장품을 이용하는 유저도 있어, 다수의 화장품이 출회되어 있다. 이들 중으로부터 유저는,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고, 화장품을 사용한 경우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화장품 회사는, 예를 들면, 피부의 상태로서 각 피부 타입의 유저에게 어떤 성분을 갖는 화장품이 효과가 있는지나, 각 피부 타입의 유저가 어떤 화장품을 좋아하는지 등, 각 유저의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에, 상품 전략상 유리하게 될 수 있다. 상품 개발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치료의 임상 시험의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어, 자사 상품의 판매 후에 많은 유저로부터 피드백되는 데이터가 얻어지면, 다음의 상품 개발에 유효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타사 제품의 정보가 얻어지면, 더욱 유효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화장품 회사인 메이커는, 발매 후의 화장품을 사용한 유저의 데이터가 얻어지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유저 클라이언트(스마트폰)에 접속하고,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서버에 송신하여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에,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 등의 데이터의 유효 이용에 의해, 서비스의 무료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저(低)가격화를 가능하게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유저에게 사용되고, 또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이터 관리 서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고,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기억 가능하게 출력하는 분석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약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계약자 클라이언트
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됨과 함께 상기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각 유저마다 중복이 없는 일의(一意)의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측정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각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가 등록되는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분석 결과 데이터, 상기 유저 데이터 중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가 서로 관련지어져서 등록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가, 이들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이력으로서 등록되는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약자마다 설정된 계약자 ID가 등록된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약자 ID를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데이터 제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계약자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수단과,
상기 데이터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하는 수신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가 유저 휴대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되게 된다.
이때에 유저는, 예를 들면, 고객 ID를 설정해둘 필요가 있고,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이때에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인 소정의 개인 정보로서, 성명, 주소, 각종 전화번호, 메일 주소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소정의 개인 정보로서 결제용으로 신용 카드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 앙케이트 등으로서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스킨케어 용품, 보충제 등의 정보를 유저 데이터로서 임의로 입력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저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고객 ID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검색 가능해진다.
또, 유저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접속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피부 상태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 데이터가 얻어진 후에, 이 측정 데이터를 고객 ID와 함께, 데이터 관리 서버에 보낸다.
측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 데이터는, 분석 결과 출력 수단에 입력되고,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서버를 통하거나 메일 등에 의해, 유저 클라이언트에 송신되며, 유저 클라이언트에서 분석 결과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는, 측정 데이터를 주지의 각종 피부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가 고객 ID에 관련지어져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유저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에 있어서, 소정의 개인 정보는, 기본적으로 개인이 특정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성명, 주소, 전화번호, 메일 주소, 신용 카드의 정보 등이다. 유저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는, 예를 들면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스킨케어용제(劑)(바디 오일, 입욕제 등), 스킨케어용 기기(에스테틱용 기기)나, 정기 섭취하고 있는 보충제 등의 앙케이트에 대한 회답의 데이터나, 개인 정보를 개변(改變)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한 데이터로서 거주 지역(대략적인 주소로서, 예를 들면 현(縣; 일본의 광역 보통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이나 시(市;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등), 대략적인 연령(예를 들면 10대, 20대, 30대 등) 등이나, 측정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로서 측정 일시 등이다.
여기서 유저는, 예를 들면, 반복하여 피부 상태의 측정과 분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의 수신 일시 등에 의해, 시계열로서 측정 데이터 및 분석 결과 데이터를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의 분석을 무료로 하는 것 등에 의해, 많은 유저에게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의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는, 많은 유저의 측정 데이터가 축적됨과 함께, 각 유저가 반복하여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시계열로 된 측정 데이터가 얻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각종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용품을 개발하고 있는 메이커에서는, 측정 데이터용 서버에 축적된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를 상품 개발이나 피부의 연구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 데이터용 서버에는, 유저가 입력한 유저 데이터 중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가 고객 ID를 통하여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의 입력 시에, 데이터 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요구하여, 예를 들면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스킨케어 용품 등을 유저에게 입력하게 하면, 측정 데이터만의 경우에 비해 더 유용한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발명에서는, 계약에 의해 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부대 데이터의 열람이 가능해진다. 이때에, 계약에 의거하여 각 계약자의 계약자 ID마다, 열람 가능한 부대 데이터의 종류가 정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는, 계약자 ID에 관련지어 각 계약자 ID에 대응하는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열람 가능한 부대 데이터의 종류를 등록해두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계약자 클라이언트의 계약자 ID를 대조할 때에, 당해 계약자 클라이언트에서 열람 가능한 부대 데이터의 종류를 세트하고, 계약자 ID에 견련(牽連)지어진 종류의 부대 데이터만을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열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계약 시에 계약자가 열람한 부대 데이터의 종류를 정하게 된다. 이때에는, 부대 데이터의 복수의 종류를 열람 가능하게 해도 되고, 모든 종류의 부대 데이터를 열람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때에, 부대 데이터의 각 종류에 순위를 매기고, 계약 시에 결정되는 열람 레벨이 높아질수록, 순위가 높은 부대 데이터가 열람 가능해지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는,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열람의 요구가 계약자 ID와 함께 입력된 경우에,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를 계약자 ID로 검색하여, 이 계약자 ID에 관련지어진 부대 데이터의 종류에 의거하여, 그 종류의 부대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와 분석 결과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계약 시에 부대 데이터의 각 종류 중 필요한 종류를 선택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의 운영자와 계약한다. 이때에는, 예를 들면, 각 종류에 대응하는 할증 요금을 지불하는 계약을 한다. 이에 따라, 계약자는 유익한 부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의 운영자(예를 들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는, 계약자(예를 들면, 화장품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 등의 화장품 회사나, 스킨케어 용품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 에스테틱 기기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와의 계약에 있어서, 분석 결과 데이터, 측정 데이터 및 부대 데이터의 열람에 대한 대가를 얻을 수 있다.
이 대가에 의해, 유저에 대해 과금하지 않아도, 데이터 관리 서버의 운영 비용과 이익이 얻어지게 된다. 유저에의 과금을 없앰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사용에 의한 측정 데이터의 분석을 촉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충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 결과 데이터, 측정 데이터 및 그 부대 데이터를 이용하고 싶은 계약자의 증가를 도모하여, 증수(增收)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대 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데이터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검색 항목을 설정하고, 당해 검색 항목이 설정된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데이터를 당해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범위 축소하며, 범위 축소된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검색 항목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검색 레벨마다의 검색 항목으로서 등록됨과 함께,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액세스 레벨마다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등록되고, 또한, 상기 계약자 ID에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이 관련지어 등록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계약자 ID로 검색하여 당해 계약자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추출하고,
또한,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에 대해서만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블록 중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에 속하며, 또한, 검색된 상기 데이터만을,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 출력하는 것을 허가하는 검색 제한 수단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을, 당해 검색 항목으로부터 검색의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당해 블록으로부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가 속하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검색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계약자(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의 2차 이용자)는, 검색 레벨이나 액세스 레벨에 따라,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항목이나 검색 결과를 출력 가능한 데이터의 데이터 블록이 제한되게 되지만, 검색 레벨이나 액세스 레벨에 따라 이용료가 다른 경우에, 계약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검색 레벨 및 액세스 레벨을 정하여 계약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 검색 레벨에 대응하는 검색 항목만이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됨과 함께,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만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므로, 검색 레벨에 의거하여 검색할 수 없는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하거나, 액세스 레벨에 의거하여 출력할 수 없는 데이터의 출력을 요구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계약자는 효율적으로 검색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부대 데이터로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고,
또한, 상기 화장품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당해 화장품 데이터와 함께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과,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 데이터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는, 피부 상태가 변화되고 있지 않지만, 다른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는, 피부 상태가 서서히 양호하게 되어 있는 등을 알 수 있다. 즉, 계약자로서의 예를 들면 화장품 회사가, 자사의 제품의 효능을 확인하거나, 타사의 제품의 효능을 조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유저의 인원수가 많으면, 많은 샘플을 얻을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조사가 가능해진다. 또, 부대 데이터로서, 연대, 거주 지역, 화장품의 사용 빈도, 화장품의 사용량 등을 알면, 유저의 상황이나, 화장품의 사용 상황에 대응하는 조사도 가능해진다. 즉,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더하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하는 데이터의 경우보다, 상품 개발 등에 더욱 유용한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분석 결과 데이터에 더하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에 대응하여 측정 데이터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유저에 의해, 피부 상태의 측정과 측정 데이터의 분석이 정기적, 계속적으로 행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상기 이력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취득됨과 함께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와, 상기 화장품의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여 검색 가능하게 되며,
또한, 검색된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취득 시기와 동일한 시기가 되는 상기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병렬로 표시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기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취득 시기의 시계열에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시계열에 따른 변화의 경위를 인식 가능한 시계열 표시와,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복수의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취득 시기에 의한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 가능한 비교 표시 중 적어도 일방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 의하면, 유저가, 계속적으로 피부 상태의 측정과, 그것에 의해 얻어진 측정 데이터에 의거하는 분석 결과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나타내는 화장품 데이터와 측정된 피부 상태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동시에 보여짐과 함께, 시계열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의 피부 상태의 변화의 경위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과 피부 상태의 경시(經時) 변화를 인식할 수 있고, 이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피부 상태가 양호한지의 여부나, 피부 상태가 좋아지는 경향인지의 여부 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비교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동일한 화장품을 계속해서 사용한 경우의 피부 상태의 차이 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최신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 데이터와, 현재로부터 임의의 기간만큼 전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비교해 봄으로써, 이전보다 피부 상태가 좋은 상태인지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계열 표시는, 비교적 단기간의 피부 상태의 변화를 판단하는데에 특히 유효하고, 비교 표시는, 비교적 장기간의 피부 상태의 변화를 판단하는데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은,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유저에게 사용되고, 또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이터 관리 서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고,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기억 가능하게 출력하는 분석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약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계약자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행하여지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됨과 함께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각 유저마다 중복이 없는 일의의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 송신 단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측정 데이터 송신 단계와,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각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유저 데이터 등록 단계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분석 결과 데이터, 상기 유저 데이터 중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서로 관련지어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함께, 등록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이들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이력으로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측정 데이터 등록 단계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의 취득을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약자 ID를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계약자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하는 수신 기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대 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데이터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검색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당해 검색 항목이 설정된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데이터를 당해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범위 축소하고, 범위 축소된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하며,
상기 검색 항목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검색 레벨마다의 검색 항목으로서 등록됨과 함께,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액세스 레벨마다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등록되고, 또한, 상기 계약자 ID에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계약자 ID로 검색하여 당해 계약자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추출 가능하게 하며,
또한,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에 대해서만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블록 중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에 속하며, 또한, 검색된 상기 데이터만을,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 출력하는 것을 허가하는 검색 제한 단계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을, 당해 검색 항목으로부터 검색의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당해 블록으로부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가 속하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검색 표시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부대 데이터로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화장품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당해 화장품 데이터와 함께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상기 이력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취득됨과 함께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와, 상기 화장품의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여 검색하고,
또한, 검색된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취득 시기와 동일한 시기가 되는 상기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병렬로 표시함과 함께,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기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취득 시기의 시계열에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시계열에 따른 변화의 경위를 인식 가능한 시계열 표시와,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복수의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취득 시기에 의한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 가능한 비교 표시 중 적어도 일방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대응하는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하와 같은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고객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기억된 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열람 요구 수단과,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수단에 의해 요구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객 ID에 대응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됨과 함께,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열람용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취득 시기에 의거하여 이력으로서 기억된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로부터 취득 시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이들 취득 시기가 다른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 시기 순서대로 서로 비교 가능하게 표시하는 비교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는,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용 문자열이 기억됨과 함께, 기억된 인증용 문자열을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 인증 기억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접속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인증용 문자열을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장치 인증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용 문자열을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 수단에 상기 인증용 문자열이 인증되지 않았던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측정 데이터에 대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출력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비(非)인증 장치 배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피부를 접사하는 피부용 카메라이고,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의 상기 측정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가 등록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소정 조건에 따라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개체차를 교정(校正)하는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정 수단과,
상기 교정 수단에 의해 생성된 교정 데이터와 상기 인증용 문자열을 관련지어 등록하는 교정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분석 결과 취득 수단은, 상기 인증용 문자열에 의거하여 교정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교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교정 데이터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의 교정, 또는, 상기 교정 데이터에 의거하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됨으로써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어 가능한 스킨케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 또는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관련지어 상기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 방법이 등록되어 있는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스킨케어 장치가 접속되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출력되는 고객 ID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킨케어용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스킨케어용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 취득된 분석 결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취득하는 제어 방법 취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어 방법 취득 수단으로 취득된 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의 제어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제어 데이터를 고쳐 쓰는 제어 데이터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고객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기억된 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열람 요구 단계와,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단계에 의해 요구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단계에서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열람 요구 단계에 있어서 송신한 상기 고객 ID에 대응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됨과 함께,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열람용 데이터 송신 단계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취득 시기에 의거하여 이력으로서 기억된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로부터 취득 시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이들 취득 시기가 다른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 시기 순서대로 서로 비교 가능하게 표시하는 비교 표시 단계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는,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용 문자열이 기억됨과 함께, 기억된 인증용 문자열을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 인증 기억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접속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인증용 문자열을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장치 인증 송신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용 문자열을 인증하는 인증 단계와,
상기 인증 수단에 상기 인증용 문자열이 인증되지 않았던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측정 데이터에 대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출력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비인증 장치 배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피부를 접사하는 피부용 카메라이고,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의 상기 측정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소정 조건에 따라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개체차를 교정하는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정 단계와,
상기 교정 단계에 의해 생성된 교정 데이터와 상기 인증용 문자열을 관련지어 교정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교정 등록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분석 결과 취득 단계에서는, 상기 인증용 문자열에 의거하여 교정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교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교정 데이터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의 교정, 또는, 상기 교정 데이터에 의거하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됨으로써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어 가능한 스킨케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 또는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스킨케어 장치가 접속되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출력되는 고객 ID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킨케어용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스킨케어용 데이터 취득 단계에 있어서 취득된 분석 결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관련지어 상기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 방법이 등록되어 있는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취득하는 제어 방법 취득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어 방법 취득 단계에 있어서 취득된 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스킨케어 제어 단계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의 제어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제어 데이터를 고쳐 쓰는 제어 데이터 갱신 단계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과 같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술과 같이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따른 이력으로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가 기억되고, 그것에 부대하여 부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측정 데이터 및 분석 결과 데이터를 시계열의 데이터로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각종 스킨케어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피부의 상태가 좋아지고 있는지, 변하지 않은지, 나빠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현재의 스킨케어를 지속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판단 재료로 할 수 있다.
또 유저는,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확인 후에,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의 입력을 행함으로써, 유저 데이터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 새로운 앙케이트에 대답하거나, 전의 앙케이트의 내용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용품의 변경 등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은 없고, 계약자 클라이언트에서 열람 가능한 것은,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측정 데이터와 허가된 종류의 부대 데이터이며,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되지 않고, 소정의 개인 정보가 보호되게 된다. 또한, 주지의 시큐리티(security) 방법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보호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는, 그 장치 인증 기억 수단에 인증용 문자열이 기억되어 있고,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인증용 문자열이 유저 형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송신된 경우에, 이 인증용 문자열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서버가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경우에, 운영 회사가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이외의 장치에서, 데이터 분석 관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인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출력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측정 데이터의 분석 서비스를 무료로 한 경우에, 이 분석 서비스를 무단으로 이용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지만, 상술과 같이 인증용 문자열로 인증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의 측정 데이터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정규품으로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인증용 문자열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시리얼이라고 알려진 것이고, 소정의 문자수의 문자열이며, 조정(措定)의 문자수가 되는 문자열 중 사전에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문자열만이, 인증용의 문자열이 되고, 랜덤으로 문자열을 설정해도, 인증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출력 금지 방법으로서는, 분석 결과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으면, 어떤 방법을 취해도 되고, 예를 들면, 유저 형태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인증용 문자열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인증되지 않았던 경우에, 그 유저 형태 클라이언트와의 통신을 금지하도록 해도 되며, 측정 데이터의 수신을 하지 않도록 해도 되고, 측정 데이터의 수신은 해도, 분석 결과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되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해도 취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측정 데이터가, 피부용 카메라에 의한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개체차 등에 의해 밝기나 색조 등에 차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의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각 인증용 문자열에 대응하여 개체차 등을 수정하여 표준화하기 위한 교정 데이터를 교정용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해둠으로써, 유저 형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에 인증용 문자열과 함께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교정하고, 교정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밝기의 오차인 경우에, 피부용 카메라에 설치된 조명의 밝기를 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피부의 미묘한 색조의 차이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조건에 따라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피부용 카메라에 소정의 컬러 패턴(캘리브레이션 패턴)을 꽉 눌러서 촬영하는 것 등에 의해, 컬러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유저 클라이언트에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이외에 스킨케어 장치(피부 에스테틱 장치(피부 에스테틱 장치))가 접속 가능하고,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된 스킨케어 장치의 설정 변경 등을 포함하는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작동 개시로부터 설정 시간 후에 작동 종료하거나, 강도 등의 각종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레벨을 설정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의 데이터 관리 서버의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하고,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제어 방법을 취득한다. 이 제어 방법이 유저 클라이언트에 송신되고,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스킨케어 장치의 작업 시간이나, 각종 설정 레벨 등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 피부의 상태가 예를 들면 단계적으로 레벨(나쁜 상태로부터 좋은 상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경우에, 레벨이 높은 경우(피부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작동 시간이 짧게 되고, 레벨이 낮은 경우(피부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 작동 시간이 길게 되는 등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스킨케어 장치가 제어됨으로써, 피부의 상태에 대응한 스킨케어가 가능해진다. 또, 스킨케어에 사용되는 시간의 효율화나, 전지 등의 전원의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유저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유저가 임의로 스킨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킨케어 장치의 출력 레벨(진동수, 전압, 전류)을 유저가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유저 클라이언트에는, 유저가 설정한 제어 데이터가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그것에 대해, 데이터 관리 서버 측에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를 고쳐 씀으로써, 더 효율적인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킨케어 장치에서, 출력을 크게 하면 아픔 등을 느끼기 때문에 적절한 출력보다 작은 출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은 사람에 대해, 데이터 관리 서버가 유저 클라이언트에 기억된 제어 데이터를 고쳐 써서, 서서히 출력을 올리도록 함으로써, 아픔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적절한 출력으로 스킨케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는, 사용 이력 데이터가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된다.
따라서, 고객 ID에 의거하여, 사용 이력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와 분석 결과 데이터를 보는 것이 가능해져서, 스킨케어 장치에 의한 피부의 상태의 개선 효과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을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무선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유저 클라이언트)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서로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유저의 피부의 상태를 측정 가능하고 측정 결과를 휴대 단말에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부 상태 측정 수단(피부 상태 측정 장치)과,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유저가 사용하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 특정 정보를 유저에게 입력 가능하게 시키는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 및/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를, 당해 측정 결과와, 복수 단계로 랭크(rank) 구분되어 축적된 복수의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분석하며, 분석 결과로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복수 단계의 랭크 중 어느 하나의 랭크로 결정하는 피부 상태 분석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상기 피부 상태 분석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랭크를 상기 시계열에 따라 기억하는 분석 결과 기억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화장품의 상기 유저에 의한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분석 결과와, 상기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이력 출력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이력 출력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분석 결과를 시계열에 대응하여 표시함과 함께, 상기 시계열에 대응하여 사용 시기를 특정 가능하게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이력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부 상태의 측정을 정기적으로 행함과 함께, 사용한 화장품의 사용 기간 또는 사용 기간을 산출 가능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의 기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와, 그 기간에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을 유저가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품(주로 스킨케어계의 화장품)의 효과의 유무 등을 유저가 판단하기 쉬워진다. 이것으로부터, 유저는, 피부 상태의 측정과 사용 화장품의 입력을 적극적으로 행할 가능성이 높아져서, 데이터 관리 서버에는, 유저의 피부 상태의 데이터와 사용한 화장품의 데이터가 축적되게 된다.
이들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장품 개발에 유효 이용 가능하고, 특히 피부 상태의 측정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부가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 피부 상태의 측정이나, 화장품의 입력 등을 빈번하게 행하는 유저에게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화면 표시를 볼 기회가 많아져서, 휴대 단말의 화면에 광고 표시한 경우의 광고 효과가 높아진다. 또, 상술과 같이 피부의 상태와 사용 화장품의 관계를 알기 쉬우므로, 피부의 상태가 반드시 양호하지 않은 경우 등에, 화장품의 상품의 선전 효과가 높아진다.
여기서 피부 상태의 랭크는, 이미 축적되어 있는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피부 상태가 나쁜 상태로부터 양호한 상태까지를 순위 매긴 것이고, 예를 들면, 피부 상태의 좋고 나쁨을 수치화하여 0으로부터 소정값까지의 점수로 표현해도 된다. 또한, 축적된 측정 결과로부터 피부 상태를 각 연령(연대)의 평균적인 피부 상태에 대응시켜 피부 상태를 연령으로 나타내도 된다. 측정 다수의 유저의 피부 상태를 점수 등으로서 수치화한 후에 통계 처리를 실시한 결과로서, 예를 들면, 편차값으로 표시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각 화장품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각 화장품의 화장품 정보가 각 화장품마다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추출 가능한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은,
상기 유저가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확정적으로 입력하기 전에,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품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화장품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화장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며, 송신된 상기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유저가 선택하여 확정적으로 입력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유저가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확정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지원하는 입력 지원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의 데이터의 입력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이 용이해진다. 즉, 이미 화장품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키워드 등에 의해 간단하게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확인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바코드를 입력하여 화장품을 등록한 바와 같은 경우에, 반드시 정확한 상품명을 알 수는 없거나 하지만, 바코드로 등록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화장품의 상품명을 알 수 있다. 또, 마침 주위에 화장품이 없는 바와 같은 경우에, 모호한 기억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입력 가능해진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 정보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되었을 때에,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으로부터 당해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당해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미등록이라고 판정하는 미등록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미등록 판정 수단에 의해 미등록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미등록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입력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미등록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와, 당해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장품의 메이커의 연락처를 관련지은 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과,
상기 미등록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가(假)등록시키는 가등록 수단과,
상기 가등록 수단에 가등록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연락처를 추출하고, 상기 연락처에,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가등록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에 관련지어 가등록된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정보의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의 본(本)등록을 의뢰하는 연락을 지원하는 연락 지원 수단과,
연락된 화장품 메이커의 담당자에 의한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의 상기 화장품 정보의 등록을 허가하는 등록 허가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에 관해서는, 유저가 미등록의 화장품의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함으로써, 유저가 미등록의 화장품인 것을 알게 된다. 이때, 등록하고자 하고 있었던 화장품이 미등록인 경우에, 이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상품명이나 상품 코드(JAN 코드) 등을 입력함으로써, 미등록의 화장품을 가등록한 상태로 하게 된다. 즉, 유저에게 미등록의 화장품을 찾게 함과 함께, 가등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상술의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정보에 의거하여, 메이커의 연락처를 알 수 있는 경우에, 메이커의 연락처에 대해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가등록된 화장품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의뢰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관리 서버의 관리자나 오퍼레이터는, 새로 발매되는 화장품을 조사하고, 당해 화장품의 정보를 데이터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처리를, 유저와 메이커의 담당자에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의 관리 작업을 감소시켜,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력 표시 수단은, 상기 이력 출력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시계열에 대응하는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시간축과, 상기 분석 결과로서의 랭크를 나타내는 랭크축을 갖는 그래프로서 표시함과 함께, 상기 이력 출력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의 사용 시기를 상기 그래프의 상기 시간축에 맞추어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부 상태의 랭크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해지고,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 피부에 맞는지의 여부 등의 판단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에 시계열에 따라 기억되어 있는 분석 결과로서의 랭크 중 최신의 랭크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입력된 과거의 날짜의 랭크를 비교 가능하게 동시에 표시하는 동시 비교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최신의 피부 상태와, 최신의 피부 상태에 대해 어느 정도 긴 시간 경과하고 있는 비교적 오래된 피부 상태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에 걸친 피부 상태의 차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이전에 피부 상태가 악화된 시기가 있는 경우에, 피부 상태가 악화된 시기의 피부 상태와, 현재의 피부 상태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어, 피부 상태의 회복 정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분석 수단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를, 당해 측정 결과와, 복수로 타입 구분되어 축적된 복수의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복수의 피부 타입 중 어느 것의 피부 타입으로 결정하며,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에는, 복수의 유저의 분석 결과로서의 상기 랭크와 상기 피부 타입이 각 유저마다 기억되고,
상기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에는, 복수의 유저가 각각 사용하는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유저마다 기억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와 당해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장품을 사용함과 함께, 상기 화장품을 지정한 상기 유저와 동일한 상기 피부 타입의 다른 유저의 분석 결과의 표시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에, 지정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다른 유저를 당해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또한,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장품을 지정한 유저와 동일한 피부 타입의 다른 유저를 추출하며, 상기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의 양방으로부터 중복하여 추출됨으로써 범위 축소된 중복 유저를 출력하는 유저 추출 수단과,
상기 유저 추출 수단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중복 유저의 상기 랭크를 상기 분석 결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랭크 추출 수단과,
상기 랭크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다른 각 유저의 상기 랭크가, 다른 각 유저의 지정된 상기 화장품의 사용 개시로부터의 경과 기간에 대응되게 한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하여 당해 데이터 테이블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랭크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송신된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의 랭크를 지정된 상기 화장품의 사용 개시로부터의 경과 기간에 대응지어 표시하는 타자(他者) 분석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신과 피부 타입이 동일한 타자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나, 사용을 생각하고 있는 화장품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의 상태 변화를 알 수 있다. 피부 타입이 동일한 타자의 피부 상태 변화로부터 지정한 화장품이 자신에게 맞는지의 여부를 예상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많은 화장품 중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화장품을 정하는 경우에 참고가 된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을, 무선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서로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데이터 관리 서버와,
상기 휴대 단말에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유저의 피부의 상태를 측정 가능하고 측정 결과를 휴대 단말에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부 상태 측정 수단을 구비한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유저가 사용하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 특정 정보를 유저에게 입력 가능하게 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 및/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를, 당해 측정 결과와, 복수 단계로 랭크 구분되어 축적된 복수의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복수 단계의 랭크 중 어느 것의 랭크로 결정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결정되는 랭크를 상기 시계열에 따라 기억하고,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화장품의 상기 유저에 의한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기억하며,
상기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분석 결과와,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분석 결과를 시계열에 대응하여 표시함과 함께, 상기 시계열에 대응하여 사용 시기를 특정 가능하게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각 화장품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각 화장품의 화장품 정보가 각 화장품마다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추출 가능한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유저가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확정적으로 입력하기 전에,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품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화장품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화장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며, 송신된 상기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유저가 선택하여 확정적으로 입력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유저가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확정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 정보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되었을 때에,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으로부터 당해 화장품 정보에 관련 또는 일치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당해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미등록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미등록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미등록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입력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와, 당해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장품의 메이커의 연락처를 관련지은 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가등록시키며,
상기 가등록 수단에 가등록되는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연락처를 추출하고, 상기 연락처에,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 가등록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에 관련지어 가등록된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정보의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의 본등록을 의뢰하는 연락을 지원하며,
연락된 화장품 메이커의 담당자에 의한 상기 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에의 상기 화장품 정보의 등록을 허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시계열에 대응하는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시간축과, 상기 분석 결과로서의 랭크를 나타내는 랭크축을 갖는 그래프로서 표시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의 사용 시기를 상기 그래프의 상기 시간축에 맞추어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시계열에 따라 기억되어 있는 분석 결과로서의 랭크 중 최신의 랭크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입력된 과거의 날짜의 랭크를 비교 가능하게 동시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수단에 의한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를, 당해 측정 결과와, 복수로 타입 구분되어 축적된 복수의 피부의 상태의 측정 결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서 측정된 피부의 상태를 복수의 피부 타입 중 어느 것의 피부 타입으로 결정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는, 복수의 유저의 분석 결과로서의 상기 랭크와 상기 피부 타입이 각 유저마다 기억됨과 함께, 복수의 유저가 각각 사용하는 상기 화장품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유저마다 기억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와 당해 화장품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화장품을 사용함과 함께,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를 지정한 상기 유저와 동일한 상기 피부 타입의 다른 유저의 분석 결과의 표시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다른 유저를 추출하고, 또한, 상기 화장품을 지정한 유저와 동일한 피부 타입의 다른 유저를 추출하며, 지정된 상기 화장품 특정 정보와 상기 피부 타입의 양방에 의거하여 중복하여 추출됨으로써 범위 축소된 중복 유저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중복 유저의 상기 랭크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랭크 추출 수단과,
상기 랭크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다른 각 유저의 상기 랭크가, 다른 각 유저의 지정된 상기 화장품의 사용 개시로부터의 경과 기간에 대응되게 한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송신된 데이터 테이블 상의 랭크를 지정된 상기 화장품의 사용 개시로부터의 경과 기간에 대응지어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과 같은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대응하는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각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피부 상태 측정 수단)는,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 가능하고, 또한,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개별적으로 인증 가능한 인증 정보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인증 수단으로 인증된 상기 인증 정보와, 당해 인증 정보를 송신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고객 ID가 관련지어 등록됨과 함께, 각 인증 정보마다 소정 수 이내의 상기 고객 ID가 등록 가능한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과,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사용 시에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송신됨과 함께 상기 인증 수단으로 인증된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고객 ID에 의거하여 상기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당해 고객 ID가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 관리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이미 등록된 다른 상기 고객 ID가 상기 소정 수 미만이면,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당해 고객 ID를 상기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당해 인증 정보가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수단에 당해 인증 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 당해 고객 ID가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지 않음과 함께,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기 고객 ID가 상기 소정 수인 경우에, 당해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사용을 금지하는 사용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인증 정보가 인증 수단에 의해 인증되지 않았던 경우에, 당해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한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사용이 금지된다. 예를 들면,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의 측정 데이터가 출력되어도,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유저 클라이언트에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출력이 행하여지지 않아,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동일하게, 인증 정보가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당해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에 입력되지 않았던 경우에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 동일하게, 인증 정보가 인증되었지만,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이미 소정 수의 다른 고객 ID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당해 인증 정보에 관련지어 이미 등록된 고객 ID의 유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가 사용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정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이외의 비정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인증되지 않아,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해 비정규가 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이용에 의한 손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인증 정보 관리 테이블에는, 1개의 인증 정보에 견련지어 소정 수 이내의 고객 ID를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고객 ID의 유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사용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가족 등의 그룹의 소정 수의 멤버이면, 동일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각 멤버의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꿔 말하면, 인증 수단에 의해 인증 가능한 인증 정보를 갖는 정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이더라도, 다른 고객 ID의 유저 클라이언트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예를 들면, 정규품이더라도 소정 수보다 많은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 즉, 예를 들면, 가족 등의 비교적 소수의 그룹에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돌려쓰기는, 허가되지만, 끝없는 돌려쓰기를 제한함으로써, 유저의 사용 편리성의 좋은 점과,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적절한 운영 비용을 균형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인증 정보를 이용한 비정규품의 배제와, 복수의 유저 클라이언트에서의 사용의 제한을 피부 상태 측정 장치뿐만 아니라, 유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스킨케어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화장품 회사 등의 계약자가 많은 유저의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나, 유저의 부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계약자의 이용 요금에 의해, 유저는, 무료이거나 또는 저렴하게, 피부 상태의 분석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피부의 상태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와, 그때에 사용하고 있었던 화장품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의 효과의 유무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스마트폰의 표시 화면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폰에 등록된 에스테틱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유저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센서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피부 진단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케어 에스테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피부 개선 상황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피부 이력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피부 이력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데이터의 2차 이용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의 데이터의 2차 이용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지정 화장품의 효능 확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장품 등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케어 차트의 사용 화장품의 입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피부 이력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비교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장품 선택 화면 및 그래프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계약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검색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계약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검색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계약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데이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계약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데이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스마트폰의 진단 결과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이력 삭제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스마트폰의 과거의 진단 결과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이력 삭제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데이터 관리 서버에 스마트폰으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하기 위한 화질 변환 수단을 설치한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스마트폰에, 데이터 관리 서버에 보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하기 위한 화질 변환 수단을 설치한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회원인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유저에게,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자신의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가 얻어지는 서비스를 저비용(예를 들면 무료이거나 혹은 비교적 저렴한 회비)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에게 자신의 피부의 상태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에, 저비용으로 피부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판매수를 증가시킴과 함께, 유저에게 빈번하게 피부 상태의 측정을 행하는 것을 촉구하고, 그 측정 데이터로부터 분석 결과를 취득하게 함으로써, 많은 유저로부터 빈번하게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화장품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용품이나 스킨케어 장치(2)를 사용하게 하고, 피부의 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유저에게 파악하게 함으로써, 스킨케어 용품이나 스킨케어 장치(2)의 판매를 촉진한다. 또한, 피부 상태의 측정을 촉구하기 위해, 유저가 피부 상태를 측정하여 분석을 의뢰했을 때에, 유저에게 포인트를 부여해도 된다.
또, 많은 피부 상태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화장품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화장품 회사)에 유료로 각종 스킨케어 용품의 개발에 이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에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스킨케어 용품이나 스킨케어 장치(2), 또한, 유저의 대략적인 연령이나 거주 지역이나 연수(年收)나 직업 등의 부대 데이터를 덧붙임으로써, 측정 데이터에 부가 가치를 붙여서, 더 유효하게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등을 구입해주는 유저뿐만 아니라, 상술의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주는 화장품 회사 등의 데이터의 2차 이용자로부터 이익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와 스킨케어 장치(케어 에스테틱 장치)(2)가 접속 가능한 유저 클라이언트로서의 스마트폰(3)과, 스마트폰(3)과 인터넷(4)(네트워크)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데이터 관리 서버(5)와, 계약자 클라이언트(6)로서의 화장품 회사 등의 제휴 회사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는, 예를 들면 피부용 카메라이고, 촬상 소자와 조명용 LED를 구비하는 센서부(11)와, 제어부(12)와, USB(유니버설(universal)·시리얼·버스) 인터페이스(13)를 구비한다.
조명용 LED는, 예를 들면, 2색의 광을 출사(出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피부색광과, 백색광을 전환하여 조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부색광을 조사하면 피부의 상태가 명료하게 촬영 가능해져서, 피부의 살결(피부결)의 상태를 분석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살결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피부의 표면에 대략 삼각형의 그물코 형상의 홈이 비교적 논리 정연하게 보인다. 그에 비해 살결의 상태가 나쁘면 홈이 불명확해지거나, 그물코의 형상이 망가지거나, 홈이 잘 보이지 않게 되거나, 홈이 없는 부분이 거칠어진 상태가 된다.
또, 상술의 홈은 피부 소구(skin groove)라고 하고, 이 피부 소구로 둘러싸이는 대략 삼각형 상의 평평한 부분을 피부 소릉(skin hill)이라고 한다. 또, 이들 피부 소구 및 피부 소릉 이외에 모공이 보이게 되는데, 살결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모공이 작아 두드러지지 않는 것에 비해 상태가 나쁘면 모공이 커서 두드러지는 상태가 된다.
피부색광으로 피부를 확대 촬영하면, 이 살결의 상태가 명확한 화상이 되어, 화상 데이터의 분석을 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 백색광으로 조명한 경우에, 기미가 인식되기 쉬운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즉, 하얗게 비치는 피부에 대해 기미가 거무스름하게(회색으로) 비쳐서, 기미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피부용 카메라로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에서는, 살결 모드와 기미 모드를 전환하여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피부용 카메라에 의한 측정 데이터로서의 촬상 데이터에 관련하여, 살결 모드이거나 기미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스마트폰(3)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명으로서, 상술의 백색광이나 피부색광에 더하여 근자외인 예를 들면 375㎜ 정도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피부 중의 포르피린을 검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자외광을 조사했을 때에, 이에 따라 여기(勵起)된 포르피린이 발하는 적등색(赤橙色)의 형광에 의해, 포르피린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포르피린증인 환자의 피부에 포르피린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부 카메라의 촬영 부분은, 상자 형상의 후드를 구비하고, 그 안에 투명판(광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이 설치되며, 투명판의 후측(내측)에 렌즈, 촬상 소자, 조명용 LED 등이 설치되어 있다. 후드의 선단(先端)을 피부에 꽉 눌러서 주위의 광을 차광한 상태에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13)는, 예를 들면, 유저 클라이언트로서의 상술의 스마트폰(3)(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연산 처리 가능한 프로세서(CPU)를 구비한 인텔리전트(intelligent) 기기)과의 접속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스마트폰(3) 측에도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USB 인터페이스(13)가 클라이언트 측이 되고, 유저 클라이언트로서의 스마트폰(3)의 USB 인터페이스가 호스트 측이 된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는, USB 인터페이스(13)에 의해 측정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게 됨과 함께, 예를 들면, 조명용 LED의 밝기의 조정을 스마트폰 측으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USB 인터페이스(13)에는, 엔드 포인트(end point)라고 불리는 데이터 기억의 버퍼가 구비되고, 이 엔드 포인트에 기억된 데이터가 스마트폰(3) 측으로부터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라고 불리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스마트폰(3) 측으로부터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상술의 피부용 카메라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의 경우에, 예를 들면, 카메라(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인 것이 디스크립터에 기재되고, 스마트폰(3) 측에서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카메라용 드라이버, 또는, 후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일부로서 인스톨(install)된 드라이버가 세트된다.
또한, 디스크립터에는, 상술의 카메라 등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USB·Revision이나, 디바이스 클래스나, 벤더(vendor) ID 등이 등록된 디바이스·디스크립터, 전원 종류나, 최대 소비 전력 등이 등록된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디스크립터, 클래스 코드나, 상술의 엔드 포인트 수 등이 등록된 인터페이스·디스크립터나, 엔드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 방향이나, 전송 방식이나, 최대 버킷 사이즈 등이 등록된 엔드 포인트·디스크립터 등이 있다.
또, 디스크립터에는, 문자열을 기억하는 스트링(string)·디스크립터가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문자열용의 디스크립터에 인증용 문자열로서 소위 제품 시리얼 No.가 기억되어 있다. 이 제품 시리얼 No.에 의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특정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소정의 메이커에서 제조된 장치인 것을 인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는, 인증용 문자열을 기억함과 함께 유저 클라이언트(휴대 단말)인 스마트폰(3)으로 출력하는 장치 인증 송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즉, 동일한 기능을 갖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이더라도,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운영 회사에서 인정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만을 상기 제품 시리얼 No.로 인식하여, 이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제품 시리얼 No.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나, 소정의 문자 배열로 된 제품 시리얼 No.가 아니고, 인증할 수 없는 제품 시리얼 No.인 경우에,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이 금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서의 피부 카메라와 스마트폰(3)의 데이터 통신은, US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유선의 시리얼 또는 패럴렐 통신이나, 무선의 Bluetooth나 WiFi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피부 카메라로서는, 스마트폰 등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컨버전 렌즈(conversion lens)를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되고, 스마트폰(3)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4)을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3)에 피부 카메라를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피부 카메라로부터 스마트폰에 송신할 필요가 없어, 화상 데이터의 송신용의 통신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컨버전 렌즈에 있어서도, 외광이 아니고, 상술의 피부색광의 LED와 백색광의 LED를 이용하여 촬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 측의 촬영 타이밍(셔터의 작동 타이밍)과, 컨버전 렌즈 측의 백색광 LED의 발광 타이밍과, 컨버전 렌즈 측의 피부색광 LED의 발광 타이밍을 맞출 필요가 있다. 즉, 컨버전 렌즈 측의 백색광을 발광시킨 상태에서의 스마트폰(3)에 의한 촬영과, 컨버전 렌즈 측의 피부색광을 발광시킨 상태에서의 스마트폰(3)에 의한 촬영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술의 USB 등의 유선 통신이나, Bluetooth나 WiFi나 NFC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기본적 스마트폰(3)에서는, 후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촬영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촬영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고, 촬영 시의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스마트폰(3)으로부터 컨버전 렌즈의 백색광 LED(구동 회로) 및 피부색광 LED(구동 회로)를 온 오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그래서, 컨버전 측에 수광 장치를 배치하고, 스마트폰(3)의 촬영 시의 조명(플래시)용의 LED의 발광을 상술의 수광 장치가 수광한 것에 의거하여, 상술의 LED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셔터음과 같은 스마트폰 측에서 출력되는 음에 의해 상술의 LED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때에는, 음에 의한 제어에, DTMF(Dual·Tone·Multi·Frequency)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 컨버전 렌즈 측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백색 LED의 점등 및 소등과, 피부색 LED의 점등 및 소등을 행하도록 하고, 이 점등과 소등을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검지하며, 이것에 의거하여, 피부색광 LED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의 살결 모드의 촬영과, 백색광 LED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의 기미 모드의 촬영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컨버전 렌즈로부터 스마트폰(3)을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 컨버전 렌즈가 정규품인지 비정규품(위조품)인지의 식별이나, 각 컨버전 렌즈의 이용 조건의 차이 등의 식별에 이용되는 ID(시리얼 No.)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컨버전 렌즈 측으로부터 스마트폰(3) 측에 상술의 USB, Bluetooth, WiFi, NFC 등을 이용하여 ID를 송신해도 된다. 또, 이들 통신 수단을 컨버전 렌즈 측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예를 들면, 컨버전 렌즈의 구입 시에 컨버전 렌즈에 부대하는 상자, 매뉴얼, 보증서 등의 부대물에 2차원 바코드 등의 바코드나 그 밖의 코드나 문자열을 스마트폰(3)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 또는 이 화상의 화상 인식에 의해 바코드 등으로부터 변환된 ID나, 문자 인식된 ID를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컨버전 렌즈의 스마트폰(3)에 의한 촬영에 있어서 촬영 화상에 찍히는 부분에, 상술의 바코드나 문자열을 배치하고, 촬영된 피부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냄으로써,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 피부 화상 데이터에 찍힌 바코드 등으로부터 컨버전 렌즈의 ID를 판독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장래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매크로 기능이 부여되어, 피부의 접사가 가능해지거나, 단지 매크로 기능이 아니라, 피부 카메라로서 상술의 살결이나 기미의 촬영이 가능한 광학계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될 가능성이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부속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컨버전 렌즈 없이 피부를 촬영하며, 그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서는, 상술의 피부용 카메라 이외에 예를 들면 경표피(transepidermal) 수분 증산량을 측정하는 주지의 증산계(蒸散計)이더라도 되고, 피부의 멜라닌량을 계측하는 멜라닌계(計)이더라도 된다.
또, 직접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는 아니지만, 환경 측정 센서로서 자외선(UV)을 측정하는 장치(UV 체커(checker))를 스마트폰(3)에 접속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피부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을 보는 데에 있어서는, UV 체커는,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UV-A와, 염증을 일으키는 UV-B를 따로따로 독립된 수치 데이터로 하여, 각각 연속적으로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는, 상술의 제품 시리얼 No.와 측정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스마트폰(3)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품 시리얼 No.가 인증되면, 스마트폰(3)을 통하여 출력되는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컨버전 렌즈의 경우에는, 상술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에서 컨버전 렌즈의 제품 시리얼 No.를 스마트폰(3)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마트폰(3)과 컨버전 렌즈 측에서 통신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버전 렌즈의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범위에서 피부의 촬영 범위 외에 제품 시리얼 No.를 나타내는 2차원 바코드 등의 광학 인식 가능한 코드를 배치하고, 이에 따라, 컨버전 렌즈로부터 스마트폰에 제품 시리얼 No.를 송신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 측에는, 2차원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후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일부로서 인스톨해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컨버전 렌즈·피부 카메라의 이용자와 그 밖의 이용자의 구분이 가능해지고, 또한, 위조 컨버전 렌즈·비정규 컨버전 렌즈의 배제 혹은 부적절 촬영 화상의 배제도 행할 수 있다.
또,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서의 피부용 카메라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 하에서 촬영을 행하고, 그때에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제품 시리얼 No.를 스마트폰(3)을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면, 밝기나 색조의 교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 하에서의 촬상은, 예를 들면, 흑백 패턴이나 컬러 패턴에 피부용 카메라의 후드를 꽉 누른 상태에서의 촬영이다.
교정에 의해 얻어진 교정 데이터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수정해도 되고, 예를 들면, 피부용 카메라 측에서 교정 데이터에 의거하는 조광(調光) 데이터나 조색(調色) 데이터에 의해 조명용 LED의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3)에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접속하는 것으로 했지만, 블루투스(등록 상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3)에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접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킨케어 장치(2)에는, 예를 들면, 플러스 이온으로 피부의 더러움을 없애는 이온 클렌징 장치, 피부에 미약한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부의 깊숙한 곳까지 이온화한 성분을 침투시키는 이온 도입 장치, LED의 광을 쬠으로써 피부의 세포의 활성화와 온열 효과를 부여하는 LED 광 에스테틱 장치, 게르마늄 등이 장착된 롤러로 피부에 자극을 주어, 마사지 효과를 갖는 롤러 에스테틱 장치, 피부를 냉각하여 모공을 조이는 쿨 에스테틱 장치, 초음파에 의해 마사지 효과와 온열 효과를 부여하는 초음파 에스테틱 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또, 스킨케어 장치(2)는, 실제로 피부에 작용하는 작동부(21)를 구비함과 함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와 동일하게, 제어부(12), USB 인터페이스(13)를 구비한다. 또, 스마트폰(3)에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스킨케어 장치(2)를 접속함으로써, 스마트폰(3)에 의해, 스킨케어 장치(2)의 작동 시간이나 출력의 레벨 등을 제어 가능해지고, 유저가 스킨케어 장치(2)를 작동시키고 나서 스마트폰(3) 측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작동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출력 레벨이 복수 단계 있는 스킨케어 장치(2)에서는, 스마트폰(3) 측으로부터 출력 레벨을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후술의 데이터 관리 서버(5)에는, 상술의 분석 결과 데이터와, 스킨케어 장치(2)의 작동 시간이나 출력 레벨과 같은 제어 방법이 관련지어진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5l)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2)로부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취득하여,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방법을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5l)로부터 취득하여, 스킨케어 장치(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스킨케어 장치(2)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킨케어 장치(2)에 있어서도,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와 동일하게 인증용 문자열로서의 제품 시리얼 No.가 출력 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3)이지만, 예를 들면 노트북이나, 태블릿형(패드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처리를 행하는 범용 연산 처리 장치(예를 들면 CPU)를 구비한 장치이다. 유저 클라이언트로서는, 무선 전화 회선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 회선에 의해, 네트워크로서의 인터넷(4)에 접속 가능하고 휴대 가능한 기기가 바람직하다.
유저 클라이언트로서의 스마트폰(3)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으로서 휴대용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무선 LAN(WiFi)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서의 인터넷(4)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무선 휴대 단말(무선 휴대 클라이언트)로 되어 있다.
또 스마트폰(3)에서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이라고 간단히 한다)을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5j)으로서 피부 상태 측정용 애플리케이션을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스마트폰(3)으로 다운로드하도록 되어 있다.
스마트폰(3)에서 실행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기능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기능을 갖는다. 즉 진단 에스테틱, 케어 에스테틱, 생활 에스테틱, 메이크업 에스테틱의 4개의 기능이다. 진단 에스테틱은,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스마트폰(3)에 접속되는 각종의 측정 장치(센서)를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각종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측정 장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이 입력된 스마트폰(3)의 USB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이용 가능해진다. 또, 각 종류의 측정 장치를 바꾸어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다른 센서에 의한 측정이 가능하고, 주로 피부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 각종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하여 기억해 둘 수 있음과 함께, 측정 결과로부터 피부의 상태를 분석하게 하는 바와 같은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어 에스테틱은, 각종 스킨케어 장치를 스마트폰(3)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상술의 진단 에스테틱과 동일하게, 각종 스킨케어 장치를 USB 단자에 장착함으로써 사용 가능하다. 또, 스마트폰(3)과 접속함으로써, 사용 이력을 남길 수 있고, 스마트폰(3)을 데이터 관리 서버(5)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로 함으로써, 각종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도 가능해진다.
생활 에스테틱은, 진단 에스테틱이 주로 피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평소의 생활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자외선량을 체크하거나, 구취를 체크하거나 하는 기기를 스마트폰(3)의 USB 단자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이크업 에스테틱은 주로, 메이크업 등에 관한 정보 제공을 행하는 것이다.
도 2에는, 스마트폰(3)의 표시 수단으로서의 표시 화면(3a, 3b, 3c, 3d)을 나타내는 것이고, 표시 화면(3a)은 메인 메뉴를 나타내며, 표시 화면(3b)은 진단 에스테틱 메뉴를 나타내고, 표시 화면(3c)은 등록 센서 표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후술과 같이, 등록 센서 표시에서는, 미리 등록 가능한 기기의 마크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지만, 등록된 경우가 없는 기기의 마크는 등록된 경우가 있는 기기의 마크보다 어둡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측정 장치나 스킨케어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시스티메틱(systematic)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술과 같은 마크의 표시에 의해, 스마트폰(3)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를 모으고 싶다는 의욕을 생기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케어 에스테틱에 있어서도, 표시 화면(등록 화면(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킨케어 장치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어 에스테틱의 등록 화면(3d)에 있어서, 등록된 경우가 있는 기기의 마크가 밝게 빛나고, 등록된 경우가 없는 기기는, 어둡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스마트폰(3)의 연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피부 상태 측정용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은, 상술과 같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서의 피부용 카메라를 접속한 경우에, 피부용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입력하고, 인터넷(4) 상의 데이터 관리 서버(5)로 출력하는 측정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송신되는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되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상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은,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운영자가 관리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회원(유저)이 되기 위한 유저 데이터(개인 정보)의 입력인 회원 등록이나, 유저 데이터 중 개인을 특정 가능한 소정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부대 데이터의 입력인 앙케이트에의 응답을 행하는 유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상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은, 후술과 같이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기억되어 있는 상술의 각 유저 데이터,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데이터 열람 요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은, 요구한 데이터가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이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용 문자열을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하는 장치 인증 송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스마트폰(3)에, 스킨케어 장치(2)용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케어용 애플리케이션)(5j)을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인스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스킨케어 장치(2)의 제어 방법을 취득하는 제어 방법 취득 수단으로서의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으로서의 케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제어 방법을 취득하여, 스킨케어 장치(2)를 상술과 같이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스마트폰(3)의 케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스케줄을 취득하는 스케줄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이 사용 스케줄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통지하는 스케줄 통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스마트폰(3)의 케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스킨케어 장치(2)로부터 작동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와, 작동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사용 일시와 사용 시간의 데이터를 갖는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사용 이력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하는 사용 이력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술의 유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1)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2)와, 측정 데이터로부터 분석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53)와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54)를 구비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5)는, 더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로서 기능하기 위한 CPU 등을 갖는 제어부(5k)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1)가 복수로 나누어져 있고,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1)로서, 고객(유저)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 케어 에스테틱 데이터베이스(5c),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는,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52)로서,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는,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53)로서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는,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54)로서,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는, 상술의 데이터베이스(51∼54) 이외에, 복수의 스마트폰(3)에서, 하나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나 스킨케어 장치(2)를 돌려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동일한 제품 시리얼 No.의 장치를 관리하는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는, 상술의 데이터베이스(51∼54) 이외에, 분석 결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킨케어 장치(2)의 제어 방법을 검색 가능한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5l)와, 피부용 카메라(화상 데이터)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데이터베이스(5m)와, 간이 진단의 결과에 의거하여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스케줄을 구하기 위한 스케줄용 데이터베이스(5n)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5)는, 상술의 데이터베이스(51∼54) 이외에,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와 화장품 메이커 관리 데이터베이스(5q)를 구비한다.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3)을 이용하여 유저가 입력한 데이터로서, 고객 ID, 개인 유저 ID, 개인 패스워드,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주소 1(나라), 주소 2(도도부현(都道府縣; 일본의 광역 보통 지방 자치 단체의 총칭)), 주소 3(시정촌(市町村;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의 총칭)(구(區; 일본의 행정 구획))), 주소 4(번지(맨션명 방 번호)), 메일 주소, 과금 정보(신용 카드 정보 등)가 기억된다. 또한 고객 ID는, 개인의 유저 ID에 대응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 붙여지는 ID이고, 개인 유저 ID는, 유저가 다른 유저의 개인 유저 ID와 겹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설정하는 ID이다. 또, 개인 패스워드는, 개인 유저 ID와 합쳐 유저의 인증에 이용된다. 또한, 각 유저에게 1 대 1로 대응하는 ID로서, 고객 ID와 개인 유저 ID의 2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을 하나의 ID로 겸용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유저 ID로서, 고객 ID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되며, 유저 ID로서 개인 유저 ID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Figure pct00001
또,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저에 관련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두 고객 ID로 관리되어 있고, 각 유저에 관련되는 데이터가 각각 기억되어 있는 각 데이터베이스를 고객 ID로 검색함으로써, 각 유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모두 검색하여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 있어서도, 각 고객 ID마다 관련지어 각 유저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또,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스마트폰(3)에 접속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나 스킨케어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제품 시리얼 No.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품 시리얼 No.는, 후술과 같이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 인증된 후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고, 제품 시리얼 No.가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품 시리얼 No.의 인증을 행하지 않는다.
또,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객 ID와 데이터 입력 일시에 관련지어,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 이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져서, 분석 결과 기억 수단으로서 각 간이 진단(분석) 결과의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한, 예를 들면, 30분 이내 등의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 종류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종합 간이 진단이 행하여지고, 이 종합 간이 진단의 결과의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한, 측정 데이터에 대해 상세 진단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상세 진단의 결과가 통지된 후에,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고객 ID와 측정 일시에 관련지어 상세 진단의 결과의 데이터가 등록되고,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에는,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에의 당해 기록 데이터의 저장 어드레스가 등록된다.
Figure pct00002
또한 간이 진단은, 예를 들면, 미리 축적된 측정 데이터와 진단 결과 데이터로서의 피부 상태의 랭크를 미리 대응지어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에 등록해두고,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에 측정 결과로서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근사한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며, 당해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랭크를 간이 진단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처리는, 피부 상태 분석 수단으로서의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간이 진단프로그램(5f)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 피부용 카메라와 같이, 측정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주지의 화상 인식에 의해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에 등록된 측정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 중으로부터, 피부용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근사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력 피부 화상으로서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색광의 LED 조명으로 촬영한 살결 진단용 화상과, 백색광의 LED 조명으로 촬영한 기미 진단용 화상과, 자연광에 가까운 LED 조명을 이용한 촬상한 피부 화상 또는 상술의 백색광 또는 피부색광의 LED로 촬영할 때에 화이트 밸런스(예를 들면 오토 화이트 밸런스)에 의해 색을 재현한 피부 화상이 있다. 피부 화상은, 예를 들면, 피부의 색(햇볕에 타거나 그을음 등에 의한 색의 차이)의 판정으로 이용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의 색의 판정은, 간이 진단에서는 행하여지지 않고, 상세 진단에서 행하여진다.
각 진단용의 화상을 이용한 간이 진단에서는, 살결, 기미, 주름이 판정된다. 또한 주름은, 예를 들면, 살결 진단용 화상이 이용되지만 다른 화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간이 진단에는, 상술과 같이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에 기억됨과 함께 점수(랭크)와 관련지어진 다수의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저가 촬영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점수(랭크)가 간이 화상 진단의 결과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다수 수집된 화상 데이터를 살결, 기미, 주름의 랭크로 통계 처리하고, 편차값을 구해두며, 유사한 화상 데이터의 편차값을 진단 결과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일본 특허 5080060호 공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모공, 각전(角栓)의 포르피린, 주름, 기미, 피부색의 각 해석 방법에 의해, 상술의 진단용 화상을 이용하여 진단 결과(분석 결과)를 얻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피부 이력 데이터에는, 데이터 입력 일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3)에 내장된 GPS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측정 지점)가 GPS 데이터로서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의 GPS의 측정 지점에 있어서의 날씨 정보를 날씨 정보 사이트로부터 취득하여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일시는, 피부의 각 측정을 행한 일시이지만, 간이 진단 결과가 기억된 일시여도 된다. 각 항목의 데이터는, 피부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측정 조건 플래그는, 예를 들면, GPS 데이터가 통상의 측정 지점으로부터 먼 경우, 예를 들면, 전회까지의 복수 회의 측정에 있어서, 동일한 현이나 동일한 시에서 측정이 연속해서 행하여지고 있었던 것에 대해,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측정 지점으로부터 피부의 측정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당해 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나 간이 진단 결과에 대해 플래그(측정 조건 플래그)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정 지점 외에 날씨 정보에 있어서의 기온이나 습도가 소정 범위 또는 입력 일시에 있어서의 측정 지점에서의 평균 기온이나 평균 습도와의 차가 소정 범위를 넘는 바와 같은 경우에 측정 데이터나 간이 진단 결과에 플래그를 설정해도 된다.
이 플래그가 설정된 측정 데이터나 간이 진단 결과는, 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는 등의 통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제외되고, 예를 들면, 플래그가 설정된 데이터는, 통계 처리를 행할 때의 모집단에 포함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언제나 있는 장소와는 멀리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나, 기상 조건이 대폭 다른 경우에는, 환경 조건이 대폭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측정 결과가 이상(異常)값이 될 가능성이 있고, 통계 결과에 이상값이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계 처리의 모집단으로부터 플래그가 설정된 데이터를 제외하도록 되어 있다.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에는, 상술과 같이 구해지는 살결, 기미, 주름의 간이 진단 결과로서의 점수(랭크)나 편차값이 등록된다. 또 이들 살결, 기미, 주름의 진단 결과나, 피부 화상에 있어서의 색(건조나 피부가 거칠어짐에 의한 붉음 등)이나, 아토피에 의한 습진의 유무나, 건조에 의한 살결의 흐트러짐으로부터 피부 타입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부 타입은, 상세 진단에서도 결정되도록 되어 있고, 후술의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 상세 진단은, 측정 데이터를 예를 들면 제휴 기업으로서의 화장품 회사 서버(화장품 회사 A 서버(61), 화장품 회사 B 서버(61))에서 행하여지는 것이고, 화장품 회사 서버가 피부 상태 분석 수단이 된다. 기본적으로는, 간이 진단과 동일하게, 측정 데이터와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련지은 상세 진단 시스템(62)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에서 얻어진 측정 데이터에 근사한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고, 당해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분석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만, 상세 진단에서는, 예를 들면, 등록되어 있는 측정 데이터 수 및 분석 결과 데이터가 간이 진단의 경우보다 많고, 상세 진단용의 데이터베이스에 더욱 자세하게 분류된 상태로 되어 있어, 간이 진단보다 상세한 분석 결과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세 진단용으로 각 화장품 회사 독자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객 ID에 관련지어 스킨케어 용품(화장품)의 이력 데이터가 각 화장품 카테고리(종류)마다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이력의 데이터는, 유저가 구입한 화장품을 등록하는 것이고, 후술의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에 의해,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의 스마트폰(3)을 통하여 유저가 구입한 화장품(사용하는 화장품)의 상품 코드가 등록된다. 이 상품 코드가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특정 정보가 된다. 또한 여기서는, 상품 코드로서, 바코드로 이용되어 넣는 JAN(Japanese Article Number) 코드가 이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3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서는, 표 3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력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장품의 카테고리(종류)를 나타내는 번호와, 상품 코드와, 사용 개시일과 사용 종료일이 등록된다.
표 3의 우측에서는, 일례로서, 화장품 카테고리가 세안료(洗顔料)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세안료의 상품 카테고리의 코드 넘버로서 1이 등록되며, 상품 코드에 사용 개시일, 사용 종료일이 결합되어 기억된다. 또한, 사용 중인 경우(사용 종료를 입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 종료일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또한, 사용 개시일은, 상술의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가 행하여진 날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피부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처리에 의해 사용 개시한 화장품이 있는 경우에 유저에게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3)의 표시에서는,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에 의해 화장품의 정보가 등록되는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5p)에 등록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화장품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화장품의 상품명(+메이커명 등)이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등으로 일람 표시되고, 그 중으로부터 사용 개시하는 화장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에 따라,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있어서, 화장품명에 관련지어진 상품 코드가 등록됨과 함께, 입력일이 사용 개시일로서 등록된다. 동일하게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으로부터 사용 종료한 화장품이 있는 경우에 유저에게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는, 사용 개시한 화장품의 상품명 등의 데이터를 풀다운 메뉴 등으로 일람 표시하고, 사용 종료한 화장품의 상품명 등을 유저가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도 선택된 화장품의 상품 코드가 입력됨과 함께 입력일이 사용 종료일로서 등록된다. 또한, 사용 화장품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후술과 같이 바코드를 입력하거나, 키워드 검색으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를 검색하여 추출된 화장품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사용 종료일에 대해서는, 신규로 동일 카테고리의 화장품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등록된 경우에, 유저에게 등록 완료된 동일 카테고리의 화장품을 사용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문의하고, 그 회답에 의거하여 당해 화장품의 사용 종료일을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화장품마다 화장품의 용량(ml)과 추장(推奬) 사용량(ml/회)이 등록되어 있고, 데이터 관리 서버(5) 또는 스마트폰(3)에서, 사용 개시일로부터 1일의 화장품의 사용 횟수에 추장 사용량을 승산한 값을 매일 가산(적산)해 감과 함께, 화장품의 용량과 비교하여, 매일 가산된 값이 용량을 넘은 경우나, 용량의 90% 등의 용량의 소정 비율을 넘은 경우에,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이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 다 떨어져 있지 않은지, 혹은 잔량이 적어져 있지 않은지를 통지하며, 유저에게 사용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문의하고, 그 회답에 의거하여 사용 종료일을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때에는, 얼마 남지 않게 된 화장품을 사도록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화장품의 통신 판매 사이트의 얼마 남지 않게 된 상품의 페이지의 URL을 당해 페이지를 링크한 상태로 표시해도 된다.
또,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화장품이 다 떨어지거나, 얼마 남지 않게 된 것에 대응하여, 얼마 남지 않은 화장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다른 화장품을 소개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때는, 당해 화장품의 메이커나 판매 회사의 당해 화장품의 웹 페이지의 URL을 당해 페이지를 링크한 상태로 표시해도 된다.
화장품 카테고리는,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세안료, 클렌징,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 미백액, 기타 등이고, 이들 각 카테고리에 대해, 상술의 카테고리 넘버가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화장품 카테고리는, 일례이고, 다른 카테고리의 구분 방법을 행하여도 된다.
Figure pct00004
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의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는,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의 고객 ID에 관련지어, 예를 들면, 유저가 임의로 매일, 아침과 밤에 사용한 화장품을 등록하는 것이다. 상술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서는, 화장품의 사용 개시일과 사용 종료일이 등록되지만,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서는, 매일, 아침과 밤에 사용한 화장품을 등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스케줄러 기능 하에서, 사용한 화장품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는, 고객 ID와, 날짜와 시간대로서 아침 또는 밤과, 사용 화장품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상술의 상품 코드가 등록된다.
Figure pct00005
예를 들면, 표 5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있어서는, 날짜와 아침 또는 밤이라는 시간대와, 사용한 화장품의 상품 코드가 등록된다. 이 상품 코드는, 상술의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화장품의 정보로부터 선택되게 되고, 상술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등록된 화장품이 스마트폰 화면 상에 표시되며, 표시된 화장품으로부터 실제로 사용한 화장품을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케어 에스테틱 데이터베이스(5c)에는,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객 ID에 관련지어, 각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이력으로서, 스킨케어 장치(2)의 종류를 나타내는 케어 에스테틱 종류 코드(종별)와, 스킨케어 장치(2)의 작동 개시 일시를 나타내는 케어 에스테틱 개시 일시와, 그 후의 스킨케어 장치(2)의 작동 종료 일시를 나타내는 케어 에스테틱 종료 일시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킨케어 장치의 개시, 종료 일시는, 스킨케어 장치(2)를 사용했을 때에, 스킨케어 장치가 접속된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에 의해 자동적으로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분석 결과 기억 수단으로서의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는,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상세 진단의 결과를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하는 것이고, 상세 진단이 행하여진 날인 진단 일시(상세 진단을 의뢰한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를 포함해도 된다)와 상세 진단 결과의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 상세 진단의 결과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어드바이스의 데이터나, 추장 화장품(스킨케어 용품)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어드바이스 데이터나 추장 화장품 데이터는, 화장품 회사 A 서버, 화장품 회사 B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어드바이스 결정부, 추장 화장품 결정부에서 결정되지만, 기본적으로 각 어드바이스 및 추장 화장품이 각 상세 진단 결과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고, 상세 진단 결과가 정해짐으로써, 어드바이스와 추장 화장품이 결정된다.
어드바이스는, 예를 들면, 생활 습관 등에서 피하는 편이 좋은 것이나, 피부의 마사지 방법 등이다. 또 추장 화장품은, 상세 진단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피부의 상태에 적합한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상품이다.
상세 진단의 결과는, 기본적으로는 간이 진단과 동일하게 미리 등록된 측정 데이터를 랭크 구분해두고, 이 등록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에 근사한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며, 당해 측정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진단 결과를 진단 결과로 하는 것이고, 여기서는, 예를 들면 피부 타입, 살결, 기미, 주름, 건조, 모공, 색 등이 진단된다. 즉, 간이 진단보다 진단 항목이 많게 되어 있음과 함께, 진단 결과가 더 상세하게 판정되도록 되어 있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피부 타입의 판정은, 예를 들면, 상술의 간이 진단에서도 판정되는 것이고, 기본적으로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에, 각 피부 타입마다의 피부의 화상 데이터가, 각 피부 타입마다 복수 개씩 등록되어 있으며, 화상 인식에 의해, 입력된 측정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피부 타입이 선택되게 된다. 또한 기본적인 방법은, 상세 진단에서도 동일하지만, 상세 진단의 쪽이 화상 인식 능력이나, 사용하는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화상 데이터의 수량 등이 간이 진단보다 우수하다. 또한 피부 타입에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보통 피부, 2 민감 피부, 3 지성 피부, 4 혼합 피부, 5 건조 피부, 6 아토피 피부 등이 있고, 이 코드가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에 등록된다.
Figure pct00008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5g)는,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이 피부 진단에 이용되는 것이고, 측정 데이터에 대응하여 피부의 살결, 피부의 기미, 화상 데이터로부터의 피부색 해석, 화상 데이터로부터의 피지 해석, 증산계의 데이터로부터의 수분 해석 등으로서, 각각, 예를 들면, 나쁜 상태로부터 양호한 상태까지, 피부의 상태가 10단계의 랭크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이 상술과 같이 등록된 다수의 측정 데이터에 관련지어져 있다.
따라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로 피부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랭크를 얻을 수 있다. 이 랭크가 간이 진단의 결과가 된다.
Figure pct00009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는,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제품 시리얼 No.와, 각 스킨케어 장치(2)의 제품 시리얼 No.가 등록되어 있다. 이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 시리얼 No.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Figure pct00010
또,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 있어서는, 상술의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1) 및 스킨케어 장치(2)의 제품 시리얼 No.와, 고객 ID를 대응지은 것이다. 상술과 같이 시리얼 No.의 인증이 행하여져서, 각 피부 상태 측정 장치(1), 스킨케어 장치(2)가 인증된 경우에, 각 장치가 접속된 스마트폰(3)에 대응하는 고객 ID에 관련지어 인증된 시리얼 No.가 등록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하나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 또는 스킨케어 장치(2)를 3명까지, 즉, 3대의 스마트폰(3)까지 공유하여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하나의 제품 시리얼 No.에 대해 4번째가 되는 고객 ID가 등록되면, 그 고객 ID의 스마트폰(3)을 통하여 상술의 제품 시리얼 No.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 또는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이 금지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3)의 상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에서 에러가 되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 또는 스킨케어 장치(2)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는,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계약자, 예를 들면, 화장품 회사 등의 스킨케어 용품의 개발을 행하고 있는 회사) 고객 ID, 이용자 유저 ID 및 이용자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 2차 이용자의 인증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에는, 이용자 ID에 관련지어 이용자 검색 레벨 및 이용자 액세스 레벨의 데이터와, 과금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과금 정보는, 데이터 2차 이용자가 데이터의 검색이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의 취득을 행한 경우의 과금의 데이터이고, 과금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이용 요금이 이용자에게 청구된다.
또 이용 요금은, 검색 레벨 및 액세스 레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되어 있고, 검색 가능한 키워드(검색 항목)가 많을수록 이용 요금이 비싸지며, 액세스 레벨이 높을수록 이용 요금이 비싸진다.
Figure pct00011
또, 표 11에는, 구체적인 검색 레벨의 차이에 의한 검색 키워드(검색 항목)의 차이를 나타냄과 함께, 액세스 레벨의 차이에 의해 액세스 가능, 즉,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낸다. 표 11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레벨 1, 검색 레벨 2의 각 항목은, 각각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집합으로서의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는, 측정 방법마다 블록 구분되어 있다.
또한 연령, 성별, 주소 1, 주소 2, 주소 3은, 상술의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이지만, 데이터 2차 이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제외한,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및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 등이다.
즉, 소정의 개인 정보로서, 개인 유저 ID, 개인 패스워드, 성명, 생년월일, 주소 4를 포함하는 주소 전체, 메일 주소, 과금 정보, 시리얼 No.의 데이터를 데이터 2차 이용자가 볼 수 없도록 되어 있고, 각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는, 이용자가 액세스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령, 성별, 주소 1, 주소 2, 주소 3의 정보는, 고객 ID에 관련지어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나,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이용자가 보게 된다.
여기서 검색 레벨은, 검색의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레벨 구분한 것이다. 검색 항목은 상술의 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부대 데이터의 각 데이터 블록 중 일부의 데이터 블록에 설정되어 있고, 표 11의 검색 레벨 1, 2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것이다. 즉,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주소 1의 데이터 블록, 연령의 데이터 블록 등이 있고, 이들 데이터 블록이 검색 항목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검색 레벨 1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항목은,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항목으로부터 각 고객 개인을 특정 가능한 정보나, 과금 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의 항목이다. 또, 검색 레벨 1에 대해 검색 레벨 2의 쪽이 높은 레벨이 되고, 검색 레벨 2에는, 검색 레벨 1로 레벨 구분된 검색 항목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즉, 각 검색 레벨에는, 그것보다 하위의 검색 레벨의 검색 항목이 포함된다. 바꿔 말하면, 검색 레벨 2로 레벨 구분된 항목은, 검색 레벨 1로 레벨 구분된 검색 항목에, 추가로 검색 항목을 더한 것이고,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품의 사용 이력이 검색 항목으로서 더해져 있다.
액세스 레벨은,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을 레벨 구분한 것이고, 예를 들면 측정 데이터에는, 상술과 같이 입력 피부 화상, 입력 증산계 데이터, 입력 멜라닌계 데이터 등의 데이터 블록이 있으며, 검색 결과로서는 입력 피부 화상만을 원하는 경우에, 입력 피부 화상의 데이터 블록을 선택함으로써, 입력 피부 화상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만이 출력된다.
또, 액세스 레벨에 있어서의 데이터 블록의 레벨 구분에 있어서도, 상위의 액세스 레벨은, 그것보다 하위의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표 11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레벨 2에서는, 검색 항목으로서, 예를 들면 클렌징 이력 데이터, 세안료 이력 데이터, 화장수 이력 데이터, 미용액 이력 데이터, 보습 크림 이력 데이터 등의 스킨케어용의 화장품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종 측정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사용 화장품의 이력 데이터는, 후술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5d)에 등록되는 것이다. 또한, 스킨케어용의 화장품의 구분 방법은 일례이고,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의 구분 방법이더라도 된다.
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에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상품 코드와 화장품의 사용 시기(예를 들면, 사용 개시일과 사용을 중지한 경우 혹은 다 사용한 경우의 사용 종료일)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보고 싶은 경우에, 특정한 화장품을 검색 키로 하여, 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한 경우에, 예를 들면, 당해 사용 화장품의 사용 시기가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 및 분석 결과 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진단)한 결과이고, 후술과 같이 피부 상태가 예를 들면 점수로 나타나며, 피부 상태가 양호할수록 점수가 높아진다.
상술과 같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분석 결과 데이터(진단 결과)를 검색한 경우에, 화장품의 사용 기간에 있어서의 피부 상태의 진단 결과를 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그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피부 상태의 진단 결과의 점수가 증가 경향인지, 감소 경향인지, 높은 점수로 추이하고 있는지, 낮은 점수로 추이하고 있는지 등을 많은 유저에 대해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장품의 효능을 조사 가능하다. 또, 분석 결과 데이터의 검색은, 상술과 같이 복수 종류로 나누어진 화장품의 복수 종류를 검색 항목으로 하여 검색 가능하고, 복수의 화장품의 상승(相乘) 효과나, 효과의 상쇄 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진단 결과로서, 피부 화상에 의한 살결이나 기미의 결과나, 멜라닌계의 결과나, 증산계의 결과 등,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종류에 의거하는 복수 종류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 화장품이 어느 분석 결과에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은지 등의 판단도 가능하다. 이들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검색 키로 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 화장품의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이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서버(5)에는, 교정용 데이터베이스(5m)를 구비한다. 교정용 데이터베이스(5m)는, 예를 들면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용 카메라로, 소정 조건에서의 촬상으로 하여, 흑백 패턴을 촬상한 경우의 화상 데이터와, 밝기의 랭크가 관련지어지고, 컬러 패턴을 촬상한 경우의 화상 데이터와 색조의 랭크가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다. 밝기 랭크로서 예를 들면 0으로부터 10의 랭크가 등록되고, 색조의 랭크로서 각 청색, 녹색, 적색마다의 랭크가 0으로부터 10까지 등록되어 있다.
각 랭크에 대응하여 등록된 화상 데이터와 측정된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교정 데이터를 얻게 되지만, 예를 들면 랭크 5가 표준이 되고, 그것보다 랭크가 낮으면 어둡거나 또는 대응하는 색이 엷은 상태이며, 그것보다 랭크가 높으면 밝거나 또는 대응하는 색이 진한 상태가 된다. 이 교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 LED의 조광이나 조색을 행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보정을 행하거나 함으로써, 각 피부용 카메라의 개체차 등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Figure pct00012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의 랭크에 관련지어 상기 스킨케어 장치(2)의 제어 방법이 등록되어 있는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5l)는, 예를 들면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간이 진단에 있어서의 랭크와, 스킨케어 장치(2)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을 관련지은 것이다.
예를 들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피부용 카메라의 살결 모드로 하고, 스킨케어 장치(2)를 이온 클렌징 장치로 한 경우이며, 또한, 이온 클렌징 장치에 있어서의 출력 레벨을 예를 들면 3단계로 바뀌는 것으로 한 경우를 상정한 스킨케어용 데이터베이스(5l)에 있어서는, 피부의 살결의 랭크가, 랭크 1∼랭크 3인 경우에, 출력 레벨을 가장 높은 3으로 하고, 작동 시간을 15분으로 한다. 또, 살결의 랭크가 4∼7인 경우에 출력 레벨을 한가운데인 2로 하고,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한다. 또, 살결의 랭크가 8∼10인 경우에, 출력 레벨을 가장 낮은 1로 하고, 작동 시간을 5분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피부의 상태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스킨케어 장치(2)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13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의 랭크에 관련지어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스케줄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스케줄용 데이터베이스(5n)는, 예를 들면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간이 진단에 있어서의 랭크와, 스킨케어 장치(2)에 있어서의 사용 스케줄을 관련지은 것이다.
예를 들면, 측정 수단을 피부용 카메라의 살결 모드로 하고, 스킨케어 장치(2)를 이온 클렌징 장치로 한 경우에, 스케줄용 데이터베이스(5n)에 있어서는, 피부의 살결의 랭크가, 랭크 1∼랭크 3인 경우에, 매일 이온 클렌징을 행하는 것으로 하며, 또, 살결의 랭크가 4∼7인 경우에 주에 3회 이온 클렌징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살결의 랭크가 8∼10인 경우에, 이온 클렌징을 주 1회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피부의 상태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스킨케어 장치(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용 데이터베이스(5n)에 의한 스케줄로부터,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이온 클렌징을 행하는 요일이나 시각을 유저가 설정하여, 스케줄을 더 구체적인 것으로 해도 된다.
Figure pct00014
상술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있어서의 화장품의 등록에 있어서는, 각 화장품의 데이터가 등록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가 참조된다. 예를 들면 바코드(JAN 코드)나, 키워드 검색 등에 의해, 유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로부터 검색되어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등록되게 된다.
또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의 각 화장품마다 등록되는 정보로서의 브랜드명(상품명)과 상품 코드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특정 정보이고, 그 밖의 항목의 정보에서는 화장품을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여기서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상품명이나 상품 코드를 화장품 특정 정보라고 하고, 화장품을 특정하는 것이 곤란한 용량, 가격, 발매일 등의 정보를 합쳐 화장품 정보라고 칭한다. 또한, 메이커명을 상품명과 합쳐 화장품을 특정하기 위한 화장품 특정 정보라고 해도 된다.
이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는, 표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입력 허가 항목과, 메이커 입력 항목과, 시스템 자동 입력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Figure pct00015
이것은,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을 등록하는 것을 상정한 항목이고, 예를 들면, 시스템 구축 시 등에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를 만드는 경우에는,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오퍼레이터나 시스템 관리자 등이 현재 상태의 화장품을 등록하게 된다. 이 경우에, 많은 화장품이 있기 때문에 모든 화장품을 등록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해외의 중소 메이커의 화장품까지 등록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비교적 메이저의 화장품이어도 등록 누락이 있을 수 있다.
또, 신제품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제품을 등록할 필요가 있다. 신제품의 발매를 모두 시스템 관리자가 조사하여 입력하는 경우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p)에 미등록의 화장품의 데이터를 유저와 메이커 측의 담당자에게 입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후술과 같이 유저 화장품 등록에 있어서, JAN 코드나 그 밖의 검색용의 키워드 등으로 검색할 수 없는 화장품은, 미등록 데이터로 하여,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유저는, 가등록 수단으로서의 스마트폰(3)에 의해 미등록의 화장품의 유저 입력 허가 항목으로서, 화장품 카테고리와, 메이커명과, 브랜드명, 용량, 상품 코드(JAN 코드)를 입력(가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저는 모든 항목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필수 항목으로서 예를 들면, 상품명 및 메이커명을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유저에 의해 등록되어 있지 않았던 화장품의 상품명이나 메이커 등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이커명에 의거하여, 표 16에 나타내는 화장품 메이커 관리 데이터베이스(5q)(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가 검색되고, 당해 메이커의 담당자 및 메이커 메일 주소 등이 독출된다. 미리 설정된 화장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문장이나 등록 웹 페이지의 URL이나 메이커 ID나 메이커 패스워드 등이 기재된 메일이 작성되고, 독출된 메이커 메일 주소에 상술의 담당자 앞으로 송신된다. 또한, 여기서는, 메이커의 담당자에의 e메일의 송신을 데이터 관리 서버(5)가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데이터 관리 서버(5)는, e메일의 작성의 어시스트를 하기만 하고, 최종적으로 오퍼레이터가 e메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되며, 데이터 관리 서버(5)가 연락 지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연락 지원 수단이 e메일의 작성으로부터 송신까지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Figure pct00016
메일을 수취한 담당자는, 예를 들면, 메일에 기재된 등록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메이커 ID와 메이커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을 받음으로써,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의 메이커 입력 항목에 데이터 입력 가능해진다(등록 허가 수단). 단, 이때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은, 인증 시에 입력한 메이커 ID에 대응하는 메이커명이 등록되어 있는 레코드만으로 된다. 따라서, 타사의 메이커명이 등록된 레코드에는 메이커의 담당자가 액세스할 수 없도록 상술의 메이커 ID와 패스워드로 인증되도록 되어 있다.
메이커의 담당자는, 예를 들면, 자신이 알고 있는 메이저의 화장품 관련의 사이트나, 메이저의 기업이 운영하는 화장품 관련의 사이트에 대해, 자사 제품(화장품)의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선전 효과나 유저에의 지원 등을 예상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자사 제품의 정보를 등록할 확률이 높다.
메이커 담당자의 입력 항목은 발매일, 이미 생산이 종료되어 있는 화장품의 생산 종료일, 외관 사진, 가격, 일회당(1일당)의 추장 사용량, 성분 데이터, 상술의 각 피부 타입별의 효과, 자외선에 대한 PA 및 SPF, 색 번호 등이 입력 가능해진다. 또 메이커 담당자는, 유저 입력 허가 항목에의 기록도 가능하고, 유저가 입력하지 않았던 항목이나, 잘못이 있는 항목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의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화장품의 신규 등록의 작업이 필요 없어져서,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의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성분 데이터로서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 성분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이들 유효 성분의 유무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밖의 유효 성분으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유효 성분을 등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이 성분 데이터에서는, 화장품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뿐만 아니라, 화장품에 포함되지 않는 성분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그것을 있다고 하여 입력하면, 화장품에 그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향료를 선택하면, 향료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으로부터 도 1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방법에서는, 먼저,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용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한다.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기동 후의 유저 등록 처리를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5j)을 기동하면(단계 Sa1), 유저 등록이 처리 완료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a2).
맨 처음에 애플리케이션(5j)을 기동했을 때에는, 유저 등록이 행하여져 있지 않으므로, 유저 등록을 행하게 된다. 2회째 이후의 애플리케이션(5j)의 기동에서는, 이미, 유저 등록이 종료되어 있게 되어, 유저 등록의 처리를 종료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게 된다.
유저 등록에 있어서는, 개인 유저 ID와, 개인 패스워드의 입력이 촉구되고(단계 Sa3), 유저가 개인 유저 ID와, 개인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개인 유저 ID와, 개인 패스워드가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에 송신된다(단계 Sa4). 또한, 관리 단말은, 데이터 관리 서버(5)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기본적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일부이다.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개인 유저 ID와, 개인 패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고객 ID가 자동 생성된다(단계 Sb1). 또, 수신한 개인 유저 ID와, 개인 패스워드를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로서의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b2).
또, 스마트폰(3)에서는, 설정된 유저 ID를 스마트폰(3) 내부의 기억 수단에 등록한다(단계 Sa5). 다음으로, 개인 정보의 입력이 촉구되고, 상술의 성명, 생년월일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a6). 개인 정보가 입력되면,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개인 정보의 송신 처리가 행하여지고(단계 Sa7), 스마트폰(3)에서는, 유저 등록 처리가 종료된다.
또,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에 수신한 개인 정보를 개인 유저 ID 및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하고(단계 Sb3),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과 같이 유저 등록 처리가 종료되면,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메뉴 화면에는, 1. 센서 등록, 2. 피부 진단, 3. 상세 피부 진단 결과 표시, 4. 케어 에스테틱, 5. 피부 개선 상황 판정, 6. 피부 이력 표시가 표시된다.
이때에, 아직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메뉴 1의 센서 등록 처리를 행하도록 촉구된다.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센서 등록 처리를 설명한다.
메뉴 1이 선택된 단계, 또는, 그 후에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센서)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c1),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접속되는 것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스마트폰(3)에 USB 인터페이스(13)에 의해 접속되면, 상술과 같이 USB 인터페이스(13)의 디바이스·디스크립터의 데이터로부터 센서 종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함과 함께, 스트링·디스크립터로부터 제품 시리얼 No.를 판독한다(단계 Sc2). 제품 시리얼 No.로부터 이미 등록 완료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c3). 등록 완료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등록 완료가 아닌 경우에는, 센서 종별과 제품 시리얼 No.의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c4).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센서 종별과 제품 시리얼 No.의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d1).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제품 시리얼 No.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d2). 또한, 제품 시리얼 No.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랜덤으로 설정한 문자열이 정규인 제품 시리얼 No.가 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제품 시리얼 No.가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게 된다. 또한,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 정규의 제품 시리얼 No.가 모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서 제품 시리얼 No.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품 시리얼 No.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 예를 들면, 이 센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등을 생성한다(단계 Sd3).
또, 제품 시리얼 No.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서, 이미 동일한 제품 시리얼 No.가 다른 스마트폰(3)에 대응하는 고객 ID와 관련지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과 함께, 다른 스마트폰(3)의 고객 ID와 이미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에, 대응지어져 있는 고객 ID가 3개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d4).
여기서, 이미 3개의 고객 ID가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로서, 「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이용하는 스마트폰(3)의 수가 제한을 넘고 있으므로, 이 스마트폰(3)에서는 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생성된다(단계 Sd3).
제품 시리얼 No.에 관련지어져 있는 고객 ID가 3개 미만인 경우에는, 이 제품 시리얼 No.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사용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센서 종별 및 제품 시리얼 No.가, 센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와,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i)에 등록된다(단계 Sd5).
다음으로,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로서,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단계 Sd6). 또, 인증 실패인 경우에는, 상술의 에러 메시지가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
스마트폰(3)에서는, 데이터가 수신되고(단계 Sc5),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등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6).
등록 실패인 경우에는, 수신한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단계 Sc7), 등록 완료인 경우에는,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도 센서 종별과, 제품 시리얼 No.를 등록하며(단계 Sc8), 스마트폰(3)에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접속되었을 때에, 이 등록된 제품 시리얼 No.를 확인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등록 완료된 경우에, 인증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메뉴 2의 피부 진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했을 때에 메뉴 화면이 뜬다. 여기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의해(단계 Se1),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되고, 센서 ID로서의 인증용 문자열이 등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단계 Se2),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의 센서 등록 처리(단계 Se3)를 행하고, 센서가 등록 완료된 경우에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가 작동 가능해지며, 작동시키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입력된다(단계 Se4).
다음으로 상세 진단을 희망하는지의 여부의 입력, 상세 진단으로 행하는 복수의 기업 중 어느 기업을 선택하는지 등을 입력한다(단계 Se5).
또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입력한 측정 데이터(센서 데이터), 스마트폰(3)에 기억되어 있는 고객 ID, 측정 데이터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부터 입력한 데이터 입력 일시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e6).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고객 ID, 측정 데이터, 데이터 입력 일시를 등록한다(단계 Sf1).
측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피부 상태의 해석을 행한다(단계 Sf2). 즉, 피부 기준값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측정 데이터로부터 근사한 측정 데이터를 선택하고, 당해 측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항목의 랭크를 결정한다(단계 Sf3).
피부 해석 결과 및/또는 결정된 랭크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등록한다(단계 Sf4).
상술의 단계에 있어서, 상세 피부 진단이 희망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f5), 상세 피부 진단이 희망되고 있는 경우에, 화장품 회사의 서버에 측정 데이터와, 상세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면, 연령 등)를 화장품 회사 등의 상세 진단 업자의 서버에 송신한다(단계 Sf6).
화장품 회사의 서버에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단계 Sg1), 상세 피부 진단의 의뢰를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g2). 또한, 상세 피부 진단을 개시한다. 상세 피부 진단에 관해, 여기서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센서 데이터나 상세 피부 진단 결과 등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피부 진단 업자에게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의 지정 부분과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의 지정 부분에의 액세스를 허가하여, 피부 진단 업자가 직접 이들 데이터베이스(5b, 5e)에 액세스하여 센서 데이터를 입수하고, 상세 진단 결과를 직접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상술의 메시지를 수신함과 함께(단계 Sf7),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 행하여진 간이 진단의 결과를 스마트폰(3)에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f8).
이 표시용 데이터를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Sf9).
스마트폰(3)에서는, 이 표시용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e7), 간이 피부 진단 결과로서, 스마트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단계 Se8).
또, 피부 진단 업자의 서버인 화장품 회사의 서버에 있어서, 상세 피부 진단이 종료되었을 때에(단계 Sg3), 상세 피부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g4).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이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f10), 상세 피부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에 기록한다(단계 Sf11). 또한, 스마트폰(3)의 유저에게 상세 피부 진단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f12). 상세 피부 진단에 관해, 여기서는, 결과를 유저가 상세 결과 표시의 커맨드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통지하고 있지만, 상세 진단 결과를 메일로 하여 유저에게 발송하도록 해도 된다.
스마트폰(3)에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함(단계 Se9)과 함께, 이 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에 상세 피부 진단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시지로 하여, 스마트폰(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단계 Se10). 또한, 완료된 상세 피부 진단의 결과는, 유저가 스마트폰(3)을 이용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로 읽어나감으로써, 스마트폰(3) 측에서 표시 가능해지지만, 상세 진단 결과를 데이터 관리 서버(5)나, 화장품 회사의 서버로부터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스마트폰(3)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피부 진단 업자의 서버(61)에 있어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고, 그것을 수신하여, 상세 피부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 있지만, 피부 진단 업자의 서버(62)를 클라이언트로 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나,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의 액세스가 허가된 지정 부분에 액세스하여, 직접적으로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메뉴 3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 표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폰(3)에 있어서, 표시하는 상세 피부 진단 결과가 최신의 결과인지 과거의 결과인지를 표시하고(단계 Sh1), 어느 하나를 선택시킨다. 표시하고 싶은 상세 피부 진단의 결과가 최신의 것인지 과거의 것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h2). 최신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과거의 상세 피부 진단의 일시 데이터를 요구한다(단계 Sh3).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상술의 요구를 수신하고(단계 Si1),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또는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를 참조하여, 과거의 상세 진단의 일시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i2).
수취된 일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로부터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Si3).
스마트폰(3)에서는, 이 일시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h4), 과거의 상세 피부 진단의 일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유저가 일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h5).
유저가 일시의 화면 표시로부터 일시를 선택하면, 그것에 대응하여 언제의 상세 피부 진단의 결과인지를 특정하고(단계 Sh6), 특정된 일시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의 송신을 요구한다(단계 Sh7).
또한, 단계 Sh2에서 최신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도, 단계 Sh6에서, 최신의 상세 진단 결과가 특정되고, 단계 Sh7에서, 최신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의 송신을 요구하게 된다.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이 요구를 수신하고(단계 Si4), 수신 데이터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를 검색하여(단계 Si5), 지정된 일시의 상세 피부 진단 결과를 어드바이스 데이터와, 추장 화장품 데이터와 함께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Si6).
이 데이터를 수신한(단계 Sh8) 스마트폰(3)에서는, 상세 피부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단계 Sh9). 이때에, 추장 화장품이나,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메뉴 4의 케어 에스테틱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메뉴 4를 선택한 경우에는, 스킨케어 장치(2)로서의 케어 에스테틱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j1),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차 판정 처리로 되돌아감으로써, 스킨케어 장치(2)가 장착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스킨케어 장치(2)가 장착된 경우에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경우와 동일하게 스킨케어 장치(2)의 종별과 제품 시리얼 No.가 스마트폰(3)에 판독되고,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품 시리얼 No.가 등록 완료인지의 여부가 판정되며(단계 Sj2), 등록 완료가 아닌 경우에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경우와 동일하게, 스킨케어 장치(2)의 제품 시리얼 No.를 등록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단계 Sj3). 본등록 처리는, 전술의 센서 등록 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 제품 시리얼 No.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킨케어 장치(2)가 구동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j4), 구동 개시가 아닌 경우에는, 재차 구동 개시인지의 여부의 판정으로 되돌아감으로써, 구동 개시를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구동 개시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스킨케어 장치(2)의 전원을 감시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스킨케어 장치(2)가 구동 개시한 후에는, 스킨케어 장치(2)가 구동 정지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j5), 구동 정지가 아닌 경우에, 구동 정지인지의 여부의 판정으로 되돌아감으로써, 구동 정지를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스킨케어 장치(2)가 구동 정지한 경우에는, 구동 개시의 일시와, 구동 개시로부터 구동 정지까지의 시간을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 기억한다(단계 Sj6).
스킨케어 장치(2)가 떼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j7), 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재차, 스킨케어 장치(2)의 구동 개시를 대기하지만, 이 상태에서, 스킨케어 장치(2)가 떼어진 경우에는, 스킨케어 장치(2)의 구동 개시를 기다리지 않고, 단계 Sj7로 되돌아가며, 스킨케어 장치(2)가 떼어졌다고 판정한다.
스킨케어 장치(2)가 떼어진 단계에서, 데이터 관리 서버(5)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상술의 스킨케어 장치(2)의 구동 개시 일시와, 구동 시간을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j8).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5)와의 통신 회선이 비접속 상태인 경우에는, 접속 상태가 되고 나서, 기억되어 있는 구동 개시 일시나 구동 시간을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일괄하여 송신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스킨케어 장치(2)의 구동 개시 일시와 구동 시간을 수신하고(단계 Sk1), 이것을 케어 에스테틱 데이터베이스(5c)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메뉴 5의 피부 개선 상황 판정(최신의 진단 결과와 기준일의 진단 결과를 비교)을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뉴 5를 선택하면, 진단 결과의 비교에 있어서의 기준일을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Sl1).
기준일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기준일을 설정한다. 또한, 기준일이 소정 시간 경과해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전에 메뉴 5가 선택된 경우에 입력한 기준일을 기준일로 하도록 되어 있다(단계 Sl2).
즉, 기준일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단계 Sl3)에 의해, 메뉴 5가 선택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기준일이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기 이전의 기준일이 설정된다(단계 Sl5). 소정 시간 전에 기준일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기준일이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단계 Sl4).
기준일이 결정되면,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기준일이 송신된다(단계 Sl6).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기준일을 수신하고(단계 Sm1), 수신한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 데이터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검색한다(단계 Sm2).
다음으로,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 데이터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검색한다(단계 Sm3).
다음으로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m4), 옵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 데이터와,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 데이터를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Sm7).
또한, 옵션으로서,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와,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뿐만 아니라, 그 사이의 감시 진단 결과를 모두 검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단계 Sm5). 또한, 옵션으로서,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진단 결과의 일시 사이의 사용한 화장품의 이력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단계 Sm6).
이와 같은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과 같이 기준일로부터 최신까지 사이의 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와, 그들의 사이에 사용한 화장품의 이력의 데이터가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단계 Sm7).
스마트폰(3)에서는, 이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l7), 기본적으로는,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와,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비교한 상태로 표시한다(단계 Sl8).
또,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l9), 기준일과 최신 사이의 간이 진단 결과를 표시함과 함께, 이 기간에 있어서의 화장품의 사용 이력을 표시한다(단계 Sl10).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있어서, 케어 에스테틱 데이터베이스(5c)를 참조하여,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간이 진단의 일시까지,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이력을 취득하고, 취득된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와,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를 동시에 표시시킴으로써, 피부의 상태가 개선되고 있는지, 변하지 않은지, 악화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기준일의 간이 진단 결과와,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 사이의 간이 진단 결과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더 자세하게 피부의 상태의 변천을 알 수 있다.
또, 그 사이의 화장품의 사용 이력이나,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이력을 봄으로써,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장치(2)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간이 진단 결과 대신에, 상세 진단 결과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기준일과 최신의 상세 진단 결과를 비교 가능하게 스마트폰(3)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메뉴 6의 피부 이력 표시(기준일로부터 최신의 피부 진단까지의 피부 이력을 표시)를 도 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뉴 6을 선택하면, 진단 결과의 비교에 있어서의 기준일을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단계 So1).
이 경우에, 유저에 의해 기준일이 입력되게 된다(단계 So2). 또한, 기준일이 소정 시간 경과해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에 메뉴 6이 선택된 경우에 입력된 기준일을 기준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메뉴 6이 선택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기준일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기 이전의 기준일이 설정된다. 소정 시간 전에 기준일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기준일이 스마트폰(3)의 내부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즉, 소정 시간 내에 기준일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o3), 새로운 기준일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기준일을 스마트폰(3)의 내부에 설치된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단계 So4), 입력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이전에 내부에 기억된 기준일을 독출하여 사용한다(단계 So5).
기준일이 결정되면,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기준일이 송신된다(단계 So6).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기준일을 수신하고(단계 Sp1), 수신한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까지의 기간의 간이 진단 결과 데이터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검색하여 취득한다(단계 Sp2).
다음으로,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p3), 옵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간이 진단 결과가 얻어지기까지의 기간의 모든 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Sp6).
또,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옵션으로서,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있어서, 케어 에스테틱 데이터베이스(5c)를 참조하여,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간이 진단의 일시까지, 스킨케어 장치(2)의 사용 이력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p4).
또,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옵션으로서,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를 참조하여,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진단 결과의 일시 사이의 사용한 화장품의 이력의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p5).
이와 같은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과 같이 기준일로부터 최신의 간이 진단의 일시까지 사이의 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와, 그들의 사이에 사용한 스킨케어 장치(2) 및 화장품의 이력의 데이터가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
스마트폰(3)에서는, 이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o7), 기준일과 최신의 간이 진단의 일시 사이의 모든 간이 진단 결과를 시계열에 이력으로서 예를 들면 그래프로 표시한다(단계 So8). 또,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o9),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기간에 있어서의 스킨케어 장치(2) 및 화장품의 사용 이력을 표시한다(단계 So10).
이 경우도, 피부의 상태의 추이를 알 수 있음과 함께,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장치(2)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도, 간이 진단 결과 대신에 상세 진단 결과를 취득하여 스마트폰(3)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시계열에 나열한 데이터로서,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를 봄으로써, 피부의 상태가 개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측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를 순차 표시해 감으로써, 동영상으로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데이터 수가 적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 모핑(morphing)에 의해 각 화상 데이터의 사이를 보완함으로써, 매끄러운 화상 데이터로 하여, 피부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또, 피부의 상태가 반드시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고는 할 수 없고, 일시적으로 피부의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여름철이 되면 모공이 눈에 띄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자신의 피부의 확대 화상을 보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술과 같이 화상 데이터를 순차 표시함으로써, 피부의 경시 변화를 알기 쉽게 나타내는 경우에, 피부의 상태가 좋지 않은 시기의 화상 데이터를 자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잘라진 화상 데이터의 전후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모핑을 적용함으로써, 일부 화상 데이터를 잘라도 알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것을 알기 어렵게 해 버리기 때문에, 음성이나 화면 표시에 의해 피부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것을 어드바이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마트폰(3)에는, 스킨케어 장치의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이 구비되어 있음과 함께, 유저가 설정을 변경하여 제어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킨케어 장치의 출력 레벨을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에 데이터 관리 서버(5)가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고,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사용 화장품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유저는, 스마트폰(3)으로부터 입력하는 화장품의 종별,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유액, 화장수 등이다(단계 Su1). 다음으로 화장품명을 입력한다(단계 Su2). 다음으로 입력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u3). 여기서, 복수의 화장품을 등록하는 경우에는, 재차, 화장품의 종별의 입력을 행한다. 입력이 종료된 경우에는, 입력한 데이터와 고객 ID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v1),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의 고객 ID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에 화장품명과 데이터 입력일을 저장한다.
이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의해, 화장품의 등록일로부터 화장품이 없어지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화장품이 없어지는 시기에 화장품의 어드바이스를 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2차 이용자 단말로서의 계약자 클라이언트(6)로부터 상술의 측정 데이터나 그것에 부대하는 부대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화장품 회사 등의 계약자 클라이언트(6)로부터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킨다(단계 Sq1).
다음으로, 검색 조건을 입력시킨다(단계 Sq2). 예를 들면, 검색 조건 키를 입력시킨다. 또한, 여기서의 검색 조건은, 상술의 검색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검색 항목이 연령인 경우에, 검색 조건(검색 조건 키, 검색 조건식)은, 예를 들면 「연령이 30∼40세」와 같이, 검색 항목과 데이터를 범위 축소하기 위한 검색 항목이 되는 데이터의 범위를 조합한 것이 된다. 또한, 검색 항목과 조합되는 것은 검색 항목이 되는 데이터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데이터를 범위 축소할 수 있는 조건이면 되며, 예를 들면 키워드이더라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검색 항목으로 하여,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에, 화장품을 범위 축소하기 위해, 화장품의 종류나, 화장품명이나, 화장품의 메이커명등의 키워드를 검색 항목과 조합되는 조건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술의 검색 조건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요구하는 출력 요구 데이터(출력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입력한다(단계 Sq3). 입력된 유저 ID, 패스워드, 검색 조건, 출력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q4).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상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r1), 유저 ID 및 패스워드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단계 Sr2). 인증 결과를 판정하고(단계 Sr3),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r9).
유저 ID와 패스워드가 인증된 경우에는, 수신한 검색 조건이 데이터의 2차 이용자로서의 유저에게 허가된 검색 조건인지의 여부를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 중의 이용자 검색 레벨을 참조하여 대조한다(단계 Sr4).
대조 결과를 판정하고(단계 Sr5), 대조한 결과 허가되지 않은 검색 조건인 경우에는, 대조 결과에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r9). 또, 검색 조건이 대조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입력된 출력 요구가 2차 이용자에게 허가된 액세스 레벨의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이용자 액세스 레벨을 참조하여 대조한다(단계 Sr6). 대조 결과를 판정하고(단계 Sr7), 대조되지 않은 경우에, 대조 결과에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r9).
출력 요구 데이터가 대조된 경우에는, 대조된 검색 조건으로 검색됨과 함께, 출력 요구 데이터로서 요구된 데이터를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단계 Sr8), 취득된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r10). 또,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대조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작성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한다.
2차 이용자 단말(계약자 클라이언트(6))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q5), 데이터가 에러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단계 Sq6), 에러인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단계 Sq7), 데이터가 출력 요구된 데이터인 경우에,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거나, 데이터를 파일로서 출력함과 함께 기억한다(단계 Sq8).
이에 따라, 측정 데이터 등의 2차 이용자는, 액세스 레벨로 설정된 데이터의 종류의 범위의 데이터를, 검색 레벨로 설정된 검색 조건 키(예를 들면, 검색 항목+검색 범위)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즉, 비용에 적당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의 2차 이용자에 의한 데이터의 취득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 이용자 단말인 계약자 클라이언트(6)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킨다(단계 Ss1).
입력된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s2).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수신하고(단계 St1), 이 유저 ID와 패스워드의 인증(대조) 처리를 행한다(단계 St2). 대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t3), 대조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t4).
대조된 경우에는, 유저 ID에 대응하는 고객 ID에 의거하여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를 참조하여, 2차 이용자에게 허가되어 있는 검색 조건 키를 추출한다(단계 St5).
또 동일하게, 데이터 2차 이용자 액세스권 관리 데이터베이스(5h)를 고객 ID로 검색하여, 2차 이용자에게 액세스 가능하게 된 데이터 항목(종류)을 추출한다(단계 St6).
추출된 검색 조건 키 및 데이터 항목을 데이터 테이블에 세트한다(단계 St7).
전술의 에러 메시지 혹은 데이터 테이블을 계약자 클라이언트(6)에 송신한다(단계 St8).
계약자 클라이언트(6)는, 에러 메시지 또는 데이터 테이블을 수신한다(단계 Ss3).
에러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s4), 에러인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Ss5). 에러가 아닌 경우에는, 계약자 클라이언트(6)의 디스플레이에 허가된 검색 조건 키(검색 항목)와,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항목을 표시한다(단계 Ss6).
예를 들면, 허가된 검색 항목(검색 조건 항목)의 표시로서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 11의 검색 레벨 1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5)이나, 검색 레벨 2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6)이, 계약자 클라이언트(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들 표시 화면(85) 및 표시 화면(86)에 있어서는,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으로 전환되어, 유저가 입력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에, 검색 레벨 1에서 허가되지 않고, 검색 레벨 2에서 허가되는 검색 항목은, 검색 레벨 2의 표시 화면(86)에서만 표시되고, 검색 레벨 1의 표시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검색 레벨 1의 계약인 것에 관계없이, 검색 레벨 1에서 허가되지 않고, 검색 레벨 2에서 허가되는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하여 에러가 되지 않아,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검색 조건의 입력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검색 조건으로 검색되어 출력되는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는 항목을 지정하는 경우에,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 11의 액세스 레벨 1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7)이나, 액세스 레벨 2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도시 생략)이나, 액세스 레벨 3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8)이 표시된다. 즉, 유저가 액세스 레벨에 따른 데이터 출력 항목의 지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도,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데이터 블록의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의 항목이 표시되지 않고, 당해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할 수 없다. 액세스 레벨의 표시 화면(87, 88)에서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술의 검색 항목에의 검색 조건의 입력에 의해, 검색 가능(추출 가능)한 데이터 중 표시 화면(87, 88)에서 선택된 데이터의 항목의 데이터만이 출력되게 된다.
이 경우도, 출력하는 데이터의 항목을 잘못하여 에러가 되지 않아,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검색 조건의 입력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이 화면 표시에 의거하여 검색 조건 키와 상기 데이터 항목의 범위의 출력 요구 데이터를 입력시키고(단계 Ss7),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 Ss8). 이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단계 St9).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검색 조건 키와, 액세스가 인정된 데이터 항목에 의거하여,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조건에 합치하고, 또한, 액세스가 인정된 데이터 항목의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t10).
취득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6)에 송신한다(단계 St11). 계약자 클라이언트(6)에서는, 상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s9), 수신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파일로서 출력하여 기억한다(단계 Ss10).
이 경우도 상술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된 검색 조건 키의 범위에서, 액세스권으로 승인된 데이터 항목의 데이터가 얻어짐과 함께, 이용 가능한 검색 조건 키 및 액세스가 승인되는 데이터 항목이 표시되므로, 에러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유저 화장품 등록 처리를 설명한다. 이 처리는, 화장품의 데이터가 등록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를 이용하여, 유저가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사용하는 화장품을 등록하는 처리이다.
유저는,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을 기동함과 함께, 메뉴로부터 화장품 등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3)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화장품 등록 화면(71)을 표시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화장품 등록 화면(71)에는,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바코드 스캐너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버튼 스위치가 표시됨과 함께, 키워드 검색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A1).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한 바코드의 입력인지, 키워드 검색(항목마다 검색도 포함한다)인지가 판정된다(단계 A2).
유저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가 기동된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디지털 카메라가 기동하고, 바코드가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되며, 화상 인식에 의해 바코드를 인식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바코드에 맞추면, 바코드가 화상 인식되며, 바코드의 촬영을 행한다(단계 A3).
촬영된 바코드의 패턴을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문자열(숫자열)로 변환한다. 이 숫자열이 JAN 코드로 되어 있고, 바코드로부터 JAN 코드가 추출되게 된다(단계 A4). 여기서, JAN 코드에 의거하여 이 JAN 코드가 나타내는 메이커, 상품 등을 특정해도 되지만, JAN 코드의 해석은 데이터 관리 서버의 관리 단말 측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JAN 코드 혹은 키워드에 의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의 검색을 지시하는 검색 커맨드를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에 송신한다(단계 A6).
또한, 키워드의 검색에 있어서는, 화장품 등록 화면(7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정해진 항목마다 대응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항목에 관계없이 키워드를 입력해도 된다. 또한, 항목마다 키워드를 입력할 때에는, 키워드를 알 수 있는 항목에만,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관리 단말에서는, 스마트폰(3)으로부터 JAN 코드 또는 키워드와, 검색 커맨드를 수신한다(단계 B1).
관리 단말에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5)의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로부터 바코드 또는 키워드에 의해 화장품을 검색한다(단계 B2). 관리 단말은, 검색 실행으로 얻어진 검색 결과를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B3). 검색 결과에는, 검색된 화장품이 하나가 아니고 복수인 경우나, 화장품을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포함된다.
송출된 검색 결과는, 스마트폰(3)으로 수신된다(단계 A7).
이 경우에, 검색 결과로서의 화장품을 나타내는 정보가 0보다 많이 있는지의 여부, 즉, 검색된 화장품이 하나 이상 있는지, 미등록 판정 수단으로서 검색할 수 없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A8).
검색된 화장품이 있는 경우는, 검색된 화장품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9의 화장품이 검색된 경우의 화면 표시(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사진), 상품명, 발매일, 성분 등이 표시된다. 단, 복수의 화장품이 검색된 경우에는, 복수의 화장품이 표시된다. 이 표시 화면을 선택용 표시 화면이라고 한다(단계 A9). 이 화면에서는, 검색된 화장품이 하나이더라도, 유저가 등록하고자 하고 있는 화장품과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마트폰(3)에서는, 선택용 표시 화면에 대해 유저가 하나의 화장품을 선택했는지, 자신이 등록하고자 한 화장품이 없음을 선택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A10).
유저에 의해 하나의 화장품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화장품의 JAN 코드(상품 코드)가 결정된다(단계 A11). 또한, JAN 코드는,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를 검색했을 때에 얻은 것이다.
단계 A8에 있어서, 검색된 화장품이 없는 경우에는, 유저가 검색하고자 한 화장품이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스마트폰(3)이 출력한다(단계 A12).
다음으로, 검색할 수 없었던 미등록의 화장품의 유저에 의한 등록을 위한 유저 등록 화면(73)이, 미등록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의 스마트폰(3)에 표시된다(단계 A13). 단계 A10에 있어서, 검색 결과에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이 없었던 경우에도, 단계 A13으로 이행하고, 유저 등록 화면(73)이 표시된다.
유저 등록 화면(73)에서 유저가 등록 가능한 항목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의 상술의 유저 입력 허가 항목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예를 들면 카테고리, 메이커명, 브랜드명, JAN 코드, 용량 등이다. 유저에 의해 화장품의 입력 항목에 데이터가 입력되고(단계 A14),
등록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 입력된 각 항목의 데이터와, 미등록의 화장품의 데이터 등록을 지시하는 신규 화장품 등록 커맨드를 관리 단말에 송신한다(단계 A15). 또한, 유저에 의한 각 항목의 데이터 입력에 있어서, JAN 코드의 입력을 필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AN 코드의 입력에는, 상술의 바코드 스캐너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관리 단말에서는, 유저가 입력한 항목의 데이터와 신규 화장품 등록 커맨드가 수신된다(단계 B4).
관리 단말에 의해 데이터 관리 서버(5)의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수신된 데이터가 등록된다(단계 B5).
이때에는, 상술과 같이 등록된 화장품 메이커 또는 JAN 코드에 의거하여, 화장품 메이커 관리 데이터베이스(5q)가 검색되고, 메이커의 E메일 주소, 담당자명 등에 의거하여, 메이커의 담당자에게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의 화장품의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메일이 송신된다(단계 B6).
이때의 메시지 등은, 미리 준비된 메시지에 메이커명이나 담당자명 등이나 등록하게 하고 싶은 화장품의 JAN 코드 등을 더한 것이다. 또,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기 위한 메이커 ID 및 메이커 패스워드가 e메일의 메시지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메이커의 담당자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액세스 가능하게 됨과 함께, 메이커 ID에 대응하는 메이커의 화장품 이외의 화장품의 데이터에의 액세스(기록, 삭제 등)가 금지되도록 되어 있다.
관리 단말에 있어서,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의 화장품의 신규 등록의 처리가 종료되어, 적어도 유저 입력 허가 항목의 데이터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등록되었을 때에, 신규 등록된 화장품의 JAN 코드가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 신규 등록된 화장품의 JAN 코드를 수신한 스마트폰(3)에서는,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 화면(74)이 표시된다.
스마트폰(3)에서는, 유저가 등록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검색된 경우와, 상술과 같이 신규 등록한 경우에, 등록해야 하는 화장품의 데이터를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기록하도록 지시하는 기록 커맨드와, 유저의 고객 ID와, 화장품의 카테고리의 데이터와, 화장품의 상품 코드로서의 JAN 코드가 관리 단말에 송신된다(단계 A16).
이들의 데이터를 스마트폰(3)으로부터 수신한(단계 B7) 관리 단말은,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가 수신한 고객 ID의 레코드에 수신한 상품 코드를 기록하고(단계 B8),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의 화장품의 등록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
스마트폰(3)에서는, 유저가 사용하는 화장품(구입한 화장품)의 등록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A17). 이때에는,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등록된 화장품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75)이 스마트폰에서 표시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유저에 의한 자신이 사용하는 화장품(자신이 구입한 화장품)의 등록 방법에 있어서는, 유저가 구입한 화장품을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등록하고자 했을 때에,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화장품이 등록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 유저가 미등록의 상품의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음과 함께, 유저에 의해 미등록의 화장품이 발견된 경우에, 이것을 화장품 메이커(판매 회사)의 담당자에게 연락하고, 또한 화장품의 데이터를 보충하게 함으로써,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신규 등록되는 화장품의 레코드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메이커의 메일을 보내는 담당자는, 예를 들면 광고 담당 등이면, 자사 제품의 데이터가 많은 사람의 눈에 띌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되는 것을 홍보의 일환으로 취하여,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의 자사 제품의 데이터의 등록을 행할 가능성이 높다.
즉, 유저의 화장품의 등록에 있어서, 유저가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을 발견했을 때에, 유저에게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의 JAN 코드나 메이커명이나 상품명(브랜드명)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의 데이터 등록을 메이커에 의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화장품의 데이터는, 그 화장품의 데이터를 알 수 있는 메이커의 담당자에게 더 정확하게 입력될 가능성이 높아,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의 오퍼레이터 등이 신규 등록되는 화장품의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오퍼레이터나 관리자는,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의 데이터 갱신을 위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거의 행하지 않아도,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에 순차적으로, 신제품 등의 미등록 화장품의 데이터가 등록되게 되어,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를 설명한다.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는,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에 등록되어 있는 점수로서의 상세 진단 결과(간이 진단 결과를 이용해도 된다)의 각 항목마다 시계열로 그래프화함과 함께, 동일한 시계열에서,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화장품의 데이터(상품명 등)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래프의 시간축과, 사용 화장품의 시간축이 동일하게 되어 있고, 피부의 상태의 변화와 사용 화장품의 관계를 용이하게 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전에 도 20을 참조하여,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의 사용 화장품의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메뉴로부터 케어 차트를 선택하고, 케어 차트의 메뉴 화면으로부터 케어 입력을 선택함으로써, 사용 화장품의 입력 화면(76)이 스마트폰(3)에 표시된다. 사용 화장품 입력 화면에서는, 화장품의 세안, 클렌징, 화장수 등의 각 카테고리마다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등록되어 있는 화장품의 내사용 종료일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의 상품명과 체크 박스가 표시된다.
유저는, 사용한 화장품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를 터치한 후에 등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사용 화장품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화장품은, 하루의 시간체를 아침과 밤으로 나누고, 동일한 날짜에서도 아침에 사용한 화장품과, 밤에 사용한 화장품을 나누어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캘린더 화면(77)에 있어서는, 스케줄러 기능(78)으로서, 캘린더 상의 과거의 날짜를 터치함으로써, 그날에 사용한 화장품을 아침과 밤으로 나누어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를 측정한 경우에는, 사용한 화장품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피부의 진단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진단의 전후로, 사용 화장품의 입력 화면(76)이 표시되거나, 입력 화면(76)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피부 카메라의 촬영용 프로그램이 기동되거나 해도 된다.
혹은, 유저는 항상 사용 화장품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화장품에서 사용 중인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자동 등록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세트(조합)를 스마트폰 내부 기억에 등록하여, 매일 자동적으로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등록하도록 세트해두는 것도 가능하다. 아침과 밤에 사용하는 화장품이 다른 경우는 아침의 세트와 밤의 세트를 내부 기억해두고, 매일 자동적으로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등록하도록 세트해두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에는, 케어를 행하지 않았던 경우 혹은 통상의 세트와 다른 화장품을 사용한 경우에만 스케줄러 기능의 캘린더의 해당 날짜를 터치하여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의 내용을 수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 화장품이 등록된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와,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 혹은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를 이용하여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유저 피부 이력 표시 처리에서는, 스마트폰(3)에 있어서, 유저가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을 기동시켜 메뉴로부터 피부 이력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스마트폰(3)이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에 대해, 예를 들면,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혹은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로부터 유저의 고객 ID에 대응하는 과거 3개월분의 살결, 기미 등의 진단 결과로서의 점수와,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등록된 날짜 및 아침과 밤에 대응하는 사용 화장품의 데이터의 3개월분의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 요구 커맨드를 고객 ID와 함께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에 송신한다(단계 C1).
또한, 요구하는 데이터의 기간은, 과거 3개월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과거 반년분이나, 과거 1년분 등이더라도 된다. 또, 후술과 같이 유저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기간을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세 진단 결과는,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로부터 검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전송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단계 D1) 관리 단말에서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고객 ID에 의거하여, 지정된 기간(3개월)의 살결, 기미 등의 상세 진단 결과로서의 점수를 시계열과 대응시켜 데이터 테이블에 카피한다(단계 D2).
다음으로, 관리 단말에서는,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로부터 고객 ID에 의거하여, 지정된 기간에 사용된 화장품의 데이터(JAN 코드)를 시계열에 대응시켜 데이터 테이블에 카피한다(단계 D3).
다음으로, 상술과 같이 데이터 테이블에 카피된 화장품의 JAN 코드에 의거하여,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5p)를 검색하고, JAN 코드에 결합된 화장품의 메이커명, 브랜드명, 외관 사진 등의 데이터를 각 화장품(JAN 코드)에 관련지어 데이터 테이블에 카피한다(단계 D4).
상술과 같이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카피된 데이터 테이블을 스마트폰(3)에 송신한다(단계 D5).
데이터 테이블을 수신한(단계 C2) 스마트폰(3)에서는, 도 21의 피부 이력 표시 화면(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결, 기미 등의 각 항목마다 상세 진단 결과의 점수를 세로축으로 하고, 날짜(시간축)를 가로축으로 한 그래프(꺾은선 그래프)를 표시시킨다(단계 C3). 또, 대응하는 기간에 사용된 화장품명의 카테고리마다 나누어서 표시함과 함께, 각 화장품마다(화장품의 카테고리마다), 상세 진단 결과의 그래프의 가로축(날짜)에 맞추어 사용 기간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C4).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의 상세 진단 결과의 그래프 표시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 나열한 상태가 되고, 표시 화면(79, 80)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시계열 표시가 된다.
예를 들면, 그래프의 가로축에 대응하여 가로축에 평행하게 각 화장품 카테고리마다의 띠를 표시하고, 사용 기간과 미사용 기간을 채색으로 구분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상술의 기간 내에 동일한 화장품 카테고리에서 다른 화장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띠로 나타내어지는 기간의 색을 화장품마다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피부 이력 표시 화면(79)의 하부에 표시된 아침 버튼과, 밤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아침의 상세 진단 결과와 사용 화장품과, 밤의 상세 진단 결과와 사용 화장품의 표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아침과 밤의 진단 결과의 평균을 그날의 진단 결과로서 진단 결과의 점수를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피부 이력 표시 화면(79)에 있어서, 각 화장품 카테고리마다 표시된 띠의 사용 기간을 나타내는 색의 부분을 터치하면, 피부 이력 표시 화면(8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시기에 사용되고 있었던 화장품의 상품명, 가격, 발매일, 성분 등이 팝업(pop-up)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 진단 결과가 그래프로 표시되고, 또한, 화장품의 사용 기간이 띠로 표시됨과 함께, 화장품을 나타내는 상품명 등이 팝업 표시되기 때문에, 분석 결과 데이터와 화장품을 나타내는 화장품 데이터가 병렬로 표시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 데이터로서 각 화장품을 사용한 기간과, 그 기간에 있어서의 상세 진단 결과를 날짜로 대응지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화장품을 사용했을 때에 피부 상태가 향상되었는지, 피부 상태가 변하지 않았는지, 피부 상태가 나빠졌는지를 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A라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비교적 진단 결과의 점수가 높았다고 판단하거나, 진단 결과가 비교적 높은 기간에 사용하고 있었던 화장품이 어느 화장품이었는지를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도 21의 피부 이력 표시 화면(79)에 있어서, 예를 들면, 2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면서 손가락끼리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거나 길게 하거나 하는 핀치인(pinch-in) 핀치아웃(pinch-out)의 조작에 의해, 피부 이력의 표시 기간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디폴트(default) 표시의 3개월간의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으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이 아니라, 디폴트의 표시 기간보다 긴, 예를 들면, 1년분의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로부터 송신시키고, 표시에 있어서는 3개월분을 이용하여, 상술과 같이 표시 기간의 변경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 재차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송신되어 있는 1년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4개월간으로부터 12개월간까지의 피부 이력의 표시를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디폴트 표시의 3개월간의 데이터를 수신 후 표시 처리를 개시하고, 평행하여 나머지의 4개월간으로부터 12개월간까지 수신하도록 하면, 스마트폰(3)과 데이터 관리 서버(5)의 관리 단말 사이의 통신이나 처리에 의해, 비교적 긴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전송 데이터에 전술의 측정 조건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은 제외된다. 그 사이의 데이터는 그 전후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간 처리가 행하여져서, 매끄러운 형상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이력의 표시 방법으로서는, 상술의 일정 기간 내의 진단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 이외에, 예를 들면 오늘의 진단 결과와, 과거의 어느 하나의 날짜의 진단 결과를 비교 표시하는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 표시 화면(81)이 표시되고, 최신의 측정 데이터, 예를 들면 오늘(어제여도 가능)의 데이터와, 지정된 과거의 데이터를 비교 표시하고, 비교할 수 있다.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는, 피부 카메라에 의한 살결과 기미의 피부 화상과, 상세 진단 결과(또는 간이 진단 결과)의 점수와, 상세 진단 시의 어드바이스이다. 또한, 데이터는, 상술과 같이 아침과 밤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오늘과 과거의 날짜에서 아침과 밤의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를 행하는 처리로서는, 스마트폰(3)으로부터 오늘 또는 어제(기본적으로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최신의 날짜)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혹은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상술의 표시되는 데이터의 전송과, 유저가 스마트폰(3)에 입력한 과거의 날짜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 혹은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술의 표시되는 데이터의 전송을 관리 단말에 요구하게 된다.
이에 대해 관리 단말은, 데이터 관리 서버(5)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2개의 대응하는 날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마트폰(3)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동시 비교 수단으로서의 스마트폰(3)에서 상술의 도 22에 나타내는 비교 표시 화면(81)(비교 표시)을 표시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하면, 예를 들면, 1개월 전이나 반년 전이나 1년 전의 피부의 상태와, 현재의 피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비교해 보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부 상태가 향상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가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지정 화장품의 효능 확인 처리를 설명한다.
이 처리는,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또는 사용할지도 모르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유저 중 동일한 피부 타입의 다른 유저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의 당해 화장품의 사용 기간 중 최초의 3개월분 등의 소정 기간의 피부 상태의 상세 진단 결과(간이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지정 화장품의 효능 확인 처리에서는, 유저가 스마트폰(3)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을 기동하고 메뉴로부터 화장품의 효능 확인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3)은, 도 23에 나타내는 화장품 선택 화면(후술의 대상자 범위 축소 화면을 포함한다)(83)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E1). 화장품 선택 화면(83)에서는, 각 화장품 카테고리마다의 입력란의 「>」을 누르면, 화장품의 선택 화면(일람 표시)(도시 생략)으로 천이되고, 유저에게 선택을 촉구한다. 화장품의 선택에는 도 13의 플로우 차트에서 설명하고 있는 화장품 입력용의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시켜도 된다.
유저는, 화장품 선택 화면(83)에서 적어도 일 카테고리의 화장품에 대해 선택 화면 등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특정하고, 스마트폰(3)이 기억한다(단계 E2). 또한, 화장품 선택 화면(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품의 상품명(브랜드명) 등의 입력은, 카테고리마다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다른 카테고리의 화장품을 복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의 화장품 선택 화면의 일부로서 대상자 범위 축소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E3). 범위 축소 조건은, 여기서는 대상자의 연령(연대)과 거주지이다. 또한, 범위 축소 조건을 입력하지 않아도 처리가 속행되도록 되어 있다. 대상자 범위 축소 화면에서는, 입력 항목에 없지만, 대상자는, 원칙적으로 유저와 동일한 피부 타입인 것이 조건이고, 피부 타입에 의해 범위 축소되게 된다.
유저에게 입력된 범위 축소 조건이 스마트폰(3)에 기억된다(단계 E4).
스마트폰(3)은, 입력하여 기억된 상술의 화장품의 특정 데이터(예를 들면, 메이커명과 브랜드명)와, 대상자 범위 축소 조건과, 유저의 현재의 피부 타입을 관리 단말에 송신한다(단계 E5).
또한, 기본적으로 스마트폰(3)과 관리 단말의 송신에서는, 인증에 고객 ID 등의 유저(스마트폰(3))를 특정 가능한 ID가 사용되어 있고, 피부 타입을 송신하지 않아도 상술과 같이 인증되는 유저의 고객 ID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을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 피부 타입이 등록된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5e) 또는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를 구비하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피부 타입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화장품 선택 화면(대상자 범위 축소 화면)(83)에서는, 온오프 버튼에 의해 상세 진단 결과의 항목 중 표시하는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그래프로서 표시되는 진단 결과의 데이터는, 모든 항목이 관리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표시되는 항목을 스마트폰(3) 측에서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마트폰(3)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의 일부로서 관리 단말이 수신한다(단계 F1). 유저 추출 수단으로서의 관리 단말에서는, 먼저,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를 이용하여 유저가 입력한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거나 혹은 사용하고 있었던 고객 ID를 검색한다. 또한, 복수의 화장품이 입력된 경우에는 AND검색으로 고객 ID(대상자 집합)를 범위 축소한다. 또, 이 고객 ID와, 입력된 범위 축소 조건으로서의 연대 및 거주지에 의해, 고객 개인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5a)를 검색하고, 대상자 집합을 더욱 범위 축소한다(단계 F2).
범위 축소된 대상자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에 있어서의 유저에게 입력된 화장품의 사용 개시일로부터 사용 종료일(사용 종료일이 미등록인 경우는 현재)까지의 사용 기간을 구한다. 또, 유저가 당해 화장품을 연속해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연속적인 기간의 사용 개시일로부터 사용 종료일을 사용 기간으로 하여 구한다. 또한, 범위 축소된 대상자의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5o)에 있어서의 날짜마다의 사용 화장품으로부터 사용 기간을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데이터 미등록의 날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전후로 동일한 화장품이 이용되고 있으면, 미등록의 날짜를 포함하는 기간을 사용 기간으로 한다. 대상자의 사용 기간으로부터 진단 결과의 표시 기간을 결정한다(단계 F3). 이때에는, 예를 들면, 대상자의 사용 기간의 평균이더라도 되고, 예를 들면, 80% 등의 소정의 비율의 대상자가 포함되는 사용 기간이더라도 된다.
또한, 디폴트의 표시 기간은, 상술과 같이 구해진 표시 기간이 되는데, 구해진 표시 기간이지만, 예를 들면, 핀치인 핀치아웃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 기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랭크 추출 수단으로서의 관리 단말에서는, 상술의 설정된 표시 기간에 있어서의 상세 진단 결과의 점수(랭크, 편차값)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추출한다. 이때에는, 상술의 대상자의 고객 ID를 범위 축소함과 함께,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5d)의 사용 개시일로부터 사용 종료일까지의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간이 진단 결과 혹은 상세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된 데이터를 사용 개시일의 데이터를 선두로 시계열(날짜 단위의 시간축)에 대응시킨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한다(단계 F4). 또한, 이때의 데이터에 전술의 측정 조건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은 테이블에 등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의 데이터 테이블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각 날짜마다 또한 각 항목마다 아침의 진단 결과의 점수와 밤의 진단 결과의 점수의 평균을 낸다. 다음으로, 각 항목마다, 전체 대상자의 사용 개시일로부터의 날수마다의 점수의 평균을 구한다. 이 구해진 평균 점수를 사용 개시일로부터의 날수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따른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 데이터 테이블은, 범위 축소된 전체 대상자의 각 점수의 평균을 시계열로 나열한 것이다. 이 데이터 테이블이, 스마트폰(3)에서 그래프 표시되기 위한 데이터가 등록된 것이다. 랭크 송신 수단으로서의 관리 단말에 의해, 이 데이터 테이블이 스마트폰(3)에 송신된다(단계 F5).
스마트폰(3)은, 이 그래프용의 데이터 테이블을 수신한다(단계 E6).
수신한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세로축을 점수의 평균으로 한 그래프이며, 도 24의 그래프 표시 화면(8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위 축소된 대상자 전원의 평균 점수가 각 항목마다 시간축을 따른 꺾은선 그래프로서 표시된다.
또, 동일한 날짜의 아침의 점수와, 밤의 점수의 평균을 내는 것으로 했지만, 아침과 밤의 평균의 그래프의 표시 이외에 아침만의 점수의 그래프의 표시와, 밤만의 점수의 그래프의 표시를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대상자에 의해, 점수가 아침만 또는 밤만의 진단 결과의 점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침과 밤의 평균이 아니고, 아침 또는 밤의 점수를 그날의 점수로 한다. 또, 점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날짜가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전후의 날짜의 점수로부터 점수를 보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범위 축소된 대상자 전원의 평균의 값으로 했지만, 대상자의 점수에 대해 평균 이외의 통계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점수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가 소정 범위 내의 대상자의 인원수(비율)와, 점수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가 소정 범위를 넘어 상승 경향인 대상자의 인원수(비율)와, 점수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변화가 소정 범위를 넘어 하강 경향인 대상자의 인원수(비율)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지정 화장품의 효능 확인 처리에 의하면, 유저는, 자신의 피부 타입과 동일한 대상자가, 지정 화장품을 이용한 경우에, 피부 진단 결과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 화장품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면 계속해서 사용하는지, 다른 화장품으로 대신하는지의 판단의 참고로 할 수 있다. 또, 지정 화장품이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고, 구입할지의 여부를 생각하고 있는 화장품의 경우에는, 구입할지의 여부의 참고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저가 측정 데이터나 분석 결과 데이터를 스마트폰(3)의 진단 결과의 표시 등으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비(非)표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가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은, 예를 들면, 분석 결과 데이터가 전회의 분석가나 데이터보다 낮아진 경우이고, 그 원인이, 예를 들면, 햇볕을 지나치게 쬔 것, 특히 지쳐 있는 것 등의 상황의 문제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의 조작 미스나 측정 조건의 차이 등의 측정의 문제라고 생각되는 바와 같은 경우이다.
상술과 같은 경우 때문에 유저가 분석 결과 데이터, 측정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처리로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의 간이 진단 결과(상세 진단 결과이더라도 된다)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90a)에, 간이 진단 결과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키)(92a)을 표시시킨다. 또, 표시 화면의 표시 영역(91a)은, 진단 결과의 취득 시기를 표시하는 영역이고, 취득 시기가 오늘인 경우에, 오늘의 결과로서 표시되며,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 시기가 과거인 경우에, 표시 화면(90b)의 표시 영역(91b)에 과거의 날짜가 표시된다. 이 과거의 결과는, 도 21의 캘린더 화면으로부터 특정한 날짜를 유저가 지정함으로써 출력된다.
유저가 진단 결과에 상술과 같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경우에 상술의 버튼(92a)을 터치함으로써, 비표시 처리가 개시된다. 버튼(92a)이 터치되면, 비표시 처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가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된다. 여기서는, 도 28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로서의 피부 카메라로 촬영된 피부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오늘의 진단 결과(분석 결과 데이터)이고, 피부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오늘의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와 당해 피부 화상을 스마트폰(3)으로부터 볼 수 없도록 하는 비표시 처리가 개시된다.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송신되는 신호는, 오늘 얻어진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의 스마트폰(3)의 표시로부터의 삭제를 지시하는 것이다. 또한, 간이 진단 결과로서는,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 외에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가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등록되어 있다.
표 17에 나타내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서는,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피부 화상 삭제 플래그가 설정 가능하게 되고,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증산계 데이터 삭제 플래그가 설정 가능하게 되며,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멜라닌계 데이터 삭제 플래그가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의 비표시 처리는, 각각의 진단 결과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술의 「이력으로부터 삭제」 버튼(92a, 92b)에 터치함으로써,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의 이상값 처리가 개시된다.
Figure pct00017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있어서의 비표시 처리에서는, 상술의 버튼(92a, 93b)의 터치에 의해 스마트폰(3)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오늘의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에 대해 피부 화상 삭제 플래그를 설정한다. 동일하게,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버튼(92a, 92b)이 터치된 경우에, 각각 증산계 데이터 삭제 플래그, 멜라닌계 데이터 삭제 플래그가 설정된다.
또, 각 플래그의 설정은, 당일의 진단 결과뿐만 아니라, 과거의 진단 결과에 대해서도 설정 가능하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3)으로부터 과거의 진단 결과의 표시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요구하며, 스마트폰(3)에 과거의 진단 결과의 표시가 행하여진 경우에, 오늘의 진단 결과의 표시의 경우와 동일한 「이력으로부터 삭제」 버튼(92b)이 표시되고, 이 버튼(92b)을 터치함으로써, 과거의 날짜의 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3)에서의 표시를 금지하는 비표시 처리를 지시하는 신호가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는, 스마트폰(3)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날짜의 특정되는 진단 결과에 대해 상술의 플래그를 설정한다.
이들 플래그가 설정되면, 데이터 관리 서버(5)는, 스마트폰(3) 측으로부터 각 진단 결과의 표시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스마트폰(3)으로 출력하는 진단 결과 중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진단 결과(분석 결과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플래그가 설정된 진단 결과를 스마트폰(3)에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에, 표시되지 않은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측정 결과도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술과 같이 이력으로부터 삭제를 지시한 진단 결과는, 스마트폰(3)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3)으로부터 데이터의 이력으로부터의 삭제가 지시되어도, 실제로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삭제되어 있지 않고, 진단 결과의 통계 처리에 이용됨과 함께, 계약자 클라이언트(6)로부터 검색된 경우에, 계약자 클라이언트(6)로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 이상값을 처리하는 이상값 처리를 설명한다.
이상값 처리는, 유저의 조작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서버(5)에서 행하여지는 것이고, 분석 결과 데이터로서의 진단 결과가 취득된 경우에, 진단 결과(피부 화상 간이 진단 결과, 증산계 간이 진단 결과, 멜라닌계 간이 진단 결과)의 값이, 이상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이상값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진단 결과로서의 분석 결과 데이터와 당해 데이터를 얻을 때에 분석된 측정 데이터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로부터 삭제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값은 통계 처리 등에 이용된 경우에 통계 처리 결과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상값의 판정 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회의 진단 결과의 값의 플러스 측 및 마이너스 측의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α를 넘는 경우에 이상값이라고 한다. 또, 이상값의 판정 방법으로서, 과거의 복수 회의 진단 결과의 값으로부터 보간 예측한 값의 플러스 측 및 마이너스 측의 허용 범위 α를 넘는 경우에 이상값이라고 해도 된다.
이상값의 판정에 있어서, 이상값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진단 결과의 값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으므로 진단 결과의 값을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지 않고, 이 취지를 스마트폰(3)을 통하여 유저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이상값 처리에 의해, 진단 결과의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의 살결 진단용 화상, 기미 진단용 화상, 피부 화상 등의 촬영에, 피부 촬영용의 컨버전 렌즈(1a)(도 30, 도 31에 도시)가 장착된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의 기종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의 해상도(화소수)가 달라, 화질이 다른 것이 되므로, 각 스마트폰(3)의 기종마다의 화질 데이터를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이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화질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해상도이다. 해상도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의 유효 화소수이더라도 되고,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이더라도 된다.
또,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의 사이즈와 화소수이더라도 된다. 진단·분석 시에는, 각 화상을 미리 정해진 진단·분석 항목의 화질 데이터로 변환하여 진단·분석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피부 진단의 대상으로 하는 화질 데이터에 대해 피부 화상이 저해상도인 경우는 초해상(超解像) 기술에 의해 고해상화를 행하여 진단 분석하고, 반대로 높은 경우에는 화소를 솎아내는 등 하여 저해상화하여, 진단 분석을 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서버 내부의 피부 이력 D/B 등의 D/B에 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의 화질 데이터를 등록해두는 방식이지만, 다른 방식으로서 피부 이력 D/B에의 등록 화상에 대해 미리 화질을 결정해두고, 유저로부터의 화상 송출 시에, 스마트폰 내부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버 내의 프로그램으로 정해진 화질로 변환하여 D/B에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D/B의 항목으로서 화질 데이터는 불필요하게 해도 된다. 이하에, 이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0,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에 피부 촬영용의 컨버전 렌즈(1a)를 장착하고, 상술의 살결 진단용 화상, 기미 진단용 화상, 피부 화상 등의 피부의 화상을 스마트폰(3)에 구비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촬영된 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며, 이들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의 진단·분석을 행한다. 혹은, 스마트폰에 대해 USB 등의 유선 또는 블루투스·WiFi 등의 무선으로 카메라 내장의 피부 촬영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고, 이들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의 진단·분석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자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에,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등록되는 화상의 종류(살결 진단용 화상, 기미 진단용 화상 등)마다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화소수)를 소정의 해상도로 통일한다. 화상의 해상도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기종마다 혹은 피부 촬영 카메라 기종마다 다른 해상도의 화상을 변환할 필요가 있지만, 도 30의 시스템은 서버 사이드에 화질 변환 수단을 갖는 타입, 도 31의 시스템은 각 스마트폰에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화질 변환 처리 기능을 갖게 한 것이고, 스마트폰 내부에 화질 변환 수단을 갖는 타입이다.
여기서, 스마트폰(3)에 탑재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일반적인 화소수로서는, 예를 들면 5M(2560×1920) 픽셀, 8M(3264×2448) 픽셀, 13M(4128×3096) 픽셀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스마트폰(3)의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는, 증가 경향에 있고, 13M 픽셀보다 큰 화소수의 카메라를 탑재하는 스마트폰(3)도 발매되어 있다.
실제의 피부의 촬영에 있어서는, 컨버전 렌즈(1a)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피부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고, 예를 들면, 촬영된 화상 중 소정의 피부의 범위에 대응하는 화상이 잘라내어져 진단·분석에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사각형으로 화상을 잘라내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5M 픽셀의 카메라인 경우에 1004×1004의 범위를 잘라내며, 8M 픽셀의 경우에 1265×1265의 범위를 잘라내고, 13M 픽셀의 경우에 1600×1600의 범위를 잘라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동일한 컨버전 렌즈(1a)를 이용하여, 각 화소수의 카메라에서 상술과 같은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잘라내어 진단·분석에 사용한 경우에, 해상도는 다르지만 대략 동일한 크기의 피부의 범위의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진단·분석 결과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술과 같이 진단·분석에 이용되는 피부 화상의 해상도를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되어 잘라 내어진 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솎아내어 화소수를 내리거나, 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보간 혹은 초해상을 이용하여 화소수를 올리거나 함으로써, 화상 데이터가 잘라 내어진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소정의 화소수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5M 픽셀의 경우와 8M 픽셀의 경우의 사이가 되는 1024×1024가 되는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로 통일한다.
이 경우에, 카메라가 5M 픽셀인 경우에 화소를 보간하여 화소수를 올릴 필요가 있다. 화상 보간 방법으로서는, 니어리스트 네이버(nearest neighbor)법, 바이리니어(bilinear)법, 바이큐빅(bicubic)법 등의 각종 화상 보간 방법을 이용하여 화소를 보간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올리는 것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5M 픽셀의 경우의 상술의 화상 범위의 화소수(1004×1004)와, 통일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1024×1024)가 근사하므로, 비교적 간편한 화상 보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피부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분석에 필요로 되는 해상도(화소수)가 예를 들면 스마트폰(3)에 탑재되는 카메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해상도(화소수) 중에서 가장 낮은 해상도, 예를 들면, 5M 픽셀로 충분한 경우에, 가장 낮은 해상도의 카메라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상술과 같이 잘라 내어지는 소정 범위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화상 데이터의 통일용의 화소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의 5M 픽셀의 경우의 소정 범위의 화상의 화소수 1004×1004를 통일용의 해상도로 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처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속 푸리에 변환에 있어서, 데이터량이 2의 거듭제곱인 것이 요구되기(2의 거듭제곱이면 계산에 유리하다) 때문에, 통일하는 해상도를 1024×1024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5M 픽셀의 경우의 소정 범위의 화상의 화소수를 1004×1004가 아니고, 2의 거듭제곱인 1024×1024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컨버전 렌즈(1a)를 5M 픽셀의 카메라에 세트한 경우에 1024×1024의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일 필요가 있다.
화소수의 감소 및 증가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동일한 화질 레벨이면 화상의 화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보다, 화소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의 쪽이 처리가 늦어지는 것과, 화소수가 통일된 화상 데이터가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기억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가 적은 쪽이 기억 용량이 적어도 되는 것과, 진단·분석을 위해, 또는 그 전처리를 위해 화상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화소수가 적은 쪽이 처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 등 때문에, 각 스마트폰(3)의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하는 경우에, 피부의 화상을 이용한 진단·분석에 필요한 화소수이면, 화소수가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3)에서 이용되는 카메라의 해상도로서는, 가장 낮은 5M 픽셀의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여 통일용의 화소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M 픽셀 및 13M 픽셀의 카메라인 경우에는, 상술의 소정 범위의 화상의 통일용의 화소수에 대해 화소수가 크기 때문에 솎아냄법을 이용하여 화상을 축소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최근 방법, 면적 평균법(평균 화소법, 적분법) 등의 솎아냄법을 이용하여 화소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화상의 확대(화소수의 증가)·축소(화소수의 감소)를 행함으로써, 스마트폰(3)에 의해 탑재되는 카메라의 해상도가 달라도, 통일된 화소수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의 각종 진단·분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3)의 카메라에 컨버전 렌즈(1a)를 세트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각 스마트폰(3)의 카메라의 화소수에 관계없이, 통일된 1종류의 화소수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질 변환 처리는,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스마트폰(3) 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도 30에 나타내어지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과 같이,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 상술의 스마트폰(3)의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하기 위해 화소수를 감소 또는 증가하는 화질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질 변환 수단(5s)을 형성해도 된다. 즉, 데이터 관리 서버(5) 측에서 실행되는 화질 변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술의 화질 변환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3)으로부터 촬영된 피부 상태의 진단·분석용의 화상 데이터와, 화소수를 나타내는 화질 데이터가 데이터 관리 서버에 보내지고, 화질 변환 수단(5s)에 의한 화질 변환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로부터 정사각형 형상의 범위가 잘라 내어짐과 함께, 잘라 내어진 부분의 화소수가 예를 들면 소정의 화소수로서의 1024×1024로 변환되며, 이 화질 변환된 화상 데이터가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기억된다.
따라서, 상술의 화질 데이터와 화상 변환 전의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양방을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기억시키는 경우에서는,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기억되는 피부의 화상 데이터가 다르게 된다. 또한, 화질 데이터와 화질 변환 전의 피부의 화상 데이터를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등록하는 경우이더라도,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진단·분석 시에 스마트폰(3)의 카메라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는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하기 위한 상술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되고,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서버(5)가 화질 변환 수단(5s)을 갖게 된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화질 변환 처리를 스마트폰(3) 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스마트폰(3) 측에 상술의 화질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질 변환 수단(3f)을 설치해도 된다. 이 화질 변환 수단(3f)으로서의 기능은, 상술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j)의 일부로서 상술의 화질 변환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마트폰(3) 측에서 화질 변환 처리가 행하여지고, 화상 데이터가 상술과 같이 정사각형으로 잘라 내어짐과 함께 통일된 화상수로 된 화상 데이터가,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지며,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에 등록됨과 함께, 피부 상태의 분석·진단에 이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3)의 카메라에 따라 다를 가능성이 있는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통일함으로써, 진단·분석 등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상술의 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의 차이가 진단·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화소수로 촬영한 경우에, 촬영된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의 차이에 의해 진단·분석 결과가 다를 가능성이 있지만, 진단·분석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일치시킴으로써, 동일한 상태의 피부에 대한 진단·분석 결과가 달라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과 같이 통일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스마트폰(3)의 카메라의 일반적인 해상도 중 낮은 쪽의 해상도에 맞추거나, 근사시킴으로써, 진단·분석 처리에서 필요로 되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보다, 쓸데없이 큰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취급할 필요가 없어져서,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5b)의 기억 용량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화상 처리 등에 의해 데이터 관리 서버(5)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스마트폰(3)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부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의 진단·분석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3)에 의해 카메라의 해상도가 다른 경우가 있어도, 문제없이 피부의 화상 데이터의 진단·분석을 행할 수 있다.
또, 피부 촬영 전용의 피부 카메라로서의 피부 상태 측정 장치(1)를 예를 들면 USB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규격의 피부 카메라가 이용되면, 피부 카메라로부터 스마트폰(3)을 통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5)에 보내지는 화상 데이터는, 동일한 화소수(해상도)가 되어, 상술과 같은 화질 변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복수의 규격의 피부 카메라, 즉, 해상도가 다른 복수 종의 피부 카메라가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상술의 스마트폰(3)의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입력되는 각 화상 데이터로 화소수가 동일해지도록 상술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데이터 관리 서버(5)에 화질 변환 수단(5s)을 설치해도 되고, 스마트폰(3)에 화질 변환 수단(3f)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인터넷(네트워크)(4)을 통하는 통신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은, 예를 들면, 서버 측이 웹 사이트를 인터넷(4) 상에 공개 가능한 웹 서버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고, 클라이언트는, 웹 사이트를 표시 가능한 웹 브라우저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며,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 입력 시의 암호화로서, SSL 암호나, TLS 암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피부 상태 측정 장치(피부 상태 측정 수단)
3: 스마트폰(휴대 단말,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 이력 표시 수단, 미등록 화장품 특정 정보 입력 수단, 가등록 수단, 동시 비교 수단)
4: 인터넷(네트워크)
5: 데이터 관리 서버(피부 상태 분석 수단, 이력 출력 수단, 미등록 판정 수단, 연락 지원 수단, 유저 추출 수단, 랭크 추출 수단, 랭크 송신 수단, 등록 허가 수단)
5b: 피부 이력 데이터베이스(분석 결과 기억 수단)
5d: 사용 화장품 이력 데이터베이스(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
5e: 상세 진단 결과 데이터베이스(분석 결과 기억 수단)
5o : 케어 차트 데이터베이스(사용 화장품 특정 정보 기억 수단)
5p: 등록 화장품 데이터베이스(등록 화장품 기억 수단)
5q: 화장품 메이커 관리 데이터베이스(화장품 메이커 연락처 기억 수단)
6: 계약자 클라이언트
51: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52: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
53: 데이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
61: 화장품 회사 A 서버(피부 상태 분석 수단), 화장품 회사 B 서버(피부 상태 분석 수단)

Claims (8)

  1.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유저에게 사용되고, 또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이터 관리 서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고,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기억 가능하게 출력하는 분석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약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계약자 클라이언트
    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됨과 함께 상기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각 유저마다 중복이 없는 일의의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측정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각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가 등록되는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분석 결과 데이터, 상기 유저 데이터 중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가 서로 관련지어져서 등록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가, 이들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이력으로서 등록되는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약자마다 설정된 계약자 ID가 등록된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약자 ID를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데이터 제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계약자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수단과,
    상기 데이터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하는 수신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대 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데이터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검색 항목을 설정하고, 당해 검색 항목이 설정된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데이터를 당해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범위 축소하며, 범위 축소된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검색 항목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검색 레벨마다의 검색 항목으로서 등록됨과 함께,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액세스 레벨마다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등록되고, 또한, 상기 계약자 ID에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이 관련지어 등록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계약자 ID로 검색하여 당해 계약자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추출하고,
    또한,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에 대해서만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블록 중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에 속하며, 또한, 검색된 상기 데이터만을,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 출력하는 것을 허가하는 검색 제한 수단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을, 당해 검색 항목으로부터 검색의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당해 블록으로부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가 속하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검색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부대 데이터로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고,
    또한, 상기 화장품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당해 화장품 데이터와 함께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상기 이력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취득됨과 함께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되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와, 상기 화장품의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여 검색 가능하게 되며,
    또한, 검색된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취득 시기와 동일한 시기가 되는 상기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병렬로 표시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기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취득 시기의 시계열에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시계열에 따른 변화의 경위를 인식 가능한 시계열 표시와,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복수의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취득 시기에 의한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 가능한 비교 표시 중 적어도 일방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5.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유저에게 사용되고, 또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이터 관리 서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상태의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고,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기억 가능하게 출력하는 분석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약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계약자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행하여지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됨과 함께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각 유저마다 중복이 없는 일의의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 송신 단계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당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측정 데이터 송신 단계와,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각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 ID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유저 데이터 등록 단계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분석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분석 결과 데이터, 상기 유저 데이터 중 소정의 개인 정보를 제외한 부대 데이터 및 상기 고객 ID를 서로 관련지어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함께, 등록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이들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이력으로서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측정 데이터 등록 단계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약자 ID를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계약자 ID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에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하는 수신 기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대 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데이터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검색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당해 검색 항목이 설정된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데이터를 당해 검색 항목에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범위 축소되고, 범위 축소된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하며,
    상기 검색 항목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검색 레벨마다의 검색 항목으로서 등록됨과 함께, 검색 결과로서 출력 가능한 데이터가 속하는 데이터 블록이 복수 단계로 레벨 구분되어 각 액세스 레벨마다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등록되고, 또한, 상기 계약자 ID에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계약자용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계약자 ID로 검색하여 당해 계약자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색 레벨 및 상기 액세스 레벨을 추출 가능하게 하며,
    또한,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에 대해서만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블록 중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에 속하며, 또한, 검색된 상기 데이터만을,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로 출력하는 것을 허가하는 검색 제한 단계와,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검색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검색 항목을, 당해 검색 항목으로부터 검색의 조건을 입력하는 검색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검색 제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약자 ID에 의거하여 추출된 상기 액세스 레벨로 레벨 구분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당해 블록으로부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가 속하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검색 표시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부대 데이터로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화장품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는 상기 취득 시기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당해 화장품 데이터와 함께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에 의거하는 상기 이력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한 시계열에 따른 측정마다 취득됨과 함께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 등록되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됨과 함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상기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특정 가능한 화장품 데이터가 당해 화장품의 사용 시기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는 상기 측정 데이터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상기 취득 시기와, 상기 화장품의 상기 사용 시기에 대응하여 검색하고,
    또한, 검색된 상기 취득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취득 시기와 동일한 시기가 되는 상기 사용 시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화장품 데이터를 병렬로 표시함과 함께,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기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취득 시기의 시계열에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당해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시계열에 따른 변화의 경위를 인식 가능한 시계열 표시와, 상기 유저에게 선택되는 복수의 상기 취득 시기의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취득 시기에 의한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 가능한 비교 표시 중 적어도 일방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1020147018928A 2012-02-15 2013-02-15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101611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0020 2012-02-15
JP2012030020 2012-02-15
JPJP-P-2012-265857 2012-12-04
JP2012265857 2012-12-04
PCT/JP2013/053763 WO2013122233A1 (ja) 2012-02-15 2013-02-15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13A Division KR20160044046A (ko) 2012-02-15 2013-02-15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946A true KR20140099946A (ko) 2014-08-13
KR101611330B1 KR101611330B1 (ko) 2016-04-12

Family

ID=48984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928A KR101611330B1 (ko) 2012-02-15 2013-02-15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1020167008913A KR20160044046A (ko) 2012-02-15 2013-02-15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13A KR20160044046A (ko) 2012-02-15 2013-02-15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779167B2 (ko)
EP (1) EP2811449B1 (ko)
JP (12) JP5871963B2 (ko)
KR (2) KR101611330B1 (ko)
CN (1) CN104115181A (ko)
TW (1) TWI556116B (ko)
WO (1) WO20131222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08B1 (ko) * 2015-09-04 2016-11-17 주식회사 소티뷰닷컴 무선디지털미용현미경을 이용한 촬영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4948A (ko) * 2017-08-04 2020-04-0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화장품 제공 장치
KR102177070B1 (ko) 2020-05-20 2020-11-10 우혜정 피부 맞춤 케어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맞춤 케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058B2 (en) * 2013-05-28 2017-08-01 Vmware, Inc. Dynamic registration of an application with an enterprise system
JP6289837B2 (ja) * 2013-08-23 2018-03-0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CN105683724B (zh) * 2013-09-19 2018-09-14 欧莱雅公司 对表面的颜色和光谱进行测量及分类的系统和方法
FR3015741B1 (fr) * 2013-12-23 2015-12-25 Galderma Res & Dev Procede d'analyse d'images du visage pour la detection d'un effet flush.
US9687155B2 (en) * 2014-02-20 2017-06-27 Modiface Inc.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skin health visualization and quantification
TWI696450B (zh) * 2014-04-16 2020-06-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系統、及資訊處理程式
JP6476610B2 (ja) * 2014-06-30 2019-03-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ダーモスコピー用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534969A (ja) * 2014-09-26 2017-11-24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第3者データ共有のためのプライバシー保護
JP6404677B2 (ja) * 2014-10-18 2018-10-10 プロモツール株式会社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状態の判定システム
JP2016126622A (ja) * 2015-01-06 2016-07-11 株式会社Nttドコモ 管理支援システム、管理支援装置、管理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82763B (zh) * 2015-04-13 2020-01-21 日商麥克賽爾控股股份有限公司 肌膚狀態測定分析系統及肌膚狀態測定分析方法
JP6566240B2 (ja) * 2015-04-16 2019-08-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221238A (ja) * 2015-05-27 2016-12-2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肌画像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6275086B2 (ja) * 2015-07-25 2018-02-07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サーバ、データ提供方法及びサーバ用プログラム
KR101753633B1 (ko) * 2015-07-31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진단 결과 비교 방법
KR102490438B1 (ko) * 2015-09-02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169568A (zh) * 2015-10-21 2015-12-23 深圳斯坦普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端服务的美容方法及其装置
US20170249436A1 (en) * 2016-02-25 2017-08-31 L'oreal Ultraviolet based detection and analysis
TWI585711B (zh) * 2016-05-24 2017-06-01 泰金寶電通股份有限公司 獲得保養信息的方法、分享保養信息的方法及其電子裝置
US9857372B1 (en) 2016-10-17 2018-01-02 Reliant Immune Diagnostics, LLC Arbovirus indicative birth defect risk test
US11693002B2 (en) 2016-10-17 2023-07-04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function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medical test results using visual indicia to determine medical test function type
US11579145B2 (en) 2016-10-17 2023-02-14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age analysis of medical test results
KR101981470B1 (ko) * 2016-10-17 2019-05-23 주식회사 엔또롱 피부 상태의 학습을 통한 가이드 및 보상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10902951B2 (en) 2016-10-17 2021-01-26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medical test results using visual indicia
US11651866B2 (en) 2016-10-17 2023-05-16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insurance quote in response to a self-diagnostic test
US11107585B2 (en) 2016-10-17 2021-08-31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consumer medical wallet and storehouse
US11802868B2 (en) 2016-10-17 2023-10-31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function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medical test results
KR102035277B1 (ko) * 2016-10-28 2019-10-2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CN108804976A (zh) * 2017-04-27 2018-11-13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浴室镜及其控制方法
TW201901591A (zh) * 2017-05-23 2019-01-01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程式、資訊處理系統
CN109118305B (zh) * 2017-06-23 2022-02-08 杭州以太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销售商的美容信息推荐系统
JP2019008619A (ja) * 2017-06-26 2019-01-17 花王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100494B1 (ko) * 2017-06-27 2020-04-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미용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8731A (ja) * 2017-07-31 2019-0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1913436A (zh) * 2017-08-22 2019-04-01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客戶裝置及程式
WO2019106998A1 (ja) * 2017-11-30 2019-06-06 株式会社 資生堂 情報処理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06907B1 (ko) * 2017-12-19 2020-05-07 주식회사 지파워 피부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099828B2 (ja) * 2018-01-26 2022-07-12 マクセル株式会社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KR102001337B1 (ko) * 2018-02-01 2019-07-17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JP6842119B2 (ja) * 2018-02-09 2021-03-17 プロモツール株式会社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または頭皮状態の判定システムを用いたビジネス方法
DE102018104527A1 (de) * 2018-02-28 2019-08-29 Delphi Salesconsulting Ag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Herstellung von Mixturen
CN108606780A (zh) * 2018-05-15 2018-10-02 北京科莱普云技术有限公司 皮肤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18175909A (ja) * 2018-08-13 2018-11-15 プロモツール株式会社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状態の判定システム
WO2020041717A1 (en) * 2018-08-24 2020-02-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Off-camera calibration parameters for an image capture device
JP2020081323A (ja) * 2018-11-22 2020-06-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肌分析装置、肌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970593B2 (en) 2018-12-03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duct effect analysis
US20220027535A1 (en) 2018-12-06 2022-01-27 Shiseido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smetic generator, and computer program
JP2020170226A (ja) * 2019-04-01 2020-10-15 中山 健 製品提案システム
US11455670B2 (en) 2019-08-06 2022-09-27 L'oreal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 digital personal care platform
WO2021075011A1 (ja) * 2019-10-17 2021-04-22 株式会社ティーオースウィング コンポーネント提示装置、コンポーネント提示システム、コンポーネント提示方法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提示用プログラム
KR102123101B1 (ko) * 2019-11-19 2020-06-15 강형진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US20210201492A1 (en) * 2019-12-30 2021-07-01 L'oreal Image-based skin diagnostics
WO2021171540A1 (ja) * 2020-02-28 2021-09-0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KR20210152179A (ko)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시리얼 피부 유형 분석과 맞춤형 화장품 조제 장치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7454465B2 (ja) 2020-07-28 2024-03-22 マクセル株式会社 肌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JP7461243B2 (ja) 2020-07-28 2024-04-03 マクセル株式会社 肌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KR102378212B1 (ko) * 2020-08-07 2022-03-25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피부질환 측정 시스템 및 피부질환 관리방법
US11681714B2 (en) * 2020-09-01 2023-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hannel search
JP7149015B2 (ja) * 2020-09-11 2022-10-06 じぶんde株式会社 ビューティ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KR102286422B1 (ko) * 2020-10-16 2021-08-06 (주)나모메드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2114420A1 (ko) * 2020-11-25 2022-06-02 ㈜인코돈바이오코스메틱 화장품 사용 및 피부 관리 비대면 컨설팅 시스템
JP7261353B2 (ja) * 2020-12-16 2023-04-19 ヤーマン株式会社 データ構造体、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23012620A1 (en) * 2021-08-02 2023-02-09 S&M Euformula Srl Multifunctional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inestetisms
KR102360993B1 (ko) * 2021-08-23 2022-02-09 주식회사 브이 메이커스 사용자에게 화장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7301432B1 (ja) 2022-12-06 2023-07-03 AquaAge株式会社 因果推論プログラム、及び因果推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050A (ja) * 1999-10-06 2001-04-17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を用いた化粧支援方法および化粧台ならびに画像処理を用いた化粧支援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338187A (ja) * 2000-05-25 2001-12-07 Nec Corp カウンセリング販売システム、カウンセリング販売方法、ユーザ端末、販売者端末及び記録媒体
JP2001344501A (ja) * 2000-05-30 2001-12-14 Kanebo Ltd 商品使用アドバイス方法
JP2002015068A (ja) 2000-06-29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ヘルスケア機器による測定、診断システム、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ヘルスケア機器による測定、診断方法
JP2002132794A (ja) * 2000-10-23 2002-05-10 Ntt Comware Corp データベースの検索方法、検索システム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550386B2 (ja) * 2000-11-09 2004-08-04 株式会社セルムス・ジャパン アドバイス提供方法、アドバイス提供装置およびアドバイス提供システム
JP2002358353A (ja) * 2001-06-04 2002-12-13 Nadei:Kk 化粧に関する情報の収集および提供方法
JP2002369048A (ja) * 2001-06-07 2002-12-20 Shiseido Co Ltd 撮像装置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2366651A (ja) 2001-06-11 2002-12-20 Toshiba Corp 素肌診断システム
JP2003070749A (ja) 2001-09-07 2003-03-11 Scalar Corp 診断システム、肌の診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085278A (ja) * 2001-09-07 2003-03-20 Scalar Corp 診断システム、診断用情報の送信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091583A (ja) * 2001-09-18 2003-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US7324668B2 (en) * 2001-10-01 2008-01-29 L'oreal S.A. Feature extraction in beauty analysis
JP2003132062A (ja) 2001-10-23 2003-05-09 Yokogawa Electric Corp 物体解明システム
DE10309873A1 (de) * 2002-07-09 2004-01-29 RIC Co. Ltd. Digitale-Zoom-Hautdiagnosevorrichtung
JP2004146998A (ja) 2002-10-23 2004-05-20 Nihon Enterprise Co Ltd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監視又は観察システム
JP4140511B2 (ja) 2002-11-21 2008-08-27 有限会社元井創研 合成画像提供システム、合成画像生成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キャリア
JP2004213416A (ja) 2003-01-06 2004-07-29 Com & Com:Kk 医薬品使用状況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2004237048A (ja) * 2003-02-07 2004-08-26 Makoto Dejima 訪問販売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4301937A (ja) 2003-03-28 2004-10-28 Recruit Co Ltd サンプル付き雑誌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サービス提供方法
JP3097550U (ja) * 2003-04-30 2004-01-29 石川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用の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
JP3989405B2 (ja) 2003-05-29 2007-10-10 泰尊 中田 肌分析システムおよび頭皮頭髪分析システム
KR20030070868A (ko) 2003-07-03 2003-09-02 김용시 피부 진단기, 온라인 피부 진단 및 고객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5056165A (ja) 2003-08-05 2005-03-03 Nec Corp 肌の診断システム,業務委託先サーバ,肌の診断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48697A (ja) 2003-10-22 2005-06-09 Recruit Co Ltd 行動支援媒体
JP2005148797A (ja) 2003-11-11 2005-06-09 Sharp Corp 調合化粧品のアドバイス提供装置、調合化粧品のアドバイス提供方法、調合化粧品のアドバイス提供システム、化粧品サンプル提供管理装置、化粧品サンプル提供管理方法、化粧品サンプル提供管理システム、調合化粧品のアドバイス提供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化粧品サンプル提供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437202B2 (ja) * 2004-01-09 2010-03-24 学校法人慶應義塾 色素沈着部位の遠隔診療システム
US8313433B2 (en) 2004-08-06 2012-11-20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ata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KR20060062263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정보 제공장치 및제공 방법
JP2006202069A (ja) * 2005-01-21 2006-08-03 Shiseido Co Ltd 化粧品販売における情報管理システム
US20080162189A1 (en) * 2005-01-21 2008-07-03 Shiseido Company, Lt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smetics Sales
JP2006285451A (ja) * 2005-03-31 2006-10-19 Nec Corp 化粧品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サーバ及びカウンセリングプログラム
JP4717595B2 (ja) * 2005-11-08 2011-07-06 株式会社 資生堂 肌状態解析方法、肌状態解析装置、肌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TW200706865A (en) * 2005-08-05 2007-02-16 Shi-Wei Chen System and method of skin diagnosis and cosmetics selection
US7454046B2 (en) * 2005-09-20 2008-11-18 Brightex Bio-Photon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kin conditions using digital images
JP5080060B2 (ja) 2005-11-08 2012-11-21 株式会社 資生堂 肌状態解析方法、肌状態解析装置、肌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7310652A (ja) 2006-05-18 2007-11-29 Asuka Corporation:Kk 美顔管理システム
WO2010093503A2 (en) 2007-01-05 2010-08-19 Myskin, Inc. Skin analysis methods
JP5221933B2 (ja) 2007-11-01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健康増進システム
JP5144232B2 (ja) 2007-11-26 2013-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健康増進システム
JP2009129311A (ja) * 2007-11-27 2009-06-11 Sanyo Electric Co Ltd 管理システム
JP5215652B2 (ja) * 2007-12-25 2013-06-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肌状態改善システム
BRPI0905668A2 (pt) * 2008-01-07 2015-07-07 Myskin Inc Sistema e método para análise da interação matéria-luz baseada na convulação espectral
TW200933512A (en) * 2008-01-25 2009-08-01 Xiu-Yue Zheng Automatic vending method and apparatus of beauty merchandise
JP5214429B2 (ja) * 2008-12-25 2013-06-19 花王株式会社 肌診断システム
CN101773394B (zh) * 2010-01-06 2011-09-07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身份识别方法及应用该方法的身份识别系统
EP2538841A2 (en) * 2010-02-26 2013-01-02 Myskin, Inc. Analytic methods of tissue evaluation
JP2011186640A (ja) * 2010-03-05 2011-09-22 Shiseido Co Ltd 化粧品販売管理システム
JP5648893B2 (ja) * 2010-04-26 2015-01-07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知的財産情報交換支援システム
KR20120002148A (ko) * 2010-06-30 2012-01-05 엔에이치엔(주) 자동으로 컨텐츠를 추천하는 모바일 시스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컨텐츠 추천 방법
JP5733032B2 (ja) * 2011-06-06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02069B2 (en) * 2013-06-20 2015-12-01 Cloudfinder Sweden AB Role based sear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08B1 (ko) * 2015-09-04 2016-11-17 주식회사 소티뷰닷컴 무선디지털미용현미경을 이용한 촬영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4948A (ko) * 2017-08-04 2020-04-0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화장품 제공 장치
KR102177070B1 (ko) 2020-05-20 2020-11-10 우혜정 피부 맞춤 케어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맞춤 케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5181A (zh) 2014-10-22
JP7018085B2 (ja) 2022-02-09
US10216697B2 (en) 2019-02-26
JP7152264B2 (ja) 2022-10-12
JP5871963B2 (ja) 2016-03-01
JP2019046489A (ja) 2019-03-22
JP2016115363A (ja) 2016-06-23
EP2811449B1 (en) 2018-12-19
JP6231599B2 (ja) 2017-11-15
JP2017211998A (ja) 2017-11-30
JP2021108175A (ja) 2021-07-29
TWI556116B (zh) 2016-11-01
JP7235690B2 (ja) 2023-03-08
JP7018084B2 (ja) 2022-02-09
JP2016128052A (ja) 2016-07-14
JP2017139005A (ja) 2017-08-10
JPWO2013122233A1 (ja) 2015-05-18
JP2022130608A (ja) 2022-09-06
KR101611330B1 (ko) 2016-04-12
JP2020102250A (ja) 2020-07-02
WO2013122233A1 (ja) 2013-08-22
JP2022125145A (ja) 2022-08-26
KR20160044046A (ko) 2016-04-22
JP7270666B2 (ja) 2023-05-10
JP6518711B2 (ja) 2019-05-22
JP2020102249A (ja) 2020-07-02
JP6518726B2 (ja) 2019-05-22
EP2811449A1 (en) 2014-12-10
EP2811449A4 (en) 2015-10-21
US9779167B2 (en) 2017-10-03
JP2020102248A (ja) 2020-07-02
TW201348981A (zh) 2013-12-01
JP6174725B2 (ja) 2017-08-02
US20150186518A1 (en) 2015-07-02
US20170245939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085B2 (ja) 肌状態ケアシステム、ユーザークライアントおよび肌状態ケア方法
JP6450871B2 (ja) 表面状態撮影表示システム
JP6297771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
JP6289837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6411428B2 (ja) 肌状態測定ケアシステムおよびスキンケア装置
JP7099828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2017012834A (ja) スキンケ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