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22B1 -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22B1
KR102286422B1 KR1020200134496A KR20200134496A KR102286422B1 KR 102286422 B1 KR102286422 B1 KR 102286422B1 KR 1020200134496 A KR1020200134496 A KR 1020200134496A KR 20200134496 A KR20200134496 A KR 20200134496A KR 102286422 B1 KR102286422 B1 KR 10228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ser
smart
information
beau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남
Original Assignee
(주)나모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모메드 filed Critical (주)나모메드
Priority to KR102020013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4Evaluating skin marks, e.g. mole, nevi, tumour, s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에서 전달되는 피부 진단 정보 및 등록 화장품 제품 정보 등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로 개인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피부케어 미용기기와 스마트폰 앱 연동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등록 화장품 제품의 용량, 1회 사용 시 추천 사용량 및 사용하는 횟수에 따른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등록 화장품 제품의 사용량 및 잔량 정보에 따른 추천 제품 구매 또는 사용 제품 재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등록 화장품 제품 별 사용주기 이력에 따라 일정 사용 비율 미만인 경우 사용 독려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Smart skin care beauty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에서 전달되는 피부 진단 정보 및 등록 화장품 제품 정보 등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로 개인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물 인터넷(IoT) 및 스마트 홈 관련하여 전자 기술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뷰티 및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집에서 사용자 스스로 피부 진단 미용기기를 통해 피부를 진단하고 자신의 피부에 적합한 화장품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은 실정이다.
피부나 미용에 관심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미용실이나 피부 관리실에 직접 방문해서 피부를 관리 받는 것은 시간적이나 또는 경제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피부 상태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정확한 피부 상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특화된 피부 상태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정확히 수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피부케어 미용기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진단하고, 피부케어 미용기기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진단 결과와 이에 대응하는 맞춤형 추천 화장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피부케어 미용기기에 등록된 사용 제품에 대한 사용주기 또는 사용횟수에 따른 사용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등록 제품에 대한 사용독려 알림 또는 재구매 알림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여 스마트 미용기기를 인증하는 스마트미러인증부;와 상기 스마트미러인증부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피부진단부;와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피부정보수집부;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구매알림서비스부; 및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동하는 무선연동부;를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미러인증부는 상기 촬상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보안인증부;및 상기 보안인증부를 통해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트리거 역할을 하는 시리얼넘버공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부진단부는 상기 스마트미러인증부를 통해 보안 인증절차를 거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피부진단센서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을 진단하며, 상기 진단 결과물 및 진단 결과 분석 정보데이터를 상기 피부정보수집부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 유수분, 주름, 기미, 버짐, 피지, 홍조 등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질환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기반으로 피부에 난 상처, 사마귀, 아토피, 색소침착, 염증, 피부암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부정보수집부는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한 피부상태 결과 데이터를 기반하여,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기미와 버짐이 확산되지 않도록 도움을 영양크림, 피지 제거의 필링제품, 홍조와 붉어짐 현상을 완화에 도움을 주는 알로에 화장품 및 미용제품을 제공하는 추천제품정보제공부; 및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한 피부질환에 따른,한방 피부치료법 및 한방 피부과 혹은 양약 및 피부 전문병원 등에 관련한 정보를 추천하는 피부질환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알림서비스부는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 관리 패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 사용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화장품의 사용 잔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 잔여량이 기준값 미만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품의 추가 구매를 알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동부는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및 미용제과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 등을 2차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단계;와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여 스마트 미용기기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피부정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및 미용제과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 등을 2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부케어 미용기기와 스마트폰 앱 연동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등록 화장품 제품의 용량, 1회 사용 시 추천 사용량 및 사용하는 횟수에 따른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등록 화장품 제품의 사용량 및 잔량 정보에 따른 추천 제품 구매 또는 사용 제품 재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등록 화장품 제품 별 사용주기 이력에 따라 일정 사용 비율 미만인 경우 사용 독려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인증부의 구성도이다.
도3,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과 휴대용 스마트 기기간의 연동 모식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청구항을 풀어서 상세하게 기재하면 되고, 특히 청구항의 구성요소 및 종속항들,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기재하는 부분
도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여 스마트 미용기기를 인증하는 스마트미러인증부(100);와 스마트미러인증부(100)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피부진단부(200);와 피부진단부(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피부정보수집부(300);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구매알림서비스부(400); 및 피부정보수집부(300)의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동하는 무선연동부(500);를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인증부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스마트미러인증부(100)는 상기 촬상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보안인증부(100a);및 보안인증부(100a)를 통해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트리거 역할을 하는 시리얼넘버공유부(100b);를 포함한다.
피부진단부(200)의 경우, 스마트미러인증부(100)를 통해 보안 인증절차를 거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피부진단센서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을 진단하며, 상기 진단 결과물 및 진단 결과 분석 정보데이터를 상기 피부정보수집부(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피부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 유수분, 주름, 기미, 버짐, 피지, 홍조 등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질환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기반으로 피부에 난 상처, 사마귀, 아토피, 색소침착, 염증, 피부암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피부정보수집부(300)는 피부진단부(200)를 통한 피부상태 결과 데이터를 기반하여,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기미와 버짐이 확산되지 않도록 도움을 영양크림, 피지 제거의 필링제품, 홍조와 붉어짐 현상을 완화에 도움을 주는 알로에 화장품 및 미용제품을 제공하는 추천제품정보제공부(300a); 및 피부진단부(200)를 통한 피부질환에 따른,한방 피부치료법 및 한방 피부과 혹은 양약 및 피부 전문병원 등에 관련한 정보를 추천하는 피부질환정보제공부(300b);를 포함한다. 또한, 구매알림서비스부(400)는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 관리 패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 사용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화장품의 사용 잔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 잔여량이 기준값 미만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품의 추가 구매를 알림한다. 또한, 무선연동부(500)는 피부정보수집부(300)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및 미용제과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 등을 2차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따라, 피부케어 미용기기와 스마트폰 앱 연동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등록 화장품 제품의 용량, 1회 사용 시 추천 사용량 및 사용하는 횟수에 따른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등록 화장품 제품의 사용량 및 잔량 정보에 따른 추천 제품 구매 또는 사용 제품 재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등록 화장품 제품 별 사용주기 이력에 따라 일정 사용 비율 미만인 경우 사용 독려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진단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홍조 상태를 측정하여, 미세조류인 스피루리나(Spirulina platensis)의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사용자 홍조 완화 및 관리에 적용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 피부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멜라닌,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기능성 소재와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여기서,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항염증 작용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여 염증유발 물질인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LPS처리군보다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농도 25 μg/mL에서 NO 생성을 60% 이상 차단한다. 항멜라닌 실험으로 B16F10 세포에 5 μg/mL부터 100 μg/mL까지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스피루리나 추출물 25, 50 μg/mL 농도에서 α-MSH를 단독 처리 시 보다 각각 34.4, 44.7%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고, α-MSH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Westen blotting 분석을 실시하여 티로시나아제를 효율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군에서 홍조 및 민감 진정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스피루리나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염증관련 메커니즘을 제한하며, 멜라닌 생성억제 및 노화억제 효과를 가지는 홍조 및 민감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화장품 소재이다.
도3와 도4는 본 발명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3를 참고하면,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단계;와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4를 참고하면,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여 스마트 미용기기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피부정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및 미용제과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 등을 2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미러인증부 100a: 보안인증부
100b: 시리얼넘버공유부 200: 피부진단부
300: 피부정보수집부 300a: 추천제품정보제공부
300b: 피부질환정보제공부 400: 구매알림서비스부
500: 무선연동부

Claims (9)

  1.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여 스마트 미용기기를 인증하는 스마트미러인증부;
    상기 스마트미러인증부를 통해 보안 인증절차를 거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피부진단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을 진단하며,
    사용자의 홍조를 측정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사용자의 홍조 완화 및 관리에 적용 가능한지에 관한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 피부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멜라닌,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기능성 소재와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피부진단부;와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피부정보수집부;와
    상기 피부정보수집부는,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한 피부상태에 따른,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기미와 버짐이 확산되지 않도록 도움을 영양크림, 피지 제거의 필링제품, 홍조와 붉어짐 현상을 완화에 도움을 주는 알로에 화장품 및 미용제품을 제공하는 추천제품정보제공부; 및 상기 피부진단부를 통한 피부질환에 따른, 한방 피부치료법 및 한방 피부과 혹은 양약 및 피부 전문병원에 관련한 정보를 추천하는 피부질환정보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구매알림서비스부;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동하는 무선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미러인증부는,
    상기 촬상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보안인증부; 및
    상기 보안인증부를 통해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트리거 역할을 하는 시리얼넘버공유부;를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 유수분, 주름, 기미, 버짐, 피지, 홍조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질환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기반으로 피부에 난 상처, 사마귀, 아토피, 색소침착, 염증, 피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알림서비스부는,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미용기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 관리 패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 사용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화장품의 사용 잔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 잔여량이 기준값 미만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품의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동부는,
    상기 피부정보수집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을 2차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8.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러의 촬상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의 보안 인증을 하는 단계; 와
    보안해제된 상기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의 시리얼넘버를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와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와의 연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와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진단하는 단계; 와
    사용자의 홍조를 측정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사용자 홍조 완화 및 관리에 적용 가능성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 피부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멜라닌,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기능성 소재와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 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의 진단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와 피부질환 및 피부질환과 관련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른,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화장품 및 미용제품, 기미와 버짐이 확산되지 않도록 도움을 영양크림, 피지 제거의 필링제품, 홍조와 붉어짐 현상을 완화에 도움을 주는 알로에 화장품 및 미용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질환에 따른, 한방 피부치료법 및 한방 피부과 혹은 양약 및 피부 전문병원에 관련한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와
    상기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가 구매를 알림하는 단계; 와
    상기 수집된 피부정보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을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질환 결과를 통해서,
    사용자가 구매해야 할 화장품, 사용자가 취해야 할 피부관리 및 치료법을 2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방법.
  9. 삭제
KR1020200134496A 2020-10-16 2020-10-16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496A KR102286422B1 (ko) 2020-10-16 2020-10-16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496A KR102286422B1 (ko) 2020-10-16 2020-10-16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22B1 true KR102286422B1 (ko) 2021-08-06

Family

ID=773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496A KR102286422B1 (ko) 2020-10-16 2020-10-16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287B1 (ko) * 2022-02-04 2022-08-23 (주)최금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뷰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1963B2 (ja) * 2012-02-15 2016-03-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2016221238A (ja) * 2015-05-27 2016-12-2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肌画像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67619A (ko) * 2017-12-07 2019-06-17 이인찬 스마트기기 신체분석과 연동된 헬스케어 정보제공 및 제품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91857A (ko) * 2018-01-29 2019-08-07 공성진 피부 진단을 통한 개인화 된 피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1963B2 (ja) * 2012-02-15 2016-03-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2016221238A (ja) * 2015-05-27 2016-12-2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肌画像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67619A (ko) * 2017-12-07 2019-06-17 이인찬 스마트기기 신체분석과 연동된 헬스케어 정보제공 및 제품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91857A (ko) * 2018-01-29 2019-08-07 공성진 피부 진단을 통한 개인화 된 피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287B1 (ko) * 2022-02-04 2022-08-23 (주)최금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뷰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khdar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broad‐spectrum sunscreen in the prevention of chloasma in pregnant women
US20150045631A1 (en) Skin health system
US20150099947A1 (en) Skin youthfulness index, method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70054261A1 (en) Methods for retail measurement of skin moisture content
G Bianchi et al. Benefits of teledermatology for geriatric patients: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Mercurio et al.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biophysical properties of French and Brazilian photoaged skin
KR102286422B1 (ko) 스마트 피부케어 미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784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Bielfeldt et al. An updated review of clinical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ageing skin–new perspectives and evaluation for claims support
Oliveira et al. An Overview of Methods to Characterize Skin Type: Focus on Visual Rating Scales and Self-Report Instruments
Lubart et al. Topical hyaluronic acid facial cream with new micronized molecule technology effectively penetrates and improves facial skin quality: results from in-vitro, ex-vivo, and in-vivo (open-label) studies
KR20200094236A (ko) 피부 타입 진단 장치 및 방법
Nkengne et al. The skin aging index: a new approach for documenting anti‐aging products or procedures
JP2015198909A (ja) 皮膚分類方法、化粧品の推薦方法及び皮膚分類カード
Hua et al. Comparison of two series of non‐invasive instruments used for the skin physiological properties measurements: the ‘Soft Plus’ from Callegari SpA vs. the series of detectors from Courage & Khazaka
Ferrillo et al. Instrumental, clinical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cosmetic treatment for home use
EP3669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hyperpigmented spots
Qian et al. Comparing performance of Chromameter®, Mexameter® and full‐field laser perfusion imaging for measurement of ultraviolet B light‐induced erythema
US2023025554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skin information using hyper spectral reconstruction
Sosted et al. Patch test dose–response study of p‐phenylenediamine: thresholds and anatomical regional differences
Hernández-Blanco et al. Prevalence of sensitive skin and its biophysical response in a Mexican population
Ma et al. Correlation study between image fea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an Chinese facial skin
Sahin et al. New pattern hair loss in young Turkish women; What's wrong in their daily life?
Kim et al.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hair loss prevention shampoo containing salicylic acid, panthenol, and niacinamide in alopecia patients
KR102076654B1 (ko) 유전자 맞춤형 바디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