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37B1 -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37B1
KR102001337B1 KR1020180012865A KR20180012865A KR102001337B1 KR 102001337 B1 KR102001337 B1 KR 102001337B1 KR 1020180012865 A KR1020180012865 A KR 1020180012865A KR 20180012865 A KR20180012865 A KR 20180012865A KR 102001337 B1 KR102001337 B1 KR 10200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kin
product
inform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섭
차남주
이진숙
Original Assignee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8001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기 제품, 피부관리상품, 화장품, 및 코슈메스티컬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인 제품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품 DB; 회원 정보와, 사용 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인 고객데이터 저장되는 고객정보 DB; 진단자가 피부 진단을 통해 입력된 피부진단데이터와,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인 지식데이터가 저장되는 지식서비스 DB; 특정 회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피부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측정장치; 및 상기 피부측정장치의 피부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제품DB와, 고객정보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어,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피부 타입을 산출하여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형성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제조사, 상기 진단자에 제공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Integrated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skin type us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와 사용자가 본인의 피부타입을 측정하고 측정내용에 적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피부전문 의사(전문가)들의 참여로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하고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기반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코스메슈티컬 지식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인터넷 사용이 점차 활발해 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상에 화장품 제품 관련 정보들이 방대한 양으로 축적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화장품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다른 사람들이 인터넷상에 올려놓은 리뷰를 참고하거나 화장품 제품 판매회사가 올린 화장품 제품 구매 관련 정보인 브랜드명, 가격, 제품의 외관, 포장, 사용법, 화장품 제품 제조시 사용된 성분 등을 검색하고 자신이 원하는 화장품을 찾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블로그(Blog), 쇼핑몰, 오픈 마켓, 화장품 회사 웹사이트 등과 같은 곳에서 화장품 제품을 검색하고 화장품의 제품명, 브랜드명, 가격, 구매자들의 리뷰 등을 보고 화장품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 제품 시장에는 다양한 브랜드명, 수많은 제품유형, 유사 제품들이 존재하고 있어 시장 자체가 매우 크고 화장품 제품 종류와 이에 관한 정보 또한 다양하다.
이로 인해, 화장품 제품 소비자들은 방대한 정보 속에서 어떤 화장품 제품을 선택해서 구매해야 할지를 선택하는데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정보 과잉시대에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끊임없이 망설이는 대중인'햄릿증후군'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화장품 제품 선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화장품 제품 소비자에게 각각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화장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예를 들어, 가격, 용량, 성분, 제품설명 등)들은 각기 다른 화장품 제품 브랜드명 사이트로 흩어져 있고, 소비자들이 구매 전 가장 의존하는 소비자들의 주관적 정보(제품 사용 후기 등)들은 상업적인 정보들로 인해 제대로 필터링 되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25048 호는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관련 정보를 이미지와 관련시켜 저장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소비자와 사용자가 본인의 피부타입을 측정하고 측정내용에 적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피부전문 의사(전문가)들의 참여로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하고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기반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코스메슈티컬 지식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1544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123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3445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244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9813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2504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와 사용자가 본인의 피부타입을 측정하고 측정내용에 적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피부전문 의사(전문가)들의 참여로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하고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기반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코스메슈티컬 지식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기존 화장품제조업, 피부 측정기 및 장치 제조업,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과와, 피부관리사 서비스업 등을 위한 서비스타이제이션은 관련된 산업의 서비스화와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고, 비즈니스 모델 기반의 지식서비스는 소비자와 제조자 모두에게 매우 긍적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스메슈티컬 제조 산업의 기업들에게는 BM을 통해 분석된 고객의 피부타입별 DB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고객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피부DB가 필요한 산업(식생활, 제약, 의료서비스, 미용, 뷰티, 의류 등)도 DB를 활용함으로 수익창출은 물론 다양한 기술/서비스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BM을 통해 Big-Data기반의 고객 피부맞춤 서비스를 위한 AI기술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는 화장품의 기능성 강화 및 제품력 증대, 나아가 개개인 1:1피부맞춤형 화장품 제조는 물론 다양한 서비스 및 기술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기, 피부관리상품, 화장품, 및 코슈메스티컬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인 제품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품 DB; 회원 정보와, 사용 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인 고객데이터 저장되는 고객정보 DB; 소비가의 피부 진단을 통해 입력된 피부진단데이터와, 피부유형 지식컨텐츠인 지식데이터가 저장되는 지식서비스 DB; 특정 소비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피부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측정장치; 및 상기 피부측정장치의 피부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제품 DB와, 고객정보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어,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피부 타입을 분석하여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형성하여 소비자 단말과, 제조사 단말과, 판매자 단말과, 상기 진단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측정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고객정보 DB에 저장되며,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소비자의 피부유형을 분석하여 타입을 결정하는 고객분석부; 상기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제품 DB, 상기 고객정보 DB, 상기 지식서비스 DB내에서 상기 타입에 매칭되는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엔진; 및상기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회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에 전송하는 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와, 상기 피드백 데이터,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부 타입을 세분화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제품 DB 내의 제품데이터, 상기 지식서비스 DB 내의 지식데이터를 타입별로 분류, 업데이트하는 신경망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DB는 온라인 쇼핑몰,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제품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고객정보 DB는 상기 피부측정데이터,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고객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며, 상기 지식서비스 DB는 진단자 단말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지식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데이터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제품평가데이터, 설문응답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소비자와 사용자가 본인의 피부타입을 측정하고 측정내용에 적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피부전문 의사(전문가)들의 참여로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하고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기존 화장품제조업, 피부 측정기 및 장치 제조업,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과와, 피부관리사 서비스업 등을 위한 서비스타이제이션은 관련된 산업의 서비스화와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고, 비즈니스 모델 기반의 지식서비스는 소비자와 제조자 모두에게 매우 긍적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코스메슈티컬 제조 산업의 기업들에게는 BM을 통해 분석된 고객의 피부타입별 DB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고객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피부DB가 필요한 산업(식생활, 제약, 의료서비스, 미용, 뷰티, 의류 등)도 DB를 활용함으로 수익창출은 물론 다양한 기술/서비스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BM을 통해 Big-Data기반의 고객 피부맞춤 서비스를 위한 AI기술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는 화장품의 기능성 강화 및 제품력 증대, 나아가 개개인 1:1피부맞춤형 화장품 제조는 물론 다양한 서비스 및 기술창출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코스메슈티컬 제조-서비스화 비지니스 모델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단 모형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장치에 따른 피부측정데이터를 형성하는 측정기 측정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진단 프로세스 및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품 DB, 고객 DB, 지식서비스 DB, 피부측정장치,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 소비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 등을 포함하여 구축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제품 DB, 고객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며, 피부측정장치와도 연계되며, 또한, 소비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들과 연동되게 된다. 단말은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질 수 있는 스마트폰, PC, 각종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제품 DB에는 의료기기 제품, 피부관리상품, 화장품, 및 코슈메스티컬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인 제품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제품에는 각종 성분, 사용방법, 제품정보, 피부 개선점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제품데이터는 후에 설명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에 구비된 신경망 분석부에 의해 기계학습, 딥러닝되어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와, 고객 피드백 데이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부 타입으로 세분화하며, 실시간으로 제품 DB 내의 제품데이터가 타입별로 분류, 업데이트되게 된다. 또한, 제품DB는 온라인 쇼핑몰,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와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제품데이터가 업데이트되게 된다.
고객정보 DB에는 회원 정보와, 사용 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인 고객데이터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고객데이터는 소비자 단말들과 연계되어 업데이트되며,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피부측정데이터, 피드백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 데이터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소비자가 입력하는 제품평가데이터, 설문응답데이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지식서비스 DB에는 진단자(피부과의사, 코스메스티컬 전문가, 피부관리사 등)가 피부 진단을 통해 입력된 피부진단데이터와,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인 지식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또한 지식서비스 DB는 진단자 PC와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지식데이터가 업데이트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데이터 역시 후에 설명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에서 생성되는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와, 피드백 데이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경망 분석부를 통해 세분화되어 피부 타입별로 분류, 업데이트되게 된다.
피부측정장치는 특정 소비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피부측정데이터를 생성하기 우한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피부측정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고객정보 DB에 저장되게 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제품 DB, 고객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며, 피부측정장치와도 연계되며, 또한, 소비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들과 연동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피부측정장치의 피부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제품DB와, 고객정보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어,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피부 타입을 산출하여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형성하여 소비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분석부, 검색엔진, 추천모듈, 신경망 분석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객분석부는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회원의 피부유형을 분석하여 타입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검색엔진은 피부 타입을 기반으로 제품 DB, 고객정보 DB, 지식서비스 DB내에서 상기 타입에 매칭되는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추천모듈은,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소비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에 전송,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신경망분석부는 딥러닝, 기계학습을 통해,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와, 상기 피드백 데이터,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부 타입을 세분화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제품 DB 내의 제품데이터, 상기 지식서비스 DB 내의 지식데이터를 타입별로 분류,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품DB는 온라인 쇼핑몰, 제조사 PC, 판매자 PC와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제품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고객정보 DB는 상기 피부측정데이터,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고객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며, 상기 지식서비스 DB는 진단자 PC와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지식데이터가 업데이트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코스메슈티컬 제조-서비스화 비지니스 모델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은 소비자에게 피부측정 & History 제공 서비스, 화장품 추천 서비스, 전문가 지원 서비스, 지식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피부측정&History 제공 서비스는 기본분석 항목(건성/지성/복합성/민감성 등)의 단순한 측정과 수분도, 유분도, 노화도, 색소침착도, 모공, 피부톤, 피부온도 등 다양한 전문 측정요소들을 정밀 피부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하고 분류한 뒤 개인별 피부 상태를 DB화하여 지속적인 고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화장품 추천 서비스는 소비자와 사용자의 피부 타입에 맞는 기본 화장품과 전문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DB에서 추출된 AI 추천기능과 사용자의 DB(타입별, 사용자경험, 후기, 랭킹 등)를 통한 추천 기능으로 기본화장품과 전문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문가 지원 서비스는 측정된 피부 데이터를 통해 전문가(피부과의사, 코스메스티컬 전문가, 피부관리사 등)가 추천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 및 사용자의 Big-Data 및 AI 시스템을 이용한 코스메슈티컬 지식서비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제품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각종 데이터, 즉 사용 패턴, 사용자 피부개선정도, 사용 후기 등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정보를 플랫폼을 통해 공감하면서 신뢰도 높은 지식콘텐츠(지식데이터)를 공유하고, 피부측정 결과/타입에 따른 전문가 지원의 지식서비스 제공받는 클라우드 기반의 지식서비스에 해당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DB에는 피부측정기, 피부측정장치, 피부관리제품, 기본화장품, 코슈메스티컬 제품 등에 대한 제품정보, 성분, 피부개선점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지식서비스 DB에 저장되는 지식데이터로서는 전문의 진단/지원서비스, 개인별 피부유형 측정 DB지원 서비스, 제품 구매 유형별 지원서비스, 제품 사용유형별 지원서비스, 빅데이터 AI기반의 지식서비스가 저장되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의해 소비자에게 피부측정 & History 제공 서비스, 화장품 추천 서비스, 전문가 지원 서비스, 지식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기 위해서는 융합서비스를 위한 통합화 지식 컨텐츠 DB 구축이 필요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정보 DB에는 피부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피부분석데이터, 개인정보, 제휴 사이트 및 업체, 오프라인 매장 정보 등이 소비자 정보로서 저장되고, 제조사 정보는 분류, 성분, 피부개선점, 제품정보(가격, 용량 등)이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지식서비스 DB의 전문가 정보는 진단결과데이터, 전문 컨텐츠 등이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빅데이터인공지능 운영서버는 고객분석부를 통해 소비자 피부정보를 분석하여 타입별로 세분화하며 이러한 세분화과정은 신경망분석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딥러닝되어 업데이트되게 된다. 그리고 검색엔진과 추천모듈을 통해 타입별 맞춤형 제품과 지식데이터를 추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는 제품 사용 후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는 웹사이트, 스마트폰의 앱, 오프라인 매장의 PC 등을 통해 제공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단 모형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장치에 따른 피부측정데이터를 형성하는 측정기 측정화면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진단 프로세스 및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소비자와 사용자가 본인의 피부타입을 측정하고 측정내용에 적합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피부전문 의사(전문가)들의 참여로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하고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기존 화장품제조업, 피부 측정기 및 장치 제조업,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과와, 피부관리사 서비스업 등을 위한 서비스타이제이션은 관련된 산업의 서비스화와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고, 비즈니스 모델 기반의 지식서비스는 소비자와 제조자 모두에게 매우 긍적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코스메슈티컬 제조 산업의 기업들에게는 BM을 통해 분석된 고객의 피부타입별 DB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고객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피부DB가 필요한 산업(식생활, 제약, 의료서비스, 미용, 뷰티, 의류 등)도 DB를 활용함으로 수익창출은 물론 다양한 기술/서비스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BM을 통해 Big-Data기반의 고객 피부맞춤 서비스를 위한 AI기술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는 화장품의 기능성 강화 및 제품력 증대, 나아가 개개인 1:1피부맞춤형 화장품 제조는 물론 다양한 서비스 및 기술창출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기, 피부관리상품, 화장품, 및 코슈메스티컬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인 제품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품 DB;
    회원 정보와, 사용 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인 고객데이터 저장되는 고객정보 DB;
    소비자의 피부 진단을 통해 입력된 피부진단데이터와, 피부유형 지식컨텐츠인 지식데이터가 저장되는 지식서비스 DB;
    특정 소비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피부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측정장치; 및
    상기 피부측정장치의 피부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제품 DB와, 고객정보 DB, 지식서비스 DB와 연계되어,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피부 타입을 분석하여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형성하여 소비자 단말과, 제조사 단말과, 판매자 단말과, 진단자 단말에 제공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고객정보 DB에 저장되며,
    상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운영서버는,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소비자의 피부유형을 분석하여 타입을 결정하는 고객분석부; 상기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제품 DB, 상기 고객정보 DB, 상기 지식서비스 DB 내에서 상기 타입에 매칭되는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엔진; 및 상기 제품, 상품정보와, 제조사 정보, 피부진단데이터, 피부유형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회원 단말,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 진단자 단말에 전송하는 추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타입별 맞춤형 분석데이터와, 상기 피드백 데이터, 상기 피부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부 타입을 세분화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제품 DB 내의 제품데이터, 상기 지식서비스 DB 내의 지식데이터를 타입별로 분류, 업데이트하는 신경망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DB는 온라인 쇼핑몰, 제조사 단말, 판매자 단말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제품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고객정보 DB는 상기 피부측정데이터,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고객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며, 상기 지식서비스 DB는 진단자 단말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지식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제품평가데이터, 설문응답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12865A 2018-02-01 2018-02-01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KR10200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65A KR102001337B1 (ko) 2018-02-01 2018-02-01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65A KR102001337B1 (ko) 2018-02-01 2018-02-01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337B1 true KR102001337B1 (ko) 2019-07-17

Family

ID=6751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65A KR102001337B1 (ko) 2018-02-01 2018-02-01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3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76A1 (ko) *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이노제닉스 인공지능 기반 아토피 피부염 예측 및 예방 상품 추천 방법
KR20210059214A (ko)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위즈켐 인공 지능에 기반한 피부 진단을 통한 고객 맞춤형 피부 외용제의 제공 방법
KR102271558B1 (ko) 2020-08-03 2021-07-01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두피영상 진단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추천 시스템
KR20210086138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또는 마케팅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283567B1 (ko) * 2020-12-30 2021-07-29 주식회사 어리드 인공지능 기반 뷰티샵 큐레이션 시스템
KR20210156086A (ko) * 2020-06-17 2021-12-24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기반 맞춤형 화장품 제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48276B1 (ko) * 2020-09-10 2022-01-10 엔사이크(주) 빅 데이터 기반의 얼굴피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3439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라이핏헬스케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포털
KR102367220B1 (ko) * 2020-12-08 2022-02-24 정명기 제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457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Sns 화장품 트랜드분석 기반으로 운용되는 화장품 샘플 제공기를 통한 화장품 마케팅 시스템.
KR20220156126A (ko) * 2021-05-17 2022-11-2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피부진단 및 추천 기능을 갖는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방법
KR20230010392A (ko) * 2021-07-12 2023-01-19 김한필 이미지에 기반한 향수 레시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623845B1 (ko) * 2022-12-01 2024-01-11 주식회사 오콜로르 Pi정보의 빅데이터 설계 및 구축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048A (ko) 2008-08-27 2010-03-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캡쳐를 위한 영상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50098130A (ko) 2014-02-19 2015-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피부 정보 기반 화장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134455A (ko) 2014-05-21 2015-12-02 이창남 고객 맞춤형 화장품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611330B1 (ko) * 2012-02-15 2016-04-12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11236A (ko) 2015-03-16 2016-09-26 글로우데이즈 화장품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692444B1 (ko) 2015-08-21 2017-01-03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화장품 추천을 위한 피부 상태 분석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15448A (ko) 2017-01-31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JP2017215926A (ja) * 2016-05-27 2017-12-07 ペッシェ株式会社 化粧品選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048A (ko) 2008-08-27 2010-03-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캡쳐를 위한 영상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611330B1 (ko) * 2012-02-15 2016-04-12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20150098130A (ko) 2014-02-19 2015-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피부 정보 기반 화장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134455A (ko) 2014-05-21 2015-12-02 이창남 고객 맞춤형 화장품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11236A (ko) 2015-03-16 2016-09-26 글로우데이즈 화장품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692444B1 (ko) 2015-08-21 2017-01-03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화장품 추천을 위한 피부 상태 분석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7215926A (ja) * 2016-05-27 2017-12-07 ペッシェ株式会社 化粧品選別システム
KR20170015448A (ko) 2017-01-31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76A1 (ko) *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이노제닉스 인공지능 기반 아토피 피부염 예측 및 예방 상품 추천 방법
KR20210059214A (ko)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위즈켐 인공 지능에 기반한 피부 진단을 통한 고객 맞춤형 피부 외용제의 제공 방법
KR20210086138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또는 마케팅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442433B1 (ko) * 2019-12-31 2022-09-14 주식회사 아트랩 화장품 제조 또는 마케팅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439900B1 (ko) 2020-06-17 2022-09-05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기반 맞춤형 화장품 제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6086A (ko) * 2020-06-17 2021-12-24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마트 팩토리 기반 맞춤형 화장품 제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439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라이핏헬스케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포털
KR102271558B1 (ko) 2020-08-03 2021-07-01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두피영상 진단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추천 시스템
KR102348276B1 (ko) * 2020-09-10 2022-01-10 엔사이크(주) 빅 데이터 기반의 얼굴피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67220B1 (ko) * 2020-12-08 2022-02-24 정명기 제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2124655A1 (ko) * 2020-12-08 2022-06-16 정명기 제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457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Sns 화장품 트랜드분석 기반으로 운용되는 화장품 샘플 제공기를 통한 화장품 마케팅 시스템.
KR102517027B1 (ko) * 2020-12-14 2023-04-03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Sns 화장품 트랜드분석 기반으로 운용되는 화장품 샘플 제공기를 통한 화장품 마케팅 시스템.
KR102283567B1 (ko) * 2020-12-30 2021-07-29 주식회사 어리드 인공지능 기반 뷰티샵 큐레이션 시스템
KR20220156126A (ko) * 2021-05-17 2022-11-2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피부진단 및 추천 기능을 갖는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방법
KR102572069B1 (ko) * 2021-05-17 2023-08-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피부진단 및 추천 기능을 갖는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방법
KR20230010392A (ko) * 2021-07-12 2023-01-19 김한필 이미지에 기반한 향수 레시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634828B1 (ko) * 2021-07-12 2024-02-06 김한필 이미지에 기반한 향수 레시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623845B1 (ko) * 2022-12-01 2024-01-11 주식회사 오콜로르 Pi정보의 빅데이터 설계 및 구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337B1 (ko) 빅데이터 및 ai를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서비스 통합제공시스템
Othman et al. Brand Credibility,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A Study of Customer Satisfaction.
KR101712591B1 (ko) 감성기반 사용자특성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MX2014003124A (es) Recomendaciones basadas en las similitudes explicitas de usuarios.
KR101852511B1 (ko) 사용자 피부 타입에 따른 화장품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90067619A (ko) 스마트기기 신체분석과 연동된 헬스케어 정보제공 및 제품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Wang et al. Technology-enabled services: Importance and role of technology readiness
Shamshoddin et al. Predicting consumer preferences in electronic market based on IoT and Social Networks using deep learning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Koch et al. The impact of a company website and its perceived quality on the buying intention in B2B-settings
Bebko et al. Consumers' level of expectation for services and the role of implicit service promises
Junsawang et al. How to Shift Consumer Willingness to Use the Emerging Technologies on Omnichannel
Rana et al. Utility and acceptability of AI-enabled chatbots on the online customer journey
KR20230071269A (ko)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och et al. Importance of the perceived quality of touchpoints for customer journey analysis–evidence from the B2B sector
KR100848596B1 (ko) 인터넷상에서의 제품 추천 지원시스템
KR101641725B1 (ko) 음식쿠폰 추천 시스템
Koc et al. The moderating role of service environment on the effects of firm reput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onsumer trust: a study in the healthcare industry
Azizi et al. From e-Commerce Overall Quality to e-Loyalty: A Purchase-centred Framework
Sari et al. Analysis of Social Support, Customer Review Quality, Social Commerce Trust on E-Commerce Satisfaction Study Tokopedia in Indonesia
KR102605658B1 (ko) 인공지능 기반 정기배송 재구독률 향상을 위한 개인맞춤상품 추천 및 가맹업체 제품 추천 시스템
Sigindi Satisfaction and dimensions of loyalty in B2B markets: A study among the users of electronic security services
KR102602416B1 (ko) 빅데이터 기반 고객니즈 맞춤형 상품 추천 방법
Luo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marketing mechanism: A psychological contract perspective
KR102367220B1 (ko) 제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07058B1 (ko) 상품공유율 향상을 위한 상품보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