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101B1 -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101B1
KR102123101B1 KR1020190148461A KR20190148461A KR102123101B1 KR 102123101 B1 KR102123101 B1 KR 102123101B1 KR 1020190148461 A KR1020190148461 A KR 1020190148461A KR 20190148461 A KR20190148461 A KR 20190148461A KR 102123101 B1 KR102123101 B1 KR 10212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ser
information
leve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진
Original Assignee
강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진 filed Critical 강형진
Priority to KR102019014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101B1/ko
Priority to PCT/KR2019/015875 priority patent/WO20211008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00255
    • G06K9/00281
    • G06K9/20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운영서버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에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skin type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피부에 관련된 평가를 진행하여, 대응하는 관리방법 및 화장품을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각 피부 타입에 대한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관리란 피부가 지닌 모든 기능을 가능한 완전하기 유지시켜서, 아름답고 건강하게 피부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과정으로, 노화에 대한 성공적이고 적극적인 대처과정이다. 피부관리의 바이오-코스메틱(bio-cosmetic)은 건강하고 잘 관리된 피부만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데 근거를 두고, 피부의 건상상태의 유지, 흉한 피부 상태의 방지와 개선, 조기 노화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건강관리, 피부과학, 예방의학의 절충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피부미용에서도 안면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타인이 볼 수 있으므로, 미관상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된다. 안면피부관리에서는 피부의 유형과 문제성 피부 그리고 안면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등 여러가지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의 잘못된 피부관리방법도 큰 영향을 미친다.
피부관리를 잘못하여 피부병과 화장독 발생으로 장기간 고생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알카리성 비누 과용과 화장품 성분, 잘못 처리된 필링치료 등 화장품 사용지식 부족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얼굴피부에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로는 생리적 용인(피지분비 이상, 내분비 이상, 대사활동 이상, 순환계 이상), 영양학적 요인(피부세포의 영양결핍, 식습관), 외부환경적 요인(자외선, 방사선, 오염된 공기, 바람, 기온변화, 저온과 고온, 건조공기와 다습한 공기), 심리적인 요인(스트레스), 생화학적 요인, 생활요인(수면부족, 피로, 잘못된 다이어트, 운동부족), 내과적 요인(내과질환, 임신 및 출산) 등이 있다.
피부의 건강은 신체의 건강에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단순히 피부상태만을 위주인 피부관리방법만이 제공되고, 신체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가 소홀히 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피부 상태의 진단을 위하여 피부과의원이나 클리닉 등지에는 전문적인 의료장비들이 구비되어 모공의 확대사진을 촬영하는 등의 진단 행위를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의 피부에 대한 지식수준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피부의 상태에 대해서 또는 피부의 상태변화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기를 원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장품 등의 사용에 따른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클리닉 등에 방문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휴대하면서 간단히 자신의 피부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선행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1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맞춤형 피부관리 방법과 함께, 소정의 기간 동안 날짜별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른 맞춤형 피부관리 방법과 함께, 각 피부상태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적인 피부관리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용이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운영서버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진단결과는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주름, 트러블, 색소침착, 모공, 탄력, 유분, 예민함 및 각질량으로 평가하고, 상기 제2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세안습관, 스킨케어, 야외활동, 근무환경, 운동습관, 식습관, 수면습관 및 음주로 평가하고, 상기 관리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종합관리와, 제1 기간동안 세안과 보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일리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종합관리는 세안 횟수, 세안제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세안방법, 팩 또는 필링에 수행에 대한 팩필링방법, 운동정보 및 추천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방법, 수면 방법을 포함하는 수면방법, 스킨, 에센스,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부에 사용하는 보습방법,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스트레스관리방법, 식습관에 방법에 대한 식습관평가방법 및 음주에 대한 음주평가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데일리관리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1일을 기준으로 세안방법, 팩필링방법 및 보습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해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세부평가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를 바탕으로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유분, 수분, 예민 및 각질을 점수로 환산하여 수치결과를 얻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와 수치결과에 따라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총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공크기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샘플링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모공이 없는 경우는 제1 레벨 1,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2,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3,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4, 및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1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공수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의 개수를 확인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이 없는 경우에는 제2 레벨 1, 1개 내지 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2, 8개 내지 12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3, 13개 내지 1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4, 18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결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10%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확인하되,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이 없는 경우 제3 레벨 1,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2,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3,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4,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3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면포여드름은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없는 경우에는 제4 레벨 1, 화이트헤드만 있는 경우에는 제4 레벨 2,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4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면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5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공내피지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에서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경우를 기준샘플로 하되,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없는 경우에는 제6 레벨 1,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1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6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공주변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공 주변의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7 레벨 1, 모공 주변의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제7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붉음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크로마미터(chromameter) 또는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a*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제8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3,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인 경우에는 제8 레벨 4,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로 있는 경우에는 제8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세관확장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세관이 확장된 현상이 없으면 제9 레벨 1, 모세관이 확정된 현상이 있으면 제9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른 피부별 유해성분과 각 제품에 포함되는 제품별 포함성분에 대해서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 판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부별 유해성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품별 포함성분과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제품에서 사용자별 유해성분이 적게 함유된 순서대로 제품의 1차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제품의 1차순위에 따라 제품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은 상기 제품의 1차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따라 스킨, 에센스, 로션 및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1회용 패키지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데일리로 아침용 및 저녁용으로 구분되어, 약봉지와 같은 형태의 포장지 내에 상기 1회용 패키지를 수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1차순위에 따라 제공된 제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1차순위에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반영하여 2차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2차순위에 따른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유통되는 판매화장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코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판매화장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별 성분을 식별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판매화장품에서 식별된 제품별 성분과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가격비교 정보, 판매화장품 상세정보 및 상품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연계되는 추가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상기 추가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1 기간은 7일, 14일 및 30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1 기간 동안 상기 관리방법을 날짜별 1회 이상 푸쉬알람으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각 날짜마다 사용자의 관리방법에 따른 수행여부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수행여부 데이터가 포함된 날짜별 정보를 포함하는 캘린더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캘린더는, 날짜가 기록된 날짜부, 상기 날짜부의 일자에 해당하는 관리방법의 제목이 기록된 관리방법기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행표시부,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행표시부에 표시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에 따른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표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영서버가 외부 기상서버와 통신하여 기상정보에 의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에서 날짜별 수신된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한 날짜에 수신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추가관리방법을 더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운영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맞춤형 피부관리 방법과 함께, 소정의 기간 동안 날짜별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른 맞춤형 피부관리 방법과 함께, 각 피부상태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피부관리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용이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문진표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1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기간 동안 제공되는 구체적인 관리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부위별 진단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피부에 대해서 세부평가의 항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및 피부면각질에 대한 제1 소스정보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도 10의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한 제1 소스정보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와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산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외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문진표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1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통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휴대용 렌즈(10)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 및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운영서버(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운영서버(300)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로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와 제1 및 제2 소스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산출하고, 이를 다시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하여 시간 등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운영서버(300),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운영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에는 휴대용 렌즈(10)가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는 상기 카메라에 부착되는 접안렌즈(11)와, 상기 접안렌즈(11)와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대물렌즈(120) 및 상기 접안렌즈(11)를 덮는 렌즈덮개(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에서 상기 접안렌즈(11) 주변에는 점착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점착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렌즈(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 주변에 부착된다. 상기 점착성부재는 복수회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렌즈(10)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분리시킨 동안에는 상기 렌즈덮개(13)로 커버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다. 휴대용 렌즈(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피부의 특정부위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렌즈(10)는 사진이 검사에 적합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갖추게 하기 위한 장비가 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의 외형은 기 설정된 직경을 가진 반 투명한 원통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기 설정된 직경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촬영되는 이미지가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는 직경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을 통해 사진 촬영 시, 내부가 암실(暗室)이 되지 않도록 상기 휴대용 렌즈(10)는 반투명한 고분자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렌즈(10) 원통의 하부면에는 기 설정된 배율을 가지는 렌즈가 형성되어, 촬영되는 이미지가 기 설정된 해상도(화질)를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반대로 상부면에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 사양에 따라, 상기 휴대용 렌즈(10)의 직경과 렌즈의 배율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고사양의 카메라의 경우 더 낮은 배율의 렌즈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피부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여 피부 상태정보를 갖는 이미지인 제1 사용자정보와, 문진을 통하여 얻은 생활습관에 대한 제2 사용자정보를 단말기 고유ID와 함께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얻어진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에 대해서 전달받는다.
상기 제1 사용자정보는 상기 휴대용 렌즈(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이미지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를 세안하여 피부에 남아 있는 화장품을 깨끗하게 지워내고 추가적인 스킨케어, 예컨대 스킨(토너), 로션, 에센스 등을 도포하지 않고 상온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한 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피부를 1시간 미만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세안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피부마찰, 수분 등에 의하여 모공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고, 3시간을 초과하여 피부를 상온에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피부의 수분이 다량 증발되어 실제 피부보다 더 나쁜 결과로 확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2시간을 유지한 후 측정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봄, 가을에는 1시간 30분을 유지하고 측정하고, 여름에는 2시간을 유지하고 측정하고, 겨울에는 1시간 15분을 유지하고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세안 후 소정의 시간을 유지한 후에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 사용자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사용자정보는 키, 몸무게, 세안회수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으로 질문사항이 포함된 문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질문사항은 각 질문사항에 대해서 사용자의 세안방법, 수면, 음주, 운동, 피부관리 등과 같은 생활습관과 함께 사용자의 신체 기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 각 객관식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질문사항에 대한 답변은 각 수치화할 수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수치로 평가하여 제2 진단결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서버는 제2 사용자정보에서, 사용자의 키, 몸무게와 관련된 질문사항은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그 범위에서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수치화하여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는 제2 사용자정보에서, 생활습관과 관련된 질문사항은 각 질문사항에 대한 객관식 답변을 수치화하여 이를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운영서버는 AI 등을 이용하여, 이들 질문사항의 답변 중 중심치에서 크게 벗어난 것에 대해서는 추출하고, 이중 문제가 되는 것에 대해서는 정형화된 문구로 제시함으로써 상기 제2 진단결과는 수치와 함께 문구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제2 사용자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정보와 함께 반영하여 사용자의 생활습관에도 반영시켜, 피부관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영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한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제1 및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른 관리방법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은 산출된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제1 및 제2 진단결과, 관리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유ID에 따라 운영서버(300)를 통하여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통신모듈(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3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운영서버(3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모듈(3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320)는 상기 운영서버(300)가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와 제1 및 제2 소스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상기 메모리(3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세서(33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상기 운영서버(300)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산출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도 6은 전술한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참조하면,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S110); 운영서버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제2 단계(S120); 상기 운영서버가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S1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제4 단계(S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기간 동안 제공되는 구체적인 관리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부위별 진단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진단결과는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주름, 트러블, 색소침착, 모공, 탄력, 유분, 예민함 및 각질량으로 평가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2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세안습관, 스킨케어, 야외활동, 근무환경, 운동습관, 식습관, 수면습관 및 음주로 평가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관리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종합관리와, 제1 기간동안 세안과 보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일리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종합관리는 세안 횟수, 세안제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세안방법, 팩 또는 필링에 수행에 대한 팩필링방법, 운동정보 및 추천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방법, 수면 방법을 포함하는 수면방법, 스킨, 에센스,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부에 사용하는 보습방법,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스트레스관리방법, 식습관에 방법에 대한 식습관평가방법 및 음주에 대한 음주평가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데일리관리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1일을 기준으로 세안방법, 팩필링방법 및 보습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간은 7일, 14일 및 30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데일리관리는 세안방법, 보습방법 및 마스크(스크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각 날짜별로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따른 제1 사용자정보와 제1 소스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특정 부위별 개별적인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미부면각질, 모공내피즈,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을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각각 특정 부위별 개별적인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미부면각질, 모공내피즈, 모공주변각질, 붉음증의 레벨을 이용하여 유분, 수분, 예민 및 각질에 대한 수치화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9는 이마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피부에 대해서 세부평가의 항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및 피부면각질에 대한 제1 소스정보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도 10의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한 제1 소스정보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정보에 의하여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해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세부평가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를 바탕으로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유분, 수분, 예민 및 각질을 점수로 판정하여 수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와 수치결과에 따라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총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총평은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 건성, 민감성, 지성, 복합성 및 중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는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통하여 확보한,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치결과에서, 상기 유분은 모공크기, 모공수, 모공내피지의 세부평가를 이용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상기 수분은 피부결, 면포여드름의 세부평가를 이용하여 점수로 환산하며, 상기 예민은 붉음증, 모세관확장증의 세부평가를 이용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상기 각질은 상기 피부면각질, 모공주변각질의 세부평가를 이용하여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공크기는 제1 레벨 1 내지 제1 레벨 5로 5개의 레벨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해서 1 내지 5점의 점수로 부여하고, 상기 모공수는 제2 레벨 1 내지 제2 레벨 5로 5개의 레벨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해서 1 내지 5점의 점수로 부여하고, 상기 모공내피지는 제6 레벨 1 및 제6 레빌 2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각각 2.5점과 5점의 점수로 부여하여 이를 평균한 값으로 상기 수치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이미지분석수단과 AI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분석수단과 Al를 이용하여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의 이미지에 의하여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모공크기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샘플링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공크기는 이미지로 구비된 제1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모공의 직경과 피부털의 직경을 측정하고, 상기 모공의 직경과 피부털의 직경을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이미지분석수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을 평활화할 수 있다. 상기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촬영된 이미지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농도의 레벨을 갖는 픽셀들을 평준화시켜 색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어서, 모공을 이루는 화상 픽셀 수와 피부털을 구성하는 화상 픽셀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한 모공크기의 직경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모공크기는 이미지에서 모공이 없는 경우는, 혹은 상기 모공의 직경이 상기 피부털의 직경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레벨 1,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2,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3,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4, 및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1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공수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의 개수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모공크기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여피부털의 직경과 모공의 직경을 확인한 후,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만을 대상으로 모공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모공수는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이 없는 경우에는 제2 레벨 1, 1개 내지 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2, 8개 내지 12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3, 13개 내지 1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4, 18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결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10%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헤어라인(hair line)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의 결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피부결은 피부에서 조도를 갖는 부분으로 깊이를 갖는 헤어라인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피부결은 상기 모공크기를 측정한 바와 같이, 이미지의 헤어라인의 형태를 화상 픽셀 수를 카운팅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 형태의 화상 픽셀 수를 카운팅한 경우,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이 없는 경우 제3 레벨 1,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2,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3,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4,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3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면포여드름은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없는 경우에는 제4 레벨 1, 화이트헤드만 있는 경우에는 제4 레벨 2,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4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면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5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면각질은 모공과 무관하게 형성된 각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공주변각질을 제외한 그 외의 각질을 모두 통합하여 의미한다.
상기 모공내피지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에서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경우를 기준샘플로 하되,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없는 경우에는 제6 레벨 1,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1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6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공내피지는 상기 모공크기를 측정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화상 픽셀수를 카운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공주변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공 주변의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7 레벨 1, 모공 주변의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제7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공주변각질은 상기 모공의 주변에서 상기 모공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붉음증은 피부에 붉은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부에 나타낸 색과 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붉음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크로마미터(chromameter) 또는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a*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제8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3,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인 경우에는 제8 레벨 4,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로 있는 경우에는 제8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확장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세관이 확장된 현상이 없으면 제9 레벨 1, 모세관이 확정된 현상이 있으면 제9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확장증은 육안으로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모세관의 전체 크기에 대해서 평균을 확정하고, 상기 평균 크기에 대해서 10%를 초과하는 경우 모세관이 확장된 현상이 발생한 경우로 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와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의한 화장품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사용자의 피부 이미지와 생활습관과 관련된 정보인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인 제1 및 제2 소스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진단결과와 관리방법이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는 피부타입에 따른 피부별 유해성분에 대한 정보와, 판매되는 각 제품에 대한 제품별 포함성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데이테베이스부(400)와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상기 운영서버와 연결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른 피부별 유해성분과 각 제품에 포함되는 제품별 포함성분에 대해서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 판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피부별 유해성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제품별 포함성분과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제품에서 사용자별 유해성분이 적게 함유된 순서대로 제품의 1차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제품의 1차순위에 따라 제품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서,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포함된 피부별 유해성분 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한다.
도 14는 도 13의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산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외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은 상기 각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제품별 포함성분과 비교하고, 1차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은 상기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라 1점 내지 5점으로 점수로 구분되어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품별 포함성분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에 대해서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의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점수에 따라 상기 제품에 대해서 1차순위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부에 저장된 피부별 유해성분은 건성, 민감성, 지성, 복합성, 중성에 따라서 각 유해성분에 대해서 1점 내지 5점 사이의 점수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은 유분의 정도인 유분 1, 유분 2 등에 따른 점수가 지정되어 있고, 수분의 정도에 따라 점수가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예민, 각질의 정도에 따라서도 점수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의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 얻어진 총평에서의 건성, 민감성, 지성, 복합성, 중성을 구분하여 부여된 유해성분의 점수와, 각 부위별 세부평가의 수치결과에서 얻어진 수치에 대한 각 점수를 반영하여 유해성분, 유해성분 1, 유해성분 2 등의 각각에 대한 평균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유해성분은 단순히 건성, 민감성, 지성, 복합성, 중성과 같은 일반적인 피부타입만을 반영한 것이 아닌, 유분 수분, 예민, 각질에 대해서도 개별적인 점수를 부여하여 이를 평균하여 확정한 것으로 보다 사용자 맞춤형으로 확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각 사용자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상기 제품의 1차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따라 스킨, 에센스, 로션 및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1회용 패키지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데일리로 아침용 및 저녁용으로 구분되어, 약봉지와 같은 형태의 포장지 내에 상기 1회용 패키지를 수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회용 패키지는 전체 피부용과 함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와 같이 특정부위 각각에 맞게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장지 및 1회용 패키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사용 순번, 사용 날짜, 사용 특정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와 같은 경우에는 포장지의 외면에 사용 날짜가 기재되어 있고, 상기 포장지의 내부에는 1회용 패키지로 2회 세안과 3단계 보습을 위한 제품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관리방법에 기재된 날짜에 따라 상기 포장지의 외면에 표시를 확인하여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1차순위에 따라 제공된 제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1차순위에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반영하여 2차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2차순위에 따른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1차순위에 따라 제공된 제품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제품 재구매의사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운영서버는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패드백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1차순위를 수정하여 제품에 대한 2차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2차순위는 1회 이상 패드백데이터가 전달되어 부여되고, 상기 2차순위에 따른 제품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백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ID와 함께 저장되어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서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유통되는 판매화장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코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판매화장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별 성분을 식별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판매화장품에서 식별된 제품별 성분과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가격비교 정보, 판매화장품 상세정보 및 상품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연계되는 추가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상기 추가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달받은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확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른 제품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데,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판매화장품에 대해서도 식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된 판매화장품을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품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판매화장품에 대한 제품별 포함성분을 확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판매화장품의 제품별 포함성분을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과 비교하여 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화장품의 레벨등급은 상기 제품의 1차순위를 부여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가격비교 정보, 판매화장품 상세정보 및 상품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연계되는 추가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상기 추가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1 기간은 7일, 14일 및 30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관리방법을 날짜별 1회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푸쉬알람으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각 날짜마다 사용자의 관리방법에 따른 수행여부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수행여부 데이터가 포함된 날짜별 정보를 포함하는 캘린더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푸쉬알람에서는 날짜별 관리방법에 기재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는 실행여부에 따라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운영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캘린더는, 날짜가 기록된 날짜부, 상기 날짜부의 일자에 해당하는 관리방법의 제목이 기록된 관리방법기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행표시부,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행표시부에 표시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에 따른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표시부,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가 외부 기상서버와 통신하여 기상정보에 의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에서 날짜별 수신된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한 날짜에 수신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추가관리방법을 더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5℃ 이상으로 더 높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추가관리방법에는 2단계 보습에서 크림 등의 사용양을 감소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10% 이상으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추가관리방법에서 마스크팩이 더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세먼지가 기준 미세먼지에 비하여 나쁜 경우에는 상기 운영서버는 세안 횟수를 추가하여 추가관리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외선 지수가 기준 자외선 지수에 비하여 높은 경우에는, 피부의 온도를 낮추는 마스크팩을 추가관리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기준 자외선 지수를 외부 기상서버와 통신하여 기상정보와 통신하여 상기 제1 사용자정보와 함께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날짜별로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2 자외선 지수를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2 자외선 지수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각 경우에 해당하는 추가관리방법을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은 환경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휴대용 카메라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운영서버
400 : 통합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22)

  1.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운영서버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진단결과는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주름, 트러블, 색소침착, 모공, 탄력, 유분, 예민함 및 각질량으로 평가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2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세안습관, 스킨케어, 야외활동, 근무환경, 운동습관, 식습관, 수면습관 및 음주로 평가하여 산출하고,
    상기 관리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종합관리와, 제1 기간동안 세안과 보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일리관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합관리는 세안 횟수, 세안제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세안방법, 팩 또는 필링에 수행에 대한 팩필링방법, 운동정보 및 추천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방법, 수면 방법을 포함하는 수면방법, 스킨, 에센스,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부에 사용하는 보습방법,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스트레스관리방법, 식습관에 방법에 대한 식습관평가방법 및 음주에 대한 음주평가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데일리관리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1일을 기준으로 세안방법, 팩필링방법 및 보습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정보에 의하여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해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세부평가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를 바탕으로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유분, 수분, 예민 및 각질을 점수로 판정하여 수치결과를 얻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와 수치결과에 따라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총평을 제공하고,
    상기 모공크기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샘플링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모공이 없는 경우는 제1 레벨 1,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2,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3,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4, 및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1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수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의 개수를 확인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이 없는 경우에는 제2 레벨 1, 1개 내지 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2, 8개 내지 12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3, 13개 내지 1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4, 18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피부결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10%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헤어라인(hair line)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의 결의 유무를 확인하되,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이 없는 경우 제3 레벨 1,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2,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3,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4,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3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면포여드름은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없는 경우에는 제4 레벨 1, 화이트헤드만 있는 경우에는 제4 레벨 2,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4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피부면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5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내피지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에서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경우를 기준샘플로 하되,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없는 경우에는 제6 레벨 1,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1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6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주변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공 주변의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7 레벨 1, 모공 주변의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제7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붉음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크로마미터(chromameter) 또는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a*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제8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3,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인 경우에는 제8 레벨 4,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로 있는 경우에는 제8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세관확장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세관이 확장된 현상이 없으면 제9 레벨 1, 모세관이 확정된 현상이 있으면 제9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른 피부별 유해성분과 각 제품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인 제품별 포함성분에 대해서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 판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부별 유해성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품별 포함성분과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제품에서 사용자별 유해성분이 적게 함유된 순서대로 제품의 1차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제품의 1차순위에 따라 제품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은 상기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라 1점 내지 5점으로 점수로 구분되고,
    상기 제품별 포함성분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에 대해서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의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점수에 따라 상기 제품에 대해서 1차순위를 확정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상기 제품의 1차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따라 스킨, 에센스, 로션 및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1회용 패키지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날짜별로 구분되어, 약봉지 형태의 포장지 내에 상기 1회용 패키지를 수납하여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 및 1회용 패키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사용 순번, 사용 날짜, 사용 특정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1차순위에 따라 제공된 제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1차순위에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반영하여 2차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2차순위에 따른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유통되는 판매화장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코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판매화장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별 성분을 식별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판매화장품에서 식별된 제품별 성분과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가격비교 정보, 판매화장품 상세정보 및 상품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연계되는 추가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상기 추가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1 기간은 7일, 14일 및 30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관리방법을 날짜별 1회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푸쉬알람으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각 날짜마다 사용자의 관리방법에 따른 수행여부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수행여부 데이터가 포함된 날짜별 정보를 포함하는 캘린더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는,
    날짜가 기록된 날짜부,
    상기 날짜부의 일자에 해당하는 관리방법의 제목이 기록된 관리방법기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행표시부,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행표시부에 표시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에 따른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표시부,로 이루어지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외부 기상서버와 통신하여 기상정보에 의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에서 날짜별 수신된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한 날짜에 수신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추가관리방법을 더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13. 휴대용 렌즈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세척 후 1시간 내지 3시간이 유지된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 저장된 질문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제1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2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제2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관리방법을 산출하는 운영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과,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 및 관리방법에 따른 화장품 추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제1 기간동안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단결과는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주름, 트러블, 색소침착, 모공, 탄력, 유분, 예민함 및 각질량으로 평가하고,
    상기 제2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세안습관, 스킨케어, 야외활동, 근무환경, 운동습관, 식습관, 수면습관 및 음주로 평가하고,
    상기 관리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종합관리와, 제1 기간동안 세안과 보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일리관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합관리는 세안 횟수, 세안제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세안방법, 팩 또는 필링에 수행에 대한 팩필링방법, 운동정보 및 추천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방법, 수면 방법을 포함하는 수면방법, 스킨, 에센스,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부에 사용하는 보습방법,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스트레스관리방법, 식습관에 방법에 대한 식습관평가방법 및 음주에 대한 음주평가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데일리관리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1일을 기준으로 세안방법, 팩필링방법 및 보습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모공크기, 모공수, 피부결, 면포여드름, 피부면각질, 모공내피지, 모공주변각질, 붉음증 및 모세관확장증에 대해서 제1 소스정보와 비교하여 세부평가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를 바탕으로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유분, 수분, 예민 및 각질을 점수로 판정하여 수치결과를 얻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세부평가와 수치결과에 따라 상기 이마, 코, 볼, 턱 및 눈가 각각에 대해서 총평을 제공하고,
    상기 모공크기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샘플링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모공이 없는 경우는 제1 레벨 1,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2,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3,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1 레벨 4, 및 모공 10개 이상의 직경이 피부털의 직경의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1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수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의 개수를 확인하여 판단하되, 이미지에서 상기 피부털의 직경에 대해서 1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모공이 없는 경우에는 제2 레벨 1, 1개 내지 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2, 8개 내지 12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3, 13개 내지 17개인 경우에는 제2 레벨 4, 18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피부결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10%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헤어라인(hair line)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의 결의 유무를 확인하되,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이 없는 경우 제3 레벨 1,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0.5배 내지 1.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2,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1.5배 초과 내지 2.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3,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2.5배 초과 내지 3.5배인 경우에는 제3 레벨 4, 10% 이상의 면적에서 피부의 결의 두께가 피부털의 두께에 대해서 3.5배 초과인 경우에는 제3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면포여드름은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없는 경우에는 제4 레벨 1, 화이트헤드만 있는 경우에는 제4 레벨 2, 화이트헤드 및 블랙헤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4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피부면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5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제5 레벨 3으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내피지는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에서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경우를 기준샘플로 하되,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없는 경우에는 제6 레벨 1, 모공 내에 피지가 80% 내지 100%의 부피로 채워진 것이 1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6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공주변각질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공 주변의 각질이 없는 경우에는 제7 레벨 1, 모공 주변의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제7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붉음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크로마미터(chromameter) 또는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L*, a*, 및 b* 값을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서 a*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제8 레벨 1,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2,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5 내지 17인 경우에는 제8 레벨 3,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0% 초과 내지 3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인 경우에는 제8 레벨 4, 상기 이미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 30% 초과 내지 100% 이하의 면적에서 a*가 17 초과로 있는 경우에는 제8 레벨 5로 세부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모세관확장증은 제1 사용자정보에서 얻은 이미지에서 모세관이 확장된 현상이 없으면 제9 레벨 1, 모세관이 확정된 현상이 있으면 제9 레벨 2로 세부평가를 수행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추천정보는,
    상기 운영서버가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른 피부별 유해성분과 각 제품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인 제품별 포함성분에 대해서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구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단결과에 따라 판정된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부별 유해성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확정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품별 포함성분과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고,
    각 제품에서 사용자별 유해성분이 적게 함유된 순서대로 제품의 1차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제품의 1차순위에 따라 제품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되,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은 상기 화장품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피부타입에 따라 1점 내지 5점으로 점수로 구분되고,
    상기 제품별 포함성분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별 유해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에 대해서 상기 피부별 유해성분의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점수에 따라 상기 제품에 대해서 1차순위를 확정하며,
    상기 제품은 상기 제품의 1차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방법에 따라 스킨, 에센스, 로션 및 크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서 1회용 패키지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날짜별로 구분되어, 약봉지 형태의 포장지 내에 상기 1회용 패키지를 수납하여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 및 1회용 패키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사용 순번, 사용 날짜, 사용 특정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1차순위에 따라 제공된 제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1차순위에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데이터를 반영하여 2차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2차순위에 따른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유통되는 판매화장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코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판매화장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별 성분을 식별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판매화장품에서 식별된 제품별 성분과 사용자별 유해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레벨등급을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판매화장품에 대한 가격비교 정보, 판매화장품 상세정보 및 상품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연계되는 추가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상기 추가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은 7일, 14일 및 30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관리방법을 날짜별 1회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푸쉬알람으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각 날짜마다 사용자의 관리방법에 따른 수행여부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수행여부 데이터가 포함된 날짜별 정보를 포함하는 캘린더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는,
    날짜가 기록된 날짜부,
    상기 날짜부의 일자에 해당하는 관리방법의 제목이 기록된 관리방법기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관리방법에 대해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행표시부,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행표시부에 표시된 사용자의 수행여부 데이터에 따른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표시부,로 이루어지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외부 기상서버와 통신하여 기상정보에 의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자외선 지수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에서 날짜별 수신된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사용자정보를 획득한 날짜에 수신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온도, 제1 습도, 제1 미세먼지 및 제1 자외선 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미세먼지 및 기준 자외선 지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추가관리방법을 더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190148461A 2019-11-19 2019-11-19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12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61A KR102123101B1 (ko) 2019-11-19 2019-11-19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PCT/KR2019/015875 WO2021100898A1 (ko) 2019-11-19 2019-11-20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61A KR102123101B1 (ko) 2019-11-19 2019-11-19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101B1 true KR102123101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61A KR102123101B1 (ko) 2019-11-19 2019-11-19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3101B1 (ko)
WO (1) WO20211008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00B1 (ko) 2020-10-15 2021-05-13 파이 주식회사 피부결 측정 방법
WO2022176106A1 (ja) * 2021-02-18 2022-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生体分析システム、生体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69635B1 (ko) * 2021-10-25 2022-11-23 닥터케이헬스케어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피부솔루션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7108B (zh) * 2021-07-07 2022-07-15 首都体育学院 一种基于认知表征的运动成绩提高方法和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30B1 (ko) * 2012-02-15 2016-04-12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21867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101692444B1 (ko) * 2015-08-21 2017-01-03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화장품 추천을 위한 피부 상태 분석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22112A (ko) * 2015-08-19 2017-03-02 우은지 피부 측정 센서를 구비한 화장품 사용 가이드 시스템
KR101741409B1 (ko) * 2016-06-09 2017-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유해 성분 알림 및 화장품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4963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23848A (ko) * 2017-05-10 2018-11-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개인 맞춤형 피부 관리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2179A (ko) * 2016-11-10 2018-12-11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KR20190071911A (ko) * 2017-12-15 2019-06-25 (주)초위스컴퍼니 고객별 제품 추천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30B1 (ko) * 2012-02-15 2016-04-12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피부 상태 측정 분석 정보 관리 방법
KR20160121867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이치이알 피부 특성 및 화장품 취향 코드와 제품 평가를 이용한 화장품 맞춤 추천 및 판매 방법
KR20170022112A (ko) * 2015-08-19 2017-03-02 우은지 피부 측정 센서를 구비한 화장품 사용 가이드 시스템
KR101692444B1 (ko) * 2015-08-21 2017-01-03 주식회사 클레오시스 화장품 추천을 위한 피부 상태 분석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41409B1 (ko) * 2016-06-09 2017-05-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유해 성분 알림 및 화장품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2179A (ko) * 2016-11-10 2018-12-11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KR20180064963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23848A (ko) * 2017-05-10 2018-11-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개인 맞춤형 피부 관리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71911A (ko) * 2017-12-15 2019-06-25 (주)초위스컴퍼니 고객별 제품 추천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00B1 (ko) 2020-10-15 2021-05-13 파이 주식회사 피부결 측정 방법
WO2022176106A1 (ja) * 2021-02-18 2022-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生体分析システム、生体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69635B1 (ko) * 2021-10-25 2022-11-23 닥터케이헬스케어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피부솔루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0898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101B1 (ko)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CN101686819B (zh) 皮肤成像的系统、装置和方法
US20030065552A1 (en) Interactive beauty analysis
US67616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dicting and/or tracking changes in external body conditions
US7324668B2 (en) Feature extraction in beauty analysis
US8527365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system used therefor
KR101002916B1 (ko) 피부 분석 시스템 및 두피 두발 분석 시스템
US20040143513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EP1298584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apture and analyze an image of a human body part
US20030065636A1 (en)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US20030065523A1 (en) Early detection of beauty treatment progress
US20030065578A1 (en)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simulated application of beauty products
US20030064350A1 (en) Beauty advisory system and method
RU2422081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ж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US20030120534A1 (en) Cosmetic affinity indexing
WO2011085727A1 (en) Advice information system
JP2002237918A (ja) 身体外部部分および/またはそこに適用された製品に関するスキャン画像データを獲得する方法
EP1297785A1 (en) Calibrating image capturing
WO2004042511A2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US20030064356A1 (en) Customized beauty tracking kit
US20030065526A1 (en) Historical beauty record
US20050119539A1 (en) System for analyzing the skin
KR20130141285A (ko) 피부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적합 화장정보 제공 방법
JP2019028691A (ja) 肌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US20040145656A1 (en) Atlas including at least one video sequ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