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277B1 -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277B1
KR102035277B1 KR1020160141688A KR20160141688A KR102035277B1 KR 102035277 B1 KR102035277 B1 KR 102035277B1 KR 1020160141688 A KR1020160141688 A KR 1020160141688A KR 20160141688 A KR20160141688 A KR 20160141688A KR 102035277 B1 KR102035277 B1 KR 10203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data
database
exposure factor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501A (ko
Inventor
김명화
박일용
김영림
민충식
최용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06F17/2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06F40/18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of spread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가 개시된다. 본 에 따르면, 화장품 사용 정보 데이터를 액세스 속도 향상 및 데이터 사이즈 축소가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화장품 노출인자 관련 정보를 손쉬우면서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FACTORS OF EXPOSURE TO COSMETIC ITEMS}
본 발명은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사용패턴과 관련한 노출인자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모는 우리가 사회 생활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최근에는 성형수술, 메이크업, 다이어트, 피부관리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외모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능력과 더불어 호감을 주는 이미지가 사회적인 성공을 가져다준다는 의식이 팽배하고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한 메이크업은 더 이상 여성만의 전유물이 아닌 시대가 되었으며 성별에 관계없이 외모를 가꾸기 위한 외모관리 행동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여성들의 대인접촉이 활발해지고 직업의 전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할 기회가 많아지고 외모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외모는 대인 상호작용에서 대화의 내용이나 몸짓, 행위이상으로 개인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그러한 외모의 표현 방법 중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외모를 가장 손쉽게 바꾸거나 꾸밀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화장이다. 이러한 화장 행위의 필수적 요인으로 화장품의 위상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긍정적인 심리적 효능까지도 입증되어가고 있다.
즉, 화장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며 발전해 왔고 인간의 미의 본능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화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메이크업 제품, 즉, 화장품이 유해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는‘화장품 전성분 표시제’에 따라 용기 뒷면에 화장품에 들어간 모든 성분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의 화장품은 계면활성제, 방부제, 파라벤, 인공향료, 합성착색료등의 화학약품을 기본 성분으로 해서 만들어지며, 계면활성제(SLS, SLES)는 피부를 통해 쉽게 흡수되며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축적되었을 경우 체내 유전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비누, 샴푸에서부터 스킨, 로션을 비롯한 기초 화장품에 포함된 유해성분도 한 제품을 기준으로 봤을 때는 기준치 이하로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하루 수차례 수십 종의 화장품 아이템을 사용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런데, 현재까지의 화장품 성분 또는 독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특정 화장품 제품 내에 포함된 성분의 위해성 유무, 해당 성분의 함량 정도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 개인을 기준으로 한 화장품의 사용 패턴을 고려한 개인별 위험도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는,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사용 패턴에 관한 인자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스프레드시트 기반 데이터베이스, 특히 액셀 기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는, 화장품 아이템의 카테고리에 대한 코드 및 화장품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 사용 조사년도에 대한 코드, 조사계절에 대한 코드 및 사용자의 성별 정보에 대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자료추출부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해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는,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자료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노출인자의 종류, 화장품 아이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의 노출인자의 종류 개수는 하나의 정수형 데이터로 표현되고, 상기 노출인자별 아이템의 개수는 1D 정수형 데이터의 배열로 표현되고, 상기 실제 데이터는 3D 문자열 데이터 배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료 추출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가 포함하는 코드와 해당 코드가 의미하는 화장품 아이템 또는 카테고리 관련 정보의 매칭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은,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은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해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사용 정보 관련 액셀 형태의 데이터를 액세스 속도 향상 및 데이터 사이즈 축소가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화장품 노출인자 관련 정보를 손쉬우면서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화장품 노출인자 관련 정보를 화장품 위해 물질 및 독성 연구와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위해 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등의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 기반 데이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아이템의 코드화 정보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사용량 정보 제공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사용량 관련 액셀 파일 형식의 보고서 제공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110)는 특히, 한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화장품을 12유형으로 분류하고, 12 유형으로 분류되는 화장품 아이템에 대한 실제 사용량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인의 화장품 노출인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110)는, 다년도에 걸쳐 전국 주요 도시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계절별, 남녀별로 화장품 12종 유형에 속하는 40여개 품목에 대한 다양한 노출인자에 대한 데이터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포함하는 방대한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노출인자는 제품별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방법 등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액셀 워크쉬트 또는 워크북의 구조를 가진다. 각 쉬트는 노출인자 별로 구분되며, 새로운 유닛의 추가 삽입, 필요한 신규 아이템 필드의 삽입, 신규 화장품 아이템의 삽입이 손쉽게 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는 추가적인 연구 진행에 따라, 화장품 사용량 단위, 화장품 품목, 각 품목별 데이터 변경이 필요할 경우 정해진 액셀 워크시트(Excel worksheet)의 구조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는 그 특성상 다년 간 지속적인 조사가 진행되어야 하며 수시로 새로운 자료가 추가 및 갱신되어 그 규모가 계속 커지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에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소프트웨어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매우 전문적이고 조작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단순히 축적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축적된 자료를 잘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쉽게 데이터를 변경하고 및 추가할 수 있는 특화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별도의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베이스(130)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 형태의 데이터를 클러스터링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120)를 제공한다. 변환부(120)는 예를 들어, 엑셀 파일 형태의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보다 빠른 데이터 액세스 및 데이터 사이즈 축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는 데이터 테이블 내에 사용패턴 관련 유닛(노출인자의 종류), 화장품 아이템 명, 데이터 인덱스 넘버 등을 포함하며, 사용패턴 유닛의 개수, 해당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는 화장품 아이템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장치는 또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품 분류별 품목에 대한 계절별, 남녀별 화장품 노출량을 손쉽게 추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는, DBMS와 같은 전문 소프트웨어에 대한 운영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손쉽게 데이터 변경 및 추가가 가능한 MS Excel을 데이터 입력 도구로 사용하고, 엑셀 데이터를 클러스터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빠른 파일 검색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는 제1 데이터베이스(110), 데이터변환부(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자료추출부(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10)는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한다.
여기서, 화장품의 사용 패턴에 관한 인자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는, 화장품 아이템의 카테고리에 대한 코드 및 화장품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고, 화장품 사용 조사년도에 대한 코드, 조사계절에 대한 코드 및 사용자의 성별 정보에 대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베이스는 스프레드시트 기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특히 액셀(excel) 기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는 경리, 회계 등의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표 형식의 계산용지나, 계산용지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한 표 계산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은 커다란 표(시트)를 다루는데, 이 표 안에는 셀(Cell)로 나뉘는 수많은 공간이 있다. 각 셀은 열과 행으로 이름을 매기며, 셀 각각에 계산에 필요한 수치 자료를 입력하고 이를 참조하는 계산식이나 함수를 사용해 결과값을 계산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의 예로는, 비지칼크, 로터스 1-2-3, 쿼트로 프로, 엑셀(Excel), 훈민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사용 정보는, 사용하는 화장품 아이템의 카테고리, 사용하는 화장품 아이템의 명칭, 및 화장품 사용량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 사용 조사년도, 조사계절, 사용자의 성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0)는 상기 제1 화장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120)에 의해 클러스터링되는 데이터는 하나의 정수형 데이터로 표현되는 노출인자 종류의 개수, 1D 정수형 데이터의 배열로 표현되는 노출인자별 화장품 아이템의 개수, 3D 문자열 데이터 배열로 표현되는 실제 데이터의 3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클러스터링된 형태의 제2 데이터베이스(130)는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로그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자료추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한다. 룩업 테이블은 아이템 코드 관련 테이블 및 아이템 카테고리 관련 테이블을 포함한다. 자료추출부(140)는 룩업 테이블을 통해 제2 데이터베이스(130) 내에 클러스터링된 데이터가 포함하는 코드와 해당 코드가 의미하는 화장품 아이템 또는 카테고리 관련 정보의 매칭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자료추출부(14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자료 또는 보고서의 형태는 이하에서 설명될 도 4 및 도 5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 기반 데이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시트의 예로 액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워크시트(worksheet)를 보여준다.
도 3의 시트는 화장품 노출 인자별 사용량 데이터 입력을 위한 엑셀 파일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워크시트는 노출인자 별 각종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출인자는 화장품 사용량의 단위를 포함하는 화장품 사용 패턴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해당 데이터가 하루 사용량인지, 1회 사용량인지, 1주일 사용량인지를 특정하는 사용량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워크시트는 화장품 관련 실제 데이터 부분(301)과 실제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도출한 추정함수 데이터 부분(30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실제 데이터 부분(301)의 첫번째 열에는 변수의 명칭이 기록되고, 두번째 열부터는 품목(아이템) 데이터 및 각종 통계 변수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첫번째 열에는 개수(N), 평균(Mean), 최소값(Min), 최대값(Max), 관측 1% 선(Obsv.1%), 관측 99% 선(Obsv.99%) 등의 변수가 정의되어 있다. 2번째 열부터는 해당 열에서 정의된 아이템 명칭(item no.) 및 코드 데이터(code data)에 따른 실제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러한 구조는 추가적인 화장품 아이템에 대한 데이터 추가 시에 열 방향으로 증가하면서 아이템을 추가하기만 하면 간단히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추정함수 데이터 부분(302)의 첫번째 행에는 실제 데이터 부분(301)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각 아이템마다 예측된 함수가 정의되고, 두번째 행부터는 정의된 함수를 기반으로 한 파라미터 값들 및 관련 정보(para 1, para 2, p value, Est.1% ~ Est. 99%)가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정함수 데이터 부분(302)은 실제 데이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함수를 예측하여 표현한 것으로서 관리 데이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고서 등의 그래프 생성시에도 활용될 수 있어 데이터 핸들링에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워크시트의 구조에서 행과 열이 서로 바뀐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아이템의 코드화 정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아이템 코드는 크게 5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화장품 카테고리 코드(410), 화장품 아이템 코드(420), 조사년도 코드(430), 조사계절 코드(440), 및 조사성별 코드(450)가 그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5개의 필드를 포함하지만, 이 외에 조사 대상 사용자의 연령, 직업군 등 다양한 부가 정보가 추가적으로 코드화될 수 있다.
도 4의 화장품 카테고리 코드(410)는 2개의 디지트(digit)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12개 카테고리를 코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카테고리 코드 카테고리명
1 01. Skin Care Preparations (Creams, Lotions, Powders, and Sprays)
2 02. Eye Makeup Preparations
3 03. Makeup Preparations (not eye)
4 04. Hair Preparations (non-coloring)
5 05. Manicuring Preparations
6 06. Shaving Preparations
7 07. Fragrance Preparations
8 08.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Preparations
9 09. Personal Cleanliness
10 10. Baby Products
11 11.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12 12. Hair Coloring Preparations
화장품 아이템 코드(420)는 또한 2개의 디지트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장품 아이템들을 코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아이템 코드 아이템 명칭 아이템 코드 아이템 명칭
101 body moisture (body cream) 306 lipstick
102 body moisture (body lotion) 307 liquid foundation (BB cream)
103 body moisture (body lotion,cream) 401 hair essence
104 essence 402 hair gel
105 eye cream 403 hair wax
106 facial cream 404 rinse
107 facial lotion 405 shampoo
108 hand cream 501 nail polish
109 makeup remover (cleansing cream) 502 nail polish remover
110 makeup remover (cleansing lotion) 601 aftershaving lotion
111 makeup remover (cleansing oil) 602 shaving foam
112 makeup remover (cleansing oil, lotion, and cream) 701 perfumes
113 skin toner 801 deodorants spary
114 watery cream 901 body cleanser
201 eye liner 902 foam cleanser
202 eye makeup remover 903 hand cleanser (foam)
203 eye shadow 904 hand cleanser (liquid)
204 eyebrow pencil 1001 baby body cleanser
205 mascara 1002 baby creams
301 blusher 1003 baby lotions
302 foundation cakes 1004 baby oil
303 lipgloss and lipbalm 1005 baby shampoo
304 lipgloss, lipbalm, and lipstick 1101 sun screen
305 lipliner 1102 sun spray
도 4에서 조사년도 코드(430)는 해당 화장품 아이템 사용 관련 정보를 조사한 연도를 코드로 표현한 것으로, 4 개의 디지트를 활용해 표현될 수 있다.
조사계절 코드(440)는 화장품 아이템을 사용한 계절에 관한 코드로 1개의 디지트를 활용해 4가지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조사성별 코드(450)는 화장품 아이템을 사용하는 조사 대상의 성별을 코드로 나타낸 것으로, 여성(female), 남성(male), 혹은 양성(both)의 3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12 화장품 범주에 따른 화장품 아이템의 코드화를 통해 12 화장품 범주에 기반한 화장품 아이템 검색 기능, 계절별, 성별 데이터 조회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사용량 정보 제공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장품 사용량 관련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로, 도 5의 화면은 바디 모이스쳐(크림) 제품의 하루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해당 화면은 봄에 남, 여 모두의 성별에 대해 바디 모이스쳐 제품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화면 하단에 표현된 그래프를 통해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제공한다.
전체 조사 대상 인원 328 명의 평균 사용량은 2.0764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인원 중 사용량 중위 수준, 즉 50% 에 위치하는 사용량은 1.68g 이며, 도 3을 통해 살펴보았던 예측 함수에 따른50% 위치 사용량은 1.72 g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화장품 아이템, 사용량 분석의 단위, 계절, 성별 등을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처에 따라 의미있는 측정치 또는 통계치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사용량 관련 액셀 파일 형식의 보고서 제공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사용자 화면을 통해 제공된 보고서가 액셀 파일 내에서 보고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추정된 화장품 사용량 데이터 결과의 전달, 분석, 및 보관에 사용될 수 있는 엑셀 파일 형식의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동작 주체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에서는 우선, 화장품 사용 정보가 코드화되어 내포된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 관련 제1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710).
여기서,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는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이며, 화장품의 사용 패턴에 관한 인자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고(S720),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730).
이후, 구축된 제2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사용자로부터 화장품 사용 패턴에 대한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S740),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S750),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한다(S760). 본 발명에 따른 룩업 테이블은 제2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가 포함하는 코드와 해당 코드가 의미하는 화장품 아이템 또는 카테고리 관련 정보의 매칭 관계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이후,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해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하여(S77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복잡하고 까다로운 기존의 DBMS없이 보다 친숙하고 편리한 엑셀을 입력 도구로 사용하여 신속한 화장품 노출 인자 및 노출량 실측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데이터 입출력 및 수정 변경의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한국인의 화장품 사용량 추정 및 관련 결과 보고서 생성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하고 타당성 있는 화장품 노출인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 및 조회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런 도구를 활용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개발된 프로토콜과 노출인자 자료를 화장품 위해 물질 및 독성 연구와 연계하여 화장품 유해평가에 활용되고, 나아가 화장품 위해평가의 가이드 라인 개정 등의 선진화 및 안전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데이터베이스 120: 데이터변환부
130: 제2 데이터베이스 140: 자료추출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8)

  1.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노출인자의 종류, 화장품 아이템, 및 관련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의 사용 패턴에 관한 인자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스프레드시트 기반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액셀(Excel) 기반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는,
    화장품 아이템의 카테고리에 대한 코드 및 화장품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는,
    화장품 사용 조사년도에 대한 코드, 조사계절에 대한 코드 및 사용자의 성별 정보에 대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자료추출부;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해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8.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의 사용패턴에 관한 인자인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노출인자의 종류, 화장품 아이템, 및 관련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해 요청된 관련 자료 또는 보고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의 사용 패턴에 관한 인자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액셀(Excel) 기반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방법.
  12.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 및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구조화된 이진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이진화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로부터 자료 요청이 입력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자료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노출인자의 종류, 화장품 아이템, 및 관련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노출인자 데이터는,
    해당 화장품의 1일 사용량, 1일 사용 빈도, 1회 사용량, 접촉기간, 접촉 부위, 접촉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액셀(Excel) 기반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된 화장품 관련 정보는,
    화장품 아이템의 카테고리에 대한 코드 및 화장품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의 노출인자의 종류 개수는 하나의 정수형 데이터로 표현되고, 노출인자별 아이템 개수는 1D 정수형 데이터의 배열로 표현되고, 상기 실제 데이터는 3D 문자열 데이터 배열의 형태로 표현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료 추출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가 포함하는 코드와 해당 코드가 의미하는 화장품 아이템 또는 카테고리 관련 정보의 매칭 관계를 확인하는,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KR1020160141688A 2016-10-28 2016-10-28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03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88A KR102035277B1 (ko) 2016-10-28 2016-10-28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88A KR102035277B1 (ko) 2016-10-28 2016-10-28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01A KR20180046501A (ko) 2018-05-09
KR102035277B1 true KR102035277B1 (ko) 2019-10-22

Family

ID=6220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88A KR102035277B1 (ko) 2016-10-28 2016-10-28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5209B (zh) * 2011-12-29 2018-01-30 比博实验室公司 适用于报告生成的基于电子表格的编程语言
TWI556116B (zh) * 2012-02-15 2016-11-01 Hitachi Maxell Skin condition analysis and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kin condition analysis and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ata management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01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013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product
Uter et al. Coupled exposure to ingredients of cosmetic products: I. Fragrances
Liao et al. Mining product map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Junaid et al.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and cosmetic consumption pattern among young females in Delhi and NCR
Uter et al. Coupled exposure to ingredients of cosmetic products: II. Preservatives
Krishnan et al. The usage of cosmetic in Malaysia: Understanding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KR102196299B1 (ko)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3233671A (ja) 身体外面における状態変化の予測及び/又は追跡を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00006782A (ko) 사용자 피부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Kazakova et al. Research of the activities of the enterprises of the perfume and cosmetic industry of Ukraine
Kaur et al. The Commodification of Islam?: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Halal Cosmetics Brands.
JP6742006B2 (ja) 化粧料の価値評価法
KR102035277B1 (ko) 화장품 노출인자 분석 장치 및 방법
Faraca et al. Revision of EU Ecolabel Criteria for Cosmetic Products and Animal Care Products (Previously Rinse-Off Cosmetic Products)
US202401353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Product
Nam et al. Study on recognition of functional cosmetics between subjects of major in beauty and non-beauty
Oh et al. For white hair cover for chemical hair dye treated hair cosmetic analysis
Sayon et al. It’s time for men to groom up!
KR102320003B1 (ko) 화장품 정보제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jukanovic et al. Application of Apriori Algorithm for CRM Improvement-Case Study from Montenegro
Liu et al. Determined the critical factors of facial mask products and size design
Ramdania et 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Halal Detection of Korean Cosmetic Composition
KR20220066284A (ko) 소비자 화학 제품의 제형들을 맞춤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rwin et al. Usage of cosmetics and its adverse reactions: A Case Study on University Female Students Community
Dubey et al.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Herbal Brands: An Apprais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